KR20190015840A -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 Google Patents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840A
KR20190015840A KR1020170099535A KR20170099535A KR20190015840A KR 20190015840 A KR20190015840 A KR 20190015840A KR 1020170099535 A KR1020170099535 A KR 1020170099535A KR 20170099535 A KR20170099535 A KR 20170099535A KR 20190015840 A KR20190015840 A KR 2019001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ft
hole
blades
sc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6105B1 (en
Inventor
김유학
김대열
Original Assignee
김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학 filed Critical 김유학
Priority to KR102017009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05B1/en
Publication of KR2019001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8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4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3Driving arrangements for vertical stirrer shafts
    • B01F35/3231Driving several stirrer shafts, e.g. about the same axis
    • B01F15/00038
    • B01F15/0037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rotating at different speeds or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the sam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on separat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2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4Speed during the operation
    • B01F35/22142Speed of the mixing device during the operation
    • B01F7/166
    • B01F7/1665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oil leakage prevention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a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interconnected scum removing device, which can be applied to and used for a digestion tank capable of collecting sludge of high density having high specific gravity in a digestion tank at one time and processing the same, and in which the height of a scum blade is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a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The oil leakage prevention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a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interconnected scum removing device comprises: a speed reducer for separating a rotary force of a drive means into at least two so as to reduce the speed of each rotary force at a predetermined ratio; a first shaft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at least two rotary forces output by having the speed reduced by the speed reducer at a predetermined ratio, so as to output the received rotary force; a second shaft for receiving the other rotary force of the at least two rotary forces output by having the speed reduced by the speed reducer at a predetermined ratio, so as to output the received rotary force; a first impeller installed on a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second shaft and rotated, and including at least one blad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a lower end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a tip part toward a hub side; and a scum removing devic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ry force from the first shaft and lif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an agitation tank.

Description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leakage preventing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혐기성 소화조에 수용되는 각종 슬러지를 포함한 폐수를 일정하게 교반시키면서 소화조 내에 수용된 폐수 수면 위로 부상되는 스컴도 제거할 수 있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haft agitator for fire extinguish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haft agitator for preventing fire extinguishing of a fire extinguisher.

일반적으로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이 포함된 폐수는 소화조 내에 미리 유입되어 있는 낡은 슬러지에 새로운 농축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는 폐수를 투입하게 되면 낡은 슬러지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혐기성 생물이 새로운 슬러지를 섭취하여 증식하는 동시에 환원적으로 슬러지를 분해함으로써 수 처리된다.Generally, wastewater containing sewage sludge, manure sludge, food sludge, etc., is fed into wastewater containing freshly concentrated sludge into old wastewater that has previously been introduced into the digester. When the waste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ncentrated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old wastewater sludge, And the water is treated by reducing and dissolving the sludge in a reducing manner.

이와 같은 소화조는 낡은 슬러지와 새로이 투입된 농축 슬러지를 교반시켜야만 낡은 슬러지와 새로이 투입된 농축 슬러지가 소화조 전체 영역에 걸쳐 일정하게 순환되면서 원활한 접촉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소화조 내에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아 소화가 촉진됨으로써 수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Such a digester needs to agitate the old sludge and the newly added concentrated sludge so that the old sludge and the newly introduced concentrated sludge are circulated uniformly throughout the digester and the digestion is promoted because the sediment is not generated in the digester. The processing efficiency is improved.

상기 소화조의 슬러지 교반에는 소화가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기계식 교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sludge agitation of the digester, a method using a digestion gas or a method using a mechanical stirrer is used.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mechanical stirrer is increasing.

상기 기계식 교반기의 경우 구동수단의 회전력이 감속수단을 통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샤프트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임펠러가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교반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stirr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is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e through the decelerating means and is output through the shaft. The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shaft, and the impeller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haft to stir the sludge in the digester.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소화조 내의 슬러지 혼합물을 소화조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최하단부에는 소화조 바닥에 가라앉는 슬러지를 소화조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임펠러가 설치될 수 있다.The shaf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mpeller capable of moving the sludge mixture in the digester to the bottom of the digester, and an impeller for moving the sludge that sinks to the bottom of the digester to the upper side of the digester is install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haft.

한편, 소화조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부면이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제작됨으로써 소화조 하단의 코너부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소화조 바닥에 가라앉는 슬러지를 소화조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임펠러의 경우 일반적으로 블레이드가 샤프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임펠러를 사용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소화조 바닥면이 평행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Generally, in the case of the digester, the lower surface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center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accumulation of sludge on the corner of the bottom of the digester. In the case of the impeller for moving the sludge sinking on the bottom of the digester to the upper side of the digester, By using an impeller that is configured to level the blade with the shaft, the blade and the bottom of the digester become non-parallel.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소화조 바닥에 가라앉는 슬러지를 소화조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임펠러의 경우 하부면이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제작되는 소화조 바닥의 특성 상 소화조 바닥과의 간섭이 발생됨으로써 임펠러 크기에 제한과 설치 위치의 제한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general impeller for moving the sludge sinking on the bottom of the digester to the bottom of the digester, interfere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impeller and the bottom of the digester is gener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ttom of the diges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mitatio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are limited.

한편, 종래에는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이 포함된 폐수가 각각 분리되어 서로 다른 소화조 내에서 처리되었으나, 최근에는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이 포함된 폐수가 하나의 소화조에서 통합되어 처리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슬러지의 농도가 높아져 크기와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는 종래의 일반적인 임펠러를 사용하여서는 소화조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대로 소화조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ly, wastewater containing sewage sludge, manure sludge, food sludge and the like has been separated and treated in different digestion tanks. Recently, however, wastewater containing sewage sludge, manure sludge, food sludg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sludge settled on the bottom of the digester to the upper part of the digester by using the conventional general impeller which is limited in size and installation position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sludge, .

한편,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의 생물학적 처리 시에는 스컴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cum is inevitably generated i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sewage sludge, manure sludge and food sludge.

이와 같은 스컴은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찌꺼기들로서 소화조의 수면에 부상하게 된다.Such scum is a residue of light weight less than water and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digester.

상기 소화조의 수면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데는 다수개의 스컴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스컴 제거장치가 사용 되는데,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지 못하므로 소화조의 수위변동에 유동성 있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 scum remov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cum blades is used to remove scum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digester. Since the scum removing device is not freely adjustable in height, it can not cope with fluctuations in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There is a problem.

즉, 소화조의 수면위로 부상한 스컴을 스컴 블레이드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 또한 상기 스컴과 더불어 수면 근처에 위치하여야만 하나, 상기 소화조의 수위가 스컴 블레이드의 위치 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to remove the scum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digester with the scum blades, the scum blades should also be located near the water surface together with the scum, bu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is formed higher or lower than the scum blad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um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can not be effectively removed by using the blad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70호 (등록일자 : 2011년 02월 10일, 다축 교반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470 (registered date: February 10, 2011, multi-shaft stirrer)

본 발명의 목적은 비중이 높은 고농도의 슬러지들을 한 번에 모아서 처리할 수 있는 소화조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소화조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높낮이가 유동적으로 조절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ester capable of collecting high-density sludge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t a time and applying the same to a digester, wherein the level of the scum blade is fluidly controlled Type scaveng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tank, which is equipped with a type-of-scum removing device.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적어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 소정비율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감속기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다른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하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1 임펠러 및,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교반조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스컴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를 제시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 vehicle including a speed reducer which sepa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into at least two and decelerates them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that are decelerated and output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speed reducer, A second shaf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rotational force of at least one of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decelerator and outputting the rotational force; A first impeller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and having at least one blad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tip portion toward the hub side; A scum which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stirring tank Water gives digestion still leak-proof multi-screw agitator linked scum removal device is installed, including a device.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상,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허브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may be coupled to the hub such that the blades a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ub.

또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소화조 바닥면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tip portion toward the hub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gester.

또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impell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impell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p portion toward the hub side.

또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in which the blade is convex in the rotatio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허브와 인접한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일부가 허브의 하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adjacent to the hub is horizonta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한편,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으로부터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연장 형성된 추진력 향상 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may further include a thrust propulsion t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so as to have a constant vertical width.

일예를 들면,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블레이드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rust propulsion tip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또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ust force improving tip may be extended from the tip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a tip portion of the blade toward an end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상,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 부분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may be extended to the tip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a tip portion to an end portion of the blad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have the same slope a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lade.

한편, 상기 제1 임펠러는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may further include an intensity reinforcing member attached between neighboring blad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lades.

여기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강도 보강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ole portion formed in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여기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블레이드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lade and attached between neighboring blades.

일예를 들면,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 내부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허브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상기 허브와 함께 승강되는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로 구성된 스컴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um removing device includes a guide uni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a second shaf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unit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A hub which is radially disposed in the hub and is rotatable in conjunction with the hub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and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ub along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irring tank; And a scum blade unit composed of a number of buoyancy scum blades.

일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 및, 상기 소화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허브가 상기 가이드 유닛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허브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를 가이드 할 수 있게 상기 서로 이웃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a first shaft, the first rotary plate being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The buoyancy scum blades are guided by the level of the agitating tank whil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is transmitted to the buoyancy scomold blade so that the hub ascended and descended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unit And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buoyancy scam blades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2 회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한편,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바와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바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2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guide bars arranged to be in a triangular shape an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adjacent buoyancy scam blade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to each other.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과,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밀착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세로 보강재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1 가로 보강재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세로 보강재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세로 보강재와 제1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2 가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ir of buoyancy scam blades and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buoyancy scum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s reinforcing the first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s by connecting the first guide ba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reinforcing the first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first guide bar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nsverse stiffeners to be reinforced.

한편,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교반조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scum blades and scraping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gitation tank.

일예를 들면,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감속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유닛 및,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부력 박스와, 상기 가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부력 박스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부력 박스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로 구성된 스컴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um removing device includes a guide uni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through a first shaft and is passed through a second shaft that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speed reducer and rotates the impeller, A buoyancy box which is lifted along the guide unit and penetrated by the guide unit so as to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a scum blad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oyancy scum blades radially disposed in the buoyancy box.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과, 상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 박스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부력 박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박스에 전달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2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through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guiding the buoyancy box and passing through the buoyancy box to transmit the rotation force of the first rotation plate to the buoyancy box, And a second rotating plate penetrating by the second shaft.

일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부력 박스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브래킷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제1 가이드 바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liding coupl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protruding from the buoyancy box, and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bar of the guide unit.

한편,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교반조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scum blades and scraping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gitation tan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상기 제2 샤프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for a digest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impeller installed in the second shaft.

여기서, 상기 제2 임펠러는 블레이드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와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에 와류와 난류를 발생시켜 교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으로 추진력을 더해줄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젝션 홀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impeller passes a portion of the fluid that strikes the blade with the blade as it rotates,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 the rear side of the blade, generating vortex and turbulence at the rear side of the blade, And at least on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blade so a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increase the driving for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lade.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s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또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에서부터 팁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hole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oot portion of the blade to the tip portion.

한편,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각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은 이웃하는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과 교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may be formed so as to be alternated with 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neighboring rows.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은 서로 이웃하는 인젝션 홀과 중심선이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same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line is orthogonal to the adjacent injection holes.

그리고,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jec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root portion side of the blades so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are spaced at leas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일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제1 홀부 및, 상기 제1 홀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제2 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may include a first hole formed in the blade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hole is gradually increased so as to allow a part of the fluid, which collides with the blade, to pass through the blad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at an increased flow rate, And a second hole formed in the blade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and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with respect to the blade surface.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는 단면적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ectional areas.

한편,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 중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홀부는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홀부는 블레이드의 팁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ole portion of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oot portion side of the blade, and the hole portion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이에 더하여,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hol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blade so as to allow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2 홀부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hol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크기와 설치 위치의 제약 없이 제1 임펠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임펠러를 통해 소화조 바닥면에 가라앉은 슬러지 혼합물을 보다 큰 추진력으로 경사진 소화조 바닥면을 따라 상승 이동시켜 소화조 전체에 걸쳐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임펠러 단 한 대만 설치하여도 소화조 전체에 걸쳐 고농도의 슬러지를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기 제작비용과 운영비용의 절감은 물론 교반 효율까지 향상시켜 소화조의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ows the first impeller to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in size and installation position, The sludge mixture that has been submerged can be moved upwar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digester with a larger thrust force so that the sludge can be agitated evenly throughout the digester. Thus, even if only one impeller is installed, the high concentration sludge can be agitated throughout the digester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gestion tank by improving the agitation efficiency as well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operation cost of the agitato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보다 높은 추진력으로 슬러지를 교반시킬 수 있는 제1 임펠러를 포함하여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고농도 슬러지들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소화조에도 무리 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또는 하수 처리장 등의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peller capable of agitating sludge with a higher thrust, Since the high-concentration sludge can be applied to the digester that can treat at one time, it can greatly reduce facility costs such as 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pla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감속기와 연결된 제2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제1, 2 임펠러에 의해 소화조 내의 혼합물이 교반됨과 동시에, 소화조 내의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스컴 블레이드 유닛이 부력에 의해 가이드 유닛을 따라 상기 혼합물의 수위와 연동되어 승강되어 부력 스컴 블레이드가 항상 수면 상에 위치한 상태로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여 항상 일정한 스컴 제거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 처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lean-preventing multi-shaft agitator for fire extinguish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in the digestion tank is stirred by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s rotated by the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The scum blade unit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unit along with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by the buoyancy regardless of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to remove the scu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mixture in a state where the buoyancy scum blade is alway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The efficiency of water treatment can be further improved by providing a constant scum removal efficiency.

또한, 부력 스컴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화조 내벽에 부착된 스컴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 처리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scum blades are rotated to remove scu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mixture, and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can be remov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ither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제1 임펠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A의 상세도
도 6은 스컴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도 9 내지 도 14는 제2 임펠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후방부에 발생되는 데드 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19은 도 18의 평단면도
도 20은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impeller applied to a leak-proof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in whic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detailed view of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cum blad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
Figs. 9 to 14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second impeller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ad zone generated in the rear portion of a rotating blad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ottom view of Fig. 16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of Fig. 18
2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craper.
21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제1 임펠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의 상세도이며, 도 6은 스컴 블레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detail view of FIG. 1,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ing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cum removing device,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구동수단(110), 감속기(120), 제1 샤프트(130), 제2 샤프트(140), 제1 임펠러(150) 및, 스컴 제거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a fire extinguishing type multi-axis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110, a speed reducer 120, A shaft 130, a second shaft 140, a first impeller 150, and a scum removing device 160.

상기 구동수단(110)은 감속기(12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120)를 통해 적어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 소정 비율로 감속된 후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10)은 모터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120 to divide the rotational force into at least two through the speed reducer 120, and may be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e and then output. Here, the driving means 110 may be a motor.

상기 감속기(120)는 상기 구동수단(110)의 회전력을 적어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120)는 인벌류트 기어(121)의 기어 비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110)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제2 샤프트(140)로 전달하며, 상기 제2 샤프트(140)는 싸이클로이드 기어(122)를 통해 제1 샤프트(130)와 연결되어 상기 싸이클로이드 기어(122)를 통해 상기 제2 샤프트(140)의 회전력이 소정 비율로 감속되어 제1 샤프트(1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peed reducer 120 may divid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110 into at least two and output them at a predetermined rate. The speed reducer 120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110 by a gear ratio of the involute gear 121 to transmit the reduced rotational speed to the second shaf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through the cycloid gear 122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haft 140 is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io through the cycloid gear 122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130 .

상기 제1 샤프트(130)는 상기 감속기(120)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는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2 샤프트(140)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싸이클로이드 기어(122)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130 may receive and output one of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that are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e by the speed reducer 120. That is, the first shaft may be rot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yclic gear 122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haft 140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제2 샤프트(140)는 상기 감속기(120)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다른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샤프트(140)는 구동수단(110)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인벌류트 기어(121)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shaft 140 may receive and output another one of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that are decelerated and output at a predetermined rate by the speed reducer 120. That is, the second shaf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involute gear 121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110 at a predetermined ratio.

한편, 상기 제2 샤프트(140)는 하단부가 소화조(200) 바닥면(21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14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14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여기서, 상기 제1 샤프트(130)와 제2 샤프트(140)는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샤프트(130)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12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140)는 상기 제1 샤프트(130)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속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샤프트(140)는 상기 제1 샤프트(1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haft 130 and the second shaft 140 may be concentrically arranged. The first shaft 13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120 and the second shaf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first shaft 130. [ (130) and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120). The second shaft 140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shaft 130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shaft 130.

상기 제1 임펠러(150)는 상기 제2 샤프트(1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샤프트(140)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소화조(200) 내부의 혼합물을 교반시킬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150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140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haft 140 to stir the mixture in the digester 200.

예를 들면, 상기 제1 임펠러(150)는 허브(151) 및, 블레이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mpeller 150 may include a hub 151 and a blade 152.

상기 허브(151)는 중공 형상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샤프트(140)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허브(151)는 상기 제2 샤프트(140)의 하단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hub 151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140. For example, the hub 15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140.

상기 블레이드(152)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허브(151)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152)는 복수개가 상기 허브(15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허브(151)에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blades 152 may be coupled to the hub 151.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blades 152 may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hub 151 and coupled to the hub 151.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52)는 허브(151)의 상,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허브(15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허브(151)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blade 152 may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hub 15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ub 151, and may be coupled to the hub 151.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152)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52)의 상단부(152d)는 상기 허브(151)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ade 152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tip 152a toward the hub 151 side. The upper end 152d of the blade 152 may be formed to be horizonta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151.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52)는 하단부(152c)의 적어도 일부가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단부(152d)는 상기 허브(151)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된다.The blade 152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152c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tip 152a toward the hub 151 side and the upper end portion 152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tip 152a toward the hub 151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tip 152a to the hub 151 side.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52)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lade 152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tip 152a portion toward the hub 151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have.

한편, 상기 블레이드(152)는 허브(151)와 인접한 하단부의 일부는 상기 허브(151)의 하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152 adjacent to the hub 151 may be formed to be horizonta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15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52)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각도로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부면이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제작되는 소화조(200) 바닥면(210)과 블레이드(152)의 하단부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152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tip 152a toward the hub 151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blade 152 are made horizontal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digester 20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52)와 소화조(200) 바닥면(210)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크기 제한 없이 교반기(100)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의 제약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blade 152 and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so that the blade 152 can be installed in the agitator 100 without any size restrictio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이에 더하여, 상기 블레이드(152)는 하단부(152c)가 상기 소화조(200)의 바닥면(210)과 수평을 이루므로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152)에 의해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에 가라앉아 있는 슬러지가 밀려 중앙부에서부터 코너부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을 따라 상승 이동되어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portion 152c of the blade 152 is horizontal with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the blade 152 is rotated by the blade 152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impeller 150, So that the sludge that is sitting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is pushed upward and moved upwards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corner portion so as to be evenly stirred throughout the digester 200 .

즉, 상기 소화조(200)의 바닥면(210)과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임펠러를 작동시킬 경우 소화조(200)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화조(200) 바닥면(210)에 가라 않은 슬러지가 밀려 나가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에 의해 밀려 소화조(200)의 측벽 측으로 이동되는 슬러지가 중앙부에서부터 측벽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소화조(200)의 바닥면(210)과 부딪히게 됨으로써 소화조(200)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슬러지가 국부적으로만 교반될 뿐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고르게 교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a conventional general impeller in which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and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are not horizontal is operated, the digester 2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gester 200 200) sludge that is not on the bottom surface 210 is pushed out. Therefore, the sludge which is pushed by the blade and moves to the sidewall side of the digestive tank 200 is hit by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ive tank 200 formed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sidewall, so that sludge sitting on the bottom of the digestive tank 2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only locally stirred and can not be evenly stirred throughout the digester 200.

반면에, 상기 제1 임펠러(150)는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가 소화조(200)의 바닥면(210)과 수평을 이루므로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블레이드(152)에 의해 밀려 소화조(200)의 측벽 측으로 이동되는 슬러지가 소화조(200)의 바닥면(210)과 부딪히지 않고 상기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상승되면서 소화조(200)의 측벽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고르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조(200)의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the first impeller 15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blade 152 when the first impeller 150 rotates. The sludge moved toward the sidewall of the digester 200 is moved toward the sidewall of the digester 200 while being lifted along the bottom 210 of the digester 200 without colliding with the bottom 210 of the digester 200, So that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gester 200 can be greatly improved.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임펠러(150)는 블레이드(152)가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슬러지의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150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impeller 15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p 152a toward the hub 151,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즉,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허브(151)와 인접한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의 유속이 가장 느리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의 유속이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 슬러지의 교반 효율이 가장 낮고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의 교반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That is, when the first impeller 150 rotates, the flow rate at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adjacent to the hub 151 is the slowest, and the flow rate at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is the fastest appear. Therefore,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is lowest at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and the stirring efficiency at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is the highest.

그러므로, 블레이드(152)의 위치에 따른 단면적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임펠러를 사용하여 소화조(200) 내의 슬러지를 교반할 경우 임펠러 허브 부분 하부 측에 가라앉은 슬러지의 경우 제대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ludge in the digester 200 is agitated using a general impeller which does not consid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52 at all, the sludge submer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mpeller hub is not properly agitated.

반면에, 상기 제1 임펠러(150)의 경우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 유속이 가장 느리고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의 유속이 가장 빠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블레이드(152)의 단면적이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인 뿌리(152b)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많은 유량을 밀어낼 수 있으므로 제1 임펠러(150) 허브(151) 부분 하부 측에 가라앉은 슬러지도 무리 없이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소화조(200) 측벽 측으로 밀어내어 상승시켜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rst impeller 150 has the lowest flow rate at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and the highest flow rate at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152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portion of the tip 152a to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n the hub 151 side so that the flow rat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p 152a portion of the blade 152 toward the hub 151 side The sludge settling on the lower side of the hub 151 of the first impeller 150 can be smoothly pushed up to the sidewall of the digester 200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and stirred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블레이드(152)는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블레이드(152)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방향 A 측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ade 152 may be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in the rotating direct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blade 152 may be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 side in a plan view.

따라서,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슬러지 혼합물이 상기 나선 형태로 형성된 블레이드(152)를 따라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팁(152a)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블레이드(152)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first impeller 150 rotates, the sludge mixture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tip 152a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along the spiral blade 152 to be pushed outward of the blade 152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즉, 블레이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태로 형성된 일반적인 임펠러의 경우 상기 임펠러가 회전 시 블레이드에 의해 슬러지 혼합물이 수직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의 슬러지 혼합물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블레이드 팁 방향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국부적인 난류 현상이 발생되어 교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impeller formed in a straight line when the blade is viewed in a plane, the sludge mixture is vertically pushed by the blade during rotation of the impeller, so that the sludge mixture in the root portion of the blade It can not be discharged and a local turbulence phenomenon may occur and the stirr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반면에, 상기 제1 임펠러(150)의 경우 블레이드(152)가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슬러지 혼합물이 블레이드(152)에 의해 둔각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의 슬러지 혼합물의 경우에도 국부적인 난류 현상 발생 없이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 팁(152a)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impeller 150, the blade 152 is formed in a spiral shape convex in the rotating direction, so that when the first impeller 150 rotates, the sludge mixture is pushed at an obtuse angle by the blade 152, Even in the case of the sludge mixture in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it is possible to slide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in the direction of the tip 152a without causing a local turbulence phenomenon, .

한편, 상기 제1 임펠러(150)는 추진력 향상 팁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150 may further include a thrust force improving tip 153.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부터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153 may extend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to have a constant vertical width.

또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기 블레이드(152)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153 may be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152.

이에 더하여,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152a)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153 may extend from the tip 152a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toward the tip.

예를 들면,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152a)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153 may be formed so that the tip of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descends toward the en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may have the same slope as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It is preferable to extend from the tip 152a so as to be inclined upward.

이와 같은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부터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52)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혼합물을 모아서 블레이드(152) 외측으로 밀어 낼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152)에 의해 밀려서 상승되는 슬러지 혼합물의 추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driving force improving tip 153 is extended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so as to have a constant vertical width and is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152, The sludge mixture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to the tip 152a portion of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can be pushed out of the blade 152 to be pushed by the blade 152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mixture.

이에 더하여,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153)는 상,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152a) 부분에 연장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혼합물이 보다 큰 추진력을 가지고 소화조(200) 상부 측으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is moved upward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toward the end of the blade 15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ip 153a may have the same slope as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 The sludge mixture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to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has a larger thrust force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being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gester 200.

한편, 상기 제1 임펠러(150)는 강도 보강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mpeller 150 may further include an intensity reinforcing member 154.

상기 강도 보강부재(154)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152)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블레이드(15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is attached between the neighboring blades 15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lades 152.

예를 들면, 상기 강도 보강부재(154)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한편, 강도 보강부재(154)의 하부에 위치한 슬러지 혼합물이 강도 보강부재(154)에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154)에는 슬러지 혼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155 through which the sludge mixture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to prevent the sludge mixture located under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from being clogged by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 Can be formed.

이와 같은 강도 보강부재(154)는 상기 블레이드(152)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152)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15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eighboring blades 15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lades 152.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용 임펠러(150)는 스테인리스나 FRP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mpeller 150 for the ag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or FRP.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는 상기 제1 샤프트(1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샤프트(140)로부터 소정 비율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어 항상 소화조(200) 내의 충진된 혼합물의 수면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The scum removing device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40 and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decelerated from the first shaft 140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t the same time is rotated at a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er 200 And can always be located near the water surface of the packed mixture in the digester 200.

여기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는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에 의해 뜰 수 있도록 물의 비중 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o as to be floated by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er 200.

예를 들면,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는 PP, PVC, FRP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P, PVC, FRP, or the like.

한편,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는 필요에 따라서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가 스테인리스로 제작될 경우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 제공수단이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에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cum removing device 16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if necessary. When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is made of stainless steel, buckling force is applied to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A buoyancy providing means capable of providing a buoyancy can be further included in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여기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160)는 가이드 유닛(161) 및,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may include a guide unit 161 and a scum blade unit 162.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상기 제1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guide unit 161 may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30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상기 가이드 유닛(161)에 의해 회전되며 소화조(200)에 충진된 혼합물에 의해 부상되어 상기 소화조(200)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162 is rotated by the guide unit 161 and floated by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The scum blade unit 162 is rotated by the guide unit 161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And can be lifted and lowered.

예를 들면,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허브(1620) 및,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um blade unit 162 may include a hub 1620 and a buoyancy scum blade 1621 (1622).

상기 허브(1620)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161) 내부에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1620)는 관통 홀(1620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1620a)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hub 162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unit 161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161. The hub 1620 may have a through hole 1620a and the through hole 1620a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는 상기 허브(1620)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는 상기 가이드 유닛(161)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허브(1620)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상기 허브(162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buoyancy scam blades 1621 and 1622 may be radially arranged on the hub 1620. The buoyancy scum blades 1621 and 1622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hub 162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161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guide unit 161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igestion tank 200. [ And can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hub 1620 along with the hub 1620.

예를 들면,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는 4개가 상기 허브(1620)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는 소화조(200) 내벽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다른 두 개의 제2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2)는 상기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uoyancy scum blades 1621 and 1622 may be disposed radial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ub 16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 the two first buoyancy scum blades 1621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o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200, and the other two second buoyancy scum blades 1622 opposed to each other extend from the first buoyancy scum blade 1621).

한편, 서로 이웃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와이어(162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보강 와이어(1624)의 텐션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와이어(1624)는 텐션이 조절될 수 있다.The buoyancy scum blades 1621 and 1622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 least one reinforcing wire 1624 and are reinforced by the tension of the reinforcing wire 1624, So as to further reinforce the strength. Here, the tension of the reinforcing wire 1624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제1 회전판(1610), 제1 가이드 바(1611) 및, 제2 회전판(161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unit 16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late 1610, a first guide bar 1611, and a second rotating plate 1612.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상기 감속기(120)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판(1610)에는 관통 홀(1610a)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to rotat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120 through the first shaft 130. A through hole 161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복수개가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허브(1620)가 가이드 유닛(16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허브(1620)를 둘러쌓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복수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상기 제1 회전판(1610)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를 가이드 할 수 있게 상기 서로 이웃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guide bars 161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16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guide bar 161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hub 1620 so that the hub 1620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200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unit 161,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coupled to the light source 1610. The first guide bar 1611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to the buoyancy scream blades 1621 and 1622 and the buoyancy scum 1620, And may be dispos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floating scream blades 1621 and 1622 so as to guide the blades 1621 and 1622. [

상기 제2 회전판(1612)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161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회전판(1612)은 상기 제1 회전판(1610)과 마찬가지로 관통 홀(1612a)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plate 1612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1611. Similarly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the second rotating plate 1612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612a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

한편,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스크레이퍼(1625 : 도 1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200)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된 서브 부력 박스(1626 : 도 13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러버(rubber)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cum blade unit 162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1625 (see FIG. 13). The scraper 1625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scam blades 1621 and 1622 to scrape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200. Here, the scraper 1625 may be attached to a sub-buoyancy box 1626 (see FIG. 13) installed in the buoyancy screaming blade 1621. For example, the scraper 1625 may be formed of rubber.

예를 들면,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교반조(200) 내벽 근처까지 연장 형성된 서로 마주하는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aper 1625 may be installed in a first floating scream blade 1621 that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inner wall of the stirring tank 200 and faces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임펠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digest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impeller 170 installed in the second shaft 140, .

여기서, 상기 제2 임펠러(170)는 소화조(140) 상부의 혼합물을 소화조(200) 하단부 측으로 이동시켜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econd impeller 170 can move the mix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digestion tank 140 to the lower end of the digestion tank 140 and stir the mix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임펠러(17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5. FIG.

도 9 내지 도 14는 제2 임펠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후방부에 발생되는 데드 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9 to 14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econd impeller, and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ad zone generated in the rear portion of a rotating blade.

먼저,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는 허브(171), 허브 플레이트(172), 블레이드(173) 및, 인젝션 홀(17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6, the second impeller 170 may include a hub 171, a hub plate 172, a blade 173, and an injection hole 174.

상기 허브(171)는 제2 샤프트(14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허브(171)는 상기 제2 샤프트(140)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hub 171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140 so as t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haft 140. For example, the hub 17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140.

상기 허브 플레이트(172)는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허브(17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허브 플레이트(172)는 3개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허브(17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hub plates 172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171. For example, three hub plates 172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171.

상기 블레이드(173)는 상기 허브 플레이트(172)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173)는 상기 허브 플레이트(172)에 복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7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 패들형 블레이드일 수 있다.The blade 17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ub plate 172. For example, the blade 173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hub plate 172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not shown). Here, the blade 173 may be a hydro paddle type blade as shown in FIG.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73)와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At least one injection hole 174 may be formed in the blade 173. The injection hole 174 may allow a part of the fluid that collides with the blade 173 to pass through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s the blade 173 rotates.

이와 같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와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73)의 회전 방향으로 추진력을 더해 줄 수 있다. The injection hole 174 allows a part of the fluid that collides with the blade 173 to pass through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to increase the driving forc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lade 173 have.

이에 더하여,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에 와류와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교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hole 174 forms a vortex to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nd discharges the fluid, thereby generating vortex and turbulence at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블레이드(17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유체가 상기 블레이드(173)를 타고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넘어 감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면과 인접한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에 유체가 교반되지 않는 데드 존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교반 효율이 저하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6, when a general blade 173 rotates, as the fluid moves over the blade 17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the blade 173 A dead zone in which the fluid is not agitated is gene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blade 173, thereby lowering the stirring efficiency.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의한 제2 임펠러(170)의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된 인젝션 홀(174)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17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73)와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켜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에 와류와 난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에 데드 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second impeller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blade 173 is rota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174 formed in the blade 173, a part of the fluid that collides with the blade 173 And a turbulent flow is generated at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so that a dead zone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by passing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tirring efficiency.

여기서, 상기 인젝션 홀(174)은 복수개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jection holes 174 may be formed in the blades 173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174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173.

환언하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팁(173b)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jection holes 174 may be formed in the blades 173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174 are spaced apart from the root portions 173a of the blades 173 in the direction of the tips 173b.

한편, 상기 복수개의 인젝션 홀(174)은 단면적이 모두 다르게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may be formed in the blade 173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are formed in the blade 173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to the tip portion 173b of the blade 173,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상기 복수개의 인젝션 홀(174)을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팁 부분(173b)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are formed so that the 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to the tip portion 173b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173) 중 뿌리 부분(173a)에서 유체가 가장 작은 속도 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에서 유체가 가장 큰 속도 에너지를 가지게 되며, 유체의 유량은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에 비례하게 된다.The fluid has the smallest velocity energy at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rotating blade 173 and the fluid has the greatest velocity energy at the tip portion 173b of the blade 173, Is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nd the velocity of the fluid.

따라서, 유체의 유속이 가장 느린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으로 갈수록 유속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블레이드(173)의 특성 상, 상기 블레이드(173) 전체에 걸쳐 상기 인젝션 홀(174)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인젝션 홀(174)을 형성해야 한다.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ade 173, in which the flow velocity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having the slowest fluid velocity to the tip portion 173b of the blade 173, 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from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toward the tip portion 173b of the blade 173 in order to equalize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 174 The injection hole 174 must be form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바람개비 날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le 174a has a cross-sectional area in a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as to allow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 pass through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in a gradually increasing manner.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vane blade.

한편,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174a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단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한편,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되는 연결부(1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jection hole 174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74c formed in the blade 173 to allow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연결부(174c)는 상기 제1, 2 홀부(174a)(174b)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174c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따라서, 상기 연결부(174c)를 통과하여 상기 블레이드(173) 후방부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서도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에 와류와 난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vortex and turbulence can be generat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blade 173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74c and discharg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lade 173,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임펠러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impe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 도시된 제2 임펠러(170)는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제2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shown in FIG.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impeller shown in FIG. 9 except for the injection hole 174, so that other portions except for the injection hole 174 a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의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of the second impeller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인젝션 홀(174)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태극 문양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is increased to allow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 pass through the blade 17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the blade 173 in the form of a golden leaf.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sectional area as the first hole 174a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formed in the blade 17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도 11를 참조하여 제2 임펠러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impe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에 도시된 제2 임펠러(170)는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제2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shown in FIG. 1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impeller shown in FIG. 9 except for the injection hole 174, so that other portions except for the injection hole 174 a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의 인젝션 홀(174)은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of the second impeller 17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 174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hole 174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toward the tip portion 173b of the blade 173.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은행 잎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pass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173).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a bank leaf shape.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응하는 은행 잎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is formed in a bank leaf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174a and is arranged to be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surface.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formed on the blade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홀부(174a)는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and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disposed on the tip 173b side of the blade 173. [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1 홀부(174a)가 상기 제2 홀부(174b) 보다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홀부(174a)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보다 느림으로써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여야만 한다.The reason why the second hole 174b has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is that the first hole 174a is larger than the root hole 173a of the blade 173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is lower than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174b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s 174a and 174b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hole 174b should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174a.

한편,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경우에는 유량은 동일하나 유속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즉 유체가 교반되지 않는 데드 존 부위에는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한 유체에 의해 와류가 발생됨과 동시에 난류가 발생되어 데드 존의 발생을 방지하여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the flow rates are the same but the flow rat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rear portion of the blade 173, that is,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and turbulence is generated at the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dead zone and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또한,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되는 연결부(1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 174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74c formed in the blade 173 to allow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연결부(174c)는 상기 제2 홀부(174b)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174c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 hole portion 174b.

도 12를 제2 임펠러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1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impeller.

도 12에 도시된 제2 임펠러(170)는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제2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shown in FIG. 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impeller shown in FIG. 9 except for the injection hole 174, so that the other parts except the injection hole 174 a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의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74 of the second impeller 17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인젝션 홀(174)과 중심선(CL)이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s 174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injection holes 174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ar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L.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의 후술되는 제1 홀부(174a)와 제2 홀부(174b)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인젝션 홀(174)의 이웃하는 인젝션 홀(174)의 경우에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제2 홀부(174b)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홀부(174a)(174b)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인젝션 홀(174)의 양측에 위치하는 인젝션 홀(174)의 경우에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제2 홀부(174b)의 위치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2 홀부(174a)(174b)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인젝션 홀(174)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션 홀(174)의 경우에는 제1 홀부(174a)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홀부(174b)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홀부(174a)(174b)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인젝션 홀(174)의 타측에 위치하는 인젝션 홀(174)의 경우에는 제2 홀부(174b)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1 홀부(174a)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hole 174 adjacent to the injection hole 174 in which the first hole portion 174a and the second hole portion 174b of the injection hole 1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hole portion 174a and the second hole portion 174b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hole 17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jection hole 174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irst hole portion 174a and the second hole portion 174b 174b may be form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hole 174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jection hole 174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irst hole portion 174a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hole 174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jection hole 174 disposed in the left- The second hole portion 174b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hole portion 174a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한편,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은행 잎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pass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a bank leaf shape.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응하는 은행 잎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is formed in a bank leaf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174a and is arranged to be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surface.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formed on the blade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부(1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 174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74c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연결부(174c)는 상기 제1, 2 홀부(174a)(174b) 중 단면적이 작은 홀부 보다도 더 작은 단면을 가지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portion 174c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ole portion.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임펠러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impe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에 도시된 제2 임펠러(170)는 블레이드(173)와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제2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블레이드(173)와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shown in FIG. 1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impeller shown in FIG. 9 except for the blade 173 and the injection hole 174, so that the blade 173 and the injection hole 174,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의 블레이드(173)는 상하 폭 방향으로 수회 절곡되어 형성된 커브드형 블레이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lade 173 of the second impeller 170 may be a curved blade formed by bending several times in the vertical width direction.

한편,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이열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jection holes 174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17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각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174)은 이웃하는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174)과 교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jection holes 174 formed in the respectiv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may be formed so as to be alternated with the injection holes 174 formed in the neighboring columns.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은행 잎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is formed in the blade 173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allow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 pass through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a bank leaf shape.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응하는 은행 잎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is formed in a bank leaf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174a and is arranged to be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surface.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formed on the blade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홀부(174a)는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and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disposed on the tip 173b side of the blade 173. [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1 홀부(174a)가 상기 제2 홀부(174b) 보다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홀부(174a)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보다 느림으로써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여야만 한다.The reason why the second hole 174b has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is that the first hole 174a is larger than the root hole 173a of the blade 173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is lower than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174b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s 174a and 174b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hole 174b should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174a.

한편,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경우에는 유량은 동일하나 유속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즉 유체가 교반되지 않는 데드 존 부위에는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한 유체에 의해 와류가 발생됨과 동시에 난류가 발생되어 데드 존의 발생을 방지하여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the flow rates are the same but the flow rat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rear portion of the blade 173, that is,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and turbulence is generated at the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dead zone and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도 14를 참조하여 제2 임펠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impe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4에 도시된 제2 임펠러(170)는 블레이드(173)와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제2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블레이드(173)와 인젝션 홀(174)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impeller 170 shown in FIG. 1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impeller shown in FIG. 9 except for the blade 173 and the injection hole 174, so that the blade 173 and the injection hole 174,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임펠러(170)의 블레이드(173)는 블레이드(173)의 중앙부가 사선 형태로 절곡된 하이드로 포일형 블레이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blade 173 of the second impeller 170 may be a hydrofoil-type blade in which a central portion of the blade 173 is bent in an oblique line.

한편, 상기 인젝션 홀(174)은 상기 블레이드(173)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s 174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holes 17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73.

즉, 상기 인젝션 홀(174)은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유체가 혼합되지 않는 데드 존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하이드로 포일형 블레이드(173)의 특성 상 상기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복수개가 적어도 일렬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injection hole 174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and the diameter of the dead zone in which the fluid is not mixed is larg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root portion 173a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예를 들면, 상기 인젝션 홀(174)은 제1 홀부(174a) 및, 제2 홀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174 may include a first hole 174a and a second hole 174b.

상기 제1 홀부(174a)는 상기 블레이드(173)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홀부(174a)는 은행 잎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173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pass a part of the fluid hitting the blade 17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173 at an increased flow rate, 173). For example, 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in a bank leaf shape.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응하는 은행 잎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73)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174a)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e 174b is formed in a bank leaf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174a and is arranged to be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174a with respect to the blade 173 surface. And may be formed on the blade 173.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블레이드(173)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formed in the blade 173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홀부(174a)는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부(174b)는 상기 블레이드(173)의 팁 부분(173b)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le 174a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and the root portion 173a of the blade 173 And the second hole 174b may be disposed on the tip 173b side of the blade 173. [

여기서,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1 홀부(174a)가 상기 제2 홀부(174b) 보다 블레이드(173)의 뿌리 부분(173a) 측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홀부(174a)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보다 느림으로써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홀부(174a) 보다 상기 제2 홀부(174b)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여야만 한다.The reason why the second hole 174b has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174a is that the first hole 174a is larger than the root hole 173a of the blade 173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is lower than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174b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s 174a and 174b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hole 174b should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174a.

한편, 상기 제1 홀부(174a)와 상기 제2 홀부(174b)를 통과하는 유체의 경우에는 유량은 동일하나 유속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블레이드(173)의 후방부, 즉 유체가 교반되지 않는 데드 존 부위에는 상기 제1, 2 홀부(174a)(174b)를 통과한 유체에 의해 와류가 발생됨과 동시에 난류가 발생되어 데드 존의 발생을 방지하여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74a and the second hole 174b, the flow rates are the same but the flow rat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rear portion of the blade 173, that is,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174a and 174b, and turbulence is generated at the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dead zone and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제2 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이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bottom view of FIG.

본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스컴 제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스컴 제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eak-proof multi-shaft agitator for fire extinguish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ype multi-shaft agitator,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scum removing device will be omitted.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160)는 가이드 유닛(161) 및,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16 and 17,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applied to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stirrer for digesti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uide unit 161 and a scum blade unit 162 ).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제1 샤프트(130 :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2 샤프트(140 : 도 5 참조)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guide unit 161 may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30 (see FIG. 5)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see FIG. 5).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161) 내부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되는 허브(1620)와, 상기 허브(16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161)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허브(1620)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소화조(200 : 도 1 참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상기 허브(1620)와 함께 승강되는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162 includes a hub 1620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161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161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And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hub 162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161 and rotate along the guide unit 161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200 And a plurality of buoyancy scum blades 1621 and 1622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hub 1620.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제1 회전판(1610), 제1 가이드 바(1611), 제2 가이드 바(1613) 및, 보강재(161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unit 16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late 1610, a first guide bar 1611, a second guide bar 1613, and a stiffener 1614.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상기 감속기(120 :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관통 홀(1610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1610a)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first rotary plate 16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13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120 (see FIG. 5). The first rotation plate 1610 may have a through-hole 1610a, and the through-hole 1610a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허브(1620)가 상기 가이드 유닛(165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허브(1620)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회전판(1610)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를 가이드 할 수 있게 상기 서로 이웃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사이에 개재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bar 1611 surrounds the hub 1620 so that the hub 1620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200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unit 1651, 1620 to the buoyancy scombal blades 1621 and 1622 so as to guide the buoyancy scream blades 1621 and 1622 which are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digester 200, A plurality of scum blades 1621 and 162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상기 제2 가이드 바(1613)는 한 쌍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와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bars 1613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with the first guide bars 161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ir of adjacent floating scream blades 1621 and 1622, 1610 &lt; / RTI &gt;

상기 보강부재(1614)는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는 제1, 2 가이드 바(1611)(1613)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함으로써 상기 제1, 2 가이드 바(1611)(1613) 하단에 제2 회전판을 결합시키지 않고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inforcing member 1614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611 and 1613 adjacent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611 and 1613, So that it can be omitted.

한편,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되어 소화조(200)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1625 : 도 2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162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scam blades 1621 and is disposed in the buoyancy scam blade 1621 and is provided with a scraper 1625 for scraping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200 : See Fig. 20).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교반조(200) 내벽 근처까지 연장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scraper 1625 may be installed in a pair of first buoyancy scum blades 1621 that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inner wall of the stirring tank 200.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의 끝단부에는 보조 부력 박스(16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부력 박스(1626)에 스크레이퍼(1625)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러버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n auxiliary buoyancy box 1626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buoyancy scam blade 1621, and a scraper 1625 may be installed at the auxiliary buoyancy box 1626. Here, the scraper 1625 may be formed of rubber.

<제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9은 도 18의 평단면도이고, 도 20은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proof multi-shaft agitator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8, Fig.

본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스컴 제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스컴 제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eak-proof multi-shaft agitator for fire extinguish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ype multi-shaft agitator,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scum removing device will be omitted.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160)는 가이드 유닛(161) 및,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18 to 20, the scum removing device 160 applied to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ve tank provid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uide unit 161 and a scum blade unit 162 ).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감속기(120 :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30 : 도 5 참조)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감속기(1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2 임펠러(150, 170 : 도 1 참조)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140 : 도 5 참조)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guide unit 161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120 (see FIG. 5) through the first shaft 130 (see FIG. 5),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speed reducer 120, (See FIG. 5) that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50 and 170 (see FIG. 1).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소화조(200 : 도 1 참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1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161)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되는 부력 박스(1627)와, 상기 가이드 유닛(161)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부력 박스(1627)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1628)와, 상기 부력 박스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um blade unit 16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161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igester 200 (see FIG. 1) A buoyancy box 1627 penetrating by the second shaft 140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and a sliding engagement portion 1628 formed in the buoyancy box 1627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unit 161, And a plurality of buoyancy scoop blades 1621 1622 radially disposed in the buoyancy box.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제1 회전판(1610), 제1 가이드 바(1611) 및, 제2 회전판(161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uide unit 16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late 1610, a first guide bar 1611, and a second rotating plate 1612.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상기 감속기(120)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관통 홀(1610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1610a)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to rotat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120 through the first shaft 130.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may have a through hole 1610a and the through hole 1610a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 박스(1627)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부력 박스(1627)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복수개가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판(1610)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박스(1627)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bar 1611 guides the buoyancy box 1627 which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igester 200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guide bars 1611 ar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1610 through the buoyancy box 1627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can be transmitted to the buoyancy box 1627.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상기 부력 박스(1627)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홀(1627a)을 각각의 제1 가이드 바(1611)가 관통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판(1610)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박스(1627)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조(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 박스(1627)가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부력 박스(1627)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guide bar 1611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27a formed in the buoyancy box 1627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27a pass through the first guide plate 1611, And a buoyancy box 1627 which is coupled to the buoyancy box 1627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digester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bar 1611 To guide the buoyancy box 1627 so that the buoyancy box 1627 can be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buoyancy box 1627.

상기 제2 회전판(1612)은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판(1612)은 상기 제1 회전판(1611)과 마찬가지로 관통 홀(1612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1612a)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plate 16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bar 1611. Like the first rotary plate 1611, the second rotary plate 1612 may have a through-hole 1612a, and the through-hole 1612a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한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628)는 제1 지지브래킷(1628a), 제2 지지브래킷(1628b) 및, 롤러(1628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engagement portion 1628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racket 1628a, a second support bracket 1628b, and a roller 1628c.

상기 제1 지지브래킷(1628a)은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의 옆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력 박스(1627)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support brackets 1628a may protrude from the buoyancy box 1627 so as to be positioned beside the first guide bars 1611. [

상기 제2 지지브래킷(1628b)은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브래킷(1628a)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rackets 1628a may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bracket 1628a so tha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bar 1611 may be received.

상기 롤러(1628c)는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지지브래킷(1628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1628c)는 V-롤러일 수 있다.The roller 1628c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1628b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bar 1611. [ For example, the roller 1628c may be a V-roller.

한편,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은 스크레이퍼(16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um blade unit 162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1625.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되어 소화조(200)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낼 수 있다.The scraper 1625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scam blades 1621 and 1622 to scrape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200.

예를 들면,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소화조(200) 내벽 근처까지 연장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aper 1625 may be installed on a pair of first buoyancy scum blades 1621 facing each other exte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er 200.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상기 제1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설치된 서브 부력 박스(1626)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레이퍼(1625)는 러버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craper 1625 may be attached to the sub-buoyancy box 1626 installed in the first buoyancy screaming blade 1621 (1622). For example, the scraper 1625 may be formed of rubber.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적용된 스컴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FIG. 21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scum removing device applied to a leak preventiv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associated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스컴 제거장치의 가이드 유닛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가이드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fire extinguishers equipp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except that the guiding unit of the scum removing device is omitted, Axis stirrer,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guide unit will be omitted.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1 샤프트(130 :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2 샤프트(140 : 도 5 참조)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guide uni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30 (see FIG. 5)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see FIG. 5).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유닛(161)은 제1 회전판(1610), 제1 가이드 바(1611), 세로 보강재(1615), 제1 가로 보강재(1616) 및 제2 가로 보강재(1617)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unit 161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1610, a first guide bar 1611, a longitudinal stiffener 1615, a first transverse stiffener 1616, and a second transverse stiffener 1617 .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상기 감속기(120 :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판(1610)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1610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1610a)이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The first rotary plate 16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30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13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120 (see FIG. 5). 14, a through hole 1610a is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so that the through hole 1610a can be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140 have.

한편, 상기 제1 회전판(1610)에는 상기 제1 회전판(161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홀(1610b)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1610b for reducing the weight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

상기 제1 가이드 바(1611)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밀착되도록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1610)에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16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ir of adjacent floating scream blades 1621 and 1622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610.

상기 세로 보강재(1615)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 사이에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longitudinal stiffeners 161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floating scream blades 1621 and 1622.

상기 제1 가로 보강재(1616)는 서로 이웃하는 제1 가이드 바(1611)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할 수 있다.The first transverse stiffener 1616 may be reinforced by connecting adjacent first guide bars 1611 to each other.

상기 제2 가로 보강재(1617)는 서로 이웃하는 세로 보강재(1615)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함과 동시에, 세로 보강재(1615)와 제1 가이드 바(1611)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verse stiffener 1617 may be reinforced by connecting neighboring longitudinal stiffeners 1615 and may be reinforced by connecting the longitudinal stiffener 1615 and the first guide bar 1611 to each other.

다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 to 21,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leakage preventing multi-axis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교반기(100)는 감속기(120)에 의해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회전력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은 제2 샤프트(140)를 통해 출력되어 제1 임펠러(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소화조(200) 내부의 혼합물을 교반시킨다. Referring to FIGS. 1 to 21, in the fire extinguis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rotational forces separated by at least two by the speed reducer 120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shaft 140, The mixture in the digestion tank 200 is stirred by rotating the impeller 150.

여기서, 상기 제1 임펠러(150)는 블레이드(152) 하단부(152c)가 소화조(200) 바닥면(210)과 수평을 이루게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152)와 소화조(200) 바닥면(210)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크기 제한 없이 교반기(100)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의 제약도 받지 않게 되며,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152)에 의해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에 가라앉아 있는 슬러지 혼합물이 밀려 중앙부에서부터 코너부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을 따라 상승 이동되어 소화조(210) 전체에 걸쳐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조(200)의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of the first impeller 150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so that the blade 152 and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The first impeller 150 and the second impeller 150 can be installed on the agitator 100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impeller 150, The sludge mixture sitting on the bottom surface 210 is pushed and moved upward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upward incline digestion tank 200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corner portion so as to be evenly stirred over the entire digestion tank 210 So that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gester 200 can be greatly improved.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임펠러(150)는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 유속이 가장 느리고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의 유속이 가장 빠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블레이드(152)의 단면적이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인 뿌리(152b)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rst impeller 150 has the lowest flow velocity at the root 152b portion of the blade 152 and the highest flow velocity at the tip 152a portion of the blade 152,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portion of the tip 152a to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n the hub 151 side.

따라서,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많은 유량을 밀어낼 수 있으므로 제1 임펠러(150) 허브(151) 부분 하부 측에 가라앉은 슬러지도 무리 없이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소화조(200) 측벽 측으로 밀어내어 상승시켜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since the flow rat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toward the hub 151 side, the sludge submerged on the lower side of the hub 151 of the first impeller 150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digester 200 can be pushed up toward the sidewall of the digester 200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so as to be stirred,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제1 임펠러(150)의 블레이드(152)는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슬러지 혼합물이 블레이드(152)에 의해 둔각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의 슬러지 혼합물의 경우에도 국부적인 난류 현상 발생 없이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 팁(152a)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blades 152 of the first impeller 150 are formed in a convex spiral shape in the rotating direction so that when the first impeller 150 rotates, the sludge mixture is pushed at an obtuse angle by the blades 152, The sludge mixture in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can be slid along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without causing a local turbulence phenomenon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do.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임펠러(150)는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부터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하고 상기 블레이드(152)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152a) 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추진력 향상 팁부(153)를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혼합물을 모아서 블레이드(152) 외측으로 밀어 내어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혼합물이 보다 큰 추진력을 가지고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소화조(200) 상부 측으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15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convex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152 so that the vertical width of the first impeller 150 is constant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so as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s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The sludge mixture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to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is collected and pushed out of the blade 152 to raise the sludge mixture The sludge mixture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to the tip 152a portion of the blade 152 exerts a greater thrust force Along the said digester (200), a bottom surface 210 and to improve further the efficiency by stirring to rise toward the upper digester 200.

또한, 제1 임펠러(150)는 크기나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혼합물의 교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슬러지들을 한 번에 모아서 처리할 수 있는 소화조(200)에도 무리 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또는 하수 처리장 등의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impeller 150 is not limited by the size and installation space, it can greatly improve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mixture, and collects sludge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such as sewage sludge, manure sludge, food sludg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gestion tank 200 which can be treated without any difficulty, so that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facility costs such as 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plant.

여기서, 상기 제2 샤프트(140)에 의해서는 상기 제1 임펠러(150) 뿐만 아니라 소화조(200) 상부에 위치한 혼합물을 소화조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임펠러(17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소화조의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second shaft 140 can rotate not only the first impeller 150 but also the second impeller 170 capable of moving the mixtur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gestive tank 2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gestive tank,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동시에, 상기 소화조(200) 내부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스컴의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120)에 의해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는 회전력 중 제1 샤프트(130)를 통해 출력되는 회전력을 가이드 유닛(161)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소화조(200) 내부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연동되어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부상되어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가 항상 수면 상에 위치하는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교반조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스컴 제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scu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the rotating force, which is output through the first shaft 130 among the rotational forces separated by the decelerator 120, The flocculant scum blades 1621 and 1622 are always placed on the water surface while being lifted along the guide unit 161 while interlocking with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So that it can be removed by the scum blade unit 162 to always provide the best scum removing effect irrespective of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stirring tank 200.

즉, 일반적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설치된 스컴 제거장치의 경우 소화조 내부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지 않고 고정된 형태로 상기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가 소화조 내부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면 위에 위치하거나 수면 아래에 위치할 경우에는 수면위에 부상되는 스컴의 특성 상 상기 스컴 제거장치에 의한 스컴의 제거 효과가 매우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scum removing device installed in a leakage preventive typ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general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in a fixed form without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It is installed in a leak-proof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er installed. Therefore, when the scum removing device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or below the water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um removing effect by the scum removing device is very sm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u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의 경우에는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가 변동된다 하더라도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이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가 항상 수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nti-leakage type multi-axis agitator for fire extinguishers equipp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fluctuates, The buoyancy scum blades 1621 and 1622 are alway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er 200 by the buoyancy so that the scum blade unit 16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161 do.

한편,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이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승강된다 하더라도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바(1611)에 의해서 부력 박스(1627)나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회전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의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감속기(120)의 회전력을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에 전달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scum blade unit 16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161 by buoyanc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er 20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ecelerator 120 is transmitted to the scum bladder unit 1621 stabl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cum blade unit 162 by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buoyancy box 1627 or the scum blades 1621 and 1622 by the rotating shaft 1611. [ 162 to rotate the scum blad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가 변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항상 균일한 스컴 제거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changes, irrespective of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digestion tank 200, the leakage preventing multi-axis stirrer for digestion tank provided with the water lev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iform scum removing efficiency can always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의해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에 설치된 스크레이퍼(1625)에 의해 교반조(200) 내벽에 부착된 스컴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스컴 제거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stirrer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scum blades 1621 and 1622 remove the scum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xture, The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irring tank 200 can be removed by the scraper 1625 installed in the buoyancy scam blades 1621 and 1622 as the first and second scoops 1621 and 1622 are rotat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제1 임펠러(150)의 블레이드(152) 하단부(152c)가 소화조(200) 바닥면(210)과 수평을 이루게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152)와 소화조(200) 바닥면(210)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크기 제한과 설치 위치의 제한 없이 제1 임펠러(150)를 교반기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152)에 의해 소화조(200)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있는 슬러지 혼합물이 밀려 중앙부에서부터 코너부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소화조(200)의 바닥면(210)을 따라 상승 이동되어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of the first impeller 1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gester 200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blade 152 and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does not occur so that the first impeller 150 can be installed in the agitator without limitation of the size and installation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impeller 150 is rotated, the sludge mixture sit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gester 200 is pushed by the blade 15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gester 200, which is inclined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toward the corner, (210) so as to be evenly stirred throughout the digester (200).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제1 임펠러(150)의 블레이드(152) 단면적이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인 뿌리(152b)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에서부터 허브(151)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많은 유량을 밀어낼 수 있으므로 제1 임펠러(150) 허브(151) 부분 하부 측에 가라앉은 슬러지도 무리 없이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소화조(200) 측벽 측으로 밀어내어 상승시켜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lade 152 of the first impeller 150 has a cross sectional area ranging from the tip 152a to the hub 151 side The flow rate of the first impeller 15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tips 152a of the blades 152 toward the hub 151. Therefore, The sludge submerged in the lower side can be smoothly pushed up to the sidewall of the digester 200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ion tank 200 and can be stirred to improve the stirr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제1 임펠러(150)의 블레이드(152)가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임펠러(150)의 회전 시 슬러지 혼합물이 국부적인 난류 현상 발생 없이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 팁(152a)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한다.The leakage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lade 152 of the first impeller 15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convex in the rotational direction, 150 allows the sludge mixture to slide along the blade 152 in the direction of the blade tip 152a without causing localized turbulence.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임펠러(150)는 상하 폭이 일정하며 블레이드(152)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블레이드(152)의 하단부(152c)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추진력 향상 팁부(153)를 포함하여 블레이드(152)의 뿌리(152b) 부분에서부터 블레이드(152)를 따라 블레이드(152)의 팁(152a) 부분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혼합물이 보다 큰 추진력을 가지고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소화조(200) 상부 측으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mpeller 15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having a constant vertical width and a convex shap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152,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same inclination as the lower end 152c of the blade 152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root 152b of the blade 152 to the portion of the tip 152a of the blade 152 along the blade 152 includes an impelling force improving tip portion 153 extending from the tip 152a portion of the blade 152, The mix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causing the mixture to rise to the upper side of the digester 200 along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with greater thru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크기와 설치 위치의 제약 없이 제1 임펠러(1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임펠러(150)를 통해 소화조(200) 바닥면(210)에 가라앉은 슬러지 혼합물을 보다 큰 추진력으로 경사진 소화조(200) 바닥면(210)을 따라 상승 이동시켜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임펠러(150) 단 한 대만 설치하여도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고농도의 슬러지를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기(100) 제작비용과 운영비용의 절감은 물론 교반 효율까지 향상시켜 소화조의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ipped with the water level interlock type scum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impeller 150 to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in size and installation position, The sludge mixture that has settled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through the impeller 150 is moved upward along the inclined bottom surface 210 of the digester 200 with a larger thrust, It is possible to stir the high-concentration sludge throughout the digester 200 even if only one first impeller 150 is install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operating cost of the stirrer 100 and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감속기(120)와 연결된 제2 샤프트(14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2 임펠러(150)(170)에 의해 소화조(200) 내의 혼합물이 교반됨과 동시에, 소화조(200) 내의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스컴 블레이드 유닛(162)이 부력에 의해 가이드 유닛(161)을 따라 상기 혼합물의 수위와 연동되어 승강되어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가 항상 수면 상에 위치한 상태로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여 항상 일정한 스컴 제거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leak preventive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impeller 150 rotated by a second shaft 140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120 The scum bladder unit 162 is moved by the buoyancy force along the guide unit 161 to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in the digestion tank 200 irrespective of the level of the filled mixture in the digestion tank 200 So that the scum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mixture is alway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buoyancy scom blades 1621 and 1622 are alway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to provide a constant scum removing efficiency, .

또한, 부력 스컴 블레이드(1621)(1622)가 회전하면서 혼합물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화조(200) 내벽에 부착된 스컴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 처리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floating scum blades 1621 and 1622 are rotated to remove scu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mixture and to remove scum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digestion tank 200, thereby further improv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교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소화조의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preventing multi-axis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tirring efficiency and ultimately greatly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gest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100)는 하수 슬러지, 분뇨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슬러지들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소화조(200)에도 무리 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또는 하수 처리장 등의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multi-shaft agitator 100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ester 200 capable of treating sludge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such as sewage sludge, manure sludge, food sludge, ) Can be applied without any difficulty, so that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facility costs such as 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plants.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구동수단 (120) : 감속기
(130) : 제1 샤프트 (140) : 제2 샤프트
(150) : 제1 임펠러 (160) : 스컴 제거장치
(170) : 제2 임펠러
(110): Driving means (120): Reduction gear
(130): first shaft (140): second shaft
(150): first impeller (160): scum removing device
(170): second impeller

Claims (37)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적어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 소정비율로 감속시키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하는 제1 샤프트;
상기 감속기에 의해 소정비율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력 중 다른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출력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1 임펠러; 및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교반조 내에 충진된 혼합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스컴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A decelerator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eans into at least two and decelerates them at a predetermined ratio;
A first shaf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decelerator;
A second shaf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other one of at least two rotational forces decelerated and output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speed reducer;
A first impeller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so as t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haft and at least one blade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a tip portion toward a hub; And
And a scum removing device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shaft and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level of the mixture filled in the stirring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상,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Wherein the hub is coupled to the hub so that the blade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ub.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소화조 바닥면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a tip portion toward a hub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an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ges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팁 부분에서부터 허브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tip portion toward the hub 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Wherein the blad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convex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multi-shaft agitator according to claim 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허브와 인접한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일부가 허브의 하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Wherein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lade adjacent to the hub is formed to be horizonta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으로부터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연장 형성된 추진력 향상 팁부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force improving t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so as to have a constant upper and lower width.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블레이드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rust propulsion tip includes:
Wherein the slider is formed in a spiral shape convex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rust propulsion tip includes:
Wherein the tip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blad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향상 팁부는,
상,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팁 부분에서부터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팁 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rust propulsion tip includes:
And the lower end of the blade is extended to the tip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toward the end portion so as to have the same slope a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lade. Leakage preventing type multi-shaft stirr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And a strength reinforcing member attached between the neighboring blad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lade. The multi-shaft agitator according to claim 1,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rength-
Wherein the scum removing device is formed in a plate shap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강도 보강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impell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hole portion formed in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The multi-shaft agitator according to claim 1,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블레이드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rength-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dispos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lades and are attached between neighboring blad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 내부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허브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상기 허브와 함께 승강되는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로 구성된 스컴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um removing device comprises:
A guide unit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A hub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to be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uni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a hub which is radially disposed on the hub and which is received 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And a scum blad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oyancy scom blades which ar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hub along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irring tank.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 및
상기 소화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허브가 상기 가이드 유닛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허브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부력 스컴 블레이드를 가이드 할 수 있게 상기 서로 이웃하는 부력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The buoyancy scum bla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scum blade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buoyancy scum bla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guide hole, And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buoyancy scam blades so as to guide the scum blades an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wherein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eakage-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2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guide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바와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바;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2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guide unit includes:
A pair of second guide bars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adjacent buoyancy scam blades and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guide bars to each other.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밀착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세로 보강재;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1 가로 보강재;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세로 보강재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세로 보강재와 제1 가이드 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2 가로 보강재를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adjacent buoyancy scam blades and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tiffene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buoyant scom blades;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s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adjacent first guide bars to each other;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nsverse stiffeners that connect and reinforce the adjacent longitudinal stiffeners to each other while connecting the longitudinal stiffener and the first guide bars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transversal stiffeners. Multi-shaft agitator.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교반조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cum blade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crap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t scom blades and scraping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gitation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감속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유닛; 및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부력 박스와, 상기 가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부력 박스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부력 박스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로 구성된 스컴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um removing device comprises:
A guide uni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through a first shaft and is received by a rotational force from the speed reducer and passed through a second shaft for rotating the impeller; And
A buoyancy box which is lifted along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irring tank and penetrated by the guide unit so as to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uide uni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nd a scum blade unit comprising a slid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in the buoyancy box and a plurality of buoyancy scombal blades radially disposed in the buoyancy box.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회전판;
상기 교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 박스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부력 박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부력 박스에 전달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바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제2 회전판을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be rotatab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shaft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guiding a buoyancy box that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level of the stirring tank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plate to penetrate the buoyancy box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tion plate to the buoyancy box; And
And a second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first guide bar and penetrated by the second shaft. The multi-shaft agitator according to claim 1,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부력 박스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브래킷;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제1 가이드 바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liding engagemen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protruding from the buoyancy box; And
And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bar of the guide unit.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력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교반조 내벽에 부착된 스컴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cum blade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crap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oyant scom blades and scraping scum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gitation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수위 연동형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impeller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wherein the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impeller disposed on the second shaft.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펠러는,
블레이드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와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에 와류와 난류를 발생시켜 교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으로 추진력을 더해줄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젝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second impeller
As the blade rotates, a part of the fluid that strikes the blade is passed through the blad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lade at an increased flow rate to generate vortex and turbulence at the rear side of the blade to improve stirring efficiency, And at least on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blade so as to add driving force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blade.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injection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t least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에서부터 팁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injection hole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is gradually decreased from a root portion to a tip portion of the blade.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각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은 이웃하는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과 교호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are formed so as to alternate with 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neighboring columns.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열에 형성된 인젝션 홀은 서로 이웃하는 인젝션 홀과 중심선이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same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ar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lines of the injection holes and the injectio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injection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formed on a root portion side of the blades so that a plurality of the bla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s.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블레이드에 부딪히는 유체의 일부를 블레이드의 후방부 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증가된 유속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제1 홀부; 및
상기 제1 홀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부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제2 홀부를 포함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injection hole
A first hole formed in the blade in such a manner that a cross-sectional area thereof is gradually increased so as to allow a part of the fluid that hits the blade to pass at an increased flow rate while forming a vortex to the rear side of the blade; And
And a second hole formed in the blade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and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first hole with respect to the blade surface.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는 단면적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ar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는 단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ectional areas from each other.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 중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홀부는 블레이드의 뿌리 부분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홀부는 블레이드의 팁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a hole portion of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is disposed to face the root portion side of the blade, and the hole portion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s disposed to face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Multi-shaft agitator.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 홀은,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injection hol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blade to allow the first hole portion and the second hole por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2 홀부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hole portions.
KR1020170099535A 2017-08-07 2017-08-07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KR101986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35A KR101986105B1 (en) 2017-08-07 2017-08-07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35A KR101986105B1 (en) 2017-08-07 2017-08-07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40A true KR20190015840A (en) 2019-02-15
KR101986105B1 KR101986105B1 (en) 2019-06-05

Family

ID=6536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535A KR101986105B1 (en) 2017-08-07 2017-08-07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0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3868A (en) * 2020-11-11 2020-12-18 潍坊维润金属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wastewater high-efficiency treatment device
CN114452888A (en) * 2022-03-01 2022-05-10 平顶山市畜牧技术推广站(平顶山市地方畜禽品种资源保护中心)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cattle and sheep feed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2412839B1 (en) * 2021-08-12 2022-06-23 김유학 Digestion tank agitator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of digester tank
CN116282774A (en) * 2023-05-22 2023-06-23 山西世洁环境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circulating cooling water filtering devi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6764527A (en) * 2023-08-21 2023-09-19 山东科源化工有限公司 Automatic floater cleaning type pesticide mixing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730B (en) * 2019-03-14 2021-09-10 江苏大学 Submersible mixer capable of automatically lifting
KR102101310B1 (en) * 2020-01-03 2020-05-15 주식회사 문창 Water circulation equipments for service reservoir
KR102131970B1 (en)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Agitator for water treatment that can improve water treatment efficiency by minimizing dead zone even at low speed
KR102131988B1 (en)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Agitator impeller that can improve water treatment efficiency by minimizing dead zone even at low speed
KR102412840B1 (en) 2021-11-23 2022-06-23 김유학 Digester agitator that maximizes agitation efficiency through biogas recycl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25Y1 (en) * 1992-05-18 1995-03-24 강석우 Impeller of surface aerating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US6997444B2 (en) * 2003-04-29 2006-02-14 Spx Corporation Radial disc impeller apparatus and method
JP2007312791A (en) * 1999-03-12 2007-12-06 Kobelco Eco-Solutions Co Ltd Agitation tank for storing yeast solution, method of producing fermented foods such as beer using the agitation tank, and agitating blades provided in the agitation tank
KR101015470B1 (en) 2009-12-11 2011-02-18 김대열 Multi-axis rotating agitator of high enrichment digester
KR101523262B1 (en) * 2014-10-14 2015-05-27 김유학 Skimmer for agitator and agitator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KR20160031359A (en) * 2014-09-12 2016-03-22 (주)에이알케이 Deflection Prevention Device of Blade for Mechanical Stirrer in Anaerobic Digestion Tank, And Mechanical Stirrer And Anaerobic Digestion Tank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25Y1 (en) * 1992-05-18 1995-03-24 강석우 Impeller of surface aerating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JP2007312791A (en) * 1999-03-12 2007-12-06 Kobelco Eco-Solutions Co Ltd Agitation tank for storing yeast solution, method of producing fermented foods such as beer using the agitation tank, and agitating blades provided in the agitation tank
US6997444B2 (en) * 2003-04-29 2006-02-14 Spx Corporation Radial disc impeller apparatus and method
KR101015470B1 (en) 2009-12-11 2011-02-18 김대열 Multi-axis rotating agitator of high enrichment digester
KR20160031359A (en) * 2014-09-12 2016-03-22 (주)에이알케이 Deflection Prevention Device of Blade for Mechanical Stirrer in Anaerobic Digestion Tank, And Mechanical Stirrer And Anaerobic Digestion Tank Having The Same
KR101523262B1 (en) * 2014-10-14 2015-05-27 김유학 Skimmer for agitator and agitator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3868A (en) * 2020-11-11 2020-12-18 潍坊维润金属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wastewater high-efficiency treatment device
CN112093868B (en) * 2020-11-11 2021-06-29 深圳慧欣环境技术有限公司 Industrial wastewater high-efficiency treatment device
KR102412839B1 (en) * 2021-08-12 2022-06-23 김유학 Digestion tank agitator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of digester tank
CN114452888A (en) * 2022-03-01 2022-05-10 平顶山市畜牧技术推广站(平顶山市地方畜禽品种资源保护中心)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cattle and sheep feed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4452888B (en) * 2022-03-01 2024-04-05 平顶山市畜牧技术推广站(平顶山市地方畜禽品种资源保护中心)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raising cattle and sheep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6282774A (en) * 2023-05-22 2023-06-23 山西世洁环境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circulating cooling water filtering devi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6282774B (en) * 2023-05-22 2023-08-01 山西世洁环境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circulating cooling water filtering devi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6764527A (en) * 2023-08-21 2023-09-19 山东科源化工有限公司 Automatic floater cleaning type pesticide mixing tank
CN116764527B (en) * 2023-08-21 2023-11-07 山东科源化工有限公司 Automatic floater cleaning type pesticide mixing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05B1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105B1 (en)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cum removing device
KR101523262B1 (en) Skimmer for agitator and agitator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A2825501C (en) Dred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ediments from a water bed
US20120187587A1 (en) Apparatus for Mixing Gasses and Liquids
KR101271212B1 (en) A plant for algae control and water treatment in lakes
KR101012273B1 (en) The highly efficient rotary eddy flow typed surface aerator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with thereof
KR101986098B1 (en) Oil leakless type multi-shaft agitator for digestion tank equipped with scum blades
KR101767500B1 (en) Impeller for digestion tank agitator
KR101562652B1 (en) the water turn over device for removing algae and the algae bloom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KR101566242B1 (en) Water-linked type screw multi-shaft agitator
JP2011072936A (en) Fluidized bed type biological treatment apparatus
CN117142636A (en) Sewage treatment device for recycling water resources
CN102296560A (en) Muddy-water hydraulic stirring tank in river-work model test
CN111706307A (en) Automatic dosing device and dosing method for foam drainage gas production underground
CA2636752A1 (en) Apparatus for mixing gasses and liquids
KR101900593B1 (en) Eco-friendly high efficiency agitator
CN211394241U (en) Mud stirring and aerating integrated equipment
KR20160145285A (en) Artificial Whirlpool Generator
CN110803844A (en) Mud stirring and aerating integrated equipment
CN102049349A (en) Sand sedimentation tank
CN220572733U (en) Waste water recovery adds medicine treatment facility
JP7426271B2 (en) impeller
KR20150118331A (en) Scum Remove Apparatus of Length Variable Type
CN220467641U (en) Wastewater treatment air floatation machine
JP4813414B2 (en) Convection inducing device in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