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943A - Cap for container - Google Patents

Cap for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943A
KR20190014943A KR1020170099109A KR20170099109A KR20190014943A KR 20190014943 A KR20190014943 A KR 20190014943A KR 1020170099109 A KR1020170099109 A KR 1020170099109A KR 20170099109 A KR20170099109 A KR 20170099109A KR 20190014943 A KR20190014943 A KR 2019001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floor
hand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2006B1 (en
Inventor
이규배
Original Assignee
이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배 filed Critical 이규배
Priority to KR102017009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06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ap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for a container, which is coupled to an inlet of the container and embedded and coupled thereto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has a weight unit which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a coupling portion of the cap and in which a center of weight faces the bottom when the cap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falls to the floor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o as to be mount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weight un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coupled to the inlet of various containers, even if the cap falls down to the floo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isn′t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reby preventing the cap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the foreign substance.

Description

용기용 뚜껑{CAP FOR CONTAINER}Cap for container {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포함한 다양한 용기의 뚜껑 상면 쪽에 중량부를 구비시켜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할 때 결합부가 상향을 향하고 상면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의 오염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lid having a weight portion on the top surface of a lid of various containers including a beverage container, so that when the lid falls down to the bottom, To a container lid capable of preventing the joint portion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contaminants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용기의 뚜껑은 용기의 입구(주둥이)에 결합되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Generally, the lid of the container is joined to the mouth (spout) of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from spilling.

이러한 뚜껑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87725호(공개일자 : 2013.08.07)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구부에 병 뚜껑(10)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This li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87725 (Published Date: 2013.08.07), and as shown in Fig. 1, a bottle lid 10 is fastened to an opening portion to open / .

이와 같은 뚜껑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내용물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음용할 경우에는 개구부에서 분리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ch a li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to close the opening, thereb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being poured at random, and in case of drinking, the lid can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to drink the contents.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뚜껑은,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접촉되어 바닥의 이물질이 뚜껑의 결합부에 묻게 됨으로써 뚜껑의 결합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바닥에 떨어져 오염된 뚜껑은 깨끗한 물로 세척함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 있었으나, 뚜껑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은 감수할 수밖에 없었고,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나 암나사산 사이에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에는 세척이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세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id having such a structure is dropped to the floor due to a user's mista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lid is contaminated by the abutting portion of the lid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Of course, it was possible to reuse the contaminated lid off the floor by washing with clean water, but the inconvenience of washing the lid was inevitable, and in the case of contamination between protrusions or female thread formed inside the joi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to clean the lid as well as the difficulty.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2호(공고일 : 2010.08.19)에는 치약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치약뚜껑은, 치약용기(9)의 토출부(9a)가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치약뚜껑(1)에 있어서, 상기 치약뚜껑(1)은 흡착수단(2)의 몸체(2a)에 형성된 축공(3)을 통하여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레버(4)와 축공(5)을 통하여 힌지 연결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toothpaste cap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75982 (Advised on August 18, 2010). 2, the toothpaste li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toothpaste lid 1 in which a discharge portion 9a of the toothpaste container 9 is coupled and separated in a force fitting manner. In the toothpaste lid 1,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inge lever 4 and the shaft hole 5 which are movably installed through the shaft hole 3 formed in the body 2a of the absorption means 2.

이와 같이 치약 뚜껑(1)이 힌지레버(4)에 의해 벽체에 고정됨으로써, 치약용기(9)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바닥으로 낙하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는 있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뚜껑은 치약 뚜껑(1)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치약 뚜겅(1)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e toothpaste lid 1 is fixed to the wall by the hinge lever 4 so that the toothpaste lid 1 does not fall down to the floor even if it is detached from the toothpaste container 9. However, ),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separate component for fixing the toothpaste lid 1 to the wall.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2호(공고일 : 2010.08.19). Korean Patent No. 10-0975982 (Notice: 2010.08.19)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하더라도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뚜껑의 상면이 바닥에 닿은 상태로 세워지거나, 구르더라도 상면이 바닥에 안착되는 상태로 세워지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이물질들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container in which a lid coupled to an inlet of various containers is rai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without touching the floor, So a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foreign matter with the engaging portion of the li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결합부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상면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f a container which is fastened to and joined to an inlet of a container to open and close an inlet of the container, And a weight portion is provided for allowing the center of gravity to face the bottom so that the top surface comes into contact first with the bottom so as to be seated.

상기 중량부는, 상기 뚜껑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eight par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id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may be formed of a dissimilar material an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r may be formed of a dissimilar material, and may be insert injection molded and integrated.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상기 입구와 상면 사이의 둘레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입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상면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상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handle formed around the lid and annularly formed a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attached by a user;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handle to be inclined toward the inlet from the handle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from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상기 제2 경사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경사부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광고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될 수 있다. In the handle, the first ramp or the second ramp, an advertisement may be printed, an advertisement may be affixed, or an advertisement may be embossed or embossed.

상기 중량부의 외측 및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shock absorbing member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ilicone or rubber may be attached, covered, or integrally injection-molded to absorb the impact on the outside of the weight 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상기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the first inclined portion or the second incline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lid from rolling when the lid falls to the floor.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중량부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중량부 쪽으로 유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induction slope toward the weight portion so that the lid is inclined toward the weight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touches the floor.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원호형의 만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상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입구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a curved portion is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so that the curved portion is curved such that an area hav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is offset toward the inlet side when the curved portion is tilted toward the upper surface when the curved portion is tilted to the bottom, .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이 형성될 수 있다. A slip prevention projection, a groove or a knurling may be formed in an area hav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takes i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의 상면에 중량부가 구비됨으로써, 뚜껑이 바닥으로 떨어지더라도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면이 먼저 바닥에 닿도록 하거나, 상면이 바닥에 안착되어 세워지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의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ight portion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id coupled to the entrance of various containers, even if the lid falls down to the floor,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lid does not touch the floor, So that the coupling part of the li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또한, 뚜껑이 바닥에 떨어져 구르더라도 외주연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제1,2 경사부 및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부에 의해 결합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지게 됨으로써, 결합부가 바닥에 닿는 확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even if the lid falls down on the floor,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upward by the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and the weigh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duction effect.

또한, 뚜껑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경사부에 광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구나 캐릭터 등을 형성함으로써,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various phrases or characters including advertisements 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improved.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이 낙하하여 바닥에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에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뚜껑의 손잡이부와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1 and 2 show a lid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6 (a) and 6 (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3 falls down and seats on the floor.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3 is provided with an impact absorbing member.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lid shown in Fig. 3,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shown in Fig. 3;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 and 11 (b) are front views showing other forms of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 Fig.

이하에서, 뚜껑(200)의 결합부(210)는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는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면(220)은 결합부(210)의 반대쪽 영역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engaging portion 210 of the lid 200 refers to a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upper surface 220 refers to a region opposite to the engaging portion 210.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200)은,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100)의 입구(110)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뚜껑(200)의 결합부(210)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220)에는,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면(220)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 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300)가 마련되는 것이다.3 to 5, the container li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d joined to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to form an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The lid 20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00 and is lowered to the floo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d 200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surface 220 220 are mounted on the floor so as to be seated.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0)은, 음료수 용기, 치약용기, 화장품 용기를포함하는 다양한 용기의 뚜껑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용 뚜껑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 the li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lid of various containers including a beverage container, a toothpaste container, and a cosmetic container. In this embodiment, the lid 200 is used as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뚜껑(200)의 결합부(210)는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d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d 200 is coupled to or engaged with the inlet 110 of the container 100, and a thread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이러한 뚜껑(200)의 상면(220)에는, 중량부(300)가 마련된다. 중량부(300)는, 뚜껑(20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면(220)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뚜껑(200)의 상면(220)에 일체화되어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가 상면(210)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중량부(300)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운모래, 철가루, 작은돌, 자석 등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중량부(300)로서 상면(220)과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며, 금속판이나, 중량물의 판재 등이 상면(210)에 부착되어 중량부(300)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220 of the lid 200, a weight portion 300 is provided. The weight portion 3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id 200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The weight portion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o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220 of the lid 200, 22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metal material may be insert injection-molded into the upper surface 210 to be provided as the weight portion 300, or fine sand, iron powder, small stone, magnet, or the like may be injection- A metal plate, a heavy plate,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210 to be provided as a weight unit 300. [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300)는 뚜껑(200)의 상면(22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것을 기준으로 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물이 부착되어 뚜껑(200)과 일체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 portion 300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n the upper surface 220 of the lid 200 as a standar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ntegrated with the < RTI ID = 0.0 >

한편, 뚜껑(200)의 외주연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결합부(210)와 상면(220) 사이의 외주연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230)와, 결합부(210)와 손잡이부(230) 사이에 손잡이부(230) 쪽에서 결합부(2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240)와, 손잡이부(230)와 상면(220) 사이에 손잡이부(230) 쪽에서 상면(22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5,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200 includes a handle 230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upper surface 220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ser, A first inclined portion 240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210 and the grip portion 230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engaging portion 210 from the grip portion 230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240 formed between the grip portion 230 and the upper surface 220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250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220 from the handle 230 side.

이때,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가 결합부(210) 쪽으로 더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고, 제1 경사부(230) 및 제2 경사부(250)은 대략 원뿔 형상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도 4의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면(220) 까지의 거리(L1)가 결합부(210)까지의 거리(L2)보다 더 멀다. 따라서,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크며, 기준선(C)을 기준으로 무게중심(중량부)도 상면(220) 쪽에 있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4 and 5, the handle 230 is more biased toward the coupling part 210 so that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art 25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art 240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3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have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e distance L1 from the reference line C to the upper surface 22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L2 from the coupling portion 210 to the upper surface 220. [ Therefore,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and the center of gravity (weight portion) on the reference line C is also on the upper surface 220 side.

이와 같이,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을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하고, 거리(L1)를 멀리 한 것은, 뚜껑(200)이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바닥으로 낙하한 후, 즉 뚜껑(200)의 외주연(손잡이부, 제1,2 경사부)이 바닥으로 낙하한 후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손잡이부(230)를 기준으로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중량부(300)가 바닥에 안착되면서 결합부(210)가 위를 향한 상태로 뚜껑(200)이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is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and the distance L1 is long is that the lid 200 is laid on its side When the lid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handle 230 after the drop, that is, when the outer periphery (the handl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of the lid 200 falls down to the floor, So that the weight portion 300 is seated on the floor and the lid 200 is lifted up with the engaging portion 210 facing upward.

한편,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또는 제2 경사부(250)에는 광고(광고문구, 캐릭터, 안내문구 등)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경사부(250)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100)에 결합된 뚜껑(200)을 위에서 바라볼 경우에 사용자의 시선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제2 경사부(250)에 고정될 수 있어서 광고 효과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에서 사선으로 뚜껑(200)을 쳐다볼 경우에 사용자는 경사진 제2 경사부(250)에 형성된 광고를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시선으로 보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뚜껑(200)을 움직이지 않아도 제2 경사부(250)에 구비된 광고를 접할 수 있어서 광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advertisement (an advertisement text, a character, a guidance phrase, etc.) is printed, an advertisement is attached to the handle 230,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or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has a large area and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hen the user views the lid 200 coupled to the container 100 from above, So that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considerably large. That is, when the user looks at the lid 200 with an oblique line from above, the user sees the advertisement formed on the inclined second inclined portion 250 as a comfortable and natural sight. When the user buckles his or her head or holds the lid 200 The advertisement provided i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can be contacted without moving, so that the advertising effect can be enhanced.

물론, 중량부(300)의 외측면에도 광고가 구비될 수 있다. Of course, advertisements may also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한편, 전술한 광고는, 제품을 선전하기 위한 것 이외에, 화장품, 화학약품, 의약품 등을 적용할 경우에, 취급시 주의사항,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용법과 같이 내용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advertisement includes information on contents such as instructions on handling, usage of medicines and cosmetics, etc. when applying cosmetics, chemicals, medicin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promoting the products.

그리고, 제1 경사면(240)이나 제2 경사면(250)에는 일반적인 광고나 용법 등과 같은 정보 등을 인쇄 및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정보(이름이나 기호 등 자신만이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정보 기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기재부를 활용하는 예로서,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해당 용기의 뚜껑(200)에 형성된 제1 경사면(240) 또는 제2 경사면(250)에 환자의이름이나 용법의 정보를 직접 메모할 수 있는 것이다. Not only can the information such as general advertisement, usage, and the like be printed and attached to the first sloping surface 240 and the second sloping surface 250, but also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directly identify )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utilizing this information recording unit, a nurse in a hospital can directly record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name or usage on the first sloping surface 240 or the second sloping surface 250 formed on the lid 200 of the container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뚜껑(200)은 다양한 재질(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린콘재, 금속재 등)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 형광 도료가 배합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a silane material, a metal material, etc.),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blended with luminous or fluorescent paint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300)의 외측 및 손잡이부(230)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400)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구비된다. 이때, 손잡이부(230)에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400)는, 손잡이부(230)에 형성되는 설치홈(231)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7, a shock absorbing member 400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silicone or rubbe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weight portion 300 and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230, as shown in FIG. Coated, or integrally injection-molded. At this time, the impact absorbing member 400 provided on the handle 230 may be fitted into the attachment groove 231 formed in the handle 230.

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400)는 뚜껑(200)이 낙하하여 바닥에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바닥에 충돌한 뚜껑(200)의 튐이 방지되도록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격흡수부재(400)는 형광도료나 야광도료를 첨가하여 형성함으로써,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The impact absorbing member 400 absorbs the shock when the lid 200 falls down and collides with the floor to prevent damage,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to prevent the lid 200 from colliding with the floor . The impact absorbing member 400 is formed by adding a fluorescent paint or a luminous paint so that visibility is improved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전술한 손잡이부(2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100)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둥글게 형성하여 뚜껑(200)이 엎어질 때 상면(220)이 이 바닥을 향할 확률을 높이도록 할 수 있고, 전술한 충격흡수부재(4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충격흡수부재(400)의 외주면 모양을 둥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3 to 5,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the purpose of the container 100. For example, . For example, it may be rou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top surface 220 faces the floor when the lid 200 is tilted, and when the impact absorbing member 400 is engaged,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may be round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면(220)에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고, 이 끼움홈에 뚜껑(200)의 재질보다 밀도나 비중이 높은 재질의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재(400)가 상면(220)에 결합됨으로써, 중량물의 역할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까지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surface 22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not shown) made of a rubber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or the like having a density or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the lid 200 400 may be combined. As the shock absorb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220,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heavy object and the function of absorbing the shock.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및 제2 경사부(250)에는 뚜껑(200)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60)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뚜껑(200)의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및 제2 경사부(250)에 돌기(260)들이 형성됨으로써, 뚜껑(200)의 구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뚜껑(200)을 취부할 때 각 돌기(260)들이 손가락에 걸리게 되므로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8, when the lid 200 is dropped onto the bottom of the lid 200, the grip portion 230,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of the lid 200, Protrusions 260 are formed to prevent rolling. The protrusions 260 are formed on the handle 230,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of the lid 200 so that the cloud of the lid 200 can be minimized When the user attaches the lid 200, the protrusions 260 are caught by the fingers, so that the grip feeling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lid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낙하할 때, 뚜껑(200)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부(230)를 중심으로 상면(220) 쪽에 있으므로, 뚜껑(200)은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면(220)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현상으로 상면(220)의 가장자리(또는 상면의 외측에 중량물이 구비된 경우에 중량물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닿은 후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6 (a), when the lid 20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00 due to a mistake of the user and falls to the flo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d 200 moves from the center of the handle 230 to the center The lid 200 rotates so that the upper surface 220 faces downward in the process of falling. As a resul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edge of the heavy object when the weigh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is seated on the floor. Therefore, the lid 200 dropped to the fl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the foreign material because the coupling portion 210 faces upward without touching the floor.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이 눕혀진 상태(손잡이부가 바닥을 향하는 상태)로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면, 뚜껑(200)의 무게중심은 손잡이부(230)을 기준으로 상면(220) 쪽에 있고,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이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230)를 중심으로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국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6 (b), when the lid 200 falls down to the floor in a state in which the lid 200 is laid down (the handle is facing the flo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d 200 is moved to the grip 230, The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40 so tha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50 is located closer to the upper surface 220 And eventu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is seated on the floor. Therefore, the lid 200 dropped to the fl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the foreign material because the coupling portion 210 faces upward without touching the floor.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외주연에 손잡이부(230)와 제1,2 경사부(240,25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좁은 팽이 구조를 갖고, 상면(220)에는 중량부(300)가 구비됨으로써, 뚜껑(200)이 바닥에 떨어져 굴곡부에 간섭되더라도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도록 엎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0)이 바닥에 낙하했을 때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도록 안착되는 확률보다,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닿도록 안착되는 확률이 훨씬 높게 된다. 6 (c), the handle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slopes 240 and 250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200 to have a top structure having a narrow upper and lower parts as a whole And the weight portion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20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coupling portion 210 is tilted to reach the floor can be minimized or prevented even if the lid 200 falls on the floor and interferes with the bent portion.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is lower than the probability that the coupling portion 210 is seated on the floor when the lid 200 falls on th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ability of being seated is much higher.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도이다.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shown in FIG. 3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에는,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진 유도 경사면(2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30)에 유도 경사면(232)이 형성됨으로써,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은 간섭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국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9, when the handle 2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handle 230, the weight 300 or the weight 300 is tilted toward the weight 300 or the top 220, An induction slope 23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is formed toward the upper surface 220. Since the guide slope 232 is formed on the handle 230 in this way, when the handle 230 touches the floor, the lid 200 can quickly and smoothly move the weight 300 or the top surface 220 without interference, And eventu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is seated on the floo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lid 200 that has dropped to the floor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the foreign material because the coupling portion 210 faces upward without touching the floor.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를 도시한 개략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둘레(외주연)에는, 원호형의 만곡부(270)가 형성되되, 만곡부(270)는, 만곡부(27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상면(220) 또는 중량부(30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만곡부(270)의 지름(r)이 가장 큰 외주연(272)이 결합부(210)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만곡부(270)의 지름(r)이 가장 큰 외주연(272)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274)이 형성된다. 10, an arcuate curved portion 270 i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200. The curved portion 27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lid 200 when the curved portion 270 touches the floor. Except that the outer peripheral edge 272 having the largest diameter r of the curved portion 270 is curved so as to be offset toward the coupling portion 210 toward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weight portion 300. [ The same as the embodiment. At this time, a non-slip protrusion, a groove or a knurling 27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272 having the largest diameter r of the curved portion 270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takes it.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11 (a) and 11 (b) are front views showing other forms of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용 뚜껑(200)은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두께는 얇고 지름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고, 지름은 작고 두께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container lid 200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the use thereof. That is, as shown in FIG. 11 (a), the thickness of the lid 200 may be small, the diameter may be small, and the thickness may be thick.

이와 같이, 뚜껑(200)의 무게중심이 상면(220) 쪽에 있고, 뚜껑(200)의 둘레에 만곡부(270)가 형성되며, 만곡부(270)의 지름이 가장 큰 외주연(272)이 결합부(210) 쪽으로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뚜껑(200)이 낙하하여 만곡부(270)가 바닥에 먼저 닿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뚜껑(200)은 무게중심이 있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결합부(210)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세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200)이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바닥의 오염물질에 의해 뚜껑(200)의 결합부(210)가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The lid 200 has a center of gravity on the top surface 220 and a curved portion 270 on the periphery of the lid 200. The outer circumference 272 hav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270, The lid 200 is tilted toward the top surface 220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2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id 20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eight portion 300 is placed on the floor so as to face upward. Therefore, even if the lid 200 falls on the floor, the joint 210 of the lid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contaminants on the floor.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용기 110 : 입구
200 : 뚜껑 210 : 결합부
220 : 상면 230 : 손잡이부
232 : 유도 경사면 240 : 제1 경사부
250 : 제2 경사부 260 : 돌기
270 : 만곡부 272 : 외주연
274 : 널링 300 : 중량부
400 : 충격흡수부재 r : 지름
100: container 110: inlet
200: lid 210:
220: upper surface 230: handle portion
232: guiding inclined surface 240: first inclined portion
250: second inclined portion 260: projection
270: Bend 272:
274: knurling 300: weight part
400: impact-absorbing member r: diameter

Claims (10)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결합부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상면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A lid which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joined or fitted thereto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a weight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d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the bottom of the lid is lowered to the bottom, ,
Container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뚜껑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cov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ver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r i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insert injection molded and integrated.
Container l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상기 입구와 상면 사이의 둘레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입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상면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상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the periphery of the lid,
A grip portion formed annularly i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ser;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handle to be inclined toward the inlet from the handle portion; And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from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Container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경사부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re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Container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광고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handle, the first ramp or the second ramp, the advertisement is printed, the advertisement is attached, or the advertisement is engraved or embossed.
Container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의 외측 및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outer side of the weight portion and the out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ing member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ilicone or rubber material is adhered, covered or integrally injection-molded so as to absorb impact.
Container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상기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rip por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the lid from rolling when the lid falls to the floor.
Container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중량부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중량부 쪽으로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The handle portion
And an induction slope is formed toward the weight portion so that the lid is inclined toward the weight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touches the floor.
Container l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원호형의 만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상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입구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the periphery of the lid,
Wherein an arcuate curved portion is formed and the curved portion is curved such that an area of the curved portion having the largest diameter is offset toward the entrance so that the curved portion tilts toward the upper surface when the curved portion touches the floor ,
Container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projection, a groove or a knurling is formed in an area hav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curved part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takes it.
Container lid.

KR1020170099109A 2017-08-04 2017-08-04 Cap for container KR101972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en) 2017-08-04 2017-08-04 Cap for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en) 2017-08-04 2017-08-04 Cap for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3A true KR20190014943A (en) 2019-02-13
KR101972006B1 KR101972006B1 (en) 2019-04-24

Family

ID=6536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en) 2017-08-04 2017-08-04 Cap for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0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85A (en)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Pet bottle cap with protrusion
KR100975982B1 (en) 2004-02-10 2010-08-19 김주형 Cap of toothpaste tube
KR20110086655A (en) * 2010-01-23 2011-07-29 강민구 A bottle cap
KR20120093674A (en) * 2011-02-15 2012-08-23 노병주 Vessel
KR20170066784A (en) * 2015-12-07 2017-06-15 하상훈 One hand enabled shampoo cap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82B1 (en) 2004-02-10 2010-08-19 김주형 Cap of toothpaste tube
JP2006232385A (en)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Pet bottle cap with protrusion
KR20110086655A (en) * 2010-01-23 2011-07-29 강민구 A bottle cap
KR20120093674A (en) * 2011-02-15 2012-08-23 노병주 Vessel
KR20170066784A (en) * 2015-12-07 2017-06-15 하상훈 One hand enabled shampoo c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006B1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5878898A (en) Protective overcap assembly for fluid containers
JPH06500519A (en) Cap and spout assembly that is safe from misuse and poses no danger to young children
US20110068113A1 (en) Sanitary Cup Lids
JP2002002751A (en) Improved elastomer valve for spill-proof feeding device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US5117980A (en) Drinking device and holder
KR101972006B1 (en) Cap for container
KR100947477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chin rest
WO1992012901A1 (en) Beverage bottle with grip
JP6291383B2 (en) Mouth cap for beverage can
US5405033A (en) Safety device for corks
US2628736A (en) Drinking mouthpiece for bottles
US20170238740A1 (en) Drink lid tactile spout locator
KR20170049870A (en) Cover of cup with a panel for blocking leaking beverage
JP2005138901A (en) Bottle cap and bottle
US11358757B2 (en) Lid for a cup
JP2001097389A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cap
EP1380515B1 (en) Bottle closure device comprising a double-cap unit
JPH08952U (en) Liquid splashing / drip prevention device for pouring tap with lid
JP2007069979A (en) Container with cap holder
US20130032595A1 (en) Drink containers with unremovable closures
JP3776623B2 (en) Can with temporary sealing stopper
JP4915964B2 (en) Container lid
KR200468884Y1 (en) Bottle equipped with a spill-proof pedes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