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85A -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885A
KR20190014885A KR1020170098968A KR20170098968A KR20190014885A KR 20190014885 A KR20190014885 A KR 20190014885A KR 1020170098968 A KR1020170098968 A KR 1020170098968A KR 20170098968 A KR20170098968 A KR 20170098968A KR 20190014885 A KR20190014885 A KR 2019001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xt message
terminal
feature phone
protec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1086B1 (en
Inventor
박찬범
임정희
정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9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conversion service providing method, which remotely converts a mode of a mobile terminal into a feature phone mode or a smartphone mode, and an apparatus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conversion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service server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mode conversion request from a protector terminal; and generating a text message for controlling mode conversion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a protected person terminal, and converting the mode of the protected person terminal into the mode of the feature phone or the mode of the smartphone.

Description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ode switching service,

본 발명은 원격으로 이동단말의 모드를 피처폰 모드 또는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mode switching service for remotely switching a mode of a mobile terminal into a feature phone mode or a smart phone mode.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스마트폰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증세를 보이는 사용자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충돌 조절이 안 되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을 늘어가고 있으며, 스마트폰에 중독되는 비율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mounting of diverse applications on smartphones, the number of users who are showing symptoms of smartphone addiction is increasing. Especially, the youth who can not control the conflict are increasing the time for using the smartphone and the rate of being addicted to the smartphone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하여, 보호자들은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구입에 주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들은 스마트폰에 키즈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 상기 키즈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유해 매체를 차단시키기도 한다. Due to this smartphone addiction, guardians are reluctant to purchase smartphones for adolescents. As a result, the protector may include a child protection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thereby blocking the harmful media through the child protection application when the youth use the smartphone.

그러나 이러한 키즈 보호 애플리케이션은, 청소년이 직접 스마트폰에서 직접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접속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However, these kids' protection applications not only allow teens to remove themselves directly from their smartphones, but they also allow access to content such as gaming application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호자 단말의 요구에 따라 원격으로 이동단말의 모드를 피처폰 모드 또는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적으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e switching service providing method which selectively permits Internet access by switching a mode of a mobile terminal to a feature phone mode or a smart phone mode remotely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일측면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모드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보호자 단말로부터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피보호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모드를 피처폰 모드 또는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mode switching service in a servic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mode switching request from a guardian terminal and generating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nd switching th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to the feature phone mode or the smartphone m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일측면에 따른 모드 전환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로 분석되면,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 변경부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피처폰 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로 분석되면, 금지 기능들을 확인하여 이 금지 기능들의 실행을 차단하는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mode switching service, the device comprising: a message analyzer for analyzing whether a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nd a function control unit for confirming the prohibited functions and blocking the execution of the prohibited functions when the text message is analyzed as a control text message for switching the feature phone mode, .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의 원격 제어에 의해서 피보호자의 스마트폰이 인터넷 접속의 허용되게 구현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더불어 피보호자에 대한 스마트폰 통제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martphone of the protected person is allowed to access the Internet by the remote control of the guardian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smartphone addic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nd facilitating the control of the smartphone to the protected pers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피보호자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와 피처폰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form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matter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mode of a protected terminal in a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interface and a feature phone interfa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보호자 단말(110), 피보호자 단말(120), 서비스 서버(200) 및 메시지 센터(300)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통신망(400)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여기서 통신망(400)은 이동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을 포함한다.1, a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ardian terminal 110, a protected terminal 120, a service server 200, and a message center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보호자 단말(110)은 비보호자 단말(110)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로서,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피보호자 단말(120)의 모드를 스마트폰 모드에서 피처폰 모드로 변경하거나, 피보호자 단말(120)의 모드를 피처폰 모드에서 스마트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The guardian terminal 110 is a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the non-guardian terminal 110. The guardian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to change th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from the smartphone mode to the feature phone mode, The mode of the mobile phone 120 may be changed from the feature phone mode to the smartphone mode.

여기서 스마트폰 모드는 피보호자 단말(120)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서, 피보호자 단말(120)이 스마트폰 모드로 설정되면, 피보호자 단말(120)은 Wi-Fi,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처폰 모드는 피보호자 단말(120)에서 특정 기능이 제한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이 피처폰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은 Wi-Fi, 블루투스,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일부 통신 기능이 차단되고, 또한 지정된 애플레이션(예컨대,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금지된다. W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is set to the smart phone mode, the protected terminal 120 uses the Internet through Wi-Fi, wireless Internet, or the like. . When the protected terminal mode is set to the feature phone mode, the protected termina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rotected terminal mode is restricted to a specific function in the protected terminal 120 such as Wi-Fi, Bluetooth, Some communication functions are blocked, and execution of a specified application (e.g., a game application) is prohibited.

피처폰 모드에서의 기능 제한 목록은,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전에 정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자는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피처폰 모드인 경우에 제한시킬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보호자는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피처폰 모드에서 제한되는 기능으로서, Wi-Fi, 모바일 데이터(즉, LTE 또는 WCDMA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블루투스, 게임 애플리케이션, SNS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웹툰 애플리케이션 등을 지정할 수도 있다.The function restriction list in the feature phone mode can be defined and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200 in advance. As another embodiment, the guardian may connect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set a function to be restricted in the feature phone mode. For example, the caregiver can access the service server 200 and use the WiFi, mobile data (i.e., wireless Internet using LTE or WCDMA), Bluetooth, gaming application, SNS service application, Applications, and so on.

상기 보호자 단말(110)은 사전에 피보호자 단말(120)에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한다. 즉, 보호자는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1차적으로 자신(즉, 보호자)의 신분을 인증하고, 2차적으로 피보호자를 인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서비스에 등록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110)은, 태블릿 컴퓨터, 이동단말, 데스크톱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The caregiver terminal 110 registers the information in the service server 200 in advance with the protected terminal 120. [ That is, the guardian accesses the service server 200, firstly authenticates the identity of himself / herself (that is, the guardian), and secondarily registers the protected person by registering with the mode chan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terminal 110 may be a tablet computer, a mobile terminal, a desktop computer, or the like.

서비스 서버(200)는 모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로서, 보호자 단말(110)의 식별정보와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가 매핑된 모드 변경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모드 변경 서비스에 등록하고자 하는 보호자 단말(110)과 피보호자 단말(120)을 모두 인증하여, 보호자 단말(110)의 식별정보와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를 모드 변경 서비스 정보로서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10)로부터 보호자의 정보(즉, 생년월일, 성명, 성별 등)를 수집하여 인증하고 더불어 인증번호가 기록된 문자 메시지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보호자를 인증한다. 더불어, 서비스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10)로부터 통제 대상이 되는 피보호자의 정보(즉, 생년월일, 성명, 성별 등)를 수신하여 인증하고, 더불어 인증번호가 기록된 문자 메시지를 피보호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수신되는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피보호자를 인증한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피보호자의 법정 대리인이 보호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도 있다. The service server 200 is a web server that provides a mode change service and stores mode change service information to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re mapped. The service server 200 authenticates both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protected terminal 120 to register in the mode change service and chang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to mode change And stores it as servic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and authenticates the guardian's information (i.e., date of birth, name, sex, etc.) from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performs authentication through the text message in which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recorded, do.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and authenticates the information (ie, date of birth, name, sex, etc.) of the protected subject to be controlled from the parent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text message contain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protected terminal 120 , And authenticates the protected person by check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number accordingly.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may authenticate whether the legal representative of the protected person is a guardian.

서비스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10)과 피보호자 단말(120)이 모드 변경 서비스에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보호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120)로 제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보호자 단말(120)의 모드를 스마트폰 모드 또는 피처폰 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피처폰 모드에서 실행 금지되는 기능을 커스트마이징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보호자 단말(110)로 제공하여, 보호자 단말(110)에서 다수의 기능을 선택하면, 피보호자 단말(120)과 연동하여, 피처폰 모드에서 금지된 기능들을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다.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a control text message to the protected terminal 12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guardian terminal 110 when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protected terminal 120 are normally registered in the mode change service, (120) to a smartphone mode or a feature phone mode.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web page to the caregiver terminal 110 that can customize the functions prohibited to be executed in the feature phone mode. When the caregiver terminal 110 selects a plurality of functions, 120), it is possible to preset the functions forbidden in the feature phone mode.

피보호자 단말(120)은 모드 변경이 가능한 이동단말(예컨대, 스마트폰)으로서,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에 근거하여, 현재 모드를 스마트폰 모드 또는 피처폰 모드로 변경한다. 스마트폰 모드인 피보호자 단말(120)은 특정 기능이 금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반면, 피처폰 모드인 피보호자 단말(120)은 Wi-Fi, 블루투스, 모바일 인터넷,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금지되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고, 단지 통화,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기존의 피처폰과 유사한 기능만을 수행한다.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은 스마트폰 모드 또는 피처폰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120)은 피처폰 모드인 경우에, 사전에 설정된 메뉴(예컨대, 설정 메뉴, 모바일 인터넷 연결 메뉴, 와이파이 연결 메뉴 등)를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고, 더불어 금지 기능 목록에 해당하는 기능을 차단한다.The protected terminal 120 i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anging modes, for example, a smart phone. When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is received, the current mode is switched to a smart phone mode or a feature phone mode Change it. The protected terminal 120 in the smart phone mode can freely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and use the desired web servic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specific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ed terminal 120, which is a feature phone mode, is prohibited from running the Wi-Fi, Bluetooth, mobile internet, and some applications, and can not access the Internet and only functions similar to existing feature phones . The protected terminal 120 provides different interfaces according to the smartphone mode or the feature phone mode. When the protected terminal mode is the feature phone mode, the protected terminal 120 removes a preset menu (e.g., a setup menu, a mobile Internet connection menu, a Wi-Fi connection menu, etc.) from the interface,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피보호자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mode of a protected terminal in a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와 피처폰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interface and a feature phone interfac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모드 변경 관련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이 웹 페이지를 통해서,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와 변경하고자 하는 모드 정보(즉, 피처폰 모드)를 입력한 후, 피처폰 모드 전환을 서비스 서버(200)로 요청한다(S201).2 and 3, the guardian terminal 11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mode change related web page, and identifies the protected terminal 120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I.e., feature phone mode), and then requests the service server 200 to switch the feature phone mode (S201).

그러면, 서비스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10)의 식별정보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보호자 단말을 인증한다(S203). 즉,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가 모드 변경 서비스로서 매핑되어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인증에 성공하면, 피보호자 단말(120)을 피처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센터(300)로 발송한다(S205). Then, the service server 200 authenticates the guardian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S203). 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authenticat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re mapped and recorded as a mode change service. Next, when the service server 200 succeeds in authentication, the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a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for switching the protected terminal 120 to the feature phone mode and sends it to the message center 300 (S205).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피처폰 모드 전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정보로서 보호자 단말(110)의 식별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200 can record the feature phone mode switching information in the specific field of the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thereby generating the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200 can recor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egiver terminal 110 as origin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로서, 서비스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포트를 통해서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200 may generate the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through the application port.

애플리케이션 포트(Application Port)를 통한 메시지의 구성은 TP-PID값이 0x53일 때, IEI값이 0x05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message through the application port can be passed with the IEI value 0x05 when the TP-PID value is 0x53.

아래의 16bit Application Port Addresssing값에 따라서 피쳐폰/스마트폰 모드 전환을 구분하는 메시지이다.This message distinguishes between feature phone / smartphone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following 16 bit Application Port Addressing value.

77 66 55 44 33 22 1One 00 TypeType 비  고Remarks IEI: 16-bit Application Port Address 식별자 (1 octet)IEI: 16-bit Application Port Address identifier (1 octet) MM 0x050x05 IEI-DL (1 octet)IEI-DL (1 octet) MM 0x040x04 Destination Port (2 octet)Destination Port (2 octets) MM 부모번호 등록/변경: C501
피쳐폰 모드 전환: C502
스마트폰 모드 전환: C503
Parent number registration / change: C501
Switch to feature phone mode: C502
Switch smartphone mode: C503
Originator Port (2 octet)Originator Port (2 octets) MM 부모번호 등록/변경: C501
피쳐폰 모드 전환: C502
스마트폰 모드 전환: C503
Parent number registration / change: C501
Switch to feature phone mode: C502
Switch smartphone mode: C503

Originator Port 값은 Destination Port 값과 동일하며, 두 개의 값이 다르더라도 Destination Port 값을 기준으로 동작될 수 있다. The Originator Port value is the same as the Destination Port value. Even if the two values are different, the Originator Port value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Destination Port value.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서비스 서버(200)는 IE(Information Element)를 통해서,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200 may generate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through an IE (Information Element).

아래의 표 2는 문자 메시지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로서, SMS의 UDH(User Data Header)에 설정되는 IE(Information Element)로 해당 IE가 포함된 메시지에 관련된 부가서비스를 표시하는 IE이다. 내부의 서비스 비트맵상에서 관련 서비스에 해당하는 비트가 셋팅(1)된 경우 해당 메시지에 해당 서비스가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클리어(0) 또는 본 IE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해당 메시지에 해당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Table 2 below is a table showing the specifications of a text message, which is an IE (Information Element) set in the UDH (User Data Header) of SMS and indicates an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a messag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E. When the bit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service is set (1) on the internal service bitmap,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message. If it is clear (0) or this IE is not included, it is judged that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not applied to the message.

77 66 55 44 33 22 1One 00 TypeType 비고Remarks IEIIEI MM 0xC00xC0 IEI-DLIEI-DL MM 0x01~ (데이터 길이에 따름)0x01 ~ (depending on data length) extext RsvdRsvd rsvdrsvd rsvdrsvd rsvdrsvd MTMT SFSF TNTN MM 서비스 비트맵Service bitmap ... OO ext가 1이면 반복, 0이면 없음Repeat if ext is 1, None if 0 MT(Mode Transfer): 1이면  MT (Mode Transfer): 1 피쳐폰Feature phone 모드로In mode 전환, 0이면 스마트폰  Conversion, 0 if smartphone 모드로In mode 전환 transform

이렇게 문자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피처폰 모드 정보, 스마트폰 모드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0)는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By storing feature phone mode information and smartphone mode information in a specific field of the text message, the service server 200 can generate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다음으로, 메시지 센터(300)는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피보호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207).Next, the message center 300 transmits the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to the protected terminal 120 (S207).

그러면, 피보호자 단말(120)은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분석하여, 이 문자 메시지가 피처폰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문자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이어서, 피보호자 단말(120)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예컨대, 10초 후)에 스마트폰 모드에서 피처폰 모드로 전환한다(S209). 이때, 피보호자 단말(120)은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도 3의 (a) 참조)에서 피처폰 인터페이스(도 3의 (b) 참조)로 변경한다.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120)은 사전에 설정된 금지 기능들을 인지하고, 이 금지 기능들이 피보호자 단말(120)에서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피보호자 단말(120)은 Wi-Fi, 모바일 인터넷, 블루투스 등을 실행을 차단하거나, 더불어 사전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금지한다. 더불어, 금지된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를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고 금지된 기능들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120)은 피처폰 모드인 경우, 사이드로딩(sideloding) 기능을 차단한다. 즉, 외부 케이블을 통해서, 피보호자 단말(120)로 특정 콘텐츠가 적용되거나 제어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 단말(120)은 피처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사이드로딩 기능을 금지한다.T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analyzes the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and recognizes that the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xt message is to be changed to the feature phone mode. T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outputs the text message and switches to the feature phone mode in the smartphone mode at a predetermined time (e.g., after 10 seconds) (S209). At this time, the protected terminal 120 changes the interface from the smartphone interface (see Fig. 3 (a)) to the feature phone interface (see Fig. 3 (b)). T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recognizes the prohibited functions set in advance, and controls the prohibited functions not to be executed at the protected terminal 120. That is, the protected terminal 120 blocks execution of Wi-Fi, mobile Internet, Bluetooth, or the like, and inhibits the execution of pre-set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menu associated with the forbidden functions is removed from the interface and th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forbidden funct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executed. In addition, the protected terminal 120 blocks the sideloding function in the feature phone mode. That is, since the protected content can be applied or controlled to the protected terminal 120 via the external cable, the protected terminal 120 prohibits the side loading function when switched to the feature phone mode.

이렇게 피처폰 모드로 전환된 피보호자 단말(120)은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 메모, 달력, 계산기, 주소록 등과 같은 일부 기능만을 실행할 수 있고, 인터넷, 근거리 통신, 게임 등과 같은 금지 기능의 실행이 차단된다.The protected terminal 120,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feature phone mode in this manner, can perform only some functions such as phone calls, text messages, memos, calendars, calculators, address book, etc., and the execution of prohibited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

한편, 보호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와 변경하고자 하는 모드 정보(즉, 스마트폰 모드)를 입력한 후, 스마트폰 모드 전환을 서비스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S211).The guardian terminal 11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200 and in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nd mode information to be changed (i.e., smartphone mode) (Step S211).

그러면, 서비스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10)의 식별정보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보호자 단말을 인증한다(S213). 즉,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120)의 식별정보가 모드 변경 서비스로서 매핑되어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인증에 성공하면, 피보호자 단말(120)을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센터(300)로 발송한다(S215). Then, the service server 200 authenticates the guardian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1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S213). 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authenticat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are mapped and recorded as a mode change service. Next,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a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for switching the protected terminal 120 to the smartphone mode and sends it to the message center 300 (S215).

다음으로, 메시지 센터(300)는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피보호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217). 그러면, 피보호자 단말(120)은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분석하여, 이 문자 메시지가 스마트폰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문자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이어서, 피보호자 단말(120)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예컨대, 10초 후)에 피처폰 모드에서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한다(S219). 이때, 피보호자 단말(120)은 인터페이스를 피처폰 인터페이스(도 3의 (b) 참조)에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도 3의 (a) 참조)로 변경하고, 더불어 금지 기능들을 해제하여 모든 기능들이 피보호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도록 허락한다.Next, the message center 300 transmits the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to the protected terminal 120 (S217). T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analyzes the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and recognizes that the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xt message is to be changed to the smartphone mode. T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outputs the text message and switches to the smartphone mode in the feature phone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e.g., after 10 seconds) (S219). At this time, the protected terminal 120 changes the interface from the feature phone interface (see FIG. 3B) to the smartphone interface (see FIG. 3A), and also releases the prohibited functions, (1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보호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로서,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이러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tected terminal 120 may include a memory, a memory controller, one or more processors (CPUs), a peripheral interface, an input / output (I / O) subsystem, a display device, an input device, and a communication circuit as communication devices.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These various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and /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RF 회로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memory may include high speed random access memory and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 some embodiments, the memory may be a storage device, such as an RF circuit, located remotely from one or more processors, an Internet,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LAN) (Not shown), such a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Access to the memory by other components of the device, such as the processor and the peripheral interface, may be controlled by the memory controller.

주변 인터페이스는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시스템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The peripheral interface connects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of the device to the processor and memory.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 / or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system and process the data.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제어기는 칩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eripheral interface, processor, and memory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on a single chip, such as a chip.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se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장치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I / O subsystem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input / output peripherals of the device, such as display devices, input devices, and peripheral interfaces.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Th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echnology or a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technology. The display device may be a capacitive type, a resistance type, or an infrared type. The touch display provides an output interface and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system and the user. The touch display displays a visual output to the user. The visual output may include text, graphics, video, and combinations thereof. Some or all of the visual output may correspond to a user interface object. The touch display forms a touch sensitive surface that accommodates user input.

프로세서는 시스템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A processor is 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associated with a system and to perform instructions, such as using instructions retrieved from a memory to control the reception and manipulation of input and output data between components of the system.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 그래픽 모듈(명령어 세트), 본 발명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설치)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software components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 graphics module (instruction set),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operations for the present invention.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iOS 등과 같은 내장 운영체제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The operating system may be an embedded operating system such as, for example,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or VxWorks, Android, iOS, , Storage control, power management, etc.),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그래픽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The graphics module includes a number of well known software components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graphics on a display device. The term " graphics " includes, without limitation, text, web pages, icons (e.g., user interface targets including soft keys), digital images, video, animations,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보호자 단말(120)은 메시지 분석부(41), 인터페이스 변경부(42), 기능 제어부(43), 저장부(44)를 포함하고, 이들은 앞서 설명한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4, the protected terminal 120 includes a message analyzing unit 41, an interface changing unit 42, a function controlling unit 43, and a storing unit 44. The hardware and / Software, and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stored in memory, and executed by a processor.

저장부(44)는 피처폰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 실행 금지된 기능들을 기록된 금지 리스트를 저장한다. 상기 금지 리스트에는 메뉴와 이 메뉴에 대응되는 프로세스가 기록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4 stores a prohibited list in which functions prohibited to be executed are recorded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feature phone mode. A menu and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menu may be recorded in the prohibition list.

상기 저장부(44)에 기록된 금지 리스트는,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보호자가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서 피보호자 단말(120)의 피처폰 모드에서 실행 금지되는 리스트를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44)의 금지 리스트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The prohibition list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44 may be ch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200. [ That is, the guardian can directly select a list prohibited from being executed in the feature phon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through the service server 200. In this case, the prohibition list of the storage unit 44 is interlocked with the service server 200 .

메시지 분석부(41)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시지 분석부(41)는 문자 메시지의 약속된 필드에 모드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메시지 분석부(41)는 문자 메시지가 일반 문자 메시지 경우, 종래와 동일하게 문자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반면에, 메시지 분석부(41)는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경우, 지시된 모드가 스마트폰 모드 또는 피처폰 모드인지 여부를 식별한 후에, 기능 제어부(43)로 해당 모드에 따른 기능 제어를 요구하고, 인터페이스 변경부(42)로 인터페이스 변경을 요구한다. 이때, 메시지 분석부(41)는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경우라도, 상기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다.When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e message analysis unit 41 determines whether the text message is a mode switching control text message. That is,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analyze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de switching is recorded in the promised field of the text message. If the text message is a normal text message,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outputs a text message to the screen as in the conventional c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identifies whether the indicated mode is a smart phone mode or a feature phone mode, and then transmit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to the function controller 43 And requests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to change the interface. At this time,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outputs the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even if the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인터페이스 변경부(42)는 피보호자 단말(120)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인터페이스 변경부(42)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피처폰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것으로 분석되면, 현재의 인터페이스를 피처폰 인터페이스(도 3의 (b) 참조)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더불어, 인터페이스 변경부(42)는 금지된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변경부(42)는 설정 메뉴, 모바일 인터넷 연결 메뉴, 블루투스 연결 메뉴, 애플리케이션 설치/변경/실행 메뉴, 초기화 메뉴 등을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다.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different interfaces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In other words, when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analyzed as being a controlling text message for switching to the feature phone mode,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changes the current interface to the feature phone interface (see (b) of FIG. 3) Output. In addition, the interface changing section 42 can remove the menu related to the prohibited function from the interface. For example,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may remove a setting menu, a mobile Internet connection menu, a Bluetooth connection menu, an application installation / change / execution menu, an initialization menu, and the like from the interface.

또한, 인터페이스 변경부(42)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스마트폰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것으로 분석되면, 현재의 인터페이스를 스마폰 인터페이스(도 3의 (a) 참조)로 변경하여 출력한다.When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analyzed to be a control text message instructing switching to the smartphone mode,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changes the current interface to the smart phone interface (see Fig. 3 (a)) Output.

기능 제어부(43)는 피보호자 단말(120)이 모드에 따라 특정 기능들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기능 제어부(43)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피처폰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것으로 분석되면, 저장부(44)의 금지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 기능들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피처폰 모드로 전환된 피보호자 단말(120)은 인터넷이 금지되고,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금지되어, 마치 피처폰과 같은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The function control unit 43 blocks specific functions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120. [ Specifically, when it is analyzed that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a control text message for instructing switching to the feature phone mode, the function control unit 43 refers to the prohibition list of the storage unit 44, And blocks execution. Accordingly, the protected terminal 120 that has been switched to the feature phone mode is prohibited from the Internet, prohibits the execution of the designated application, and performs only limited functions such as the feature phone.

또한, 기능 제어부(43)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스마트폰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 것으로 분석되면, 금지된 기능을 해제하여 모든 기능들이 피보호자 단말(120)에서 실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된 피보호자 단말(120)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내부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If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analyzed to be a control text message instructing switching to the smartphone mode, the function control unit 43 releases the prohibited function so that all the functions are executed in the protected terminal 120. Accordingly, the protected terminal 120 that has been switched to the smartphone mode can access the Internet and execute all applications installed therein.

한편, 메시지 분석부(41), 인터페이스 변경부(42), 기능 제어부(43) 및 저장부(44)는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탑재되어, 강제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41), 인터페이스 변경부(42), 기능 제어부(43) 및 저장부(44)는 피보호자 단말(120)이 리부팅되어도 자동으로 실행되어, 바로 직전의 모드(즉, 스마트폰 모드 또는 피처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피보호자 단말(120)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다.Meanwhile,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the function controlling unit 43, and the storing unit 44 are mounted in the security area of the memory,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rcibly removed. In addition, the message analyzing unit 41, the interface changing unit 42, the function controlling unit 43, and the storing unit 44 are automatically executed even when the protected terminal 120 is rebooted, Mode or feature phon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singular < Desc / Clms Page number 5 > embodiments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sequence of sequential orders, or a desired result .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 optical disk, etc.). Such a proces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10 : 보호자 단말 120 : 피보호자 단말
200 : 서비스 서버 300 : 메시지 센터
400 : 통신망 41 : 메시지 분석부
42 : 인터페이스 변경부 43 : 기능 제어부
44 : 저장부
110: Guardian terminal 120: Guardian terminal
200: service server 300: message center
400: communication network 41: message analysis unit
42: Interface changing section 43: Function control section
44:

Claims (2)

서비스 서버에서 모드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보호자 단말로부터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피보호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모드를 피처폰 모드 또는 스마트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mode switching service in a service server,
Receiving a mode change request from a guardian terminal; And
Generating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ext message to the protected terminal and switching the mode of the protected terminal to the feature phone mode or smart phone mode.
모드 전환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로서,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문자 메시지가 모드 전환 제어용 문자 메시지로 분석되면,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 변경부;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피처폰 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용 문자 메시지로 분석되면, 금지 기능들을 확인하여 이 금지 기능들의 실행을 차단하는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mode switching service,
A message analyzer for analyzing whether a text message is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n interface changing unit for changing an interface when the text message is analyzed as a text message for mode switching control; And
And a function controller for confirming prohibited functions and blocking execution of the prohibited functions when the text message is analyzed as a controlling text message indicating switching to the feature phone mode.
KR1020170098968A 2017-08-04 2017-08-04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51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68A KR102151086B1 (en) 2017-08-04 2017-08-04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68A KR102151086B1 (en) 2017-08-04 2017-08-04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85A true KR20190014885A (en) 2019-02-13
KR102151086B1 KR102151086B1 (en) 2020-09-02

Family

ID=6536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68A KR102151086B1 (en) 2017-08-04 2017-08-04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95B1 (en) * 2022-01-10 2024-03-18 서윤석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modes of mobile ph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150A (en) * 2008-05-08 2009-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service interception mode of mobile terminal
KR20110108300A (en) * 2010-03-26 2011-10-05 인텔 코오퍼레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bearer and server independent parental control on smartphone, managed by the smartphone
KR20110129224A (en) * 2010-05-25 2011-12-01 (주)뮤레카 Computer terminal having integrated control module to block harmful object and blocking system thereof
KR20110135454A (en) * 2010-06-11 2011-12-19 김용필 Computer control by sms
KR20150102395A (en) * 2014-02-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 use restrictions Systems
KR101574027B1 (en) * 2014-12-19 2015-12-03 (주) 이비즈네트웍스 System for blocking harmful program of smartphon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150A (en) * 2008-05-08 2009-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service interception mode of mobile terminal
KR20110108300A (en) * 2010-03-26 2011-10-05 인텔 코오퍼레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bearer and server independent parental control on smartphone, managed by the smartphone
KR20110129224A (en) * 2010-05-25 2011-12-01 (주)뮤레카 Computer terminal having integrated control module to block harmful object and blocking system thereof
KR20110135454A (en) * 2010-06-11 2011-12-19 김용필 Computer control by sms
KR20150102395A (en) * 2014-02-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 use restrictions Systems
KR101574027B1 (en) * 2014-12-19 2015-12-03 (주) 이비즈네트웍스 System for blocking harmful program of smart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86B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4840B1 (en) Trusted security zone watermark
WO20161333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dule use of multi-user based device
EP3051786B1 (en) Multi-display based device
KR102276272B1 (en) Apparatas and method for adding a homescreen page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7095048A1 (en)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CN106921799A (en) A kind of mobile terminal safety means of defence and mobile terminal
US20180024846A1 (en) Method for entering operating system desktop and mobile intelligent terminal
CN107645582B (en) Information chang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51196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5981356B (en) Information send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0084035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ggesting a response guide when a rejection occurs
KR102483836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198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mmonly thereof
EP3447673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236380B1 (en) Device for performing security login service and method
EP3145152B1 (en) Short message service reading method and device
JP2016062604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connecting multiple mobile devices
KR201501046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of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ing qr code and system therefor
US10075798B2 (en) Method for providing audio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same
KR20140020569A (en) Apparatas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for access point and around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813191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shortcut to web page in electronic device
KR20190014885A (en) Method for coverting mode service of mobile termimal and apparatus therefor
CN106534482B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pplication programs of mobile terminal
EP366239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05113A1 (en) Serv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by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