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757A - Cleaning device for window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for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757A
KR20190014757A KR1020170098629A KR20170098629A KR20190014757A KR 20190014757 A KR20190014757 A KR 20190014757A KR 1020170098629 A KR1020170098629 A KR 1020170098629A KR 20170098629 A KR20170098629 A KR 20170098629A KR 20190014757 A KR20190014757 A KR 2019001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ndshield
window
fix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6273B1 (en
Inventor
황혜숙
Original Assignee
황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숙 filed Critical 황혜숙
Priority to KR102017009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2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ing device for a glass window is installed in each of the glass window, an insect screen, and a window frame, thereby cleaning a corner of the glass window, which is unreachable by a user′s hand, only by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glass window or the insect screen. To this end, the cleaning device for a glass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first to third wip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lass window, the insect screen, and the window frame,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wipers can clean front and rear surfaces of a pair of glass windows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glass window or the insect screen.

Description

유리창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FOR WINDOW}{CLEAN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되어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cleaning apparatus installed in a window, an insect screening net, and a window frame, and capable of cleaning a corner portion of a window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not reach by onl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window or screen.

유리창은 유리를 낀 창을 뜻하는 말로써, 자동차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좌우면에 설치되거나 빌딩 내지 아파트 등 건물의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기도 한다.Glass windows are glass windows. They are installed o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y are installed in specific places of the building to secure the view of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유리창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된 유리는 규사,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슘이 포함된 물질이 고온에서 용해되어 높은 투명도를 갖는 물체이다. 이렇듯 투명도가 높은 유리는 표면에 이물질이 묻을 경우, 특유의 성질로 인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이 더욱 도드라져 보일뿐더러, 건물의 조망권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The glass fix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frame is a material having high transparency because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a sand, sodium carbonate and calcium carbonate is dissolved at high temperature. Glasses with high transparency, when they a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are likely to cause foreign objects or dirt to appear on the surface due to their unique properties, which can also damage the view of the building.

종래에는 자동차의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차량용 와이퍼가 사용되었다. 차량용 와이퍼는 유리의 표면을 문지르며 왕복 운동함으로써,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반면, 건물에 설치된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리창 스퀴지, 유리창 워셔 및 밀대형 걸레 등의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는 차량의 전원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유리의 표면을 청소하는 데 반해, 건물의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한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은 사용자가 직접 구비하여 청소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vehicle wiper was used to clean a window of an automobile. The vehicle wiper rubs the surface of the glass and reciprocates t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n the windows installed on the building, conventionally, window cleaning products such as a glass window squeegee, a window washer and a mill mop have been us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wiper, the surface of the glass is automatically clean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whereas th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window of the building has to be cleaned by the user.

더욱이 종래의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은 사용자의 팔이 닿지 않는 곳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창틀의 내측, 즉 건물의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은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과 마주보는 표면 안쪽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짜증스러움을 유발하였다. 한편,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건물의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 또한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과 마주보는 표면 안쪽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았으므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안겨주었다.Moreover, conventional window cleaning products have become obsolete where the user's arm is not reachable. For example, among a pair of sliding window glass windows, the inner side of the window frame,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building, caused the user to feel annoyed because the glass window located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facing surface did not touch the user's hand. On the other hand, among the pair of sliding window glass window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 pair of sliding glass window screens and the inner side of the facing surface are not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which is a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263호(공고일자 2012년05월16일)(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45263 (Published on May 16, 2012)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161호(공고일자 2011년06월30일)(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45161 (Published on June 30, 2011)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3316호(공고일자 2011년06월22일)(3)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43316 (Date of Publication June 22, 2011)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449호(공고일자 2010년12월13일)(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0449 (Published on Dec. 13, 2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창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cleaning a corner portion of a window located at a position not reachable by a user by onl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window.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를 포함한다. 제 1 와이퍼는 창틀에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 상기 제 1 와이퍼는 제 1 고정부, 제 1 연결부 및 제 1 세척부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 각각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제 1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1 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per installed on a windshield. The first wiper is provided on each of a pair of windshields located on the window frame and wipe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windshields and the front of the windshield located behind the pair of windshields. The first wiper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first cleaning por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windshields, and a part of the front surface is opened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a part of the front face is open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fixing par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glass windows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window located at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glass window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Wipe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를 포함한다. 제 2 와이퍼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 상기 제 2 와이퍼는 삽입부, 제 2 고정부, 제 2 연결부 및 제 2 세척부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상기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 고정된다. 제 2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제 2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2 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거나 상기 방충망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Further,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wiper installed in an insect screen. The second wiper is installed in a screening net located in front of a pair of the windshields and wipes the front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The second wip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a second fixing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leaning portion. The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a gap formed in the insect screen frame of the insect screening net. The second fixing par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sert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en frame, and has a part of the front part thereof opened, and transmits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a part of the front face is open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The second clean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front sid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is cleaned when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is opened or closed or when the windshield is opened or clos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이 위치한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를 포함한다. 제 3 와이퍼는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다. 상기 제 3 와이퍼는 브라켓부, 제 3 고정부, 제 3 연결부 및 제 3 세척부를 포함한다. 브라켓부는 상기 창틀에 위치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 분사 노즐에 고정된다. 제 3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제 3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3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3 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제 3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다.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wiper installed on a window frame on which a pair of the windshield is located. The third wiper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d wipes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located inside. The third wiper includes a bracket portion, a third fixing portion, a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a third cleaning portion. The bracket portion is fixed to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nozzle which is located in the window frame and ejects the cleaning liquid to the pair of the window panes. The third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racket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d a part of the front part is opened, and transmits the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third fixing part, and a part of the front face is open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from the third fixing part. The third clean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the rear side of the windshield located inside is wiped when the windshield located inside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제 1 고정부는 제 1 인입구 및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제 1 인입구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대가 형성된다.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인입구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The first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inlet and a first elastic member. The first inlet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a first supporting part bent inward of the first fixing part is formed.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ixed inside the first fixing part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first inlet direction.

상기 제 1 연결부는 제 1 탄성흡수편, 제 1 연결선 및 제 1 수용구를 포함한다. 제 1 탄성흡수편은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1 연결선은 상기 제 1 탄성흡수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제 1 수용구는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편이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lastic absorbent, a first connecting line, and a first receiving port. The first elastic absorbent memb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inlet, and receives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extended to the first elastic absorbent member, and both side surfaces ar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receptacle extends from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has a first support piece bent inwardly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상기 제 1 세척부는 제 1 고정편, 제 1 연장선 및 제 1 스퀴지를 포함한다. 제 1 고정편은 상기 제 1 세척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구에 삽입 고정된다. 제 1 연장선은 상기 제 1 고정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편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제 1 스퀴지는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 표면을 닦는다.The first clea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piece, a first extension line, and a first squeegee. The first fixing pie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portion a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first extension line extends from the first fixing piece, and both side surfaces ar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iece. The first squeegee extends to the first extension line and cooperates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pair of glass windows to clean a pair of glass window surfa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과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lass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each of the window pane, the screen guard window and the window frame, so that it is possible to clean the corner of the window pan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by onl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indow pane or the screen guard wind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유리창 중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과 후면,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wip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inner side windows and the rear sid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outer side, when the window located inside the pair of windows is opened and clos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유리창 중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과 후면,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닥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indow panes located on the outer sid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ow panes located on the outer side, hav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제 1 와이퍼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유리창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리창이 개폐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first window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wiper installed on a windshiel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iper installed in an insect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wiper installed on a window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Fig. 2. Fig.
Fig. 6 is a plan view of Fig. 3. Fig.
Fig. 7 is a plan view of Fig. 4. Fig.
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window pane, an insect screening window, and a window frame.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of FIG. 9 is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features, and way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follow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top and bottom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the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and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제 1 와이퍼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유리창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first window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wiper installed on a windshiel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iper installed in an insect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wiper installed on a window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Fig. 2. Fig. Fig. 6 is a plan view of Fig. 3. Fig. Fig. 7 is a plan view of Fig. 4. Fig.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유리창과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7, since the components of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window pane, the screening window and the window frame, Can be cleaned up to the corner where it can not reach. To this end, the windscreen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per 100, a second wiper 200, and a third wiper 300, which are installed on a windshield, an insect shield, and a window frame.

제 1 와이퍼(100)는 창틀에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1 와이퍼(1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이 상호 교차되면, 마주보는 유리창 각각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유리창이 위치하는 지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사용자가 건물의 내부에서 유리창 청소 장치를 바라보는 지점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와이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10), 제 1 연결부(120) 및 제 1 세척부(130)를 포함한다.The first wiper 100 is installed in each of a pair of window windows staggered with each other on the window frame, and can clean the entire rear surface of a pair of windshield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air of windshields and the rear window of the pair of windshields. That is, the first wiper 100 can clean the surface of each of the opposed glass windows, for example, when a pair of sliding glass windows cross each other. Here, the criteria for dividing the position of the pair of windshields in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an be based on a point where the user views the windshield cleaning device from inside the building. The first wiper 10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10, a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a first cleaning part 130, as shown in FIG.

제 1 고정부(110)는 측면이 한 쌍의 유리창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1 고정부(110)는 제 1 와이퍼(100)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1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부(110)는 제 1 인입구(111)와 제 1 탄성부재(112) 및 제 1 완충부재(113)를 포함하고, 제 1 완충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side fixed to a side frame of each of the pair of windshields and a front part opened. Particularly, the first fixing part 110 may transmit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reciproc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The first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length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indow frame of the windshield an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field. The first fixing part 110 includes a first inlet 111 and a first elastic member 112 And a first buffer member 113,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ffer member 113.

제 1 인입구(111)는 제 1 고정부(1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인입구(111)는 제 1 고정부(1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대(1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1 연결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inlet 111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 front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inserted and fixed. The first inlet 1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111a bent inward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제 1 탄성부재(112)는 제 1 고정부(1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1 고정부(1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1 인입구(1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부(1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member 1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preferably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let 111, 120 can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The first elastic member 11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transmit a greater elastic forc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제 1 완충부재(113)는 제 1 지지대(1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1 인입구(1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완충부재(113)의 후면에는 제 1 고정부(110)에 삽입된 제 1 연결부(1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1 완충부재(113)는 제 1 탄성부재(112)에 의해 제 1 고정부(110)의 전면, 즉 제 1 고정부(110)에 삽입된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ushioning member 113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inlet 111 by being wrapped inside the first support base 111a.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serted in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13 to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e first cushioning member 113 having the restoring force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10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12,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110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can smoothly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by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 response to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제 1 연결부(120)는 일측이 제 1 고정부(1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1 인입구(1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연결부(120)는 제 1 고정부(1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1 세척부(13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부(120)는 제 1 탄성흡수편(121)과 제 1 연결선(122) 및 제 1 수용구(123)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having one side fixedly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hat is, the first entrance 111, and a part of the front side thereof being opened to form a flange on one side .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move the first cleaning part 1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to wipe the first cleaning part 130 .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elastic absorbent piece 121, a first connecting line 122, and a first receiving port 123.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인입구(1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제 1 탄성부재(1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전면이 제 1 완충부재(1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1 완충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탄성부재(1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1 탄성부재(1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absorbent piece 121 is formed in a flange shape 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inlet 111. Particularly, the first elastic absorbent piece 121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112 and mak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1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1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13, 1 elastic member 112 and also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from being separa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per 100.

제 1 연결선(122)은 제 1 탄성흡수편(1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지지대(1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1 연결선(122)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1 지지대(1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 탄성흡수편(121)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line 122 is extended to the first elastic absorbent piece 121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table 111a.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122 towar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wiper 1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1a so that the first elastic absorbing piece 121 is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wiper 100 It is possible to form a space that can reciprocate in the plane direction.

제 1 수용구(123)는 제 1 연결선(1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연결부(1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1 세척부(1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수용구(123)는 제 1 연결부(1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편(1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1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port 123 extends from the first connecting line 122 and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washing unit 130 is inserted and fixed.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port 1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3a bent inward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to support the first washing part 130. [

제 1 세척부(130)는 일측이 제 1 연결부(1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1 세척부(130)는 제 1 연결부(1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1 와이퍼(1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1 세척부(130)는 제 1 와이퍼(1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세척부(130)는 제 1 고정편(131)과 제 1 연장선(132) 및 제 1 스퀴지(133)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part 1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at is, the first receiving opening 123. Particularly, the first cleaning part 130 can perform a wiping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first cleaning part 130 can be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Can also be wiped. That is, when the first window 130 is opened and closed by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dows, the first window 130 is positioned at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window positioned at the front, The front of the window can be cleaned. The first cleaning part 130 includes a first fixing piece 131, a first extension line 132, and a first squeegee 133.

제 1 고정편(131)은 제 1 세척부(1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1 고정편(131)은 후면이 제 1 수용구(1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1 지지편(123a)에 걸림으로써,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ece 131 is formed in one flange shape of the first washing part 13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123. That is, the first fixing piece 13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 123 by the rear surface thereof abutting against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 123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being caught by the first supporting piece 123a .

제 1 연장선(132)은 제 1 고정편(1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지지편(1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1 연장선(1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세척부(130)가 제 1 와이퍼(1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line 132 extends to the first fixing piece 131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iece 123a. The first extension line 13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for example, so that the first cleaning unit 130 can be wip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100.

제 1 스퀴지(133)는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유리창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유리창 표면, 즉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1 스퀴지(133)는 제 1 와이퍼(1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queegee 133 extends in the first extension line and is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having both sides curved inwardly. As a pair of the windshield is opened and closed, the first squeegee 133 moves together to form a pair of windshield surfaces, It is possible to clean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windshield. The first squeegee 133 may be provided with a glass wiper blad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to wipe the first wiper 1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 2 와이퍼(200)는 한 쌍의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2 와이퍼(2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과 방충망이 상호 교차되면, 방충망과 마주보는 유리창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와이퍼(200)는 제 2 고정부(210), 제 2 연결부(220), 제 2 세척부(230) 및 삽입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와이퍼(200)의 삽입부(2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 1 와이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형태를 지니므로 제 2 와이퍼(200)의 분해도는 도 4로 대체하며, 제 2 와이퍼(200)의 참조번호 또한 제 1 와이퍼(100)의 참조번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대체한다.The second wiper (200) is installed in an insect screen located in front of a pair of windshields, and can wipe the entire front of a pair of windshields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windshields. That is, the second wiper 200 can clea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opposite to the screen when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of the pair of sliding window windows intersects with the screen windshield. The second wiper 200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210, a second connection part 220, a second cleaning part 230, and an insertion part 240. Here, since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insertion portion 240 of the second wiper 200 have the same shape as the components of the first wiper 100, the exploded view of the second wiper 200 is replaced with that of FIG. 4, The reference numeral of the second wiper 200 is also replaced with tha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ber of the first wiper 100. [

제 2 고정부(210)는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2 고정부(210)는 제 2 와이퍼(200)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2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부(210)는 제 2 인입구(211)와 제 2 탄성부재(212) 및 제 2 완충부재(213)를 포함하고, 제 2 완충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2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en frame of the screening screen and a part of which is opened. Particularly, the second fixing part 210 may transmit the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to make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The second fixing part 21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length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indow frame of the window glass an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ece. The second fixing part 210 is formed by the second inlet 21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And a second buffer member 213,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member 213.

제 2 인입구(211)는 제 2 고정부(2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인입구(211)는 제 2 고정부(2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2 지지대(2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2 연결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inlet 211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 front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is inserted and fixed. The second inlet 2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The second support part 211a is bent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제 2 탄성부재(212)는 제 2 고정부(2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2 고정부(2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2 인입구(2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부(2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preferably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211, 220 can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transmit a greater elastic forc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제 2 완충부재(213)는 제 2 지지대(2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2 인입구(2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완충부재(213)의 후면에는 제 2 고정부(210)에 삽입된 제 2 연결부(2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2 완충부재(213)는 제 2 탄성부재(212)에 의해 제 2 고정부(210)의 전면, 즉 제 2 고정부(210)에 삽입된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member 213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let 211 by being wrapped inside the second support 211a.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inserted in the second fixing part 21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member 213 to suppor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13 having the restoring force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that is, the second fixing part 210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210,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can smoothly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by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in response to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

제 2 연결부(220)는 일측이 제 2 고정부(2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2 인입구(2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20)는 제 2 고정부(2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2 세척부(23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연결부(220)는 제 2 탄성흡수편(221)과 제 2 연결선(222) 및 제 2 수용구(223)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having one side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that is, the second inlet 211, and a part of the front side is opened and a flange is formed on one side .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second fixing part 210 and allow the second cleaning part 230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to be wiped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includes a second elastic absorbent piece 221, a second connection line 222, and a second receiving port 223.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인입구(2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제 2 탄성부재(2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전면이 제 2 완충부재(2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2 완충부재(2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탄성부재(2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2 탄성부재(2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absorbent piece 221 is formed in a flange shape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inlet 211. Particularly, the second elastic absorbent piece 221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and make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13 o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It is possible to return the elastic force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212 as well as to preven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0 from being separa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per 200.

제 2 연결선(222)은 제 2 탄성흡수편(2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대(2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2 연결선(222)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2 지지대(2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2 탄성흡수편(221)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line 222 is extended to the second elastic absorbent piece 221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table 211a.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line 222 fac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wiper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ing table 211a so that the second elastic absorbent piece 221 is positioned before and behind the second wiper 200 It is possible to form a space that can reciprocate in the plane direction.

제 2 수용구(223)는 제 2 연결선(2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연결부(2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2 세척부(2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수용구(223)는 제 2 연결부(2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2 지지편(2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2 세척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receiving port 223 extends from the second connecting line 222 and is position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0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washing part 230 is inserted and fixed. The second receiving port 22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piece 223a bent inward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0 to support the second washing part 230. [

제 2 세척부(230)는 일측이 제 2 연결부(2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2 세척부(230)는 제 2 연결부(2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2 와이퍼(2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2 세척부(230)는 제 2 와이퍼(2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세척부(230)는 제 2 고정편(231)과 제 2 연장선(232) 및 제 2 스퀴지(233)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second cleaning unit 2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that is, the second receiving port 223. Particularly, the second cleaning part 230 can perform a wiping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230 can be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Can also be wiped. That is, when the at least one window of the pair of windows is opened or closed by the wiping operation of the second wiper 2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wiper 200, The front of the window can be cleaned. The second cleaning portion 230 includes a second fixing piece 231, a second extension line 232, and a second squeegee 233.

제 2 고정편(231)은 제 2 세척부(2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2 고정편(231)은 후면이 제 2 수용구(2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2 지지편(223a)에 걸림으로써,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iece 231 is formed in the shape of one flange of the second cleaning portion 23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 223. That is, the second fixing piece 23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 223 by abut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iece 223 with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iece 223, .

제 2 연장선(232)은 제 2 고정편(2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편(2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2 연장선(2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2 세척부(230)가 제 2 와이퍼(2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line 232 is extended to the second fixing piece 231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piece 223a. The second extension line 23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for example, so that the second cleaning portion 230 can be wi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200.

제 2 스퀴지(233)는 상기 제 2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 또는 방충망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2 스퀴지(233)는 제 2 와이퍼(2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queegee 233 extends in the second extension line and is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with both sides curved inwardly to open and close the front window pane or the screen guard window, have. The second squeegee 233 may be provided with a glass wiper blad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to wipe the second wiper 2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삽입부(240)는 방충망의 테두리에 형성된 방충망 프레임의 틈에 삽입 고정되도록 일정 크기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240)는 제 2 고정부(210)의 측면에 위치하여 삽입부(240)가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serting portion 240 is formed in a fram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ap of the insect screen frame formed at the rim of the insect screening net. Also, the insertion portion 240 is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21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4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screen frame.

제 3 와이퍼(300)는 한 쌍의 유리창의 테두리에 위치한 창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3 와이퍼(3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와이퍼(300)는 제 3 고정부(310), 제 3 연결부(320), 제 3 세척부(330) 및 브라켓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와이퍼(300)의 브라켓부(3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 1 와이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형태를 지니므로 제 3 와이퍼(300)의 분해도는 도 4로 대체하며, 제 3 와이퍼(300)의 참조번호 또한 제 1 와이퍼(100)의 참조번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대체한다.The third wiper 300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positioned at a rim of the pair of windshield windows and can wipe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rearward of the pair of windshields. That is, the third wiper 300 can clea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window glass when the rear window glass is opened or closed, for example, of the pair of sliding window glass windows. The third wiper 300 includes a third fixing part 310, a third connection part 320, a third cleaning part 330, and a bracket part 340. Since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bracket part 340 of the third wiper 300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wiper 100, the exploded view of the third wiper 300 is replaced with that of FIG. 4, The reference numeral of the third wiper 300 is also replaced with the reference number of the first wiper 100. [

제 3 고정부(310)는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3 고정부(310)는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고정부(3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고정부(310)는 제 3 인입구(311)와 제 3 탄성부재(312) 및 제 3 완충부재(313)를 포함하고, 제 3 완충부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part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that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d has a part of the front part thereof opened. Particularly, the third fixing part 310 may transmit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so that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ciproc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The third fixing part 31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length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indow frame an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of the windshield 310. The third fixing part 310 includes a third inlet 311 and a third elastic member 312 And a third buffering member 313,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uffering member 313.

제 3 인입구(311)는 제 3 고정부(3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인입구(311)는 제 3 고정부(3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3 지지대(3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3 연결부(320)를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inlet 311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 front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so that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is inserted and fixed. The third inlet 3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part 311a bent inward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to support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

제 3 탄성부재(312)는 제 3 고정부(3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3 고정부(3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3 인입구(3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3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3 연결부(3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elastic member 3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preferably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inlet 311, 320 can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The third elastic member 31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third elastic members 312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greater elastic force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제 3 완충부재(313)는 제 2 지지대(2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3 인입구(3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완충부재(313)의 후면에는 제 3 고정부(310)에 삽입된 제 3 연결부(3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3 완충부재(313)는 제 3 탄성부재(312)에 의해 제 3 고정부(310)의 전면, 즉 제 3 고정부(310)에 삽입된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cushioning member 313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inlet 311 by being wrapped inside the second support base 211a.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inserted in the third fixing part 31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uffering member 313 to support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The third cushioning member 313 having the restoring force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by the third elastic member 312, that is,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inserted into the third fixing part 310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can smoothly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by supporting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

제 3 연결부(320)는 일측이 제 3 고정부(3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3 인입구(3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3 연결부(320)는 제 3 고정부(3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3 세척부(33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연결부(320)는 제 3 탄성흡수편(321)과 제 3 연결선(322) 및 제 3 수용구(323)를 포함한다.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having one side fixedly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third fixing part 310, that is, the third inlet 311, and a part of the front side thereof being opened, .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third fixing part 310 and allow the third cleaning part 330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to be wiped .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320 includes a third elastic absorbent piece 321, a third connecting line 322, and a third receiving port 323.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3 인입구(3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제 3 탄성부재(3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전면이 제 3 완충부재(3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3 완충부재(3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3 탄성부재(3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3 탄성부재(3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elastic absorbent piece 321 is formed in a flange shape on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third inlet 311. Particularly, the third elastic absorbent piece 321 can receive the elastic force from the third elastic member 312 and make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cushioning member 313 ca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elastic absorbing member 321 to be transmitted to the third elastic member 31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cushioning member 313, It is possible to return the elastic force to the third elastic member 312 as well as to prevent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from being separa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wiper 300.

제 3 연결선(322)은 제 3 탄성흡수편(3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대(2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3 연결선(322)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2 지지대(2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3 탄성흡수편(321)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line 322 is extended to the third elastic absorbent piece 321 and both side surfaces ar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table 211a. The length of the third connecting line 322 towar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hird wiper 3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11a so that the third elastic absorbing member 321 is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third wiper 300 It is possible to form a space that can reciprocate in the plane direction.

제 3 수용구(323)는 제 3 연결선(3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3 연결부(3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3 세척부(3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수용구(323)는 제 3 연결부(3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3 지지편(3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3 세척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receiving port 323 extends from the third connecting line 322 and is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so that one side of the third washing unit 330 is inserted and fixed. The third receiving port 3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ing part 323a bent inward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320 to support the third cleaning part 330. [

제 3 세척부(330)는 일측이 제 3 연결부(3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3 세척부(330)는 제 3 연결부(3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3 와이퍼(3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3 세척부(330)는 제 3 와이퍼(3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3 세척부(330)는 제 3 고정편(331)과 제 3 연장선(332) 및 제 3 스퀴지(333)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third cleaning portion 3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20, that is, the third reception opening 323. Particularly, the third cleaning part 330 can perform the wiping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320, Can also be wiped. That is, when the at least one window of the pair of windows is opened and closed by the wiping operation of the third wiper 3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wiper 300, The front of the window can be cleaned. The third cleaning portion 330 includes a third fixing piece 331, a third extension line 332, and a third squeegee 333.

제 3 고정편(331)은 제 3 세척부(3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3 고정편(331)은 후면이 제 3 수용구(3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3 지지편(323a)에 걸림으로써,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third fixing piece 331 is formed in one flange shape of the third cleaning part 33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third receiving hole 323. That is, the third fixing piece 33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hird receiving port 323 by abutting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receiving piece 323 with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third receiving port 323, .

제 3 연장선(332)은 제 3 고정편(3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3 지지편(3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3 연장선(3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3 세척부(330)가 제 3 와이퍼(3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line 332 extends to the third fixing piece 331 and both side surfaces are supported by the third supporting piece 323a. The third extension line 33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to allow the third cleaning unit 330 to wip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300.

제 3 스퀴지(333)는 상기 제 3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 또는 방충망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3 스퀴지(333)는 제 3 와이퍼(3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squeegee 333 extends in the third extension line and is formed into a triangular prism shape with both sides curved inwardly so that the windshield or insect screening network located at the front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can be wiped have. The third squeegee 333 may be provided with a glass wiper blade made of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to wipe the third wiper 3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브라켓부(340)는 창틀에 고정되도록 수회 절곡된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부(340)는 일측에 맞닿은 제 3 고정부(310)가 창틀에 설치되도록 창틀과 제 3 고정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340)는 제 1 부속편(341), 제 2 부속편(342) 및 제 3 부속편(343)을 포함한다.The bracket portion 34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bent several times to be fixed to the window frame. 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340 may connect the window frame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310 so that the third fixing portion 310,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The bracket portion 340 includes a first attachment piece 341, a second attachment piece 342, and a third attachment piece 343.

제 1 부속편(341)은 브라켓부(34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 3 고정부(310)의 측면에 부착 또는 나사 결합된다. 제 1 부속편(341)은 브라켓부(340)와 제 3 고정부(3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속편(341)은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되는 창틀과 제 3 와이퍼(300)가 와이핑 작용하는 유리창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 3 고정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ttachment piece 341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portion 340 and is attached or screw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fixing portion 310. The first attachment piece 341 may be connected to the bracket part 340 and the third fixing part 310. At this time, the first attachment piece 341 protrudes outside the third fixing part 310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frame on which the third wiper 300 is installed and the window on which the third wiper 300 wipes desirable.

제 2 부속편(342)은 제 1 부속편(341)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 2 부속편(342)은 제 3 부속편(343)이 창틀에 맞닿도록 하기 위해 제 1 부속편(341)과 수직 방향에 위치한다.The second attachment piece 342 is bent and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341. The second attachment piece 342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341 so that the third attachment piece 343 abuts the window frame.

제 3 부속편(343)은 브라켓부(340)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 2 부속편(342)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 3 부속편(343)은 창틀에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체결되어 제 3 와이퍼(300)가 창틀에 설치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third attachment piece 343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portion 340 and is bent and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econd attachment piece 342. The third attachment piece 343 may be attached or fixed to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third wiper 300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7과 더불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8 to 10, an embodiment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리창이 개폐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window pane, an insect screening window, and a window frame.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of FIG. 9 is opened and closed.

도 8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유리창(1), 방충망(2) 및 창틀(3) 각각에 설치되어 창틀(3)의 전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 또는 유리창(1)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2)의 개폐동작에 따라 한 쌍의 유리창(1) 전후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다.8 to 10, the windscreen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iper 100, the second wiper 200, and the third wiper 300 are connected to the windshield 1, the screen net 2,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ir of windshields 1 can be clean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insect control net 2 disposed in front of the windshield 1 or the windshield 1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window frame 3, have.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해 설명하면, 제 1 와이퍼(100)는 한 쌍의 유리창(1)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제 1 고정부(110)의 측면이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고정되어 유리창(1)의 상하 방향으로 유리창(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와이퍼(100)는 한 쌍의 유리창(1)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한 유리창(1)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와이퍼(200)는 방충망(2)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고정됨으로써 방충망(2)의 상하 방향으로 방충망(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와이퍼(200)는 방충망(2)의 방충망 프레임 좌우측 어디에든 틈이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와이퍼(300)는 창틀(3)에 고정된 브라켓부(340)에 의해 창틀(3)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340)는 한 쌍의 유리창(1)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제 1 와이퍼(100)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한 창틀(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세척액 분사 모듈(400)과 세척액 분사 노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액 분사 모듈(400)은 예컨대 세제나 물 등의 세척액이 담긴 세척액 저장부와 세척액 저장부를 펌핑하여 세척액을 전달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액 분사 모듈(400)은 유리창이 위치한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액을 전달하기 위한 펌핑 작동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세척액 분사 노즐(500)은 세척액 분사 모듈(400)에 연결되어 창틀(3)의 상부에 위치한다. 세척액 분사 노즐(500)은 세척액 분사 모듈(400)로부터 펌핑된 세척액을 전달받아 하부에 위치한 유리창(1)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세척액 분사 모듈(400)에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척액을 유리창(1)에 분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osition of the first wiper 100, the second wiper 200 and the third wiper 30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wiper 100 is provided on the side frame of each of the pair of windshields 1,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10 may be fixed or screwed to the glass window 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lass window 1. [ At this time, the first wiper 1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ide frame of the windshield 1 position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losed state of the pair of windshields 1. The second wiper 200 can be installed in the screen guard 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creen guard 2 by inserting the second wiper 200 into the gap formed in the screen guard frame of the screen guard 2, At this time, the second wiper (200)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creen frame of the screening net (2). The third wip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window frame 3 by a bracket 340 fixed to the window frame 3.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part 340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3 clos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wiper 100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closed state of the pair of windshield windows 1. 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may include a clean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and a cleaning liquid injection nozzle 500 to efficiently clean foreign objects or stains on the window glass. The wash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washing liquid storing portion containing a washing liquid such as detergent or water, and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liquid storing portion to deliver the washing liquid. The wash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may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where the windshield is located and may be pumped to receive a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eliver the washing liquid. In addition,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nozzle 500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and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frame 3. The washing liquid injection nozzle 500 can receive the pumped washing liquid from the wash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and can inject the washing liquid into the glass window 1 located at the bottom. At this time, the washing liquid injection module 400 further includes a button portion, so that the washing liquid can be sprayed onto the window 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1)과 방충망(2) 및 창틀(3) 각각에 제 1 와이퍼(100),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됨으로써,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과 후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과 후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닥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방충망(2)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per 100, the second wiper 200, and the third wiper 300 are installed in the windshield 1, the screen net 2, and the window frame 3,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windshield 1 located at the rea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1 located at the front can be wip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window 1 is opened and closed, the front three windows of the front window 1 and the rear window of the windshield 1 located at the front, have. 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1 located at the front when the insect control net 2 is opened or clos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와이퍼(100),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의 와이핑 작용을 위해 미닫이 유리창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sliding window for the wiping action of the first wiper 100, the second wiper 200, and the third wiper 3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제 1 와이퍼
110 : 제 1 고정부
111 : 제 1 인입구
111a : 제 1 지지대
112 : 제 1 탄성부재
113 : 제 1 완충부재
120 : 제 1 연결부
121 : 제 1 탄성흡수편
122 : 제 1 연결선
123 : 제 1 수용구
123a : 제 1 지지편
130 : 제 1 세척부
131 : 제 1 고정편
132 : 제 1 연장선
133 : 제 1 스퀴지
200 : 제 2 와이퍼
210 : 제 2 고정부
211 : 제 2 인입구
211a : 제 2 지지대
212 : 제 2 탄성부재
213 : 제 2 완충부재
220 : 제 2 연결부
221 : 제 2 탄성흡수편
222 : 제 2 연결선
223 : 제 2 수용구
223a : 제 2 지지편
230 : 제 2 세척부
231 : 제 2 고정편
232 : 제 2 연장선
233 : 제 2 스퀴지
240 : 삽입부
300 : 제 3 와이퍼
310 : 제 3 고정부
311 : 제 3 인입구
311a : 제 3 지지대
312 : 제 3 탄성부재
313 : 제 3 완충부재
320 : 제 3 연결부
321 : 제 3 탄성흡수편
322 : 제 3 연결선
323 : 제 3 수용구
323a : 제 3 지지편
330 : 제 3 세척부
331 : 제 3 고정편
332 : 제 3 연장선
333 : 제 3 스퀴지
340 : 브라켓부
341 : 제 1 부속편
342 : 제 2 부속편
343 : 제 3 부속편
400 : 세척액 분사 모듈
500 : 세척액 분사 노즐
1 : 유리창
2 : 방충망
3 : 창틀
100: First wiper
110: first fixing unit
111: 1st inlet
111a: first support
112: first elastic member
113: first buffer member
120: first connection part
121: first elastic absorbing piece
122: first connection line
123: First Receiver
123a: first supporting piece
130: first cleaning unit
131: first fixing piece
132: first extension line
133: First squeegee
200: Second wiper
210:
211: 2nd inlet
211a: second support
212: second elastic member
213: second buffer member
220: second connection portion
221: second elastic absorbing piece
222: second connecting line
223: the second receiving tool
223a: second supporting piece
230: second cleaning unit
231: second fixing piece
232: 2nd extension line
233: a second squeegee
240:
300: Third wiper
310: third fixing unit
311: Third Inlet
311a: third support
312: third elastic member
313: third buffer member
320: third connection portion
321: third elastic absorbing piece
322: Third connection line
323: Third Receiver
323a: third supporting piece
330: Third washing section
331: third fixing piece
332: Third extension line
333: third squeegee
340: Bracket part
341: Part 1
342: Part 2
343: Part 3
400: cleaning liquid injection module
500: cleaning liquid injection nozzle
1: Windshield
2: Screening
3: window frame

Claims (6)

창틀에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퍼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 각각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1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And a first wiper installed on each of a pair of windshields located on the window frame and wi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rearward of the pair of windshield windows and a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positioned forward of the pair of windshields,
The first wiper
A first fixing part which is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windshields and which is formed in a partially open front part and transmits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wiper;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on an open front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which is formed in a partially open front part and receives an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fixing part; And
A first washing step of wiping a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a rear side and a rear sid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whe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dshield windows is opened and closed, Boo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2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와이퍼는,
상기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2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2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거나 상기 방충망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2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wiper installed in an insect screen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windshields and wi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The second wiper
An inserting portion inserted and fixed in a gap formed in an insect screen frame of the insect screening network;
A second fixing part which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serting part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ct screen frame and is partly opened, and which transmits an elastic force in a front direction of the second wiper;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on the open front 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a part of the front side is opened and the elastic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And
And a second cleaning part for wi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when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front is opened or closed or the windshield is opened and closed,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 제 3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와이퍼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3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3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3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3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 제 3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wiper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d wip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window,
The third wiper
A bracket fixed to the window frame;
A third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racket part and provided in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 part of the front part opened and transmitting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ird wiper;
A third connection part formed in a shape th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face of the third fixing part and a part of the front side is opened and the elastic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fixing part; And
And a third cleaning part for wiping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located behind when the windshield located at the rear is opened and closed;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대가 형성된 제 1 인입구;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인입구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inlet located at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having a first support part bent inward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A first elastic member fixed inside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the first inlet direction;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1 탄성흡수편;
상기 제 1 탄성흡수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제 1 연결선; 및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편이 형성된 제 1 수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rst elastic absorbent piec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inlet port and receiving an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part;
A first connecting line extended from the first elastic absorbent member and having opposite side surface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And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be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supporting piece being bent inwardl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척부는,
상기 제 1 세척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구에 삽입 고정되는 제 1 고정편;
상기 제 1 고정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편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제 1 연장선; 및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 표면을 닦는 제 1 스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lean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ec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portion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first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fixing piece and having opposite side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iece; And
A first squeegee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line and cooperat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pair of the windshields to wipe a pair of the windshield surfaces;
Wherein th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es:
KR1020170098629A 2017-08-03 2017-08-03 Cleaning device for window KR102116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en) 2017-08-03 2017-08-03 Cleaning device fo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en) 2017-08-03 2017-08-03 Cleaning device for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57A true KR20190014757A (en) 2019-02-13
KR102116273B1 KR102116273B1 (en) 2020-05-28

Family

ID=6536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en) 2017-08-03 2017-08-03 Cleaning device for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2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62A (en) 2019-10-22 2021-04-30 김경인 Cleaning Equipment for Window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53Y1 (en) * 2007-10-12 2009-11-10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KR20100001427U (en) * 2008-07-30 2010-02-09 이재익 Window cleaning apparatus
KR101000449B1 (en) 2008-07-30 2010-12-13 조규호 cleaning outfit for window
KR101043316B1 (en) 2008-04-29 2011-06-22 문재성 Separation cleaner of formation window good outside
KR101045161B1 (en) 2009-07-13 2011-06-30 박영수 Outside Window Cleanner of Sliding Door
KR101145263B1 (en) 2008-12-05 2012-05-16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53Y1 (en) * 2007-10-12 2009-11-10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KR101043316B1 (en) 2008-04-29 2011-06-22 문재성 Separation cleaner of formation window good outside
KR20100001427U (en) * 2008-07-30 2010-02-09 이재익 Window cleaning apparatus
KR101000449B1 (en) 2008-07-30 2010-12-13 조규호 cleaning outfit for window
KR101145263B1 (en) 2008-12-05 2012-05-16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KR101045161B1 (en) 2009-07-13 2011-06-30 박영수 Outside Window Cleanner of Sliding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62A (en) 2019-10-22 2021-04-30 김경인 Cleaning Equipment for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273B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7942A (en) A structure for cleaning a window glass
KR20190014757A (en) Cleaning device for window
KR20200039917A (en) Window cleaning apparatus
KR100531254B1 (en) Structure of window for cleaning
CN211053225U (en) Sliding door clean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2001182454A (en) Window frame with window wiping function and window wiping tool
US7322069B1 (en) Automobile side window wiper
US6622337B2 (en) Wiper blade for a car
KR101616888B1 (en) Cleaning tools for Spray cleaner
US5499424A (en) Cleaning device for hard and flat surfaces
KR101981046B1 (en) Wiper For Vehicle Can Shake Off Bugs
KR200446553Y1 (en)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KR200474749Y1 (en) Cleaning device for window
CN217744232U (en) Cleaning robot
KR101145263B1 (en) Washing window wiper support department
CN213963259U (en) Cleaning device
CN216628395U (en) Sweeper and cleaning system
KR200312920Y1 (en) Window assembly
CN208403581U (en) A kind of glass pane cleaning sponge brush
KR102492078B1 (en) Window door system with external glass window washer
CN218500611U (en) Angle self-adaptive window wiper
CN2482378Y (en)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KR102599327B1 (en) Smart vibration cleaner
KR200381507Y1 (en) Glass window takk this system
CN219557176U (en) Automatic cleaning mechanism of base station and sweeping robot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