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461A -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461A
KR20190014461A KR1020180057351A KR20180057351A KR20190014461A KR 20190014461 A KR20190014461 A KR 20190014461A KR 1020180057351 A KR1020180057351 A KR 1020180057351A KR 20180057351 A KR20180057351 A KR 20180057351A KR 20190014461 A KR20190014461 A KR 2019001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accessory
ornamen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정택
Original Assignee
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택 filed Critical 유정택
Priority to KR102018005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461A/en
Publication of KR2019001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n accessory which allows a firm connection to be maintained and an accessory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for an accessory which allows simple linear connection of different parts of the accessory and to an accessory comprising the same. The connector for the accessory comprises: a connection body (11) generally cylindrical; a boundary portion (14) form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Description

장신구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장신구{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n ornament having an accessor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장신구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장신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장신구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간단하게 선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장신구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al connector and an ornamen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namental connector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an ornament in a simple linear manner and an ornament having the same.

팔찌, 귀걸이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신구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만들어지는 장신구는 선형으로 만들어져 양쪽 끝이 용접 또는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접합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접 또는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접합이 되면 공정이 복잡해지고 접합 후 외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Ornaments made of circular or elliptical shapes, such as bracelets, earrings or similar ornaments, must be made linear and joined at both ends by means such as welding or soldering. However, if the joining is performed by means such as welding or soldering,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appearance damage may occur after the joining.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9-0010641은 걸림 수단이 형성된 장식용 체인의 단위 고리에 대하여 개시하고,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9948은 실리콘 튜브에 의하여 끼움 결합이 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건강 팔찌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걸림 수단 또는 끼움 결함은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어렵다. 그러므로 견고한 접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 접합에 따른 외관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신구의 연결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10641 discloses a unit ring of a decorative chain formed with an engagement means,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9948 discloses an anion and far-infrared radiation health bracelet that is fitted with a silicone tube . However, such an engaging means or fitting defect is difficult to maintain a firmly engaged state.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the means of connection of the ornaments be made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a firm bonding state and to prevent the appearance damage due to the bonding.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 1: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9-0010641(전영국, 2009년10월20일 공개) 장식용 체인의 단위 고리Prior art 1: utility model publication number 20-2009-0010641 (former UK, published October 20, 2009) unit chain of ornamental chain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9948(정주영, 2005년10월31일 공고)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건강 팔찌Prior art 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399948 (Chung Ju-young, announcement on October 31, 2005) Anion and far-infrared radiation health bracelet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의 손상이 없으면서 견고한 접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namental connector and an ornament having the same, which enables a firm bonding state to be maintained without damag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의 하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신구 커넥터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연결 몸체; 연결 몸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경계 부위; 및 연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dvantageou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cessory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ing body which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A boundary portion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신구 커넥터는 경계 부위에 형성된 연결 탭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al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tab formed in the border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끝 부분이 접합되는 장신구는 튜브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몸체; 및 연장 몸체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는 접합 부위; 및 경계 부위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몸체가 접합 부위에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 몸체가 접합 부위의 내부 면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s to which the different ends are joined include: an elongated body extending in a tube shape; And a join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ongated body; And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ing body extending both sides from the boundar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joi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body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portion by an adhesive.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는 팔찌, 발찌, 목걸이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신구의 접합에 적용되어 접합에 따른 외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견고한 접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는 서로 다른 장신구의 연결 또는 보조 장신구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ornament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a bracelet, a bracelet, a necklace, or similar ornam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bonding stat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exterior due to the connection. Further, the orname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nection of different ornaments or connection of auxiliary orna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에 의하여 접합이 된 팔찌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에 보조 장신구가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n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bracelet bonded by an ornament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uxiliary ornaments are connected to an ornament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n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장신구 커넥터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연결 몸체(11); 연결 몸체(1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경계 부위(14); 및 연결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1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rnament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ng body 11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 boundary portion (14) form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장신구는 팔찌, 귀걸이, 목걸이, 반지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인체에 착용되는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다. 장신구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튜브 형상이 되거나, 적어도 연결 부분이 선형의 속이 빈 튜브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신구 커넥터는 연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rnaments can be of various types worn on a human body having a bracelet, earring, necklace, ring or similar shape. The accessory may be a linearly extending tubular shape, or at least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a linear, hollow tubular shape. And the ornament connector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커넥터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연결 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몸체(11)는 경금속, 합금, 합성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 몸체(11)는 중간 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양쪽 끝 부분이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예를 들어 달걀과 유사한 형상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형상은 양쪽 끝 부분이 쉽게 장신구의 연결 부분에 삽입이 되도록 한다. 연결 몸체(1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피복이 될 수 있다. The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11 which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The connecting body 11 can be made of light metals, alloys, synthetic resins or similar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dvantageous for the connecting body 11 to have an intermediate shape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with both ends having a small diameter, for example an egg-like shape. This shape allows both end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joints of the ornaments. The connecting body 11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cover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stretchability, if necessary.

연결 몸체(11)의 중간 부분에 경계 부위(14)가 형성될 수 있고, 경계 부위(14)는 연결 몸체(11)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둘레 면을 따라 고리 형상 또는 원 형상의 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계 부위(14)는 장신구의 연결 부분의 경계가 되고, 예를 들어 접합 또는 연결이 되는 장신구의 서로 다른 끝 부분이 만나는 지점이 된다. 경계 부위(14)는 다양한 폭 또는 깊이를 가지면서 연결 몸체(11)를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경계 부위(14)를 중심으로 연결 몸체(11)는 양쪽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로 커지면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 이후 다시 지름이 작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몸체(11)의 연장 구조에 의하여 커넥터는 장신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 boundary portion 14 may b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and the boundary portion 14 may have an annular or circular groove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undary portion 14 is the boundary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ornaments, for example, the point where the different ends of the ornaments to be joined or connected meet. The boundary region 14 can be formed into a shape that bisects the connecting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various widths or depths. The connecting body 11 may be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both directions and extends again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n decreases in diameter again. By the extension structure of the connection body 11, the connector can be stably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ornaments.

연결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삽입 홈(12)은 연결 몸체(11)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장신구의 접합 과정에서 삽입 홈(12)에 접착제가 부여될 수 있고, 삽입 홈(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홈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경계 부위(14)와 끝 부분이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접합 과정에서 접착제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삽입 홈(12)은 다양한 깊이 또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 홈(12)에 의하여 연결 몸체(11)의 둘레 면에 다수 개의 띠(strip)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2)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낮은 경도를 가지는 연결 몸체(11)의 외부 면에서 삽입 홈(12)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삽입 홈(12)은 연결 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코팅을 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삽입 홈(12)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2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Fo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12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insertion groove 12 in the joining process of the ornaments and the insertion groove 12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undary portion 14 and the end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prevented. The insertion grooves 12 may be formed in various depths or widths and a plurality of strip structures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 by the insertion grooves 12. [ The insertion groove 1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n such a manner as to apply press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groove 12 is to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11 having low hardness Can be made. Alternatively, the insertion groove 12 may be made in such a manner that it is coat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 The insertion groove 12 can be made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연결 몸체(11)에 여유 홀(15)이 형성될 수 있고, 여유 홀(15)은 예를 들어 연결 몸체(1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깊이는 연결 몸체(11)의 전체 길이의 1/20 내지 1/3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유 홀(15)은 연결 몸체(11)의 변형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열 변형 또는 접합 과정에서 변형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유 홀(15)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 몸체(11)의 양쪽 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lead-out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11 and the lead-out hole 15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ody 11, for exampl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depth may be 1/20 to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on body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learance hole 15 may have a function of absorbing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and may have a function of buffering the deformation in the process of thermal deformation or bonding, for example. The clearance holes 1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ody 11.

도 1의 (나)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장신구의 양쪽 끝 부분(21a, 21b)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고, 양쪽 끝 부분(21a, 21b)은 속이 빈 튜브 형상이 될 수 있다. 연결 몸체(11)는 경계 부위(14)를 중심으로 각각의 끝 부분(21a, 21b)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경계 부위(14)에서 양쪽 끝 부분(21a, 21b)이 서로 접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삽입 홈(12) 또는 연결 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접착제가 미리 부여될 수 있다. 연결 몸체(11)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양쪽 끝 부분(21a, 21b)에 삽입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에 의하여 장신구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 부분은 실질적으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용접 또는 납땜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한 연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외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B), the connector 10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both ends 21a and 21b of the ornaments, and both ends 21a and 21b can be hollow tube-shaped. The connecting body 11 can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21a and 21b around the boundary portion 14 so that the opposite end portions 21a and 21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boundary portion 14. [ An adhesive may be applied in advance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 or the connecting body 11 as required. The connecting body 11 can be inserted into both end portions 21a and 21b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can be firmly fixed at a position determined by the adhesive. By connecting the ornaments by the connector 10 in this way,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ppearance damage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process by other means such as welding or soldering can be prevented.

커넥터(10)는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0 can be applied to connection of various kinds of orna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10)에 의하여 접합이 된 팔찌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bracelet joined by the ornament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원형의 팔찌의 연결 또는 접합에 적용될 수 있다. 팔찌는 연장 몸체(21) 및 양쪽 끝 부분(21a, 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쪽 끝 부분(21a, 21b)은 속이 빈 튜브 형상이 될 수 있다. 커넥터(10)에 의한 연결을 위하여 양쪽 끝 부분(21a, 21b)이 강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후 커넥터(10)가 양쪽 끝 부분에 삽입되어 원형의 팔찌가 만들어질 수 있다. 양쪽 끝 부분(21a, 21b)이 속이 빈 튜브 형상이 되지 않는다면 필요에 따라 양쪽 끝 부분(21a, 21b)에 커넥터(1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부분이 만들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or 10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or splicing of a circular bracelet. The bracelet may be composed of the elongated body 21 and the both ends 21a and 21b, and both ends 21a and 21b may be hollow tube-shaped. Both ends 21a and 21b can be forcibly separated for connection by the connector 10 and then the connector 10 can be inserted at both ends to form a circular bracelet. If the both ends 21a and 21b do not have a hollow tube shape,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connector 10 can be inserted into the both ends 21a and 21b can be made, if necessary.

커넥터(10)는 팔찌, 귀걸이, 목걸이, 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장신구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10)는 원형 구조, 타원형 구조 또는 직선형 구조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고, 커넥터(10)가 반드시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10)는 원형 또는 꺾인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 몸체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or 10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bracelets, earrings, necklaces, rings or similar kinds of orna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the connector 10 can be applied to connection of a circular structure, an elliptical structure, or a linear structure, and the connector 10 does not necessaril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10 necessarily extends linearly. For example, the connector 10 may have a connecting body extending in a circular or angled sha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장신구를 위한 커넥터(10)는 경계 부위(14)에 형성된 연결 탭(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or 10 for ornaments may include a connection tab 30 formed in the border portion 14. As shown in FIG.

다수 개의 장신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귀걸이의 경우 직접 귓불에 착용될 수 있지만 귓불에 결합되는 독립적인 보조 장신구에 의하여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연결 탭(30)은 이와 같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장신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ornament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arring, it can be worn directly on the earlobe, but can be worn on the ear by an independent auxiliary ornament attached to the earlobe. The connection tab 30 may have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ornaments to each other.

연결 탭(30)은 고정 몸체(31); 및 고정 몸체(31)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연결 날개(32, 3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날개(32, 33)에 연결 홀(321, 33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몸체(31)는 연결 몸체(11)에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계 부위(14)에 고정되는 환형 고리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날개(32, 33)는 고정 몸체(31)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결 몸체(1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결 날개(32, 33)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고, 각각의 연결 날개(32, 33)에 다른 장신구 또는 보조 장신구의 연결을 위한 연결 홀(321, 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연결 날개(32, 33)가 형성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연결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연결 날개(32, 33)에 형성된 연결 홀(321, 331)은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각각의 연결 날개(32, 33)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 몸체(32)에 고정 홈 또는 고정 고리가 형성되고, 연결 날개(32, 33)에 결합 돌기 또는 고정 훅이 형성되어 연결 날개(32, 33)가 고정 몸체(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날개(32, 33)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nection tab 30 includes a fixed body 31; And connecting vanes 32 and 33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xed body 31. Connection holes 321 and 33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vanes 32 and 33. [ The fixing body 31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11 and may be, for example, an annular ring shape fixed to the boundary portion 14. [ The connecting wings 32 and 33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11 to one or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31. The connecting vanes 32 and 33 may have a circular or similar shape as a whole and the connecting vanes 32 and 33 may be formed with connecting holes 321 and 331 for connecting other ornaments or auxiliary ornaments . As shown in FIG. 3, when two connecting blades 32 and 33 are formed, they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may have different connecting directions. For example, the connection holes 321 and 331 formed in the two connection vanes 32 and 33 may be form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ternatively, each of the connecting vanes 32 and 33 may be formed rotatably. For example, a fixing groove or a fixing ring may be formed in the fixed body 32, and a coupling protrusion or a fixing Hooks are formed and the connecting vanes 32 and 33 can be coupled to the fixed body 31 so as to be rotatable. The connecting vanes 32, 33 can be made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에 보조 장신구가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uxiliary ornaments are connected to an ornament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귀걸이의 연장 몸체(21)의 양쪽 끝 부분(21a, 21b)이 연결 몸체(1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연결 탭의 고정 몸체(31)는 양쪽 끝 부분(21a, 21b)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날개(32)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연결 날개(32)에 보조 장신구(40)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장신구(40)는 예를 들어 귓불을 관통하여 귀걸이가 귀에 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거나, 귀걸이에 다른 장신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보조 장신구(40)가 연결 날개(32)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4, both ends 21a and 21b of the elongated body 21 of the earring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ody 11 and the fixing body 31 of the connecting tab can be connected to both ends 21a and 21b ) Can be formed. The connecting wings 32 can be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ornaments 40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wings 32. The auxiliary ornaments 40 may, for example, have a function of allowing the earlobe to be attached to the ear by passing through the earlobe, or may have a function of connecting other ornaments to the earlobe. Various types of auxiliary ornaments 4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vanes 32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장신구 커넥터는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장신구는 튜브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몸체(21); 연장 몸체(21)의 양쪽 끝 부분(21a, 21b)에 형성되는 접합 부위; 및 경계 부위(14)으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몸체(11)가 접합 부위에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 몸체(11)가 접합 부위의 내부 면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The orname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nection of various kinds of ornaments. The ornaments thereof include an elongated body 21 extending in a tube shape; A join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21a and 21b of the elongated body 21; And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ion body 11 extending both sides from the boundary portion 14 is inserted into the joint portion and the connection body 1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portion by an adhesive.

장신구는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팔찌, 귀걸이, 목걸이, 발찌, 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신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장 몸체(21)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커넥터는 연결 날개(32)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접합 부위는 연장 몸체(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연장 몸체(2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몸체(11)에 다양한 종류의 접착체가 인가되어 커넥터가 양쪽 끝 부분(21a, 21b)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ornaments may be, but are not limited to, bracelets, earrings, necklaces, braces, rings or similar ornaments, as described above. The elongated body 21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nector, and each connector may or may not have a connecting wing 32. One or more of the joints may be formed in the elongated body 21, whereby the elongated body 21 may be connected by one or more. Various kinds of adhesive materials are applied to the connection body 11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stably fixed to both ends 21a and 21b.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는 팔찌, 발찌, 목걸이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신구의 접합에 적용되어 접합에 따른 외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견고한 접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커넥터는 서로 다른 장신구의 연결 또는 보조 장신구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ornament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a bracelet, a bracelet, a necklace, or similar ornam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bonding stat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exterior due to the connection. Further, the orname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nection of different ornaments or connection of auxiliary ornaments.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 연결 몸체 12: 삽입 홈
14: 경계 부위 21: 연장 몸체
21a, 21b: 양쪽 끝 부분 30: 연결 탭
31: 고정 몸체 32, 33: 연결 날개
40: 보조 장신구
11: connection body 12: insertion groove
14: boundary region 21: elongated body
21a, 21b: Both ends 30: Connection tab
31: fixed body 32, 33: connecting wing
40: auxiliary ornaments

Claims (2)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연결 몸체(11);
연결 몸체(1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경계 부위(14); 및
연결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12)을 포함하는 장신구 커넥터.
A connecting body (11)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 boundary portion (14) form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And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
서로 다른 끝 부분이 접합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튜브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몸체(21); 및
연장 몸체(21)의 양쪽 끝 부분(21a, 21b)에 형성되는 접합 부위; 및 경계 부위(14)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몸체(11)가 접합 부위에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 몸체(11)가 접합 부위의 내부 면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장신구.
In an accessory where different ends are joined,
An elongated body (21) extending in a tube shape; And
A join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21a and 21b of the elongated body 21; And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ing body (11) extending both sides from the boundary portion (14) is inserted into the joint portion and the connecting body (1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y adhesive.
KR1020180057351A 2018-05-18 2018-05-18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KR20190014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51A KR20190014461A (en) 2018-05-18 2018-05-18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51A KR20190014461A (en) 2018-05-18 2018-05-18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760A Division KR101917035B1 (en) 2017-07-28 2017-07-28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61A true KR20190014461A (en) 2019-02-12

Family

ID=6536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51A KR20190014461A (en) 2018-05-18 2018-05-18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46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48Y1 (en) 2005-08-17 2005-10-31 정주영 A bracelet with material negative ions and emitting infrared l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48Y1 (en) 2005-08-17 2005-10-31 정주영 A bracelet with material negative ions and emitting infrared 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152B2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USD908521S1 (en) Bangle bracelet with charms
DK0737428T3 (en) Annular jewelry such as a finger ring or bracelet with an outer swivel wreath
KR101917035B1 (en)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KR20190014461A (en) A Connecter for an Accessory and the Accessory with the Same
US3877250A (en) Locking ring for jewelry
KR101760646B1 (en) Earring
US20060123845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KR20050042142A (en) Device for fastening a bracelet to a watch
KR101762409B1 (en) Coupling Assembly for jewelry, and spring therefor
KR200274201Y1 (en) Jewelry setting
JP3224771U (en) Jewelry
JPH07289325A (en) Ornament
KR102436949B1 (en) Accessory with beads conne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27865Y1 (en) A Earring
US20080041100A1 (en) Method for adding adornments to metal jewelry
KR200210879Y1 (en) Aaa
KR200307349Y1 (en) Connect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s
KR101541477B1 (en) Band joint
JP3209063U (en) Ear ornaments
KR101974058B1 (en) Bezel case for accessories
KR20160126929A (en) Accessories having a cub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ccessories
JP5881143B2 (en) Chain pearl and its connecting ring mounting structure
KR200432270Y1 (en) earring
KR200492804Y1 (en) A Piercing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