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406A -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406A
KR20190014406A KR1020170098191A KR20170098191A KR20190014406A KR 20190014406 A KR20190014406 A KR 20190014406A KR 1020170098191 A KR1020170098191 A KR 1020170098191A KR 20170098191 A KR20170098191 A KR 20170098191A KR 20190014406 A KR20190014406 A KR 2019001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unit
featu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676B1 (ko
Inventor
민세동
손은철
김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6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설골 위 목 부분의 설골상근에 부착되는 패드형태의 섬유근접센서를 통해 삼킴장애 재활을 위한 직접 및 간접 식이 훈련에 따른 혀, 기도 및 목 등의 움직임에 의한 설골상근 근육의 움직임을 검출 및 분석하여 혀 운동에 따른 재활 결과(피드백) 정보를 재활자에게 알려주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Dysphagia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feedback using the textile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설골 위 목 부분의 설골상근에 부착되는 패드형태의 섬유근접센서를 통해 삼킴장애 재활을 위한 직접 및 간접 식이 훈련에 따른 혀, 기도 및 목 등의 움직임에 의한 설골상근 근육의 움직임을 검출 및 분석하여 혀 운동에 따른 재활 결과(피드백) 정보를 재활자에게 알려주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킴장애(Dysphagia)는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넘기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장애를 말한다. 최근의 삼킴장애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삼키는 것에 관련된 모든 행위와 감각, 그리고 삼킴 준비를 위한 예비 행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장애까지 포함한다.
삼킴장애는 인간의 먹는 즐거움을 방해하고, 인간에 꼭 필요한 영양과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삼킴장애는 신생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선천적인 기형이나 구조적인 손상, 혹은 의학적인 상태의 결과로 초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킴장애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다양하며, 특히 단순한 치아의 이상이나 보형물에 의한 가벼운 원인이 있고, 뇌졸중(Stroker) 등 기타 신경성 질환에 의한 신경 마비로 인한 입, 인두 및 식도 근육의 마비, 인두나 식도가 좁아진 협착, 주변 기관의 기형에 따른 식도 압박, 식도의 연축으로 인한 경련, 음식을 입으로 식도로 이동시키는 추진 장애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침을 흘리거나 음식물이 식도에서 멈춘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삼킴장애의 치료를 위해서는 재활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삼킴장애 재활치료를 위한 훈련 유형으로는 직접 음식을 먹으면서 치료하는 직접식이(Direct Feeding)훈련과, 삼킴과 관련된 근육 운동 및 감각자극을 하는 간접식이(Indirect Feeding)훈련이 있다.
현재 재활치료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직접식이훈련 방식으로는 DJO Global 사의 'Vital Stim'이라고 불리는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Vital Stim'이라 불리는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고가이고, 수가로 인해 치료 횟수가 제한되며, 수가청구에 있어 작업치료사만 취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간접식이훈련 방식으로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혀의 움직임 훈련을 시행하거나, IOPI Medical의 IOPI와 같이 혀의 지구력과 근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ISO-SED, Neckline Slimmer를 사용하여 저항 운동을 통해 삼킴 관련 근육들을 강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직접식이훈련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고가여서 그 수가가 비싸며, 수가가 비쌈에 따라 그 사용 횟수가 제한되며, 전문가에 의해서만 취급되므로 그 장치의 사용이 제한되며, 유지 및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간접식이훈련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순히 간접식이훈련을 위한 혀의 움직임 훈련을 유도할 뿐 사용자가 해당 훈련을 수행했는지 알 수 없으며, 제시한 훈련에 대한 훈련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IOPI와 같은 간접식이 훈련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혀에 특수 장비를 장착하여 혀를 강제 운동시키기 위해 매번 해당 장비를 장착하여 훈련하고, 훈련 완료 후 장비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이 어렵고 불편하며, 사용한 후에는 세척해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간접식이 훈련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사용이 어렵고, 사용 후 처리가 불편하므로 사용횟수가 줄어들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삼킴장애 재활 치료 장치는 직접식이와 간접식이 훈련 중 한 가지밖에 수행하지 못하므로 재활훈련을 광범위하게 수행할 수 없으며, 둘 모두를 받기 위해서는 장비들을 교환해가면서 재활훈련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장비 교환으로 인한 시간 및 훈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5-0129580호(2015.11.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설골 위 목 부분의 설골상근에 부착되는 패드형태의 섬유근접센서를 통해 삼킴장애 재활을 위한 직접 및 간접 식이 훈련에 따른 혀, 기도 및 목 등의 움직임에 의한 설골상근 근육의 움직임을 검출 및 분석하여 혀 운동에 따른 재활 결과(피드백) 정보를 재활자에게 알려주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는: 사람의 설골상근에 대응하는 턱 밑 및 목 사이에 설치되어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설골상근 움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섬유근접센서 및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신호를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움직임 측정부를 포함하는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 삼킴장애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고 상기 경보부로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는, 삼킴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직접식이 및 간접식이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접식이 및 간접식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시키고, 표시된 재활 훈련 유도 정보에 대하여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근접센서는 설골상근에 대응하는 턱 밑에 부착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따른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는,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에 대한 특징정보, 목의 형태에 대한 특징 정보, 혀의 움직임 특징 정보 및 기도의 상태 특징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수집되는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의 특징에 의한 ,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의 상태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움직임 특징 추출부; 및 상기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찾고 해당 피드백 정보를 찾는 특징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은: 제어부가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삼킴장애 재활 치료에 따른 설골상근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설공상근 움직임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는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부로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 상태의 특징에 대한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의 상태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 상태의 특징에 대응하는 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여 출력하는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삼킴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직접 식이 및 간접식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재활자에게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재활자의 재활 훈련을 유도하는 재활 훈련 유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 및 경보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오디오 경보 출력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경보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섬유근접센서가 구비되는 패드만을 설골상근에 부착하면 되므로 삼킴장애 재활 치료를 위한 장비의 장착이 용이하여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재활자가 수시로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재활자가 삼킴장애 재활 치료를 빈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삼킴장애에 대한 재활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직접 재활 훈련 및 간접 재활 훈련을 위한 재환 훈련 정보를 제공하여 재활자가 따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섬유근접센서를 통해 혀, 기도 및 목 등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알려주므로 재활자가 정확하게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고, 실행에 따른 결과(피드백)정보를 재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자가 자신의 재활운동에 따른 결과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만 설골상근에 부착하면 되므로 직접 재활 훈련 및 간접 재활 훈련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태의 섬유근접센서를 부착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태의 섬유근접센서를 부착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는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 제어부(30) 및 경보부(6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 및 입력부(50)를 더 포함할 것이다.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는 섬유근접센서(11) 및 움직임 측정부(12)를 포함한다.
섬유근접센서(11)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며, 도 2와 같이 갑상연골(1)의 위 및 턱 밑에 형성되고 두개골에서 일어나 설골에 붙는 근으로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는 설공상근(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커패시턴스 아날로그 신호(Capacitance Analog Signal)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설골상근의 움직임은 혀의 움직임 및 기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움직일 것이다. 즉 섬유근접센서(11)는 혀의 움직임 및 기도 상태에 따른 설골상근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커패시턴스 아날로그 신호인 설골상근 움직임 신호를 움직임 측정부(12)로 전송한다.
움직임 측정부(12)는 섬유근접센서(11)로부터 설골상근 움직임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로 변경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는 설골상근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입 상태, 혀의 움직임 상태, 목 상태 및 기도 상태에 따른 특징정보를 정의하고 있으며, 정의된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징정보는 '기도 개방' 및 '혀 돌출(내민 상태) 위'이라면 피드백 정보는 '혀를 내밀어 위로 올린 상태이며 기도가 개방된 상태입니다.' 등이 될 수도 있으며, 경보음 종류 또는 경보음 발생 횟수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특징정보는 입 닫힘, 혀 입천장, 고개 숙임이 될 수 있고, 이때 피드백 정보는 '입을 다물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혀가 입천장에 닿아 노력 삼킴 훈련에 성공하셨습니다.'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는 선택된 삼킴장애 훈련방식 및 각 훈련 방식의 다수의 훈련들 각각에 대한 재활 훈련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재활 훈련 정보는, 텍스트 정보, 그래픽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활자가 따라 하기 쉽도록 상기 재활 훈련 정보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30)는 움직임 특징 추출부(31) 및 특징 분석부(32)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움직임 특징 추출부(31)는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의 움직임 측정부(12)로부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가 입력되면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로부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특징 분석부(32)로 전송한다. 상기 특징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의 형태(입 벌림, 입 닫힘, 입 오므림 등의 상태), 혀의 상태(입 밖으로 혀 내밈, 혀 내민 상태에서 위, 아래, 좌, 우 움직임 등의 상태), 목의 상태(목 폄, 목 구부림(구부림 정도 포함), 목 돌림(좌, 우) 등), 기도의 상태(기도의 닫힘, 기도의 열림(개방) 등)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징 분석부(32)는 상기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피드백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 및 경보부(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한다.
경보부(60)는 상기 특징 분석부(32)가 상기 피드백 정보로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거나 일정 횟수로 발생시킨다.
상기 경보부(6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디오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이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특징 분석부(32)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등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경보부(60)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될 수도 있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동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의 개시, 종료, 재활 방식 선택, 재활 훈련 선택 등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조작된 키, 버튼, 스위치 등에 대한 입력 신호(명령)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0)는 입력부(50)로부터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의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훈련 방식 및 훈련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여 훈련 방식 및 훈련을 선택할 것을 요청한다(S113). 그러나 훈련 방식 및 훈련을 선택할 것을 요청하지 않고 입력부(50)에 훈련 방식 선택 버튼 및 훈련 선택 버튼만을 구성하고 버튼 입력에 의해 훈련 방식 및 훈련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0)는 입력부(50)를 통해 훈련 방식 및 훈련이 선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15), 훈련 방식 및 훈련이 선택되면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를 구동한다(S117).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가 구동되면 제어부(30)는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20)로부터 상기 선택된 훈련 방식 및 훈련에 대응하는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로드하여 표시한다. 이때 복수의 재활 훈련들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30)는 선택된 순서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되는 재활 훈련 유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을 따라할 것을 요청한다(S119).
상기 재활 훈련 유도 정보의 출력 후 제어부(30)는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10)로부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121).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재활훈련에 따른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의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S123), 추출된 특징정보들을 상기 선택된 재활훈련 순서별로 분류한다(S125).
제어부(30)는 특징정보들이 분류되면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 및 경보부(60)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 정보는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재활자가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재활자가 수행한 운동이 상기 선택된 해당 훈련과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인 경우, 제어부(30)는 해당 운동별 특징정보와 상기 선택된 훈련방식 및 훈련에 대해 미리 저장된 특징정보들을 비교하여 분석하고(S127), 모두 일치하여 정상인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S129).
상기 판단 결과 하나라도 비정상인 것이 있으면 제어부(30)는 이상이 발생된 해당 훈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것이다(S131). 이때의 피드백 정보는 어떤 재활훈련의 어떤 부분(입 모양, 혀 상태, 기도 상태, 목 상태)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일 것이다.
반면, 모두 정상이면 제어부(30)는 해당 훈련을 모두 정상적으로 출력했음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S13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 11: 섬유근접센서
12: 움직임 측정부 20: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
30: 제어부 31: 움직임 특징 추출부
32: 특징 분석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입력부 60: 경보부

Claims (9)

  1. 사람의 설골상근에 대응하는 턱 밑 및 목 사이에 설치되어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설골상근 움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섬유근접센서 및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신호를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움직임 측정부를 포함하는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
    삼킴장애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고 상기 경보부로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는,
    삼킴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직접식이 및 간접식이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접식이 및 간접식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시키고,
    표시된 재활 훈련 유도 정보에 대하여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근접센서는 설골상근에 대응하는 턱 밑에 부착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설골상근의 움직임에 따른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따른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는,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에 대한 특징정보, 목의 형태에 대한 특징 정보, 혀의 움직임 특징 정보 및 기도의 상태 특징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수집되는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의 특징에 의한 ,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의 상태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움직임 특징 추출부; 및
    상기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찾고 해당 피드백 정보를 찾는 특징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6. 제어부가 설골상근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삼킴장애 재활 치료에 따른 설골상근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설공상근 움직임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는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부로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 상태의 특징에 대한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설골상근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의 상태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입의 형태, 목의 형태, 혀의 움직임 및 기도 상태의 특징에 대응하는 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특징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삼킴장애 정보 저장부로부터 로드하여 출력하는 피드백 정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삼킴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직접 식이 및 간접식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재활 훈련 유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재활자에게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재활자의 재활 훈련을 유도하는 재활 훈련 유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 및 경보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오디오 경보 출력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경보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방법.
KR1020170098191A 2017-08-02 2017-08-02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96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91A KR101962676B1 (ko) 2017-08-02 2017-08-02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91A KR101962676B1 (ko) 2017-08-02 2017-08-02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06A true KR20190014406A (ko) 2019-02-12
KR101962676B1 KR101962676B1 (ko) 2019-07-31

Family

ID=6536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191A KR101962676B1 (ko) 2017-08-02 2017-08-02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1424A (zh) * 2021-03-04 2021-07-09 温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吞咽训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747A (ja) * 2008-09-16 2012-02-02 ザ・ユナイテッド・ステイツ・オブ・アメリカ・アズ・リプリゼンティド・バイ・ザ・セクレタリー・デパートメント・オブ・ヘルス・アンド・ヒューマン・サービシズ 患部に対する代替部位への刺激を介して運動制御を回復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92404B1 (ko) * 2013-02-20 2015-02-16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근육 훈련용 기기
KR20150129580A (ko) 2014-05-12 2015-11-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JP2017119100A (ja) * 2015-12-24 2017-07-06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嚥下運動計測装置及び嚥下運動計測方法
US20170188934A1 (en) * 2014-05-24 2017-07-06 Jana Maureen RIEGER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747A (ja) * 2008-09-16 2012-02-02 ザ・ユナイテッド・ステイツ・オブ・アメリカ・アズ・リプリゼンティド・バイ・ザ・セクレタリー・デパートメント・オブ・ヘルス・アンド・ヒューマン・サービシズ 患部に対する代替部位への刺激を介して運動制御を回復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92404B1 (ko) * 2013-02-20 2015-02-16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근육 훈련용 기기
KR20150129580A (ko) 2014-05-12 2015-11-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KR101672088B1 (ko) * 2014-05-12 2016-1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US20170188934A1 (en) * 2014-05-24 2017-07-06 Jana Maureen RIEGER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JP2017119100A (ja) * 2015-12-24 2017-07-06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嚥下運動計測装置及び嚥下運動計測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모니터링 시스템, 논문, 2016.10., [2017년 09월 06일 검색], 정보 및 제어 논문집, 2016.10, 95-96 (2 page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1424A (zh) * 2021-03-04 2021-07-09 温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吞咽训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676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917B1 (ko)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US20240062671A1 (en) Simulator and simulation system for brain training based on behavior modeling
CN112135564B (zh) 摄食吞咽功能评价方法、记录介质、评价装置以及评价系统
JP6326701B2 (ja) 協調運動評価装置
US201300601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 rehabilitation and assessment of hand function
US20170143229A1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83826A1 (en) Facial exercise system
US201401345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edictive assessment and neurodevelopment therapy for oral feeding
JP2018503413A (ja) 心肺適応能評価
KR101962676B1 (ko)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삼킴장애 재활 피드백 치료 장치 및 방법
Lancioni et al.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minimal motor behavior using chin movements to operate microswitches to obtain environmental stimulation
JP6765654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60175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biomechanics with immediate prescriptive feedback
KR20210076561A (ko) Vr콘텐츠를 이용한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시스템
Di Libero et al. Technological support for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 narrative review
Agres et al. A novel music-based game with motion capture to support cognitive and motor function in the elderly
Evett et al. Dual camera motion capture for serious games in stroke rehabilitation
JP6915175B1 (ja) 対象の嚥下のモニタリング
CN113593693A (zh) 远程健康管理平台
AU2014207316A1 (en) Predictive neurodevelopment therapy for oral feeding
US201803603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Neurologic Deficits
JP2010020161A (ja) 指圧訓練用装置
KR101492404B1 (ko) 삼킴 근육 훈련용 기기
Chipman et al. A female advantage in the serial production of non-representational learned gestures
Jayatilake et al. Swallowscope: A smartphone based device for the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