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251A -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251A
KR20190014251A KR1020170096870A KR20170096870A KR20190014251A KR 20190014251 A KR20190014251 A KR 20190014251A KR 1020170096870 A KR1020170096870 A KR 1020170096870A KR 20170096870 A KR20170096870 A KR 20170096870A KR 20190014251 A KR20190014251 A KR 2019001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indshield
extension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5063B1 (en
Inventor
하현수
하서웅
하라현
유지문
Original Assignee
하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수 filed Critical 하현수
Priority to KR102017009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6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exchanging glass by oneself comprises: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a side door of a vehicle; and a front glass coupling structure supported by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nd detachably coupled to front glass. The front glass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front glass adsorp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front glass and supported by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nd a second front glass adsorp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glass.

Description

유리 셀프 교환기{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self-

본 발명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 및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이용하여 혼자서 차량용 앞유리를 장착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self-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lass self-changer capable of mounting an automobile windshield alone us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nd a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프레임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2인이 차량의 양측에서 앞유리를 들고 차량의 장착위치로 이동 후 본딩제가 도포된 차량의 프레임에 앞유리를 결합시킨다.Generally, in order to mount a windshield of a vehicle, a bonding agent is applied to a frame of a vehicle, two persons lift the windshield from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move to a mounting position of the vehicle, .

이 경우, 혼자서는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매우 비효율적이다.In this case, the windshield can not be mounted on the vehicle alone, which is very inefficient.

또한, 앞유리를 차량 프레임에 장착할 때 장착 위치의 기준 및 숙련도만으로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장착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shield is mounted on the vehicle frame, accurate work can not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angle by only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kill of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self-changer capable of replacing the windshield of a vehicle by itself.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측면도어에 결합되어 수직하도록 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앞유리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에 따라 안정적이고 정확한 장착시공이 가능한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self-changer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a side door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windshield, thereby enabling a stable and accurate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량의 측면도어에 결합되는 측면도어 결합구조체와, 상기 측면도어 결합구조체에 지지되고,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앞유리 결합 구조체는 앞유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도어 결합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앞유리 흡착부와, 상기 앞유리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앞유리 흡착부를 포함한다. The glass self-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a side door of a vehicle, and a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supported by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shield, Wherein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comprises a first windshield absorbing part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indshield and supported by the side door joining structure and a second windshield absorb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ndshield .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는 차량의 측면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앞유리 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Further,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 suction portion attached to a side door of a vehicle, an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a support.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흡착부 연결부 및 연장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 연결부는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봉부는 일단부가 흡착부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다.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extension part includes a suction part connecting part and an extending rod part, the suction part connecting part is coupled to the suction part,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is coupled to the suction part connection part,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부는 연장봉 바디, 조절 결합부 및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바디를 중심으로 양측에 조절 결합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조절 결합부는 상기 연장봉 바디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장봉 바디에 결합되는 조절 결합부의 타단에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tinguisher, the extension rod includes an elongated rod body, a regulating engagement portion, and a fixed engagement portion, the regulating engagement portions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xtension rod body, And the fixe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sion rod body.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앞유리 결합구조체가 지지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urther, in the glass self-extinguisher,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the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with the elongated rod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Shape.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앞유리 결합구조체의 수평상태 지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suppo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eveling system for confirm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Further,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elongate rod engag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the elongated ro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longated rod portion of the elongated portion,

상기 거치홈부는 가이드 유입부 및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입부는 상기 연장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부 영역이 증가된 디퓨져부와, 디퓨져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연장 지지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Wherein the guide groove has a guide inflow portion and an extension support portion, the guide inflow portion is formed with a diffuser portion having an increased insertion region area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and an inflow portion connected to the diffuser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nded support portion made of a sli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 거치홈바디 및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홈바디는 연장봉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 결합부에 지지된다. Further,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elongate rod connecting portion, a mounting groove body, and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the elongate rod portion of the elongated ro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longate rod portion, And is supported by the extending portion engaging por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흡착부 연결부 및 연장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플레이트 지지부와 연결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에는 상기 연결봉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결합홀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의 결합홀과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Further, in the glass self-extinguishing machine,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suction portion connecting portion and an extending rod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extending bar portion, the supporting rod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rod coupl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extending rod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은 상기 연결봉부의 복수개의 결합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고정핀에 의해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과 상기 연결봉부의 상기 결합홀은 고정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tinguisher, the coupling hole of the elongated rod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elongated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rod portion .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고, 측면도어에 결합되어 수직하도록 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에 따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정확한 장착시공이 가능한 유리 셀프 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windshield of a vehicle by itself, to be coupled to the side door to be vertically supported, to horizontally extend the load, to distribute the load evenly and to stably use the glass self-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앞유리 흡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glass-made exchanger shown in Fig. 1. Fig.
5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a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glass self-changer.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windshield adsorption unit in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1000)는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 및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glass self-changer 1000 includes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and a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1200.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는 차량의 측면 도어에 결합되고,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is coupled to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d is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1200.

그리고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는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에 의해 지지되어 차량의 앞유리를 차량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is supported by the side door joining structure 1100 so as to attac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이를 위해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의 일측에는 앞유리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에 지지된다. To this end, a windshiel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1200,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또한,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는 제1 앞유리 흡착부(1210)와 제2 앞유리 흡착부(1240)를 포함하고, 제1 앞유리 흡착부(1210)는 앞유리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앞유리 흡착부(1240)는 앞유리의 타측에 부탁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다.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includes a first windshield absorbing part 1210 and a second windshield absorbing part 1240. The first windshield absorbing part 121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indshield And the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section 1240 is moved by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reques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ndshield.

따라서 앞유리는 일측이 제1 앞유리 흡착부(1210)에 의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제2 앞유리 흡착부(124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는 혼자서도 앞유리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one side of the windshield is supported by the side door assembly structure 1100 by the first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10 and the other side is moved from the user by the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40, The windshield can be mounted alone.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세부구성과 유기적인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rganic coupling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glass self-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는 흡착부(1110), 연장부(1120) 및 지지부(113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includes a suction portion 1110, an extension portion 1120, and a support portion 1130.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부(1110)는 측면도어의 유리에 부착되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흡착부(1110)는 유리에 흡착되는 러버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연장부 지지부(111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portion 1110 is attached to the glass of the side door to support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To this end, the adsorption part 111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adsorbed on glass, and includes an extension part 1111.

또한, 연장부 지지부(1111)는 측면도어에 흡착부(1110)가 고정된 상태로 연장부(1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extended portion supporting portion 1111 is for supporting the extended portion 1120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portion 1110 is fixed to the side door.

다음으로 연장부(1120)는 흡착부(1110)에 결합되고,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extension portion 1120 is coupled to the adsorption portion 1110 and is for supporting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이를 위해 연장부(1120)는 흡착부 연결부(1121) 및 연장봉부(112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extension portion 1120 includes a suction portion connection portion 1121 and an extension bar portion 1122.

또한, 흡착부 연결부(1121)는 흡착부(1110)에 결합되고 연장봉부(1122)의 일단부가 결합된다.Further, the suction part connecting part 1121 is coupled to the suction part 1110 and one end of the extending part 1122 is engaged.

또한, 연장봉부(1122)는 일단부가 흡착부 연결부(112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1130)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extending bar 1122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connecting portion 112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130.

또한, 상기 연장봉부(1122)는 수평조절을 위해 양단부에 조정부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연장봉부(1122)는 연장봉 바디(1122a), 조절 결합부(1122b) 및 고정 결합부(1122c)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portion 1122 is provided with adjusting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for horizontal adjustment. To this end, the extension bar 1122 includes an extension bar body 1122a, an adjustment engagement portion 1122b, and a fixed engagement portion 1122c.

그리고 연장봉 바디(1122a)를 중심으로 양측에 조절 결합부(1122b)가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조절 결합부(1122b)는 연장봉 바디(1122a)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또한, 일단이 연장봉 바디(1122a)에 결합되는 조절 결합부(1122b)의 타단에는 고정 결합부(1122c)가 결합된다.And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1122b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xtension rod body 1122a. And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1122b is screwed to the extension rod body 1122a, respectively. In addition, a fixed engaging portion 1122c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engaging portion 1122b,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ded rod body 1122a at one end.

이에 따라 연장봉부(1122)는 조절 결합부(1122b)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연장봉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 결합부(1122c)로 조절 결합부의 위치를 고정함에 따라, 연장봉부(1122)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 The extension bar portion 1122 selectively moves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1122b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bar portion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with the fixed coupling portion 1122c, The state can be adjusted.

그리고, 지지부(1130)는 연장봉부(1122)에 지지된 상태로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upporting portion 1130 is for supporting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in a state that it is supported by the extending bar portion 1122.

또한, 지지부(1130)에는 연장봉 결합부(1131)와 거치홈부(113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extension rod engaging portion 1131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1132 are formed in the supporting portion 1130.

그리고 연장봉 결합부(1131)는 연장봉부(1122)가 관통되도록 결합된다.The elongated rod coupling portion 1131 is coupled so that the elongated rod portion 1122 penetrates.

또한, 연장봉 결합부(1131)에는 연장봉부(1122)의 조절 결합부(1122b)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coupling portion 1122b of the extension bar 1122 is engaged with the extension rod coupling portion 1131.

그리고 거치홈부(1132)는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홈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지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앞유리를 지지하기 위해 도 2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될 수 있다. 이는 측면도어의 유리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132 has a groove shape for supporting the windshield connection structure 1200. And can be pivoted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in Fig. 2 to support the windshiel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his is because the glass of the side door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또한, 지지부(1130)는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의 수평상태 지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11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portion 1130 may further include a level meter 1133 for confirming horizontal support of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는 측면도어의 유리에 수직 및 수평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리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upled to the glass of the side door so that the glass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can be stably supported.

다음으로,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일실시예에 따른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Next,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는 제1 앞유리 흡착부(1210), 흡착부 연결부(1220), 연장봉부(1230) 및 제2 앞유리 흡착부(1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includes a first windshield absorption section 1210, a suction section connection section 1220, an extension bar section 1230 and a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section 124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앞유리 흡착부(1210)는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흡착부 연결부(1220)에는 제1 앞유리 흡착부(1210)가 결합되고 연장봉부(1230)가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windshield absorbing portion 12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first windshield absorbing part 1210 is coupled to the suction part connecting part 1220, and the extension bar 1230 is coupled.

또한, 일단부가 흡착부 연결부(1220)에 결합되는 연장봉부(1230)의 타단부에는 스토퍼 돌출부(123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stopper projection 123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bar portion 1230, which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connection portion 1220 at one end.

그리고 연장봉부(1230)는 길이조절을 위해 제1 연장봉(1230a) 및 제2 연장봉(1230b)를 포함하고, 제1 연장봉(1230a)에 제2 연장봉(1230b)이 삽입결합되는 길이조절을 통해 연장봉부(12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extension bar 12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bar 1230a and a second extension bar 1230b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a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bar 1230b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sion bar 1230a The length of the extending bar 1230 can be adjusted through adjustment.

이를 통해 앞유리의 크기에 따른 연장봉부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 길이를 조정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xtension ro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ndshield and also to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windshield when not in use.

다음으로 제2 앞유리 흡착부(1240)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제1 앞유리 흡착부(1210)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 앞유리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Next, the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40 is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windshield, which is held by the user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10 at one 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a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C)의 측면도어에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의 흡착부(1110)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차량의 앞유리(G)에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의 제1 앞유리 흡착부(1210)와 제2 앞유리 흡착부(1240)를 부착시킨다.As shown, the suction portion 1110 of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is attached to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C. Then, the first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10 and the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unit 1240 of the windshield combination structure 1200 are attached to the windshield G of the vehicle.

그리고 앞유리 결합구조체(1200)의 연장봉부(1230)를 지지부(1130)에 거치한다. Then, the extending bar portion 1230 of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00 is mounted on the supporting portion 1130.

그리고 연장봉부(1230)은 지지부(1130)의 거치홈부(1132)에 가이드된 이탈이 제한된 상태로 이동되고, 차량의 앞유리에 대응되는 프레임에 결합된다.Then, the extension bar portion 1230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deviation guided by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132 of the support portion 1130 is limited, and is coupled to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의 앞유리를 수평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혼자서도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can be stably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and can be mounted alone.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을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와 비교하여 지지부(2130)만이 상이하다. As shown,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differs from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shown in FIGS. 2 and 3 only in the support portion 2130.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130)는 연장봉 결합부(2131)와 거치홈부(2132)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2130 is formed with an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2131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2132.

또한, 연장봉 결합부(2131)는 연장부 결합부(1131)과 동일하다.Further, the extension rod coupling portion 2131 is the same as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1131.

그리고 거치홈부(2132)는 가이드 유입부(2132a) 및 연장 지지부(2132b)가 형성된다. 가이드 유입부(2132a)는 연장봉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부 영역이 증가된 디퓨져부(2132a')와, 디퓨져부(2132a')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유입부(2132a”)가 형성된다.The mounting groove portion 2132 is formed with a guide inflow portion 2132a and an extending support portion 2132b. The guide inflow portion 2132a is formed with a diffuser portion 2132a 'having an increased insertion portion area and an inflow portion 2132a' connected to the diffuser portion 2132a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extension bar portion.

또한, 유입부(2132a”)는 연장 지지부(2132b)에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Further, the inflow portion 2132a "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2132b so as to communicate.

그리고 연장 지지부(2132b)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연장봉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The extended support portion 2132b is configured to have a sli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llows the extension rod to m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and support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도 7은 도 1에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1100)와 비교하여 지지부(3130)만이 상이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differs from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1100 shown in FIGS. 2 and 3 only in the support portion 3130.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130)는 연장봉 결합부(3131), 거치홈바디(3132), 탄성지지부(3233)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3130 includes an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3131, a fixation groove body 3132,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3233.

그리고 연장봉 결합부(3131)는 연장부 결합부(1131)과 동일하다The extension bar coupling portion 3131 is the same as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1131

그리고 거치홈바디(3132)는 연장봉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탄성지지부(3233)에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 결합부(3131)에 지지된다.The fixing groove body 3132 is for supporting the extending bar portion and is supported by the extending portion engaging portion 3131 while being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3233.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130)는 앞유리 결합구조체의 연장봉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연장봉부은 지지부(3130)의 변위에 의해 가변적으로 지지된다.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3130 elastically supports the extension rod of the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and the extension rod is variably suppor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support portion 3130.

도 8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glass self-chang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4100)는 흡착부(4110), 연장부(4120) 및 지지부(413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4100 includes a suction portion 4110, an extension portion 4120, and a support portion 4130.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부(4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흡착부(1110)와 동일하고, 연장부(4120)와 지지부(4130)의 연결부 만이 상이하다.More specifically, the adsorption portion 4110 is the same as the adsorption portion 1110 shown in FIGS. 2 and 3, and only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4120 and the support portion 4130 is different.

그리고 연장부(4120)는 흡착부 연결부(4121) 및 연장봉부(4122)를 포함하고, 연장봉부(4122)에는 결합홀(4122a)가 형성된다. The extension portion 4120 includes a suction portion connection portion 4121 and an extension bar portion 4122 and the extension bar portion 412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4122a.

또한, 지지부(4130)에는 연장봉 결합부(4131)와 거치홈부(4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홈부(4132)는 도 1에 도시한 거치홈부(1132)와 동일하다.The supporting portion 4130 includes an extending rod engaging portion 4131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4132. The mounting groove portion 4132 is the same as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132 shown in Fig.

그리고 연장봉 결합부(4131)은 플레이트 지지부(4131a)와 연결봉부(4131b)가 형성된다.The extension bar coupling portion 4131 is formed with a plate support portion 4131a and a connection bar portion 4131b.

또한, 플레이트 지지부(4131a)에 연결봉부(4131b)가 결합되고, 연결봉부(4131b)에는 결합홀(4131b')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necting rod portion 4131b is coupled to the plate supporting portion 4131a, and a coupling hole 4131b 'is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portion 4131b.

그리고 결합홀(4131b')은 연결봉부(4131b)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131b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4131b.

또한, 연결봉부(4131b)의 결합홀(4131b')는 연장봉부(4122)에는 결합홀(412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he coupling hole 4131b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4131b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4122a in the extending bar portion 4122. [

그리고 연장봉부(4122)는 연결봉부(4131b)에 삽입결합되도록 연장봉부(4122)의 외경은 연결봉부(4131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ding bar 41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rod 4131b so that the extending bar 412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4131b.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봉부(4131b)의 결합홀(4131b')과 연장봉부(412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4122a)의 선택적 대응시켜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부재(P)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지지하는 거치홈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ngle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122a formed in the coupling hole 4131b 'of the connection rod portion 4131b and the extension bar portion 4122 and using the fixing member P The angle of the mount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can be adjusted.

도 10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glass self-changer.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5100)는 흡착부(5110), 연장부(5120) 및 지지부(513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5100 includes a suction portion 5110, an extension portion 5120, and a support portion 5130.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5120)의 도 8의 연장봉 및 연결봉부와 비교하여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공(512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5130) 역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바디(5131) 및 제2 지지부바디(5132)를 포함하고, 각각 조절공(5131a, 5132b)가 형성되어 길이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extending portion 5120 has a rectangular shape in comparison with the extending bar and the connecting bar in FIG. 8, and the adjusting holes 5121 are 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e support portion 5130 also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5131 and a second support body 5132 so that lengths can be adjusted and control holes 5131a and 5132b are formed to adjust and fix the length .

또한, 거치홈바디(5133)는 양측이 탄성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볼케스터(5133a)가 장착되고, 볼케스터(5133a)는 앞유리 결합구조체의 지지 및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body 5133 is configured to support both sides elastically, and a ball caster 5133a is mounted, and the ball caster 5133a facilitates support and movement of the windshield coupling structure.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앞유리 흡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windshield adsorption unit in the glass self-changer shown in Fig. 1.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앞유리 흡착부(2200)는 연장손잡이부(2210)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연장손잡이부(221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된다.As shown, the second windshield absorbing portion 2200 is formed with an extended handle portion 2210, which allows the user to work more easily with the extended handle portion 221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유리 셀프 교환기 1100: 도어 결합구조체
1110: 흡착부 1111: 연장부 지지부
1120: 연장부 1121: 흡착부 연결부
1122c: 고정 결합부 1122a: 연장봉 바디
1122: 연장봉부 1122b: 조절 결합부
1130: 지지부 1131: 결합부
1132: 거치홈부 1133: 수평계
1200: 앞유리 결합구조체 1210: 앞유리 흡착부
1220: 흡착부 연결부 1230: 연장봉부
1230a: 제1 연장봉 1230b: 제2 연장봉
1231: 타단부에는 스토퍼 돌출부 1240: 제2 앞유리 흡착부
2130: 지지부 2131: 연장봉 결합부
2132a: 가이드 유입부 2132: 거치홈부
2132a': 디퓨져부 2132b: 연장 지지부
2132a”: 유입부 3130: 지지부
3131: 결합부 3132: 거치홈바디
3233: 탄성지지부 4100: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
4110: 흡착부 4120: 연장부
4121: 흡착부 연결부 4122a: 결합홀
4122: 연장봉부 4130: 지지부
4131b': 결합홀 4131b: 연결봉부
4131: 연장봉 결합부 4131a: 플레이트 지지부
4132: 거치홈부
1000: Glass self-changer 1100: Door coupling structure
1110: suction part 1111: extension part support part
1120: extension part 1121: suction part connection part
1122c: Fixed coupling portion 1122a: Extension rod body
1122: extension bar 1122b: regulating engagement portion
1130: Support portion 1131:
1132: mounting groove portion 1133:
1200: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1210: windshield absorbing part
1220: suction part connecting part 1230:
1230a: first extension rod 1230b: second extension rod
1231: stopper projection part at the other end part 1240: second windshield absorption part
2130: Support part 2131: Extension rod coupling part
2132a: guide inlet portion 2132: mounting groove portion
2132a ': diffuser portion 2132b: extension support
2132a ": inlet portion 3130: support portion
3131: coupling portion 3132: mounting body
3233: elastic support portion 4100: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4110: suction part 4120: extension part
4121: Suction part connection part 4122a: Coupling hole
4122: extension bar 4130:
4131b ': coupling hole 4131b:
4131: Extension rod coupling portion 4131a:
4132:

Claims (10)

차량의 측면도어에 결합되는 측면도어 결합구조체; 및
상기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에 지지되고,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앞유리 결합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앞유리 결합 구조체는 앞유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도어 결합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앞유리 흡착부와, 상기 앞유리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앞유리 흡착부를 포함하는
유리 셀프 교환기.
A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a side door of a vehicle; And
And a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supported on the side door joining structur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shield,
Wherein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comprises a first windshield absorbing part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indshield and supported by the side door joining structure and a second windshield absorb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ndshield Included
Glass self-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도어 결합구조체는
차량의 측면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앞유리 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door coupling structure
A suction unit attached to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 extension coupled to the adsorption unit,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windshield engagement member
Glass self-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흡착부 연결부 및 연장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 연결부는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봉부는 일단부가 흡착부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tension
A suction portion connecting portion and an extending rod portion,
Wherein the adsorption portion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adsorption portion,
The extension rod has one end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Glass self-chang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부는
연장봉 바디, 조절 결합부 및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바디를 중심으로 양측에 조절 결합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조절 결합부는 상기 연장봉 바디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장봉 바디에 결합되는 조절 결합부의 타단에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nsion rod
An extension rod body, a regulating engagement portion, and a fixed engagement portion,
The control rod is coupled to the control rod, and the control rod is coupled to the control rod, and the control rod is coupled to the control rod.
Glass self-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앞유리 결합구조체가 지지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리 셀프 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elongate rod engag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ro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an extension ro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has a groove shape in which the windshield connection structure is supported
Glass self-chang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앞유리 결합구조체의 수평상태 지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유리 셀프 교환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leveling system for confirming the horizontal state support of the windshield joining structure
Glass self-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홈부는 가이드 유입부 및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입부는 상기 연장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부 영역이 증가된 디퓨져부와, 디퓨져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연장 지지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유리 셀프 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ro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an extension ro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has a guide inflow portion and an extending support portion,
Wherein the guide inflow portion includes a diffuser portion having an increased insertion area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and an inflow portion connected to the diffuser portion,
The inlet is connected to an extended support consisting of laterally extending slits
Glass self-chang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장봉 결합부, 거치홈바디 및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봉부가 결합되고,
상기 거치홈바디는 연장봉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 결합부에 지지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a mounting groove body,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ro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an extension ro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e fixing groove body is for supporting the elongated rod portion and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portion engag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Glass self-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흡착부 연결부 및 연장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연장봉 결합부와 거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결합부는 플레이트 지지부와 연결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에는 상기 연결봉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결합홀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의 결합홀과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은 대응되도록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suction portion connecting portion and an extending bar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extending bar portion,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n extending rod engaging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Wherein the elongate rod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ate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ng rod por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extending rod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Glass self-chan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은 상기 연결봉부의 복수개의 결합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고정핀에 의해 상기 연장봉부의 결합홀과 상기 연결봉부의 상기 결합홀은 고정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upling hole of the elongated rod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elongate ro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rod portion are fixed by the fixing pin
Glass self-changer.
KR1020170096870A 2017-07-31 2017-07-31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KR102015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70A KR102015063B1 (en) 2017-07-31 2017-07-31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70A KR102015063B1 (en) 2017-07-31 2017-07-31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51A true KR20190014251A (en) 2019-02-12
KR102015063B1 KR102015063B1 (en) 2019-08-28

Family

ID=6536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70A KR102015063B1 (en) 2017-07-31 2017-07-31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1819A (en) * 2008-04-23 2011-07-28 イージス・ツール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indshield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30125769A (en) * 2010-11-03 2013-11-19 벨론 헝가리 케이에프티. 주그 브랜치 Windscreen installation app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1819A (en) * 2008-04-23 2011-07-28 イージス・ツール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indshield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30125769A (en) * 2010-11-03 2013-11-19 벨론 헝가리 케이에프티. 주그 브랜치 Windscreen installation app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063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0797A1 (en)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KR20140006294U (en) Fitness equipment
TW201714511A (en) Slide rail assembly and bracket device thereof
CN101754651B (en) Fan fixing device
CN104172758B (en) Fixing device, sliding rail assembly and fixing device thereof
CN107390321B (en) Optical fiber core adjusting frame lifting mechanism of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CN202995126U (en)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position adjustment of light beam expander
KR20190014251A (en)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CN103604206B (en) Fix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208457514U (en) A kind of safety monitoring equipment mounting bracket
CN214461676U (en) Self-adaptation furred ceiling adjusting part
CN205572257U (en) Adjustable car seat assembly fixture
TW200624870A (en) Adjustable lamp module and image projector applied with the lamp module
CN210005775U (en) Spectacle frame and spectacle frame lock
US10064306B2 (en) Bracket and equipment rack
KR200486859Y1 (en) Side Frame Fixing Apparatus of Termpered Glass Door
CN211694018U (en) Adjustable fixing device
CN111894292A (en) Correcting device is used in construction of building curtain
CN112253676A (en)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robot
CN220415925U (en) Punching plate frame assembly structure
CN215764296U (en) Installation and debugging device
CN217157206U (en) Radiator fastener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20626744U (en) Dovetail type optical element adjusting frame
CN216921154U (en) Floor heating keel leveling structure
CN105526293B (en) The adjustable compound vibration-damper of frequency based on mobil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