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093A -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093A
KR20190014093A KR1020197001138A KR20197001138A KR20190014093A KR 20190014093 A KR20190014093 A KR 20190014093A KR 1020197001138 A KR1020197001138 A KR 1020197001138A KR 20197001138 A KR20197001138 A KR 20197001138A KR 20190014093 A KR20190014093 A KR 2019001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pace
order
ack
transmission
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453B1 (ko
Inventor
황승계
양석철
이승민
김기준
김봉회
김선욱
이윤정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검색 공간(Search Space) 내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순서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에서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상기 순서는 지연 민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향상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3GPP 릴리이즈(release) 8로 소개되고 있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채용한다. 최근에는 3GPP LTE의 진화인 3GPP LTE-A(LTE-Advanced)가 상용화되었다.
LTE/LTE-A에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은 PDCCH와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에게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검색 공간(search space: SS)를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하였다. 일반적으로 검색 공간(SS) 내에는 각 목적에 맞는 제어 정보가 DCI 포맷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PDCCH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BD)를 다수의 검색 공간(SS)에서 수행해야 하므로, 복잡도가 증가되어 있었고, 지연 시간이 증대되어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세대 이동통신에서는 보다 낮은 지연시간이 요구되므로, 전술한 문제점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검색 공간(Search Space) 내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순서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에서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상기 순서는 지연 민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연 민감도는 상기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지연 민감도가 높은 경우,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게끔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연 민감도는 상기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에 대한 ACK/NACK 신호에 대해서 지연 민감도가 높은 경우,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게끔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은 시간 축 및 주파수 축 상의 위치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순서는 기지국에 의한 사전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의 앞선 순위를 갖는 검색 공간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앞선 심볼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지연 민감도가 높은 경우,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게끔 상기 임의 검색 공간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앞선 심볼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검색 공간(Search Space) 내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순서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에서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상기 순서는 지연 민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PDCCH의 자원 맵핑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PDCCH의 모니터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수의 검색 공간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 셀과 소규모 셀의 혼합된 이종 네트워크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면허 대역과 비 면허 대역을 반송파 집성(CA)으로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다수의 검색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1 제안에 따라 지연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제안에 따른 ACK/NACK 전송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3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4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4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16은 초기 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와 재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의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가 서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은 디코딩 순서를 갭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LTE-A(LTE-Advanced)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라 함은 LTE 및/또는 LTE-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사용되는 용어인 UE(User Equipment)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기(Device),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단말(Terminal),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20)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a, 20b, 20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몇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되는지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RB 개의 자원블록(R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B)의 개수, 즉 NRB은 6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x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에서 물리채널은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은 PUSCH, PUC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포함한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노멀 CP를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하나의 슬롯 내에 7 OFDM 심벌이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DL(downlink)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나누어진다. 제어영역은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나, 제어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에는 PDSCH가 할당된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나른다. 무선기기는 먼저 PCFICH 상으로 CFI를 수신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가 마스킹된다. 특정 UE을 위한 PDCCH라면 UE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UE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3GPP LTE에서는 PDCCH의 검출을 위해 블라인드 복호를 사용한다. 블라인드 복호는 수신되는 PDCCH(이를 후보(candidate) PDCCH라 함)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원하는 식별자를 디마스킹하고, CRC 오류를 체크하여 해당 PDCCH가 자신의 제어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무선기기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한 후 DCI에 CRC를 붙이고,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NTI)를 CRC에 마스킹한다.
도 4는 PDCCH의 자원 맵핑의 예를 나타낸다.
R0은 제1 안테나의 기준신호, R1은 제2 안테나의 기준신호, R2는 제3 안테나의 기준신호, R3는 제4 안테나의 기준신호를 나타낸다.
서브프레임내의 제어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포함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로, 복수의 REG(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REG는 복수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를 포함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CCE의 개수는 기지국이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좋은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갖는 단말에게는 하나의 CCE를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나쁜(poor)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갖는 단말에게는 8개의 CCE를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REG(도면에서는 쿼드러플릿(quadruplet)으로 표시)는 4개의 RE를 포함하고, 하나의 CCE는 9개의 REG를 포함한다. 하나의 PDCCH를 구성하기 위해 {1, 2, 4, 8}개의 C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1, 2, 4, 8} 각각의 요소를 CCE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E로 구성된 제어채널은 REG 단위의 인터리빙을 수행하고, 셀 ID(identifier)에 기반한 순환 쉬프트(cyclic shift)가 수행된 후에 물리적 자원에 매핑된다.
도 5는 PDCCH의 모니터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말은 자신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의 어떤 위치에서 어떤 CCE 집합 레벨이나 DCI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되는지 알 수 없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복수의 PDCCH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PDCCH 포맷에 따라 PDCCH의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3GPP LTE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검색 공간(search space: SS)을 사용한다. 검색 공간은 PDCCH를 위한 CCE의 모니터링 집합(monitoring set)이라 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되는 검색 공간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검색 공간은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과 단말 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로 나뉜다. 공용 검색 공간은 공용 제어정보를 갖는 PDCCH를 검색하는 공간으로 CCE 인덱스 0~15까지 16개 CCE로 구성되고, {4, 8}의 CCE 집합 레벨을 갖는 PDCCH을 지원한다. 하지만 공용 검색 공간에도 단말 특정 정보를 나르는 PDCCH (DCI 포맷 0, 1A)가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은 {1, 2, 4, 8}의 CCE 집합 레벨을 갖는 PDCCH을 지원한다.
다음 표 1은 무선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PDCCH 후보의 개수를 나타낸다.
검색 공간 S(L) k PDCCH 후보의 개수 M(L)
타입 집성 수준 L Size [in CCEs]
UE-specific 1 6 6
2 12 6
4 8 2
8 16 2
Common 4 16 4
8 16 2
검색 공간의 크기는 상기 표 1에 의해 정해지고,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공용 검색 공간과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이 다르게 정의된다. 공용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서브프레임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지만,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CE 집합 레벨 및/또는 무선프레임 내의 슬롯 번호에 따라 서브프레임마다 달라질 수 있다.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의 시작점이 공용 검색 공간 내에 있을 경우, 단말 특정 검색 공간과 공용 검색 공간은 중복될(overlap) 수 있다.
집합 레벨 L∈{1,2,4,8}에서 검색 공간 S(L) k는 PDCCH 후보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검색 공간 S(L) k의 PDCCH 후보 m에 대응하는 CCE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i=0,1,...,L-1, m=0,...,M(L)-1, NCCE,k는 서브프레임 k의 제어영역 내에서 PDCCH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CCE의 전체 개수이다. 제어영역은 0부터 NCCE,k-1로 넘버링된 CCE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M(L)은 주어진 검색 공간에서의 CCE 집합 레벨 L에서 PDCCH 후보의 개수이다.
무선기기에게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되면, m'=m+M(L)ncif이다. ncif는 CIF의 값이다. 무선기기에게 CIF가 설정되지 않으면, m'=m이다.
공용 검색 공간에서, Yk는 2개의 집합 레벨, L=4 및 L=8에 대해 0으로 셋팅된다.
집합 레벨 L의 단말 특정 검색 공간에서, 변수 Y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Y-1=nRNTI0, A=39827, D=65537, k=floor(ns/2), ns는 무선 프레임내의 슬롯 번호(slot number)이다.
도 6은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수의 검색 공간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은 다수의 검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은 주파수 축에서 오프셋에 의해서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이 C-RNTI를 기반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할 때, PDSCH의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에 따라 모니터링할 DCI 포맷과 검색 공간이 결정된다. 다음 표는 C-RNTI가 설정된 PDCCH 모니터링의 예를 나타낸다.
전송모드 DCI 포맷 검색 공간 PDCCH에 따른 PDSCH의 전송모드
전송 모드 1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단일 안테나 포트, 포트 0
DCI 포맷 1 단말 특정 단일 안테나 포트, 포트 0
전송 모드 2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1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3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2A 단말 특정 CDD(Cyclic Delay Diversity) 또는 전송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4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2 단말 특정 폐루프 공간 다중화(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전송 모드 5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1D 단말 특정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 6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1B 단말 특정 폐루프 공간 다중화
전송 모드 7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PBCH 전송 포트의 수가 1이면, 싱 글 안테나 포트, 포트 0, 아니면,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1 단말 특정 단일 안테나 포트, 포트 5
전송 모드 8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PBCH 전송 포트의 수가 1이면, 싱 글 안테나 포트, 포트 0, 아니면, 전송 다이버시티
DCI 포맷 2B 단말 특정 이중 계층(dual layer) 전송(포트 7 또는 8), 또는 싱 글 안테나 포트, 포트 7 또는 8
전송 모드 9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비-MBSFN 서브프레임: PBCH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이면,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0이 사용되고, 그렇지 않으면,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MBSFN 서브프레임: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7
DCI 포맷 2C 단말 특정 8개까지의 전송 레이어, 포트7-14가 사용됨 또는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7 또는 포트 8이 사용됨
전송 모드 10 DCI 포맷 1A 공용 및 단말 특정 비-MBSFN 서브프레임: PBCH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이면,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0이 사용되고, 그렇지 않으면,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MBSFN 서브프레임: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7
DCI 포맷 2D 단말 특정 8개까지의 전송 레이어, 포트7-14가 사용됨 또는 단독의 안테나 포트로서 포트 7 또는 포트 8이 사용됨
DCI 포맷의 용도는 다음 표와 같이 구분된다.
DCI 포맷 내 용
DCI 포맷 0 PUSCH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codeword)의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1A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compact) 스케줄링 및 랜덤 액세스 과정에 사용
DCI 포맷 1B 프리코딩 정보를 가진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1C 하나의 PDSCH 코드워드(codeword)의 매우 간단(very compact)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1D 프리코딩 및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정보를 가진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2 폐루프 공간 다중화 모드로 설정된 단말들의 PDSCH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2A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로 설정된 단말들의 PDSCH 스케줄링에 사용
DCI 포맷 2B DCI 포맷 2B는 PDSCH의 듀얼 레이어(dual-layer) 빔포밍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된다.
DCI 포맷 2C DCI 포맷 2C는 8개 레이어(layer)까지의 페-루프 SU-MIMO 또는 MU-MIMO 동작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서 사용된다.
DCI 포맷 2D DCI 포맷 2C는 8개 레이어 까지의 자원 할당을 위해서 사용된다.
DCI 포맷 3 2비트 전력 조정(power adjustments)을 가진 PUCCH 및 PUSCH의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
DCI 포맷 3A 1비트 전력 조정을 가진 PUCCH 및 PUSCH의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
DCI 포맷 4 다중 안테나 포트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상향링크(UL) 셀의 PUSCH 스케줄링에 사용
<반송파 집성>
이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에 의해서, 기존의 셀의 의미가 변경되었다. 반송파 집성에 의하면, 셀이라 함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조합, 또는 단독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집성에서 서빙 셀(Serving cell)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UE이 기지국과의 최초 연결 확립 과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을 의미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일단 RRC 연결이 확립되면 설정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는 단일 반송파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요소 반송파(CC), 즉, 복수의 서빙 셀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은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와 기본적으로 링크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USCH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소규모 셀(small cell)의 도입>
한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커버리지 반경이 작은 소규모 셀(small cell)이 기존 셀의 커버리지 내에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소규모 셀은 보다 많은 트래픽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기존 셀은 상기 소규모 셀에 비해 커버리지가 크므로, 매크로 셀(Macro cell)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 셀과 소규모 셀의 혼합된 이종 네트워크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 기지국(200)에 의한 매크로 셀은 하나 이상의 소규모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에 의한 소규모 셀과 중첩된 이종 네트워크 환경이 나타나 있다. 상기 기존 기지국은 상기 소규모 기지국에 비해 큰 커버리지를 제공하므로, 매크로 기지국(Macro eNodeB, MeNB)라고도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 매크로 셀과 매크로 기지국이라는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매크로 셀(200)에 접속된 UE은 매크로 UE(Macro UE)로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 UE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매크로셀을 프라이머리 셀(Pcell)로 설정하고, 상기 소규모 셀을 세컨더리 셀(Scell)로 설정함으로써, 매크로셀의 커버리지 빈틈을 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규모 셀을 프라이머리 셀(Pcell)로 설정하고, 상기 매크로 셀을 세컨더리 셀(Scell)로 설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boosting)시킬수 있다.
다른 한편, 이와 같이 소규모 셀이 배치됨으로써, 셀 간 간섭 문제가 더욱더 심화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규모 셀의 커버리지 크기는 상황에 따라서 축소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소규모 셀은 상황에 따라서 off되었다가 다시 on될 수 있다.
<LAA(License Assisted Access)>
최근,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차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 활용은 점점 더 중요한 요구가 되고 있다. LTE 시스템과 같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도 기존의 WLAN 시스템이 사용하는 2.4GHz 대역과 같은 비면허(unlicensed) 대역 혹은 5GHz 대역과 같은 비면허 대역을 트래픽 우회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같은 비면허 대역은 면허 대역과 반송파 집성(CA)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면허 대역의 지원 하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LAA(License Assisted Access)라고 한다.
도 8은 면허 대역과 비 면허 대역을 반송파 집성(CA)으로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특정 시스템의 독점적인 사용이 보장되지 않는 비 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의 반송파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허 대역(licensed band)인 LTE-A 대역과 비 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의 반송파 집성(CA)을 이용하여, 소규모 셀(300)이 UE(100)에게 신호를 송신하거나 UE가 소규모 셀(30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면허 대역의 반송파는 주요소 반송파(Primary CC; PCC 혹은 PCell로 부를 수 있음), 비 면허 대역의 반송파는 부요소 반송파(Secondary CC; SCC 혹은 SCell로 부를 수 있음)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제안 방식들은 다수 개의 면허 대역과 다수 개의 비 면허 대역들이 반송파 집성 기법으로 이용되는 상황에서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비 면허 대역만으로 기지국과 UE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3GPP LTE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의 시스템 상에서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향후의 이동통신,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연구도 속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5G)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며 세계적으로 2020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 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그러므로, URLLC 사용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3GPP 표준 그룹에서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를 1ms 이하로 정의하여 무선 프레임 구조를 재정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을 제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상기 NR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은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고,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 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쌍으로 된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펙트럼은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동작을 위해 두 개의 반송파 스펙트럼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반송파는 서로 쌍을 이루는 하향링크 대역 및 상향링크 대역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9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NR(또는 new RAT)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으로 불릴 수 있다. 도 3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NR(또는 new RAT)의 TDD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현재의 서브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14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앞부분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뒷부분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심볼들은 DL 데이터 전송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 따르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상향 링크 확인 응답(ACK / NACK)이 전송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자가-포함(self-contained)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사용하면, 수신 오류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최종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가-포함(self-contained)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서,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이 과정에 시간 차(time gap)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 할 때의 일부 OFDM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 될 수 있다.
<기존 PDCCH를 NR에 적용할 때의 문제점>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은 PDCCH와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에게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검색 공간(search space: SS)를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하였다. 일반적으로 검색 공간(SS) 내에는 각 목적에 맞는 제어 정보가 DCI 포맷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기존 LTE/LTE-A에서 단말은 PDCCH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BD)를 다수의 검색 공간(SS)에서 수행해야 하므로, 복잡도가 증가되어 있었고, 지연 시간이 증대되어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의 검색 공간(SS)들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를 수행하는 순서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기존 PDCCH와 같은 제어 채널이 NR에 사용될 경우,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요구되는 URLLC의 낮은 지연시간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단말, 즉 UE가 원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지연 시간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검색 공간(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원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지연 민감도에 따라, 복수의 검색 공간들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순서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연 시간의 감소 및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방안에 따르면, 단말, 즉 UE는 특정 검색 공간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DCI 정보를 빠르게 디코딩한 후, 해당 DCI에서 지시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신속하게 시작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지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임의 검색 공간 내에서 원하는 DCI가 디코딩 되면, 상기 UE는 나머지 다른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은 중단하는 대신, 상기 성공한 디코딩에 대해 신뢰성 검증을 위한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검색 공간은 PDCCH의 디코딩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PDCCH 위주로 언급되지만, 본 명세서의 개념은 다른 명칭의 제어 채널, 예컨대 EPDCCH(enhanced PDCCH) 혹은 MPDCCH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제1 제안: PDCCH 디코딩 순서
UE가 단일 서브프레임 혹은 TTI 구간 내에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검색 공간이 다수개인 경우, 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다수의 검색 공간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디코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 혹은 해당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즉, 하향링크 할당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가 높거나 혹은ㅇ 짧은 지연 시간(혹은, 높은 지연 민감도)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PDCCH를 디코딩 순서가 빠른 검색 공간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UE는 약속된 디코딩 순서에 따라 검색 공간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검색 공간에서 PDCCH를 디코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디코딩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상기 UE가 다수의 검색 공간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디코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다수의 검색 공간들은 서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다수의 검색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들이다.
도 10a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검색 공간과와 제2 검색 공간은 주파수 축에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검색 공간과와 제2 검색 공간은 시간 축에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검색 공간과와 제2 검색 공간은 시간 축 및 주파수 축 모두에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검색 공간과와 제2 검색 공간은 시간 축으로는 동일 시점에 시작하여 구분할 수 없지만, 끝나는 시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E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축 상의 구분을 통해 검색 공간들을 구분해낼 수 있다. 만약 검색 공간 별 디코딩 순서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면, UE는 상기 디코딩 순서에 따라서 검색 공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코딩 순서는 UE 동작의 지연 시간 혹은 상향링크/하향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 (및 이에 수반되는 HARQ 동작)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UE는 기지국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혹은 UE 내에 사전 설정된 디코딩 순서에 따른 검색 공간 내에서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그에 수반되는 동작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순서의 순위가 높은 (즉, 디코딩 순서가 빠른) 제1 검색 공간 내에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즉, 하향링크/상향링크 그랜트)가 담긴 PDCCH를 기지국이 전송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그러면, UE는 상기 제1 검색 공간 내에서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한 이후,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인코딩하는 동작을 다른 제2 검색 공간 내의 PDCCH에 의해 지시된 동작에 비해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검색 공간 내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인코딩을 보다 앞서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모든 검색 공간들을 블라인드 디코딩를 수행한 이후에야 후속 동작을 수행하거나, 혹은 정해진 순서 없이 임의로 블라인드 디코딩를 하는 경우에 비해,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1 제안에 따라 지연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제1 검색 공간과와 제2 검색 공간이 존재한다. 이때, 제1 SS와 제2 SS의 순서로 블라인드 디코딩 순서가 정해져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PDSCH의 스케줄링 정보(즉,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제2 SS에 존재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제1 SS, 제2 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모두 수행한 후, 상기 PDSCH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PDSCH의 스케줄링 정보(즉,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제1 SS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UE는 제1 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직 후, 곧바로 상기 PDSCH를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디코딩 순서를 정하는 또 다른 방안으로 코딩 스킴(coding scheme)의 체인(chain) 관계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에 대해 동일한 채널 코딩 스킴(예를 들어, TBCC(tail-biting convolutional code)) 및 코딩 체인(coding chain)을 사용할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와 하향링크 그랜트의 순으로 디코딩 순서를 UE에게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UE는 상향링크 그랜트가 수신되기로 정해져 있는 검색 공간을 우선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만약, 상향링크 그랜트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가 검출되게 되면, 상기 UE는 블라인드 디코딩를 중단하고 바로 해당 하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순서는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혹은 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고정된 순서가 있는 경우 기지국은 코딩 순서를 알려주기 위해 별도의 정보를 UE에게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PDCCH 후보 인덱스가 주어지는 경우 UE는 낮은 인덱스에 대응되는 PDCCH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이 디코딩 순서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과 UE간에는 디코딩 순서를 맞추기 위한 동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예컨대, SS 1)과 제1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의 두 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고 이에 대한 디코딩 순서가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원하는 서비스의 특성과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게 디코딩 순서를 설정한 후,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디코딩 순서를 상위 계층 신호(예컨대, SIB, RRC 시그널)을 이용하여 상기 UE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디코딩 순서를 변경한 경우, 상기 UE는 상기 디코딩 순서를 재설정 하기 위해서 SIB 변경 통지, RRC 재설정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코딩 순서의 변경이 발생하였지만 이에 대한 정보가 UE에게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UE가 검색 공간을 기대하는 순서가 상기 기지국이 변경한 디코딩 순서와 다를 수 있다. 나아가, 검색 공간 내에서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 후, 상기 UE가 후속하여 수행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상향링크 데이터의 인코딩을 완료하는 타이밍과 기지국이 기대하는 타이밍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공간 내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에 수반되는 동작의 타이밍이 기지국의 기대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과 UE 간에 서브프레임 번호의 불일치(mismatch)와 같은 타이밍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이 검색 공간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된 디코딩 순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정보보다 우선하여 UE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디코딩 순서는 셀-특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UE-특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여러 UE가 특정 목적에 의해 그룹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디코딩 순서는 UE 그룹-특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셀-특정적으로 설정된 디코딩 순서의 경우, 모든 UE가 동일한 디코딩 순서를 기대하기 때문에, 상기 디코딩 순서에 대한 설정 정보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과 같은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UE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이 상기 디코딩 순서를 UE 그룹-특정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지국은 희망하는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각 UE 그룹 별로 별도의 디코딩 순서를 결정하고 이를 SIB 혹은 RRC 시그널을 통해 UE에게 전달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전송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L1 시그널(예를 들어, PDCCH)을 통해 디코딩 순서의 변경 통지 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PDSCH를 통해 변경된 디코딩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전송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기지국이 상기 디코딩 순서를 UE-특정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지국은 희망하는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각 UE 별로 별도의 디코딩 순서를 결정하고 이를 RRC 시그널 혹은 L1 시그널을 통해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 그룹-특정적이거나, UE-특정적인 디코딩 순서에 대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지연 시간의 최소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의 경우, 하향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상향링크 그랜트에 비해)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혹은 반대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지연 시간 최소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하향링크 그랜트에 비해)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코딩 스킴을 고려하여 각 UE 그룹이나 각 UE별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예컨대, PDCCH)와 하향링크 데이터(예컨대, PDSCH)가 같은 채널 코딩 스킴을 공유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디코딩 순서가 결정될 수도 있다.
UE가 블라인드 디코딩를 통해 특정 검색 공간을 자신에게 부여된 검색 공간으로로 판단하고 다음 동작으로 넘어갈 경우, 나머지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를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예컨대, PDCCH)은 TBCC(Tail-Biting Convolutional Code)를 이용하고, 데이터 채널(예컨대, PDSCH)은 터보 코드(Turbo Code)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코딩 체인을 사용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이때, UE가 검색 공간의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한 이후, 후속하는 데이터 채널(예컨대, PDSCH)의 디코딩을 다른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완료되기 이전에 수행하더라도, 나머지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를 계속 진행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혹은 신뢰도)를 갖는 검색 공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앞선 검색 공간(예컨대 SS 1)에 비해서, 후속하는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이 더 높은 우선순위(혹은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경우, 상기 UE는 수행하던 동작(예컨대, 앞선 검색 공간(예컨대 SS 1)에 의해서 검출된 PDCCH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인코딩)을 멈추고, 새로운 동작(예컨대, 후속 검색 공간(예컨대 SS 2)에 의해서 검출된 PDCCH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인코딩)을 시작하도록 정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디코딩 순서에 따라, 특정 검색 공간 내에서 DCI가 검출된 경우에만, 후속하는 동작을 곧바로 수행되도록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DCI가 1~3 번째 디코딩 순서의 검색 공간(예컨대 SS 1 내지 SS 3)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검색 공간(예컨대, SS 4)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특정 DCI에 의해 지시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정 DCI가 다른 검색 공간(예컨대, SS 5)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모든 블라인드 디코딩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특정 DCI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을 시작하도록 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짧은 지연 시간(혹은 높은 지연 민감도)이 필요한 경우 빠른 디코딩 순서를 부여하고 수반되는 상향링크 데이터(예컨대, ACK/NACK)의 전송 타이밍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을 보다 빠르게 하는 반면,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즉, 낮은 지연 민감도) 동작에 대해서는 신뢰도를 좀 더 높여, UE가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1I. 제2 제안: ACK/NACK 타이밍
제2 제안에서는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하향링크 그랜트의 검출 타이밍)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수신에 대응되는 ACK/NACK 전송 타이밍을 다르게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가 결정될 경우, 각각의 검색 공간을 통해 DCI 정보가 검출되는 타이밍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순서의 순위가 높은 검색 공간일수록 혹은 디코딩 순서가 빠른 검색 공간일수록, 해당 검색 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그랜트에 대응되는 하햐링크 데이터의 수신/디코딩이 완료되는 시간이 더 앞설 수 있다. 또한 디코딩 순서가 지연 최소화의 목적으로 우선적으로 설정된 경우, 우선되는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을 통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전송 지연에 좀더 민감한 데이터(예를 들어, 전송이 지연되면 안되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도 마찬가지로 보다 빠르게 정해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디코딩 순서가 더 빠른 검색 공간(예컨대, SS 1)을 통해 검출된 하향링크 그랜트로부터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예컨대, Data 1)의 수신에 대응되는 HARQ-ACK의 전송 타이밍은, 디코딩 순서가 보다 늦은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을 통해 검출된 하향링크 그랜트로부터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예컨대, Data 2)의 수신에 대응되는 HARQ-ACK의 전송 타이밍 보다, 빠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Data 1의 수신에 대응하는 HARQ-ACK의 전송은 지연이 작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UE는 주어진 디코딩 순서에 따른 검색 공간(예컨대 SS 1) 내에서 PDCCH 검출을 시도하다가, 특정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을 통해 하향링크 그랜트(혹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PDCCH)가 검출되면, 해당 검출 시점부터 바로 해당 하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ACK/NACK 타이밍을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에 따라 결정할 때, 지연 시간 이외에도 다른 요소가 더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SS 1)과 제2 검색 공간(SS 2)가 존재할 때, 디코딩 순서는 제1 검색 공간(SS 1)이 검색 공간(SS 2) 보다 더 빠르게 설정하지만, 제1 검색 공간(SS 1)과 관련된 ACK/NACK 타이밍 보다 제2 검색 공간(SS 2)과 관련된 ACK/NACK 타이밍을 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검색 공간(SS 1)과 관련된 PDSCH가 제2 검색 공간(SS 2)과 관련된 PDSCH에 비해 크기가 큰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제1 검색 공간(SS 1) 내의 제1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제1 PDSCH의 복조 시간 구간이 더 길기 때문에, 전체 지연 관점에서 제1 검색 공간(SS 1)의 디코딩 순서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검색 공간(SS 2) 내의 제2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제2 PDSCH의 복조가 보다 빨리 끝마쳐지므로, 대응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와 관련하여, 대응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검색 공간의 그룹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N개의 검색 공간은 K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이때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각 그룹에 대응되어 지정될 수 있고, 총 K개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존재하게 된다. UE는 각 검색 공간이 어떠한 그룹에 속하여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게 된다. K개의 그룹은 시간적으로 연속된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의 집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검색 공간에 디코딩 순서를 부여하고 이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 첫 번째부터 M 번째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을 검색 공간의 제1 그룹(group 1)으로 설정하고, M+1부터 N번째의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을 제2 검색 공간(group 2)로 설정할 수도 있다.
각 검색 공간 또는 검색 공간의 그룹에 대응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그룹 단위로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총 N개의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의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n 번째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group)이 선택 가능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그 개수를 M(n)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의 그룹은 사전에 약속된 패턴에 따라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 중 UE가 사용할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선택하는 기준은 기지국이 지정하여 DCI나 RRC 시그널을 통해 UE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 혹은 UE가 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이 전체 시스템을 운용하는 관점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UE간 ACK/NACK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UE가 상기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 중에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각 UE의 상황에 적합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코딩 순서에 따라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N개의 디코딩 순서가 존재하고 각 디코딩 순서에 대응되는 N개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 TACK/NACK(1), ... , TACK/NACK(N)}이라고 가정하자. 이 예시의 상황에서 UE가 n번째 디코딩 순서에 하향링크 그랜트를 검출한 경우, TACK/NACK(n)을 사용하여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검색 공간이 N개의 그룹으로 나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검색 공간의 그룹이 총 N개 존재하며 각 그룹은 N개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 중 하나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의 예시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그룹화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N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고 n번째 검색 공간과 관련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M(n)개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총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Figure pct00003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에 포함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제2 그룹 내에 존재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값과 동일한 값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시는 검색 공간과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모두 그룹화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각 검색 공간 또는 검색 공간 그룹에 부여된 ACK/NACK의 전송 타이밍들은 서로 연속적일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연속적이지 않는 경우는 시스템에서 운용할 수 있는 ACK/NACK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ACK/NACK이 가능한 위치들을 지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제안에 따른 ACK/NACK 전송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2개의 검색 공간(예컨대, SS 1 및 SS 2)가 존재하고, 디코딩 순서는 제1 검색 공간(SS 1), 제2 검색 공간(SS 2)의 순서로 정해진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제1 PDSCH(PDSCH 1)의 스케줄링 정보(즉,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제1 PDCCH가 제1 검색 공간(SS 1)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2 PDSCH(PDSCH 2)의 스케줄링 정보(즉,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제2 검색 공간(SS 2)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미리 정해진 디코딩 순서가 제1 검색 공간(SS 1)이 보다 빠르므로, 제1 검색 공간(SS 1) 내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제1 PDSCH(PDSCH 1)에 대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상대적으로 지연에 덜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UE들의 경우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지연 시간을 요구하는 UE들을 위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우선적으로 정해진 이후, 보다 큰 지연 시간을 감내할 수 있는 UE들은 상기 정해진 ACK/NACK타이밍과 충돌하지 않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사용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보다 큰 지연 시간을 감내할 수 있는 UE의 경우, 다른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을 고려하여 정해진 가능한 ACK/NACK 시간 자원들 중에서,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즉, UE는 검색 공간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DCI를 검출한 디코딩 순서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특정 DCI가 어떤 검색 공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그룹)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DCI가 어느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그룹)내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SS 1)과 제2 검색 공간(SS 2)의 2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ACK/NACK 전송과 관련된 DCI가 제1 검색 공간(SS 1) 내에 존재하는 경우, {TACK/NACK SS1(1), ... , TACK/NACK SS 1 (N1)}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수 있다. 또는, ACK/NACK 전송과 관련된 DCI가 제2 검색 공간(SS 2)에 존재하는 경우, {TACK/NACK SS2(1), ... , TACK/NACK SS 2 (N2)}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은 서로 다른 개수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에는 하나의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각 DCI 별로 서로 다른 ACK/NACK의 전송 타이밍(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 그룹)을 갖도록 정할 수 있다. 즉, DCI 별로 서로 다른 목적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ACK/NACK의 전송 타이밍 또한 각 DCI의 목적에 맞게 개별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지연 시간을 필요로 하는 DCI의 경우,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좀 더 빠르게 지정될 수 있으며 수반되는 PDSCH에 많은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늦게 발생하도록 정해질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사용할지 여부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SIB 정보를 통해 UE가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사용할 수 있는 후보들을 정확하게 지정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전송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의 후보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RRC 시그널을 통해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의 온/오프를 상기 UE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I1I. 제3 제안: UL 데이터 타이밍
제3 제안은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다르게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제3 제안에 따르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은 상향링크 그랜트가 검출된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디코딩 순서가 빠른 검색 공간에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된다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낮은 전송 지연을 요구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UE가 디코딩 순서의 우선순위에 있는 혹은 디코딩 순서가 빠른 검색 공간 내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를 검출하는 경우, UE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낮추기 위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빠르게 (예를 들어,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시점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시점 간에 차이가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UE는 자신에게 해당되는 DCI를 검출한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순서가 보다 빠른 검색 공간(예컨대 SS 1)을 통해 검출된 상향링크 그랜트로부터 스케줄링되는 상향링크 데이터(예컨대 UL Data 1)의 전송 타이밍은, 디코딩 순서가 보다 늦은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을 통해 검출된 상향링크 그랜트로부터 스케줄링되는 상향링크 데이터(예컨대 UL Data 2)의 전송 타이밍보다 빠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UE는 주어진 디코딩 순서에 따라 검색 공간에 대한 PDCCH 검출을 시도하다가, 특정 검색 공간 내에서 상향링크 그랜트(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검출되면, 해당 시점부터 바로 상향링크 데이터의 인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 외에도 다른 요소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고 각 검색 공간을 제1 검색 공간(SS 1)과 제2 검색 공간(SS 2)로 정의된 상황을 가정하자. 이때, 제1 검색 공간(SS 1)의 디코딩 순서가 보다 빠르고, 제2 검색 공간(SS 2)의 디코딩 순서가 보다 늦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제1 검색 공간(SS 1)과 관련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보다 제2 검색 공간(SS 2)과 관련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보다 빠르게 설정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SS 1)을 사용하는 UE와 제2 검색 공간(SS 2)을 사용하는 UE간에 서비스 혹은 애플리케이션 등의 차이로 인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타이밍이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SS 1)을 사용하는 UE가 복잡도나 연산능력이 부족하여, 제1 검색 공간(SS 1)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작하고 나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하는 데에 까지 필요한 시간이 긴 경우, 전체 시스템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1 검색 공간(SS 1)의 디코딩 순서를 빠르게 주는 대신 제2 검색 공간(SS 2)을 사용하는 UE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보다 빠르게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검색 공간의 그룹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N개의 검색 공간은 K개의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각 그룹에 대응되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K개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존재할 수 있다. UE는 각 검색 공간이 어떠한 그룹에 속하여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K개의 그룹은 시간적으로 연속된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의 집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검색 공간에 디코딩 순서를 부여하고 이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 첫 번째부터 M 번째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을 그룹 1으로 설정하고, M+1 부터 N번째의 디코딩 순서를 갖는 검색 공간들을 그룹 2로 설정할 수도 있다.
각 검색 공간 또는 검색 공간 그룹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그룹 단위로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총 N개의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group)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n 번째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그룹)이 선택 가능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그 개수를 M(n)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그룹은 사전에 약속된 패턴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송 타이밍 그룹 중 UE가 사용할 전송 타이밍을 선택하는 기준은 기지국이 지정하여 DCI나 RRC 시그널을 통해 UE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 혹은 UE가 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송 타이밍을 지정한 후 UE에게 알려주는 방식은, 기지국이 전체 시스템을 운용하는 관점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UE들 간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송 타이밍을 지정한 후 UE에게 알려주는 방안은 그랜트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 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송 타이밍을 지정한 후 UE에게 알려주는 방안은 경쟁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 방식에서도 UE들 간의 전송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UE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스스로 동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UE가 스스로 결정하게 되면, 기지국의 시그널링이 전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개의 디코딩 순서가 존재하고 각 디코딩 순서에 대응되는 N개의 전송 타이밍이 { TULdata(1), ... , TULdata(N)}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UE가 n번째 디코딩 순서에 상향링크 그랜트를 검출한 경우, 상기 UE는 TULdata(n)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각 검색 공간 그룹이 총 N개 존재하며 각 그룹은 N개의 전송 타이밍 중 하나에 대응된다고 가정하자. 이때에도 상기 예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고 n번째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이 M(n)개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총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은
Figure pct00004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송 타이밍 그룹에 포함된 제1 전송 타이밍은 제2 전송 타이밍 그룹 내에 존재하는 제2 전송 타이밍 값과 동일한 값을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예시는 검색 공간과 전송 타이밍이 모두 그룹화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각 검색 공간 또는 검색 공간 그룹에 부여된 전송 타이밍들은 서로 연속적일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타이밍이 연속적이지 않는 경우는, 시스템에서 운용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3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2개의 검색 공간(예컨대, SS 1 및 SS 2)가 존재하고, 디코딩 순서는 제1 검색 공간(SS 1), 제2 검색 공간(SS 2)의 순서로 정해진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제1 PUSCH(PUSCH 1)의 스케줄링 정보(즉,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제1 PDCCH가 제1 검색 공간(SS 1)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2 PUSCH(PUSCH 2)의 스케줄링 정보(즉,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제2 검색 공간(SS 2)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미리 정해진 디코딩 순서가 제1 검색 공간(SS 1)이 제 2 검색 공간(SS 2)보다 빠르므로, 제1 검색 공간(SS 1) 내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제1 PUSCH(PDSCH 1)의 전송 타이밍이 제2 PUSCH(PDSCH 2)보다 빠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내용은 특정 DCI가 어떤 검색 공간 내에 존재하는지에 따라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N개의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group)이 있는 경우 DCI가 어느 검색 공간(또는 검색 공간 group)내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공간(SS 1)과 제2 검색 공간(SS 2)의 2개의 검색 공간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제1 검색 공간(SS 1)에 존재하는 경우, 전송 타이밍 그룹, 즉 {TULdata SS1(1), ... , TULdata SS 1 (N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송 타이밍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제2 검색 공간(SS 2)에 존재하는 경우, 전송 타이밍 그룹, 즉 {TULdata SS2(1), ... , TULdata SS 2 (N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송 타이밍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그룹은 서로 다른 개수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 그룹에는 하나의 전송 타이밍이 존재할 수도 있다. 혹은 DCI 별로 서로 다른 목적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또한 각 DCI의 목적에 맞게 개별적으로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지연 시간을 필요로 하는 DCI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좀 더 빠르게 지정될 수 있다. 반면, 전송 가능한 PUSCH 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이 늦게 발생하도록 정해질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사용할지 여부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SIB 정보를 통해 UE가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사용할 수 있는 후보들을 정확하게 지정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의 후보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RRC 시그널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의 온/오프를 상기 UE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IV. 제4 제안: 검색 공간 디코딩 순서 및 PDCCH 심볼 할당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2개 이상의 시간 유닛에 걸쳐 확장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가 전송 가능한 심볼이 2개일 경우, 각 심볼은 별도의 검색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1st 심볼에는 1부터 M까지의 인덱스를 갖는 검색 공간을 할당하고, 2nd 심볼에는 M+1부터 N까지의 인덱스를 갖는 검색 공간을 할당 수 있다. 이때, 각 심볼에 할당된 검색 공간의 디코딩 순서는 심볼 인덱스에 연관된 함수 형태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 최소화 관점에서, 더 빠른 심볼 인덱스에 할당된 검색 공간들이 더 빠른 디코딩 순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재전송(retransmission) 등의 상황에서 UE에게 기대되는 PDCCH 심볼의 위치가 1st 심볼 보다 늦은 위치에 있을 경우, UE가 느린 심볼 인덱스 상에 있는 검색 공간을 우선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 하도록 디코딩 순서가 정해질 수도 있다.
또는 전송 가능한 PUSCH 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검색 공간이 사용하는 심볼의 위치에 따라 디코딩 순서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수반되는 동작들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사용 가능한 PDCCH 심볼이 존재할 때, 제1 검색 공간(SS 1)이 1st 심볼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빠른 디코딩 순서를 할당하고, 제2 검색 공간(SS 2)이 2nd 심볼 존재하는 경우에는 느린 디코딩 순서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검색 공간에 수반되는 정보가 어떠한 지연 특성을 갖는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만약 낮은 지연을 원한다면, 해당 검색 공간이 빠른 심볼에 위치하도록 하고, 아울러 디코딩 순서 또한 앞서도록 설정해 수 있다. 반면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해당 검색 공간을 느린 심볼 위치에 할당하고, 해당 검색 공간이 다른 검색 공간이 보다 느린 디코딩 순서를 갖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한편, 2개 이상의 심볼이 검색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후보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검색 공간이 어떤 심볼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심볼들이 PDCCH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st 심볼의 위치에서 검색 공간의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n번째 심볼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가 전송되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2nd 심볼에서 검색 공간의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n+1번째 심볼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4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일 예시를 나타내고,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4 제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st 심볼의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혹은 ACK/NACK)의 전송 타이밍과 2nd 심볼의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혹은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서로 시간 축으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st 심볼의 검색 공간에 상향링크 데이터(혹은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n번째 심볼에 위치하고, 2nd 심볼의 검색 공간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데이터(혹은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m번째 심볼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위치에 따라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다르게 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로부터 ACK/NACK이 전송되는 심볼 간의 갭(GAP)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면,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의 위치에 따라 ACK/NACK의 전송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일정한 갭(GAP)을 유지할 수도 있다. 혹은 ACK/NACK이 전송되는 타이밍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위치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심볼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채널이 존재하는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위치가 첫 번째 심볼인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는 N개의 심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런데, 제어 채널이 존재하는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위치가 두 번째 심볼인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는 N-1개의 심볼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혹은 데이터의 전송 시간은 일정한 경우, 마지막 하나 혹은 몇 심볼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패딩 수행하여, UE가 디코딩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인 전송 구간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과 유사한 효과이다. 유사한 방식이 상향링크 전송에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향링크 그랜트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까지 필요한 시간이 GAP-UL로 일정하다고 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점이 정해진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가 늦게 온 경우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작 시점에 데이터 대신 패딩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그랜트가 늦어진 만큼,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늦게 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 구간이 줄어드는 것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또는 펑처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네트워크의 재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재전송이 다음 서브프레임/슬롯에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할 때, ACK/NACK 전송 시간을 고려하여 항상 GAP-RETX 만큼의 갭이 있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UE가 재전송을 위한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OFDM 심볼의 위치가 정해져 있거나, 검색 공간이 정해져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UE와 기지국은 해당 DCI가 어느 검색 공간 또는 어느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를 사전에 서로 공유할 수 있다. 혹은 기지국은 UE가 항상 먼저 검출(first-detection)된 것을 기준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하고,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사전에 공유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초기 DL/L 전송 스케줄링 DCI은 첫 번째 심볼에 위치한다는 정보 그리고, 하향링크/상향링크 재전송 스케줄링 DCI는 1st 심볼 + m OFDM 심볼에 위치한다는 정보. 여기서 m은 재전송의 횟수 (대안적으로 m은 재전송 카운트와 상관없이 1로 고정될 수 있음)
- 첫 번째 OFDM 심볼에 매핑된 블라인드 디코딩의 후보 0~K에 대한 정보 및 나머지 OFDM 심볼에 매핑된 블라인드 디코딩의 후보 K+1~M 후보에 대한 정보. 상기 후보의 서브셋은 상위 계층 시그널 또는 동적 시그널(예컨대, 공통 또는 그룹 DCI 또는 UE-특정적 DCI)을 통해 UE에게 설정될 수 있음
-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검색 공간의 분리 및 다른 세트의 OFDM 심볼들에 매핑된 검색 공간에 대한 정보
이와 같이 DCI가 어느 검색 공간 또는 어느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려주는 개념은 서브프레임 간에도 적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개념은 슬롯이 유동적인(floating) 상황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슬롯이 유동적인 상황이라면, 첫 심볼 (인덱스와 상관없이)을 기준으로 상기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공간과 그에 수반되는 DCI가 어떤 심볼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각 심볼 위치에 결부된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가 1st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은, 상기 PDCCH가 2nd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에 비해 빠를 수 있다.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의 심볼 인덱스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ACK/NACK)의 전송 타이밍이 정해지는 방식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가-포함(self-contained) 구조에서 지연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가-포함(self-contained) 구조에서 한 슬롯(또는 서브프레임)과 같이 여러 심볼이 묶여 있는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ACK/NACK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보다 짧은 디코딩/복조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하향링크 정보를 읽고 ACK/NACK을 전송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시간 갭이 필요하다. 따라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한 시간이 길게 소요될 경우, 한 슬롯(또는 서브프레임)내에 PDS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ACK/NACK도 전송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거나, 혹은 PDSCH에 사용 가능한 심볼의 개수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명세의 제안과 같이,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를 빠른 심볼의 검색 공간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UE는 해당 검색 공간을 보다 빠른 순서로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DCI를 획득하고, 바로 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가-포함(self-contained) 구조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필요한 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지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개념을 확장하여, 초기 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와 재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의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가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지연의 최소화를 필요로 하는 UE는 초기 전송 데이터와 재전송 데이터를 연속된 심볼(또는 서브프레임)상에서 수신 받아야 할 수 있다. UE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가-포함(Self-contained) 구조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수신부터 대응하는 ACK/NACK의 전송 까지를 하나의 슬롯(또는 서브프레임)내에 완료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기지국은 상기 UE로부터 수신되는 ACK/NACK를 판별한 뒤, 상기 UE에게 재전송을 수행하는 데에까지 일정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초기 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과, 재전송을 위한 DCI가 포함되는 검색 공간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초기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과, 재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전송 타이밍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초기 전송을 위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은 앞선 심볼 인덱스에 위치시키고, 재전송을 위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은 늦은 심볼 인덱스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6은 초기 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이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와 재전송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의 위치하는 심볼 인덱스가 서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자가-포함(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PDCCH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은 2개의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초기 전송을 위한 DCI(즉, 하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예컨대 SS #1)은 첫 번째 심볼에 위치할 수 있고, 높은 디코딩 순서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는 블라인드 디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바로 PDSCH#1의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데 줄어든 시간은 ACK/NACK을 전송하기 이전의 시간 갭(예컨대, GAP #1) 구간을 확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UE가 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이를 수신하고 상기 NACK를 확인하여 재전송을 수행하기 까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 16의 예시에서는 재전송을 위한 DCI(하향링크 그랜트 포함)가 전송되는 검색 공간(예컨대 SS #2)이 두 번째 심볼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UE는 상기 두 번째 심볼의 블라인드 디코딩를 통해 DCI를 획득한 후, PDSCH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디코딩 순서는 사용 가능한 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PDSCH의 크기가 하나의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의 크기보다 클 경우, 다수의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 걸쳐 PDSCH가 전송되고 충분한 갭 영역이 확보될 경우, 필요한 검색 공간은 낮은 디코딩 순서를 갖도록 심볼 인덱스를 정할 수 있다. 반대로 PDSCH의 영역이 매우 작아 PDSCH의 복조에 필요한 시간이 작거나, 충분한 갭 영역이 확보 가능할 경우, 자가-포함(self-contained) 구조와 지연의 최소화를 위해 해당 검색 공간에 빠른 디코딩 순서를 부여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디코딩 순서를 갭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예시에서, PDSCH를 위한 DCI는 제2 검색 공간(SS#2)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검색 공간(SS#2)는 디코딩 순서가 2번째로 정해진 경우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200/300)은 프로세서(processor, 201/301), 메모리(memory, 202/302)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203/303)을 포함한다. 메모리(202/302)는 프로세서(201/3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01/3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03/303)는 프로세서(201/3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201/3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201/3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RF부(103)을 포함한다.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03)는 프로세서(1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검색 공간(Search Space) 내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순서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에서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상기 순서는 지연 민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민감도는
    상기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지연 민감도가 높아서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는 경우 ,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지연 민감도가 높아서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에 대한 ACK/NACK 신호에 대해서 지연 민감도가 높아서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는 경우,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은 시간 축 및 주파수 축 상의 위치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는 기지국에 의한 사전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블라인드 디코딩의 앞선 순위를 갖는 검색 공간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앞선 심볼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게끔 지연 민감도가 높은 경우, 상기 임의 검색 공간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앞선 심볼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검색 공간(Search Space) 내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로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순서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에서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 간에 상기 순서는 지연 민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민감도는
    상기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임의 검색 공간 내의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지연 민감도가 높아서 짧은 지연 시간만 허용되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임의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검색 공간들은 시간 축 및 주파수 축 상의 위치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는 기지국에 의한 사전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0항에 있어서,
    블라인드 디코딩의 앞선 순위를 갖는 검색 공간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앞선 심볼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7001138A 2016-09-02 2017-09-01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210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2782P 2016-09-02 2016-09-02
US62/382,782 2016-09-02
US201662401812P 2016-09-29 2016-09-29
US62/401,812 2016-09-29
PCT/KR2017/009591 WO2018044114A1 (ko) 2016-09-02 2017-09-01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93A true KR20190014093A (ko) 2019-02-11
KR102210453B1 KR102210453B1 (ko) 2021-02-01

Family

ID=6130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38A KR102210453B1 (ko) 2016-09-02 2017-09-01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07796A1 (ko)
EP (1) EP3509234A4 (ko)
KR (1) KR102210453B1 (ko)
CN (1) CN109644080B (ko)
WO (1) WO20180441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3448A1 (zh) * 2019-02-25 2020-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搜索空间的盲检方法及通信装置
KR102634192B1 (ko) 2022-10-20 2024-02-06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6962B2 (en) * 2016-12-15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f-contained subslot bundling
WO2018112849A1 (zh) * 2016-12-22 2018-06-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非连续接收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10880053B2 (en) * 2017-01-09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897753B2 (en) * 2017-05-04 2021-01-1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multiple allocations in UL/DL grant for a 5G NR UE and gNB
KR102402773B1 (ko) * 2017-07-2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롯 집성을 위한 harq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3037432A (zh) 2017-09-08 2021-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9802732B (zh) * 2017-11-17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监测方法和相关装置
US10778293B2 (en) * 2018-02-16 2020-09-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transmit diversity fallback
CN114598360B (zh) * 2018-08-08 2024-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监听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US20210212021A1 (en) * 2018-08-17 2021-07-08 Lg Electronics Inc.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nod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paging message
US10904161B2 (en) * 2018-12-12 2021-01-26 Intel Corporation Using attribute vector for dynamic content-based attribute QoS for networking and interconnect fabrics
US11330577B2 (en) * 2019-01-08 2022-05-10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activation for channel monitoring
EP4002932A4 (en) * 2019-07-17 2023-04-2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USCH RECEIVING METHOD AND DEVICE, PUSCH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CN112788671A (zh) * 2019-11-06 2021-05-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的检测方法及装置
US11425751B2 (en) * 2020-07-09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handling with cross carrier scheduling
US11943730B2 (en) * 2020-07-13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specific delay between a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corresponding downlink/uplink data
US20220312240A1 (en) * 2020-10-14 2022-09-29 Apple Inc. PDCCH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30224904A1 (en) * 2022-01-13 2023-07-13 Qualcomm Incorporated Measuring uplink latenc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0557A1 (en) * 2007-09-20 2009-03-26 Leif Wilhelmsson Quality of Service Based Antenna Mapping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KR20140037189A (ko) * 2011-07-12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ch 전송 또는 수신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또는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09B1 (ko) * 2007-09-28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ES2595040T3 (es) * 2007-10-29 2016-12-27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Aparato terminal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US8238475B2 (en) * 2007-10-30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DCCH blind decoding in mobile communications
US8326292B2 (en) * 2008-06-03 2012-12-04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dicate searching space i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A2770701C (en) * 2009-08-12 2017-03-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daptation and power control in a relay network
US20130022014A1 (en) * 2010-04-02 2013-01-24 Pante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arch spaces and search posi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which operates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using same
US8908628B2 (en) * 2010-05-11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s
WO2013055143A2 (ko) * 2011-10-12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채널의 탐색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81736B2 (en) * 2011-10-27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perform random access ste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622235B2 (en) * 2012-10-23 2017-04-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81256B2 (en) * 2014-03-15 2017-06-13 Sierra Wireless, Inc. Abbreviated blind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LTE
EP3424170B1 (en) * 2016-02-29 2020-0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ing requirement dependent search space configuration for mtc devices of different categor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0557A1 (en) * 2007-09-20 2009-03-26 Leif Wilhelmsson Quality of Service Based Antenna Mapping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KR20140037189A (ko) * 2011-07-12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ch 전송 또는 수신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또는 기지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3448A1 (zh) * 2019-02-25 2020-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搜索空间的盲检方法及通信装置
US11804924B2 (en) 2019-02-25 2023-10-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arch space blind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634192B1 (ko) 2022-10-20 2024-02-06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114A1 (ko) 2018-03-08
US20190207796A1 (en) 2019-07-04
CN109644080A (zh) 2019-04-16
CN109644080B (zh) 2021-11-30
EP3509234A1 (en) 2019-07-10
KR102210453B1 (ko) 2021-02-01
EP3509234A4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453B1 (ko)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US112342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29152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link control information
EP339305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user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me
RU270522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сигнал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35794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by mtc device located in cell coverage-expanded area
KR10237379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탐색 및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61184B1 (ko)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US95040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EP28248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7491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69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rate matching in licensed assisted access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1902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low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60242203A1 (en) Method for receiving bundle of pdcch, and mtc device
KR1025543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4879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27505B2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by MTC device, and terminal
KR20140098064A (ko)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US94017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390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253694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034256B2 (en) Wireless device for which plurality of serving cells is configured,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KR201800887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