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11A -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311A
KR20190013311A KR1020170097748A KR20170097748A KR20190013311A KR 20190013311 A KR20190013311 A KR 20190013311A KR 1020170097748 A KR1020170097748 A KR 1020170097748A KR 20170097748 A KR20170097748 A KR 20170097748A KR 20190013311 A KR20190013311 A KR 2019001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ain body
information
forc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엠씨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페이 filed Critical (주)엠씨페이
Priority to KR102017009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311A/ko
Publication of KR2019001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 카드 인식 조작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포스 단말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POS dongle apparatus attached on side of a POS terminal}
본 발명은 POS(Point of Sale) 단말기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17352호(2002.03.07)에서 결제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결제 처리와 관련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IC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IC카드 독출 수단을 구비하는 핸드셋과, 소정의 통신 링크를 통해 핸드셋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결제 처리에 관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포스 단말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카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POS 동글을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 카드 인식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카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POS 동글을 포스 단말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17352호(2002.03.07)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 카드 인식 조작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포스 단말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NFC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부와,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 브라켓이 상기 본체 저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1체결부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 배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를 형성하는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보조체가 측면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2D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2D 스캐너가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본체의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RF 카드내의 RF 칩으로부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NFC 인식부와; 본체의 카드 슬라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IC 카드에 부착된 자기 띠(Magnetic Strip)로부터 MSR(Magnetic Stripe Reader)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MSR 인식부와; 보조체의 2D 스캐너에 접근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NFC 인식부 또는 MSR 인식부 또는 이미지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되,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포스(POS)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부착 가능하도록 포스 동글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카드 인식 조작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포스 동글장치를 포스 단말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본체 내부에 구현되는 제어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는 본체(110)와, 체결 브라켓(120)과, 보조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NFC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부(111)와,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112)를 포함한다. 이 때, 카드 슬라이드부(112)는 본체(110)에 보조체(130)를 결함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포스(POS) 단말을 이용해 결제를 수행시, 상기 카드 삽입부(111)에 IC 카드의 IC 칩이 모듈된 부분을 삽입하거나, 카드 슬라이드부(112)에 IC 카드의 마그네틱 바가 모듈된 부분을 슬라이딩시키면 본체(110) 내부에 구현된 제어 모듈에 의해 NFC 방식 또는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가 인식되어 블루투스(BLE)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포스(POS) 단말로 전송된다.
포스(POS) 단말은 디스플레이(200)의 사이드에 부착된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를 통해 인식된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포스(POS) 단말의 키버튼(도면 도시 생략)을 조작하여 결제 금액 및 할부 개월수 등의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포스(POS) 단말이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결제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결제 승인 확인에 따라 포스(POS) 단말이 밴사 서버(도면 도시 생략)로 결제정보와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결제 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카드 승인 요청을 한다.
그러면, 밴사 서버는 카드사 서버(도면 도시 생략)로 카드 결제 승인 요청정보를 중계하여 카드사 서버에 의해 카드 결제 승인이 처리되도록 하고,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포스(POS) 단말로 전송한다. 포스(POS) 단말은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카드 결제 승인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 브라켓(120)은 상기 본체(110)를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200) 사이드(Side)에 체결 고정하며, 제1체결부(121)와, 제2체결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121)는 상기 본체(110) 저면을 체결 고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1체결부(121)가 본체(110) 저면에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홈(121a)과, 상기 나사홈(121a)을 통과하여 본체(110) 저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121b)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22)는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사이드 배면을 체결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제2체결부(122)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사이드 배면에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홈(122a)과, 상기 나사홈(122a)을 통과하여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배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122b)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곡면 형상인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배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110) 배면에 밀착되는 체결 브라켓(120) 상면 일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체(130)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112)를 형성한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체(130)가 상기 본체(110)에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사이드 배면에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체결 브라켓(120)이 나사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사이드 배면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브라켓(120)에 본체(110)가 결합되고, 이 본체(110)에 보조체(130)가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실시예는 일측면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2D 스캐너(131)를 형성시킨 보조체(130)를 본체(110)에 결합시킨 실시예이다.
즉, 보조체(130)를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2D 스캐너(131)를 구비한 제1타입과,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 스캐너가 구비되지 않은 제2타입으로 별도로 제작하여, 본체(110)에 어느 하나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D 스캐너(131)가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2D 스캐너(131)에 의해 인식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는 적립 포인트 정보 또는 쿠폰 정보 또는 간편 결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2D 스캐너(131)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는 본체(110) 내부에 구현된 제어 모듈에 의해 블루투스(BLE)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포스(POS) 단말로 전송된다.
IC 카드 결제 과정에서 고객은 적립 포인트나 할인 쿠폰 등을 사용하여 결제 금액을 할인받을 수도 있고, IC 카드를 이용하지 않고 고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간편 결제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에 결합되는 보조체(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2D 스캐너(13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적립 포인트 정보 또는 쿠폰 정보 또는 간편 결제 정보 등을 추출한다.
이 때, 보조체(130)의 측면에 2D 스캐너(131)를 형성하는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가 2D 스캐너(131)에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접근시키기에 가장 편한 위치가 보조체(130)의 측면이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손에 쥐고 보조체(130)의 측면에 형성된 2D 스캐너(131)에 자연스럽게 접근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인식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손에 쥐고 디스플레이(200) 일체형 포스 단말의 사이드에 부착된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보조체(130) 측면에 형성된 2D 스캐너(131)에 자연스럽게 접근시키면,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2D 스캐너(131)가 인식하므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6 에 도시한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가 부착되는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배면이 곡면이 아니라 평평할 경우의,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곡면 형상인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배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110) 배면에 밀착되는 체결 브라켓(120) 상면 일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는 평평한 형상인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200) 배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110) 배면에 밀착되는 체결 브라켓(120) 상면 일부가 평평한 형태로 구현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의 본체 내부에 구현되는 제어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본체(110) 내부에 구현되는 제어 모듈(300)은 NFC 인식부(310)와, MSR 인식부(320)와, 이미지 인식부(330)와, 제어부(340)와, 통신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NFC 인식부(310)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본체(110)의 카드 삽입부(111)에 삽입되는 RF 카드내의 RF 칩으로부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MSR 인식부(320)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본체(110)의 카드 슬라이드부(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IC 카드에 부착된 자기 띠(Magnetic Strip)로부터 MSR(Magnetic Stripe Reader)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330)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보조체(130)의 2D 스캐너(131)에 접근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를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NFC 인식부(310) 또는 MSR 인식부(320) 또는 이미지 인식부(330)에 의해 인식되는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한다. 이 때,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가 제어부(340)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340)가 MSR 인식부(320) 또는 이미지 인식부(330)에 의해 인식되는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대칭키 또는 비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암호화 처리함으로써 해킹에 강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NFC 인식부(310)에 의해 인식되는 카드정보는 이미 암호화되어 RF 카드내의 RF 칩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므로, 제어부(340)를 통해 또다시 암호화할 필요는 없다.
상기 통신부(350)는 상기 제어부(340)에 의해 처리된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포스(POS) 단말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통신부(350)가 블루투스(BLE) 통신 방식으로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포스(POS)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300)이 내장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포스(POS) 단말로부터 무선 전력 통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때, 무선 전력 통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무선 전력 수신 회로가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100)의 본체(100) 내부에 모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부착 가능하도록 포스 동글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카드 인식 조작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포스 동글장치를 포스 단말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POS(Point of Sale) 단말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110 : 본체
111 : 카드 삽입부
112 : 카드 슬라이드부
120 : 체결 브라켓
121 : 제1체결부
122 : 제2체결부
121a, 122a : 나사홈
121b, 122b : 나사
130 : 보조체
131 : 2D 스캐너
200 : 디스플레이
300 : 제어 모듈
310 : NFC 인식부
320 : MSR 인식부
330 : 이미지 인식부
340 : 제어부
350 : 통신부

Claims (5)

  1.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NFC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부와, 상부 일부에 형성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포스(POS) 단말의 디스플레이(Display) 사이드(Side)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 브라켓이:
    상기 본체 저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1체결부와;
    포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드 배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MSR 방식으로 카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해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카드 슬라이드부를 형성하는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가:
    측면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2D 스캐너를 포함하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D 스캐너가: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인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본체의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RF 카드내의 RF 칩으로부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NFC 인식부와;
    본체의 카드 슬라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IC 카드에 부착된 자기 띠(Magnetic Strip)로부터 MSR(Magnetic Stripe Reader)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MSR 인식부와;
    보조체의 2D 스캐너에 접근되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NFC 인식부 또는 MSR 인식부 또는 이미지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되,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카드정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 정보를 포스(POS)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내부에 포함하는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KR1020170097748A 2017-08-01 2017-08-01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KR20190013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48A KR20190013311A (ko) 2017-08-01 2017-08-01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48A KR20190013311A (ko) 2017-08-01 2017-08-01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11A true KR20190013311A (ko) 2019-02-11

Family

ID=6537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748A KR20190013311A (ko) 2017-08-01 2017-08-01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3035A (zh) * 2019-04-04 2019-10-22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一种多信息载体数据卡及数据读取装置以及使用方法
KR102141910B1 (ko) * 2020-01-13 2020-08-06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탈부착 소켓 및 모듈을 구비한 복합 결제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3035A (zh) * 2019-04-04 2019-10-22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一种多信息载体数据卡及数据读取装置以及使用方法
CN110363035B (zh) * 2019-04-04 2022-05-13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一种多信息载体数据卡的数据读取装置以及使用方法
KR102141910B1 (ko) * 2020-01-13 2020-08-06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탈부착 소켓 및 모듈을 구비한 복합 결제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4861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ped communicator
US1095688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iometric card enrollment
US6783071B2 (en) Scanner pairing in a bluetooth POS network
JP4655018B2 (ja) 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用いた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20090084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t a point-of-sale terminal
JP2012185543A (ja) 携帯型決済端末
CN112309056A (zh) 自助式结账亭的高级硬件系统
KR20190013311A (ko) 사이드 부착형 포스 동글장치
US10157382B2 (en) Secure payment device
US9760873B1 (en) Displaying payment card account information
KR20040108234A (ko) 전자 서명을 이용한 무선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429475Y1 (ko) 백라이트를 구비하는 카드단말장치
KR20090115926A (ko) 전자 영수증 발급 기능을 구비한 소액 결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052791B1 (ko) 정보 보안용 포스 단말
KR200246518Y1 (ko) 복합 결제처리장치
KR200429274Y1 (ko) 휴대용 사인패드 단말장치
KR200483604Y1 (ko) 카드 리더 보조 장치 및 카드 리더 시스템
KR200475492Y1 (ko) 사인 패드
KR200246519Y1 (ko) 접촉식 카드 리더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비접촉식결제수단판독장치
KR200238818Y1 (ko) 일체형 바코드 및 카드 리더기
KR20000058463A (ko) 이동 컴퓨터
JP2022018767A (ja) 免許情報の変換装置および免許情報変換プログラム
KR100876596B1 (ko) 카드 단말기
KR200205021Y1 (ko) 이동 컴퓨터
KR20090037421A (ko) 디지털 서명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