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900A -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900A
KR20190012900A KR1020170096611A KR20170096611A KR20190012900A KR 20190012900 A KR20190012900 A KR 20190012900A KR 1020170096611 A KR1020170096611 A KR 1020170096611A KR 20170096611 A KR20170096611 A KR 20170096611A KR 20190012900 A KR20190012900 A KR 20190012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radio frequency
radio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찬
Original Assignee
이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찬 filed Critical 이원찬
Priority to KR102017009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900A/ko
Publication of KR2019001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계에게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네트워크 공간 안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발명품인 위치추적기가 존재할 때 주파수신호가 존재 하는 한 자연계에서 제1차로 특정위치에서 수신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무선신호가 ELF,VF,VLF,LF,MF,HF,VHF,UHF,SHF,EHF,THF의 무선주파수 대역의 어느 영역들이 혼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그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한 영역의 위치를 3차원의 맵의 하나의 셀의 꼭지점 8개의 값으로 주파수를 변조하고, 그 8개의 좌표값을 다시 하나의 위치값을 가진 주파수로 변조를 하고,그 주파수를 저전력으로 장시간 발신할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신호로 발신 가능한 주파수형태로 변조한후 발신을 하고,그 주파수와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한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가능한 주파수로 변조되어 같이 방송하게 되고,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를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주파수를 3차원 지도를 기반으로 한 변조방식을 사용하므로 무선신호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 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으며, 기존의 GPS를 이용한 단순 지상에서만의 추적 그리고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범위를 벗어났을 때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 외 에도, 추가적으로 지구자기장이나 기타 지구상의 존재하는 위치와 관련된 자연계의 위치정보도 활용하여 위치를 추적할수 있으므로 기존에 단순한 무선통신망 안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지국 신호의 세기나 범위 셀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추적과 달리 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 없이 무선신호가 도달하는곳이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글로벌 위치추적 플랫폼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The Global Tracking System by receiving modulation of wireless signal}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신호 (방송주파수,기지국주파수,기타통신주파수,RF,Bluetooth,RFID,Zigbee,UWB)등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에서 나오는 다양한 무선신호주파수들을 분석하여 위치를 계산하고 또한 수신단의 3차원 맵의 위치 값으로 변환하고 그것의 위치 값을 수신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조를 하고, 그 변조된 주파수 데이터를 방송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신단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 서버 혹은 수신센스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신호 주파수를 이용한 글로벌 위치추적시스템구성에 대한 것이다.
무선주파수 혹은 전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은 여러 가지로 많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GPS의 범위가 미치지 못하는 공간 즉 지하나 실내 그리고 건물이 많이 존재하는 곳에서의 무선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기술을 여러 가지로 많이 제안되어 왔다. 기존의 기술은 전파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구하는 방식으로 단말기에서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 시간 TOA(Time Of Arrival)을 측정하는 방법과, 두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도달시각의 상대적인 차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값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TOA방식은 Cell Site의 Receiver에서 발생한 코드(Timing source)와, 휴대폰에서 보낸 코드를 비교하여 그 시간차에 의한 거리를 계사하는 방법으로 현재의 GPS 측위원리와 동일하다. TDOA는 전파도달시각의 차를 이용한 궤적을 계산하기 위해 3개 이상의 기지국이 필요하며 TOA와 달리 단말기와 기지국간 동기는 필요 없다. TOA와 TDOA 알고리즘의 위치측정 성능은 차이가 거의 없고 측위원리 및 시스템 구현이 비슷하다.
TDOA는 일찍이 미국에서 AMPS(1995년 당시 미국 정체 가입자의 95%, 약 2,800만 가입자가 AMPS)의 Reverse Control채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시험이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 일정수준 이상의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CDMA,PCS 등에서도 비슷한 방법으로 Reverse채널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기법의 검증이 진행되고 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무선신호를 맵에 바로 매로 매칭된 위치값을 다시 주파수로 변조하여 방송하고 그것을 주위의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 서버 혹은 수신센스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에 없는 방식으로써 무선신호를 이용한 위치값을 계산하고 그 값을 변조된 주파수에 실어 다시 방송을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의 구성하여 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추적기 단말 Micro chip의 Wireless signal Scanner module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주파수가 수신되는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무선주파수가 어떤 주파수 종류이고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주파수인지 분석하는 무선주파수 분석단계;무선주파수를 3차원의 8개의 꼭지점 좌표값의 주파수로 변조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변조단계;무선주파수를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공간 좌표값 변환단계;무선주파수 위치값 변환단계;위치값을 포함한 무선주파수를 발신을 위해 발신용 주파수로 변조하는 무선주파수 통합변조단계;무선주파수를 발신변조단계;위치추적기 단말 Micro chip의 내장된 ble chip을 통해 무선주파수 발신단계;발신된 위치값이 포함된 무선주파수의 위치주변의 무선주파수 인식센서들과 스마트폰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는 무선주파수의 서버나 스마트폰 인식단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 구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기 단말은 Micro chip으로 구성되며,Wireless Signal Scanner Module과 GPS Receiver Module 그리고 Bluetooth Low Energy Module의 총 3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인 위치추적기 단말은 Micro chip으로 구성되며,Wireless Signal Scanner Module과 GPS Receiver Module 그리고 Bluetooth Low Energy Module의 총 3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지상, 지하, 실내, 실외 제한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 할수 있다. 실제로 기존의 GPS나 무선통신망의 단말기에서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 시간 TOA(Time Of Arrival)을 측정하는 방법과, 두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도달시각의 상대적인 차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값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이나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보다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GPS를 이용한 단순 지상에서의 추적 그리고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범위를 벗어났을 때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 할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지구자기장이나 기타 지구상의 존재하는 위치와 관련된 자연계의 위치정보도 추가센서장착을 통해 제공할수있으므로써,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 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위치추적 플랫폼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
도 3은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에 따른 위치 좌표 값 변환단계
도 4는 위치추적시스템의 BLE에 주파수 위치 값 실어서 방송 및 Cloud 서버에서 수신
도 5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다른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차,제2차,이것 , 저것, 그것,A,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단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에 따른 위치 좌표 값 변환단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BLE에 주파수 위치 값 실어서 방송 및 Cloud 서버에서 수신의 설명을 위한 도면 이며,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 순서도로 써 본 발명에 대하여 단계별로 프로세스를 표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구성은 위성(110)에서는 GPS신호를 전달하고,통신탑총괄기지국(111)에서는 통신대역 무선주파수를 방송하고,통신기지국단말(112)도 통신대역 무선주파수를 방송하며,클라우드서버(113)나 스마트폰(114)도 무선주파수를 방송 한다.이러한 무선주파수들은 3차원지도(130)의 영역안에 있는 3차원지도의 맵 영역 중 위치추적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셀 안에 있는 위치추적기 마이크로 칩(150)의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 수신안테나(120)으로 수신되어 분석을 거치고,맵의 꼭지점 좌표값으로 표현되는 위치값을 싣은후 주파수 변조를 통해 마이크로 칩에서 블루투스 비콘부문(180)을 통해 방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은 3차원지도(230)의 영역안에 있는 3차원지도의 맵 영역 중 위치추적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셀 안에 있는 위치추적기 마이크로 칩(250)의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 수신안테나(220)으로 수신되어 수신된 무선신호가 주파수 종류에 따른 분류단계(291)를 거치고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수신되는 UHF대역의 통신주파수에서 수신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3D MAP의 위치값을 포함한 주파수로 변조하는단계를 거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주파수분석에 따른 위치 좌표 값 변환단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0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310)부터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7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310)까지 총 8개의 꼭지점을 각각 나타내는 3D MAP 좌표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고,그것은 다시 통합적인 하나의 무선주파수 신호인 8개의 꼭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들을 통합하여 나온 주파수신호(390)으로 생성되며,이 신호를 변조하여 저전력으로 발신가능한 Bluetooth 신호로 변환하여 8개의 꼭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들을 통합하여 나온 주파수를 변조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마이크로 칩의 무선주파수검색부부문이 수신한 신호가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로 변조되는 단계(39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BLE에 주파수 위치값 실어서 방송 및 Cloud서버에서 수신을 설명하는 것으로,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가 저전력으로 방송 가능한 Bluetooth로 변조 된 것(410)이며,이 변조된 무선주파수는 수신된 GPS데이타가 방송가능한 Bluetooth신호로 변조된 것(420)과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가 방송가능한 Bluetooth신호로 변조된 것(430)이 통합되어 위치추적기 마이크로칩에서 출력되는 위치값을 포함한 Bluetooth신호로 변조된 주파수 신호(480)이 방송된다.
즉,통신탑총괄기지국(460)이 방송하는 무선신호와 통신기지국단말(461)이 방송하는 무선신호는 통신네트워크상에서 나오는 모든 주파수(470)으로 정의할수 있는데,이것과 위치추적기단말에서 나오는 방송되는 위치값을 가치 Bluetooth신호를 함께 수신할 때
무선신호만으로 스마트폰(491)이나 클라우드서버(490)에서 위치추적기단말의 위치를 측정해낼수 있다.
통신네트워크상에서 나오는 모든 주파수(470)와 위치추적기 마이크로칩에서 출력되는 위치값을 포함한 Bluetooth신호로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함께 수신한 스마트폰(491)의 어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서버(490)의 어플리케이션은 위치추적기단말의 위치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Positioning을 할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 순서도는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510),경우에 따라 무선주파수와 GPS만 인식 될 경우(지상,실외)(511)이나 무선주파수와 BLE만 인식 될 경우(지하,실내)(512)으로 분기되어 Yes일 경우 바로 무선주파수 위치값 변환단계(550)으로 바로 분기되거나,No일 경우 무선주파수 분석단계(520)으로 분기될수 있다. 무선주파수 분석단계(520)로 들어온 무선주파수는 위 도 2에 도시된 것을 설명한바와 같이 무선신호가 주파수 종류에 따른 분류단계(291)를 거치고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수신되는 UHF대역의 통신주파수에서 수신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3D MAP의 위치값을 포함한 주파수로 변조하는단계를 포함한다.이런 전체적인 변조단계에서 다음단계로 무선주파수 수신변조단계(530),무선주파수 공간 좌표값 변환단계(540),무선주파수 위치 값 변환단계(550),무선주파수 통합변조단계(560),무선주파수 발신변조단계(560),무선주파수 발신단계(570),무선주파수 서버나 스마트 폰 인식단계(590)의 순서로 위치추적시스템의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서버나 스마트 폰 인식단계(590)는 경우에 따라 위치추적기에서 나온 무선신호를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는 경우(511)나 위치추적기에서 나온 무선신호를 스마트폰이 인식하는 경우(592) 분기되어 Yes일 경우 바로 무선주파수 분석단계(520)으로 분기될수 있으며,No일 경우 무선주파수 발신단계(580)으로 분기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면 자연계에게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네트워크 공간안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발명품인 위치추적기가 존재할 때 주파수신호가 존재 하는 한 자연계에서 제1차로 특정위치에서 수신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무선신호가 ELF,VF,VLF,LF,MF,HF,VHF,UHF,SHF,EHF,THF의 무선주파수 대역의 어느 영역들이 혼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그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한 영역의 위치를 3차원의 맵의 하나의 셀의 꼭지점 8개의 값으로 주파수를 변조하고,
그 8개의 좌표위치값을 다시 하나의 위치값을 가진 주파수로 변조를 하고,
그 주파수를 저전력으로 장시간 발신할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신호로 발신 가능한 주파수형태로 변조한후 발신을 하고,그 주파수와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한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가능한 주파수로 변조되어 같이 방송하게 되고,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를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대해 기술을 단계별로는 설명하면 위치추적기의 Wireless Signal Scanner가 자연계에 무선신호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무선주파수 분석단계를 통해 ELF,VF,VLF,LF,MF,HF,VHF,UHF,SHF,EHF,THF 무선신호가 주파수 종류에 따른 분류단계를 거치고 가장 정확한 무선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여 그 주파수에 대한 위치정보를 취득하고,그 주파수를 3차원 지도의 8개의 꼭지값을 갖는 위치값으로 변조를 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변조단계;그리고 그 8개의 주파수들을 무선주파수 공간 좌표값 변환단계;무선주파수 위치 값 변환단계;순서로 주파수를 변조해 나간다 그리고 그 3차원 지도의 위치추적기가 위치한 영역의 셀의 8개의 꼭지점의 좌표값을 갖는 무선주파수를 한 개의 주파수로 통합하여 변조하는 위치값 무선주파수 통합변조단계;그리고 저전력으로 그 위치값을 갖는 무선주파수를 저전력으로 발신가능한 무선주파수로 변조하는 무선주파수 발신변조단계; 순서대로 진행이 되며,저전력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버퍼영역에 위치값을 실어서 발송가능하는 블루투스주파수는 만드는 무선주파수 발신단계;여기서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한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가능한 주파수로 변조되어 같이 방송되는데,즉,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되는 무선주파수에는 무선통신영역안에서의 위치값과 GPS위치값 2개의 위치값을 가지고 있는 1회에 1개의 무선주파수가 발송되게 된다. 이렇게 발신된 저전력 프로토콜의 블루투스신호는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를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로 프로세스가 진행된다.마지막 서버나 스마트 폰 인식단계;와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는 계속 순환반복되면서 스마트폰과 클라우드서버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단에서 순서대로 위치정보값이 저장되게 되고,계속 위치추적기에서는 저전력으로 위치정보를 주파수형태로 방송하게 되고,이것은 주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이나 서버를 통해 계속 위치정보를 수집하게된다. 이런 순환적 프로세스가 반복됨으로써 위치추적기를 장착한 대상물은 지구상 어느곳에 있더라도 무선신호망이 존재하는 자연계에서는 어디서든지 위치추적시스템의 프로세스가 진행되어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 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무선주파수를 맵을 기반으로 한 변조방식을 사용하므로 무선신호네트워크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 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 하며, 기존의 GPS를 이용한 단순 지상에서의 추적 그리고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범위를 벗어났을 때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 할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지구자기장이나 기타 지구상의 존재하는 위치와 관련된 자연계의 위치정보도 추가센서장착을 통해 제공할수있으므로써,지상,지하,실내,실외 제한 없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지 정확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위치추적 플랫폼 역할도 할 수 있다.
110 : GPS서비스용 위성
111 : 통신탑총괄기지국
112 : 통신기지국단말
113 : 클라우드서버
114 : 스마트폰
120 :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 수신 안테나
130 : 3차원지도(3D MAP)
140 : 3차원지도의 맵 영역 중 위치추적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셀
150 : 위치추적기 마이크로 칩
160 :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검색부문(Wireless Signal Scanner Module)
170 : 마이크로 칩에서 GPS수신부문(GPS Receiver Module)
180 : 마이크로 칩에서 블루투스 비콘부분(Bluetooth Low Energy Module)
220 :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 수신 안테나
230 : 3차원지도(3D MAP)
240 : 3차원지도의 맵영역 중 위치추적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셀
250 : 위치추적기 마이크로 칩
260 : 마이크로 칩에서 무선주파수검색부문(Wireless Signal Scanner Module)
270 : 마이크로 칩에서 GPS수신부문(GPS Receiver Module)
280 : 마이크로 칩에서 블루투스 비콘부분(Bluetooth Low Energy Module)
290 : 수신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3D MAP의 위치값을 포함한 주파수로 변조하는 단계
291 : 주파수에 종류에 따른 분류 단계
V0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첫 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1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두 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2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세 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3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네 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4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다섯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5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여섯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6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일곱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V7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여덟번째 한 꼭지점이며,그 꼭지점의 3차원 좌표값
31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0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2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1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3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2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4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3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5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4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6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5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7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6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80 : 3D MAP의 영역의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중 1개인 V7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
390 : 8개의 꼭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들을 통합하여 나온 주파수신호
391 : 8개의 꼭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들을 통합하여 나온 주파수를 변조한 주파수신호
392 : 마이크로 칩의 무선주파수검색부문이 수신한 신호가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로 변조되는 단계
410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가 방송가능한 Bluetooth 신호로 변조되는 단계
420 : 수신된 GPS데이타가 방송가능한 Bluetooth신호로 변조된 것
430 : 셀의 꼭지점 위치값 8개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파수가 방송가능한 Bluetooth 신호로 변조된 것
440 : 마이크로 칩에서 GPS수신부문(GPS Receiver Module)
450 : 마이크로 칩에서 블루투스 비콘 부분(Bluetooth Low Energy Module)
460 : 통신탑총괄기지국
461 : 통신기지국단말
470 : 통신네트워크상에서 나오는 모든 주파수
480 : 위치추적기 마이크로칩에서 출력되는 위치값을 포함한 Bluetooth 신호로 변조된 주파수 신호
490 :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와 센서
491 : 인터넷망에 연결된 스마트폰
510 :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
511 : 무선주파수와 GPS만 인식 될 경우(지상,실외)
512 : 무선주파수와 BLE만 인식 될 경우(지하,실내)
520 : 무선주파수 분석단계
530 : 무선주파수 수신변조단계
540 : 무선주파수 공간 좌표값 변환단계
550 : 무선주파수 위치 값 변환단계
560 : 무선주파수 통합변조단계
570 : 무선주파수 발신변조단계
580 : 무선주파수 발신단계
590 : 무선주파수의 서버나 스마트 폰 인식단계
591 : 위치추적기에서 나온 무선신호를 클라우드 서버가 인식하는 경우
592 : 위치추적기에서 나온 무선신호를 스마트폰이 인식하는 경우
YES : 참
NO : 거짓
ELF : 초저주파 대역 20 ~ 300 HZ
VF : 음성파 대역 300 ~ 3000 HZ
VLF : 초장파 대역 3 ~ 30 kHZ
LF : 장파 대역 30 ~ 300 kHZ
MF : 중파 대역 300 ~ 3000 kHZ
HF : 단파 대역 3 ~ 30 MHZ
VHF : 초단파 30 ~ 300 MHZ
UHF : 극 초단파 300 ~ 3000 MHZ
SHF : 센티미터 파 3 ~ 30 GHZ
EHF : 밀리파 30 ~ 300 GHZ
THF : 서브밀리파 300 ~ 3000 GHZ

Claims (3)

  1.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인 위치추적기 단말인 Micro chip과 그 단말로부터 나오는 주파수 신호수신 단말인 스마트폰과 클라우드 서버 그리고 기타 수신센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에서,
    자연계의 무선신호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상기 위치추적기 단말기가 주파수신호가 존재 하는 한 자연계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
    무선주파수의 대역을 1차 위치로 특정하고 분류 및 선택된 무선주파수를 분석하는 무선주파수 분석단계;
    무선주파수를 3차원지도의 위치추적기가 위치한 셀의 공간정보의 각 꼭지점 8개의 좌표값으로 변화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변조단계;
    각 꼭지점 8개의 좌표값을 무선주파수 공간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공간 좌표값 변환단계;
    영역이 위치한 셀의 8개의 공간좌표값을 위치값으로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위치 값 변환단계;
    공간좌표값을 1개의 주파수로 통합하는 무선주파수 통합변조단계;
    1개로 통합된 무선주파수를 저전력 블루투스 주파수에 통합변조하는 무선주파수 발신변조단계;
    GPS데이타를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한 주파수와 1개로 통합변조된 무선주파수를 다시 1개의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1개의 주파수로 발신하는 무선주파수 발신단계;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가능한 주파수가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를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프로세스를 계속 순환하도록 만드는 무선주파수의 서버나 스마트 폰 인식단계;
    상기 영역정의단계에 따라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2. 청구항 1의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에서
    자연계의 무선신호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무선주파수를 인식하는 무선주파수 인식 및 수신단계;
    상기 위치추적기 단말기가 주파수신호가 존재 하는 한 자연계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위치추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차로 특정위치에서 수신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무선신호가 ELF,VF,VLF,LF,MF,HF,VHF,UHF,SHF,EHF,THF의 무선주파수 대역의 어느 영역들이 혼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그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한 영역의 위치를 3차원의 맵의 하나의 셀의 꼭지점 8개의 값으로 주파수를 변조하고,
    그 8개의 좌표위치값을 다시 하나의 위치값을 가진 주파수로 변조를 하고,
    그 주파수를 저전력으로 장시간 발신할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신호로 발신 가능한 주파수형태로 변조한후 발신을 하고,그 주파수와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한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발신가능한 주파수로 변조되어 같이 방송하게 되고,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를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그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 서버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체계와 단말기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체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차로 특정위치에서 수신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무선신호가 ELF,VF,VLF,LF,MF,HF,VHF,UHF,SHF,EHF,THF의 무선주파수 대역의 어느 영역들이 혼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주파수를 활용하여 프로세스에 따라 무선신호를 변조하고 생성하고 합치는 역할을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자연계에서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영역내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서버등 저전력 방식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정보를 가진 주파수를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위치데이타를 사용하여 연계된 위치정보서버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서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KR1020170096611A 2017-07-30 2017-07-30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KR20190012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11A KR20190012900A (ko) 2017-07-30 2017-07-30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11A KR20190012900A (ko) 2017-07-30 2017-07-30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00A true KR20190012900A (ko) 2019-02-11

Family

ID=6537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11A KR20190012900A (ko) 2017-07-30 2017-07-30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82A (ko) * 2019-12-30 2021-07-08 이원찬 인공지능을 이용한 센서위치예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82A (ko) * 2019-12-30 2021-07-08 이원찬 인공지능을 이용한 센서위치예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ghtadaiee et al. Indoor location fingerprinting using FM radio signals
Moghtadaiee et al. Indoor localization using FM radio signals: A fingerprinting approach
Lui et al. Differences in RSSI readings made by different Wi-Fi chipsets: A limitation of WLAN localization
Liu et al. Survey of wireless based indoor localization technologies
Gu et al. Lora-based localiz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opleteev Indoor positioning using FM radio signals
CN111095014B (zh) 标签和标签位置确定装置及方法
Minoli et al. Ultrawideband (UWB) technology for smart cities IoT applications
CN106900057B (zh) 一种基于测距的室内定位方法及系统
Billa et al. An overview of indoor localization technologies: Toward IoT navigation services
KR101597437B1 (ko) 무선신호의 상대적 수신세기 비율정보를 이용한 실내측위시스템 및 방법
Bonafini et al. Evaluating indoor and outdoor localization services for LoRaWAN in Smart City applications
Larsson Distance estimation and positioning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Lazaro et al. Room-level localization system based on LoRa backscatters
KR20180058428A (ko) Wifi ap와 ibeacon 복합 기반의 무선 측위 방법
Doiphode et al. Survey of indoor positioning measurements, methods and techniques
Tang et al. Study on RSS/AOA hybrid localization in life detection in huge disaster situation
KR20160063761A (ko) 저전력 블루투스 단말기의 측위 측정을 위한 공간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WO2007126240A1 (en) Com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oh et al. IoT based indoor locating system (ILS)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CN112799014A (zh) 基于椭球交汇的超宽带定位系统、方法、无线终端及服务器
KR20190012900A (ko) 무선신호의 수신변조를 통한 위치추적시스템
Chang et al. Technical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10 cm-level positioning accuracy towards 6G
KR20150069928A (ko)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011B1 (ko) 공간주파수를 이용한 위치인식 및 위치추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