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55A -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55A
KR20190011855A KR1020170094035A KR20170094035A KR20190011855A KR 20190011855 A KR20190011855 A KR 20190011855A KR 1020170094035 A KR1020170094035 A KR 1020170094035A KR 20170094035 A KR20170094035 A KR 20170094035A KR 20190011855 A KR20190011855 A KR 2019001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bots
robot
conveyor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9915B1 (en
Inventor
임선
송인설
정예찬
정일균
정학상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15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a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for improving efficiency of operating a robot and reducing an operating cost in an environment of a process production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robots works for goods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includes: an image sens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moving on the conveyor; and a main controlle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through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and distributing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정적 작업 분배 장치, 시스템 및 방법{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0001]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로봇 운영을 위한 작업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을 복수의 로봇이 작업하는 공정 생산라인 환경에서 로봇 운용의 효율성 증가와 운용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정적 작업 분배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distribution system for robot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distribution system for robot ope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obots work on an article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obot operation, Distribu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현재 컨베이어는 다수의 물품을 연속 이동시키기 위해 롤러 타입 또는 벨트 타입 등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a conveyor is actively used as a roller type or a belt type for continuously moving a plurality of articles.

기존에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물품의 작업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작업자의 수, 위치에 따른 생산 처리율을 높이면서 불량률을 낮추는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distributing the work of the articles moving through the conveyor, there has been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defect rate while increasing the throughput accor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workers.

그러나 산업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컨베이어와 더불어 더 빠른 물품의 분류 또는 이송을 위해 로봇이 컨베이어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로봇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robots are being used with conveyors for sorting or transporting goods faster with the conveyor. Accordingly, a system for effectively operating a plurality of robots is needed.

최근에는 복수의 로봇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각 로봇마다 센서(sensor)를 설치하여 충돌 방지 및 센서 반경 안에 들어오는 물품에 대하여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robots,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robot to prevent collision and to perform work on a robot in an object within the radius of the sensor.

그러나 각 로봇마다 센서를 설치할 경우, 높은 설치 비용, 유지 및 관리가 어려워 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when a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robot, high installation co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becomes difficult.

또한 하나의 로봇에 작업 대상물이 몰리는 경우 해당 로봇의 작업 과부하 및 잦은 소모품 교체로 인해 로봇의 수명이 단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a workpiece is poured into one robot, the life of the robot is shortened due to overloading of the robot and frequent replacement of consumables.

한국등록특허 제10-1683087호 (2016.11.30.)Korean Patent No. 10-1683087 (November 30, 20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을 복수의 로봇이 작업하는 공정 생산라인 환경에서 로봇 운용의 효율성 증가와 운용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정적 작업 분배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obot operation and reducing operating costs in a process production line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robots work the workpiece being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ing through a conveyor,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an image picked up from the image sensor, And a main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work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by the plurality of robots disposed around the conveyor and distributing the work object having the calculated work time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o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이 각각 영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 설정된 지점과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와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이동 속도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에 대한 작업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로봇에 해당 작업 대상물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each predetermined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when the plurality of robots are respectively at the zero point position, Calculates a working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obots and a moving spee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 설정된 지점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상기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상기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과 상기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may include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preset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one end of the conveyor adjacent to the robot, and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and the conveyor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each of the work objects is measured through a vertical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robot and the other end.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봇은 상기 컨베이어의 인근에 구비되는 보조 컨베이어에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obots pick up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on an auxiliary conveyo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or.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제1 로봇에 할당된 제1 작업 대상물과, 상기 제1 작업 대상물과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제2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서로의 거리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orkpiece and the second workpiece, which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robot and the first robo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job can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에서 상기 제1 작업 대상물을 상기 보조 컨베이어에 픽업 후 다시 영점으로 위치하는 시간과, 상기 제1 작업 대상물의 픽업 후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을 집을 때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time when the first robot is positioned at the zero point after picking up the first workpiece to the auxiliary conveyor at the zero point position, And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second workpiece when the first robot picks up the second workpiece through a time required for reaching the second workpiece.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로봇에서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을 작업이 가능한 로봇 중 상기 작업 시간이 최소인 로봇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can not be performed by the first robot, the main controller allocates the second work object to the robot having the smallest work time among the robots capable of work .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에 할당된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로봇의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에 대한 분배율을 입력받고, 해당 로봇이 입력받은 분배율로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cumulatively stores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robots, inputs the distribution ratios for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controls the robot to work on a plurality of work objects at a distribution ratio inputted by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컨베이어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로봇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 static work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for convey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workpieces to be moved by the conveyor, a conveyor for conveying the plurality of workpieces, A plurality of robots that perform work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o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oper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nd a main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working time and distributing the workpiece having the calculated working ti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ime to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방법은 메인 컨트롤러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tatic work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ain controller receiving an image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ed by a conveyor from an image sensor, and extra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the received image; Wherein the main controller extract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and calculates a work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by the plurality of robots through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nd distributing the workpiece having the calculated work ti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ime to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는 영상을 통해 추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로봇 각각이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로봇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작업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 stat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work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by a plurality of robots disposed around the conveyor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image, By distributing the object to be worked which is less than the time to the robo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orkload in operating a plurality of robo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복수의 로봇에 대한 분배율이 입력받아 제어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ic work distribu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ic workload distribu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main controller distributes work even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ents in which a main controller assigns and allocates a wor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ents of a distribution rate of a plurality of robots to be controlled by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ntents distributed by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each operation time.
13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each operation time considering the operation time.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tic work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ic work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ic work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100)은 컨베이어(10), 복수의 로봇(30) 및 작업 분배 장치(50)를 포함한다.1 and 2, a static work distribution system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10, a plurality of robots 30, and a work dispense device 50. As shown in FIG.

컨베이어(10)는 작업 대상물을 일 방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데 컨베이어(10)는 롤러 타입 또는 벨트 타입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진행 방향과 수직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컨베이어(10)는 생산, 이동, 포장, 적재 등의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로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 대상물은 컨베이어(10)의 상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veyor 10 serves to convey the workpiec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veyor 10 may be a roller type or a belt type. The conveyor 10 may have a constant width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 conveyor 10 can move the workpiece in a state where the workpie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o automate at least one of processes such as production, movement, packaging, and loading. At this time, the workpiece may be irregularly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10. [

복수의 로봇(30)은 컨베이어(10)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복수 작업 대상물에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데 복수의 로봇(30)은 작업 대상물을 픽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로봇(30)은 컨베이어(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봇(30)은 컨베이어(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컨베이어(10) 측부에 배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픽업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로봇(30)은 각각 작업 대상물을 픽업하는 픽업부와, 픽업부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구비하는 구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픽업부는 작업 대상물을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픽업하는 흡입 유닛이거나, 복수의 핑거를 가진 그립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암은 픽업부를 컨베이어(10) 상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픽업된 작업 대상물의 하중을 고려하고, 픽업부의 효율적인 전방향 이동을 위해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로봇(30)은 컨베이어(10)를 통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보조 컨베이어(11)로 픽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로봇(30)은 서로 다른 속도로 컨베이어(10)를 통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작업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obots (30) are placed on the conveyor (10) and perform work on a plurality of moving objects to be mov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bots 30 can perform a role of picking up a workpiece. The plurality of robots 3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image sensor 2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10. [ The plurality of robots 30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10 or on the side of the conveyor 10 to pick up the workpiece.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30 may include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a workpiece and a drive arm having at least one joint for moving the pickup unit. Here, the pickup unit may be a suction unit that picks up a workpiece by sucking the workpiece through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grip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ngers. The drive arm can move the pick-up portion outward on the conveyor 10, and can take a plurality of joints for efficient forward movement of the pick-up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picked up workpiece. The plurality of robots 30 can perform a role of picking up a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ing through the conveyor 10 by the auxiliary conveyor 11.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obots 30 can work a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ing through the conveyor 10 at different speeds.

작업 분배 장치(50)는 이미지 센서(20) 및 메인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The work distribution device 50 includes an image sensor 20 and a main controller 40. [

이미지 센서(20)는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10) 초입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0)는 카메라가 될 수 있으며, 작업 대상물과 관련한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0)는 하나의 카메라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각 카메라의 영상을 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sensor 2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10 and can acquire an image of the entrance of the conveyor 10. This image sensor 20 can be a camera and can be configured to acquire a plurality of images related to a workpiece. The image sensor 20 may be a singl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age sensor 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meras and may combine images of the cameras to generate an image.

메인 컨트롤러(40)는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를 통해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한다.The main controller 40 acquires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20, extracts posi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and distributes th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30 through position information.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40)는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Here, the main controller 40 can distribut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30 through a plurality of algorithms.

즉 메인 컨트롤러(40)는 복수의 로봇(30)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30)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컨베이어(10)에 대한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30)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30)이 각각 입력받은 분배율로 작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ain controller 40 distributes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equally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according to the order of input, assigns work areas to the respective robots by assigning them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workload to the robot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or to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30 to work at the input distribution ratios.

이때 메인 컨트롤러(40)는 각 알고리즘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40 can distribute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by changing each algorithm according to the situation.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40)는 컨베이어(10)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경우, 복수의 로봇(30)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30)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workpieces to be input from the conveyor 10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main controller 40 distributes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equally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 The work area can be assigned to each robot and distributed.

또한 메인 컨트롤러(40)는 컨베이어(10)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을 경우, 복수의 로봇(30)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40 can distribute the plurality of robots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when the amount of the workpieces to be input from the conveyor 1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또한 메인 컨트롤러(40)는 복수의 로봇(30) 각각의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40)는 복수의 로봇(30)에 할당된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 저장하고, 작업자로부터 각 로봇에 대한 분배율을 할당 받아 복수의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40 can accumulate and store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of the plurality of robots 3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40 cumulatively stores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and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by allocating the distribution ratios to the respective robots from the opera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50)는 공정 생산라인 환경에 따라 상황에 맞는 정적 작업 분배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누락된 작업 대상물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 설치가 필요 없고, 설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d uses a static job distribution algorithm suitable for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production line environment, thereby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And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장치(50)는 복수의 로봇(30)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함으로써, 설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로봇의 작업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by distributing the workload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orkload of the robo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40)는 통신부(41), 입력부(42), 표시부(43), 저장부(44) 및 제어부(45)를 포함한다.1 to 3, a main controlle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 an input unit 42, a display unit 43, a storage unit 44, and a control unit 45 .

통신부(41)는 컨베이어(10), 이미지 센서(20) 및 복수의 로봇(3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소 통신부(41)는 컨베이어(10)를 구동 및 정지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이미지 센서(20)를 구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고, 복수의 로봇(3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41)는 유선 통신방식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컨베이어(10), 이미지 센서(20) 및 복수의 로봇(30)과 각각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데 통신부(41)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을 사용하거나,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1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nveyor 10, the image sensor 20, and the plurality of robots 30. [ The small communication section 41 transmits a signal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conveyor 10, transmits a signal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image sensor 20, receives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20 , And a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30 can be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unit 41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nveyor 10, the image sensor 20, and the plurality of robots 3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1 use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 FTTC (Fiber to the Curb), FTT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입력부(42)는 컨베이어(10), 이미지 센서(20) 및 복수의 로봇(30)을 구동 및 정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작업 분배 시스템(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각종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45)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4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42 receives signals for driving and timing the conveyor 10, the image sensor 20 and the plurality of robots 30 and receives various input signals related to the function control of the work distribution system 100 To the control unit 45. The input unit 42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joystick, etc., as well as any type of input means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표시부(43)는 작업 분배 시스템(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 표시부(43)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하거나, 제어부(45)에 의해 결정되는 그룹에 대한 좌표값을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거나, 각 로봇의 작업 순서 등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3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operation results, and the like that occur during the functioning of the work distribution system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43 outputs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displays coordinate values for the group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45 on a graph, and displays the operation order of each robot on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43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CD (TFT-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matrix OLED (OLED), a retina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저장부(44)는 작업 분배 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및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예컨데 저장부(44)는 복수의 로봇(30)에 투입 순서에 따라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 각 로봇에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 복수의 로봇(30) 중 하나에 분배율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 복수의 로봇(30)이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4 stor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algorithms for driving the work distribution system 1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44 stores an algorithm for distributing work evenly to a plurality of robots 30 in the order of input, an algorithm for assigning and allocating work areas to the robots, And an algorithm for distributing the plurality of robots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제어부(45)는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를 통해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한다.The control unit 45 acquires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20,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and distributes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여기서 제어부(45)는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45 can distribute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through a plurality of algorithms.

즉 제어부(45)는 복수의 로봇(30)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30)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컨베이어(10)에 대한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30)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30)이 각각 입력받은 분배율로 작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45 distributes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equally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according to the order of input, assigns the work areas to the respective robots by assigning them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workload to the robot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or to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30 to work at the input share ratio.

이때 제어부(45)는 각 알고리즘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복수의 로봇(30)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5 may distribute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by changing the respective algorithm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예컨데 제어부(45)는 컨베이어(10)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경우, 복수의 로봇(30)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30)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workpieces to be input from the conveyor 10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the control unit 45 distributes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equally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according to the order of input, Work areas can be assigned and distributed to each robot.

또한 제어부(45)는 컨베이어(10)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을 경우, 복수의 로봇(30)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5 can distribute the plurality of robots 30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when the amount of the work objects to be input from the conveyor 1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또한 제어부(45)는 복수의 로봇(30) 각각의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5)는 복수의 로봇(30)에 할당된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 저장하고, 작업자로부터 각 로봇에 대한 분배율을 할당 받아 복수의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5 can accumulate and store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of the plurality of robots 3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5 cumulatively stores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robots 30, and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by allocating the distribution rates to the respective robots from the operat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lgorithm for distributing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by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main controller distributes work even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에 작업 대상물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는 작업 대상물의 투입 순서에 따라 균등한 비율로 작업 대상물을 복수의 로봇에 각각 분배할 수 있다.4 to 8, the main controller can evenly distribute work objects to a plurality of robots. That is, 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the workpiece to a plurality of robots at an equal ratio according to the order of putting the workpiec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로봇을 통해 작업하는 경우, 작업 대상물을 1:1 또는 2:2로 투입 순서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는 1:1로 균등하게 분배할 경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로부터 작업 대상물이 촬영되면, 촬영된 작업 대상물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하고, 제1 로봇에 작업 대상물의 좌표 값과, 각도 정보 등을 전달하여 작업을 할당한다. 메인 컨트롤러는 다음 작업 대상물이 투입되면, 작업 대상물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하고, 제2 로봇에 작업 대상물의 좌표 값과, 각도 정보 등을 전달하여 작업을 할당한다.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when the main controller is operated through the first robot and the second robo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workpiece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order of 1: 1 or 2: 2 . 5 to 8, when the workpiece is photographed from the image sensor, the coordinate values for the photographed workpiece are extracted, and the first robot Coordinate values of work objects, angle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assign tasks. When the next workpiece is inserted, the main controller extrac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workpiece, and assigns the work to the second robot by transmitting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angle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ents in which a main controller assigns and allocates a wor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는 작업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기준을 나누어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로봇을 이용할 경우, 컨베이어의 Y축을 기준으로 영역에 대한 비율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을 제1 및 제2 로봇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할당된 영역에 위치한 작업 대상물은 해당 로봇에 의해 각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ain controller can assign tasks to a plurality of robots by dividing a re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That is, when using the first and second robots facing each other, the main controller can set the ratio of the area to the area based on the Y axis of the conveyor, and assign the set area to the first and second robot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work objects located in the allocated area can be respectively operated by the robo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복수의 로봇에 대한 분배율이 입력받아 제어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ents of a distribution rate of a plurality of robots to be controlled by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 각각의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어느 한 로봇에 분배량이 집중되거나, 어느 한 로봇에 분배량이 적을 경우, 특정 로봇에 분배량이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여 작업 대상물을 한 로봇에 집중 할당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ain controller accumulates distribution amounts of work objects of a plurality of robots, and when distribution amounts are concentrated in one robot or distribution amount is small in one robot, So that the work object can be concentratedly allocated to one robot.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는 어느 한 로봇에 분배량이 적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분배량이 적은 로봇에 대한 분배율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로봇이 입력받은 분배율로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ribution amount of a robot is small,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a distribution rate for a robot having a small distribution amount by an operator,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operated at a distribution ratio inputted by the input robo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ntents distributed by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each operation tim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이 최대가 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분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work objects to a plurality of robots in such a manner that the workload is maximiz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즉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이 각각 영점 위치에 있을 때,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 설정된 지점과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와 복수의 로봇 각각의 이동 속도를 통해 복수의 로봇 각각의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에 대한 작업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로봇에 해당 작업 대상물을 할당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robots are respectively at the zero point position, the main controlle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each predetermined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working time for each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of each of the robots and assign the corresponding work object to the robot whose calculated work time is shorter than a preset time.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설정 지점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 및 복수의 작업 대상물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를 통해 복수의 로봇과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는 작업 대상물과 로봇의 기 설정된 지점이 일직선 상에 있다고 가정한 상태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plurality of robots and the workpieces, respectively, through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one end of the conveyor adjacent to the robot,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orkpieces and one end of the conveyor adjacent to the robot.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can perform the measuremen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workpiece and the preset point of the robot are on a straight line.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는 하기의 알고리즘 코드를 통해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can allocat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considering the working time through the following algorithm code.

<시간 기반 작업 분배 알고리즘 코드><Time-based task distribution algorithm cod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d1은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의 일측단과 로봇의 기 설정된 지점과의 직선 거리(로봇이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경우 음수)이고, Sn은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 일측단과 작업 대상물의 직선 거리이고, vr은 로봇의 이동 속도이고, t는 작업자가 지정한 기 설정된 작업 시간이다.Where d 1 is the linear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robot when the robot is at the zero point position (negative when the robot is positioned on the conveyor), S n is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workpiece and the straight line distance, r v is a moving speed of the robot, t is a work time group set the operator specified.

또한 메인 컨트롤러는 제1 로봇에 할당된 제1 작업 대상물과, 제1 작업 대상물과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제2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서로의 거리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main controller can judge whether or not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ork objects assigned to the first robot and the second work object continuously inputted with the first work object, have.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는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에서 제1 작업 대상물을 보조 컨베이어에 픽업 후 다시 영점으로 위치하는 시간과, 제1 작업 대상물의 픽업 후 제2 작업 대상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제1 로봇이 제2 작업 대상물을 집을 때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robot to move the first workpiece to the second conveyor after the first robot picks up the first workpiece to the auxiliary conveyor at the zero point and the time it takes to reach the second workpiece after picking up the first workpiece, When the robot picks up the second workpiece, the robot can predict the position of the second workpiece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piece can be operated.

이때 제1 로봇이 제1 작업 대상물을 집는데 걸리는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robot to pick up the first workpiece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또한 제1 로봇이 제1 작업 대상물을 집은 후 보조 컨베이어에 내려놓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Also,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robot to lower the first workpiece to the auxiliary conveyor after being picked up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제1 로봇이 제1 작업 대상물의 픽업을 완료하고, 다시 영점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Also,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robot to complete the pickup of the first workpiece and then move to the zero point position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또한 제1 로봇이 제2 작업대상물을 집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 4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Also,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robot to pick up the second workpiece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수학식 4]&Quot; (4) &quot;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그리고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4를 통해 제1 로봇이 제2 작업 대상물을 집을때의 위치를 하기의 수학식 5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first robot holding the second workpiece can be estimated through Equation (5) using Equations (1) to (4).

[수학식 5]&Quot; (5) &quot;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여기서 d1은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의 일측단과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지점 사이의 수직 거리이고, d2는 제1 작업 대상물이 보조 컨베이어에 놓여지는 지점과 컨베이어의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이고, d3는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지점과 제1 작업 대상물이 보조 컨베이어에 놓여지는 지점 사이의 수평 거리이고, yn는 제1 및 제2 작업 대상물과 컨베이어의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이고, vcon은 컨베이어의 속도이다.Where d 1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robot when the first robot is at the zero point and d 2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workpiece is placed on the auxiliary conveyor and one end of the conveyor D 3 is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robot and a point on which the first workpiece is placed on the auxiliary conveyor and y n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orkpieces and one side of the conveyor Distance, and v con is the speed of the conveyor.

즉 메인 컨트롤러는 최종적으로 제1 로봇이 제2 작업 대상물을 집을 때의 위치가 제1 로봇의 작업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controller can judge that the operation is impossible if the position at the time when the first robot picks up the second workpiece eventually deviates from the work area of the first robot.

이때 메인 컨트롤러는 제1 로봇에서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2 작업 대상물을 작업이 가능한 로봇 중 작업 시간이 최소인 로봇에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robot can not perform the task, the main controller can allocate the second work object to the robot having the least work time among the robots capable of work.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는 하기의 알고리즘 코드를 통해 작업 가능 여부를 적용하여 시간 기반 작업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can perform the time-based task distribution by apply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through the following algorithm code.

<작업 가능 여부를 적용한 시간 기반 작업 분배 알고리즘 코드><Time-based task distribution algorithm code with workability enabled>

#include <stdio.h>#include <stdio.h>

#include <math.h>#include <math.h>

typedef struct ProductInfotypedef struct ProductInfo

{{

unsigned int Number;  unsigned int Number;

unsigned int CoordinatesX; unsigned int CoordinatesX;

unsigned int CoordinatesY; unsigned int CoordinatesY;

int Angle; int Angle;

unsigned int Matching; unsigned int Matching;

unsigned int ConstEncoder; unsigned int ConstEncoder;

unsigned int RealEncoder; unsigned int RealEncoder;

unsigned int RobotID;  unsigned int RobotID;

struct ProductInfo* next;  struct ProductInfo * next;

} __attribute__ ((__packed__)) ProductInfo;} __attribute__ ((__packed__)) ProductInfo;

unsigned int ProductCount = 0;unsigned int ProductCount = 0;

unsigned int Distribution_count = 0unsigned int Distribution_count = 0

unsigned int IDnum = 0;unsigned int IDnum = 0;

unsigned int ID[MAX_ROBOT_NUMBERS];unsigned int ID [MAX_ROBOT_NUMBERS];

ID[0] = 0x01;ID [0] = 0x01;

for(i = 1; i < MAX_ROBOT_NUMBERS; i++)for (i = 1; i <MAX_ROBOT_NUMBERS; i ++)

{{

ID[i] = ID[i-1] + 0x01;  ID [i] = ID [i-1] + 0x01;

}}

#define CONVEYOR_TO_ARM // d1#define CONVEYOR_TO_ARM // d1

#define CONVEYOR_TO_PLACE // d2#define CONVEYOR_TO_PLACE // d2

#define PLACE_TO_ARM // d3#define PLACE_TO_ARM // d3

#define VELOCITY_ROBOT // vr#define VELOCITY_ROBOT // vr

#define VELOCITY_CONVEYOR // vcon#define VELOCITY_CONVEYOR // vcon

#define WORKING_SITE#define WORKING_SITE

#define USER_SET_TIME#define USER_SET_TIME

void DistributionAlgorithm(ProductInfo * BeforeData, ProductInfo * ProductData)void DistributionAlgorithm (ProductInfo * BeforeData, ProductInfo * ProductData)

{{

int time_b1; // tb1  int time_b1; // tb1

int time_a[3]; // ta1, ta2, ya3  int time_a [3]; // ta1, ta2, ya3

int RealPosition; // xb2  int RealPosition; // xb2

ProductInfo BeforeData = ID[0].before;  ProductInfo BeforeData = ID [0] .before;

time_b1 = (Product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ARM) / VELOCITY_ROBOT;  time_b1 = (Product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ARM) / VELOCITY_ROBOT;

if(time_b1 < USER_SET_TIME_A)  if (time_b1 <USER_SET_TIME_A)

{  {

time_a[0] = (Before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ARM) / VELOCITY_ROBOT;    time_a [0] = (Before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ARM) / VELOCITY_ROBOT;

time_a[1] = sqrt(pow((Before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PLACE), 2) +    time_a [1] = sqrt (pow ((BeforeData.CoordinatesY + CONVEYOR_TO_PLACE), 2) +

pow(PLACE_TO_ARM, 2)) / VELOCITY_ROBOT;                pow (PLACE_TO_ARM, 2)) / VELOCITY_ROBOT;

time_a[2] = sqrt(pow((CONVEYOR_TO_PLACE - CONVEYOR_TO_ARM), 2) + pow(PLACE_TO_ARM, 2))    time_a [2] = sqrt (pow ((CONVEYOR_TO_PLACE - CONVEYOR_TO_ARM), 2) + pow (PLACE_TO_ARM, 2)

/ VELOCITY_ROBOT;                / VELOCITY_ROBOT;

RealPosition = VELOCITY_CONVEYOR * (time_a[0] + time_a[1] + time_a[2] + time_b1)    RealPosition = VELOCITY_CONVEYOR * (time_a [0] + time_a [1] + time_a [2] + time_b1)

+ ProductData.CoordinatesX;                    + ProductData.CoordinatesX;

if(RealPosition < WORKING_SITE)    if (RealPosition <WORKING_SITE)

{    {

ProductData.RobotID = ID[0];        ProductData.RobotID = ID [0];

ID[0].before = &ProductData;        ID [0] .before = &ProductData;

}    }

else    else

ProductData.RobotID = ID[1];        ProductData.RobotID = ID [1];

}  }

else  else

ProductData.RobotID = ID[1];    ProductData.RobotID = ID [1];

}}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in consideration of each operation tim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의 일측단과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지점과의 직선 거리(d1)이 100mm이고,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 일측단과 제1 작업 대상물의 직선 거리(S1)가 60mm이고, 제1 로봇의 속도(v1)이 200mm/s이고, 제1 로봇에 기 설정된 작업 시간이 0.5s라고 가정하였다.13, when the linear distance d 1 between one end of the conveyor and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robot is 100 mm when the first robot is at the zero point position, and when the first robot is at the zero point, It is assumed that the linear distance S 1 of the first workpiece is 60 mm, the speed v 1 of the first robot is 200 mm / s, and the work time preset for the first robot is 0.5 s.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제1 로봇이 제1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면, 0.25s가 계산된다. 따라서 제1 작업 대상물이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범위 이하이기 때문에 메인 컨트롤러는 제1 작업 대상물을 제1 로봇에 할당하게 된다.Referring to Equations (1) to (5) above, 0.25s is calculated when calculat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first robot to work the first workpiece. Therefore, since the first work object is less than the preset range of the first robot, the main controller assigns the first work object to the first robot.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 대상물이 투입된 이후 제2 작업 대상물이 투입되고,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 일측단과 제2 작업 대상물의 직선 거리가 50mm라고 가정하였다.Next, as shown in FIG. 14,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workpiece is inserted after the first workpiece is inserted,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second workpiece is 50 mm when the first robot is at the zero point position.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제1 로봇이 제2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면, 0.25s가 계산된다. 따라서 제2 작업 대상물이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범위 이하이기 때문에 메인 컨트롤러는 제2 작업 대상물을 제1 로봇에 할당하게 된다.Referring to equations (1) to (5) above, 0.25s is calculated when calculat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first robot to work the second workpiece. Therefore, the main controller assigns the second work object to the first robot because the second work object is below the preset range of the first robot.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업 대상물이 투입된 이후 제3 작업 대상물이 투입되고,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일 때 컨베이어 일측단과 제3 작업 대상물의 직선 거리가 130mm라고 가정하였다.As shown in FIG. 15, it is assumed that the third workpiece is inserted after the second workpiece is inserted,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third workpiece is 130 mm when the first robot is at the zero point.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제1 로봇이 제3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면, 0.65s가 계산된다. 따라서 제3 작업 대상물이 제1 로봇의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메인 컨트롤러는 제3 작업 대상물의 작업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다른 로봇에 제3 작업 대상물을 할당하게 된다.Referring to Equations (1) to (5) above, when calculating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robot to work the third workpiece, 0.65s is calculated. Therefore, since the third work object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rst robot, the main controller allocates the third work object to another robot within the working time of the third work objec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 작업 분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tatic work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을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메인 컨트롤러는 컨베이어를 제어하여 작업 대상물을 운반시킨다.Referring to FIG. 13, in step S10,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conveyor to convey the workpiece.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메인 컨트롤러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작업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통해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Next, in step S20,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the image of the workpiece taken from the image sensor, and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piece through the received image.

그리고 S30 단계에서 메인 컨트롤러는 위치 정보를 통해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In step S30, 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the work to the plurality of robots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Here, 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through a plurality of algorithms.

즉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컨베이어에 대한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하거나, 복수의 로봇이 각각 입력받은 분배율로 작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controller distributes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uniformly to a plurality of robot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input, assigns work areas to the robots by assigning them to the robots, or distributes the work time of each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to a plurality of robots So as to maximize the workload, or to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to work at the respective input distribution ratios.

이때 메인 컨트롤러는 각 알고리즘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복수의 로봇에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th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by changing each algorithm according to the situation.

예컨데 메인 컨트롤러는 컨베이어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경우, 복수의 로봇에 투입 순서에 따라 복수의 로봇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배하거나, 각 로봇에 작업 영역을 지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workpieces input from the conveyor is larger than a preset amount, the main controller distributes the work to a plurality of robots uniformly to a plurality of robots according to the order of input, or assigns a work area to each robot have.

또한 메인 컨트롤러는 컨베이어로부터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을 경우, 복수의 로봇에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분배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can distribute the plurality of robots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when the amount of the workpieces inputted from the convey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또한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 각각의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는 복수의 로봇에 할당된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 저장하고, 작업자로부터 각 로봇에 대한 분배율을 할당 받아 복수의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main controller can accumulate and store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of the plurality of robots.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cumulatively stores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work object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robots, and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robots by allocating the distribution ratios to the respective robots from the operator.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컨베이어 11 : 보조 컨베이어
20 : 이미지 센서 30 : 복수의 로봇
40 : 메인 컨트롤러 41 : 통신부
42 : 입력부 43 : 표시부
44 : 저장부 45 : 제어부
50 : 작업 분배 장치 100 : 작업 분배 시스템
10: Conveyor 11: Auxiliary conveyor
20: image sensor 30: plural robots
40: main controller 41:
42: input section 43: display section
44: storage unit 45: control unit
50: work distribution apparatus 100: work distribution system

Claims (10)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메인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moving through the conveyor;
Extra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from the image taken by the image sensor, and outputting, through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 working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disposed around the conveyor to 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A main controller for calculating and distributing a workpiece having a calculated work ti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o the robot;
Wherein the static work dispens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이 각각 영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 설정된 지점과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와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이동 속도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에 대한 작업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로봇에 해당 작업 대상물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Wherein the plurality of robots each measure a distance between a predetermined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when the plurality of robots are respectively in the zero point position, Calculates a work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of the robots of the robot and assigns the work objects to the robot whose calculated work time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의 기 설정된 지점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상기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과 해당 로봇과 인접한 상기 컨베이어 일측단 사이의 수직 거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과 상기 작업 대상물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nd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preset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and one end of the conveyor adjacent to the robot and a vertical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conveyor and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and a side of the conveyor adjacent to the robot, And measures the distance of each of the objec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봇은,
상기 컨베이어의 인근에 구비되는 보조 컨베이어에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robots comprises:
And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are picked up on an auxiliary conveyo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제1 로봇에 할당된 제1 작업 대상물과, 상기 제1 작업 대상물과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제2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서로의 거리와 각각의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ork can be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ork object and the second work object continuously inputted to the first robot and the respective work times,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로봇이 영점 위치에서 상기 제1 작업 대상물을 상기 보조 컨베이어에 픽업 후 다시 영점으로 위치하는 시간과, 상기 제1 작업 대상물의 픽업 후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을 집을 때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여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The first robot moves to the auxiliary conveyor after the first workpiece is picked up to the auxiliary conveyor at the zero point and again at the zero point and the time taken to reach the second workpiece after picking up the first workpiece, When the first robot picks up the second workpiece,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workpie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work can be per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로봇에서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작업 대상물을 작업이 가능한 로봇 중 상기 작업 시간이 최소인 로봇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nd allocates the second work object to the robot having the minimum work time among the robots capable of performing the 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can not be performed by the first robo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봇에 할당된 작업 대상물의 분배량을 누적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로봇의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에 대한 분배율을 입력받고, 해당 로봇이 입력받은 분배율로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작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plurality of robots to which the plurality of robots are assigned, a cumulative distribution amount of the work object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robots, a distribution rate for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of the plurality of robots, Wherein the static working dispenser comprises: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컨베이어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로봇;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메인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시스템.
A conveyor for convey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ed by the conveyor;
A plurality of robots disposed around the conveyor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the plurality of workpieces; And
Extra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calculating a working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bots to work on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 main controller for distributing a workpiece having a work ti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ime to the robot;
Wherein the static work dispense system comprises:
메인 컨트롤러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작업 대상물 각각을 작업하는 작업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작업 대상물을 해당 로봇에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적 작업 분배 방법.
The main controller receiving an image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moved by the conveyor from the image sensor and extra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the received image;
Wherein the main controller extract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and calculates a work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by the plurality of robots through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Distributing a workpiece having a calculated work ti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ime to the robot;
Wherein the static workload distribution method comprises:
KR1020170094035A 2017-07-25 2017-07-25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09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5A KR102309915B1 (en) 2017-07-25 2017-07-25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5A KR102309915B1 (en) 2017-07-25 2017-07-25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55A true KR20190011855A (en) 2019-02-08
KR102309915B1 KR102309915B1 (en) 2021-10-08

Family

ID=6536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35A KR102309915B1 (en) 2017-07-25 2017-07-25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1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37A (en) * 2019-04-30 2020-1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ask assigning method and task assigning system for two heterogeneous robots
US10997550B1 (en) 2020-01-03 2021-05-04 Coupang, Corp. Item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fine tuned delivery scheduling
KR20220028407A (en) * 2020-08-28 2022-03-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Distribution robot system and optimizing method a work order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8414A1 (en) 2022-07-22 2024-01-25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Sorting system for sorting objects in a material stream according to object classes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conveyed in a material stream according to object class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683A (en) * 1995-11-10 1997-05-20 Fanuc Ltd Visual sensor-robot system for making a plurality of robots perform tracking action
JPH1119891A (en) * 1997-06-30 1999-01-26 Yaskawa Electric Corp Handling method for moving object and calibration method in handling device for moving object
JP2007030087A (en) * 2005-07-26 2007-02-08 Fanuc Ltd Physical distribution tracking device
JP2013000860A (en) * 2011-06-20 2013-01-07 Yaskawa Electric Corp Picking system
WO2014013609A1 (en) * 2012-07-20 2014-01-23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system and article transfer method
KR101683087B1 (en) 2015-01-29 2016-12-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system for classifying goo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683A (en) * 1995-11-10 1997-05-20 Fanuc Ltd Visual sensor-robot system for making a plurality of robots perform tracking action
JPH1119891A (en) * 1997-06-30 1999-01-26 Yaskawa Electric Corp Handling method for moving object and calibration method in handling device for moving object
JP2007030087A (en) * 2005-07-26 2007-02-08 Fanuc Ltd Physical distribution tracking device
JP2013000860A (en) * 2011-06-20 2013-01-07 Yaskawa Electric Corp Picking system
WO2014013609A1 (en) * 2012-07-20 2014-01-23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system and article transfer method
KR101683087B1 (en) 2015-01-29 2016-12-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system for classifying go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37A (en) * 2019-04-30 2020-1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ask assigning method and task assigning system for two heterogeneous robots
US10997550B1 (en) 2020-01-03 2021-05-04 Coupang, Corp. Item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fine tuned delivery scheduling
US11681981B2 (en) 2020-01-03 2023-06-20 Coupang Corp. Item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fine tuned delivery scheduling
KR20220028407A (en) * 2020-08-28 2022-03-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Distribution robot system and optimizing method a work order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915B1 (en)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915B1 (en) Static work distribu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5454B1 (en) Work distribution device for efficient robo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9384027B (en) Robot system
KR100478451B1 (en) Control method of conveying system
KR100461869B1 (en) Control method of conveying system
JP6496333B2 (e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using at least one sensor
US10384880B2 (en) Workpiece supply system
US20150134110A1 (en) Robot system and article transfer method
CN105573322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robot wheel footpath compensation
EP2876067A1 (en) Robot system and article transfer method
US10252416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having temporary placement section
JP2013049500A (en)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method for guided vehicle system
CN109789545A (en) For controlling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speed of transport path
US11073823B2 (en) Robot and robot maintenance timing notification method
KR20070076161A (en) Tracking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object of robot
US11286117B2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CN114056839A (en) Convey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thereof
KR102109006B1 (en) Dynamic work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14655621A (en) Conveyance control system, conveyance system,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KR101812627B1 (en) Speed Buffer, In-Line Type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14391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and placing items
KR20170132118A (en) Speed Buffer, In-Line Type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4342819A1 (en) Warehousing system and method
CN113219979B (en) Macroscopic allocatio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dust-free workshop
KR102669180B1 (en) Loader-based automation device using ser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