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572A -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 Google Patents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572A
KR20190011572A KR1020170094264A KR20170094264A KR20190011572A KR 20190011572 A KR20190011572 A KR 20190011572A KR 1020170094264 A KR1020170094264 A KR 1020170094264A KR 20170094264 A KR20170094264 A KR 20170094264A KR 20190011572 A KR20190011572 A KR 2019001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ll portions
portions
block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572A/en
Publication of KR2019001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pole circuit breaker capable of securing explosion proof properties comprises: a block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terminal and a housing which includes a support unit supporting the terminal, walls extended from the support unit to be in parallel with the terminal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protrusion unit formed in at least one of inner side surfaces of the walls; and a protec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hook unit coupled to the protrusion unit between the walls and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blocking unit.

Description

보호부를 갖는 단극 차단기{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0001]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0002]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호부를 갖는 단극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 monopole breaker having a protective portion.

일반적으로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극의 회로가 연결된다. 각각의 단극 차단기는 각각의 극에 대응하여, 회로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단극 차단기는 각각의 극에 대응하여, 회로를 개폐한다. 이 때 회로 상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이상전류가 발생되면, 단극 차단기가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단극 차단기는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극 차단기와 연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Generally, at least one pole circuit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load. Each single-pole circuit breaker is mounted on the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pole. The single-pole circuit breaker opens and closes the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pole. If an abnormal current such as an overcurrent or a short-circuit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ircuit at this time, the unipolar breaker can block the circuit and protect the load. These monopole breakers may be installed individually and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onopole break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단극 차단기는 회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의 적어도 일 부분이 단극 차단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단극 차단기에서 아크 발생 시, 단자를 통해 다른 단극 차단기, 외부 기기 또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However, such a monopole breaker includes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at least a part of the termin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nopole breaker. This may adversely affect other single-pole circuit breakers, external equipment or the human body through terminals when an arc occurs in the single-pole circuit-break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갖는 단극 차단기가 제공된다. 즉 단극 차단기에서 단자의 노출이 최소화되고 단자를 위한 절연 거리가 유지됨으로써, 단극 차단기의 방폭성이 확보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re is provided a monopole breaker having a protective portion for protecting the terminal. That is, the exposure of the terminal is minimized in the unipolar breaker and the insulation distance for the terminal is maintained, whereby the explosion resistance of the unipolar breaker can be ensured.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부들 및 상기 벽부들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단부, 및 상기 벽부들 사이에서 상기 돌기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nopole break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t least one terminal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erminal, wall portions extending from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parallel across the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walls A blocking portion including a housing including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in any one of the wall portions and at least one hook portion fastened to the protrusion between the wall portions, Sec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지지부의 맞은 편에서 상기 벽부들 사이를 덮는 제 1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 1 커버부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further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1 커버부로부터 상기 벽부들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벽부들 사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in parallel to the wall portions, and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들은, 상기 제 1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말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hooks may include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a bending portion bending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to receive the protrusion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1 커버부와 제 2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벽부들의 외측면들에 적층되는 제 3 커버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third cover part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and stack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art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벽부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lo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and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3 커버부들에서 상호에 대향하는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third cover portions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 portion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may be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along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3 커버부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o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reces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and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단자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include an opening formed to expose the terminal.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부가 차단부에 체결됨으로써, 단극 차단기의 방폭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보호부가 차단부에서 단자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단자를 위한 절연 거리를 유지하여, 단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보호부가 차단부에서 각각의 단자에 대응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단극 차단기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극 차단기는 보호부를 통해 다른 단극 차단기와 연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단극 차단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단극 차단기와 연접하여 설치되더라도, 단극 차단기의 방폭성이 확보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ive portion is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so that the explosion resistance of the single-pole breaker can be ensured. That is, the protective portion can protect the terminal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terminal at the blocking portion and maintaining the insulation distance for the terminal. At this time, since the protective portion is fast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at the blocking portion, the single-pole breaker can be install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single-pole circuit-breake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ngle-pole circuit-breaker through the protective portion. In other words, even if the unipolar breakers are provided individually or in connection with other unipolar breakers, the explosion resistance of the unipolar breakers can be ensured.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차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차단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1에서 보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1에서 차단부와 보호부 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들 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nopole break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in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in Fig. 1. Fig.
FIGS. 4,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protection unit in FIG.
FIGS. 7,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ortion i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monopole break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rather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have," "have," "include,"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such features, such as numerals, function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 first " or " second ", and the like, may denote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 / or importance, and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But do not limit the components.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차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차단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1에서 보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1에서 차단부와 보호부 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들 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nopole break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ing portion in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blocking portion in FIG. FIGS. 4,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protection unit in FIG. FIGS. 7,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ortion i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monopole break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극 차단기(100)는 차단부(110)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극 차단기(100)에서,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이 정의될 수 있다.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은 상호에 직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극 차단기(100)의 높이가 제 1 축 상에서 결정되고, 단극 차단기(100)의 길이가 제 2 축 상에서 결정되며, 단극 차단기(100)의 폭이 제 3 축 상에서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monopole breake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blocking portion 110 and at least one protection portion 120. At this time, in the unipolar breaker 100, the first axis,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can be defined. The first axis,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unipolar breaker 100 is determined on the first axis, the length of the unipolar breaker 100 is determined on the second axis, and the width of the unipolar breaker 100 can be determined on the third axis.

차단부(110)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서, 하나의 극에 대응하여 회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110)는 해당 극에 대응하여,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회로 상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이상전류가 발생되면, 차단부(110)가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10)들, 구동부(도시되지 않음), 핸들(220) 및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ing portion 110 may be provided on the circuit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load, corresponding to one pole. The blocking portion 110 can open and close the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le. At this time, if an abnormal current such as an overcurrent or a short-circuit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ircuit, the blocking portion 110 can block the circuit and protect the load. The blocking portion 110 may include terminals 210, a driving portion (not shown), a handle 220, and a housing 230 as shown in FIGS.

단자(210)들은 회로와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210)들은 상호로부터 제 2 축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단자(210)들 중 어느 하나는 전원 측에 연결되고, 단자(210)들 중 다른 하나는 부하 측에 연결될 수 있다. Terminals 210 may be provided for connection to the circuit. Here, the terminals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One of the terminal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other of the terminal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load side.

구동부는 단자(210)들 간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구동부는 단자(210)들을 연결하거나, 단자(210)들을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는 단자(210)들에 접촉하거나, 단자(210)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can contro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210. [ That is, the driving unit may connect the terminals 210 or disconnect the terminals 210. [ To this end, the driving portion may contact the terminals 210 or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s 210.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be rotatably installed.

핸들(220)은 차단부(110)의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220)은 차단부(110)의 현재 상태, 즉 단자(210)들 간 연결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핸들(220)이 구동부와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핸들(220)은 사용자 조작에 기반하여, 구동부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220)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구동부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전류가 발생되면, 구동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핸들(220)이 회전할 수도 있다. The handle 220 may be provided for user manipulation of the blocking portion 110. The handle 220 may guide the current state of the blocking unit 110, that is, whether the terminal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is end, the handl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At this time, the handle 220 can apply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user's operation. For example, the handle 220 may be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to apply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r. On the other hand, if an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the handle 22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하우징(230)은 단자(210)들, 구동부 및 핸들(220)을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30)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30)은 단자(21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자(210)들이 하우징(230)의 외부에서 회로와 연결되고,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구동부와 접촉하거나 구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0)은 핸들(220)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들(220)이 하우징(230)의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구동부와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30)은 단자(210)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지지부(231), 벽부(233)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35) 및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110)의 오목부(237)는 제 1 오목부(237)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The housing 230 may receive and support the terminals 210, the driver, and the handle 220. To this end, the housing 23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t this time, the housing 230 exposes one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s 210 to the outside and can receive the remaining portion. The terminal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outside the housing 230 and may be in contact with or detached from the driving unit within the housing 230. The housing 230 may expose a portion of the handle 220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handle 220 is operated by the user outside the housing 23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within the housing 230. This housing 230 may include a support 231, a wall 233, at least one protrusion 235 and at least one recess 237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terminals 210 . Here, the concave portion 237 of the blocking portion 11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지지부(231)는 단자(2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31)는 단자(210)를 제 1 축에서 일 방향, 예컨대 상향으로 단자(21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31)는 단자(21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231 can support the terminal 210. [ Here, the support portion 231 can support the terminal 210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in the first axis. And the support portion 231 may expose a portion of the terminal 210. [

벽부(233)들은 단자(210)를 사이에 두고, 상호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벽부(233)들은 지지부(231)로부터 상호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벽부(233)들은 지지부(231)로부터 제 1 축에서 일 방향, 예컨대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호로부터 제 3 축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벽부(233)들의 내측면들과 외측면들이 제 3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벽부(233)들의 내측면들이 상호에 대향하여, 상호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벽부(233)들의 외측면들이 각각의 벽부(233)를 기준으로 내측면들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벽부(233)들 사이의 영역으로, 단자(210)가 노출될 수 있다. The wall portions 233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terminal 210 therebetween. To this end, the wall portions 233 may extend from the support portion 231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ere, the wall portions 233 extend from the support portion 231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in the first axis,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axis. And the inner surfaces and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axis.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re disposed opposite to the inner side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wall portions 233. Through this, the terminal 210 can be exposed to the region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돌기부(235)는 벽부(233)들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235)는 단자(2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235)는 단자(210)로부터 제 1 축에서 일 방향, 예컨대 상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235)는 벽부(23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235)는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내측면들 중 다른 하나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235)가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벽부(23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부에 근접할수록, 짧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돌기부(235)가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단자(210)에 가까울수록, 길 수 있다. The protrusions 235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35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terminal 210. Here, the protrusion 23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210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For example, the protrusion 235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at least one of the wall portions 233. [ And the protrusion 235 may protrude from one of the inner surfaces to the other one of the inner surfaces.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35 protruding from any one of the inner surfaces may be shorter toward the distal end of at least one of the wall portions 233.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rotrusion 235 from any one of the inner surfaces may be longer as the terminal 210 is closer.

제 1 오목부(237)는 벽부(233)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목부(237)는 제 1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오목부(237)는 벽부(233)들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로부터 차단부(110)의 높이 이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오목부(237)가 벽부(233)들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차단부(110)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제 1 오목부(237)의 단면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ecess 237 may be recessed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Here, the first recess 237 may extend along the first axis. The first recess 237 may extend from the distal end of one of the wall portions 233 to a length less than the height of the blocking portion 110.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first recess 237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any one of the wall portions 233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blocking portion 110. For example, on a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may have a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보호부(120)는 차단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부(120)가 단자(210)들 중 어느 하나를 절연시켜, 차단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부(12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호부(120)는 단자(210)들에 대향하여, 차단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20)가 차단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120)는 벽부(233)들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2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부(410), 제 2 커버부(420), 제 3 커버부(430)들,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440),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450) 및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20)의 오목부(460)는 제 2 오목부(460)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portion 120 may be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110. Accordingly, the protection unit 120 can insulate any one of the terminals 210 to protect the blocking unit 110. To this end, the protection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t this time, the protection portion 120 may be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110 in opposition to the terminals 210. [ Here, the protection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blocking unit 110. [ And the protective portion 120 may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area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 4, 5, and 6, the protection unit 120 includes a first cover unit 410, a second cover unit 420, a third cover unit 430, at least one hook A portion 440, at least one convex portion 450, and at least one recess 460. Here, the concave portion 460 of the protection portion 12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concave portion 460.

제 1 커버부(410)는 벽부(233)들을 사이에 두고, 지지부(231)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버부(410)는 벽부(233)들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부(410)는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나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버부(410)가 벽부(233)들에 밀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커버부(410)의 내측면이 벽부(233)들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커버부(410)가 지지부(231)의 맞은 편에서, 벽부(233)들의 사이를 덮을 수 있다. The first cover portion 41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31 with the wall portions 233 therebetween. And the first cover portion 410 may be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Here, the first cover part 410 may be parallel to a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Also, the first cover portion 4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portions 233. In other word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410 can contact the wall portions 233. Through this, the first cover portion 410 can cover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31.

제 2 커버부(420)는 제 1 커버부(410)로부터 벽부(233)들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커버부(420)는 벽부(233)들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커버부(420)는 제 1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나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커버부(420)는 제 1 커버부(410)에 연결되고, 제 1 커버부(4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커버부(420)는 제 1 커버부(410)로부터 제 1 축에서 타 방향, 예컨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부(420)는 제 1 커버부(410)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버부(420)가 벽부(233)들에 밀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커버부(420)의 내측면이 벽부(233)들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버부(420)가 벽부(233)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커버부(420)의 내측면이 벽부(233)들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커버부(420)는 개구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421)는 단자(210)와 회로의 연결을 위해, 단자(21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커버부(420)가 지지부(231)와 제 1 커버부(410) 사이에서, 벽부(233)들 사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extend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410 in parallel to the wall portions 233.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be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Here,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be parallel to a plane formed by the first axis and the third axis. The second cover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410 and may extend from the first cover part 410. Here, the second cover part 420 may extend from the first cover part 410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irst axis, for example, downward.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be formed vertically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portions 233. In other word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can contact the wall portions 23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wall portions 233. In other word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not contact the wall portions 233.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may include an opening portion 421. The opening 421 may expose the terminal 210 for connection of the terminal 210 and the circuit.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can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31 and the first cover portion 410. [

예를 들면, 보호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커버부(420)에서 개구부(421)의 위치 및 사이즈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선이 제 2 커버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차단부(110)에 보호부(120)를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제 2 커버부(420)에서 절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개구부(42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선의 개수에 따라, 개구부(421)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ection portion 120 can b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t least one cutting line indic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pening 421 in the second cover part 42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ver part 420. And the protection unit 120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s. 6 and 7. Fig. The user may form an opening 421 along at least one of the cut lines in the second cover part 420 in order to mount the protection part 120 on the blocking part 110. [ Here, the size of the opening 42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utting lines.

제 3 커버부(430)들은 제 1 커버부(410)와 제 2 커버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3 커버부(430)들은 차단부(110)를 사이에 두고, 상호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커버부(430)들은 제 1 축과 제 2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나란하고, 상호로부터 제 3 축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커버부(430)들은 제 1 커버부(410)와 제 2 커버부(420)에 수직하고, 벽부(233)들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커버부(430)들의 내측면들이 상호에 대향하여, 상호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제 3 커버부(430)의 외측면들이 각각의 제 3 커버부(430)를 기준으로 내측면들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커버부(430)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벽부(233)들의 외측면들에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커버부(430)의 내측면들이 벽부(233)들의 외측면들에 대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3 커버부(430)들은 제 1 커버부(410), 제 2 커버부(420) 및 벽부(233)들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다.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At this time,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blocking portion 110 therebetween. Here,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parallel to the plane formed by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axis. For example,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wall portions 233.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ar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third cover portion 430, As shown in FI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lamina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Here,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 430 may be oppos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ccordingly,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can cov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 portion 410, the second cover portion 420, and the wall portions 233.

후크부(440)는 제 1 커버부(4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440)는 벽부(233)들 사이에서 돌기부(23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440)는 바디부(441)와 벤딩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41)는 제 1 커버부(41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제 1 커버부(4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441)는 벽부(233)들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441)는 제 1 커버부(4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 1 축에서 타 방향, 예컨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벤딩부(443)는 바디부(441)의 말단부에서 벽부(233)들의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벤딩부(443)가 벽부(233)들의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와 바디부(441) 사이에서 돌기부(235)를 수용할 수 있다. The hook portion 44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nd the hook portion 440 can be fasten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35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The hook portion 440 may include a body portion 441 and a bending portion 443. The body portion 441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nd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410. [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441 may extend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Here, the body portion 441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410 in the other direction, e.g., downward, from the first axis. The bending portion 443 may be bent again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41. [ The bending portion 443 can receive the protrusion 235 between any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and the body portion 441.

볼록부(450)는 제 3 커버부(430)들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450)는 벽부(233)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 1 오목부(237)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450)는 제 1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볼록부(450)는,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커버부(41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일 단부로부터 제 3 커버부(430)들의 높이 이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볼록부(450)가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제 3 커버부(430)들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볼록부(450)가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제 1 오목부(237)가 벽부(233)들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이하일 수 있다. 게다가,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볼록부(450)는 제 1 오목부(237)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볼록부(450)의 단면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onvex portion 450 may be formed convexly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 The convex portion 45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233. [ Here, the convex portion 450 may extend along the first axis. The convex portion 45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third cover portion 430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cover portion 410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450 extending from one end of any one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The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450 extending from one end of any one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extending from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wall portions 233 . In addition, on the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the convex portion 45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For example, on a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the cross section of the convex portion 450 may have a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제 2 오목부(460)는 제 3 커버부(430)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오목부(460)는 제 1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오목부(460)는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커버부(410)에 대응하는 타 단부로부터 제 3 커버부(430)들의 높이 이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오목부(460)가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제 3 커버부(430)들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제 2 오목부(460)의 단면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concave portion 460 may be recessed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Here, the second recess 460 may extend along the first axis. The second recess 460 may extend from one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to a length less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from the oth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ver portion 410 .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460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any one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For example, on a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cess 460 may have a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부(12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20)는 제 1 축에서 타 방향, 예컨대 하방으로 이동하여, 차단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볼록부(450)가 제 1 오목부(237)에 삽입되면서, 제 1 오목부(237) 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450)는 제 3 커버부(430)들 중 어느 하나의 일 단부를 시작으로, 벽부(233)들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에서 제 1 오목부(23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록부(45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목부(237)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버부(410)가 벽부(233)들의 말단부에 접근하면서, 후크부(440)가 벽부(233)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부(410)가 벽부(233)들에 밀착될 때, 후크부(440)가 돌기부(235)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크부(44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35)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보호부(120)가 차단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tection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the block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 Here, the protector 12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irst axis, for example, downward, and can be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convex portion 450 can be sli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Here, the convex portion 4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at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wall portions 233 starting from one end of any one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Through this, the convex portion 450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as shown in Fig. And, as the first cover portion 410 approaches the distal end of the wall portions 233, the hook portion 440 can enter between the wall portions 233. Here, when the first cover portion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portions 233, the hook portion 440 can receive the protrusion 235. [ Thus, the hook portion 440 can be fasten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35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rotection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blocking unit 110 such that the protection unit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blocking unit 11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수개의 단극 차단기(100)들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극 차단기(100)들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단극 차단기(100)들은 제 3 축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단극 차단기(100)들의 제 3 커버부(430)들이 상호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극 차단기(100)들의 제 2 오목부(460)들이 상호에 대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오목부(460)들이 체결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축과 제 3 축으로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체결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1000)가 제 2 오목부(460)들 사이에 삽입되면서, 제 2 오목부(460)들, 즉 체결 홀 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100)는 제 3 커버부(430)들의 타 단부에서 제 2 오목부(460)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monopole breakers 100 may be combined as shown in FIG. To this end, the monopole breakers 10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Here, the unipolar breakers 1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third axis. At this time, the third cover parts 430 of the unipolar breakers 100 can contact each other. And the second recesses 460 of the unipolar breakers 100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second recesses 460 can form a fastening hole. For example, on a plane formed by the second axis and the third axis, the fastening holes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lso, while the fastening member 1000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recesses 460, it can slide in the second recesses 460, i.e., the fastening holes. Here, the fastening member 1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recesses 460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cover portions 43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부(120)가 차단부(110)에 체결됨으로써, 단극 차단기(100)의 방폭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보호부(120)가 차단부(110)에서 단자(210)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단자(210)를 위한 절연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부(120)가 단자(210)를 절연시켜, 차단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보호부(120)가 차단부(110)에서 각각의 단자(210)에 대응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단극 차단기(100)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극 차단기(100)는 보호부(120)를 통해 다른 단극 차단기(100)와 연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단극 차단기(10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단극 차단기(100)와 연접하여 설치되더라도, 단극 차단기(100)의 방폭성이 확보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ince the protection portion 120 is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110, the explosion resistance of the single pole breaker 100 can be ensured. That is, the protection portion 120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terminal 210 at the blocking portion 110 and maintain the insulation distance for the terminal 210. In this way, the protection unit 120 can insulate the terminal 210 and protect the blocking unit 110. At this time, since the protection unit 120 is fasten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210 at the blocking unit 110, the single pole breaker 100 can be install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unipolar break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unipolar breaker 100 through the protection unit 120. [ In other words, even if the unipolar breaker 100 is provided individually or in connection with the other unipolar breaker 100, the explosion resistance of the unipolar breaker 100 can be ensured.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general predefined terms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terpreted in the same or similar sense as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clud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 In some cases, even the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100 단극 차단기
110 차단부 120 보호부
210 단자 220 핸들
230 하우징 231 지지부
233 벽부 235 돌기부
237 제 1 오목부 410 제 1 커버부
420 제 2 커버부 421 개구부
430 제 3 커버부 440 후크부
441 바디부 443 벤딩부
450 볼록부 460 제 2 오목부
100 single-pole breaker
110 blocking portion 120 protection portion
210 Terminal 220 Handle
230 Housing 231 Support
233 wall portion 235 protrusion
237 first concave portion 410 first cover portion
420 second cover portion 421 opening
430 Third cover part 440 Hook part
441 Body part 443 Bending part
450 convex portion 460 second concave portion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부들 및 상기 벽부들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단부; 및
상기 벽부들 사이에서 상기 돌기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An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and the wall portions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terminal therebetween, A blocking portion including a housing; And
And at least one hook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portion between the wall portions, the protective portion being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block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지지부의 맞은 편에서 상기 벽부들 사이를 덮는 제 1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 1 커버부에 연결되는 단극 차단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cover portion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1 커버부로부터 상기 벽부들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벽부들 사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in parallel to the wall portions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들은,
상기 제 1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말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5] The apparatus of claim 3,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And a bending portion bending at a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to receive the protru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1 커버부와 제 2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벽부들의 외측면들에 적층되는 제 3 커버부들을 더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And third cover portion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stack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벽부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reces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and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3 커버부들에서 상호에 대향하는 내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를 더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vex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mutually facing inner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부에 체결되는 단극 차단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is fastened to the blocking portion along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3 커버부들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들이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at least one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outer side surfaces of the third cover portions and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portions exten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단자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단극 차단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And an opening formed to expose the terminal.
KR1020170094264A 2017-07-25 2017-07-25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KR201900115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64A KR20190011572A (en) 2017-07-25 2017-07-25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64A KR20190011572A (en) 2017-07-25 2017-07-25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72A true KR20190011572A (en) 2019-02-07

Family

ID=6536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64A KR20190011572A (en) 2017-07-25 2017-07-25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5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554B1 (en) Circuit breaker terminal shield with position indicator
CA2973821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terminal guard assembly
KR20190011572A (en) Single pole circuit breaker having protecting unit
EP2685480B1 (en) Move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EP3526808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nsing assembly therefor
EP2685481B1 (en) Circuit breaker
CA2977995C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ard member therefor
US20220285105A1 (en) Terminal cover
KR101912698B1 (en) Circuit breaker having operating device
JP6984029B2 (en) Electronic trip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2650896B1 (en)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US10460885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ard member therefor
US984271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rain relief assembly therefor
CN220233060U (en) Circuit breaker
EP3462473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ccessory wire retention assembly therefore
JP7346127B2 (en) plug-in breaker
JP7386528B2 (en) Quick connection terminal unit and switchboard
JP6604898B2 (en) Plug attachment
JPH07153364A (en) Earth leakage br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