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553A - 딸기 냉동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딸기 냉동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553A
KR20190011553A KR1020170094230A KR20170094230A KR20190011553A KR 20190011553 A KR20190011553 A KR 20190011553A KR 1020170094230 A KR1020170094230 A KR 1020170094230A KR 20170094230 A KR20170094230 A KR 20170094230A KR 20190011553 A KR20190011553 A KR 2019001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strawberries
fixing plate
lid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644B1 (ko
Inventor
서범석
윤두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원스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원스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원스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이웃한 딸기들이 접촉되지않도록 각각 세운상태에서 저온창고에 이동시켜 급속 냉동시킴에 따라 딸기들이 서로 뭉쳐진 상태로 냉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 후에도 딸기 외형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는
수확되는 딸기를 수용하여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하기 위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딸기꼭지를 끼울 수 있도록 종,횡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되는 딸기꼭지 삽입홀과,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자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끼워지는 딸기꼭지를 네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딸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을 포함하는 딸기 고정판;
상기 딸기 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뚜껑;
상기 딸기 고정판을 받쳐 지지하고 상기 유동방지홈에 고정되는 딸기꼭지를 수용하며, 상기 유동방지홈으로부터 상기 딸기 꼭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배수구가 관통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뚜껑 일측에 설치되고, 저온창고에 대한 딸기의 입고날짜, 냉동날짜, 출구날짜, 딸기 재배자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설정영역내에 위치될 경우 카드리더기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을 수 있는 RF-ID태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딸기 냉동 보관용기{a storing vessel of frozen srawberry}
본 명세서는 냉동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닐하우스 등에서 수확후 세척되는 딸기를 저온창고에서 냉동 보관하기 위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빛깔이 고아 먹음직스럽고 맛이 있어 즐겨 먹는 과일이다.
이와 반면에, 딸기의 경우 겉이 무르고 수분이 많게 되어 단시간에 부패하게 되어 유통기간이 짧게 되므로 수확 후 세척되는 딸기를 포장상자에 수용한 후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시켜 보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확되는 딸기를 세척 후 포장상자에 수용한 후 임의온도로 급속 냉동시키기 위해 포장상자의 딸기를 저온창고에 옮기는 과정에서 충격 등으로 인해 딸기가 유동되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딸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인접한 딸기들을 달라붙은 상태로 냉동시킬 경우 냉동 후 유통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딸기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51680호(2014.10.10.등록.)에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가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웃한 딸기들이 접촉되지않도록 각각 세운상태에서 저온창고에 이동시켜 급속 냉동시킴에 따라 딸기들이 서로 뭉쳐진 상태로 냉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 후에도 딸기 외형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보관용기 일측에 설치된 RF태그에 의해 저온창고로 딸기의 입고 및 출고되는 날짜 및 딸기 재배자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확되는 딸기를 수용하여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하기 위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딸기꼭지를 끼울 수 있도록 종,횡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되는 딸기꼭지 삽입홀과,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자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끼워지는 딸기꼭지를 네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딸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을 포함하는 딸기 고정판;
상기 딸기 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뚜껑;
상기 딸기 고정판을 받쳐 지지하고 상기 유동방지홈에 고정되는 딸기꼭지를 수용하며 상기 유동방지홈으로부터 상기 딸기 꼭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배수구가 관통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뚜껑 일측에 설치되고, 저온창고에 대한 딸기의 입고날짜, 냉동날짜, 출구날짜, 딸기 재배자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설정영역내에 위치될 경우 카드리더기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을 수 있는 RF-ID태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이웃한 딸기들이 접촉되지않도록 각각 세운상태에서 저온창고에 이동시켜 냉동시킴에 따라 딸기들이 서로 뭉쳐진 상태로 냉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후에도 딸기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딸기 상품성을 높여 딸기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보관용기 일측에 설치된 RF태그에 의해 저온창고에 대한 딸기의 입고날짜, 냉동날짜, 출구날짜, 딸기 재배자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딸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용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관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용기에서,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냉동 보관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냉동 보관용기는
비닐하우스, 노지, 또는 수경재배되어 수확되는 딸기를 세척 후 저장시 외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딸기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하기 위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딸기꼭지(10)를 끼울 수 있도록 종,횡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되는 딸기꼭지 삽입홀(11)과, 딸기꼭지 삽입홀(11)에 +자 방향으로 연통되고 딸기꼭지 삽입홀(11)에 끼워지는 딸기꼭지(10)를 네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딸기(12)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13)을 포함하는 딸기 고정판(14);
딸기 고정판(1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딸기 고정판(14)에 고정되는 딸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15)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뚜껑(16);
딸기 고정판(14)을 받쳐 지지하고 유동방지홈(13)에 고정되는 딸기꼭지(10)를 수용하여 유동방지홈으로부터 딸기 꼭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공간(17)이 형성되며, 딸기 고정판(14)에 고정되는 딸기(12)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배수구(18)가 관통형성되는 받침대(19);
뚜껑(16) 일측에 설치되고, 저온창고에 대한 딸기(12)의 입고날짜, 냉동날짜, 출고날짜, 딸기 재배자 등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설정영역내에 위치될 경우 카드리더기(미 도시됨)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을 수 있는 RF-ID태그(20);를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받침대(19)의 내측 바닥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받침대(19) 내부에 세척수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21);을 구비한다.
딸기 고정판(14)에 고정되는 딸기(12) 거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뚜껑(16)은 투명체로 형성된다.
딸기 고정판(14)으로부터 뚜껑(16)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16)의 네 귀퉁이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로킹핀(22);
로킹핀(22)과 대응되게 딸기 고정판(14)에 형성되는 로킹홀(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냉동 보관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 또는 노지의 재배단지, 또는 수경재배되어 수확되는 딸기를 세척 후 저장시 딸기 신선도를 유지하고, 또한 딸기 외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받침대(19)에 의해 지지된 딸기 고정판(14)으로부터 뚜껑(16)을 분리시킨다.
즉, 뚜껑(16) 바닥면에 연장형성된 로킹핀(22)을 이와 대응되게 딸기 고정판(14)에 관통형성된 로킹홀(23)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뚜껑(16)을 딸기 고정판(1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비닐하우스 등의 집단 재배단지로부터 수확되는 딸기(12)의 딸기꼭지(10)를 딸기 고정판(14)에 종,횡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된 딸기꼭지 삽입홀(11)에 삽입시킨 후, 딸기꼭지(10)를 딸기꼭지 삽입홈(11)에 +자 방향으로 연통된 4개의 유동방지홈(13) 중, 어느 하나의 유동방지홈(13)에 끼워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딸기꼭지(10)를 딸기꼭지 삽입홈(11)에 삽입시킨 후 유동방지홈(13)에 고정시킴에 따라 딸기(12)를 딸기 고정판(14)에 세운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딸기 고정판(14)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딸기(12)를 수돗물 등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딸기(12)의 표면 또는 딸기꼭지(10)에 잔류된 먼지, 흙, 벌레 등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세척한다.
이와 같이, 딸기(12) 및 딸기 꼭지(10)를 세척한 세척수 및 이물질은 딸기 고정판(14)의 딸기꼭지 삽입홀(11) 및 유동방지홈(13)을 통과하여 받침대(19)에 낙하된다.
이때, 딸기(12)를 세척한 세척수는 딸기 고정판(14)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4a)에 의해 딸기 고정판(14) 외부로 유출되어 인접한 딸기 고정판(미 도시됨)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딸기 고정판(14)으로부터 받침대(19)에 낙하되는 세척수는 받침대(19)의 내측 바닥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에 의해 중앙쪽으로 집수된 후, 배수구(18)를 통해 받침대(19)로부터 배출되어 소정의 집수장으로 집수된다.
이로 인해, 받침대(19) 내부에 세척수가 잔류됨에 따라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킬 경우 세척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단지로부터 수확된 딸기(12)가 딸기 고정판(14)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후 세척수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경우 딸기 고정판(14)에 뚜껑(16)을 결합시킨다. 이때 뚜껑(16)이 투명체로 형성됨에 따라 딸기 고정판(14)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딸기(12) 거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딸기 고정판(14)의 네 모서리에 관통형성된 로킹홀(23)에 이와 대응되게 뚜껑(16)의 플랜지(도면부호 미 표기됨)에 연장형성된 로킹핀(22)을 결합시킴에 따라 딸기 고정판(14)에 뚜껑(16)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딸기(12)를 냉동시키기 위해 저온창고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 또는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키는 냉동과정에서 딸기 고정판(14)으로부터 뚜껑(16)이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딸기(12)가 저온창고로 이동될 경우 임의온도를 유지하는 냉동시스템에 의해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저온창고에 운반된 딸기(12)를 냉동시스템에 의해 급속냉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딸기 고정판(14)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킬 경우, 딸기(12)가 유동방지홈(13)에 의해 종,횡방향으로 임의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많은 수분이 포함한 상태의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키는 경우에도 이웃한 딸기(12)가 냉동중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냉동된 딸기(12)를 저온창고에서 출고시켜 소비자에게 유통시킬 경우에 딸기(12)가 냉동전 상태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딸기(12) 상품성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뚜껑(16) 일측에 설치된 RF-ID태그(20)에 의해 저온창고에 입,출고되어 급속냉동되는 딸기(12)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딸기(12) 재배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딸기 고정판(14)에 고정된 딸기(12)를 저온창고(미 도시됨)에 입고시키는 입고날짜, 저온 냉동시스템에 의해 딸기(12)를 급속냉동시키는 냉동일짜, 저온창고로부터 냉동상태의 딸기(12)를 출고시키는 출고날짜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딸기 재배재와 관련된 데이터(일 예로서, 딸기 재배자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말함)를 RF-ID태그(20)에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창고에 입고된 냉동상태의 딸기(12)를 관리하기 위해 카드리더기(미 도시됨)를 휴대한 관리자가 뚜껑(16)에 부착된 RF-ID태그(20)의 설정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또는 뚜껑(16)에 부착된 RF-ID태그(20) 저온창고의 출입구에 부착된 카드리더기의 설정영역 내에 치할 경우, 카드리더기(미 도시됨)에 의해 RF-ID테그(20)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카드리더기에 의해 RF-ID테그(20)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딸기 꼭지
11; 딸기 꼭지 삽입홀
12; 딸기
13; 유동방지홈
14; 딸기 고정판
15; 내부공간
16; 뚜껑
17; 내부공간
18; 배수구
19; 받침대
20; RF-ID태그
21; 경사면
22; 로킹핀
23; 로킹홀

Claims (4)

  1. 수확되는 딸기를 수용하여 저온창고에서 급속 냉동하기 위한 딸기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딸기꼭지를 끼울 수 있도록 종,횡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되는 딸기꼭지 삽입홀과,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자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딸기꼭지 삽입홀에 끼워지는 딸기꼭지를 네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딸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을 포함하는 딸기 고정판;
    상기 딸기 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뚜껑;
    상기 딸기 고정판을 받쳐 지지하고 상기 유동방지홈에 고정되는 딸기꼭지를 수용하며, 상기 유동방지홈으로부터 상기 딸기 꼭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배수구가 관통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뚜껑 일측에 설치되고, 저온창고에 대한 딸기의 입고날짜, 냉동날짜, 출고날짜, 딸기 재배자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설정영역내에 위치될 경우 카드리더기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을 수 있는 RF-ID태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내측 바닥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내부에 세척수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딸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딸기 거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은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딸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뚜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의 네 귀퉁이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로킹핀;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게 상기 딸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로킹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냉동 보관용기.
KR1020170094230A 2017-07-25 2017-07-25 딸기 냉동 보관용기 KR10195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30A KR101956644B1 (ko) 2017-07-25 2017-07-25 딸기 냉동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30A KR101956644B1 (ko) 2017-07-25 2017-07-25 딸기 냉동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53A true KR20190011553A (ko) 2019-02-07
KR101956644B1 KR101956644B1 (ko) 2019-03-12

Family

ID=6536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30A KR101956644B1 (ko) 2017-07-25 2017-07-25 딸기 냉동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144Y1 (ko) * 2002-09-02 2002-11-22 김종선 딸기 상자
KR20060024336A (ko) * 2003-10-24 2006-03-16 도시바 테리 가부시키가이샤 Rfid 태그를 부착한 대상물, 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50876B1 (ko) * 2007-06-13 2008-08-11 유인호 딸기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144Y1 (ko) * 2002-09-02 2002-11-22 김종선 딸기 상자
KR20060024336A (ko) * 2003-10-24 2006-03-16 도시바 테리 가부시키가이샤 Rfid 태그를 부착한 대상물, 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50876B1 (ko) * 2007-06-13 2008-08-11 유인호 딸기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44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664B2 (en) Cascading plant growth system and plant growth tray
US10736285B2 (en) Hydroponic plant display system
US11564360B2 (en) Planting pot and tray system and method
DK178956B1 (en) Transport container having an identification carrier
US2015021613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grow ring for produce
US7020997B1 (en) Support system for potted plants
CN104254241A (zh) 用于植物的保持器和植物栽培方法
US20140048435A1 (en)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ansportation and Display of Plants and Flowers
US20180064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owing plants with a rectangular root zone
KR20180028212A (ko) 신선 농작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6644B1 (ko) 딸기 냉동 보관용기
NO20085395L (no) Systemkasse saerlig for transport av fersk fisk
US10492390B2 (en) Hydroponic display container for flowering bulbs
RU160359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луковичных растений
US8800860B2 (en) Plurality of plant pots for use in cultivating plants, assembly comprising such a plurality of plant pots, as well as a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EP2028922B1 (en) Modular container for bedder germination and/or storage
KR102513891B1 (ko) 주머니화분의 배송 및 재배용 운반상자
US20120051986A1 (en) Rack configured to support vials with identification indicia exposed
GB2260308A (en) Labels for plant containers
CN109699485A (zh) 水培结构及水培盒子的使用方法
US20180332785A1 (en) Strip channel growing apparatus and method
CN106212241B (zh) 用于桃树的自降温水培盆
US20180064036A1 (en) Live plant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17216A (ko) 모종의 안전배송을 위한 모종 포장용기
JP2022055691A (ja) 陳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