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551A - 발열조끼 - Google Patents

발열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551A
KR20190011551A KR1020170094226A KR20170094226A KR20190011551A KR 20190011551 A KR20190011551 A KR 20190011551A KR 1020170094226 A KR1020170094226 A KR 1020170094226A KR 20170094226 A KR20170094226 A KR 20170094226A KR 20190011551 A KR20190011551 A KR 2019001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vest
user
hea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172B1 (ko
Inventor
전광식
정한준
선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공사
Priority to KR102017009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후방측에 대응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 측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전방측을 감싸되 마주하는 단부가 지퍼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전면부와,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양 옆구리 부분과 대응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조끼본체 및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되, 휴대 가능한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면은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게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는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발열조끼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열조끼{Heat Vest}
본 발명은 발열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온열 가능한 발열패드가 조끼를 착용하는 사용자와 직접 접하도록 상기 발열패드가 조끼 내면에서 사용자를 향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에는 두꺼운 겨울철 의류를 착용하여 체온을 보온하였으며, 이러한 겨울철 의류는 순모 등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겨울철 의류는 상당한 중량감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높은 활동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나, 이러한 직업군을 가진 사람에게는 착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경찰 공무원, 군인 등 실외에서 장기간 근무해야 하는 직업을 갖는 사람들이나 골프와 같은 외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작용할 경우 겨울철 의류는 중량감에 의해 활동성이 떨어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62730호를 참고하면 면상발열체를 내장시킨 패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방한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열패드가 제안되었으나, 상기 발열패드를 겨울철 의복에 별도로 부착해야 하므로 착용감이 저하되고 의류의 무게가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38호를 참고하면, 겨울철에 착용할 수 있는 조끼 안쪽 수납주머니에 핫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겨울철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발열조끼가 제안된바 있으나, 상기 구성의 의류는 입는 의류의 형태로 사용자의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입는 사람의 체형별로 다양한 크기의 조끼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체형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상체와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온열이 가능한 발열조끼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겨울철 중량감은 최소화하되 보온의 효과는 향상된 발열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상체와 밀착되어 온열이 가능한 발열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열조끼는,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후방측에 대응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 측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전방측을 감싸되 마주하는 단부가 지퍼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전면부와,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양 옆구리 부분과 대응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조끼본체 및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되, 휴대 가능한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면은 상기 후면부에서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게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는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발열 가능한 발열패드가 설치된 발열조끼를 구현함으로써, 겨울철 활동성이 높은 직업이나 환경에서 무게감이 높은 겨울철 옷을 착용하지 않고도 보온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 몸체의 등과 접하는 발열패드의 발열면을 세라믹 재질을 이용하여 코팅함에 따라 발열패드의 내열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발열조끼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몸체와 직접 접하는 발열면의 마모, 파손 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발열패드를 발열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복수 개 수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를 복수 형성하여 발열패드를 충분히 발열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열조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발열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발열패드의 부분 부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발열조끼의 배터리수납부에 수납된 배터리 팩의 단자와 단자장착부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배터리수납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열조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발열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발열패드의 부분 부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발열조끼의 배터리수납부에 수납된 배터리 팩의 단자와 단자장착부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조끼(10)는 발열조끼(10)의 후면이 발열되어 온열 가능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온열 구성의 발열패드(200)가 조끼본체(100)의 후면부(120)에 마련된 예를 들지만, 상기 발열패드(200)는 조끼본체(100)의 전면부(140), 측면부(180) 및 후면부(120)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조건에 따라 발열패드(200)는 복수의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조끼(10)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온열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발열조끼(10)는, 조끼본체(100)와 발열패드(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조끼본체(100)는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후방측인 등과 대응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후면부(120)와, 상기 후면부(120) 양 측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전방측을 감싸되, 마주하는 단부가 지퍼(16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전면부(140)와,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양 옆구리 부분과 대응하고 전면부(140)와 후면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후면부(120)에는 후술할 후면부(120) 내면에서 발열패드(200)가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도록 후면부(120) 내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는 노출되는 발열패드(200)의 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에 발열패드(200)를 장착한 후에는 발열패드(200) 주변을 재봉으로 고정하여 절개부에서 발열패드(2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끼본체(100)는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합성고무의 일종인 네오프렌(Neoprene)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소재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끼본체(100)는 발열패드(2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발열패드(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50)이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수납부(130)는 마주하는 전면부(140a, 140b) 중 어느 하나의 전면부(140a, 140b) 외피에 전면부(1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터리수납부(130)는 배터리 팩(50)이 수납되면 배터리 팩(50)을 감싸는 수납본체(132)와, 수납본체(132)의 일면에 형성되며, 배터리 팩(50)이 수납되도록 개방된 입구(134)와, 상기 입구(134)로 배터리 팩(50)이 수납되면 상기 입구(134)를 밀폐하여 입구(134)로 배터리 팩(50)이 배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구차단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본체(132)는 공용 가능한 배터리 팩(5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용되는 배터리 팩(5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구(134)는 발열조끼(10)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발열조끼(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터리 팩(50)을 배터리수납부(130)에 수납 또는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수납본체(132)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구차단부(136)는 입구(134) 일부를 차단하거나, 입구(134) 전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구(134)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입구차단부(136)는 일 단은 전면부(140)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타 단은 수납본체(132) 표면에 착탈 가능하다.
즉, 입구차단부(136)는 수납본체(132)에 배터리 팩(50)을 수납할 때 타 단이 수납본체(132) 표면에서 분리되고, 수납본체(132)에 배터리 팩(50)을 수납한 뒤에는 입구차단부(136)가 상기 입구(134)를 가로지르며 수납본체(132)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입구차단부(136)의 타 단이 수납본체(132)의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입구(134)의 개방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입구차단부(136)는 조끼본체(10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발열조끼(10)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손쉽게 수납본체(132)에서 입구차단부(136)를 탈착하여 입구(134) 개방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입구(134)를 밀폐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도록 배터리 팩(50)이 배터리수납부(13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끼본체(100)는 후술할 발열패드(200)의 열선(260)과 연결되며, 배터리수납부(130)에 수납된 배터리 팩(50)의 일 면에서 연장된 전선(52)의 단부에 마련된 단자(54)가 장착되는 단자장착부(15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단자장착부(150)는 배터리수납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부(180)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장착부(150)는 단자(54)가 장착되는 어댑터(Adapter)이며, 단자(54)가 장착되는 상기 어댑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댑터 주변을 원단으로 감싸 측면부(180) 외피에 재봉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조끼본체(100) 외피에서부터 단자장착부(150)의 높이(H₁)는 단자(54)를 보호하고 있는 단자 보호부(56)보다 높게 형성된다(H₂). 이는, 단자장착부(150)에 단자(54)가 장착된 후, 발열조끼(10) 착용자나 착용자 주변인에 의하여 단자장착부(150)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도 단자(54)가 단자장착부(150)에서 분리되거나 단자(5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패드(200)의 발열이 중단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조끼본체(100)의 후면부(120)에 설치되는 발열패드(200)는, 배터리 팩(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면을 포함하고, 발열면은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게 후면부(120)에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발열패드(200)는, 전면에 표면이 세라믹으로 코팅된 상기 발열면을 포함하는 발열판(220)과, 일 단을 발열판(220) 후면에 고정되고, 타 단은 후면부(120)를 관통하여 배터리 팩(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열선(260)과, 상기 열선(260)을 발열판(220) 후면에 고정하는 고정테이프(2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판(220)은 금속,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몸체와 접하는 발열판(220) 표면을 세라믹 코팅하여 발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발열판(220) 표면을 세라믹 소재의 실리콘,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의 금속 원료를 도포한 뒤 400° 이상 500°미만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전면에 발열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세라믹 코팅으로 발열판(220) 전면에 발열면을 형성함에 따라 배터리 팩(50)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판(220)이 가열되어도 상기 세라믹 코팅에 의해 내열성이 증가되어 발열판(2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판(220) 전면은 후면부(120) 내피에서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게 후면부(120)에 설치된다. 이때, 발열판(220) 자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코팅된 발열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므로, 발열조끼(1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발열면의 마모, 파손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발열면이 후면부(120) 내피에서 사용자 몸체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발열조끼(1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발열조끼(10) 착용 시, 발열패드(200)와 직접 접함으로써, 보온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다.
한편, 발열패드(200)는 열선(260)과 조끼본체(100)에 마련된 단자장착부(1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80)를 포함하고, 조끼본체(100) 후면부(120)에는 연결부(280)가 후면부(120)를 관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1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80)는 배터리 팩(50)으로부터 열선(260)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며,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열조끼(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구가 커지면 발열조끼(10) 착용 시,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수납부(130)와 단자장착부(150) 사이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단자장착부(150)에 배터리 팩(50)의 단자(54)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28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80)가 신축 가능하도록 꼬임이 있도록 형성하여 발열조끼(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구가 증가하여도 연결부(280)의 꼬임이 풀어지며 단자장착부(150)에 배터리 팩(50)의 단자(54)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열선(260)은 후면부(12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어 후면부(1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열선(260)과 연결부(280) 사이에는 스토퍼(264)가 마련되어 배출홀(190)로 열선(260)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64)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열선(260)이 열선(260)이 후면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열선(260) 노출로 인한 발열조끼(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64)는 배출홀(190)에 인접한 후면부(12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하고, 배출홀(19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배출홀(190)로 배출된 열선(260)을 일부 당겨도 열선(260)이 조끼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열선(260)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아 열선(26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발열판(220) 후면에는 열선(260)이 부착되어 배터리 팩(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열판(220)을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열선(260)과 발열판(220)을 고정테이프(240)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테이프(240)는 알루미늄 재질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테이프(240)로 발열판(220) 후면에 열선(260)을 고정한 뒤, 발열판(220) 후면에 실리콘 접착제(S)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S)는 상기 상기 발열패드(200)를 후면부(120)의 내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데, 상기 실리콘 접착제(S)는 고정테이프(240)와 후면부(120)의 내피가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S)는 단열 작용을 하므로 상기 열선(260)에서 발생된 열이 후면부(120)의 외피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판(220)으로 보다 많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배터리수납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발열조끼(10)에 전원을 공급할 때, 휴대용 배터리 팩(50)이 사용되는데, 발열조끼(10)와 함께 제공되는 배터리 팩(50) 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 팩(5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수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50)을 휴대하고 있다가 배터리 팩(50)에 저장된 전원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다른 패터리 팩(50)을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배터리 팩(50) 또는 복수의 배터리 팩(50)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배터리수납부(130)를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배터리수납부(130)는 큰 규격의 배터리 팩(50)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배터리수납부(130a)와, 제1 배터리수납부(130a) 전면에 제1 배터리수납부(130a)보다 작은 크기의 배터리 팩(50)이 수납될 수 있는 제2 배터리수납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에 서로 다른 배터리 팩이 수납되어도 하나의 입구차단부(136)가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의 상측의 입구(134a, 134b)를 동시에 밀폐하여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에 수납된 배터리 팩이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입구차단부(136)가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의 개구된 상측 일부를 밀폐할 때, 입구차단부(136) 타 단이 제2 배터리수납부(130b)의 외면에 붙어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를 동시에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에 각각 배터리 팩(50)이 보관되는 경우 또는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 중 어느 하나에 배터리 팩(50)이 보관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구차단부(136)가 제2 배터리수납부(130b)의 내면에 붙어 제1 배터리수납부(130a)를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1 배터리 수납부(130a)에 배터리 팩(50)이 보관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차단부(136)가 제2 배터리수납부(130b)의 외면에 붙어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의 입구(134a, 134b)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이 제1 배터리수납부(130ab)에 수납된 상태에서 입구차단부(136)의 끝 단이 제2 배터리수납부(130b)의 제2 수납본체(132b) 내면에 부착되어 제1 배터리수납부(130a)의 입구(134a)의 개방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배터리수납부(130a, 130b)의 재질은 네오플랜 재질로 구현되고, 입구차단부(136)의 재질은 벨크로 타입의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터리수납부(130b)는, 제1 배터리수납부(130a)의 내부에 제1 배터리수납부(130a)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배터리수납부(130b)가 제1 배터리수납부(130a)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제2 배터리수납부(130b)가 제1 배터리수납부(130a)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등의 외형 변화 없이 배터리수납부(130a, 130b)내에 크기가 상이한 배터리 팩(50)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수납부(130a, 130b)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발열조끼
100: 조끼본체
120: 후면부
140: 전면부
150: 단자장착부
180: 측면부
190: 배출홀
200: 발열패드
220: 발열판
240: 고정테이프
260: 열선
264: 스토퍼

Claims (5)

  1.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후방측에 대응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 측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전방측을 감싸되 마주하는 단부가 지퍼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피와 내피의 둘레를 재봉 고정한 전면부와, 사용자의 상체 몸체의 양 옆구리 부분과 대응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조끼본체; 및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되, 휴대 가능한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면은 사용자 몸체의 등을 향해 노출되게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는 발열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드는,
    전면에 표면이 세라믹으로 코팅된 상기 발열면을 포함하는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 후면에 고정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을 상기 발열판 후면에 고정하는 고정테이프와,
    상기 고정테이프와 상기 후면부가 접착되도록 하는 실리콘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끼본체는,
    상기 전면부,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와,
    상기 배터리수납부와 인접하고, 상기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팩에 연결된 전선의 단부의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드는,
    상기 열선과 상기 단자장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후면부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선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열선의 배출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KR1020170094226A 2017-07-25 2017-07-25 발열조끼 KR10198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26A KR101981172B1 (ko) 2017-07-25 2017-07-25 발열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26A KR101981172B1 (ko) 2017-07-25 2017-07-25 발열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51A true KR20190011551A (ko) 2019-02-07
KR101981172B1 KR101981172B1 (ko) 2019-05-22

Family

ID=6536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26A KR101981172B1 (ko) 2017-07-25 2017-07-25 발열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96B1 (ko) * 2019-12-18 2020-02-25 김희 발열 조끼
KR20220138083A (ko) * 2021-04-05 2022-10-12 (주)인터오션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170A (ja) * 1992-03-02 1993-09-24 Fujimori Kogyo Kk 温熱パッド
KR200202365Y1 (ko) * 2000-05-08 2000-11-15 이해석 무대의상
KR200463163Y1 (ko) * 2010-09-01 2012-10-18 박용민 엘이디를 장착한 안전 작업복
KR101746351B1 (ko) * 2016-10-07 2017-06-13 박의정 탈착형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조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170A (ja) * 1992-03-02 1993-09-24 Fujimori Kogyo Kk 温熱パッド
KR200202365Y1 (ko) * 2000-05-08 2000-11-15 이해석 무대의상
KR200463163Y1 (ko) * 2010-09-01 2012-10-18 박용민 엘이디를 장착한 안전 작업복
KR101746351B1 (ko) * 2016-10-07 2017-06-13 박의정 탈착형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조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96B1 (ko) * 2019-12-18 2020-02-25 김희 발열 조끼
KR20220138083A (ko) * 2021-04-05 2022-10-12 (주)인터오션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72B1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5400A (en) Heated headgear
US20060213895A1 (en) Heater jacket
US5620621A (en) Glove having heating element located in the palm region
US20050193742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e and method
US20040211189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80064190A1 (en) Outwear garment
US201703036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thermogenesis
US9781954B1 (en) Bra with warmer pockets
US10631606B1 (en) Pocket for electronic device
KR101981172B1 (ko) 발열조끼
KR20140108094A (ko) 발열 장갑
KR20110025531A (ko) 발열위치조정이 용이한 건강 열 조끼
CA2939303C (en) Hand warmer
WO2005010444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489803Y1 (ko) 귀마개 부착형 핫팩
KR100611231B1 (ko) 다목적 발열 이너웨어
KR101203900B1 (ko) 보온의류
KR20160061040A (ko) 발열조끼
KR102164069B1 (ko) 방한용 손가락 장갑
KR20110004213U (ko) 발열기능을 갖는 속옷
GB2410673A (en) Thermally insulating garment
KR101940654B1 (ko) 발열 장갑
KR20110025536A (ko) 배터리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발열의복
KR20210080820A (ko) 발열 장갑
KR19990035271U (ko) 건전지/충전지를사용한전열소자가내장된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