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448A -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 Google Patents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448A
KR20190011448A KR1020170094003A KR20170094003A KR20190011448A KR 20190011448 A KR20190011448 A KR 20190011448A KR 1020170094003 A KR1020170094003 A KR 1020170094003A KR 20170094003 A KR20170094003 A KR 20170094003A KR 20190011448 A KR20190011448 A KR 2019001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composition
extract
present
composition contain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용
Original Assignee
한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용 filed Critical 한재용
Priority to KR102017009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448A/ko
Publication of KR2019001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22Organic solvent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물질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은, 일반적인 항균 조성물과는 달리 항균 효과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은 세정 후, 다른 물질 또는 물체를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2차 세균 감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2차 세균 감염에 의한 부작용 등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GERANIUM NEPALENSE EXTRACT AS AN EFFECTIVE FACTOR AND HANDWASH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물질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란,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의 한 종(種)이다.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은 코, 호흡계통, 피부에 잘 존재한다. 피부 감염이나 호흡기계 감염, 부비강염,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병원체가 아닌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출현하여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생육함에 따라 세포집괴(덩어리)를 형성하는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세균. 건강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와 비강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내열성인 외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일으킨다. 또 식세포를 죽이는 독소(류코시딘), 용혈소, 응고효소 등을 분비하여 감염숙주세포의 저항성에서 벗어나 화농성 감염증을 일으키다. 페니실린 발견의 단서가 된 세균으로도 유명하다. 최근 병원내 등에서 대부분의 항생물질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균주인 MRSA(메티실린내 성황색포도상구균)가 출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번식이나 증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항균 기능을 가지 제품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장균(Escherichiacoli)은 간균에 속하는 장내세균으로 그람 음성균에 속하며, 대부분의 대장균은 상재균으로 병원균이 아니나, E. coli O157:H7이나 장내독소형 대장균 (ETEC, enterotoxigenic E. coli) 등은 병원성 대장균으로서 사람에게서 식중독을 유발하거나, 소, 돼지, 염소 등의 여러 동물들에서 설사를 일으킨다. 병원성 대장균은 60℃에서 10분간 가열했을 때 활성을 잃는 이열성독소 (heat-labile enterotoxin, LT)나 100℃에서 30분간 가열해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내열성독소 (heat-stable enterotoxin, ST)를 생산할 수 있다.
병원성 대장균 중에 장내독소형 대장균은 동물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데, 신생자돈이나 이유자돈에서의 설사증은 축산산업에서 큰 문젯거리다. 그 중에서도 K88형 대장균, K99형 대장균, 987P형 대장균 및 F41형 대장균이 주요 장내독소형 병원성 대장균의 형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병원성 대장균의 폐해로 이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처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성 대장균의 감염 방지나 처치 목적으로 다양한 항생제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항생제 외의 다른 효과적 방안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이질균은 운동성이 없고 협막과 포자를 형성하지는 않는 그람음성 간균으로 일본 세균학자 Kiyoshi Shiga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어 시겔라(Shigella)로 명명되었다. 이질균은 표면항원인 O-항원에 따라 4가지 혈청그룹으로 분류되며 이는 또 다시 49종의 혈청형으로 세분된다. 예를 들면, 시겔라 디젠테리(Shigella dysenteriae, S. dysenteriae)는 혈청그룹 A에 속하는 이질균이고,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flexneri, S. flexneri)는 혈청그룹 B에 속하는 이질균이고, 시겔라 보이디이(Shigellaboydii, S. boydii)는 혈청그룹 C에 속하는 이질균이고, 시겔라 소네이(Shigellasonnei, S. sonnei)는 혈청그룹 D에 속하는 이질균이다.
이와 같은 이질균은 주로 인간에 감염하여 발열, 복통, 구토 및 설사를 유발하며, 이질균에 감염된 상태를 세균성이질(Shigellosis)이라고 지칭하는데 이는 제1군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이질균은 다른 장내 병원균들과 비교할 때 비교적 적은 양(10~100개)으로도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경독소(neurotoxin), 장내독소(enterotoxin), 세포독소(cytotoxin)와 같은 체외독소를 생성하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시겔라 소네이(S. sonnei)와 시겔라 보이디이(S. boydii)는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유발하는 이질균이라 할 수 있고 시겔라 디젠테리(S. dysenteriae)는 이에 비교하여 좀 더 심한 형태의 설사를 일으키는 이질균이다. 선진국에서는 시겔라 소네이(S. sonnei)가 이질의 주요 원인균이지만 위생환경이나 공중보건시설이 열악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시겔라 디젠테리(S. dysenteriae)와 시겔라 플렉스네리(S. flexneri)가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식중독 등 이질균 감염에 의한 폐해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질균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처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이질균의 감염 방지나 처치 목적으로 다양한 항생제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항생제 외의 다른 효과적 방안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세균들에 의한 감염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세정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 제품들은 물을 함유함에 따라 미생물의 번식이 용이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화학 물질 등의 방부제를 포함한다. 방부제(preservative)란, 물질의 부패를 막는 약제를 말하며, 동식물성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부패하는 것을 막는 것이 방부이고, 보존 및 방부를 목적으로 첨가하는 약제가 방부제이다. 특히 물이 많이 포함되는 세정제 제품들은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막아주는 방부제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부제의 인체 유해성이 논란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세정 제품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러스 추출물 또는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항균 조성물의 경우, 세정 후 다른 물질 또는 물체를 접촉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2차적인 세균 감염 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부족하다.
이에, 세정 후에도 2차적인 세균 감염까지 고려한 항균 조성물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567호
본 발명은 세정 후에도 다른 물질 또는 물체를 접촉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물질 유래의 추출물을 항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도록 하여, 세정 후 발생될 수 있는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은, 일반적인 항균 조성물과는 달리 항균 효과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은 세정 후, 다른 물질 또는 물체를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2차 세균 감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2차 세균 감염에 의한 부작용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다른 산야초 추출물들과의 비교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대장균 및 이질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대장균 및 이질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다른 산야초 추출물과의 비교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이질풀 농도 변화에 따른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 물질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물질은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질풀(Geranium nepalense subsp . thunbergii)은, 쥐손이풀목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서, 6월 내지 8월에 연한 홍색 또는 홍자색의 꽃이 피는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산과 들에서 자라고, 높이는 약 50㎝로서, 뿌리는 곧은 뿌리가 없고 여러 개로 갈라지며, 줄기가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고 털이 퍼져 난다. 잎은 마주 달리고 3개 내지 5개로 갈라지고, 나비 3㎝ 내지 7㎝이고, 흔히 검은 무늬가 있다. 갈래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끝이 둔하고 얕게 3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마주나며 길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상기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일반적인 항균 조성물과는 달리 항균 효과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은 세정 후, 다른 물질 또는 물체를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2차 세균 감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2차 세균 감염에 의한 부작용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이질물 추출물 및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알코올계 항균 조성물로서, 주성분으로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내지 8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항균 활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중량% 초과이면 피부에 대한 과도한 자극성 또는 불쾌취를 유발하여 사용성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항균 활성이 우수한 반면, 피부에 대한 자극성 및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사용성이 미흡하다. 그러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성분, 즉, 이질풀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항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불쾌취가 감소되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항균 활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랜 시간 동안 항균 활성을 지속할 수 있어, 세정 후 다른 물질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인한 2차 세균 감염에 의한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상기 알코올과 함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알코올 대비 상기 알코올 100 중량%를 기준으로 60 중량% 또는 8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상기 이질풀 추출액은 상기 포함되는 물을 대신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질풀 추출액은 예를 들어, 물 1ℓ에 이질풀 50g 내지 150g, 60g 내지 120g, 80g 내지 100g 또는 90g을 넣어 약한 불에서 약 1시간 동안 달여냄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의 이질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범위 이외의 범위에서는 항균 활성이 매우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손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손 세정제는 전술한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 통상적인 손 세정제에 대한 제조방법, 재료 등이 통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 세정제는 습윤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손 세정제에 존재하는 습윤제는 세정제의 사용시 피부에 유리하게 놓여질 수 있어, 피부에 존재하는 지질 및 필수적 오일을 지속시키도록 돕는다. 적합한 습윤제의 특별한 예로는,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하이알루론산(hyaluronic acid), 베타인(betaine), 아미노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꿀,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폴리올, 설탕, 하이드로겐화 전분 하이드롤리세이트, 소듐 PCT와 같은 PCA 염, 락산, 락테이트, 우레아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습윤제는 글리세린이다.
또한, 상기 손 세정제는 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연화제는 석유계 오일, 페트로라툼(petrolatum),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천연 또는 합성 오일, 라놀린 및 그 유도체, 지방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유도체, 알콕실레이트된 카르복실산, 알콕실레이트된 알코올, 지방 알코올, 지방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오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화제는 페트로라툼이다.
적합한 에스테르는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틸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옥틸도데카놀,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칼립톨, 세테르아릴 글루코시드, 디메틸이소소르빅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테르, 폴리글리세릴-3 데실테트라데카놀, 프로필렌 글리콜 미리스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에테르가 또한 적합하게 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지방 또는 오일은 지방, 오일, 에센션 오일, 에센션 지방산, 비-에센셜 지방산, 인지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천연 지방 및 오일은 피부의 천연 배리어에서 발견된 에션셜 및 비-에센셜 지방산의 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지방 또는 오일의 특별한 예는 시트러스 오일(citrus oil),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프리코트 오일(apricot oil), 바바수 오일(babassu oil), 카멜리아 오일(camellia oil), 카놀라 오일(canola oil), 카스토르 오일(castor oil), 코코넛 오일, 콘 오일, 면실유, 에뮤 오일(emu oil),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하이드로겐화된 면실유, 하이드로겐화된 팜핵유(hydrogenated palm kernel oil), 말이이트화된 대두유(maleated soybean oil), 메도우 폼 오일(meadowfoam oil), 팜 핵유, 땅콩유, 유채유(rapeseed oil), 포도씨유(grapeseed oil), 홍화씨유(safflower oil), 스핑고지질(sphingolipids), 아마씨유(seed almond oil), 톨유(tall oil), 라우릭산(laur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로즈 힙 오일(rose hip oil), 칼렌듈라 오일(calendula oil), 카모마일 오일(chamomile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쥬니퍼 오일(juniper oil), 샌들우드 오일(sandlewood oil), 티 트리 오일(tea tree oil), 해바라기 유(sunflower oil), 대두유(soybean oil), 타미유(thyme oil)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1에 대한 실험으로서, 먼저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세균 배양 배지 상에 물 및 이질풀 추출물을 분사한 후, 33℃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의 증가량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항균 활성의 지속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질풀 추출물을 분사한 세균 배양 배지상의 세균수가 적게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다른 산야초 추출물들과의 비교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2에 대한 실험으로서, 먼저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세균 배양 배지 상에 이질풀 추출물 및 다른 다양한 산야초 추출물을 각각 분사한 후, 33℃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의 증가량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항균 활성의 지속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 유효성분인 이질풀 추출물을 분사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항균력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대장균 및 이질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3에 대한 실험으로서, 먼저 대장균 및 이질균에 감염된 세균 배양 배지 상에 물 및 이질풀 추출물을 각각 분사한 후, 33℃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대장균 및 이질균의 증가량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항균 활성의 지속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질풀 추출물을 분사한 세균 배양 배지상의 세균수가 적게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대장균 및 이질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다른 산야초 추출물과의 비교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4에 대한 실험으로서, 먼저 대장균 및 이질균에 감염된 세균 배양 배지 상에 이질풀 추출물 및 다른 다양한 산야초 추출물을 각각 분사한 후, 33℃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대장균 및 이질균의 증가량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항균 활성의 지속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 유효성분인 이질풀 추출물을 분사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항균력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5에 대한 실험으로서, 먼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이질균에 감염된 세균 배양 배지 상에 이질풀 추출물의 퍼센트 농도(물 100㎖ 기준 이질풀의 g수)를 각각 0%, 2%, 5%, 7% 및 9%로 하여 각각 세균 배양 배지 상에 분사한 후, 33℃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세균들의 증가량(오염도)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항균 활성의 차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 유효성분인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를 9%로 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항균력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 및 이러한 우수한 항균 활성의 지속성이 우수하여, 손 세정제를 비롯한 세정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70% 농도의 에탄올이고,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의 이질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질풀 추출물은 물 1ℓ에 이질풀을 90g 넣어서 1시간 동안 끓여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손 세정제.


KR1020170094003A 2017-07-25 2017-07-25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KR20190011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03A KR20190011448A (ko) 2017-07-25 2017-07-25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03A KR20190011448A (ko) 2017-07-25 2017-07-25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48A true KR20190011448A (ko) 2019-02-07

Family

ID=6536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03A KR20190011448A (ko) 2017-07-25 2017-07-25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421A (ko) 2020-09-23 2022-03-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포 추출물을 활용한 동물용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421A (ko) 2020-09-23 2022-03-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포 추출물을 활용한 동물용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6209B (zh) 包含胚芽乳酸桿菌培養物的抗菌化粧品組成物
TWI538682B (zh) The use of the extract toon
CN104207957B (zh) 一种具有缩阴美白作用的蚕丝蛋白护理液及其制备方法
CN104257684B (zh) 奶牛乳头药浴涂膜剂及其制备方法
US11980185B2 (en) Bioflavonoid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water purification and food preservation
KR101637167B1 (ko) 섬기린초 추출물과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항균 원료 및 그의 제조방법
Dhakal et al. Use of medium chain fatty acids to mitigate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on dry pet food kibbles
Thormar et al. Antimicrobial lipids: Role in innate immunity and potential us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s
CN104399017A (zh) 一种防治女性外阴炎症的组合物
CN110106039B (zh) 一种含胶态银的婴幼儿抑菌洗衣液
KR20190011448A (ko) 이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AU2013289294B2 (en) Use of zinc coceth sulfate as an antibacterial agen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KR102241761B1 (ko) 상온에서 속효성 살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6998109B1 (en) Emu-based formulations with lidocaine for wound treatment by inhibiting microbial activity
US11285122B2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US7476379B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damaged skin by inhibiting microbial and fungal activity
KR102126406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438209B1 (ko)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Nadaroglu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soaps against selected human pathogens
BR112021007388A2 (pt) Composições bioflavonoides e seu uso
CA3117821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KR20200001047A (ko) 천연 유래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20200055621A (ko) 석창포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41462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42630B1 (ko) 저농도 에탄올과 천연 항균시너지 기술을 이용한 임상 방역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