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750A -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750A
KR20190010750A KR1020170086992A KR20170086992A KR20190010750A KR 20190010750 A KR20190010750 A KR 20190010750A KR 1020170086992 A KR1020170086992 A KR 1020170086992A KR 20170086992 A KR20170086992 A KR 20170086992A KR 20190010750 A KR20190010750 A KR 2019001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selection range
deci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수
서민향
Original Assignee
홍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수 filed Critical 홍성수
Priority to KR102017008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750A/ko
Priority to US15/952,249 priority patent/US20190012601A1/en
Publication of KR2019001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타 그룹원의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 및 상기 타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직접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서버에 필터링을 요청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USER TERMINAL USING SAID METHOD, OPERATION METHOD OF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SERVER APPARATUS USING SAID METHOD}
본 발명은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음식점이라던지 카페, 바, 하이킹할 목적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이 다수의 참여자의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그룹 단위의 의사결정을 위한 상황에서 스마트폰이 중재자(moderator)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폰에서 특정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인 채팅 방식을 이용하여 그룹원들을 하나의 채팅방에 모아놓고 각자 자신이 생각하는 목적지를 이야기하면서 의견을 수렴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또는, 어느 한 그룹원이 특정 목적지와 연관된 링크를 채팅방에 업로드하면 해당 목적지에 대한 찬반 여론을 수렴하여 목적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즉, 공동 의사결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식에서 다수의 의사결정후보들 중에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아이템을 찾는 과정 자체는 그룹에 속해있는 개인이 각각수행하고, 찾아진 결과를 다른 의사결정 참여자들에게 보여주고 신임의 여부를 문의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 검색 방식은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 당사자들의 다양한 선호를 수렴하기 힘들고, 아이템을 추천하는 사람이나 아이템을 추천받는 사람들이추천된 아이템들이 어떻게 선정되고 공유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시적으로 설명을 듣지 않으면 이해하기 힘들다. 모든 의사결정 당사자들이 동의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 그룹 구성원들은 명시적인 언어를 통해 대화를 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 보통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든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의 의사결정을 위해, 그룹원의선호 범위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통해 추출된 후보지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타 그룹원의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선택 범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 및 상기 타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직접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서버에 필터링을 요청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와 관련된 정보를 타 그룹원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를 변경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후보지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들의 선택범위에 공통적으로 매칭되는 후보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 및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들의 선택범위에 하나라도 매칭되는 후보지는 모두 표시하는 제 3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부여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는 상기 대응되는 시각적 표현을 기반으로 하는 바(bar)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특정 기준에 대하여 복수의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가 하나의 바로 표시되되, 상기 하나의 바는 범위별로 선택한 그룹원의 수에 기반하여 밀도를 지시가능한 시각적 표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부여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는 상기 대응되는 시각적 표현을 상기 후보지의 주변에 마킹(marking)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가 타 그룹원의 단말에서는 공개되지 않는 기준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가 타 그룹원의 단말에서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그룹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의사결정을 위한 제 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그룹원은 초대 메시지 발송 및 상기 발송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수락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그룹은 제 1 의사결정을 위한 사용자 그룹으로, 하나의 사용자는 복수 개의 의사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과 연관되며,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은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하는 방식은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식 및 맵 상에 표시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방식에서,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는 클러스터 버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범위는 이분적인 범위, 범주적인 범위 및 양적 선택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타 그룹원의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 및 상기 타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여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확정된 후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그룹원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는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그룹원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그룹원이 선택한 의사결정 기준에 대한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후보지를 도출하고 도출된 후보지에 대한 각 그룹원의 선호도를 명시적인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지 않고, 선택범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의사결정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각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b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선택범위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가능한 필터들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후보지가 리스트로 표시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후보지가 지도 상에 표시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다수의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효율적으로 나타내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특정 후보지에 대해 동의한 그룹원과 동의하지 않은 그룹원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채팅창을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메인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메인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그룹을 생성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그룹원으로 초대하는 초대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이벤트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특정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자신의 선택범위를 공개할지, 공개하는 경우 누구에게 공개할지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특정 이벤트에 포함된 그룹원 중 특정 그룹원의 선택범위만 선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할 때, 그룹원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의 서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사결정은 특정 목적지를 공동으로 추천 및 합의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벤트는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의견합치의 단위로써 정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의견합치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이벤트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그룹원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범위라는 것은 이분적인 선택범위(Boolean, 예를 들면 주차의 가부 여부나 채식 식단의 제공 여부), 범주적인 선택범위(Categorical, 예를 들면 레스토랑의 종류), 그리고/혹은 양적인 선택범위(Quantitative, 예를 들면 레스토랑의 가격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간뿐만 아니라 서버(130)와 단말들(110, 12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통신기능과 정보 입력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치로써, 복수 개가 특정한 그룹을 이루어 그룹 내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다면적 형식을 갖는(faceted)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및 동적 쿼리(DQ: Dynamic Queries)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결정기준들에 대한 자신의 선호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선호정보는 서로 간에 공유되고, 공유된 선호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그룹 내의 그룹원은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데이터 시각화 역할을 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로 간의 특정 의사결정 기준에 대한 선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선호정보와 관련하여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지표(또는 의사결정과 연관된 결정기준들(criteria)이라고 부를 수 있음)는 직접 설정하거나 또는 서버(13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결정기준 항목은 서버(130)에 디폴트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결정기준들의 항목은 변경가능하고, 이러한 항목과 관련된 정보는 서버를 거치거나 또는 직접 타 그룹원의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결정기준들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다차원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 중 하나는 의사결정을 함께 논의할 사용자들을 하나의 사용자 그룹으로 선택하여 초청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위한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벤트 내에서 그룹원들과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의사결정 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결정지표에 대한 복수의 그룹원(자신 포함)들과 연관된 선택범위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서버(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는, 수신된 선택범위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원의 선택 범위와 매칭되는 의사결정을 위한 후보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이 요구될 수 있다.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고, 그 중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필터링은 사용자 단말(110) 또는 서버(1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30)를 통해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에서 필터링된 선택범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필터링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10, 120)은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후보지를 추출한다. 또는 이러한 후보지 정보를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는, 추출된 의사결정을 위한 후보지를 사용자 단말(110, 12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의사결정의 중개자 역할을 하기 위해, 타 그룹원이 선택한 양적범위를 타 그룹원이 대응시켜 표시하고, 그룹원의 선택범위를 필터링한 결과에 부합되는 후보지들도 타 그룹원과 대응되도록 표시함으로써 특정 그룹원이 어떤 결정기준에 대해 어떤 선택범위를 선택했고, 그에 따른 후보지에 어떤 그룹원이 연관되어 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10, 120)은 이러한 의사결정과 관련된 표시기능을 맵(map) 및/또는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관시켜 용이하게 화면을 변경시킬 수 있고, 채팅기능도 구비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그룹원들간의 의견조율이 각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와 후보지를 인식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사용자 단말(110, 12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그룹 내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그룹원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의견을 서로 간에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이를 그룹 인지(group awareness)라고 부를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결정기준에 대한 이유로 특정 후보지는 동의하고 다른 후보지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하나의 화면에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의사결정이 완료될 때까지, 타 그룹원들의 의사결정 상황을 보면서 자신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타 그룹원들의 의사결정도 인터랙티브하게 조절가능하고, 이를 통해 후보지를 조율하면서 의사결정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의견합치를 활성화하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 정보 표시 방법은 이를 위한 중재자로써 가장 효율적인 접근법을 활용한다. 이를 위한 사람(여기서 사람은 특정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음) 또는 넌-휴먼 에이전트(non-human agent)는 다음의 역할을 참조한다:
역할 1: 중재자는 그룹에 대한 결정기준의 세트를 통해 선호도들을 집성하고 각 개인에게 그들을 표시한다.
역할 2: 중재자는 개인 및 그룹 선호도와 매치되는 후보지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그룹이 결정으로 이끌 수 있었던 후보지들을 식별하는 것을 돕는다.
역할 3: 중재자는 그룹 내에서 동의되지 않는 소스들을 식별함으로써 그룹의 의견합치를 촉진하고 특정 선호범위를 릴렉스(relax)하도록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 정보 표시 장치는 중재자의 역할을 달성하기 위한 시각화 툴(visualization tool)을 포함한다. 이러한 툴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110, 120)은 단일 사용자가 (슬라이더 위젯(slider widgets)을 사용하여) 복수 개의 결정기준에 대한 선호도의 세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반복적으로 매칭되는 후보지들의 세트를 시각화한다. 또한, 협력적인 의사결정 콘텍스트 내에서 사용되도록 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3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110, 120)은 다수의 슬라이더 위젯들을 통해 결정기준에 대한 선호도(양적 선호범위라고 부를 수 있음)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그룹 내의 다른 그룹원과 상기 선호도 관련 정보를 공유한다. 그리고는, 시스템은 누구의 결정기준에서의 선호도 내에 어떠한 후보지가 있는지 시각적인 큐들(visual cues)을 통해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110, 120)은 통신기능을 구비한 장비로써,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셀룰러 전화,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모바일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데스크톱, 스마트폰, 랩톱, 넷북, 개인용 컴퓨터, 무선 센서, 소비자 전자기기(CE)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12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로써 데이터베이스를 내부에 포함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장치이다. 서버(130)는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는 애플리케이션의 유지 및 보수뿐만 아니라 버전 업, 사용자 관리, 데이터 로그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서버(130)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 120)이 선택하는 선택범위 정보를 수신하여 레코드로써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 120)과 관련된 이벤트를 관리하고, 이벤트와 관련하여 대응되는 결정기준을 관리한다. 결정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설정은 변경될 수 있다. 각 이벤트에 적합한 결정기준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 12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 120)은 제공되는 결정기준 정보에 자신의 선호에 맞는 선택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선택범위 정보는 서버(130)에 기록되고, 서버(130)는 해당 이벤트에 참여한 그룹원의 정보를 상기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110, 120)로 제공한다. 도면에는 사용자 단말(110, 120)이 둘뿐인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셋 이상도 가능하며, 10명 이상의 다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그룹도 구성가능하다. 서버(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필터링이 요청된 경우,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120)이 제공한 선택범위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링된 선택범위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지를 직접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30)는 교통정보, 지리적 정보, 및 각종 포털사이트가 취급하는 다양한 정보를 직접 저장하거나 타 서버와 통신하여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매칭되는 후보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그룹원의 선택범위가 "지역 A로부터 10분 이내의 도착시간 거리"를 지시한다면, 지리적 정보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도착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거리 내에 위치한 후보지를 채택한 후, 사용자 단말(110, 1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입력부(210), 통신부(220), 제어부(@30) , 메모리(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하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입력받은 정보는 제어부(230)로 전송된다.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의사결정의 카테고리(예컨대, 하이킹 장소, 음식점(어떤 음식과 관련된 것인지도), 만남의 장소 등)를 선택할 수 있고, 의사결정의 종류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범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서버 및/또는 타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크게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통신을 위한 구성요소도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서버 및/또는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제어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정보수집부(232), 필터(234), 후보지 추출부(236) 및 표시디자인 생성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부(232)는 통신부(220)를 통해 서버 또는 타 그룹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는 의사결정의 카테고리가 포함되고, 의사결정의 카테고리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결정기준들이 디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결정기준들에 대한 선택범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가 정보수집부(232)를 통해 수집된다. 예컨대, 결정기준들은 목적지의 퀄리티와 관련된 것들로써, 평점, 가격 범위, 리뷰의 수, 여행 시간,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여행 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는 사용자 그룹이 모두 공통된 지점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출발지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하지만, 서로 다른 출발지를 갖는 경우, 각 그룹원들의 출발지(이는 계정 정보 입력시 입력되거나 또는 각 그룹원 단말의 현재 위치들을 GPS 기능을 통해 파악하여 처리할 수 있음)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복수 개의 출발지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보다 복잡한 접근을 요할 수 있다.
필터(234)는 자신이 입력한 복수 개의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정보 및 타 그룹원이 선택한 상기 복수 개의 결정기준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정보를 필터링한다.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필터는 자기-중심적 필터(ego-centered filter), 그룹-교집합 필터(group-exclusive filter) 및 그룹 합집합 필터(group inclusive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보지 추출부(236)는 필터(234)를 통해 필터링된 복수 개의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후보지를 추출한다. 이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지도 및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후보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도 1의 서버와 다른 서버일 수 있음)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기준을 충족하는 후보지를 찾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도 1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지를 추출할 수도 있다. 후보지와 관련하여 후보지 추출부(236)는 엄청나게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후보지를 추출한다. 고려되는 정보는 후보지의 평점 정보, 지리적 정보(좌표 정보 포함), 종류 정보(음식점인지 또는 하이킹 코스인지, 음식점이면 어떤 음식을 취급하는지 등), 고도, 취급 품목의 가격 정보, 리뷰의 수 정보, 후보지로 채택되는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와 매칭하여 후보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가격 부분에서 필터링된 선택범위가 10000원에서 20000원이라고 하면, 해당 가격과 관련된 음식을 포함하는 후보 음식점들을 매칭시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는, 가격 부분에서 추출된 후보 음식점들 중 다른 기준에 대한 필터링된 선택범위 정보와 부합하는지는 다음 판단할 문제이다. 즉, 복수 개의 기준이 존재한다면 복수 개의 기준에 모두 부합하는 후보지를 찾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를 적용하였을 경우와 이러한 기준들이 다수인 경우 추출되는 후보지들은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필터(234) 및/또는 후보지 추출부(236)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버에 자신이 선택한 필터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요청하면 필터링 및/또는 후보지에 대한 선택작업이 서버에서 실행되고, 서버로부터 필터링 결과 및/또는 후보지 결과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 디자인 생성부(238)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표시될 시각화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되는 정보는 후보지, 그룹원, 각 그룹원이 결정 기준에 대해 선택한 선택범위 등일 표시될 수 있다. 후보지는 리스트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또는 리스트를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채팅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후보지 및 선택범위는 각 그룹원과 연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그룹원 1이 어느 후보지에 동의하고 어느 결정기준에 대해 어떠한 선택범위를 선택했는지 일괄적으로 표시되도록 디자인할 수 있다. 후보지, 그룹원, 선택범위 등의 디스플레이 상의 상하좌우의 배치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메모리(240)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필터 포함)의 일련의 동작이 알고리즘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어가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과 관련된 로그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그룹원들과의 이벤트에서 특정 결정기준들에 대해 선택했던 선택범위 정보 및 그와 관련된 후보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범위 정보는 향후 다른 이벤트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지리적 정보(예컨대, 좌표 정보 포함), 후보지와 관련된 정보(후보지의 평점, 좌표, 종류, 고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표시 디자인 생성부(238)에서 생성한 시각적 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니터, LED 또는 LCD 스크린, TV 스크린, 프로젝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수집부(232)는 GPS 위치 정보를 수집가능하고, 목적지 추출부(236)는 특정 목적지까지의 거리 또는 여행시간과 관련된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범위와 관련하여, 범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범위에 대한 필터링이 수행되고,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후보지들까지의 거리 또는 여행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고, 필터링 수행결과에 매칭되는 후보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위치에 모든 그룹원이 존재하는 경우는 동일한 계산을 한 번만 하면 되나,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그룹원의 단말에서 위 계산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경우, 각 그룹원의 단말이 각각 자신의 위치에서 거리 또는 여행시간에 대해 계산한 결과를 기반으로 후보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타 그룹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특정 후보지에 대한 타인의 도달 거리를 별도로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또는, 서로 동기화된 필터링 결과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예컨대, 그룹 합집합 필터 및 그룹 교집합 필터), A 위치와 B 위치에 각각 존재하는 단말에서 여행시간 관련 범위로써 10분이 필터링되었다면, A 위치와 B 위치에서 모두 10 분 거리에 도달하는 후보지들이 매칭되어 서로에게 공유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각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결정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310), 후보지(320), 필터링된 결과 정보(312), 필터링 전 선택정보(314), 및 그룹원(330)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은 그룹원들의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범위(310)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결정기준이 평점(Review Rating)이라고 가정할 때, 선택범위는 0부터 5까지 책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3.5 내지 5의 선택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각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310)는 그룹원 정보(330)에 의해 식별되는 시각적 표현(본 실시예에서는 해칭으로 식별됨)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즉, 좌측부터 첫 번째 그룹원은 단말의 사용자로써 3.5 내지 5의 평점을 갖는 후보지를 원하고 있고, 두 번째 그룹원은 하단의 표시 정보(314)에서 최상단에 평점으로 3.5 내지 5의 평점을 선택한 상황이다. 세 번째 그룹원은 2 내지 5, 네 번째 그룹원은 4.5 내지 5의 좁은 범위를 선택한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당 이벤트에 포함된 전체 그룹원 또는 그룹원들 중 일부의 선택범위를 그룹원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어떤 그룹원이 특정 결정기준에 대해 어떤 선택범위를 채택하였는지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타 그룹원의 선택결과를 기반으로 자신의 선택범위를 실시간으로 조정가능하다. 또한, 선택정보 부분의 가장 윗줄의 표시 정보에는 필터링된 결과값이 나오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중심적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첫 번째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에 해당하는 후보지를 추출하도록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 번째 그룹원은 자신이 선택한 평점 범위가 타 그룹원에 비해 너무 좁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결정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자신이 선택한 범위를 넓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그룹원의 선택범위를 그룹원의 식별표식과 매칭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그룹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단말은 그룹 선호도와 매칭되는 후보지들(320)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후보지들은 최대한 간략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다. 단말은 필터링된 선택범위(본 실시예에서는 지기-중심적 필터에 의해 3.5 내지 5의 평점에 포함하는 후보지들이 검색됨)와 관련된 후보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후보지들 주변(322)에 해당 후보지과 매칭되는 선택범위를 채택한 그룹원들이 그룹원 식별표식과 함께 표시되어, 특정 후보지를 동의하는 그룹원과 그렇지 않은 그룹원이 직관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보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예컨대, 후보지의 명칭, 평점, 리뷰의 정도, 가격대, 출발지로부터의 거리 등)도 함께 표시될 수 있고, 표시되는 정보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임의로 조정가능하다.
세 번째로, 단말은 그룹원 개인들(330)을 구분한다. 각각의 그룹원들의 선호도 및 해당 선호도에 매칭되는 후보지가 그룹원들의 식별표식과 매칭되어 표시되어야만 의사결정에 크게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이벤트에 참여하는 그룹원들(330)이 후보지 정보(320) 및 선택범위 정보(310)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그룹원들 각각은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갖도록 한다. 상기 시각적 표현은 색상, 도형, 특정 색상의 투명도 등 다양하게 표현가능하다. 이러한 시각적 표현을 각 그룹원에 대응시킴으로써 각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 및 그룹원과 관련된 후보지들이 직관적으로 식별되고 후보지에 대한 동의여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네 번째로, 단말은 사용자가 후보지들을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보 밀도(312)를 제공한다. 정보 밀도는 선택범위 상에 분포를 나타낸다. 즉, 3명이 4 내지 4.5의 평점을 선택한 것에 대해 정보 밀도를 높게 표시한 반면, 3 내지 3.5의 경우, 1명만이 선택한 범위이기 때문에 정보 밀도가 낮게 표시된다. 즉, 범위에 대한 각 그룹원의 선택의 수에 대응하도록 정보 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밀도는 그룹원의 수가 많을 경우, 큰 효력을 발휘할 수 있고, 정보 밀도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밀도로써 표시되거나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그룹원 정보(330), 선택범위 정보(310) 및 후보지 정보(320)의 배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임의로 변경가능하며, 하나의 선택범위 정보(310)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선택범위 정보가 하단에 연결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또는 디폴트로 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정기준에 대한 각 그룹원의 선택범위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보지는 복수 개의 결정기준에 매칭 여부를 모두 판단하여 그에 맞는 후보지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선택범위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는 이분법적인 선택범위를 나타낸다. 예컨대, 주차 가능 여부, 베지테리안 식단 제공 여부 등 “온/오프”로써 선택가능한 기준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선택범위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선택지에 대해 모두 선호한다고 표현하거나 또는 두 개 선택지 모두 반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c는 범주적인 선택범위를 나타낸다. 예컨대, 중식, 프렌치, 일식, 한식, 미국식 등 다양한 타입의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에 적용될 수 있는 선택범위이다. 이러한 범주적인 선택범위에 대해서도, 복수 개의 선택지에 자신의 선호도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d는 양적 선택범위를 나타낸다. 예컨대, 특정 음식점에 대한 평점 범위, 가격 범위, 거리 등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선택범위이다. 이를 특정 그룹원과 연결지어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익명으로 특정 그룹원과 대응되는 표현을 제외하고 하나의 표현으로 양적 선택범위를 표시할 수도 있다(도 3e 참조).
도 4a 내지 도 4c는 다수의 후보지를 사용자 선호에 맞게 표시하는데 사용가능한 필터들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은 자기 중심적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의 실제 사용자 자기 자신이 선택한 선택범위가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이다. 즉, 타 그룹원의 선택범위는 참고로 보여주면서 실제 필터링 결과는 자기자신이 선택한 범위가 남도록 하는 방식으로, 단독 사용의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타 그룹원의 필터링된 데이터와 동기화가 되지 않은 채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은 그룹 교집합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룹 교집한 필터는 모든 그룹원이 동의한 선택범위만 남도록 필터링한다. 이때, 반드시 필터링의 대상이 모든 그룹원일 필요는 없고, 그룹원들 중 일부가 대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룹 교집합 필터링의 결과는 다소 좁은 범위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는 의견합치를 이끌어내는 데는 유용하나,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각 필터의 특성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 교집합 필터의 경우, 대상이 되는 그룹원들의 필터링된 결과는 동기화되어 동일한 결과를 갖는다.
도 4c를 참조하면, 단말은 그룹 합집합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룹 합집합 필터는 합집합의 개념으로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의 선택범위에 채택된 부분은 필터링 후에도 표시되도록 하는 필터이다. 즉, 그룹원 A가 1 내지 3을, 그룹원 B가 2 내지 3을, 그룹원 C가 2 내지 4를 선택한 경우, 그룹 교집합 필터는 2 내지 3의 범위를 갖게 되겠지만, 그룹 합집합 필터는 1 내지 4의 범위를 갖도록 필터링한다. 이와 같이 그룹 합집합 필터링의 결과는 넓은 범위로 필터링되고 그에 따라 매칭되는 후보지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선택의 폭은 넓어지나 의견합치를 이끌어내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기화된 결과를 모든 그룹원이 가질 수 있다. 더욱이, 그룹 합집합 필터의 경우에도, 필터링의 대상이 모든 그룹원일 필요는 없고, 그룹원들 중 일부가 대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필터의 기능에 따라 필터링된 범위의 결과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의견결정의 사항에 맞게 사용자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고, 필터 결과를 기반으로 자신의 선택범위를 변경하면서 의견을 조율해 나갈 수 있다. 단말은 변경되는 필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후보지를 바로바로 추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필터의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후보지가 리스트로 표시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필터링된 선택범위들에 매칭되는 후보지들을 리스트로써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후보지의 썸네일(thumbnail) 내의 하트 아이콘(510)은 자신의 즐겨찾기에 추가 및 제거를 위한 아이콘이다. 그리고, 표시 정보(520)는 해당 후보지와 관련된 기본정보로써, 이는 사용자가 의견결정을 위해 선택한 목적지 타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하이킹을 위한 의견결정과 음식점을 위한 의견결정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 우측의 글로브 아이콘(530)을 누르면, 화면의 상단에 지도 뷰가 표시된다. 즉, 지도와 리스트 표시 전환을 위한 아이콘이다. 이때, 지도 뷰가 반드시 상단에 표시된 필요는 없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표시 위치는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검색창(540)은 검색어를 입력하는 창이다. 검색창(540)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검색어와 관련된 후보지들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후보지가 지도 상에 표시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스트로 표시되던 후보지가 지도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점(610)과 같이 숫자로 표시되는 큰 점은 클러스터 버블로써 해당 후보지를 동의하는 그룹원의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버블의 크기는 해당 후보지를 동의하는 그룹원의 수에 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 주변의 컬러 바(color bar) 또는 컬러 원형을 통해 해당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해당 후보지에 동의한 그룹원의 식별표식을 컬러 바 또는 컬러 원형(반드시 컬러가 아니여도 해칭, 다각형 등을 통해 표시 가능)으로 표시하여 지도 상에서 후보지와 그에 동의한 그룹원의 의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좌측의 리스트 아이콘(630)을 눌러 다시 도 5의 리스트 뷰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수의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효율적으로 나타내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의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에 참여한 그룹원들 중 본인이 관심이 있는 일부 그룹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체 10명의 그룹원들 중 4명의 그룹원만 선택하여, 본인이 관심을 갖거나 믿음의 정도가 큰 사람들의 선택범위만 보도록 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든 그룹원들의 요약과 같이 선택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바와 같은 형태에서 색상 또는 밀도, 해칭, 다각형 등을 통해 선택범위에 표시되는 비율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즉, 밀도 등을 통해 특정 범위를 선택한 그룹원의 수에 대응되도록 시각적 표현을 생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7b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그룹원 중 0 내지 2의 범위를 선택한 비율은 20%이고, 2 내지 2.5는 20%, 2.5 내지 3.5도 20%, 3.5 내지 4도 20%, 4 내지 5도 20%의 비율로 그룹원이 선택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채팅 아이콘(710)을 클릭하면, 화면의 하단에 채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특정 후보지에 대해 동의한 그룹원과 동의하지 않은 그룹원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특정 후보지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뷰를 출력할 수 있다. 특정 후보지를 선택하면, 후보지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후보지에 동의한 사용자(810)와 동의하지 않은 사용자(82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그룹원은 특정 이벤트와 관련하여 타 그룹원의 의사를 용이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네비게이션 아이콘(830)을 클릭하면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후보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경로가 표시되고, 실제 운행 중이라면 실시간 교통 안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의 사용자 그룹은 리더가 존재할 수 있다. 리더는 해당 이벤트의 의사결정을 마무리하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특정 후보지에 대한 인터페이스에서 결정 아이콘(840)은 리더의 단말에만 표시될 수 있다. 해당 그룹의 리더임은 서버가 인식할 수 있고, 서버는 리더 단말로 결정 아이콘(84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정 아이콘(840)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상황에서, 리더가 결정 아이콘(840)을 선택하면 해당 의사결정 이벤트는 상기 특정 후보지로 결정되면서 종료된다.
결정 아이콘(840) 우측의 제안 아이콘(850)은 반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 후보지에 대한 제안 메시지를 전송토록 요구하는 아이콘이다. 이는 리더뿐만 아니라 다른 그룹원도 활용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제안 아이콘(850)을 클릭하면 도 9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채팅창을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a 내지 7b에서 채팅 아이콘(710)을 클릭하면 지도 뷰 또는 리스트 뷰를 상단에 표시하면서 그룹원간의 채팅을 할 수 있는 채팅창이 표시된다. 채팅 창의 좌측에는 리스트 뷰 전환 아이콘(910)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맵 뷰 전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지도-채팅 창은 사용자가 원할 때 바로바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의 표시화면에서 제안 아이콘(850)을 클릭하면 도 9의 두 번째 메시지(920)가 표시된다. 즉, 해당 메시지(920)는 "Goat Lake"에 가자는 제안과 함께 이를 반대하는 이들에게 그들의 양전 선택범위를 해당 후보지에 맞게 변경해 달라는 메시지 내용을 포함한다.
이때, 제안 메시지(920)에 포함된 change 1, change 2, change 3은 제안 메시지(920)를 전송한 사용자가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change 1은 3.0보다 높게 레이팅(rating)을 하라는 제안으로 정의할 수 있다. change 2는 4.0보다 높게 레이팅하라는 제안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안 메시지(920)를 수신한 타 그룹원은 change 1, change 2, change 3 중 적어도 하나를 클릭함으로써 특정 결정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를 즉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메인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단말에서 실행하면 계정 생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계정은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생성되어 서버에서 로그인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계정마다 자신의 집주소 및/또는 학교, 회사와 같은 자주 위치하는 곳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단말에서 특정 목적지까지의 의사결정에 자주 사용되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를 여러 번 입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주소 정보는 복수 개 입력가능하다. 특히 자주 사용할 용도로 기억시켜 놓은 주소지는 최근 주소지 또는 사용자가 입력시킨 주소지 등으로 단말에서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계정 및 주소지 정보는 서버와 공유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메인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그룹을 생성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메인화면을 통해 로그인한 후, 의사결정을 위한 이벤트 생성을 위해 그룹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특정 사용자 그룹은 복수 명의 그룹원으로 구성되고, 그룹원은 적어도 하나의 의사결정 이벤트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위이다. 그룹원을 구성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해당 그룹의 리더가 될 자격이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룹원을 구성하는 사람만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결정된 그룹의 타 그룹원이 리더가 될 수도 있다. 리더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의견수렴 후 최종 결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룹 생성을 위해 공란(1110)에 그룹명을 생성하고, 공란(1120)에는 해당 그룹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기입한다. 또한, 그룹과 관련된 이벤트의 날짜를 공란(1130)에 작성한다. 이벤트 날짜는 의사결정이 실행되는 당일 또는 그와 관련된 날짜일 수 있다. 예컨대, 2017년 8월 27일에 하이킹갈 곳에 대한 의사결정과 관련된 이벤트에서 이벤트 날짜는 2017년 8월 27일이 된다.
그리고는, 공란(1140)에서 친구들의 이름을 기입하여 그룹원을 결집한다. 친구들의 이름 기입 부분은 단말에 저장된 친구 목록 또는 서버에 저장된 친구 이력과 연동되어 해당 이름과 관련된 단말 정보와 연동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룹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그룹원의 단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는 "생성(create)" 또는 "삭제(delete)" 아이콘을 통해 그룹을 최종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도 12는 그룹원으로 초대하는 초대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사용자가 특정 그룹원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그룹원의 단말에는 초데 메시지가 전송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특정 그룹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그룹원의 단말과 관련된 통신정보를 연관시키고, 연관된 통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등)으로 초대 메시지를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초대메시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팝업(pop-up) 방식으로 단말에 표시될 수 있고, 해당 메시지와 관련된 이벤트의 키워드 및 이벤트 시행 날짜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초대메시지를 수신한 그룹원은 "가입(join)" 또는 "거절(reject)" 아이콘을 통해 그룹에 가입하거나 가입을 거절할 수 있다.
도 13은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이벤트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하면, 해당 계정과 관련된 이벤트가 표시된다. 그룹 및 이벤트를 생성하면 생성된 그룹 및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컨대, 이벤트 인덱스, 이벤트 일자, 이벤트에 참여한 그룹원 정보 등)은 단말 및/또는 서버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로그인을 하면, 해당 계정이 참여하고 있는 이벤트가 표시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이벤트(1310, 1320)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벤트 표시화면에서 참여상태를 유지하는 아이콘(1312) 또는 해당 이벤트를 떠나기 위한 아이콘(1314)를 통해 이벤트에 참여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이벤트를 떠날 수 있다.
도 14는 특정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벤트를 생성할 때, 그룹원도 결정해야 하지만, 결정기준에 대한 내용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해당 이벤트의 타입을 어떤 것으로 할지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이킹 목적지로 할지, 음식점으로 할지, 아니면 관광지로 할지 결정할 수 있다. 큰 카테고리의 타입을 결정하면 그에 대한 세부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음식점 카테고리 내에는 한식, 중식, 일식 또는 양식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의 깊이는 복수 계층으로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는 너무 세부적인 카테고리로 결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결정가능하다.
특정 목적지에 대한 카테고리가 결정되면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디폴트의 결정기준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음식점의 경우, 가격대, 평점, 리뷰의 수, 거리 또는 예상 여행시간 등이 그러하다. 경우에 따라 그룹원 중 하나가 결정기준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먼저, 공란(1410)을 통해 결정 기준의 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는, 공란(1420)을 통해 결정 기준의 명칭들을 기입할 수 있다. 예컨대, "음식의 가격대"라는 결정기준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는, 해당 결정기준의 선택범위의 구분점들(1430, 1440)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공란(1430)에 10달러를 입력하면, 좌측 첫 번째 범위는 0원부터 10달러가 되고, 공란(1440)에 20달러를 입력하면 좌측부터 두 번째 범위는 10달러부터 20달러가 된다. 상기 범위들은 반드시 일정한 차이를 갖는 액수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특정 사용자는 그룹원들의 선택과 관련된 선택범위를 직접 설정하여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는 자신의 선택범위를 공개할지, 공개하는 경우 누구에게 공개할지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격과 같은 선택범위는 타인에게 공개하기 꺼려질 수 있다. 왜냐하면 자신의 경제 상태가 노출되는 것이고 이는 개인의 사적인 영역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결정기준에 대한 공개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에서 가격 범위에 대한 영역을 선택하고 공개여부 선택 란에서 자신의 가격범위에 대한 선택 부분을 타 그룹원에게 공개할지 예(yes) 또는 아니오(no)로 선택한다.
이때, 공개하는 경우, 공개가 가능한 그룹원을 별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특정 이벤트에 포함된 그룹원 중 특정 그룹원의 선택범위만 선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할 때, 그룹원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특정 이벤트에 포함된 그룹원 중 일부(1610)에 대한 선택범위만 확인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그룹원이 너무 다수여서(20 명 이상) 다수의 그룹원에 대한 정량적인 확인의 의미가 퇴색되는 경우, 그룹원 중 해당 이벤트에 전문적인 인원 일부만 선택하여 선택된 인원의 선택범위에만 관심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그룹원의 선택범위만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은 상기 선택된 일부 그룹원의 선택범위만 고려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 후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후보지의 표시도 선택된 일부 그룹원과 관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일부 선택된 그룹원의 선택범위를 제외하고 선택되지 않는 그룹원의 선택범위만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의 서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통신부(1710), 제어부(1720) 및 데이터베이스(1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통신부(17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7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제어부(1720)는 정보 수집부(1722), 로그인 관리부(1724),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1726) 및 필터(1728)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722)는 통신부(17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1726)로 제공한다.
로그인 관리부(1724)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관련 정보를 처리한다. 단말에서 제공하는 계정 생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한다. 그리고, 생성된 계정을 통해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을 처리한다. 로그인 관리부(1724)는 계정과 관련된 주소(또는 주소들)를 계정과 매칭되도록 데이터베이스(1730)에 저장한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1726)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이벤트들을 처리한다.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1726)는 그룹원 관리부,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채팅 관리부 및 후보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원 관리부는 해당 계정과 관련된 이벤트 및 이벤트에 속한 그룹을 관리한다. 먼저, 계정과 관련된 이벤트를 이벤트 인덱스별로 관리하고, 이벤트 인덱스에 속한 그룹원의 구성을 관리한다. 예컨대, A 계정이 로그인되면, A 계정과 관련하여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관리하고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그룹원의 계정을 관리한다.
또한,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는 이벤트 내의 결정기준의 수, 결정기준의 정의, 결정기준의 선택범위의 구성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이벤트 내에서 각 그룹원들이 선택한 범위를 수집 및 관리하고, 이를 그룹원들에게 공유시킨다. 이때, 특정 그룹원에게만 공개한다는 설정 및/또는 특정 그룹원에게 공개를 배제하는 설정 등을 고려하여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채팅 관리부는 채팅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그룹원 간에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를 그룹원들의 각 단말로 제공한다.
후보지 관리부는 필터(1728)를 통해 필터링된 선택정보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후보지를 추출한다. 그리고는, 추출된 후보지를 이벤트와 연관하여 관리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를 그룹원들의 각 단말로 제공한다.
필터(1728)는 단말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서버단에서 선택범위에 대한 필터링이 요구되는 때 사용된다. 필터(1728)는 사용자 단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기중심적 필터, 그룹 합집합 필터 및 그룹 교집합 필터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링된 결과는 후보지 관리부로 제공될 수 있다.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1726)를 통해 추출된 후보지 정보뿐만 아니라 필터링된 선택범위와 관련된 정보는 통신부(1710)를 통해 각 그룹원의 단말로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1730)는 의사결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730)는 서버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타 그룹원의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 및 상기 타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직접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서버에 필터링을 요청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와 관련된 정보를 타 그룹원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를 변경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후보지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들의 선택범위에 공통적으로 매칭되는 후보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 및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들의 선택범위에 하나라도 매칭되는 후보지는 모두 표시하는 제 3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를 선택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부여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범위는 상기 대응되는 시각적 표현을 기반으로 하는 바(bar)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특정 기준에 대하여 복수의 그룹원이 선택한 선택범위가 하나의 바로 표시되되,
    상기 하나의 바는 범위별로 선택한 그룹원의 수에 기반하여 밀도를 지시가능한 시각적 표현으로 표현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에 참여한 그룹원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부여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는 상기 대응되는 시각적 표현을 상기 후보지의 주변에 마킹(marking)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가 타 그룹원의 단말에서는 공개되지 않는 기준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가 타 그룹원의 단말에서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그룹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의사결정을 위한 제 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그룹원은 초대 메시지 발송 및 상기 발송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수락에 의해 구성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그룹은 제 1 의사결정을 위한 사용자 그룹으로, 하나의 사용자는 복수 개의 의사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과 연관되며,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은 리스트로 표시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하는 방식은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식 및 맵 상에 표시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방식에서,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는 클러스터 버블 형태로 표시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범위는 이분적인 범위, 범주적인 범위 및 양적 선택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6.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그룹 내의 타 그룹원의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사용자의 선택범위 및 상기 타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여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확정된 후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17.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그룹원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제공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8. 복수의 그룹원이 포함된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그룹원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그룹원의 선택 범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선택범위를 추출하는 필터;
    상기 필터링된 선택범위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의 후보지를 추출하는 의사결정 이벤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된 의사결정의 후보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그룹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후보지에 대한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선택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원 각각과 대응시켜 제공하는 사용자 그룹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KR1020170086992A 2017-07-10 2017-07-10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KR20190010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92A KR20190010750A (ko) 2017-07-10 2017-07-10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US15/952,249 US20190012601A1 (en) 2017-07-10 2018-04-13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user terminal using said method, operation method of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server apparatus using sai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92A KR20190010750A (ko) 2017-07-10 2017-07-10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50A true KR20190010750A (ko) 2019-01-31

Family

ID=6490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992A KR20190010750A (ko) 2017-07-10 2017-07-10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12601A1 (ko)
KR (1) KR20190010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9455A1 (en) * 2021-07-26 2023-02-02 Automated Controversy Detec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daction and display of topic-filtered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1830S1 (en) * 2018-07-26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27316B2 (en) * 2020-01-23 2022-01-18 Capital One Services, Llc Vendor recommendation platform
CN117859145A (zh) * 2021-06-21 2024-04-09 Ami控股有限公司 社交网络中的合作决策制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9455A1 (en) * 2021-07-26 2023-02-02 Automated Controversy Detec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daction and display of topic-filtere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2601A1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970B2 (en) Mapping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in a social network
US9237123B2 (en) Providing an answer to a question from a social network site using a separate messaging site
US9253271B2 (en) Searching data in a social network to provide an answer to an information request
KR101785420B1 (ko) 클라이언트 봇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8312380B2 (en) Local map chat
US20240119540A1 (en) Location-Conscious Social Networkin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20066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arch results by extending search to contacts of social networks
US20190095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managing, process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in multiple industry sectors
US20120158720A1 (en) Social network powered search enhancements
US20120110096A1 (en) Social circles in social networks
US20140025490A1 (en) Automated recommendations based on historic location-preference information
KR20190010750A (ko)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서버 장치
US20170004548A1 (en) Generating and ranking service provider recommendations in a social network
US117208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advisor-related data
US20140280053A1 (en) Contextual socially aware local search
JP5710576B2 (ja) 行程表生成装置、行程表生成方法および行程表生成プログラム
CN107257545A (zh) 服务器及其信息提供方法
US20220122191A1 (en) Automated matchmaking and social intera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401431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expert and non-expert users
US8949327B2 (en) Method and device to provide trusted recommendations of websites
KR101620729B1 (ko) 아티스트와 팬과의 관계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계 형성 방법
Kim et al. Friend recommendation using offline and online social information for face-to-face interactions
WO2021046177A1 (en) Computerized platform for facilitating group based decision making
KR101753340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112877A (ja) 意見評価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意見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