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17A - 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417A
KR20190010417A KR1020180060599A KR20180060599A KR20190010417A KR 20190010417 A KR20190010417 A KR 20190010417A KR 1020180060599 A KR1020180060599 A KR 1020180060599A KR 20180060599 A KR20180060599 A KR 20180060599A KR 20190010417 A KR20190010417 A KR 2019001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hole
micro
plate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3790B1 (en
Inventor
김종철
한상윤
Original Assignee
(주)네이처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처와이드 filed Critical (주)네이처와이드
Publication of KR2019001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01F15/00883
    • B01F15/02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35/53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4Feed mechanisms for feeding predetermined amounts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high efficiency, a flo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high efficiency and a flo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hich generate micro floc by providing micro bubble into contaminated water and simultaneously spraying a coagulant and purify contaminated water by attaching micro bubble to the micro floc and floa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are: a mixing tank (100) which has a first inner space (I1) be formed at the inside thereof and has contaminated water which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e stored at the first inner space (I1);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200) which is installed at the first inner space (I1) and generates micro bubble at the contaminated water; a floatation tank (300) which has a second inner space (I2) be formed at the inside thereof and has the contaminated water which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inner space (I1) be stored at the second inner space (I2); and a connection pipe (400) which is installed to make a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tank and a second inner space (I2) of the floatation tank (300) be piped.

Description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발명은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오염수 내에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폐수처리를 위한 폭기조에 용존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부상분리공정에서는 응집제를 분사시켜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고, 상기 미세플록(micro floc)에 미세기포를 부착시켜 부상시킴으로써, 오염수를 정화시키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supplying dissolved oxygen to an aeration tank for treating wastewater by supplying fine bubbles into polluted water, And a flotation separator using the flotation apparatus.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by causing micro flocs to adhere to micro flocs by floating the micro flocs.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공정 중 산소공급장치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활성 슬러지의 생물반응조에서 용존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수처리 설비이며,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응집되어 형성되는 미세플록(micro floc)을 형성시킨 뒤 응집보조제를 통해 조대플록(macro floc)으로 성장시키며, 이때 미세기포를 부착시켜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조대플록(macro floc)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설비이다.In general, the oxygen supply device during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a water treatment facility for effectively supplying dissolved oxygen in a biological reactor of activated sludge using microorganisms. The floa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for treating micro- micro floc is formed and then grown as a macro floc through coagulation assistant. At this time, micro-bubbles are adhered to remove macro-floc floating by buoyancy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to be.

도 1은 그와 같은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such a flotation type sewage disposal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는 급속교반을 통해 PAC(poly aluminium chloride)와 같은 무기응집제를 혼화하여 미세플록(micro floc)을 형성하고, 조대플럭(macro floc)으로 플럭의 크기를 성장시키기 위해 폴리머(polymer) 등의 약품 투입(응집보조제)을 위한 별도의 급속혼화조(10) 및 완속혼화조(20)가 필요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flot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mixes an inorganic flocculant such as PAC (poly aluminum chloride) through rapid stirring to form a micro floc, A separate rapid mixing tank 10 and a constant speed mixing tank 20 for injecting a drug such as a polymer (coagulation assistant) were required to grow the size of the solution.

또한, 생성된 조대플럭(macro floc)을 부상시키기 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설치를 위한 가압탱크, 순환수용 펌프 등의 부대시설이 별도로 필요했다.In addition,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a pressurizing tank and a circulation pump for installing a micro bubble generator for floating the generated macro floc were separately required.

또한, 공기가 투입되는 구조물(30)을 별도로 형성하여 공기 투입 공정 수행 시간이 별도로 필요했다.Further, the structure 30 in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s formed separatel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air injection process is separately required.

하지만, 이에 따라, 약품을 혼합시키는 혼합조와 미세기포공급을 위한 공간 및 설비가 별도로 필요했으며, 각각의 공정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space and facilities for supplying the mixing bath and fine bubbles for mixing the chemicals are separately required,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process is increa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408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4087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공정 중 호기성미생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용존 산소 농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플록을 생성하기 위한 약품을 분사형태로 공급함과 동시에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공정운영에 필요한 시간 및 구성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microbubbles to an aerobic microorganism during a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o efficiently manage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to supply microbubbles for producing flocs and microbubbles Time and configur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또한,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이 이동함에 있어서, 플록을 부상시키기 위한 유량변화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the flow of a flow rate change in order to float floating flocs with microbubbles attached thereto,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21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모터(210) 하단에 배치된 제1판(220); 상기 모터(210)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판(220)을 관통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하단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임펠러부(24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임펠러부(240)의 하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홀(251)이 형성되는 제2판(250); 및 일단에 유출공(265)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265)이 상기 홀(2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유입공(244)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유입관(260); 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부(240)는,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판(241); 상기 상판(24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하판(242); 및 상기 상판(241) 및 상기 하판(24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임펠러 날개(243); 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부(240)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는 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otor (210) disposed inside a contaminated water; A first plate 22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otor 210; A rotation shaft 230 mounted on the motor 210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220; An impeller 24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30 and rotating and having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 second plate 25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240 and having a hole 25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inflow pipe 260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the outflow hole 265 disposed to face the first inflow hole 244 through the hole 251; The impeller portion 240 includes a top plate 2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A lower plate 24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Wherein the impeller portion 243 has a curved shap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space S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impeller portion 240 by rotation of the impeller portion 240 ,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art (240) to the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is 10% or more to 20% or less. to provide.

또한, 상기 유입관(260)의 타단은 복수 개로 분기되며, 상기 타단 중 어느 하나는 대기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유입관(26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타단 중 다른 하나는 제1약품 저장탱크(261)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관(260) 내부로 상기 제1약품을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branches into a plurality of openings and one of the other ends opens toward the atmosphere to introduce air into the inflow pipe 260, And the first medicine flows into the inflow pipe (260) in communication with the tank (261).

또한, 상기 유입관(260)의 각각의 타단에는 제1밸브(262)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260)의 타단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valve 26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to open and close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약품 저장탱크(261) 내에는 정량펌프(263)가 형성되어, 투입되는 제1약품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tering pump 263 is provid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to adjust the amount of the first medicine to be injected, thereby providing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or.

또한, 상기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20Hz ~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is 20 Hz to 60 Hz.

또한, 상기 유출공(265)은 상기 임펠러부(240) 내부의 공간(S)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유입공(24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flow hole 265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hole 244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S in the impeller 240.

또한, 상기 유출공(265)은, 상기 제1유입공(244)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임펠러부(2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부(240) 외부의 오염수와 상기 유출공(265)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함께 상기 제1유입공(244)으로 유입되어, 상기 임펠러부(240)의 내부 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flow hole 265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flow hole 2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s the impeller 240 rotates, the contaminated water outside the impeller 240 and the outflow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hole 265 flows into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S of the impeller 240. [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중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모터관통공(211')이 형성된 모터(21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모터(210') 하단에 배치된 제1판(220'); 상기 모터(210')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판(220')을 관통하며, 상기 모터관통공(211')과 연통되는 회전축홀(231')을 구비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상부에 상기 회전축홀(231')과 연통되는 제2유입공(241a')이 형성된 임펠러부(240'); 및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임펠러부(240') 하단에 배치된 제2판(250');을 포함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관통공(211'), 상기 회전축홀(231') 및 상기 제2유입공(241a')은 동축상에 위치하여 유입로(L)를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부(240')는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2유입공(241a')이 형성된 상판(241'); 상기 상판(24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242'); 및 상기 상판(241') 및 상기 하판(24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임펠러 날개(243');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2유입공(241a')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210 'disposed in the atmosphere and having a motor through hole 211' formed therein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plate 22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 rotating shaft 230 'mounted on the motor 210' and rotating and having a rotating shaft hole 231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220'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through hole 211 '; An impeller 24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30' and rotating and having a second inlet hole 241a 'communicating with the rotary shaft hole 231'; And a second plate (250 ')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nd having a funnel shape inclined downward, wherein the motor through hole (211 ' The hole 231 'and the second inlet hole 241a' ar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to form an inlet L. The impeller 2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230' An upper plate 241 'having the second inflow hole 24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plate 24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 wherein the impeller blades 243' have a curved shape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 of the impeller part (240') to the area of the second inflow hole (241a ') is 10% or more to 20% or less. do.

또한, 상기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20Hz ~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 is 20 Hz to 60 Hz, and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o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제1내부공간(I1)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저장되는 혼합조(100);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 내부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기포 발생장치(200); 내부에 제2내부공간(I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I1)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되는 부상조(300); 및 상기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과 상기 부상조(300)의 제2내부공간(I2)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400); 를 포함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xing tank 100 in which a first internal space I1 is formed and pollu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ich is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and generates fine bubbles in the contaminated water. A floatation tank 300 in which a second internal space I2 is formed and the pollu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ternal space I1 is stor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A connection pipe 400 installed so that a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nd a second inner space I2 of the floating tank 30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또한, 상기 부상조(300)는,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장착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I1)에서 유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과 결합한 미세기포가 상승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플(310); 상기 배플(3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20); 및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된 오염수 위로 떠오른 부유물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flotation tank 3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and has a baffle 310 for guiding fine bubbles combined with contaminants of polluted water flowing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to rise ); An angle adjuster 32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ffle 310; And a scraper portion (330) for removing floating matters floating on the pollu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micro-bubble generator.

또한, 상기 연결관(400)은, 상기 연결관(400) 내부로 제2약품을 주입하도록 형성되는 제2약품 저장탱크(410); 상기 연결관(400)과 상기 제2약품 저장탱크(410)를 연통하는 주입관(420); 및 상기 연결관(400) 내부로 주입되는 제2약품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3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400 may include a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formed to inject the second medicine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An injection pipe 420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400 and the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And a second valve (430) for controlling an injection amount of the second medicine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에 저장되는 단계(S100);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모터(210)를 가동시켜, 상기 모터(210)에 연결된 회전축(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판(241) 및 상기 상판(24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되,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하판(242)을 포함하는 임펠러부(24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0); 상기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공간(S)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 상기 부압에 의해 상기 공간(S) 내부로 공기 및 제1약품이 흡입되는 단계(S400);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및 상기 제1약품이 상기 오염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공기가 미세기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약품 및 상기 오염수가 혼합되는 단계(S500); 상기 제1약품이 상기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600); 상기 미세플록(micro floc)이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관(40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관(400)에서 주입되는 폴리머(polymer)에 의해 상기 미세플록(micro floc)이 응집되어 조대플록(ma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700); 상기 조대플록(macro floc)이 상기 미세기포의 부력에 의해, 부상조(300) 내에서 배플(310)을 따라 상승하는 단계(S800); 및 상기 부상조(300)의 수면으로 상승한 상기 조대플록(macro floc)이 스크래퍼(332)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는 단계(S900); 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S100 of storing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first internal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n upper plate 2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a rotary shaft 220 connected to the motor 210 by operating the motor 210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S200) rotating the impeller part 240 including the lower plate 242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mpeller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with a first inlet hole 244 at the center thereof;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space S by rotation of the impeller 240; (S400) in which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sucked into the space (S) by the negative pressure;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injected into the contaminated 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mix the first medicine and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the air forms microbubbles S500); The first drug reacts with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generate micro floc (S600); The micro flocs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400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micro flocs are flocculated by the polymer injected from the connection pipe 400 Creating a macro floc (S700); A step S800 of moving the macro floc along the baffle 310 in the flotation tank 300 by buoyancy of the microbubbles; And a step (S900) of collecting and removing the macro floc which has risen with the surface of the floating tank (300) by the scrapers (332); , Wherein a ratio of an area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art (240) to an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is 10% or more to 20% or les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loating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수처리공정 중 호기성생물반응조의 하부에 설치 및 운전을 통해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용존 산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며, 부상분리공정에서 플록을 생성하기 위한 약품을 분사형태로 공급함과 동시에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공정운영에 필요한 시간 및 구성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 bubbles are supplied to the aerobic bioreactor under the aerobic bioreactor during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drug for generating flocs in the flotation separation process is spray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time and configuration required for the process operation by generating minute bubbles at the same time as the supply box.

또한,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이 이동함에 있어서, 플록을 부상시키기 위한 유량변화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the flow of the flow rate change for floating the flocs when the micro-bubble-attached flocs move,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상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6은 도 15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유입공과 유출공이 이격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9a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전의 오염수 사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오염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있는 사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to 3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of the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the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FIG. 10 are photographs of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Fig.
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photograph of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 chart of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Fig.
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hotograph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which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A is a photograph of the contaminated water before microbubbles are generated, and FIG. 19B is a photograph showing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is therefo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부의 단면도이다.FIGS. 2 to 3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10)는 혼합조(100), 미세기포 발생장치(200), 부상조(300) 및 연결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6, a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10 using the same are provided with a mixing tank 100, a microbubble generator 200, a floating tank 300, and a connection pipe 400 .

혼합조(100)는 내부에 제1내부공간(I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부공간(I1)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저장될 수 있다.The mixing chamber 100 may have a first inner space I1 formed therein.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stored.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되어, 오염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모터(210), 제1판(220), 회전축(230), 임펠러부(240), 제2판(250) 및 유입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is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and can generate minute bubbles in the contaminated water.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may include a motor 210, a first plate 220, a rotating shaft 230, an impeller 240, a second plate 250, and an inlet pipe 260 .

모터(210)는 제1내부공간(I1)의 오염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tor 210 can be disposed inside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제1판(22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220)은 모터(210) 하단에 배치되어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as a funnel shape inclined downward. The first plate 2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may have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회전축(230)은 모터(210)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30)은 제1판(220)의 홀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23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can rotate. The rotation axis 230 may be formed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late 220.

임펠러부(240)는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부(240)는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미세기포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1판(220)의 밑단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임펠러부(240)는 상판(241), 하판(242), 임펠러 날개(243) 및 제1유입공(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peller 24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230 and can rotate. The impeller portion 240 can generate minute bubbles. At this time, the generated minute bubbles can be distributed along the bottom of the first plate 220 which is inclined downward. 6, the impeller portion 240 may include an upper plate 241, a lower plate 242, an impeller blade 243, and a first inlet hole 244.

상판(241)은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판(241)은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241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The upper plate 241 can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하판(242)은 상판(24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42)은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공(244)은 외부로부터 임펠러부(24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유입공(244)은 공기 및 약품이 임펠러부(2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ower plate 24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plate 2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plate 242 may have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first inlet hole 244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first inlet hole 244 is formed to allow air and chemicals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impeller portion 240.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회전시 오염수의 저항을 저감시키는 후향 베인(backward vane), 즉, 후향 만곡 베인(backward curved v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되도록 만곡부(24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부(240)의 내부에는 공기, 약품 및 오염수가 혼합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 날개(243)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체저항이 작고, 풍압이 높아 동일한 수심에서 많은 공기량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적은 동력으로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blades 2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may be formed. The impeller blade 243 can be rotated as the upper plate 241 rotates. The impeller blades 243 may be formed of a backward vane, that is, a backward curved vane, which reduces the resistance of the contaminated water during rotation. Furth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243a so as to be curved outwardly from the inside. Therefore, a space S in which air, chemicals, and contaminated water can be mixed may be formed inside the impeller 240. Accordingly, the impeller blades 243 are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manner, so that the fluid resistance is small and the wind pressure is high,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at the same depth. In additi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rotational efficiency of the impeller blades 243 can be improved with relatively little pow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따라서, 임펠러 날개(243)는 제1유입공(244)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강한 원심력에 의한 약품의 분사를 통해 약품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율이 향상된 공기와 약품은 임펠러부(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화되어 미세 기포와 같이 회전력에 의해 수중에 분사된다. Accordingly, the impeller blades 243 can improve the mixing ratio of the chemicals by injecting the air by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the chemicals by the strong centrifugal force. The air and the chemicals with improved mixing ratio are made fine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part 240 and are injected into the water by the rotational force like micro bubbles.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직경(즉, 하판(242)의 직경)과 제1유입공(244)의 직경의 비율은 9%이상 내지 22%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직경과 제1유입공(244)의 직경의 비율은 10%이상 20%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일 경우, 제1유입공(244)의 직경은 0.13m일 수 있다.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240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may be 9% or more and 22% or less. Mor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may be 10% or more and 20%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240 is 0.3 m (300 mm),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may be 0.13 m.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20Hz ~ 60Hz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30Hz~60Hz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처리할 오염수의 용량, 혼합조(100)의 면적에 따라 회전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임펠러부(240)의 내부에서 외부로 미세 기포를 원활하게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속도는 4극 모터 주파수 기준으로 20Hz이상, 20Hz ~ 60Hz 범위로 실행될 수 있다.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can be rotated from 20 Hz to 60 Hz. More preferably,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s 243 can be rotated from 30 Hz to 60 Hz. That is, the rotating spee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treated and the area of the mixing chamber 100. For example, in order to smoothly diffuse the minute bubbl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20 Hz or more and 20 Hz to 60 Hz based on the quadrupole motor frequency.

위와 같은 설정들을 적용한 실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수심 1.5m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이고, 제1유입공(244)이 0.13m(130mm)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속도 60Hz에서 제1약품 흡입과 미세기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수심에 따라 회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으니, 제1약품 확산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 20Hz, 570rmp이상(바람직하게는, 30Hz이상)에서 가동되어야 한다.The micro bubble generator 200 installed at a water depth of 1.5 m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240 is 0.3 m (= 300 mm) The inflow hole 244 may be formed to be 0.13 m (130 mm), and the suction of the first medicine and the minute bubbles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t the rotation speed of 60 Hz of the impeller blade 243. However, since the rotation frequenc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it must be operated at a minimum of 20 Hz and at least 570 rpm (preferably at least 30 Hz)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drug diffusion efficiency from deteriorating.

제2판(25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판(250)은 임펠러부(2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판(250)의 중앙에는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50 may be formed as a funnel shape inclined downward. The second plate 25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 hole 25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250.

유입관(260)은 일단이 홀(251)을 관통하여 제1유입공(244)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일단에는 유출공(26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공(265)은 제1유입공(244)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유출공(265)을 통해, 유입관(260)의 일단과 제1유입공(244)이 연통된다. 이에, 유입관(260) 내부로 유입된 약품 또는 공기가 임펠러부(240) 내부의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inlet pipe 260 may be disposed so that one end thereof passes through the hole 251 and faces the first inlet hole 244. An outflow hole 265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pipe 260. Specifically, the outflow hole 265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one end of the inflow pipe 26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flow hole 244 through the outflow hole 265. Therefore, the medicine or ai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260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S inside the impeller 240.

유입관(260)의 타단은 복수 개로 분기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타단 중 어느 하나는 대기를 향해 개방되어 유입관(26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관(260)의 타단 중 다른 하나는 제1약품 저장탱크(261)와 연통되어 유입관(260) 내부로 제1약품을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유입관(260) 내부로 유입된 제1약품은 제1유입공(244)을 통과해 임펠러부(2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각각의 타단에는 제1밸브(2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밸브(262)는 유입관(260)으로 투입되는 공기 및 제1약품의 on/off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약품은 PAC(poly aluminium chloride) 등의 무기응집제(inorganic coagulant)를 포함할 수 있다. PAC는 미세기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미세기포는 오염수의 흐름을 따라 후술하는 부상조(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may b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branches. Any one of the other ends of the inflow pipe 260 may be opened toward the atmosphere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flow pipe 260.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to introduce the first medicine into the inflow pipe 260. That is, the first medicine flowing into the inlet pipe 260 may flow into the impeller 240 through the first inlet hole 244. The first valve 26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The first valve 262 can control on / off of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260. The first medicament may include an inorganic coagulant such as PAC (poly aluminum chloride). PAC can form a small size of micro bubbles. Accordingly, the microbubbles formed can be moved to the float tank 300 described later along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이러한 무기응집제(inorganic coagulant)는 오염수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가 몇 개씩 모아서 덩어리를 만들거나, 무기응집제에 의해 형성된 미세플럭(micro floc)을 조대플럭(macro floc)으로 만들기 위해 액체에 첨가하는 약품을 뜻한다. 즉, 유입관(260)을 통해 유입되는 제1약품은 임펠러부(240)의 미세기포와 같이 오염수로 분포되어 오염수 내의 부유물질과 응집되어 플록(floc)을 형성하게 된다.This inorganic coagulant is a mixture of several solid particles suspend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make a lump or a micro floc formed by an inorganic coagulant to be added to a liquid to make a macro floc It means medicine. That is, the first medicine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260 is distributed as the contaminated water like the micropore of the impeller 240 and flocculates with the floating material in the polluted water to form floc.

또한, 유입관(260)의 각각의 타단에는 정량펌프(263)가 형성될 수 있다. 정량펌프(263)는 공기 및 제1약품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처리대상 오염수의 처리용량과 오염 정도에 따라 제1약품 주입량이 달라지는데, 정량펌프(263)를 이용하여 제1약품 주입량을 조절하여 오염수의 기질제거율을 설정할 수 있다.A metering pump 26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The metering pump 263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and the amount of the first medicine. That is, the amount of the first chemical to be injected varies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apacity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olluted water to be treated. The amount of the first chemical to be injected may be adjusted using the metering pump 263 to set the substrate removal rate of the polluted water.

이와 같이, 공기와 약품을 동시에 투입 후 혼합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종래의 부상분리장치와는 달리, 약품을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불필요한 구성을 제거하여 약품 혼합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Since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200 for injecting and mixing air and chemicals at the same tim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ocess for injecting the drug, unlike the conventional floatation separation device, the process time is shortened and the unnecessary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rug mixing efficiency.

부상조(300)는 내부에 제2내부공간(I2)이 형성될 수 있다. 부상조(300)는 제1내부공간(I1)으로부터 유입된 오염수가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될 수 있다. 부상조(300)는 제2내부공간(I2)에 장착되어, 제1내부공간(I1)에서 유입된 미세기포가 상승하도록 가이드하는 배플(baffle,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플(310)은 후술하는 연결관(400)을 통과한 플록(floc)을 포집한 미세기포가 배플(310)의 일측면을 따라 상승하므로, 미세기포를 부상조(300)의 수면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플(310)은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유량의 변화를 통해 부상조(300) 내 수위가 바뀔 경우 오염수의 플록(floc)을 수면으로 원만하게 유도해야 할 경우에는 배플(3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처리유량이 감소하여 부상조(300)의 수위가 내려갈 경우에는 배플(310)의 각도를 오른쪽으로 완만하게 눕혀 조대플럭(macro floc)을 제2내부공간(I2)의 수면쪽으로 넓게 유도시킬 수 있다.The floating tank 300 may have a second inner space I2 formed therein. The floating tank 300 can stor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ternal space I1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The floating tank 300 may include a baffle 310 mounted in the second inner space I2 and guiding the fine bubbles flowing in the first inner space I1 to rise. That is, since the micro bubbles trapping the floc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00 described later rise along one side of the baffle 310, the micro bubbles are directed to the surface of the floatation vessel 300 It can be guided to rise. Referring to FIG. 3, the baffle 310 may include an angle adjuster 320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in the floating tank 300 is changed through the change of the treatment flow rate, the angle of the baffle 310 can be adjusted when the floc of the contaminated water must be smoothly guided to the water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the floating tank 300 is lowered due to a decrease in the process flow rate, the angle of the baffle 310 is gently laid down to the right to widen the macro floc toward the wa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pace I2 .

부상조(300)는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된 오염수 위로 떠오른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스크래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퍼부(330)는 몸체(331), 스크래퍼(332) 및 지지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33)는 부상조(30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331)는 지지부재(333)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래퍼(332)는 몸체(331)에 설치되어 몸체(331)가 회전함에 따라 제2내부공간(I2) 상부수면에 부상한 플록(floc)을 제거할 수 있다.The float tank 300 may include a scraper portion 330 to remove floats floating on the contamina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The scraper portion 330 may include a body 331, a scraper 332, and a support member 333. The support member 333 may be installed above the floating tank 300. The body 331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333 and rotated to one side. The scraper 332 is installed on the body 331 and can remove floc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bove the second inner space I2 as the body 331 rotates.

일반적으로 호기성 미생물이 다량 존재하는 폐수처리장 혼합액의 경우, 미생물에 의해 용존 산소가 소모된다. 따라서, 폐수처리장의 혼합액에 미생물이 소비할 용존산소량(DO)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펠러부(240)의 제1유입공(244)의 직경과 상판(241)의 직경 비율에 따른 DO 농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mixed solu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aerobic microorganisms exist, dissolved oxygen is consumed by microorganism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consumed by the microorganism in the mixed solu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this embodiment, the DO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are compared and analyz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직경과 제1유입공(244)의 직경의 비율을 10%이상 20%이하로 하여,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 하기의 [표 1] 내지 [표 9]는 공기 유입량의 변화에 따라 용존 산소량을 측정한 실험 및 실험 결과이다.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can be set to 10% or more and 20% or less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of the mixing chamber 100 . As a basis for this, the following [Tables 1] to [Table 9] are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experiments in which the dissolved oxygen amoun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ir inflow amount.

실험 조건Experimental conditions

- 실험대상원수: 폐수처리시설의 폭기조 혼합액 - Experimental target water: aeration tank mixture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반응조 크기: 30㎥ - Reactor Size: 30㎥

- 반응조 조건: 수온 33~34℃, MLSS 9,000~10,000mg/L- Reactor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33 ~ 34 ℃, MLSS 9,000 ~ 10,000 mg / L

- DO meter: YSI 550A model- DO meter: YSI 550A model

- 모터사양: 15kw, 4P, 60Hz(1720rpm)- Motor specification: 15kw, 4P, 60Hz (1720rpm)

-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교반만 하여 DO를 0.1ppm까지 낮춘 뒤, 시제품 가동 후 최대 용존 산소량을 측정- Do not stir air and reduce the DO to 0.1ppm by stirring, and then measure the maximum dissolved oxygen amount after running the prototype.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즉,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인 각각의 조건에서, 상판(241)의 직경과 제1유입공(244)의 직경 비율에 따른 혼합조(100) 내부의 용존산소량(DO)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under the conditions that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is 60 Hz, 50 Hz, (DO) change in the mixing tank 100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하기의 [표 1] 내지 [표 3]은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으로 각각 상이하되,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으로 동일할 때, 제1유입공(244) 직경의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different from 60 Hz, 50 Hz, and 30 Hz,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equal to 0.3 m (= 300 mm) 1 shows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ameter of the inflow hole 244.

구체적으로, [표 1]은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이고, [표 2]는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이고, [표 3]은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30Hz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표 1] 내지 [표 3]은 제1유입공(244)의 직경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Specifically, Table 1 shows a case wher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3 m (= 300 mm), and Table 2 show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3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50 Hz when m (= 300 mm) and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5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3 m (= 300 mm) . Thus, in Table 1 to Table 3,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ameter change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will be.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3

0.3

0.04

0.04

0.01

0.01

1%

One%

1.2

1.2

0.3

0.3

0.07

0.07

0.05

0.05

5%

5%

1.8

1.8

0.30.3

0.090.09

0.090.09

9%9%

3.83.8

0.30.3

0.10.1

0.110.11

11%11%

4.54.5

0.30.3

0.120.12

0.160.16

16%16%

4.84.8

0.30.3

0.130.13

0.1870.187

19%19%

5.15.1

0.30.3

0.140.14

0.2170.217

22%22%

4.74.7

0.3

0.3

0.15

0.15

0.25

0.25

25%

25%

2.8

2.8

0.3

0.3

0.17

0.17

0.32

0.32

32%

32%

2.0

2.0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3

0.3

0.04

0.04

0.01

0.01

1%

One%

0.9

0.9

0.3

0.3

0.07

0.07

0.05

0.05

5%

5%

1.3

1.3

0.30.3

0.090.09

0.090.09

9%9%

3.53.5

0.30.3

0.10.1

0.110.11

11%11%

3.83.8

0.30.3

0.120.12

0.160.16

16%16%

4.24.2

0.30.3

0.130.13

0.1870.187

19%19%

4.64.6

0.30.3

0.140.14

0.2170.217

22%22%

3.83.8

0.3

0.3

0.15

0.15

0.25

0.25

25%

25%

3.1

3.1

0.3

0.3

0.17

0.17

0.32

0.32

32%

32%

2.5

2.5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3

0.3

0.04

0.04

0.01

0.01

1%

One%

0.4

0.4

0.3

0.3

0.07

0.07

0.05

0.05

5%

5%

0.8

0.8

0.30.3

0.090.09

0.090.09

9%9%

1.41.4

0.30.3

0.10.1

0.110.11

11%11%

1.81.8

0.30.3

0.120.12

0.160.16

16%16%

2.12.1

0.30.3

0.130.13

0.1870.187

19%19%

2.12.1

0.30.3

0.140.14

0.2170.217

22%22%

1.91.9

0.3

0.3

0.15

0.15

0.25

0.25

25%

25%

0.9

0.9

0.3

0.3

0.17

0.17

0.32

0.32

32%

32%

0.8

0.8

[표 1] 내지 [표 3]에서는 공통적으로 9%이상 내지 22%이하인 경우가 그 밖의 범위보다 DO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이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경우(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9% 경우) DO 농도가 다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이 9%이상 19%이하의 구간에서는 제1유입공(244)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DO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1] to [Table 3] show that DO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other ranges in the case of not less than 9% and not more than 22%. Particularly, when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of the top plate 241 is 10% or more to 20% or less (preferably, 11% to 19%), the DO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cases. In addition, in the section where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top plate 241 (%) is 9% or more and 19% or less, it is confirmed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ncreases .

다만,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이 동일한 비율 할 때는,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41)의 직경이 0.3m(=300mm)이고,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이 9%이상 22%이하인 동일 조건상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의 60Hz, 50Hz, 30Hz 순으로 DO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is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Specifically, on the same conditio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3 m (= 300 mm) and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is 9% to 22% 240 Hz, 60 Hz, 50 Hz, and 30 Hz, respectively.

일 예로, [표 1] 내지 [표 3]에서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이 19%인 동일 조건일 때, [표 1]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 DO농도는 5.1이고, [표 2]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 DO농도는 4.6이고, [표 3]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30Hz인 경우 DO농도는 2.1로 나타났다.For example, when the impeller portion 240 in Table 1 is the same condition that the first inflow hole 244 area / the top plate 241 area ratio (%) is 19% in Tables 1 to 3, The DO concentration is 5.1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and the DO concentration is 4.6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50 Hz in Table 2. In Table 3, At 30 Hz, DO concentration was 2.1.

즉, 동일한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서는,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with the sam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area 241 of the upper plate 241.

상기의 [표 4] 내지 [표 6]은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으로 각각 상이하되, 상판(241)의 직경이 0.2m(=200mm)으로 동일할 때, 제1유입공(244) 직경의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different from 60 Hz, 50 Hz and 30 Hz,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equal to 0.2 m (= 200 mm) 1 shows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ameter of the inflow hole 244.

구체적으로, [표 4]는 상판(241)의 직경이 0.2m(=2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이고, [표 5]는 상판(241)의 직경이 0.2m(=2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이고, [표 6]은 상판(241)의 직경이 0.2m(=2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30Hz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표 4] 내지 [표 6]은 제1유입공(244)의 직경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Specifically, Table 4 shows the case wher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2 m (= 200 mm), and Table 5 show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2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50 Hz when m (= 200 mm) and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5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2 m (= 200 mm) . Thus, in Table 4 to Table 6,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ameter change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will be.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Floor area (m2)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2

0.2

0.04

0.04

0.04

0.04

4%

4%

1.1

1.1

0.2

0.2

0.05

0.05

0.06

0.06

6%

6%

1.5

1.5

0.20.2

0.060.06

0.090.09

9%9%

3.63.6

0.20.2

0.070.07

0.120.12

12%12%

4.14.1

0.20.2

0.080.08

0.160.16

16%16%

4.34.3

0.20.2

0.090.09

0.20.2

20%20%

4.14.1

0.2

0.2

0.1

0.1

0.25

0.25

25%

25%

2.8

2.8

0.2

0.2

0.12

0.12

0.36

0.36

36%

36%

2.2

2.2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Floor area (m2)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2

0.2

0.04

0.04

0.04

0.04

4%

4%

0.7

0.7

0.2

0.2

0.05

0.05

0.06

0.06

6%

6%

0.9

0.9

0.20.2

0.060.06

0.090.09

9%9%

1.51.5

0.20.2

0.070.07

0.120.12

12%12%

1.81.8

0.20.2

0.080.08

0.160.16

16%16%

22

0.20.2

0.090.09

0.20.2

20%20%

2.12.1

0.2

0.2

0.1

0.1

0.25

0.25

25%

25%

1.0

1.0

0.2

0.2

0.12

0.12

0.36

0.36

36%

36%

0.8

0.8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2

0.2

0.04

0.04

0.04

0.04

4%

4%

0.3

0.3

0.2

0.2

0.05

0.05

0.06

0.06

6%

6%

0.4

0.4

0.20.2

0.060.06

0.090.09

9%9%

0.90.9

0.20.2

0.070.07

0.120.12

12%12%

1.21.2

0.20.2

0.080.08

0.160.16

16%16%

1.41.4

0.20.2

0.090.09

0.20.2

20%20%

1.31.3

0.2

0.2

0.1

0.1

0.25

0.25

25%

25%

0.5

0.5

0.2

0.2

0.12

0.12

0.36

0.36

36%

36%

0.4

0.4

[표 4] 내지 [표 6]은 공통적으로 9%이상 20%이하인 경우가 그 밖의 범위보다 DO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Table 4] to [Table 6] show that DO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other ranges in the case of not less than 9% and not more than 20%.

다만,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의 동일 비율 상에서, 임펠러(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41)의 직경 0.2m(=200mm)이고,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이 9%이상 20%이하인 동일 조건 상에서, 임펠러(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인 순서로 DO농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on the sam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Specifically, on the same conditio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2 m (= 200 mm), the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is 9% 240) are 60 Hz, 50 Hz, and 30 Hz, respectively.

일 예로,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이 16%인 동일 조건일 때, [표 4]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 DO농도는 4.3ppm이고, [표 5]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 DO농도는 2ppm이고, [표 6]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30Hz인 경우 DO농도는 1.4ppm으로 나타났다.For example,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in the same condition that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of the top plate 241 is 16% The DO concentration is 2 ppm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50 Hz and the DO concentration is 1.4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30 Hz in Table 5. In Table 5, ppm.

즉, 동일한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서는,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with the sam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area 241 of the upper plate 241.

상기의 [표 4] 내지 [표 6]은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으로 각각 상이하되, 상판(241)의 직경이 0.4m(=400mm)으로 동일할 때, 제1유입공(244) 직경의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표 7]은 상판(241)의 직경이 0.4m(=4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이고, [표 8]은 상판(241)의 직경이 0.4m(=4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이고, [표 9]는 상판(241)의 직경이 0.4m(=400mm)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30Hz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표 7] 내지 [표 9]는 제1유입공(244)의 직경 변화에 따라,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 따른 DO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different from 60 Hz, 50 Hz, and 30 Hz,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equal to 0.4 m (= 400 mm), [Table 4] 1 shows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ameter of the inflow hole 244. Specifically, Table 7 shows the case wher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4 m (= 400 mm), and Table 8 show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4 Table 9 shows the case wher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30 Hz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4 m (= 400 mm), and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when m (= 400 mm) . Thus, in Table 7 to Table 9, the DO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ameter change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will be.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4

0.4

0.08

0.08

0.04

0.04

4%

4%

1.8

1.8

0.4

0.4

0.1

0.1

0.06

0.06

6%

6%

2.2

2.2

0.40.4

0.120.12

0.090.09

9%9%

3.43.4

0.40.4

0.130.13

0.1050.105

11%11%

4.84.8

0.40.4

0.160.16

0.160.16

16%16%

6.36.3

0.40.4

0.180.18

0.20.2

20%20%

6.26.2

0.4

0.4

0.19

0.19

0.225

0.225

23%

23%

2.7

2.7

0.4

0.4

0.22

0.22

0.3

0.3

30%

30%

2.4

2.4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4

0.4

0.08

0.08

0.04

0.04

4%

4%

1.5

1.5

0.4

0.4

0.1

0.1

0.06

0.06

6%

6%

2.8

2.8

0.40.4

0.120.12

0.090.09

9%9%

3.93.9

0.40.4

0.130.13

0.1050.105

11%11%

4.64.6

0.40.4

0.160.16

0.160.16

16%16%

6.26.2

0.40.4

0.180.18

0.20.2

20%20%

66

0.4

0.4

0.19

0.19

0.225

0.225

23%

23%

2.9

2.9

0.4

0.4

0.22

0.22

0.3

0.3

30%

30%

2.6

2.6


상판직경(m)

Diameter of top plate (m)

유입공직경(m)

(M)

유입공면적/
상판면적(m2)

Inflow area /
Top plate area (m 2 )

유입공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DO(ppm)

DO (ppm)

0.4

0.4

0.08

0.08

0.04

0.04

4%

4%

1.1

1.1

0.4

0.4

0.1

0.1

0.06

0.06

6%

6%

1.7

1.7

0.40.4

0.120.12

0.090.09

9%9%

2.02.0

0.40.4

0.130.13

0.1050.105

11%11%

2.22.2

0.40.4

0.160.16

0.160.16

16%16%

3.33.3

0.40.4

0.180.18

0.20.2

20%20%

3.23.2

0.4

0.4

0.19

0.19

0.225

0.225

23%

23%

1.8

1.8

0.4

0.4

0.22

0.22

0.3

0.3

30%

30%

1.5

1.5

[표 7] 내지 [표 9]는 공통적으로 9%이상 20%이하인 경우가 그 밖의 범위보다 DO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Table 7] to [Table 9] show that DO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other ranges in the case of not less than 9% and not more than 20%.

다만,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의 동일 비율 상에서, 임펠러(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41)의 직경 0.4m(=400mm)일 때,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이 9%이상 20%이하인 동일 조건 상에서, 임펠러(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 50Hz, 30Hz 인 순서로 DO농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on the sam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Specifically, whe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is 0.4 m (= 400 mm), the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 area ratio (%) of the upper plate 241 is 9%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O concentration is lowered in the order of the rotational frequencies of 60 Hz, 50 Hz, and 30 Hz.

일 예로,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이 16%인 동일 조건일 때, [표 7]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인 경우 DO농도는 6.3ppm이고, [표 8]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50Hz인 경우 DO농도는 6.2ppm이고, [표 9]에서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30Hz인 경우 DO농도는 3.3ppm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제1유입공(244) 면적/상판(241) 면적 비율(%)에서는,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높을수록 DO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60 Hz in the same condition that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area ratio of the top plate 241 is 16% The DO concentration is 6.2 ppm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50 Hz and the DO concentration is 30 Hz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s 30 Hz in Table 9. In Table 9, Respectively.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increases with the sam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area 241 of the upper plate 241.

상기의 [표 1] 내지 [표 9]에 나타난 실험 결과를 보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244)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고, 이에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이 증가한다.The experimental results shown in [Table 1] to [Table 9] show that as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nto which the air flows is increased, the air inflow amount increases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increases.

[표 1] 내지 [표 3]에서 상판(241)의 직경이 0.3m인 경우,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은 9%이상 22%이하의 범위가 DO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top plate 241 is 9% or more and 22% or less when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241 is 0.3 m in [Table 1] The range was found to be higher DO concentration.

[표 4] 내지 [표 6]에서 상판(241)의 직경이 0.2m인 경우,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은 9%이상 20%이하의 범위가 DO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top plate 241 is not less than 9% and not more than 20% when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241 is 0.2 m in [Table 4] The range was found to be higher DO concentration.

[표 7] 내지 [표 9]에서 상판(241)의 직경이 0.4m인 경우,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은 9%이상 20%이하의 범위가 DO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 of the top plate 241 is not less than 9% and not more than 20% when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241 is 0.4 m in [Table 7] The range was found to be higher DO concentration.

이에, [표 1] 내지 [표 9] 각각의 모든 경우에 포함되는 상판(241)의 면적과 제1유입공(244)의 면적 비율은 10%이상 20%이하이다. 즉, 상판(241)의 면적과 제1유입공(244)의 면적 비율이 10%이상 20%이하일 때, 용존산소량(DO)을 증가시켜 미세기포 발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included in all cases of Table 1 to Table 9 and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s 10% or more and 20% or less. That is, when the area of the top plate 241 and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s 10% or more and 20% or les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fin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그러나, 제1유입공(244)의 면적/상판(241)의 면적 비율이 일정 비율(약23%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제1유입공(244)의 면적을 넓혀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농도가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However, when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 the area ratio of the top plate 241 exceeds a certain ratio (about 23% or more),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s enlarged to increase the air inflow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concentration of the mixing tank 100 was decreased.

이러한 이유는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한 미세기포 발생효율이 감소하여,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산소 전달율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시 말해, 동일한 풍압의 배관에서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증가는 공기공급량과 비례하게 된다. 다만, 임펠러부(240)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공급량 보다 더 많은 공기공급량은 큰 기포를 형성시키게 되어 산소전달효율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fine bubbles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240 is reduced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is reduced even though the air supply amount is increased. In other words,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n the pipe of the same wind pressure becomes proportional to the air supply amount. However, the air supply amount larger than the supply amount capable of generating the minute bubbles in the impeller portion 240 forms large bubbles, which may cause the oxygen delivery efficiency to be lowered.

또한, [표 1] 내지 [표 3]에서 제1유입공(244)의 면적과 상판(241)의 면적의 동일한 비율 조건일 때, [표 1]의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일 때가 [표 2] 및 [표 3]의 회전 주파수가 50Hz 및 30Hz일 때보다 DO농도가 높게 나타났다.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n Table 1 is 60 Hz (see Table 1),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n Table 1 is 60 Hz The DO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when the rotational frequencies of [Table 2] and [Table 3] were 50 Hz and 30 Hz, respectively.

마찬가지로, [표 4] 내지 [표 6] 및 [표 7] 내지 [표 9]에서 제1유입공(244)의 면적과 상판(241)의 면적의 동일한 비율 조건일 때,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60Hz일 때가 회전 주파수가 50Hz 및 30Hz일 때보다 DO농도가 높게 나타났다.Similarly, in the condition of the sam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in [Table 4] to [Table 6] and [Table 7] The DO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was 50Hz and 30Hz.

즉, 임펠러부(240)의 회전속도의 증가는 산소전달율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leads to an increase in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이와 관련하여,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4극 모터 주파수 기준으로 30Hz ~ 60Hz(바람직하게는, 50Hz~60Hz)로 하여, 임펠러부(240)의 내부에서 외부로 미세기포를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 하기와 같은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용존산소량을 측정한 실험 및 실험결과가 도출됐다.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주파수는 모터의 회전주파수에 대응되므로, 하기의 실험에서는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용존산소량을 측정하였다.In this regard,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is 30 Hz to 60 Hz (preferably, 50 Hz to 60 Hz) on the basis of the quadruple motor frequency, and the fine bubbles are smoothly diffus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 As a basis for this, experiments and results of measur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as described below were derived. Since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corresponds to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motor,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in the following experiment.

일반적으로, 혼합조(100)는 연속적으로 폐수와 활성슬러지의 호기성 기질분해 조건하에, 용존산소의 소모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환경이다. 따라서, 산소 용해량의 변화에 따라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 농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운전조건에서 시제품의 회전주파수를 조작변수로 하였을 때, 운전 중에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회전주파수 범위를 찾을 수 있다.In general, the mixing tank 100 i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nsumption of dissolved oxygen continuously occurs under the condition of aerobic substrate decomposition of wastewater and activated sludge continuously.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DO) in the mixing chamber 100 increases or decreases with the change i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prototype is set as an operating variable under the same operating condition, the optimum rotational frequency range can be found by measur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concentration of the mixing tank 100 during operation.

실험에서 사용된 시제품의 모터사양은 15kw, 4P, 60Hz(1720rpm)이고, 임펠러 상판(241)의 직경은 0.3m이고, 제1유입공(244)의 직경은 0.13m이다.The motor specifications of the prototype used in the experiment are 15 kW, 4 P, 60 Hz (1720 rpm), the diameter of the impeller upper plate 241 is 0.3 m,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is 0.13 m.

실험 조건은 아래의 표와 같다.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 반응조 조건: 폐수처리용 생물반응조(430m3), 수온 34℃, MLSS 9,000mg/L, 폐수유입량 130m3/hr- Reactor conditions: Bioreactor for treatment of wastewater (430 m 3 ), water temperature 34 ° C, MLSS 9,000 mg / L, wastewater inflow rate 130 m 3 / hr

- 시제품 운전 조건: 운전주파수 증가에 따른 회전수 증가와 생물반응조 용존산소농도(DO ppm)의 영향분석; 동일한 송풍량- Prototype operating conditions: Analysis of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DO concentration (DO ppm) in the bioreactor with increasing operating frequency; Same blowing volume

- DO meter: YSI 550A model- DO meter: YSI 550A model

상기와 같은 실험조건에서 모터의 회전주파수증가에 따른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 변화를 실험을 진행한 결과, 하기 표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mixing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motor under the above experi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the result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were obtained.

구분division 조건 1Condition 1 조건 2Condition 2 조건 3Condition 3 조건 4Condition 4 조건 5Condition 5 조건 6Condition 6 조건 7Condition 7 비고Remarks 주파수frequency 00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HzHz 용존산소량(DO)Dissolved oxygen amount (DO) 0.30.3 0.80.8 1.81.8 3.23.2 3.73.7 4.84.8 5.25.2 ppmppm 운전부하(암페어)Operating load (amperes) 00 8.98.9 11.211.2 13.413.4 15.415.4 18.518.5 22.522.5 AA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주파수 증가(즉,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주파수 증가)에 따라 용존산소량(DO)의 농도가 점차 증가한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the concentration of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gradually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motor (i.e., an increase in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먼저, 회전주파수가 20Hz 미만인 경우에는 용존산소량(DO)이 1ppm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측정되었다. 이는, 10Hz이하에서는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속도 감소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율의 감소로 인해서 산소 전달율이 낮아 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혼합조(100)는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산소 전달율이 감소할 경우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이 감소하게 된다.First, it was measured that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was maintained at less than 1 ppm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was less than 20 Hz.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is lower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micro bubble generation rate due to the decreas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impeller blade 243 at 10 Hz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mixing tank 100 is not smoothly stirred or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is decrease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of the mixing tank 100 is decreased.

반면에, 회전주파수가 20Hz~60Hz 범위인 경우에는, 회전주파수가 1.8ppm~5.2ppm이다. 특히, 회전주파수가 50Hz~60Hz 범위인 경우에는 회전주파수가 4.8ppm~5.2ppm으로서, 용존산소량(DO) 농도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회전주파수 중 최대 회전주파수인 조건 7에서 용존산소량(DO)은 5.2ppm까지 증가한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정격 주파수 60Hz이상으로는 주파수를 증가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임펠러부(240)의 내부에서 외부로 미세기포를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frequency is in the range of 20 Hz to 60 Hz, the rotation frequency is 1.8 ppm to 5.2 ppm. Particularly, when the rotational frequency was in the range of 50 Hz to 60 Hz, the rotational frequency was 4.8 ppm to 5.2 ppm, and the increase in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concentration was confirmed. In particular, under condition 7, which is the maximum rotational frequency of the rotational frequency,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increases to 5.2 ppm.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frequency more than the rated frequency 60Hz in Korea at present. Therefore, fine bubbles can be smoothly diffused from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outside.

따라서, 임펠러부(240)의 상판(241)의 면적과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비율이 10% 이상 20%이하인 특징과,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가 20Hz 내지 60Hz인 특징은 혼합조(100)의 용존산소량(DO)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세기포 발생 효율을 증가시킨다.Therefor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is 10% or more and 20% or less, and the characteristic that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is 20 Hz to 60 Hz Increase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of the mixing tank 100, thereby increasing the fin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연결관(400)은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과 부상조(300)의 제2내부공간(I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관(400)은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과 부상조(300)의 제2내부공간(I2)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400)은 연결관(400) 내부로 제2약품을 주입하도록 제2약품 저장탱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약품은 연결관(400)을 통과하는 미세플록(micro floc)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폴리머(poly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관(400) 내부에는 응집보조제(제2약품)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응집보조제(제2약품)는 미세기포와 결합된 미세플록(micro floc)을 조대플록(macro floc)으로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증가한 조대플록(macro floc)에 복수의 미세기포가 결합되어 부상조(300)에서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관(400)은 제2약품 저장탱크(410)와 연결관(400)을 연결하여 제2약품이 통과하는 주입관(420)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관(400)은 연결관(400) 내부로 주입되는 제2약품을 조절하는 제2밸브(4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밸브(430)는 혼합조(100)의 부피와, 미세플록(micro floc)의 부피에 따라 주입되는 제2약품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대플록(macro floc)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on pipe 4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nd the second inner space I2 of the floating tank 300. That is, the connection pipe 40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nd the second inner space I2 of the floating tank 30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pipe 400 may include a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for injecting the second medicine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The second medicament may include a polymer or the like that increases the size of micro flocs passing through the connector tube 400. That is, the coagulation assistant (second medicine) may be supplied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The supplied coagulant aid (second drug) can increase the size of micro flocs combined with micropores into macro flocs. Accordingly, a plurality of minute bubbles can be combined with the macro floc whose size is increased, so that the microbubbles float in the floating tank 300. The connection pipe 400 may include an injection pipe 420 through which the second medicine passes by connecting the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and the connection pipe 400. The connection pipe 400 may include a second valve 430 for controlling a second medicine to be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Accordingly, the second valve 430 can generate an optimal macro floc by controlling the second medicine to be inject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mixing chamber 100 and the volume of the micro flocs.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FIG. 8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of the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the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약품의 혼합 시간 단축, 오염수 처리용량 증가, 약품주입량 증가 및 미세기포 발생량의 증가를 위해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3개의 미세기포 발생장치(200)가 설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표로 하는 약품 혼합 시간에 따라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s 200 may be provided for shortening the mixing time of the first medicines, increasing the contaminated water treatment capacity, increasing the amount of injected medicines,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Although thre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s 200 are provided in Fig. 8, the number of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s 2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s 200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target drug mixing tim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and FIG. 10 are photographs of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는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모터(210), 제1판(220), 회전축(230), 임펠러부(240) 및 제2판(250)을 나타낸 도면이다. 9 and 10, FIG. 9 is a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20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s shown i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motor 210, the first plate 220, the rotating shaft 230, the impeller 240 and the second plate 25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ducing fine bubbles.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fine bubb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FIG. 11, FIG. 1 is a photographic view of a generator and a floating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모터(210'), 제1판(220'), 회전축(230'), 임펠러부(240') 및 제2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11 to 13,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includes a motor 210 ', a first plate 220', a rotating shaft 230 ', an impeller 240' and a second plate 250 ' ).

모터(210')는 대기중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중에 배치될 경우보다 고장의 위험률이 낮다. 모터(210')는 수직으로 중앙을 관통하는 모터관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210 'may be placed in the atmosphere. Therefore, the risk of failure is lower than when placed in water. The motor 210 'may be formed with a motor through hole 211'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thereof.

제1판(22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220')은 모터(210') 하단에 배치되어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inclined funnel shape. The first plate 2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a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회전축(230')은 모터(210')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30')은 제1판(220')의 홀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30')은 모터관통공(211')과 연통되는 회전축홀(231')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The rotary shaft 23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can rotate. The rotation axis 230 'may be formed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late 220'. The rotary shaft 23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a rotary shaft hole 231'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through hole 211 '.

임펠러부(240')는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부(240')는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미세기포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1판(220')의 밑단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임펠러부(240')는 상판(241'), 하판(242'), 임펠러 날개(243') 및 임펠러관통공(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peller 24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230' and can rotate. The impeller portion 240 'can generate minute bubbles. At this time, the generated minute bubbles can be distributed along the bottom of the first plate 220 'which is inclined downward. Referring to FIG. 10, the impeller portion 240 'may include an upper plate 241', a lower plate 242 ', an impeller blade 243', and an impeller through hole 244 '.

상판(241')은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판(241')은 중앙에 제2유입공(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공(241a')은 회전축홀(231')과 연통되어 상판(241')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공(241a')은 외부로부터 임펠러부(24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유입공(241a')은 공기 및 약품 중 하나 이상이 임펠러부(2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upper plate 24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A second inflow hole 241a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241'. The second inlet hole 241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241'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on shaft hole 231 '. The second inlet hole 241a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second inflow hole 241a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of air and chemicals can be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240'.

하판(242')은 상판(24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24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plate 241'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회전시 오염수의 저항을 저감시키는 후향 베인(backward vane), 즉, 후향 만곡 베인(backward curved v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되도록 만곡부(24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부(240')의 내부에는 공기와 약품이 혼합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 날개(243')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체저항이 작고, 풍압이 높아 동일한 수심에서 많은 공기량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적은 동력으로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may be formed. The impeller blade 243 'can be rotated as the upper plate 241' rotates.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with a backward vane, that is, a backward curved vane, which reduces the resistance of the contaminated water during rotation. Furth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243a' so as to be curved inward from the inside. Therefore, a space S in which air and chemicals can be mixed can be formed inside the impeller portion 240 '. Accordingly, the impeller blades 243 'are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manner, so that the fluid resistance is small and the wind pressure is high,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at the same depth. In addition, the resistance to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rotational efficiency of the impeller blades 243 'can be improved with relatively little pow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

따라서, 임펠러 날개(243')는 제2유입공(241a')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약품에 의해 오염수의 혼합율이 향상될 수 있다. 혼합율이 향상된 공기 및 오염수는 임펠러부(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화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ixing ratio of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improved by the air and the chemicals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blade 243 'from the second inflow hole 241a'. The air and the contaminated water with improved mixing ratio can be miniaturiz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portion 240 'to generate minute bubbles.

제2판(25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판(250')은 임펠러부(2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50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inclined funnel shape. The second plate 25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이와 같이 형성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모터관통공(211'), 회전축홀(231') 및 제2유입공(241a')은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임펠러부(240') 내부로 연통되는 유입로(L)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로(L)는 공기 및 제1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에서 투입되어 임펠러부(24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공기 및 제1약품은 혼합되어 미세기포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through hole 211 ', the rotating shaft hole 231' and the second inlet hole 241a 'of the thus formed fine bubble generator 200 are vertically penetrated and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n inflow path L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th L can be formed. That is, at least one of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may be injected from the outside and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portion 240 '. Further, the introduced air and the first chemical may be mixed and formed into a microcapsule.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일 실시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와 동일하게 제1약품 저장탱크(261), 제1밸브(262) 및 정량펌프(263)가 설치되어 주입되는 공기 및 제1약품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the first valve 262, and the metering pump 263 in the same manner as the micro-bubble generator 200 of the embodiment, And the amount of the first drug to be injected may be adjusted.

또한, 임펠러부(240')의 가로 면적과 제2유입공(241a')의 가로 면적의 비율은 1: 0.1 이상 내지 0.2이하이며, 임펠러 날개(243')의 주파수는 20Hz ~ 60Hz로써, 이에 따라 얻게 되는 효과 또한 동일하다.The ratio of the lateral area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lateral area of the second inlet hole 241a' is 1: 0.1 or more to 0.2 or less and the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is 20 Hz to 60 Hz. The effect to be achieved is also the sam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FIG. 14 is a flow chart of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floating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여,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은,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에 저장되는 단계(S100)를 포함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floating separator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 highly efficient micro-bubble generator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floating separator using the same, (S100), which is stor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모터(210)를 가동시켜, 임펠러부(24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200 of rotating the impeller 240 by driving the motor 210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insta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may be included.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공간(S)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And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space S by rotation of the impeller 240 (S300).

부압에 의해 공간(S) 내부로 공기 및 제1약품이 흡입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되는 공기 및 제1약품은 유입관(260)을 통해 주입되며, 유입관(260)은 정량펌프(263)를 구비하여, 정확한 량의 공기 및 제1약품을 임펠러부(240) 내부에 주입할 수 있다.(S400) in which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sucked into the space S by the negative pressure. At this time, the sucked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injected through the inflow pipe 260, and the inflow pipe 260 is provided with the metering pump 263, so that the correct amount of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injected into the impeller 240 .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공기 및 제1약품이 오염수 내부로 분사되어, 공기가 미세기포를 형성하면서 제1약품 및 상기 오염수가 혼합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tep S500 of mixing the first medicine and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injected into the contaminated 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portion 240 so that the air forms fine bubbles .

제1약품이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약품의 원료인 PAC(poly aluminium chloride)의 무기응집제와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이 반응하여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게 된다.And a step (S600) in which the first chemical reacts with the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generate micro flocs. That is, the inorganic flocculant of PAC (poly aluminum chloride) as a raw material of the first medicine reacts with the suspended substance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generate micro floc.

미세플록(micro floc)이 오염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관(400)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관(400)에서 주입되는 폴리머(polymer)에 의해 미세플록(micro floc)이 응집되어 조대플록(ma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 floc moves toward the connection pipe 40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and the micro floc flocculates due to the polymer injected from the connection pipe 400, floc (step S700).

조대플록(macro floc)이 미세기포의 부력에 의해, 부상조(300) 내에서 배플(310)을 따라 상승하는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플(310)은 상승 조대플록(macro floc)의 량이 많을 경우 조대플록(macro floc)이 파괴되지 않으며 상승하도록 완만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Step S800) in which the macro floc rises along the baffle 310 in the floating tank 300 by buoyancy of the microbubbles. At this time, the baffle 310 can be gently inclined so that the macro floc is not destroyed when the amount of the rising macro floc is large.

부상조(300)의 수면에서 상승한 조대플록(macro floc)이 스크래퍼(332)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332)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부는 부상조(300)의 상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승한 조대플록(macro floc)을 제거할 수 있다.And a step (S900) in which the macro floc which has risen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tank 300 is collected and removed by the scraper 332.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crapers including the scrapers 332 are installed on the float tank 300 to remove the raised macro flocs.

위와 같은 순서로 오염수의 부유 물질은 제거될 수 있다.Suspended substances in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removed in the above sequence.

투입된 오염수는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로 유입되고, 제1약품과 공기를 이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한 미세기포는 제1약품의 원료인 PAC(poly aluminium chloride) 등의 무기응집제와 혼합공급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과 응집되어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The charged polluted water flows into the micro-bubble generator 200 insta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and generates micro-bubbles by using the first medicine and air. At this time, the generated micro-bubbles are mixed with an inorganic coagulant such as poly aluminum chloride (PAC),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first medicine, to coagulate with the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generate micro flocs (S200) .

생성된 미세플록(micro floc)은 오염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관(400)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관(400)에서 주입되는 폴리머(polymer)와 결합되어 조대플록(macro floc)이 생성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대플록(macro floc)은 미세플록(micro floc)보다 부피가 크다.The generated micro floc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400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and is combined with the polymer injected from the connection pipe 400 to generate macro floc (S300). These macro flocs are bulkier than micro flocs.

따라서, 부피가 커진 조대플록(macro floc)은 복수의 미세기포가 달라 붙어, 부력에 의해 부상조(300) 상부로 상승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승하는 조대플록(macro floc)은 오염수의 흐름에 따라 부상조(300)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조대플록(macro floc)이 파괴되지 않도록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배플(310)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ulky macro floc includes step S400 in which a plurality of minute bubbles adhere to each other and float up to the floating vessel 300 by buoyancy. At this time, the rising macro floc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loating tank 30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and can be lifted up along the baffle 310 inclined at an angle to prevent the macro floc from being destroyed. have.

부상조(300) 상부로 상승한 플록(floc)은 스크래퍼부(330)에 의해 제거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The floc which has risen above the floating tank 300 is removed by the scraper portion 330 (S500).

위와 같은 순서와 같이 오염수의 부유 물질은 제거될 수 있다.Suspended substances in contaminated water can be removed as described above.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6은 도 15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유입공과 유출공이 이격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9a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전의 오염수 사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오염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있는 사진이다.15 is a sectional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FIG. 15, 18 is a photograph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which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s in the contaminated water through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되어, 오염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모터(210), 제1판(220), 회전축(230), 임펠러부(240), 제2판(250) 및 유입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5 and 16,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micro-bubbles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contaminated water.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may include a motor 210, a first plate 220, a rotating shaft 230, an impeller 240, a second plate 250, and an inlet pipe 260 .

모터(210)는 제1내부공간(I1)의 오염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tor 210 can be disposed inside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1.

제1판(22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220)은 모터(210) 하단에 배치되어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as a funnel shape inclined downward. The first plate 2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may have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회전축(230)은 모터(210)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30)은 제1판(220)의 홀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23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nd can rotate. The rotation axis 230 may be formed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late 220.

임펠러부(240)는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부(240)는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미세기포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1판(220)의 밑단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임펠러부(240)는 상판(241), 하판(242), 임펠러 날개(243) 및 제1유입공(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peller 24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230 and can rotate. The impeller portion 240 can generate minute bubbles. At this time, the generated minute bubbles can be distributed along the bottom of the first plate 220 which is inclined downward. 16, the impeller portion 240 may include an upper plate 241, a lower plate 242, an impeller blade 243, and a first inlet hole 244.

상판(241)은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판(241)은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241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The upper plate 241 can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하판(242)은 상판(24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42)은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공(244)은 외부로부터 임펠러부(24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유입공(244)은 공기 및 약품이 임펠러부(2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ower plate 24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plate 2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plate 242 may have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first inlet hole 244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first inlet hole 244 is formed to allow air and chemicals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impeller portion 240.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회전시 오염수의 저항을 저감시키는 후향 베인(backward vane), 즉, 후향 만곡 베인(backward curved v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되도록 만곡부(24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부(240)의 내부에는 공기, 약품 및 오염수가 혼합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 날개(243)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체저항이 작고, 풍압이 높아 동일한 수심에서 많은 공기량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적은 동력으로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펠러 날개(243)는 상판(241) 및 하판(242)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blades 2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may be formed. The impeller blade 243 can be rotated as the upper plate 241 rotates. The impeller blades 243 may be formed of a backward vane, that is, a backward curved vane, which reduces the resistance of the contaminated water during rotation. Furth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243a so as to be curved outwardly from the inside. Therefore, a space S in which air, chemicals, and contaminated water can be mixed may be formed inside the impeller 240. Accordingly, the impeller blades 243 are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manner, so that the fluid resistance is small and the wind pressure is high,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at the same depth. In additi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rotational efficiency of the impeller blades 243 can be improved with relatively little power. The impeller blade 243 may be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따라서, 임펠러 날개(243)는 제1유입공(244)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강한 원심력에 의한 약품의 분사를 통해 약품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율이 향상된 공기와 약품은 임펠러부(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화되어 미세 기포와 같이 회전력에 의해 수중에 분사된다. Accordingly, the impeller blades 243 can improve the mixing ratio of the chemicals by injecting the air by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the chemicals by the strong centrifugal force. The air and the chemicals with improved mixing ratio are made fine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part 240 and are injected into the water by the rotational force like micro bubbles.

제2판(250)은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판(250)은 임펠러부(2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판(250)의 중앙에는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50 may be formed as a funnel shape inclined downward. The second plate 25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 hole 25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250.

유입관(260)은 일단이 홀(251)을 관통하여 제1유입공(244)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일단에는 유출공(26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공(265)은 제1유입공(244)과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출공(265)은 제1유입공(244)과 기 설정된 간격(약 20mm)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공(265)은 제1유입공(244)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ipe 260 may be disposed so that one end thereof passes through the hole 251 and faces the first inlet hole 244. An outflow hole 265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pipe 260. Specifically, the outflow hole 265 may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first inflow hole 244. The outlet hole 26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let hole 2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20 mm). The outflow hole 265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low hole 244.

임펠러부(240)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임펠러부(24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임펠러부(240)의 제1유입공(244)으로 물(즉, 오염수)과 공기가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임펠러부(24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관(260)의 유출공(265)에서 유출되는 공기 또는 약품과 임펠러부(240) 외부의 오염수가 제1유입공(244)을 통해 임펠러부(240)의 공간(S)으로 함께 유입될 수 있다.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s the impeller portion 240 rotates at a high speed so that water (that is, contamination) is generated in the first inlet hole 244 of the impeller portion 240 Water) and air. More specificall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he air or chemicals flowing out of the outflow hole 265 of the inflow pipe 260 and the contaminated water outside the impeller portion 240 (S)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hrough the through hole (244).

유입관(260)의 타단은 복수 개로 분기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타단 중 어느 하나는 대기를 향해 개방되어 유입관(26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관(260)의 타단 중 다른 하나는 제1약품 저장탱크(261)와 연통되어 유입관(260) 내부로 제1약품을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유입관(260) 내부로 유입된 제1약품은 제1유입공(244)을 통과해 임펠러부(2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260)의 각각의 타단에는 제1밸브(2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밸브(262)는 유입관(260)으로 투입되는 공기 및 제1약품의 on/off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약품은 PAC(poly aluminium chloride) 등의 무기응집제(inorganic coagulant)를 포함할 수 있다. PAC는 미세기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미세기포는 오염수의 흐름을 따라 후술하는 부상조(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may b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branches. Any one of the other ends of the inflow pipe 260 may be opened toward the atmosphere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flow pipe 260.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to introduce the first medicine into the inflow pipe 260. That is, the first medicine flowing into the inlet pipe 260 may flow into the impeller 240 through the first inlet hole 244. The first valve 26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The first valve 262 can control on / off of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260. The first medicament may include an inorganic coagulant such as PAC (poly aluminum chloride). PAC can form a small size of micro bubbles. Accordingly, the microbubbles formed can be moved to the float tank 300 described later along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유입관(260)을 제1유입공(244)과 이격시킴으로써, 제1유입공(244)으로 오염수와 공기를 함께 제1유입공(244)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O 농도가 증가되는 것을 아래의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다. By separating the inflow pipe 260 from the first inflow hole 244, contaminated water an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inflow hole 244 together with the first inflow hole 244. In this case, the increase in DO concentration can be confirm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하기의 [표 11] 내지 [표 13]은 임펠러부(240) 내부로 공기만 공급했을 경우 보다, 유출공(265)과 임펠러부(240)의 하판(242)에 형성된 제1유입공(244)의 이격을 통하여 오염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임펠러부(240)의 회전력에 의해 임펠러부(240) 내부로 혼합 흡입되는 실험이다.The first inlet holes 244 formed in the lower plate 242 of the outflow hole 265 and the impeller portion 240 are larger than the first inlet holes 244 formed in the impeller portion 240, The mixed water is mixed with the air and mixed into the impeller 24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mpeller 240.

상기 실험에서 임펠러부(240) 상판(241)의 직경과 제1유입공(244)의 직경 비율 중 10%를 기준으로 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In this experiment, 10%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표 11]은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60Hz, 상판(241)의 직경 0.3m(=300mm), 제1유입공(244)의 직경 0.095m(=95mm), 유출공(265)의 직경 0.095(=95mm)일 때,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간격을 0mm, 10mm, 20mm, 30mm, 40mm, 50mm로 각각 이격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1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portion 24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241 of 0.3 m (= 300 mm),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of 0.095 m 10 mm, 20 mm, 30 mm, 40 mm, and 50 mm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65 when the diameter was 0.095 (= 95 mm).

[표 12]는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60Hz, 상판(241)의 직경 0.2m(=200mm), 제1유입공(244)의 직경 0.065m(=65mm), 유출공(265)의 직경 0.065(=65mm)일 때,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간격을 0mm, 10mm, 20mm, 30mm, 40mm, 50mm로 각각 이격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1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and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241 of 0.2 mm (= 200 mm),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ow hole 244 of 0.065 m (= 65 mm), the diameter of the outflow hole 265 10 mm, 20 mm, 30 mm, 40 mm, and 50 mm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65 when the diameter was 0.065 (= 65 mm).

[표 13]은 임펠러부(240)의 회전 주파수 60Hz, 상판(241)의 직경 0.4m(=400mm), 제1유입공(244)의 직경 0.104m(=104mm), 유출공(265)의 직경 0.104(=104mm)일 때,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간격을 0mm, 10mm, 20mm, 30mm, 40mm, 50mm로 각각 이격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1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and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impeller 240,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241 of 0.4 m (= 400 mm),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hole 244 of 0.104 m 10 mm, 20 mm, 30 mm, 40 mm, and 50 mm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65 when the diameter was 0.104 (= 104 mm).

상판직경(m)Diameter of top plate (m) 공기유입공직경= 공기유입배관 직경(m)Air inflow Public diameter = air inflow pipe diameter (m) 유입공 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하판공기유입공과
공기 유입배관 유격(mm)
Lower plate air inflow course
Air intake pipe clearance (mm)
DO(ppm)DO (ppm)
0.30.3 0.0950.095 1010 00 4.24.2 0.30.3 0.0950.095 1010 1010 5.25.2 0.30.3 0.0950.095 1010 2020 5.95.9 0.30.3 0.0950.095 1010 3030 5.55.5 0.30.3 0.0950.095 1010 4040 3.83.8 0.30.3 0.0950.095 1010 5050 2.92.9

상판직경(m)Diameter of top plate (m) 공기유입공직경= 공기유입배관 직경(m)Air inflow Public diameter = air inflow pipe diameter (m) 유입공 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하판공기유입공과
공기 유입배관 유격(mm)
Lower plate air inflow course
Air intake pipe clearance (mm)
DO(ppm)DO (ppm)
0.20.2 0.0650.065 1010 00 3.83.8 0.20.2 0.0650.065 1010 1010 4.74.7 0.20.2 0.0650.065 1010 2020 5.15.1 0.20.2 0.0650.065 1010 3030 4.94.9 0.20.2 0.0650.065 1010 4040 3.13.1 0.20.2 0.0650.065 1010 5050 2.22.2

상판직경(m)Diameter of top plate (m) 공기유입공직경= 공기유입배관 직경(m)Air inflow Public diameter = air inflow pipe diameter (m) 유입공 면적/
상판면적 비율(%)
Inflow area /
Percentage of top plate area (%)
하판공기유입공과
공기 유입배관 유격(mm)
Lower plate air inflow course
Air intake pipe clearance (mm)
DO(ppm)DO (ppm)
0.40.4 0.1040.104 1010 00 4.84.8 0.40.4 0.1040.104 1010 1010 5.55.5 0.40.4 0.1040.104 1010 2020 6.26.2 0.40.4 0.1040.104 1010 3030 6.06.0 0.40.4 0.1040.104 1010 4040 4.44.4 0.40.4 0.1040.104 1010 5050 4.14.1

상기 [표 11] 내지 [표 13]에 나타난 임펠러부(240)의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이격 거리에 대한 비교 실험에서,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이격 거리가 20mm일 때, DO농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이격 거리가 0일 때, 즉 유출공(265)이 제1유입공(244)과 연결되어 있을 때보다,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이격 거리가 10mm이상 30mm이하 일 때, DO농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In a comparative experiment 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65 of the impeller portion 240 shown in Tables 11 to 13,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45, The DO concentration is the highes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electrode 265 is 20 mm.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second inlet hole 244 are formed to be equal to each oth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outlet hole 265 is zero, ) And the outflow hole 265 is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it can be seen that the DO concentration is increased.

이와 같이,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이격에 의해, 오염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임펠러 내부로 유입될 때, 미세 기포 발생량이 증가하고 산소전달율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air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the outflow hole 265, the amount of minute bubbles generated increases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improves.

다만, 유격이 30mm이상 증가할 경우, 물과 공기의 물리적인 충돌로 인해 임펠러부(240) 내부로 공기 공급량이 감소하여 산소 전달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1유입공(244)과 유출공(265)의 유격 10~30mm의 범위에서 적용되는 것이 최적설계 범위로 판단하였다.However, if the clearance increases by 30 mm or more, the air supply amount decreases to the inside of the impeller portion 240 due to a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water and the air,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is lowered. The first inflow hole 244 and the outflow hole It is determined that the optimum design range is applied in the range of 10 to 30 mm of the clearance of the protrusion 265.

즉,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200)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미세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물과 공기의 혼합액의 확산효율 개선을 통해 반응조 전체의 산소전달율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That is, the apparatus 200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fine bubbles by mixing water and air, and improves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of the entire reactor by improving the diffusion efficiency of the mixture of water and air appear.

여기서,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a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전의 오염수 사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오염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있는 사진이다. 이러한 도 19a와 도 19b를 비교해보면, 미세기포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9A and 19B are photographs of contaminated water before microbubbles are generated, FIG. 19B is a photograph showing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aring FIGS. 19A and 19B, it can be seen that microbubbles are remarkably increas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10 :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100 : 혼합조
I1 : 제1내부공간
200 : 미세기포 발생장치
210 : 모터
220 : 제1판
230 : 회전축
240 : 임펠러부
241 : 상판
242 : 하판
243 : 임펠러 날개
243a : 만곡부
244 : 제1유입공
250 : 제2판
251 : 홀
260 : 유입관
261 : 제1약품 저장탱크
262 : 제1밸브
263 : 정량펌프
300 : 부상조
I2 : 제2내부공간
310 : 배플
320 : 각도조절부
330 : 스크래퍼부
331 : 몸체
332 : 스크래퍼
333 : 지지부재
400 : 연결관
410 : 제2약품 저장탱크
420 : 주입관
430 : 제2밸브
200 : 미세기포 발생장치
210' : 모터
211' : 모터관통공
220' : 제1판
230' : 회전축
231' : 회전축홀
240' : 임펠러부
241' : 상판
241a' : 제2유입공
242' : 하판
243' : 임펠러 날개
243a' : 만곡부
244' : 임펠러관통공
250' : 제2판
10: High 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and Flotation Separator using the same
100: Mixing tank
I1: first inner space
200: Micro bubble generator
210: motor
220: First Edition
230:
240: Impeller section
241: top plate
242: Lower plate
243: impeller blade
243a:
244: first inflow hole
250: Second Edition
251: hole
260: inlet pipe
261: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2: first valve
263: Quantitative pump
300: Flotation tank
I2: second inner space
310: Baffle
320:
330: scraper portion
331: Body
332: scraper
333: Support member
400: connector
410: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20: injection tube
430: second valve
200: Micro bubble generator
210 ': motor
211 ': Motor through hole
220 ': First Edition
230 ': rotating shaft
231 ': rotating shaft hole
240 ': impeller portion
241 ': top plate
241a ': a second inflow hole
242 ': lower plate
243 ': impeller blade
243a ': bending section
244 ': Impeller through hole
250 ': Second Edition

Claims (13)

오염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21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모터(210) 하단에 배치된 제1판(220);
상기 모터(210)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판(220)을 관통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하단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임펠러부(24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임펠러부(240)의 하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홀(251)이 형성되는 제2판(250); 및
일단에 유출공(265)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265)이 상기 홀(2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유입공(244)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유입관(260);
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부(240)는,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판(241);
상기 상판(24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하판(242); 및
상기 상판(241) 및 상기 하판(24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임펠러 날개(243);
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부(240)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는 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A motor 210 disposed inside the contaminated water;
A first plate 22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otor 210;
A rotation shaft 230 mounted on the motor 210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220;
An impeller 24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30 and rotating and having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 second plate 25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240 and having a hole 25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inflow pipe 260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the outflow hole 265 disposed to face the first inflow hole 244 through the hole 251;
/ RTI >
The impeller portion 240 may be formed,
An upper plate 2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30;
A lower plate 24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first inlet hole 24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 ≪ / RTI &
The impeller blade 243 has a curved shap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space S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240 inside the impeller 240 ,
Wherein a ratio of an area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art (240) to an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is 10% or more to 20%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60)의 타단은 복수 개로 분기되며,
상기 타단 중 어느 하나는 대기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유입관(26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타단 중 다른 하나는 제1약품 저장탱크(261)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관(260) 내부로 상기 제1약품을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pipes,
One of the other ends opens toward the atmosphere to introduce air into the inlet pipe 26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and flows into the inlet pipe 260 Wherein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first medicin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60)의 각각의 타단에는 제1밸브(262)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260)의 타단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rst valve (26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inflow pipe (260) to open / close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6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약품 저장탱크(261) 내에는 정량펌프(263)가 형성되어, 투입되는 제1약품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metering pump (263) is provid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tank (261) to adjust the amount of the first medicine to be introduc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20Hz ~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is 20 Hz to 60 Hz.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265)은
상기 임펠러부(240) 내부의 공간(S)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유입공(24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flow hole 265
Is connected to the first inflow hole (244)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S) inside the impeller part (24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265)은,
상기 제1유입공(244)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임펠러부(2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부(240) 외부의 오염수와 상기 유출공(265)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함께 상기 제1유입공(244)으로 유입되어, 상기 임펠러부(240)의 내부 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flow hole (265)
The first inlet hole 24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let hole 2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impeller 240 rotates, the contaminated water outside the impeller 240 and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outflow hole 265 flow into the first inlet hole 244, and the impeller portion 240) to the inner space (S) of the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대기중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모터관통공(211')이 형성된 모터(210');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모터(210') 하단에 배치된 제1판(220');
상기 모터(210')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판(220')을 관통하며, 상기 모터관통공(211')과 연통되는 회전축홀(231')을 구비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상부에 상기 회전축홀(231')과 연통되는 제2유입공(241a')이 형성된 임펠러부(240'); 및
하방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서, 상기 임펠러부(240') 하단에 배치된 제2판(250');을 포함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관통공(211'), 상기 회전축홀(231') 및 상기 제2유입공(241a')은 동축상에 위치하여 유입로(L)를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부(240')는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2유입공(241a')이 형성된 상판(241');
상기 상판(24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242'); 및
상기 상판(241') 및 상기 하판(24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임펠러 날개(243');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날개(24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2유입공(241a')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A motor 210 'disposed in the atmosphere and having a motor through hole 211' formed therein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plate 22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10';
A rotating shaft 230 'mounted on the motor 210' and rotating and having a rotating shaft hole 231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220'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through hole 211 ';
An impeller 24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30' and rotating and having a second inlet hole 241a 'communicating with the rotary shaft hole 231'; And
And a second plate (250 ') having a downwardly inclined funnel shape and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he motor through hole 211 ', the rotary shaft hole 231', and the second inlet hole 241a 'are coaxially positioned to form an inflow path L,
The impeller portion 240 '
An upper plate 2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230' and having the second inlet hole 24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plate 24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in parallel; And
And a plurality of impeller blades 243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41' and the lower plate 242 '
The impeller blade 243 'has a curved shap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rein a ratio of an area of the upper plate (241 ')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an area of the second inlet hole (241a ') is 10% or more to 20% or les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날개(243')의 회전 주파수는 20Hz ~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rotational frequency of the impeller blade (243 ') is 20 Hz to 60 Hz.
내부에 제1내부공간(I1)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저장되는 혼합조(100);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 내부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기포 발생장치(200);
내부에 제2내부공간(I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I1)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되는 부상조(300); 및
상기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과 상기 부상조(300)의 제2내부공간(I2)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400);
를 포함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A mixing tank 100 in which a first inner space I1 is formed and the pollu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ich is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and generates fine bubbles in the contaminated water.
A floatation tank 300 in which a second internal space I2 is formed and the pollu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ternal space I1 is stor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I2; And
A connection pipe 400 installed so that the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tank 100 and the second inner space I2 of the floating tank 30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includes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300)는,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장착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I1)에서 유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과 결합한 미세기포가 상승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플(310);
상기 배플(3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20); 및
상기 제2내부공간(I2)에 저장된 오염수 위로 떠오른 부유물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oat bath (300)
A baffle 310 installed in the second inner space I2 to guide the minute bubbles combined with contaminants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 the first inner space I1 to rise;
An angle adjuster 32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ffle 310; And
A scraper part 330 for removing floats floating on the pollu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inner space I2;
Where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s a micro-bubble generato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0)은,
상기 연결관(400) 내부로 제2약품을 주입하도록 형성되는 제2약품 저장탱크(410);
상기 연결관(400)과 상기 제2약품 저장탱크(410)를 연통하는 주입관(420); 및
상기 연결관(400) 내부로 주입되는 제2약품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3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on pipe (400)
A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formed to inject the second medicine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An injection pipe 420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400 and the second medicine storage tank 410; And
A second valve 430 for controlling an injection amount of the second medicine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pipe 400;
Wherein the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high-efficiency micro-bubble generator.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혼합조(100)의 제1내부공간(I1)에 저장되는 단계(S100);
상기 제1내부공간(I1)에 설치된 미세기포 발생장치(200)의 모터(210)를 가동시켜, 상기 모터(210)에 연결된 회전축(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판(241) 및 상기 상판(24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되, 중앙에 제1유입공(244)이 형성된 하판(242)을 포함하는 임펠러부(24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0);
상기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공간(S)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
상기 부압에 의해 상기 공간(S) 내부로 공기 및 제1약품이 흡입되는 단계(S400);
임펠러부(2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및 상기 제1약품이 상기 오염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공기가 미세기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약품 및 상기 오염수가 혼합되는 단계(S500);
상기 제1약품이 상기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미세플록(mi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600);
상기 미세플록(micro floc)이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관(40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관(400)에서 주입되는 폴리머(polymer)에 의해 상기 미세플록(micro floc)이 응집되어 조대플록(macro floc)을 생성하는 단계(S700);
상기 조대플록(macro floc)이 상기 미세기포의 부력에 의해, 부상조(300) 내에서 배플(310)을 따라 상승하는 단계(S800); 및
상기 부상조(300)의 수면으로 상승한 상기 조대플록(macro floc)이 스크래퍼(332)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는 단계(S900);
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240)의 상기 상판(241)의 면적과 상기 제1유입공(244)의 면적의 비율은 10%이상 내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의 작동방법.

(S100) in which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of the mixing chamber 100;
An upper plate 2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a rotary shaft 220 connected to the motor 210 by operating the motor 210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20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I1, (S200) rotating the impeller part 240 including the lower plate 242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mpeller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with a first inlet hole 244 at the center thereof;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space S by rotation of the impeller 240;
(S400) in which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sucked into the space (S) by the negative pressure;
The air and the first medicine are injected into the contaminated 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portion 240 to mix the first medicine and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the air forms microbubbles S500);
The first drug reacts with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generate micro floc (S600);
The micro flocs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400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micro flocs are flocculated by the polymer injected from the connection pipe 400 Creating a macro floc (S700);
A step S800 of moving the macro floc along the baffle 310 in the flotation tank 300 by buoyancy of the microbubbles; And
(S900) in which the macro floc which has risen to the surface of the floating tank 300 is collected and removed by the scraper 332;
, ≪ / RTI &
Wherein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upper plate (241) of the impeller part (240) to the area of the first inlet hole (244) is 10% or more to 20% or less. How it works.

KR1020180060599A 2017-07-20 2018-05-28 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1437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92 2017-07-20
KR20170091792 201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17A true KR20190010417A (en) 2019-01-30
KR102143790B1 KR102143790B1 (en) 2020-08-12

Family

ID=6527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99A KR102143790B1 (en) 2017-07-20 2018-05-28 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45152A (en) * 2022-12-06 2023-04-11 安庆亿成化工科技有限公司 Can prevent metatritoluene oxidation reaction unit of whirl dispersion reactant
CN116573704A (en) * 2023-06-27 2023-08-11 无锡海拓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air floatation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237B1 (en) * 2000-08-04 2002-10-18 인효석 Polymer mixing feed system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JP4943482B2 (en) * 2008-09-26 2012-05-30 ユチョン、エンバイロ、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Underwater aerator
KR101339741B1 (en) * 2011-03-25 2013-12-11 (주)미시간기술 Water disposal apparatus and process for eliminating contaminating materials in wastewater.
KR101596639B1 (en) * 2015-08-19 2016-02-23 김종철 micro bubble gen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237B1 (en) * 2000-08-04 2002-10-18 인효석 Polymer mixing feed system
JP4943482B2 (en) * 2008-09-26 2012-05-30 ユチョン、エンバイロ、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Underwater aerator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KR101339741B1 (en) * 2011-03-25 2013-12-11 (주)미시간기술 Water disposal apparatus and process for eliminating contaminating materials in wastewater.
KR101596639B1 (en) * 2015-08-19 2016-02-23 김종철 micro bubble gen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45152A (en) * 2022-12-06 2023-04-11 安庆亿成化工科技有限公司 Can prevent metatritoluene oxidation reaction unit of whirl dispersion reactant
CN115945152B (en) * 2022-12-06 2023-07-04 安庆亿成化工科技有限公司 Trimellitic oxidation rea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yclone dispersion reactant
CN116573704A (en) * 2023-06-27 2023-08-11 无锡海拓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air floatation method
CN116573704B (en) * 2023-06-27 2024-02-02 无锡海拓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air float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90B1 (en)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03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the oxygen content of water
KR101434528B1 (e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190010417A (en) High efficiency micro bubble generator, floatation plant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20210276902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802769B1 (en) Rotation pump for minute air bubble occurrence
US8172206B2 (en) System for forming mini microbubbles
KR101751250B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flotation reactor using discharge ozone and ozone reactor
KR101200290B1 (en) Air dossolving tube and dissolved air injection type flotation tank
KR100882818B1 (en) An aeration apparatus
JP4271991B2 (en) Ozone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1555024B1 (e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sbr and apparatus used therein
KR102443210B1 (en) Compact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ssolved Air Flotation with Odor Reduction Facility
CN109019905B (en) Water treatment system based on aeration control
KR101208753B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closed waterarea in river
KR101935369B1 (en) Water treatment tank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thereof
JP2004305916A (en) Membrane separator
JP2002001379A (en) Sewag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137453A (en) Wastewater Treatment Mechanical Super Aerator for Aeration Basin
KR100997446B1 (en) Fine bubble generating Submersible Aerator and Wastewater process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JP2020022957A (en)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11938452B2 (en) Water and wastewater conditioning apparatus
JP2020081976A (en)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y
US8740193B2 (en) System for forming mini microbubbles
JPH03249995A (en) Sewage treating device
KR102365005B1 (en) A Method For Water Purifying Using Ultrafine Bub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