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91A -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91A
KR20190010391A KR1020170148554A KR20170148554A KR20190010391A KR 20190010391 A KR20190010391 A KR 20190010391A KR 1020170148554 A KR1020170148554 A KR 1020170148554A KR 20170148554 A KR20170148554 A KR 20170148554A KR 20190010391 A KR20190010391 A KR 2019001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tand
display
opening
shaf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712B1 (ko
Inventor
서종필
이남기
이정노
조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42,5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61800B2/en
Publication of KR2019001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기기들을 수용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과 전선 통과홀을 통한 물의 유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OUTDOOR DISPLAY APPARTUS}
본 발명은 실외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나 눈 및 태양광에 노출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각종 기기를 포함한다.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및 각종 기기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므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불가피 하게 매우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큰 크기의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 및 설치를 위해서는 기중기와 같은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여, 운반 및 설치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용이하게 운반 및 설치될 수 있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며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마운트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마운트부 사이에 마련되어 각종 기기들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과, 상기 전선 통과홀을 통한 물의 유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갖다.
또한, 상기 방수 구조는 상기 전선 통과홀에 설치되는 축관과, 상기 축관의 상단을 막는 캡과, 상기 축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축관과 대응하는 원환 형상의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 상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전선이 설치되는 복수의 전선 설치홈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 설치홈들 중 사용되지 않는 전선 설치홈을 폐쇄하는 마개부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관은 그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들은 한 쌍씩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씰링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축관은 복수의 걸림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축관의 상단을 막는 캡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걸림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은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들에 걸리는 걸림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덮는 리어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사각 링 형상의 프레임부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측을 구획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축관을 통해 상기 마운트부에 회전하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설치를 위한 체결공들을 포함하며,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그 일측면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는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공기의 배출은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덮는 장식용 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스탠드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관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스탠드에 수용되는 기기를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축관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와 디스플레이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조 및 포장되므로, 인력을 통한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스탠드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이드부 및 축관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전선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탠드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축관, 캡 및 씰링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탠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실외 공간에 주로 배치되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나 눈, 태양광 등에 노출되는 실외 환경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하에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사용되는 주요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실외 공간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실외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측에 디스플레이 유닛(10)이 결합되는 스탠드(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스탠드(20)를 통해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실외 공간에 설치된다. 스탠드(20)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별도로 제조 및 포장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세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들과,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을 수용 및 지지하는 프레임(102)과, 세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후면을 덮는 세 개의 리어 커버(10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들을 형성하는 구성들 중, 프레임(102) 및 리어 커버(103)가 하나의 박스로 포장되고, 스탠드(20)는 프레임(102) 및 리어 커버(103)와 별도로 제조되어 하나의 박스로 포장된다. 또한, 세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들 각각이 포장된다. 즉,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를 형성하는 구성들은 대략 6개의 박스로 포장된다.
이와 같이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들의 구성들이 포장된 박스 각각은 그 크기 및 무게가 인력을 통해 운반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따라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력을 통해 운반 및 설치할 수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해 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그 전방측에 결합될 수 있는 장식용 커버(104)를 포함한다. 장식용 커버(104)는 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비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전면 및 프레임(102)의 상하좌우 네 측면을 덮도록 결합된다.
장식용 커버(104)는 실외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에 표시되는 화면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식용 커버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화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화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식용 커버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부위와 대응하는 부위에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식용 커버(104)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0)에 결합되어 각 부품의 이음매나 체결 부재들을 가리므로, 장식용 커버를 통해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식용 커버(104)는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전방측을 덮어 전방측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에서 장식용 커버(104)는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전면, 프레임(102)의 상하좌우 네 측면을 형성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장식용 커버(104)가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전면을 덮되, 그 나머지 부위는 설계에 따라 덮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며, 세 개가 좌우로 배치된다. 세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은 하나의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멀티 비전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세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이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실외 공간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방수 처리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액정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101a)과, 디스플레이 패널(101a)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패널(101a) 및 백라이트를 지지하는 섀시(101b)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그 후방 중앙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섀시(101b) 내부로 흡입되었다가 다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되도록 하는 송풍팬(101c, 도 6 참조)들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액정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101a)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백라이트가 필요 없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형성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다 슬림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은 세 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하나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은 좌우로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2)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102a)와, 프레임부(102a)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을 지지하는 지지부(102b)들과,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02a) 하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02c)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2a)는 내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을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좌우 네 측면을 형성한다. 지지부(102b)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부(102a) 내측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부(102a)와 지지부(10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이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은 세 개가 프레임(102)에 설치되므로, 프레임부(102a)의 내부 공간은 두 개의 지지부(102b)에 의해 세 개로 구획된다.
가이드부(102c)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연결된 각종 전선(W, 도 9 참조)들이 스탠드(20) 내에 배치된 각종 기기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프레임(102)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2c)는 그 하면 중앙에 마련되어 마운트부(22)의 축관(22c)이 설치되는 축 설치공(102c-1)과, 축 설치공(102c-1)의 양측에 마련되어 물이 축 설치공(102c-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유입 방지턱(102c-2)들과, 물 유입 방지턱(102c-2)들 바깥쪽에 마련되어 물이 가이드부(102c)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 홀(102c-3)들을 포함한다. 물 유입 방지턱(102c-2)은 가이드부(102c)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전선(W)은 물 유입 방지턱(102c-2)들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전선 홀더(102c-4, 도 10 참조)에 의해 그 일부 구간이 지지된다. 전선 홀더(102c-4)는 전선의 일부 구간이 물 유입 방지턱(102c-2)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전선(W)을 타고 물 유입 방지턱(102c-2)을 넘는 것을 방지한다.
리어 커버(10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들과 각각 대응하도록 세 개가 마련되며, 프레임(102)에 고정되어 세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후면을 각각 덮는다. 따라서, 리어 커버(103)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후방측이 개별적으로 개폐된다.
리어 커버(103)는 그 중앙측에 복수의 홀(미도시)들을 통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1)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영역(103a)과, 리어 커버(103)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의 홀들을 통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1)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영역(103b)을 포함한다. 흡입 영역(103a)은 상술한 송풍팬(101c)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에서 리어 커버(103)는 세 개가 구비되나, 이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리어 커버(103)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의 후면을 모두 개폐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탠드(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므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다.
스탠드(20)는 실외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와, 상측에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설치되는 마운트부(22)와, 베이스부(21)와 마운트부(22)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1)들에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2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사각 판 형성되며, 전선(W)이 통과하는 전선홀(21a)과,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부(21)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21b, 21c)들을 포함한다.
전선홀(21a)은 베이스부(21)의 중앙에 원형으로 마련되며, 고정홀(21b, 21c)은 전선홀(21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호 형태의 제 1 고정홀(21b)들과, 베이스부(21)의 외곽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 2 고정홀(21c)들을 포함한다.
제 1 고정홀(21b)들은 수용부(23) 내측에 위치하며 제 2 고정홀(21c)들은 수용부(23)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고려하여 볼트가 제 1 고정홀(21b)들에만 체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볼트가 제 1 고정홀(21b)들 뿐만 아니라 제 2 고정홀(21c)들에도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설치 편이성을 고려하여 볼트가 제 2 고정홀(21c)에만 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운트부(22)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운트부(22)는 그 중앙에 마련되어 전선(W)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22a)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프레임(102)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마운트부(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2b)들을 포함한다.
체결공(22b)들은 전선 통과홀(22a) 및 후술할 축관(22c)을 중심으로 마운트부(22)의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공(22b)들은 마운트부(22)의 장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22b)들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스탠드(2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공(22b)은 대략 15도 각도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설치 각도는 15도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실외 공간의 바닥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 같이 매우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스탠드(20)를 볼트 등을 통해 실외 공간의 바닥에 일단 고정한 후에는 스탠드(20)의 위치를 변경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스탠드(20)에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킨 후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탠드(20)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설치 각도를 작업자가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20)는 전선 통과홀(22a)을 통한 물의 유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갖는다. 방수 구조는 전선 통과홀(22a)에 설치되며 프레임(10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관(22c)과, 축관(22c)의 상단에 설치되어 축관(22c)의 상단을 막는 캡(22d)과, 축관(22c)의 상단과 캡(22d)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22e)를 포함한다.
따라서, 축관(22c), 캡(22d) 및 씰링부재(22e)에 의해 물이 전선 통과홀(22a)을 통해 스탠드(20)의 수용부(2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탠드(20)는 방수 처리된다.
축관(22c)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가이드부(102c)의 축 설치공(102c-1)에 설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02)은 축 설치공(102c-1) 및 축관(22c)을 통해 마운트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1)들과 연결된 전선(W)들이 축관(22c) 및 전선 통과홀(22a)을 통과하여 수용부(23)에 수용된 기기들에 연결된다.
캡(22d)은 원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축관(22c)의 상단을 막아 프레임(102) 내부로 유입된 물이 축관(22c)을 통해 스탠드(2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씰링부재(22e)는 고무와 같이 탄성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씰링부재(22e)는 축관(22c)과 대응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관(22c)의 상단과 캡(22d)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22e-1)와, 씰링부(22e-1) 상면에 마련되어 전선(W)이 관통 설치되는 복수의 전선 설치홈(22e-2)들과, 씰링부(22e-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선 설치홈(22e-2)들 중 사용되지 않는 전선 설치홈(22e-2)을 막는 마개부(22e-3)를 포함한다. 전선 설치홈(22e-2)은 다양한 종류의 전선(W)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된다.
축관(22c)은 그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마련되며 씰링부(22e-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리브(22c-1)들과, 캡(22d)의 걸림홀(22d-3)에 끼워지는 복수의 걸림돌기(22c-2)들을 포함한다.
걸림돌기(22c-2)들은 지지리브(22c-1)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지지리브(22c-1)들은 한 쌍씩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씰링부(22e-1)가 삽입되며, 복수 쌍의 지지리브(22c-1)들이 축관(22c)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캡(22d)은 축관(22c)의 상단을 막는 캡부(22d-1)와, 캡부(22d-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걸림돌기(22c-2)들에 걸리는 걸림홀(22d-3)이 각각 마련된 걸림부(22d-2)들을 포함한다.
씰링부재(22e)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전선(W)들을 씰링부재(22e)의 전선 설치홈(22e-2)에 설치하면, 전선 설치홈(22e-2)의 내면과 전선(W)의 외면은 서로 밀착되어 물이 통과할 수 없다. 여기서 복수의 전선 설치홈(22e-2)들 중 사용되지 않는 전선 설치홈(22e-2)은 마개부(22e-3)로 막아 사용되지 않는 전선 설치홈(22e-2)을 통해 물이 통과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22e)를 축관(22c)의 상단에 설치하고, 씰링부재(22e)가 개재된 상태에서 축관(22c)의 상단에 캡(22d)을 설치하면, 씰링부재(22e)의 씰링부(22e-1) 상면과 캡(22d)의 하면이 밀착되어 물이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축관(22c)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연결된 전선(W)이 스탠드(20)에 수용된 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102) 내부에 유입된 물이 스탠드(20)로 전달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상기에서 마운트부(22)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일정 범위(본 실시예에서는 15도) 내에서 회전시킨 후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마운트부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판, 정사각형 판 및 직사각형 판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수용부(23)는 대략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23) 하단에 상술한 베이스부(21)가 설치되어 베이스부(21)에 의해 하면이 폐쇄되고, 수용부(23) 상단에 상술한 마운트부(22)가 설치되어 마운트부(22)에 의해 상면이 폐쇄된다.
수용부(23)는 음향이나 영상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미도시)와, 인터넷 연결을 위한 라우터(미도시), 화상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1)로 분산 전달하기 위한 분배기(미도시), 전원 연결을 위한 정션 박스(미도시) 등의 기기를 수용한다.
수용부(23)는 그 후면에 마련된 개구(23a, 23b)와, 개구(23a, 23b)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23a, 23b)를 포함한다. 개구(23a, 23b)와 커버 플레이트(23a, 23b) 사이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통해 씰링되어 개구(23a, 23b)를 통해 수용부(23)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개구(23a, 23b)는 수용부(23)의 후면 상부에 마련된 상부 개구(23a)와, 수용부(23)의 후면 하부에 마련된 하부 개구(23b)를 포함하며, 커버 플레이트(24U, 24L)는 상부 개구(23a)를 폐쇄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24U)와, 하부 개구(23b)를 폐쇄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24L)를 포함한다.
수용부(23)에서 상부 개구(23a) 내측에는 상술한 미디어 플레이어, 라우터 및 분배기 등이 배치되며, 하부 개구(23b) 내측에는 상술한 정션 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플레이트(24L)는 외부 공기가 수용부(23)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가이드(24a)를 포함하고, 상부 커버 플레이트(24U)는 내부 공기가 수용부(23)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가이드(24b)를 포함한다.
흡입 가이드(24a)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24L)로부터 후방측으로 출되며, 배출 가이드(24b)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24U)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흡입 가이드(24a) 및 배출 가이드(24b)는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덕트로 각각 형성되며, 그 하면이 개방되어, 공기는 통과하되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3) 내부에 설치된 기기에서 열이 발생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류 현상에 의해 수용부(23)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은 공기와 함께 배출 가이드(24b)를 통해 배출되고, 저온의 외부 공기는 흡입 가이드(24a)를 통해 수용부(23) 내부로 유입되어 기기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기기들을 냉각시킨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3)는 그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25)들과, 그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복수의 칸막이(26)를 포함한다. 선반(25)들에는 공기가 선반(25)을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연통공(25a)들이 마련된다. 상술한 각종 기기들이 선반(25) 및 칸막이(26)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서 개구(23a, 23b) 및 커버 플레이트(24U, 24L)는 스탠드(20)의 후면에 마련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이다. 즉, 개구 및 커버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스탠드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나, 스탠드의 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개구(23a, 23b)는 상하로 마련된 상부 개구(23a) 및 하부 개구(23b)를 포함하며, 커버 플레이트(24U, 24L)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24U) 및 하부 커버 플레이트(24L)를 포함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스탠드가 개구 및 커버를 하나씩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탠드가 개구 및 커버를 세 개 이상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개구 및 복수의 커버가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24U)에는 흡입 가이드(24a)가 마련되고, 하부 커버 플레이트(24L)에는 배출 가이드(24b)가 마련되나, 이는 스탠드(20) 내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많은 열이 발생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즉, 내부에서 일정 수준 이하의 적은 양의 열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20)의 상부 커버(23U) 및 하부 커버(23L)에서 흡입 가이드 및 배출 가이드에 대응하는 구성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수용부(23)는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마운트부와 같이 타원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유닛
101: 디스플레이 모듈 102: 프레임
103: 리어 커버 104: 장식용 커버
20: 스탠드 21: 베이스부
22: 마운트부 22a: 전선 통과홀
22c: 축관 22d: 캡
22e: 씰링부재 23: 수용부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며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마운트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마운트부 사이에 마련되어 각종 기기들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과, 상기 전선 통과홀을 통한 물의 유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갖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구조는 상기 전선 통과홀에 설치되는 축관과, 상기 축관의 상단을 막는 캡과, 상기 축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축관과 대응하는 원환 형상의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 상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전선이 설치되는 복수의 전선 설치홈들을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 설치홈들 중 사용되지 않는 전선 설치홈을 폐쇄하는 마개부들을 더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은 그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들은 한 쌍씩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씰링부가 삽입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은 복수의 걸림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축관의 상단을 막는 캡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걸림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은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들에 걸리는 걸림홀을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덮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 링 형상의 프레임부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측을 구획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축관을 통해 상기 마운트부에 회전하며 고정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설치를 위한 체결공들을 포함하 며,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그 일측면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는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공기의 배출은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덮는 장식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5.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는 각종 기기를 수용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스탠드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며 고정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관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스탠드에 수용되는 기기를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축관을 통과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타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관은 상기 마운트부 중앙에 배치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체결부재를 통해 마운트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체결공들은 상기 축관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호 형상을 갖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의 상단을 막는 캡과, 상기 축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8554A 2017-07-21 2017-11-09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42,562 US10761800B2 (en) 2017-07-21 2018-07-23 Outdoor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5331P 2017-07-21 2017-07-21
US62/535,331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91A true KR20190010391A (ko) 2019-01-30
KR102461712B1 KR102461712B1 (ko) 2022-11-02

Family

ID=6527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554A KR102461712B1 (ko) 2017-07-21 2017-11-09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945B1 (ko)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아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조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12B1 (ko) * 2008-02-14 2010-02-18 (주)지피엔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케이스
KR101125032B1 (ko) * 2011-07-25 2012-03-21 덕일산업 주식회사 Led 간판등 컨버터 케이스
KR20160122324A (ko) * 2015-04-13 2016-10-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12B1 (ko) * 2008-02-14 2010-02-18 (주)지피엔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케이스
KR101125032B1 (ko) * 2011-07-25 2012-03-21 덕일산업 주식회사 Led 간판등 컨버터 케이스
KR20160122324A (ko) * 2015-04-13 2016-10-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945B1 (ko)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아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조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12B1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1800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KR102267374B1 (ko) 현장 서비스 가능하며 교체 가능한 조립체
US11215351B2 (en) Lamp post with functional modules
KR101885884B1 (ko) 백투백 전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101244126B1 (ko)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RU26450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KR20190010391A (ko)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JP5646266B2 (ja) プロジェクタ
KR10068207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led모듈 박스어셈블리
US10453383B2 (en) Display panel having a sealed back cover
US20080024686A1 (en) Audio Visual Surface Assembly
KR200423985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led모듈 박스어셈블리
KR200484767Y1 (ko) 광통신장비 통합형 실장 장치
JP2013218185A (ja) 表示装置
JP2017051470A (ja) 収納装置
ES2288339A1 (es) Sistema de conexionado para mesas de ofic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