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77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77A
KR20190010377A KR1020170104417A KR20170104417A KR20190010377A KR 20190010377 A KR20190010377 A KR 20190010377A KR 1020170104417 A KR1020170104417 A KR 1020170104417A KR 20170104417 A KR20170104417 A KR 20170104417A KR 20190010377 A KR20190010377 A KR 20190010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ice
ice maker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7436B1 (en
Inventor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hamber;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inner case; an ice making apparatus which is arranged in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produce ice; and a water supply flow path which is connected to an exterior water supply source, and which guid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ice making apparatus. The ice making apparatus comprises: an ice maker which produces ice; and a support frame which rotationally supports the ice maker, and wherein a water guide unit which guide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flow path to the ice maker is integrally form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an store objects such as foods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room provided in a cabinet. Since the storage chamber is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wall,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torage room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zone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고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는 필터를 지난 정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room or the storage room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The ice maker may be supplied with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9441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9441 discloses a refrigerator.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가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배치되며,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where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comprises: an ice making compartment; An ice maker disposed in the ice making chamber for forming ice; An ice bin for storing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A cool air duct for guiding cool air to the ice maker;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above the ice mak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And a water guide portion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ipe and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ice maker.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 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다. The ice maker is rotatably supported on a support portion, and the water guid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물 안내부가 지지부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물 안내부를 지지부와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지지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water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ortion, the water guide portion needs to be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work process is disadvantageously increased.

또한, 상기 급수관이 상기 물 안내부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 안내부를 따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수직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 경우, 상기 물 안내부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외측으로 튀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above the water guide portion,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vertically downwardly dropped by the ice maker along the water guide portion. In this case, water may be splashed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er in the course of water being dropped by the ice maker in the water guide.

또한, 상기 급수관이 상기 물 안내부의 상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급수관에 의해서 제빙을 위한 구조물의 전체 높이가 증가되어 공간 효율성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above the water guide, the total height of the structure for ice making is increased by the water supply pipe, thereby reducing space efficiency.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 장치의 조립 공정이 줄어드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n assembling process of an ice maker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급수 유로에서 물 안내부로 공급된 물이 아이스 메이커로 낙하될 때, 물 튀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water splash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when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channel to a water guide is dropped by an ice maker.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 장치의 높이 증가가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height increase of the ice maker is minimiz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장치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급수 유로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기 위한 물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disposed in a storage room, the ice maker including: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a rotatably supporting the ice maker; And a water guide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ce maker to the ice maker.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상기 물 안내부는 물의 유동 방향이 변화되도록 라운드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guide portion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that is rounded and slopes downward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water changes.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물 안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 안내부 내로 인입될 수 있다. Further,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guide portion, and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guide portion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상기 물 안내부의 입구의 바닥에는 상기 급수 유로에서 상기 물 안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입구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of the water guide to preven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to the water guide portion from overflowing to the inlet sid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물 안내부가 지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물 안내부를 상기 물 안내부를 별도로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물 안내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water guide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fr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guide portion is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water guide portion and the process of joining the water guide portion to the support frame is eliminated.

또한, 상기 물 안내부의 바닥면이 라운드지면서 경사지므로, 물 안내부로 공급된 물이 아이스 메이커로 낙하될 때, 물 튀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guide portion is inclined while being rounded, the water splash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guide portion falls into the ice maker.

또한, 상기 급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 안내부의 유로에 인입되므로, 상기 제빙 장치의 높이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의 높이 증가가 최소화되는 경우 상기 제빙 장치가 위치되는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ortion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s drawn into the flow path of the water guide portion, the height increase of the ice maker can be minimized. When the height increase of the ice maker is minimized, the volume of the storage room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서 제빙 장치 커버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 튜브를 보여주기 위한 캐비닛의 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가이드 튜브의 배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에는 제2가이드 튜브를 캐비닛의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고, 도 8에는 제2가이드 튜브를 캐비닛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도 9는 제2가이드 튜브와 제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방 장치와 아이스 빈을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안내부의 출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빙 장치용 배출부와 물 안내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orage room. FIG.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mak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orage chamber.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e ma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ice making device cover in the storage room.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inet for showing a guide tube provided in a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second guid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view of the second guide tube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FIG. A view of the guide tube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is shown.
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guide tube and the icemaker.
10 is a side view of the embankment apparatus and the ice b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top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utlet of a wate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for the ice maker and the water guide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정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실(14)을 구비하는 캐비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chamber 14.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고(10)는 가구장 내에 설치되는 빌트인 냉장고(10)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급수 유로는 빌트인 냉장고(10) 외에 독립적으로 주방이나 실내 등에 설치되는 냉장고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or 10 may be a built-in refrigerator 10 installed in a furniture spac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water supply channel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independently installed in a kitchen or indoors in addition to the built-in refrigerator 10.

상기 저장실(14)은 도시되지 않은 냉장고 도어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The storage chamber 1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refrigerator door (not shown).

상기 저장실은 일 예로 0도 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 냉동실일 수 있다. The storage chamber can be, for example, a freezing chamber that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0 degree.

도 1에는 일 예로 냉동실인 저장실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캐비닛(11)이 냉동실과 구획된 냉장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1, for example, a storage compartment, which is a freezing compartment, is disclosed. However, the cabinet 11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partitioned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저장실(14)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inner case: 13)와,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 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abinet 11 may include an inner case 13 forming the storage chamber 14 and an outer case 12 forming an outer shape. A heat insulating material 15 for heat insula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상기 저장실(14)에는 제빙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저장실(14) 내의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torage chamber 14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er 50. The ice maker 50 can generate ice by receiving cold air in the storage chamber 14. [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저장실(14) 내에서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50)의 높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제빙 장치(50)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다. The ice maker 50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torage room 14 with respect to height. The user can more easily acquire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50 by the height of the ice maker 5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저장실(12)에서 상기 제빙 장치(50)의 하방에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drawer assemblies 60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50 in the storage chamber 12,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는 기계실(20)이 구비될 수 있다. A machine room (20) may be provided below the cabinet (11).

상기 기계실(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장실(14)의 냉각을 위한 압축기, 응축기, 응축기용 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에는 냉기 생성을 위한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machine room 20 may include a compressor for cooling the storage chamber 14, a condenser, a condenser fan, and the like. The cabinet 11 may be provided with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cold air.

상기 제빙 장치(5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10)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50, the refrigerator 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그리고,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 장치(5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ice maker 50.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급수 유로(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channel 3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상기 제1급수 유로(31)는 상기 기계실(20)에 구비되는 급수 밸브(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41)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한다.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31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valve 41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 The water supply valve (41) regulates th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 밸브(41)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2급수 유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 유로(32)는 상기 캐비닛(11) 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급수 유로(32)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 공간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water supply valve 41.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may extend upward in the cabinet 11. [ For example,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may extend upwar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4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42)가 상기 저장실(14)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필터(42)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14)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 filter 42 for purifying water may be provided on the cabine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lter 42 is located outside the storage chamber 14, the volume of the storage chamber 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by the filter 42.

상기 필터(42)는 상기 캐비닛(11)을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기계실(20) 내의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계실(20) 내에 발생되는 열(압축기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필터(42) 내의 물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lter 42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chine room 20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1.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space in the machine room 20 is narrow but als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filter 42 is prevented from rising due to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20 (heat generated in the compressor or the condenser) .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제빙 장치(50)로 물을 공급하는데, 상기 제빙 장치(5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높을 수록 상기 제빙 장치(5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된다. The water supply channel supplies water to the ice maker 50.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ice in the ice maker 50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50 increases.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42)가 상기 기계실(20)의 열에 영항을 받지 않으면서도 상기 저장실(14)의 용적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42)는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lter 4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abinet 11 so that the volume of the storage chamber 14 is not reduced without the filter 42 being affected by the heat of the machine chamber 20 .

이와 달리, 상기 기계실(20)이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필터(42)는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achine room 20 may be located above the cabinet 11, in which case the filter 42 may be located below the cabinet 11.

상기 제2급수 유로(32)는 상기 필터(4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급수 유로(32)를 따라 유동한 물은 상기 필터(42)를 지나면서 정화될 수 있다.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42. Therefore, the water flowing along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can be purified through the filter 42.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필터(42)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3급수 유로(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급수 유로(33)에는 상기 제빙 장치(50)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밸브(43)도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include a third water supply channel 33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42.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33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4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50. The control valve 43 may also be located above the cabinet 11.

상기 조절 밸브(43) 및 상기 필터(42)가 상기 캐비닛(11)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캐비닛(11)을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조절 밸브(43) 및 상기 필터(42)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서비스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control valve 43 and the filter 42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1 so that the control valve 43 and the filter 42 can be accessed without disassembling the cabinet 11 The servic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제3급수 유로(33)에 연결되고 상기 제빙 장치(50)로 최종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4급수 유로(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flow path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water supply flow path 34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supply flow path 33 and for finally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device 50.

상기 제4급수 유로(34)는 상기 캐비닛(11) 내에서 하방으로 상기 제빙 장치(50)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abinet 11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ice maker 50.

일 예로 상기 제4급수 유로(34)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 공간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may extend downwar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제빙 장치가 저장실 내에서 제빙 장치 커버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orage room,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orage room,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ce-ma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ice-making device cover in the storage room.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저장실(14) 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3 to 5, the ice maker 5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torage chamber 14. [

상기 제빙 장치(50)는, 지지 프레임(51)과,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트레이(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cemaker 5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51 and an ice tray 52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51 to generate ic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의 회전축이 상기 저장실(14)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빙 장치(50)가 상기 저장실(14)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cemaker 5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14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ice tray 52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in the storage chamber 14. [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의 회전축이 상기 저장실(14)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빙 장치(50)가 상기 저장실(1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 장치(50)의 측방에 피보관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When the icemaker 5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14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ce tray 52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storage chamber 14, Water can be placed.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3)는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의 제1회전축은 상기 구동부(53)에 연결되고, 제2회전축은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ice maker 5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3 for rotating the ice tray 52. The driving unit 53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51. The first rotating shaft of the ice tray 52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3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frame 51.

상기 제빙 장치(50)는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빙 장치 커버(59)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The ice maker 50 may be covered by an ice maker cover 59 for blocking access by a user.

상기 제빙 장치 커버(59)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빙 장치(50)의 상면을 제1커버(591)와, 상기 제빙 장치(5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2커버(59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cover 59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inner case 1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er 50 is divided into a first cover 591 and a second cover 592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ce maker 50. [ 2 cover 592. As shown in FIG.

상기 제1커버(59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59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cover 591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ver 59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커버(592)는 상기 제1커버(5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커버(592)는 하단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2커버(59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59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591 o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case 13.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592 may be rot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lifted upward.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cover 593 may be rotated clockwise.

상기 제2커버(59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빙 장치(5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빙 장치(50)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econd cover 593 is rotated clockwise, the front surface of the ice maker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ice maker 50.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제빙 장치 커버(59)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 프레임(51)에는 상기 제빙 장치 커버(59)에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511)는 상기 제1커버(59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ce maker 50 may be installed in the ice maker cover 59. 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51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engaging portion 511 for engaging with the ice maker cover 59. The cover engaging portion 51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591.

일 예로 상기 커버 결합부(511)가 상기 제1커버(59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 결합부(511)와 상기 제1커버(591)를 체결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engaging portion 51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591,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can fasten the cover engaging portion 511 and the first cover 591 .

상기 지지 프레임(51)이 상기 인너 케이스(51)의 측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지지 프레임(51)이 상기 인너 케이스(5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52)가 회전되기 위한 공간이 충분치 않게 된다. When the support frame 51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case 51 or when the support frame 51 contacts the inner case 51,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51)이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51)이 상기 제1커버(591)의 하면에서 상기 제1커버(591)에 결합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position the support frame 51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51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inner case 13, the support frame 51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591, To be engaged with the cover (591).

한편, 상기 저장실(12)에는 상기 저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냉기 유로(72)를 형성하기 위한 냉기 덕트(70)와, 상기 냉기 유로(72)에 위치되는 송풍팬(74)과, 상기 냉기 유로(72)에 위치되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rage chamber 12 may be provided with cool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storage chamber 12. The cool air supply means includes a cool air duct 70 for forming a cool air passage 72, a blowing fan 74 positioned in the cool air passage 72, an evaporator (not shown) disposed in the cool air passage 72, ).

상기 냉기 덕트(70)는 상기 저장실(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70)에는 제빙 장치용 배출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는 상기 제빙 장치(50)를 향하여 상기 냉기 덕트(70)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cool air duct 7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storage chamber 12. The cool air duct 7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76 for an ice maker. The ice maker discharge unit 76 may protrude from the cool air duct 70 toward the ice maker 50.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는 상기 제1커버(59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에서 배출된 냉기는 바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 측으로 바로 공급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76 for the ice maker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cover 591. Therefore,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76 for the ice make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ice tray 52 side.

상기 제빙 장치(50)의 하방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에서 분리되어 낙하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57)이 구비될 수 있다. An ice bin 57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50 to store the ice dropped from the ice tray 52.

제한적이지 않으나, 상기 아이스 빈(57)은 상기 저장실(14) 내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이스 빈(57)은 레일 어셈블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다. The ice bin 57 may be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14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and out. For example, the ice bin 57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ail assembly to be slidably drawn ou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 튜브를 보여주기 위한 캐비닛의 횡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가이드 튜브의 배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에는 제2가이드 튜브를 캐비닛의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고, 도 8에는 제2가이드 튜브를 캐비닛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inet for showing a guide tube provided in a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views f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second guid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guide tube is seen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second guide tube is seen from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도 9는 제2가이드 튜브와 제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방 장치와 아이스 빈을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guide tube and the icemaker,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embankment apparatus and the ice b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안내부의 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과 도 13은 제빙 장치용 배출부와 물 안내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utlet of a wate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utlet for an ice maker and a water guide Fig.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1) 내에는 상기 제2급수 유로(32)를 안내하기 위한 제1가이드 튜브(36)와, 상기 제4급수 유로(34)를 안내하기 위한 제2가이드 튜브(37)가 구비될 수 있다. 1 to 13, the cabinet 11 includes a first guide tube 36 for guiding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a second guide tube 36 for guiding the fourth water supply passage 34, 2 guide tube 37 may be provided.

상기 각 가이드 튜브(36, 37)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가이드 튜브(36, 37)가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 공간으로 단열재(15)가 채워질 수 있다. The guide tubes 36 and 3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 For example, when the guide tubes 36 and 37 ar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 May be filled.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 공간으로 단열재(15)가 채워진 후에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에 상기 제2급수 유로(32)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에 상기 제4급수 유로(34)가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tube 36 aft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tube 37.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에 상기 제2급수 유로(32)가 삽입되고,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에 상기 제4급수 유로(34)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급수 유로(32) 및 상기 제4급수 유로(34)가 단열재 형상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tube 36 and the fourth water supply passage 3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tube 37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water supply flow path 3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th 3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the foaming process for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제2급수 유로(32) 및 상기 제4급수 유로(34)가 직접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제2급수 유로(32) 및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are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us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can be replaced .

또한, 상기 각 가이드 튜브(36, 37)가 존재함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4)의 냉기가 상기 제2급수 유로(32) 및 상기 제4급수 유로(34)로 전달되는 것이 줄어들어 상기 제2급수 유로(32) 및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결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As the guide tubes 36 and 37 are present, the cool air in the storage chamber 14 is less transmit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3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passage 34, The possibility of freezing of the flow path 32 and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th 34 can be reduced.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을 수평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L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tube 36 is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an imaginary line L1 that horizontally extends the rear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and a rear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

상기 저장실(14)이 냉동실인 경우에 상기 제2급수 유로(32) 내의 물의 결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1코너(134)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코너(124)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tube 36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rner 134 of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tube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freezing of water in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2 is prevented, May be located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corners (124) of the case (12).

이때,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1코너(134) 보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코너(124)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tube 36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corner 124 of the outer case 12 than the first corner 134 of the inner case 13.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에는 냉기를 상기 저장실(14)로 공급하기 위한 위한 냉기 유로 등의 부품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양측벽(132, 133)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양측벽(122, 123)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There is a part between the rear side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and the rear side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such as a cool air flow channel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storage chamber 14. The gap between the rear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and the rear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is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side walls 132 and 133 of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between the two side walls 122, 123.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가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을 수평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L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14)의 냉기가 상기 제1가이드 튜브(36)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tube 36 is spaced apart from the imaginary line L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rear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The influence of the cold air of the storage chamber 14 on the first guide tube 36 can be minimized.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1코너(134)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양측벽 중 제1측벽(일 예로 우측벽)(132)과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 간의 경계부이다. The first corner 134 of the inner case 13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132 and the rear side wall 132 of the inner case 13, 131).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코너(124)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1코너(134)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코너이다. The first corner 124 of the outer case 12 is a corn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134 of the inner case 13.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의 일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을 수평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L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guide tube 37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hypothetical line L1 in which the rear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is horizontally extended and the rear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Lt; / RTI >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가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을 수평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L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벽(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14)의 냉기가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is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an imaginary line L1 that horizontally extends the rear wall 131 of the inner case 13 and a rear wall 121 of the outer case 12, The influence of the cold air of the storage chamber 14 on the second guide tube 37 can be minimized.

상기 저장실(14)이 냉동실인 경우에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결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의 일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코너(135)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코너(125)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guide tube 37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rner 135 of the inner case 13 and the second corner of the inner case 13 so as to prevent freezing of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when the storage chamber 14 is a freezing chamber. And may be located in an area between the second corners 125 of the outer case 12.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코너(135)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양측벽 중 제2측벽(일 예로 좌측벽)(133)과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후측벽(131) 간의 경계부이다. The second corner 135 of the inner case 13 is connected to a second side wall 133 and a rear side wall 133 of the inner case 13, 131).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코너(125)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코너(135)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코너이다. The second corner 125 of the outer case 1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corner 135 of the inner case 13.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는, 상기 제4급수 유로(34)가 삽입되는 부분인 삽입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371 into which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는, 상기 삽입부(371)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코너(125) 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3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371 bent from the insertion portion 371 toward the second corner 125 of the outer case 12. [

또한,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는, 상기 제1절곡부(37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37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ent portion 371.

또한,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는, 상기 연장부(372)에서 절곡되어 상기 냉장고(1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절곡부(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373 bent at the extended portion 372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0.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는, 상기 제2절곡부(373)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빙 장치(50) 측으로 연장되는 급수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tube 37 may include a water supply portion 374 extending from the second bend portion 373 and extending toward the ice making device 50.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 내에 위치된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372)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코너(135) 보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코너(125)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37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corner 135 of the inner case 13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ase 37 to prevent freezing of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located in the second guide tube 37. [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corner (125) of the base (12).

또한, 상기 제2가이드 튜브(37) 내에 위치된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절곡부(373)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측벽(133) 보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측벽(12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ent portion 373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wall 133 of the inner case 13 to prevent freezing of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ssage 34 located in the second guide tube 37. [ Can be positioned closer to the second side wall (123) of the outer case (12).

상기 급수부(374)는 상기 인너 케이스(13)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 장치(50)로 연장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374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case 13 to the ice maker 50.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측벽(133)에는 상기 급수부(374)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37)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ide wall 133 of the inner case 13 may have an opening 137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passes.

상기 급수부(374)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측벽(133)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14)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74)가 상기 저장실(14) 내로 돌출되면 상기 저장실(14)의 냉기에 의해서 상기 급수부(374) 내에 위치된 제4급수 유로(34)가 결빙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may protrude into the storage chamber 14 through the second side wall 133 of the inner case 13. [ When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protrudes into the storage chamber 14,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ssage 34 locat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can be freeze by the cool air in the storage chamber 14.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부(374)의 외면에는 히터(3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38)는 상기 급수부(374) 중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14) 내로 돌출된 부분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히터(38)의 열은 상기 급수부(374)를 통해 상기 제4급수 유로(34)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4급수 유로(34)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heater 38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art 374. The heater 38 may extend to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located between the inner case 13 and the outer case 12 as well as a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torage chamber 14. The heat of the heater 38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374 so that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can be prevented from freezing.

상기 급수부(374)가 상기 저장실(14) 내로 돌출되므로, 상기 급수부(374) 내에 위치된 상기 제4급수 유로(34)도 상기 저장실(14) 내로 돌출된다.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protrudes into the storage chamber 14 so that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ssage 34 locat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also protrudes into the storage chamber 14.

상기 급수부(374)는 상기 제2절곡부(373)에서 상기 제빙 장치(5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급수부(374) 내에 위치된 상기 제4급수 유로(34) 내에서 잔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373 toward the ice maker 50 side. This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residual water in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loc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374. [

이때, 상기 급수부(374)에서 상기 저장실(14) 내로 돌출된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는 15도 이상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torage chamber 14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15 degrees or more.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51)에는 상기 제4급수 유로(34)에서 급수된 물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52)로 안내하기 위한 물 안내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안내부(54)는 상기 지지 프레임(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9, the support frame 5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guide 54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to the ice tray 52. Referring to FIG. That is, the water guide 5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frame 51.

상기 물 안내부(54)가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물 안내부(54)를 별도로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물 안내부(54)를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The water guide portion 5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frame 51 so that the water guide portion 54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 water guide portion 54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5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is eliminated.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3)의 제2측벽(133)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측벽(133)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74)가 상기 제2측벽(133)를 통과하여 상기 제2측벽(133)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물 안내부(54)의 입구(54b)는 상기 지지 프레임(51)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ce maker 5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wall 133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wall 133 of the inner case 13.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passes through the second side wall 133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side wall 133 so that the inlet 54b of the water guide 54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frame 51 .

상기 제4급수 유로(34)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저장실(14)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급수부(374)는 상기 입구(54b)를 통해 상기 물 안내부(54)의 유로(52a)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부(374)는 상기 지지 프레임(51)의 측벽을 통해 상기 물 안내부(54)의 유로(54a)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급수 유로(34)도 상기 물 안내부(54)의 유로(54a) 내로 삽입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374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52a of the water guide unit 54 through the inlet 54b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4 is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storage chamber 14. [ ). ≪ / RTI > That is,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can b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54a of the water guide portion 54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frame 51. [ Therefore, the fourth water supply passage 34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54a of the water guide portion 54.

상기 급수부(374)(또는 제4급수 유로(35)의 일부)가 하향 경사진 상태로 상기 물 안내부(54) 내부로 인입되므로 상기 급수부(374)에서 상기 입구(54b)에 위치된 부분은 상기 입구(54b)의 바닥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or a part of the fourth water supply flow path 35) is drawn into the water guide portion 54 in a downward inclined stat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portion 374 The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inlet 54b.

상기 물 안내부(54)는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진 바닥면(5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54c)은 상기 지지 프레임(51)의 측면에서 상기 냉장고(10)의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면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The water guide 54 may include an inclined bottom surface 54c for allowing water to be smoothly supplied to the ice tray 52. [ The bottom surface 54c may be rounded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0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51 and may be inclined downward.

이와 같이 상기 바닥면(54c)이 라운드지면서 경사지는 경우, 상기 물 안내부(54)로 공급된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52)로 낙하될 때까지 물의 유동 방향이변화된다. When the bottom surface 54c is inclined as the bottom surface 54c is rounded,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is changed until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guide portion 54 falls into the ice maker 52.

상기 제4급수 유로(35)에서 배출된 물이 수직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52)로 낙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52)로 낙하된 물이 외측으로 튈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안내부(54)의 바닥면(54c)이 라운드지면서 경사지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이 낙하될 때 물튀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5 drops vertically into the ice maker 52, the water dropped by the ice maker 52 may be blown outwar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ottom surface 54c of the water guide 54 is inclined while being rounded, the water splash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when the water drops by the ice maker.

그리고, 상기 입구(54b)의 바닥에는 상기 물 안내부(52)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입구(54b) 측으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리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inlet 54b may be provided with a rib 55 for prevent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guide 52 from overflowing toward the inlet 54b.

상기 물 안내부(54)는 물이 배출되는 출구(54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구(54d)는 상기 물 안내부(52)의 측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54d))가 상기 물 안내부(54)의 측벽에 위치되는 경우 바닥면(54a)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물이 배출되는 속도가 줄어들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로 낙하된 물이 상측으로 튀기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The water guide 54 may include an outlet 54d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and the outlet 54d may be located on a side wall of the water guide 52. [ When the water tray 54 is position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guide 54, the speed at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ater tray 54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54a, The phenomenon of splashing can be reduced.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50)는 상기 아이스 빈(57)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 레버(56)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ce making device 50 may include a full ice sensing lever 56 for sensing the full ice of the ice bin 57.

상기 만빙 감지 레버(56)는, 상기 구동부(5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지지 프레임(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ice-making sensing lever 56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53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frame 51.

상기 만빙 감지 레버(56)의 일부는 상기 아이스 빈(57)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57)에 저장된 얼음 양이 적은 경우(만빙 전인 경우)에는 상기 조절 밸브(43)의 개방에 의해서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로 공급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53)에 의해서 아이스 트레이(52)가 트위스트 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빈(57)으로 낙하된다. A portion of the ice-sensing lever 56 may be located in the ice bin 57. [ When the amount of ice stored in the ice bin 57 is small (before the ice is completely colle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52 by opening the control valve 43 and ice is generated in the ice tray 52 The ice tray 52 is twisted by the driving unit 53 to drop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tray 52 into the ice bin 57. [

이러한 얼음 생성의 과정에는 상기 아이스 빈(57)의 만빙이 감지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This ice generation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full ice of the ice bin 57 is detected.

상기 아이스 빈(57)에 얼음량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빈(57)에 저장된 얼음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6)가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들어올려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만빙 감지 레버(56)가 상기 아이스 빈(57)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만빙이 감지되지 않을 때 까지 상기 아이스 메이커(52)의 물 공급을 중단될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ice in the ice bin 57 is increased, the ice-sensing lever 56 may be lifted to be rotated clockwise in the figure by the ice stored in the ice bin 57. Then, the ice-full sensing lever 56 may sense the full ice of the ice bin 57.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of the ice maker 52 can be stopped until no ice-full is detecte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안내부(54)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안내부(54)의 바닥면(54c)의 일부는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의 최고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12,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ortion 76 for the ice maker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water guide portion 54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54c of the water guide 54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highest point of the outlet 76 for the ice maker.

상기 바닥면(54c)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바닥면(54c)은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5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bottom surface 54c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bottom surface 54c serves to guide the cool air discharged from the ice making device discharge unit 76 to the ice tray 52 side.

따라서, 상기 지지 프레임(51)은 상기 제빙 장치용 배출부(76)에서 배출되어 상기 물 안내부(54)를 따라 유동한 냉기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기 상승 방지벽(51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frame 51 includes a frost preventive wall 512 for preventing the cool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76 for the ice maker and flowing along the water guiding portion 54 from rising .

상기 냉기 상승 방지벽(512)은 상기 물 안내부(54)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ld air rising prevention wall 512 may extend forward from the water guide 54.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물 안내부가 지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물 안내부를 상기 물 안내부를 별도로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물 안내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water guide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fr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guide portion is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water guide portion and the process of joining the water guide portion to the support frame is eliminated.

또한, 상기 물 안내부의 바닥면이 라운드지면서 경사지므로, 물 안내부로 공급된 물이 아이스 메이커로 낙하될 때, 물 튀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guide portion is inclined while being rounded, the water splash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guide portion falls into the ice maker.

또한, 상기 급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 안내부의 유로에 인입되므로, 상기 제빙 장치의 높이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의 높이 증가가 최소화되는 경우 상기 제빙 장치가 위치되는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ortion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s drawn into the flow path of the water guide portion, the height increase of the ice maker can be minimized. When the height increase of the ice maker is minimized, the volume of the storage room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can be minimized.

10: 냉장고 11: 캐비닛
12: 인너 케이스 13: 아우터 케이스
20: 기계실 31: 제1급수 유로
32: 제2급수 유로 33: 제3급수 유로
34: 제4급수 유로 36: 제1가이드 튜브
37: 제2가이드 튜브 41: 급수 밸브
42: 필터 43: 조절 밸브
50: 제빙 장치 51: 지지 프레임
52: 아이스 트레이 53: 구동부
54: 물 안내부
10: Refrigerator 11: Cabinet
12: inner case 13: outer case
20: machine room 31: first water supply channel
32: second water supply channel 33: third water supply channel
34: fourth water supply channel 36: first guide tube
37: second guide tube 41: water supply valve
42: filter 43: regulating valve
50: Deicing device 51: Support frame
52: ice tray 53:
54: water guide

Claims (7)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장치; 및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급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장치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급수 유로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기 위한 물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hamber;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inner case;
An ice maker disposed in the storage room for generating ice; And
And a water supply conduit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ice making device,
The ice maker includes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And
And a support frame rotatably supporting the ice mak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water guide part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to the ice m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 중 일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 내로 돌출되고,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 중 상기 일측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channel is protruded into the storage chamber through one side wall of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case,
Wherein the ice maker is positioned adjacent to one side wall of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벽에는 상기 급수 유로가 통과하는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상기 물 안내부의 유로 내로 인입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frame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channel passes,
Wherein the water supply channel is drawn into the channel of the water guide through the inl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바닥에는 상기 급수 유로에서 상기 물 안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입구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구비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bottom of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rib for preven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to the water guide portion from overflowing to the inlet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부는 상기 급수 유로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기 위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물 안내부의 입구 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guide includes a bottom surface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to the ice maker,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rounded downward at an inlet side of the water guide portion and slopes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maker is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such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ice maker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에서 상기 저장실로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물 안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to the storage chamber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water guide portion.
KR1020170104417A 2017-07-21 2017-08-17 Refrigerator KR1024474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94 2017-07-21
KR20170092994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77A true KR20190010377A (en) 2019-01-30
KR102447436B1 KR102447436B1 (en) 2022-09-27

Family

ID=6527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17A KR102447436B1 (en) 2017-07-21 2017-08-17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4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9470A (en) * 1996-01-09 1997-07-22 Hitachi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0661840B1 (en) * 1999-08-30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70077672A (en) *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39441B1 (en) * 2009-12-22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9470A (en) * 1996-01-09 1997-07-22 Hitachi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0661840B1 (en) * 1999-08-30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70077672A (en) *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39441B1 (en) * 2009-12-22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436B1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327B1 (en) Refirgerator
KR101718995B1 (en) Refrigerator
KR101343092B1 (en) Freezing Room on a Refrigerating Door
CN110440504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JP5586534B2 (en) Freezer refrigerator
US11585584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32317A (en) Refrigerator
MX2008013248A (en) Refrigerator.
KR102447436B1 (en) Refrigerator
KR20170096326A (en) A refrigerator
KR102365542B1 (en) Refrigerator
JP2015034647A (en) Refrigerator
CN110440513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102474197B1 (en) Refrigerator
JP2018031552A (en) Refrigerator-freezer
KR100412412B1 (en) Structure for supply drawer type storeroom of Kim-Chi storage with cool air
JP6956905B2 (en) refrigerator
KR20170026425A (en) Refirgerator
KR102671121B1 (en) Refrigerator
KR200217545Y1 (en) Refrigerator
KR20210101100A (en) Refrigerator
KR100443923B1 (en) The structure of a drawer-room in kim-chi storage
KR20220099857A (en) refrigerator
KR100568202B1 (en) Refrigerator
KR2023011648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