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235A - Multi-panel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ulti-panel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235A
KR20190009235A KR1020180026178A KR20180026178A KR20190009235A KR 20190009235 A KR20190009235 A KR 20190009235A KR 1020180026178 A KR1020180026178 A KR 1020180026178A KR 20180026178 A KR20180026178 A KR 20180026178A KR 20190009235 A KR20190009235 A KR 2019000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late
fixing
brack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1173B1 (en
Inventor
박상대
김양환
전은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anel display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connect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panel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fixing system capable of holding each display device and minutely adjusting a location of each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has fixing parts having a simple structure on a rear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and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s on wall surfaces, thereby easily hold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n wall surfaces. Accordingly, through each display device, a multi-panel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reduced installation cos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utely adjust a location of each display device in Y, X and Z axes defined on a drawing. Therefore, non-display areas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which are bezel areas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can be minimized such that an image disconnection phenomenon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다중 패널 표시장치{Multi-paneldisplay device}[0001] Multi-panel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연결된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및 위치미세조정이 가능한 고정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anel display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connec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xing system capable of mounting and fine-tuning of each display device.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s the society has become a full-fledged information age, a display fiel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이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디스플레이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se display devices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thinning,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is quickly replacing.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Such a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of high image quality, ultra-thinness, light weight and large size, has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interior and design, and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특히, 최근에는 비디오월(video wall)과 같이 하나의 이미지를 대화면(대략 100인치)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조합한 이른바 "Tiled" 형태의 다중패널 표시장치(multi-paneldisplay devic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so-called "Tiled" type multi-panel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is used to realize one image as a large screen (approximately 100 inches) Are being studied actively.

이러한 다중패널 표시장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하나씩 고정시킴으로써 형성하는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켜 하나의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거치 및 위치미세조정이 가능한 고정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Such a multi-panel display device is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ne by one on the wall surface. In order to form one multi-panel display device by fixing each display device to a wall surface, a fixing system capable of fine adjustment of position and position is required do.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지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위치 및 경사각도가 미세 조정되도록 하여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지 않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anel display device in which continuity of images is not degraded by easi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tilt angle of each display device.

또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하며,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이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 collision with a neighboring display device.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직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수직 및 수평이동 하는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facing each other and a horizontal par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The government; A plurality of panel display devices including a first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fixing part and defining a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st guide holder mov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 first fixing unit fixed to the structure, to provide.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적어도 2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수직부에는 사이드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웃하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의 제 1 수직부를 잡아 고정하며,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 수직부에 조립 및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제 1 간격조절스크류를 통해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그립플레이트와 상기 그립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는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은 제 1 그립단이 상기 그립플레이트와 밀착되는 펼침상태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상면과 밀착되며, 제 2 그립단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접힘상태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at least two fixing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 side bracket is mounted on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ide brackets hold and fix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ide brackets include a bracket portion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Wherein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 plate and a grip that is hinged to the grip plate, wherein the grip is in a spread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p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xing par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second consists of the inner surf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olded state the fixed first vertical portion of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월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주보는 제 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2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3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된다. The first fixing unit includes a wall bracket. The wall bracket includes a first plate fixed to the structure, a second plate facing the first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plate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The third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third plate.

그리고, 상기 수평부는 원형의 파이프형상이며,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수평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지지되며, 상기 제 1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 및 고정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 2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가이드홀더와 상기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4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향해 회동되어 접힌다. The first guide holder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horizontal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groove, A second fixing unit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fixing unit includes a second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fourth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second guide holder and the structure, And is turned toward the back of the device and folded.

또한,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월브라켓모듈과, 월브라켓모듈이 정의한 제 2 내부수납공간으로 위치하는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위치하는 홀더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모듈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로부터 각각 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는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 그리고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5 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구비된다. The first fixing unit includes a wall bracket module, a support bracket positioned in a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defined by the wall bracket module, and a holder guide bracket in which the first guide holder is located,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fixed to the structur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vertically bent fo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respectively, and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respectively bent vertically And a fifth wall plate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are provided with grooves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fixed portion.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은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의 내면과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서포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3 서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서포트플레이트에 구비된 제 1및 제 2 기어홀 중, 상기 제 1 기어홀에는 수용공이 구비된 제 1 스퍼기어가 위치하며, 제 2 기어홀에는 상기 제 1 스퍼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톱니와 맞물리는 제 2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퍼기어가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으로 렌치가 결합되어, 상기 렌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스퍼기어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스퍼기어에 장착된 볼트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The support bracket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which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he first support plate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and a first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first spur gear having a receiving hole in the first gear hole, A second spur gea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pur gear is engaged with a first too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pur gear, and a wrench is engaged with the receiving hole, The gear is rotated and the height of the bolt mounted on the second spur gear is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ur gear.

또한, 상기 볼트의 끝단에는 상기 홀더가이드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홀더가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3 서포트플레이트와 평행한 제 1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홀더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는 제 2 및 제 3 홀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홀더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5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가이드가 위치한다. The holder guide bracket is mounted on an end of the bolt. The holder guide bracket includes a first holder plate parallel to the third support plate, a second and a third guide plate bent perpendicularly from the edge of the first holder plate, 3 holder plate, wherein the first through third holder plates define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holder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late and a second holder plate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plate And a rear guide which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plate and the second holder plate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holder plate.

또한, 상기 제 3 홀더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상기 렌치를 상기 제 1 스퍼기어의 상기 수용공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프론트가이드가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적어도 2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수직부에는 사이드액세서리가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액세서리는 상기 제 1및 제 2 수직부의 상면의 합한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1사이드플레이트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는 제 2 사이드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둔각을 이루도록 일정각 기울어져 하향 절곡되는 제 3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면이 상기 제 1 수직부의 내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수직부의 상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는 내면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웃하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를 향해 잡아 당겨 고정한다. In addition, a front guide including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wrench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first spur gear is located outside the third holder plate, and the fixing unit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ide accessory is mounted on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ide accessory has a total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A second side plate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that is perpendicularly bent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And a third side plat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bent,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the first side plate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id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display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apparatus so as to pull the second display device toward the first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면에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며,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제 1 수직부는 스크류 체결된다. The third side plate has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ide plate. The third side plate has an elastic force, and is elastically bias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end of the third side pl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ide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screwed together.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제 1 고정유닛과 상기 제 1 수직부 또는 상기 제 1 고정유닛과 상기 제 2 수직부 사이로 스타퍼가 끼움되며, 상기 스타퍼는 상기 수평부의 형상에 대응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으로 돌출된 2개의 날개를 서로를 향해 누르게 되면, 상기 개구부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In addition, a stent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first vertical unit or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vertical unit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xing uni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topper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art, and is formed of a cylinder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When the two wing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the size of the opening increases.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평부에는 지지부가 상기 수평부와 수직하게 피봇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구조물에 거치되며, 상기 피봇브라켓은 상기 수평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에 연장방향으로 상기 제 1 수직부 또는 상기 제 2 수직부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단이 구비된다. The horizontal part of the fixing part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horizontal part is provided with a pivot bracket so that the supporting part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art, and the first fixing unit includes the supporting part Wherei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ivot bracket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for enclos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supporting ends surround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벽면에 고정부와 조립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unit having the simple structure as the back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is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are assembled with the fixing portion on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on each of the display devices, and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each display device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the X-axis, and the Z-axis defined in the dra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ed units, The non-display area can be further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can be minimized.

또한, 사이드브라켓을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절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충돌 없이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de brackets, the display device is more stably mounted, and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is finely adjusted, The non-display area can be minimized.

특히, 고정부와 제 1 고정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사각도 또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through the fixing unit and the first fix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부와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이드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1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2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e는 도 5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a ~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c ~ 6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e ~ 6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g ~ 6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i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a ~ 7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브라켓을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및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의 제 3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제 3 고정유닛이 모듈화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과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b ~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d ~ 9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f ~ 9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사이드액세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a ~ 11c는 도 10의 사이드액세서리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d ~ 11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스타퍼와, 스타퍼가 고정부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피봇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에 피봇브라켓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c는 도 12b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에 조립 체결된 피봇브라켓과 제 3 고정유닛이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2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4 간격조절스크류와의 체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system of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and the fixing uni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gether. FIG.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tion of FIG. 3B. FIG.
4A to 4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bracket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system of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and the first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gether. FIG.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5B. FIG.
FIG. 5D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gether. FIG.
FIG. 5E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tion of FIG. 5D. FIG.
FIGS.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to 6D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S. 6E to 6H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G to 6H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rizontally adjus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IG. 6I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FIG.
7A to 7D are a rear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is adjusted through a side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fixing unit of the fixing system of the multi-panel displa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ularized view of the third fixed unit of FIG. 8A. FIG.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xing part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FIG.
9B to 9C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horizontal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FIGS. 9D to 9E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of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adjusted. FIG.
FIGS. 9F to 9G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accessory of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is adjusted through the side accessory of FIG.
Figs. 11D to 11E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rter of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starter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of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assembled to a fixing portion of a display device;
FIG. 12C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assembled to a fix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2B and a third fixing unit assembled and fastened; 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gether.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fixing unit and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111)과,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며, 디스플레이패널(111) 및 부품 들을 보호하는 하우징(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 includes a display panel 111 And a housing 113 for housing the display panel 111 and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111 and the components.

디스플레이패널(111)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또는 마이크로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panel 11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micro LED (micro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maintain display performance even when bent like a paper sheet. It is preferable to use OLED, which is a representative runner.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The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can be lightweight and thin becaus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uminous element is not required.

그리고, OLED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OLED is superior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because its internal components are solid, Has a wide range of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The OLED display panel 111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protective layer having adhesiveness.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Though not show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as follows.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bstrat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for each pixel area,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each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lays red, green, and blue colors. As a general method, a separate organic material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is patterned for each pixel.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therebetween form a light emitting diode.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111 having such a structure has the first electrode as the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s the cathode.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11)의 하부로 하우징(113)이 위치하는데, 하우징(113)은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하우징(113) 상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을 보호함과 동시에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 전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A housing 113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111. The housing 113 includes a display panel 111 includ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display panel 111 and seated on the housing 113, And protects the entire display device 110 and minimizes the occurrence of optical loss.

이와 같이, 하우징(113)은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계조건에 따라 단일 몸체 또는 다수의 몸체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3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111 while the display panel 111 is housed, and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single body or a plurality of bodie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

하우징(113)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동보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Inside the housing 113,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11 and a drive board for converting external electrical signals into video and sound may be provided.

이러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벽면(W)에 하나씩 고정됨으로써 "Tiled" 형태로 배치되어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를 이루게 되는데,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비디오월(video wall)과 같이 하나의 이미지를 대략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으로 구현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10) 각각이 별도의 서로 다른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are fixed to the wall W one by one so as to be arranged in a "Tiled" form to form a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video wall Likewise, one image may be implemented on a large screen of about 100 inches or more, or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 may implement a different imag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고정부(210, 도 2a 참조)가 구비되어, 벽면(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30, 도 3a 참조)과 함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손쉽게 거치하게 된다. I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210 (see FIG. 2A)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230, see FIG. 3A),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FIG.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부(210, 도 2a 참조)와 벽면(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30, 도 3a 참조)을 모두 고정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100)의 고정시스템은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킴은 물론 위치 및 경사각도의 미세조정 또한 가능하다. Here, both the fixing unit 210 (see FIG. 2A)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fixed unit 230 (see FIG. 3A) located on the wall surface W can be defined as fixed systems. The fixing system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ass through each display device 110 but also fine adjust the position and tilt angle.

- 제 1 실시예 -- First Embodiment -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ystem.

그리고, 도 3b는 고정부와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re assembled together, and FIG. 3C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3B.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패널(도 1의 111)을 수용하는 하우징(113)의 배면에 고정부(210)가 위치하는데, 고정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2A, the fixing portion 210 is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113, which houses the display panel (111 of FIG. 1),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are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display device 110, respectively.

여기서, 고정부(21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부(210)는 하우징(113)의 배면으로부터 수직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직부(211a, 211b)와, 제 1 및 제 2 수직부(211a, 211b)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연결하는 수평부(211c)로 이루어진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fix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ixing unit 210 includes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211a and 211b, which ar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113 and face each other, And a horizontal portion 211c connecting the ends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s 211a and 211b to each other.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1의 W)에 거치시키는 역할 외에도,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이동시킬 때 손잡이로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21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used not only to mount the display device 110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1), but also to use as a handl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display device 110 It is possible.

이때, 고정부(210)는 제 1 및 제 2 수직부(211a, 211b)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과 힌지 결합되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을 향해 회동시켜 접어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ing unit 210 is hin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211a and 211b are hinge-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110,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sheet.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는 고정부(210)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부(210)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을 향해 접힐 경우 고정부(210)는 홈(미도시)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21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so that the fixing portion 210 is fold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The fixing portion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이러한 고정부(210)의 제 1 수직부(211a)에는 벽면(도 1의 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30)과의 체결을 위한 제 1 스크류홀(213)이 구비되는데, 제 1 스크류홀(213)은 제 1 수직부(211a)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The first vertical part 211a of the fixing part 210 is provided with a first screw hole 213 for fastening with the fixing unit 230 located on a wall surface (W in FIG. 1) (213)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vertical part (211a).

여기서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켜 고정부(210)와 함께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구현하기 위한 고정유닛(23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도 1의 W)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237)과 수평프레임(237)에 위치하는 브라켓(231)을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230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and implementing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ogether with the fixing portion 210 may be a wall surface W and a bracket 231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frame 237. The horizontal frame 237 and the bracket 231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frame 237 and the horizontal frame 237, respectively.

브라켓(231)은 수평프레임(237)의 외측을 감싸는 제 1 브라켓바(233a)와 제 1 브라켓바(233a)와 수평프레임(237)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 2 브라켓바(233b) 그리고 제 1 및 제 2 브라켓바(233a, 233b)를 연결하며,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210)의 제 1 수직부(211a)를 지지하는 제 3 브라켓바(233c)로 이루어진다. The bracket 231 includes a first bracket bar 233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37, a second bracket bar 233b facing the first bracket bar 233a and the horizontal frame 237, And a third bracket bar 233c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 bars 233a and 233b and supporting the first vertical part 211a of the fixing part 2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

여기서 제 1 브라켓바(233a)에는 제 2 스크류홀(234)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1브라켓바(233a)를 향하는 제 2 브라켓바(233b)의 내면에는 탄성바(235)가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bracket bar 233a is provided with the second screw hole 234 and the elastic bar 23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ar 233b facing the first bracket bar 233a.

탄성바(235)는 수평프레임(237)을 향해 돌출되어 수평프레임(237)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The elastic bar 235 protrudes toward the horizontal frame 237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rizontal frame 237.

그리고, 제 3 브라켓바(233c)에는 제 3 스크류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3 브라켓바(233c)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향 돌출된 제 1 가이드단(236)이 구비되어 있다. The third bracket bar 233c is provided with a third screw hole (not shown), and a first guide end 236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third bracket bar 233c is provided.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210)와 벽면(도 1의 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3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1의 W)에 손쉽게 거치시키게 된다.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1) through the fixing portion 210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fixing unit 230 located on the wall surface .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3 b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210)를 수평프레임(237) 상으로 위치시켜 수평프레임(237)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고정부(210)를 지지하도록 한다. 3B and 3C, the fixing unit 2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frame 237, Thereby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210 of the fixing member 110.

이때, 고정부(210)의 제 1 수직부(211a)는 제 3 브라켓바(233c)의 상부로 위치하는데, 제 1 수직부(211a)는 제 3 브라켓바(233c)에 구비된 제 1 가이드단(236)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안착되도록 한 후, 제 1 스크류(238a)를 제 1 수직부(211a)의 제 1 스크류홀(213)부터 제 3 브라켓바(233c)의 제 3 스크류홀(미도시)까지 관통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210)와 벽면(도 1의 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30)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한다. The first vertical part 211a of the fixing part 210 is positioned above the third bracket bar 233c and the first vertical part 211a is positioned on the third bracket bar 233c, The first screw 238a is guided from the first screw hole 213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211a to the third screw hole of the third bracket bar 233c The fixing unit 2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fixing unit 230 position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1) are assembl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여기서, 제 1 스크류(238a)는 제 1 스크류홀(213)과 제 3 스크류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수평프레임(237)까지 접촉하게 되는데, 제 1 스크류(238a)에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숫나사산을 포함하며, 제 1 스크류홀(213)과 제 3 스크류홀(미도시)에는 제 1 스크류(238a)에 구비된 숫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screw 238a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hole 213 and the third screw hole (not shown)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237. The first screw 238a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crew 238a And the first screw hole 213 and the third screw hole (not shown) are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male screw thread provided on the first screw 238a.

따라서, 제 1 스크류(238a)가 회전되면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부(210)와 브라켓(231)이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되거나, 고정부(210) 만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screw 238a is rotated,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bracket 231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r only the fixing portion 210 moves up and down.

이를 통해, 제 1 스크류(238a)를 통해 고정부(210)와 수평프레임(237) 사이의 간격(a)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하게 된다.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 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drawing by adjusting the interval a between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frame 237 through the first screw 238a do.

그리고, 제 2 스크류(238b)가 제 1 브라켓바(233a)에 구비된 제 2 스크류홀(234)을 관통하여 수평프레임(237)까지 접촉하게 되는데, 제 2 스크류(238b)에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숫나사산을 포함하며, 제 2 스크류홀(234)에는 제 2 스크류(238b)에 구비된 숫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The second screw 238b passes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234 provided in the first bracket bar 233a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237. The second screw 238b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second screw hole 234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engaging with the male screw thread provided on the second screw 238b.

따라서, 제 2 브라켓바(233b)의 내면에 위치하는 탄성바(23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수평프레임(237)은 제 2 스크류(238b)의 회전에 의해 제 1 브라켓바(233a)와의 사이 간격(b)을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하게 된다. The horizontal frame 237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bar 235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ar 233b is spaced from the first bracket bar 233a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238b (b), thereby finely adjusting the display device 110 in the Z-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drawing.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210)를 구비하고, 벽면(도 1의 W)에 고정부(210)와 조립 체결되는 고정유닛(23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1의 W)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The multi-pane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21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a back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1).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hrough each display device 110,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고정유닛(230)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and the Z-axis defined by the drawing unit through the fixed unit 230, so tha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10,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100 in Fig. 1) can be further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can be minimized.

- 제 2 실시예 -- Second Embodiment -

도 4a ~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이드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side view of the side bracke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1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system of a multi-panel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5B. Fig.

또한,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제 2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e는 도 5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5D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gether, and FIG. 5E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tion of FIG. 5D.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패널(도 1의 111)을 수용하는 하우징(113)의 배면에 고정부(310)가 위치하는데, 고정부(3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4A, the fixing part 310 is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3 that houses the display panel (111 in FIG. 1) And are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display device 110, respectively.

여기서, 고정부(31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부(310)는 하우징(113)의 배면으로부터 수직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와,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의 각 끝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중심부를 향해 수직 절곡된 제 3 및 제 4 수직부(311c, 311d) 그리고 제 3 및 제 4 수직부(311c, 311d)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연결하는 수평부(311e)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part 310 includes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311a and 311b that ar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3 and face each other, Third and fourth vertical portions 311c and 311d and third and fourth vertical portions 311c and 311d which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respective ends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s 311a and 311b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a horizontal portion 311e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11 and 311 to each other.

수평부(311e)는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horizontal portion 311e has a circular pipe shape.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와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는 서로 대칭을 이뤄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3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fixing unit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여기서, 상부측과 하부측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중앙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가상의 선을 그엇을 때,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나누어 정의하였다.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10 are arrang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when the imaginary line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lower side.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부(3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거치시키는 역할 외에도,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이동시킬 때 손잡이로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31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used as a handl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display device 110 in addition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device 110 on the wall surface W. [

이때, 고정부(310)는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과 힌지 결합되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을 향해 회동시켜 접어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4B, wh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311a and 311b are hin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the fixing part 310 may be hinged to the display device 110,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sheet.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는 고정부(310)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부(310)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을 향해 접힐 경우 고정부(310)는 홈(미도시)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31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so that the fixing portion 310 is fold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The fixing portion 31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 중 하나에는 사이드브라켓(320)이 구비되는데, 사이드브라켓(320)은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정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One of the fixing parts 31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side bracket 320 which fixes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to each other The display device 110 is more stably mounted and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is finely adjusted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브라켓(320)은 크게 브라켓부(321)와 그립부(323)로 나누어 정의되는데, 브라켓부(321)는 고정부(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수직부(311a)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내측면을 감싸는 제 1 브라켓부(321a)와 제 1 브라켓부(321a)와 연결되어 제 1 수직부(311a)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 2 브라켓부(321b)를 포함한다. 4C, the side bracket 320 is divided into a bracket portion 321 and a grip portion 323. The bracket portion 321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And a second bracket part 321b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part 321a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art 311a, do.

제 1 및 제 2 브라켓부(321a, 321b)는 다수의 간격봉(325)의 일측을 통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제 2 브라켓부(321b)에는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가 관통되는 제 1 관통홀(322)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racket parts 321a and 321b are assembl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pacers 325 and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crew 324 Through holes 322 are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s 322.

이때,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는 일반적인 스크류의 형상과 유사하게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샤프트(324b) 그리고 이의 끝단에 구비된 헤드(324a)를 포함하며, 제 1 브라켓부(321a)와 제 2 브라켓부(321b) 사이에서 제 2 브라켓부(321b)의 제 1 관통홀(322)을 관통하게 된다.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crew 324 includes a shaft 324b having a male screw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ead 324a provided at an end of the shaft 324b.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22 of the second bracket portion 321b between the second bracket portions 321b.

이때,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의 헤드(324a)는 제 1 브라켓부(321a)와 제 2 브라켓부(321b) 사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head 324a of the first gap adjusting screw 324 protrudes between the first bracket part 321a and the second bracket part 321b.

그립부(323)는 다수의 간격봉(325)을 통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브라켓부(321)와 연결되는데,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가 관통되는 제 2 관통홀(326a)이 구비된 그립플레이트(326)와 그립플레이트(326)에 힌지 결합된 그립(327)을 포함한다. The grip portion 323 is spaced apart from the grip portion 321 by a plurality of spacing rods 325 and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321. The grip portion 323 has a second through hole 326a through which the first gap adjusting screw 324 passes, And a grip 327 hinged to the grip plate 326 and the grip plate 326.

제 2 관통홀(326a)의 내면에는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의 숫나사산과 스크류체결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를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그립부(323)가 브라켓부(321)로부터 멀어지게 되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그립부(323)와 브라켓부(321) 사이의 간격(c)을 조절하게 된다.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crew 324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6a and is screwed with a screw thread of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crew 324. When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crew 324 is rotated, The gap c between the grip portion 323 and the bracket portion 321 is adjusted as the grip portion 323 is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grip portion 321.

여기서, 그립(327)은 그립플레이트(326)와 힌지 결합되는 제 1 그립단(327a)과, 제 1 그립단(327a)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 2 그립단(327b)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그립(327)은 제 1 그립단(327a)이 그립플레이트(326)와 밀착되는 펼침상태에서 그립플레이트(326)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접힘상태가 된다. Here, the grip 327 is composed of a first grip end 327a hinged to the grip plate 326 and a second grip end 327b bent from the first grip end 327a. 327 are rotated to be in a folded stat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ip plate 326 in a deployed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end 327a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grip plate 326. [

이러한 사이드브라켓(320)을 통해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간의 충돌 없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ide brackets 320 allows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to be fixed to each other to stably mount the display device 110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can be finely adjusted at the same time as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see FIG. 1),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without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100 can be further minimized.

이를 통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is minimizes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is later.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는 벽면(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30, 340)과 조립 및 체결됨으로써,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벽면(W)에 거치되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이루게 된다. The fixing unit 3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xing units 330 and 340 located on the wall surface W so that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are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So that a multi-panel display (100 of FIG. 1) is formed.

벽면(W)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30, 340)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1 고정유닛(330)과,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2 고정유닛(340)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다. The fixing units 330 and 340 located on the wall W include a first fixing unit 330 to be assembled with the fixing unit 310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a second fixing unit 340 to be assembled with the fixing unit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unit 340. [

먼저 제 1 고정유닛(33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도 5a와 도 5b 그리고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W)에 고정되는 월(wall)브라켓(331)과, 월브라켓(331)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를 실질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제 1 가이드홀더(333)를 포함한다. First, as shown in FIGS. 5A, 5B, and 5C, a wall bracket 331 fixed to the wall W and a wall bracket 331 fixed to the wall bracket 331 And a first guide holder 333 for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fixing part 310 moun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월브라켓(331)은 건물의 내/외벽면 등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면(W)에 부착되는 제 1 플레이트(331a)와, 제 1 플레이트(331a)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주보는 제 2 플레이트(331b) 그리고 제 1 및 제 2 플레이트(331a, 331b)를 연결하여 제 1 내부수납공간(A)을 정의하는 제 3 플레이트(331c)를 포함한다. The wall bracket 331 is fixedly installed on a structure such as the inner and outer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first plate 331a attached to the wall W and a second plate 331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331a And a third plate 331c connecting the plate 331b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31a and 331b to define a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여기서, 월브라켓(331)을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W)에 부착하기 위하여 제 1 플레이트(331a)는 넓은 면적을 갖거나, 2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tably attach the wall bracket 331 to the wall surface W,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late 331a has a large area or a double-wall structure.

이러한 월브라켓(331)의 제 1 내부수납공간(A)에는 제 1 가이드홀더(333)가 위치하는데, 제 1 가이드홀더(333)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 형상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홈(333a)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guide holder 333 is located in the first inner storage space A of the wall bracket 331 and the first guide holder 333 is fixed to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A first guide groove 333a is provided.

따라서, 제 1 가이드홈(333a)에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되어, 제 1 고정유닛(330)은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guide groove 333a, so that the first fixing unit 330 is supported by the display device 110.

이때, 제 1 가이드홀더(333)는 월브라켓(331)의 제 1 내부수납공간(A) 내에서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Z축으로 이동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holder 333 is movable in the Y axis and the Z axis defined in the drawing with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of the wall bracket 331.

즉, 월브라켓(331)의 제 2 플레이트(331b)에는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가 관통 삽입되는 제 3 관통홀(334)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3 플레이트(331c)에는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가 관통 삽입되는 제 4 관통홀(336)이 구비되어 있다. That is, the second plate 331b of the wall bracket 331 is provided with a third through hole 334 through which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is inserted, and the third plate 331c is provided with a third gap And a fourth through hole 336 through which the screw 337 is inserted.

여기서 제 2 및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5, 337)는 일반적인 스크류의 형상과 유사하게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샤프트(335b, 337b) 그리고 이의 끝단에 구비된 헤드(335a, 337a)를 포함하며, 제 3 관통홀(334)을 관통한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의 샤프트(335b)의 끝단에는 제 1 너트(335c)가 스크류체결되어 구비되며, 제 4 관통홀(336)을 관통한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의 샤프트(337b)의 끝단에는 제 2 너트(337c)가 스크류체결되어 구비된다. The second and third spacing adjusting screws 335 and 337 include shafts 335b and 337b having male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heads 335a and 337a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hafts 335b and 337b, A first nut 335c is screwed on the end of the shaft 335b of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passing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34 and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shaft 335b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336. [ A second nut 337c is screwed on the end of the shaft 337b of the third gap adjusting screw 337. [

이때,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는 제 2 플레이트(331b)의 제 3 관통홀(334)을 관통하여 샤프트(335b)의 끝단이 제 1 가이드홀더(333)와 연결되며,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는 제 3 플레이트(331c)의 제 4 관통홀(336)을 관통하여 샤프트(337b)의 끝단이 제 1 가이드홀더(333)와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passes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34 of the second plate 331b so that the end of the shaft 335b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holder 333, The screw 337 passes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336 of the third plate 331c and the end of the shaft 337b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holder 333.

따라서,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를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가이드홀더(333)가 제 2 플레이트(331b)로부터 멀어지게 되거나 가까워져, 제 2 플레이트(331b)와 제 1 가이드홀더(333) 사이의 간격(d)을 조절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is rotated, the first guide holder 333 is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second plate 331b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plate 331b and the first guide holder 333 (D).

그리고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를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가이드홀더(333)가 제 3 플레이트(331c)로부터 멀어지게 되거나 가까워져, 제 3 플레이트(331c)와 제 1 가이드홀더(333) 사이의 간격(e)을 조절하게 된다. When the third gap adjusting screw 337 is rotated, the first guide holder 333 moves away from the third plate 331c or approaches the third plate 331c and the first guide holder 333, (E) between them.

이때,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가 관통되는 제 3 관통홀(334)은 제 2 플레이트(3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를 회전시켜 제 1 가이드홀더(333)와 제 3 플레이트(331c) 사이의 간격(e)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와 제 1 가이드홀더(333)가 제 3 관통홀(3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다. The third through hole 334 through which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passes is formed as a long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331b to rotate the third gap adjusting screw 337, The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5 and the first guide holder 333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the third through hole 334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gap e between the guide holder 333 and the third plate 331c,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up and down along the direction.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Z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ar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defined by the drawing.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고정부(310)와 제 1 고정유닛(330)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310 and a first fixing unit 330, The tilt angle can be adjusted.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is later.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2 고정유닛(340)은 도 5d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를 고정하는 제 2 가이드홀더(343)를 포함한다. 5D and 5E, the second fixing unit 340, which is assembled with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a second guide holder 343 for fixing the fixing part 310 located at the lower side.

제 2 가이드홀더(343)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 형상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홈(343a)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가 관통되는 제 5 관통홀(343b)이 구비되어 있다. The second guide holder 343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343a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and a fifth through hole (Not shown).

따라서,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는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제 5 관통홀(343b)을 관통하여 샤프트(345b)의 끝단이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이때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345b)의 끝단에는 충격완화너트(345c)가 스크류체결되어 구비된다.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passes through the fifth through hole 343b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nd the end of the shaft 345b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n impact relieving nut 345c is screwed to an end of the shaft 345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

이러한 제 2 고정유닛(340)의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제 2 가이드홈(343a)에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된다.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343a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of the second fixing unit 340, do.

이때, 제 2 고정유닛(340) 또한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를 회전시켜 회전방향에 따라 제 2 가이드홀더(343)를 벽면(W)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unit 340 also rotates the fourth interval adjusting screw 345 to move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way from or close to the wall surface W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direction, 110 in the Z-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draw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310)를 구비하고, 벽면(W)에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330, 34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ing portion 31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a back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330 and 340 that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10. [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hrough each display device 110,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330, 340)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the X-axis, and the Z-axis defined by the dra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ed units 330 and 340 so that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또한, 사이드브라켓(320)을 통해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절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간의 충돌 없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ide brackets 320 allows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to be fixed to each other to stably support the display device 110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can be finely adjusted while minimizing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FIG. 1) without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고정부(310)와 제 1 고정유닛(330)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310 and a first fixing unit 330, The tilt angle can be adjusted.

도 6a ~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c ~ 6d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6A to 6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C to 6D are views And Fig.

그리고, 도 6e ~ 6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g ~ 6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i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6E to 6H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Figs. 6G to 6H are cross- FIG. 6I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s horizontally adjus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IG. 6I is a view illustrating adjustment of the tilt angl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 As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는 하우징(113)의 배면에 고정부(310)가 위치하며, 각각의 고정부(310)는 벽면(W)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330, 340)에 받쳐 지지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벽면(W)에 거치되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이루게 된다. 1, a rear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113 that houses the display panel 111, And the fixing portions 310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330 and 340 located on the wall surface W so tha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 And is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to form a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제 1 고정유닛(330)의 월브라켓(331)의 제 1 플레이트(331a)는 벽면(W)에 고정된 상태로, 제 1 고정유닛(330)의 제 1 가이드홀더(333)에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되어, 제 1 고정유닛(330)은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331a of the wall bracket 331 of the first fixing unit 330 is fixed to the first guide holder 333 of the first fixing unit 330,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110 is sea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first fixing unit 330 supports the display device 110. [

그리고 제 2 고정유닛(340)의 제 2 가이드홀더(343)에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된다.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guide holder 343 of the second fixing unit 340. [

여기서, 제 1 고정유닛(330)이 벽면(W)에 고정됨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도 6a ~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홀더(333)의 제 1 가이드홈(333a)에 안착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수평부(311e)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할 수 있다. 6A to 6B, the first fixing unit 330 is fixed to the wall W so that the first guide grooves 333a of the first guide holder 333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which is seated on the fixing portion 310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to horizontally position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in the X- Can be adjusted.

이때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가이드홀더(333)의 제 1 가이드홈(333a)에 안착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좌우로 이동하면,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제 2 가이드홈(343a)에 안착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 또한 좌우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guide groove 333a of the first guide holder 333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second guide holder 343,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at is sea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343a of the second guide groove 343a also moves left and right together.

또한 도 6c와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유닛(330)의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를 회전시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받쳐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홀더(333)를 월브라켓(331)의 제 1 내부수납공간(A) 내에서 상하로 수직이동 시킴으로써, 제 1 가이드홀더(333)와 제 3 플레이트(331c) 사이의 간격(e)을 조절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할 수 있다. 6C and 6D, a first guide holder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by rotating the third gap adjusting screw 337 of the first fixing unit 330 333 ar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first inner accommodating space A of the wall bracket 331 to adjust the distance e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333 and the third plate 331c, The vertical position of each display device 110 can be adjusted up and down.

또한, 도 6e 와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유닛(330)의 제 2 간격조절스크류(335)를 회전시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받쳐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홀더(333)를 월브라켓(331)의 제 1 내부수납공간(A) 내에서 전후방으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써, 제 1 가이드홀더(333)와 제 2 플레이트(331b) 사이의 간격(d)을 조절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을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할 수 있다. 6E and 6F,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screw 335 of the first fixing unit 33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guide 331, which supports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333 and the second plate 331b is adjusted by horizontally moving the holder 333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of the wall bracket 331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display device 110 in the Z-axis direction defined in the drawing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도 6g와 도 6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고정유닛(340)의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를 회전시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받쳐 지지하는 제 2 가이드홀더(343)를 전후방으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써, 제 2 가이드홀더(343)와 벽면(W) 사이의 간격(f)을 조절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을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할 수 있다. 6G and 6H, the fourth spacing adjusting screw 345 of the second fixing unit 340 is rotated so as to support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distance f between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nd the wall surface W can be adjusted by horizontally moving the holder 34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adjust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display device 110 in the Z-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to the front and rear.

이때, 제 2 가이드홀더(343)가 벽면(W)과 가까워지게 되면,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의 샤프트(345b)의 끝단에 스크류체결된 충격완화너트(345c)가 벽면(W)과 접촉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guide holder 343 comes close to the wall surface W, the screw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shaft 345b of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So that the shock-absorbing nut 345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

충격완화너트(345c)는 제 2 가이드홀더(343)가 벽면(W)에 가까워짐에 따라 벽면(W)과 부딪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디스플레이장치(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의 샤프트(345b)의 끝단에 의해 벽면(W)에 흠집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mpact relief nut 345c prevents the impact generated by the collision with the wall surface W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10 as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pproaches the wall surface W And the end of the shaft 345b of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can prevent scratches or the like from being formed on the wall surface W. [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도 6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는 제 1 가이드홀더(333)의 제 1 가이드홈(333a) 내에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경사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tilt angle of each display device 110. As shown in FIG. 6I,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is rotated in the first guide groove 333a of the first guide holder 333 so that the display device 110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clina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view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more various types of multi-panel display devices (100 of FIG. 1).

도 7a ~ 7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브라켓을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FIGS. 7A to 7D are a rear view and a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is adjusted through a side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는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벽면(도 6i의 W)에 고정된 제 1 고정유닛(330)의 제 1 가이드홀더(333)에 안착되어, 벽면(도 6i의 W)에 거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 horizontal part 311e of the fixing part 3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a, 1 guide holder 333, and is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6i).

이때,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 중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에는 사이드브라켓(320)이 조립체결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ide bracket 320 is attached to the fixing part 310 located at one side of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mong the fixing parts 310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ssembled.

사이드브라켓(320)은 브라켓부(321)가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에 조립 및 체결되어 있는데, 이때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부(32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된 그립부(323)는 제 1 그립단(323a)이 그립플레이트(326)와 밀착되는 펼침상태를 이룬다. The side bracket 320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fixing portion 31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A, the side bracket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portion 3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nected grip portion 323 is in a deployed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end 323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ip plate 326. [

이후,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일측으로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거치시키게 되는데,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충돌되지 않도록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로부터 제 1 간격(g)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unt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G)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좌우로 이동시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고정부(310)가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고정부(310)에 장착된 사이드브라켓(320)과 접촉하도록 수평 위치 조정한다. Next, as shown in FIG. 7B,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in the X axis direction defined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310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And is horizontally adjus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bracket 320 mounted on the fixing portion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는 제 2 간격(h)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Here,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cond distance h.

이때,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고정부(310)에 장착된 사이드브라켓(320)은 그립부(323)가 회전하여,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323)의 그립(327)이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에 걸쳐 감싸게 된다. At this time, the side bracket 320 mounted on the fixing portion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rotates the grip portion 323 so that the grip 327 of the grip portion 323 is rotated 2 display unit 110b of the display unit 110b.

즉, 그립(327)의 제 1 그립단(327a)이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제 1 수직부(311a)의 상면과 밀착되고, 제 2 그립단(327b)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제 1 수직부(311a)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grip end 327a of the grip 32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and the second grip end 327b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이후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간격조절스크류(324)를 회전시켜 그립부(323)와 브라켓부(3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 사이의 간격(h)을 조정하게 된다. 7D, the gap between the grip portion 323 and the bracket portion 321 is adjusted by rotating the first gap adjusting screw 324 so that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respectively.

따라서,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사이드브라켓(320)을 통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거치시키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de bracket 3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mounted.

또한, 서로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 간격(h)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간의 충돌 없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interval h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so that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can be adjusted without any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nd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can be further minimized.

이를 통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is minimizes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310)를 구비하고, 벽면(W)에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330, 34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벽면(W)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xing part 31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the back surface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on the wall surface W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330 and 340 that are assembled with the fixing portion 310 on the wall surface W .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hrough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는 제 1 및 제 2 고정유닛(330, 340)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the X-axis, and the Z-axis defined by the dra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ed units 330 and 34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thereby minimizing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또한, 사이드브라켓(320)을 통해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절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간의 충돌 없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ide brackets 320 allows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to be fixed to each other, 110b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without colliding with the adjacent display devices 110a, 110b by finel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a, The display area can be further minimized.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고정부(310)와 제 1 고정유닛(330)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경사각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through the fixing part 310 and the first fixing unit 330, ) Can also be adjusted.

- 제 3 실시예 -- Third Embodiment -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고정시스템의 제 3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제 3 고정유닛이 모듈화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fixing unit of the fixing system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schematically shows a modular view of the third fixing unit of FIG. FIG.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제 1 고정유닛(도 7d의 330)과 이루는 구성이 다를 뿐, 제 1 고정유닛(도 7d의 330)과 동일한 역할 및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3 고정유닛이라 정의하도록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fixing unit 330 (FIG. 7D)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ly in that the first fixing unit 7d, 330), and is defined as a third fixed uni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벽면에 고정되는 월(wall)브라켓모듈(410)과, 월브라켓모듈(410)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 도 9a 참조)를 실질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을 포함한다. 3,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bracket module 410 fixed to a wall surface, a display unit 110 mounted on the wall bracket module 410, And a holder bracket 430 and a support bracket 420 for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fixing unit 310 (see FIG. 9A)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racket 310 (see FIG. 9A).

각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월브라켓모듈(410)은 건물의 내/외벽면 등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면(W, 도 9b 참조)에 직접 부착 및 고정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411a, 411b)와,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411a, 411b)로부터 각각 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는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와,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를 연결하는 제 5 월플레이트(415)를 포함한다. The wall bracket module 410 is fixedly installed on a structure such as an inner /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is directly attached to and fixed to a wall surface W (see FIG. 9B)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vertically bent fo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411a and 411b and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411a and 411b, And a fifth wall plate 415 vertically bent from the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to connect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여기서, 월브라켓모듈(410)을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W, 도 9b 참조)에 부착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411a, 411b)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411a and 411b have a large area in order to more stably attach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o the wall surface W (see FIG. 9B).

이러한 월브라켓모듈(410)은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와 제 5 월플레이트(415)에 의해 벽면(W, 도 9b 참조)과 제 5 월플레이트(415) 사이로 제 2 내부수납공간(B)을 정의하게 되며, 월브라켓모듈(410)의 정의된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이 위치하게 된다. 9B) and the fifth wall plate 415 by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and the fifth wall plate 415, And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are positioned in the defined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

즉,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은 벽면(W, 도 9b 참조)에 고정된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위치하여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며,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3 내지 제 5 월플레이트(413a, 413b, 415)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위치하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게 된다. That is,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fixed to the wall surface W (see FIG. 9B) The third through fifth wall plates 413a, 413b and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locat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Protection.

이러한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2 내부수납공간(B)에 위치하는 서포트브라켓(420)은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의 내측면과 각각 외면이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421a, 421b)와,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421a, 421b)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421a, 421b)를 연결하는 제 3 서포트플레이트(423)를 포함한다.The support bracket 420 locat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21a and 421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and fourth support plates 421a and 421b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21a and 421b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21a and 421b. And a support plate 423.

제 3 서포트플레이트(423)는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5 월플레이트(415)와 수직하게 이루어진다. The third support plate 423 is perpendicular to the fifth wall plate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이러한 서포트브라켓(420)의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421a, 421b)에는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에 각각 구비된 제 1 스크류 관통홀(416)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류 관통홀(425)이 구비되어, 서포트브라켓(420)과 월브라켓모듈(410)은 제 1 및 제 2 스크류 관통홀(416, 425)을 관통하는 제 4 스크류(418)를 통해 스크류체결 된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21a and 421b of the support bracket 420 are provided with first screw through holes 416 provided in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he support bracket 420 and the wall bracket module 410 are provided with a fourth screw 418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enetration holes 416 and 425, ).

여기서, 서포트브라켓(420)의 제 3 서포트플레이트(423)에는 제 1 및 제 2 기어홀(427a, 427b)이 구비되는데, 제 1 기어홀(427a)에는 제 1 스퍼기어(428)가 회전 가능하게 원판 형태로 위치하는데, 제 1 스퍼기어(428)의 중앙에는 육각형 형태로 수용공(428a)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gear holes 427a and 427b are provided in the third support plate 423 of the support bracket 420. The first spur gear 428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first gear hole 427a, The first spur gear 428 has a receiving hole 428a at the center thereof in a hexagonal shape.

이러한 제 1 스퍼기어(428)는 수용공(428a)으로 인해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육각렌치(426, 도 9d 참조)를 수용공(428a)에 결합시켜 용이하게 제 1 스퍼기어(42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e first spur gear 428 can easily engage with the first spur gear 428 by engaging the hexagonal wrench 426 (see FIG. 9D) with the receiving hole 428a by the receiving hole 428a, .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is later.

수용공(428a)은 육각렌치(426, 도 9d 참조)의 형태와 대응되는 육각형태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렌치(426, 도 9d 참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The receiving hole 428a is preferably formed in a hexa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xagonal wrench 426 (see FIG. 9D), but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rench 426 (see FIG. 9D).

또한, 제 1 스퍼기어(428)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제 1 톱니(428b)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teeth 428b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pur gear 428.

그리고, 제 2 기어홀(427b)에는 제 1 스퍼기어(428)의 제 1 톱니(428b)와 맞물리는 제 2 톱니(429b)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퍼기어(429)가 회전 가능하게 원판 형태로 위치하는데, 제 2 스퍼기어(429)에는 볼트공(429a)이 구비되어 있다.A second spur gear 429 having a second tooth 429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engaged with the first tooth 428b of the first spur gear 428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second gear hole 427b into a disc shape And the second spur gear 429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429a.

여기서, 제 2 스퍼기어(429)는 제 1 스퍼기어(428)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제 1 스퍼기어(428)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가 되며, 제 2 스퍼기어(429)는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는 종동기어가 된다. The second spur gear 429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spur gear 428 so that the first spur gear 428 becomes a driving gear for transmitting power, Is a driven gear that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e gear.

제 2 스퍼기어(429)의 볼트공(429a)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이러한 볼트공(429a)에는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숫나사산이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긴 봉형상의 볼트(422)가 조립 체결된다.A bolt hole 429a of the second spur gear 429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and a bolt 422 having a long rod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screw thread engaging with a female screw thread is assembled to the bolt hole 429a.

이러한 볼트(422)는 제 2 스퍼기어(429)의 회전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The height of the bolt 422 is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ur gear 429.

그리고 볼트(422)의 끝단에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위치하는데,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은 볼트(422)와 연결되며 서포트플레이트(420)의 제 3 서포트플레이트(423)와 평행한 제 1 홀더플레이트(431a)와, 제 1 홀더플레이트(431a)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는 제 2 및 제 3 홀더플레이트(431b, 431c)를 포함하는데, 제 2 및 제 3 홀더플레이트(431b, 431c)는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5 월플레이트(415)와 평행하며, 제 3 홀더플레이트(431c)의 외면은 제 5 월플레이트(415)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대응된다. A holder guide bracket 430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bolt 422.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is connected to the bolt 42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423 of the support plate 420, The holder plate 431a and the second and third holder plates 431b and 431c which are respectively bent perpendicularly from the edges of the first holder plate 431a and the second and third holder plates 431b and 431c Parallel to the fifth wall plate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holder plate 431c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fth wall plate 415.

이러한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은 볼트(422)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하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is vertically moved verticall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lt 422.

제 1 내지 제 3 홀더플레이트(431a, 431b, 431c)는 제 3 내부수납공간(C)으로 정의하게 되며, 제 2 및 제 3 홀더플레이트(431b, 431c)가 수직 절곡되지 않은 제 1 홀더플레이트(431a)의 양측 가장자리와 제 1 홀더플레이트(431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향 돌출된 제 2 가이드단(433)이 구비된다. The first to third holder plates 431a, 431b and 431c are defined as a third internal storage space C and the second and third holder plates 431b and 431c are defined by a first holder plate And a second guide end 433 protruding upward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extending from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holder plate 431a and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holder plate 431a.

이러한 제 3 내부수납공간(C)에는 제 3 가이드홀더(435)가 위치하는데, 제 3 가이드홀더(435)는 고정부(310, 도 9a 참조)의 수평부(311e, 도 9a 참조) 형상에 대응하는 제 3 가이드홈(435a)이 구비되어 있다. The third guide holder 435 is located in the third internal storage space C and the third guide holder 435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see FIG. 9A) of the fixing portion 310 And a corresponding third guide groove 435a is provided.

따라서, 제 3 가이드홈(435a)에 고정부(310, 도 9a 참조)의 수평부(311e, 도 9a 참조)가 안착 및 지지되어, 제 3 고정유닛(400)은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9A) of the fixing portion 310 (see Fig. 9A)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third guide groove 435a so that the third fix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10 ).

여기서,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에는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가 관통 삽입되는 제 6 관통홀(4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3 가이드홀더(435)에는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와 스크류체결되는 제 4 스크류홀(434)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fth holder plate 431b is provided with a sixth through hole 432 through which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is inserted and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is inserted into the third guide holder 435, And a fourth screw hole 434 to be screw-connected.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는 일반적인 스크류의 형상과 유사하게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샤프트(441)와, 이의 끝단에 구비된 헤드(443)를 포함하는데, 헤드(443)는 널링노프(knurling knob)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헤드(443)를 돌릴 수 있게 된다.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includes a shaft 441 provided with a male screw arc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ead 443 provided at an end of the shaft 441 similar to the shape of a general screw, knob,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turn the head 443.

이러한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는 샤프트(441)가 관통 삽입된 제 6 관통홀(432)이 구비되는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가이드홀더(435)의 제 4 스크류홀(434)에는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의 샤프트(441)에 구비된 숫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fth spacing adjusting screw 4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having the sixth through hole 432 through which the shaft 441 is inserted, 4 screw hole 434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which is engaged with a male screw thread provided on the shaft 441 of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따라서,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의 회전에 따라 제 3 가이드홀더(435)는 제 3 내부수납공간(C) 내에서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의 샤프트(4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e third guide holder 435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441 of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in the third inner accommodating space C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 Moving back and forth.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is later.

그리고, 제 3 홀더플레이트(431c)의 외측으로는 가이드홀(436a)이 구비된 프론트가이드(436)가 위치하며,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의 외측으로는 제 2 홀더플레이트(431b) 일부와 제 1 홀더플레이트(431a) 일부를 감싸는 리어가이드(437)가 위치한다. A front guide 436 having a guide hole 436a is located outside the third holder plate 431c and a part of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And a rear guide 437 surrounding a part of the first holder plate 431a is positioned.

여기서, 프론트가이드(436)와 리어가이드(437)는 몰드재질로 이루어져, 모두 제 1 내지 제 3 홀더플레이트(431a, 431b, 431c)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제 1 및 제 2 홀더플레이트(431a, 431b)의 일부를 감사는 리어가이드(437)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과정에서 벽면(W, 도 9b 참조)과 제 1 및 제 2 홀더플레이트(431a, 431b)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해 손상 및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front guide 436 and the rear guide 437 are made of a mold material and serve to protect the first to third holder plates 431a, 431b and 431c.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lates 431a, 431b, The rear guide 437 guides a part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to the wall surface W (see FIG. 9B)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lates 431a and 431b in the process of vertically moving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up and down. Thereby preventing damage and foreign matter from being generated due to friction.

또한, 제 3 홀더플레이트(431c)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프론트가이드(436)는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서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되며, 또한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과정에서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5 월플레이트(415)와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의 제 3 홀더플레이트(431c)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front guide 436 located outside the third holder plate 431c guides the position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Further,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friction occurs between the fifth wall plate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and the third holder plate 431c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

특히, 프론트가이드(436)에 구비된 가이드홀(436a)은 서포트브라켓(420)에 구비된 제 1 스퍼기어(428)의 수용공(428a)으로 육각렌치(426, 도 9d 참조)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육각렌치(426, 도 9d 참조)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되어, 육각렌치(426, 도 9d 참조)가 제 1 스퍼기어(428)의 수용공(428a)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guide hole 436a provided in the front guide 436 engages the hexagonal wrench 426 (see FIG. 9D) with the receiving hole 428a of the first spur gear 428 provided in the support bracket 420 The position of the hexagonal wrench 426 (see FIG. 9D) is guided in the process so that the hexagonal wrench 426 (see FIG. 9D) stably engages with the receiving hole 428a of the first spur gear 428 .

한편,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413a, 413b)에는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위치하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의 고정부(310, 도 9a 참조)를 지지한 채로 상하로 승강이동하거나 좌우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홈(417)이 구비되어 있다.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position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is attached to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413a and 413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Grooves 417 are provi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or horizontally to the left and right while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310 (see Fig.

홈(417)에 의해 홀더가이드브라켓(430)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의 고정부(310, 도 9a 참조)는 외부로 노출되어, 월브라켓모듈(410)이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의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과정에서 월브라켓모듈(410)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9A) of the display device 110 (see FIG. 9A) supported by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by the groove 417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ll bracket module 410 is held by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 The wall bracket module 410 has no influence in the process of fin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see FIG. 9A) through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in fixing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 .

그리고,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5 월플레이트(415)에는 개구홀(419)이 구비되어, 서포트브라켓(420)에 위치하는 제 1 스퍼기어(428)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 1 스퍼기어(428)의 회전을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An opening hole 419 is formed in the fifth wall plate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so that the first spur gear 428 located in the support bracket 4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rotation of the first spur gear 428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이때, 서포트브라켓(420)의 제 3 서포트플레이트(423)의 일단에는 돌출턱(424)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돌출턱(424)은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5 월플레이트(415)에 구비된 개구홀(419)에 끼움 안착되어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서 서포트브라켓(420)의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상하로 수직이동 하는 과정에서 서포트브라켓(420)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protrusion 424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late 423 of the support bracket 420, and the protrusion 424 may protrude from the fifth wall plate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racket 420 in the second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B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can be more clearly guided by fitting into the opening hole 419 formed in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he support bracket 4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bracket 420.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 도 9a 참조)를 지지 및 고정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 할 수 있다.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fix the fixing portion 310 (see Fig. 9A)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see Fig. 9A)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see FIG. 9A) in the Y-axis, the X-axis and the Z-axis defined in the drawing.

이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도 9a 참조)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which is a bezel area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see Fig. 9A), so that occurrence of image disconnection can be minimized have.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과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b ~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xing part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and FIGS. 9B-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horizontally adjusts its position horizontally. Fig.

그리고, 도 9d ~ 9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f ~ 9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9d to 9e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vertically up and down. Figs. 9f to 9g show a third embodiment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s horizontally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는 하우징(113)의 배면에 고정부(310)가 위치하며, 각각의 고정부(310)는 벽면(W)에 위치하는 제 3고정유닛(400)에 받쳐 지지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벽면(W)에 거치되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이루게 된다. 9A, a housing 113 for housing the display panel 111,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of each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s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fixing portion 310 is supported by the third fixing unit 400 located on the wall surface W so tha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 To form a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제 3 고정유닛(400)의 월브라켓모듈(410)은 벽면(W)에 고정되는데, 실질적으로 월브라켓모듈(410)은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411a, 411b)가 벽면(W)에 부착 및 고정된다. The wall bracket module 410 of the third fixing unit 400 is fixed to the wall W so that the wall bracket module 410 substantially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411a and 411b from contacting the wall W As shown in Fig.

그리고, 월브라켓모듈(410)의 제 3 내지 제 5 월플레이트(413a, 413b, 415)가 이루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는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이 위치하는데,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의 제 3 가이드홀더(435)의 제 3 가이드홈(435a)에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되어, 제 3 고정유닛(400)은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are dispos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formed by the third through fifth wall plates 413a, 413b, and 415 of the wall bracket module 410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third guide groove 435a of the third guide holder 435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Thereby supporting the device 110.

여기서, 제 3 고정유닛(400)이 월브라켓모듈(410)을 통해 벽면(W)에 고정됨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도 9b ~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가이드홀더(435)의 제 3 가이드홈(435a)에 안착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수평부(311e)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좌우로 수평 위치 조정할 수 있다. Here, as the third fixed unit 40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the wall bracket module 410,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10 is fixed to the third guide holder 435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at is seated in the third guide groove 435a of the first guide portion 431a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110)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그리고 도 9d ~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육각렌치(426)를 프론트가이드(436)의 가이드홀(436a)을 통해 서포트브라켓(420)에 구비된 제 1 스퍼기어(428)의 수용공(도 8a의 428a)으로 결합시킨 뒤, 육각렌치(426)를 돌려 제 1 스퍼기어(428)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스퍼기어(428)의 회전력이 제 2 스퍼기어(429)로 전달되어 제 2 스퍼기어(429) 역시 회전하게 된다. 9d to 9e,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exagonal wrench 426 inserted into the support bracket 420 through the guide hole 436a of the front guide 436, When the first spur gear 428 is rotated by turning the hexagonal wrench 426 after the first spur gear 428 is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428a of the first spur gear 428,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ur gear 429 and the second spur gear 429 is also rotated.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월브라켓모듈(410)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Here, the wall bracket module 410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 1 스퍼기어(428)를 육각렌치(426)를 사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제 2 스퍼기어(429) 또한 회전하게 되고, 제 2 스퍼기어(429)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스퍼기어(429)의 볼트공(도 8a의 429a)에 볼트체결된 볼트(422)가 제 2 스퍼기어(429)를 중심으로 상하로 수직 이동하게 되고, 볼트(422)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볼트(422)의 끝단에 구비된 홀더가이드브라켓(430) 또한 상하로 수직하게 수직 이동하게 된다. The second spur gear 429 rotates as the first spur gear 428 is rotated using the hexagonal wrench 426 and the second spur gear 429 rotates as the second spur gear 429 rotates. The bolt 422 bolted to the bolt hole 429a of the bolt 422 vertically moves vertically about the second spur gear 429 and the bolt 422 moves vertically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guide member 420 vertically moves vertically.

따라서,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이 서포트브라켓(42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거나 가까워지게 되면서,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 사이의 간격(i)을 조절하게 된다.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is moved away from or close to the support bracket 420 and the gap i between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is adjusted.

이와 같이, 홀더가이드브라켓(430)과 서포트브라켓(420) 사이의 간격(i)을 조절함으로써,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상하로 수직 위치 조정할 수 있다. Thus, by adjusting the interval i between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and the support bracket 420, it is possible to vertically adjust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in the Y-axis direction defined in the drawing.

또한, 도 9f ~ 9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홀더가이드브라켓(430)의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와 연결된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의 회전에 의해 제 5 간격조절스크류(440)의 샤프트(441)의 끝단에 스크류 체결된 제 3 가이드홀더(435)를 제 2 홀더플레이트(431b)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여, 제 2 홀더플레이트(431b)와 제 3 가이드홀더(435) 사이의 간격(j)을 조절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을 전후방으로 수평 위치 조정할 수 있다.9f to 9g,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fth interval adjusting screw 440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of the holder guide bracket 430, The third guide holder 435 screwed to the end of the shaft 441 of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by the rotation of the fifth gap adjusting screw 440 is rotated by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The distance j between the second holder plate 431b and the third guide holder 435 is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z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display device 1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310)를 구비하고, 벽면(W)에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3 고정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xing part 31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the back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W by providing the third fixing unit 400 to be assembled with the fixing part 310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hrough each display device 110,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제 3 고정유닛(400)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display device 11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X-axis, and Z-axis defined in the drawing through the third fixed unit 400, so that the bezel area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can be further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the image disconnection phenomenon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사이드액세서리(450, 도 10 참조)를 더욱 포함하는데, 사이드액세서리(450, 도 10 참조)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 중 하나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사이 간격을 미세 조정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0)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device 110 (see FIG. 10), and the side accessory 450 (see FIG. 10) The adjacent display devices 110 ar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more stably mounted and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can be stably positioned. So as to fine-tune the interval between th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from occurr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사이드액세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a ~ 11c는 도 10의 사이드액세서리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accessory of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to 11c are views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through the side accessory of FIG.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11d ~ 11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스타퍼와, 스타퍼가 고정부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1D to 11E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rter of the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starter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액세서리(450)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와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는 제 2 사이드플레이트(453) 그리고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각을 이루며 하향 절곡되는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를 포함한다. 10, the side accessory 45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451 and a second side plate 453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plate 451, And a third side plate 455 which is bent downward at an angle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451.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와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가 이루는 일정각은 둔각을 이뤄, 제 2 및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3, 455) 사이의 거리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넓어지게 된다. 이때, 제 2 및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3, 455)의 끝단 사이는 제 1 거리(k1)를 갖게 된다.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451 and the third side plate 455 is an obtuse angl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453 and the third side plate 455 is further away from the first side plate 451 And gradually becomes wider. At this time, a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side plates 453 and 455 is a first distance k1.

그리고,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의 내면에는 다수의 홈(455a)이 구비되어,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로부터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의 외측으로 일정 탄성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 2 및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3, 455) 사이는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의 탄성력을 통해 제 1 거리(k1)보다 길어진 제 2 거리(k2)를 가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grooves 455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ide plate 455 so that the third side plate 455 extends from the first side plate 451 to the outside of the third side plate 455, .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ide plates 453 and 455 may have a second distance k2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k1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ide plate 455. [

이때,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길이(l)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의 상면의 합한 폭과 대응되며,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에는 제 2 사이드플레이트(453)에 인접하여 제 7 관통홀(451a)이 구비되어 있는데, 제 7 관통홀(451a)은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에 구비된 제 5 스크류홀(313)에 대응되어 위치한다.The length l of the first side plate 451 is equal to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311a and 311b of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nd a seventh through hole 451a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plate 453 in the first side plate 451. The seventh through hole 451a is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451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device 110a, And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fth screw hole 313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그리고, 이러한 제 7 관통홀(451a)과 제 5 스크류홀(313)로 제 5 스크류(456)가 스크류 체결된다. The fifth screw 456 is screwed into the seventh through hole 451a and the fifth screw hole 313.

이를 통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액세서리(450)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내면이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일측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의 상면과 마주보며 제 2 사이드플레이트(453)의 내면은 제 1 수직부(311a)의 내측면과 마주본 상태로, 제 5 스크류(456)가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제 7 관통홀(451a)을 관통하여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에 구비된 제 5 스크류홀(313)에 스크류 체결된다. 11A, the side accessory 45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451 and a second side plate 452. The side accessory 45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451 and a second side plate 45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453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while the fifth screw 456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451 7 through the through hole 451a and screwed into the fifth screw hole 313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fixing portion 310. [

이후,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일측으로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거치시키게 되는데,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충돌되지 않도록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로부터 제 3 간격(m1)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unt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by a third distance m1.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를 좌우로 이동시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수평 위치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타측 고정부(310)가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일측 고정부(310)에 장착된 사이드액세서리(450)와 접촉하도록 수평 위치를 조정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B,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in the X-axis direction defined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The fixing unit 310 adjusts the horizontal position so as to contact the side accessory 450 mounted on the one fixing part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가 사이드액세서리(450)의 제 2 및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3, 455)의 각 끝단 사이의 최대거리인 제 2 거리(k2) 보다 좁은 제 4 간격(m2)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면,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일측 고정부(310)에 장착된 사이드액세서리(450)의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의 내면이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타측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된다. The second distance k2 which i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between the respective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side plates 453 and 455 of the side accessory 450,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ide plate 455 of the side accessory 450 mounted on the one fixing part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is positioned at the second spacing m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other fixing portion 310 of the display device 110b.

이때,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스크류(456)의 회전에 의해 사이드액세서리(450)의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와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각각의 제 1 수직부(311a)의 상면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는데,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의 내면과 제 1 수직부(311a)의 상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사이드액세서리(450)의 제 3 사이드플레이트(455)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의 타측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를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일측 고정부(310)를 향해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 간격은 점점 좁아지게 된다. 11C, the first side plate 451 of the side accessory 450 and the first side plate 451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fth screw 456.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45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is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311a, The third side plate 455 pulls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10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toward the first fixing portion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becomes narrower.

즉, 제 5 스크류(456)를 회전시켜 제 1 사이드플레이트(451)와 제 1 수직부(3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by rotating the fifth screw 456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451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원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사이드액세서리(450)를 통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거치시키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de accessory 45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mounted.

또한, 서로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 간격(m1, m2)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간의 충돌 없이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ine-tune the spacing m1, m2 between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110b so that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in Fig. 1) which is the bezel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이를 통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is minimizes the occurrence of image discontinuity.

특히, 사이드액세서리(45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사이드액세서리(450)에 의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손쉽게 사이드액세서리(450)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간격(m1, m2)을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the side accessory 450 is very simple, so that the processing cost by the side accessory 450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a, (m1, m2) can be finely adjusted.

한편, 도 11d ~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 사이간격(m1, m2)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타측 고정부(310)에는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타측 고정부(310)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 3 고정유닛(400)의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타퍼(460)가 위치할 수 있다. 11d to 11e,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distance m1, m2 betwee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figure of the third fixing unit 400 that supports and fixes the other fixing part 3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in the other fixing part 310 located on the other side A stopper 460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topper 460 may be located.

스타퍼(460)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461)으로 이루어지는데, 원통(461)에는 일측에 개구부(463)가 구비되어 원통(461)의 외면으로 돌출된 2개의 날개(465a, 465b)를 서로를 향해 집게 방식으로 누르게 되면, 원통(461)의 개구부(463)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The stopper 460 is formed of a cylinder 46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cylinder 46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463 at one side thereof, When the two protruded vanes 465a and 465b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in a clamping manner, the size of the opening 463 of the cylinder 461 is increased.

이러한 스타퍼(460)는 제 3 고정유닛(400)이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의 길이방향 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면,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 및 제 3 고정유닛(400) 사이 또는 제 2 수직부(311b) 및 제 3 고정유닛(400) 사이의 거리에 맞춰 절단하여, 제 1 수직부(311a) 및 제 3 고정유닛(400) 사이 또는 제 2 수직부(311b) 및 제 3 고정유닛(400) 사이로 수평부(311e)를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When the third fixing unit 400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The first vertical part 311a and the third vertical unit 311a and the third vertical unit 311b and the third vertical unit 400. The first vertical part 311a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31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art 311a and the third fixed unit 400, 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units 400 or between the second vertical portions 311b and the third fixed units 400 so as to surround the horizontal portion 311e.

따라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b) 사이간격(m1, m2)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장치(110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타측 고정부(3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사이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distance m1, m2 between the first display device 11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10b,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By fixing the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can be easily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고정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3 고정유닛(400)이 수평부(311e)를 지지 및 안착하여 벽면(도 9g의 W)에 거치시키게 되므로,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다수개 거치하여 형성할 수 밖에 없다. Meanwhile, the fixing system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including 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system of the display device 110a, 110b, 31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es 110a and 110b and the third fixing unit 400 supports and seats the horizontal portion 311e to form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n the wall surface It is inevitable to form a plurality of multi-panel display devices (100 of FIG. 1)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400)은 피봇(pivot)브라켓(470)을 더욱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으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도, 제 3 고정유닛(40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벽면(도 9g의 W)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ivot bracket 470 and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a or 110b, The display apparatuses 110a and 110b are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9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third fixing unit 400 even if the first fixing unit 311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유닛의 피봇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에 피봇브라켓이 조립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of a third fix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assembled to a fixing part of a display device .

그리고 도 12c는 도 12b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에 조립 체결된 피봇브라켓과 제 3 고정유닛이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And FIG. 12C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vot bracket assembled to a fix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2B and a third fixing unit assembled and fastened.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브라켓(470)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와 조립 및 체결되는 장착부(471)와 장착부(471)로부터 연장되어 제 3 고정유닛(400)에 지지되는 지지부(477)를 포함한다. 12A, the pivot bracket 47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471 to be assembled with and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nd a mounting portion 471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471, And a support portion 477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400.

여기서, 장착부(471)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홈(473)이 구비되며, 고정홈(473)에 연장방향으로 한쌍의 지지단(475a, 475b)이 돌출된다.The mounting portion 471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473 for cover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A pair of support ends 475a and 475b protrude.

한쌍의 지지단(475a, 475b)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 6 스크류홀(472)이 구비되며, 지지단(475a, 475b)에 구비된 제 6 스크류홀(472)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에는 제 3 수직부(311c)까지 관통되는 제 7 스크류홀(미도시)이 구비된다. The pair of support ends 475a and 475b are provided with a sixth screw hole 472 corresponding to the sixth screw hole 472. The sixth screw hole 472 corresponds to the sixth screw hole 472 provided at the support ends 475a and 475b, A seventh screw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f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at the rear surface and penetrating to the third vertical portion 311c.

그리고, 돌출된 지지단(475a, 475b)에 수직하게 원통형상의 지지부(477)가 구비되는데, 지지부(477)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The supporting portion 477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supporting portion 477 has a cylindrical shape.

이러한 피봇브라켓(470)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471)의 고정홈(473)으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끼워져 고정되며, 이때 지지단(475a, 475b)은 고정부(310)의 제 1 수직부(311a)의 상면과 제 3 수직부(311c)의 하면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12B,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473 of the mounting portion 471. At this time, the supporting ends 475a and 475b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art 311a of the fixing part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vertical part 311c are covered.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310)가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와, 제 1 및 제 2 수직부(311a, 311b)에 연결되는 수평부(311e)로만 이루어질 경우, 한쌍의 지지단(475a, 475b)은 제 1 수직부(311a) 또는 제 2 수직부(311b)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311a and 311b and the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311a and 311b The pair of support ends 475a and 475b suppor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or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11b.

따라서, 피봇브라켓(470)은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310)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고정되게 된다. Therefore, the pivot bracket 470 is stably mount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이때, 피봇브라켓(470)의 지지부(477)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477 of the pivot bracket 47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따라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도 9g의 W)에 고정된 제 3 고정유닛(400)의 제 3 가이드홀더(435)의 제 3 가이드홈(435a)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부(310)에 장착 및 고정된 피봇브라켓(470)의 지지부(477)가 안착 및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벽면(도 9g의 W)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12C, the third guide groove 435a of the third guide holder 435 of the third fixing unit 400 fixed to the wall surface (W in Fig. 9G) The support portion 477 of the pivot bracket 470 mounted on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on the backside is sea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also mounted on the wall surface ). ≪ / RTI >

여기서, 이러한 피봇브라켓(470)은 지지부(477)를 중심으로 고정홈(473)이 장착부(471)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피봇브라켓(470)을 고정부(3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편의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The pivot bracket 470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471 with a fixing groove 473 at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portion 477 so that when the pivot bracket 470 is mounted to the fixing portion 31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이때, 피봇브라켓(470)을 통해 벽면(도 9g의 W)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각도 또한 조정할 수 있는데,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봇브라켓(470)의 지지부(477)가 제 3 가이드홀더(435)의 제 3 가이드홈(435a) 내에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경사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of FIG. 9g) through the pivot bracket 470 are also The support portion 477 of the circular pipe-shaped pivot bracket 470 is rotated in the third guide groove 435a of the third guide holder 435 so that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inclined .

디스플레이장치(110)의 경사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clination of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view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more various types of multi-panel display devices (100 of FIG. 1).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10)가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고정유닛(340)과 조립 체결되는데, 제 2 고정유닛(340)의 제 2 가이드홀더(343)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 형상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홈(343a)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가 관통되는 제 5 관통홀(343b)이 구비되어 있다. In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divided into the second The second guide holder 343 of the second fixing unit 340 has a second guide groove 343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And a fifth through hole 343b through which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passes.

이러한 제 2 고정유닛(340)의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제 2 가이드홈(343a)에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안착 및 지지되며,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에는 제 2 가이드홀더(343)에 구비된 제 5 관통홀(343b)에 대응되는 제 8 관통홀(346)이 구비되어 있다.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343a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of the second fixing unit 340, And an eighth through hole 346 corresponding to the fifth through hole 343b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holder 343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

따라서,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는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제 5 관통홀(343b)과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에 구비된 제 8 관통홀(346)을 모두 관통하여 샤프트(345b)의 끝단이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이때 제 2 가이드홀더(34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345b)의 끝단에는 충격완화너트(345c)가 스크류체결되어 구비된다. Therefore,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is formed in the fifth through hole 343b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nd the eighth through hole 346 provid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An end of the shaft 345b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t this time, an impact relieving nut 345c is fixed to an end of the shaft 345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holder 343, Respectively.

이때, 제 2 고정유닛(340) 또한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를 회전시켜 회전방향에 따라 제 2 가이드홀더(343)를 벽면(도 9g의 W)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unit 340 also rotates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to move the second guide holder 343 away from or close to the wall surface (W in FIG. 9G)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display device 110 is finely adjusted in the Z-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drawing.

또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홀더(343)가 생략되고,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가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에 구비된 제 8 관통홀(346)만을 관통하여 조립 체결될 수도 있다. 13B, the second guide holder 343 is omitted and the fourth gap adjusting screw 345 is inserted into the eighth through hole 346 provid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So that it can be assembled.

이때, 제 4 간격조절스크류(345)는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를 벽면(도 9g의 W)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미세 위치 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urth interval adjusting screw 345 moves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away from the wall surface (W in Fig. 9g)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thereby moving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110 The fine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Z-axis direction defined in the draw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310)를 구비하고, 벽면(W)에 고정부(310)와 조립 체결되는 제 3 고정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xing part 31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the back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110,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1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all W by providing the third fixing unit 400 to be assembled with the fixing part 310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를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설치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through each display device 110,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제 3 고정유닛(400)을 통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과 X축 그리고 Z축으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 사이의 베젤영역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display device 11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Y-axis, X-axis, and Z-axis defined in the drawing through the third fixed unit 400, so that the bezel area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of FIG. 1 can be further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the image disconnection phenomenon can be minimized.

특히, 본 발명의 제 3 고정유닛은 사이드액세서리를 통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사이간격을 미세 조절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간의 충돌 없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비표시영역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third fix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de accessory, thereby stably holding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110b can be finely adjusted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the multi-panel display device 100 (FIG. 1) without collision between the neighboring display devices 110a, 110b.

또한, 본 발명의 제 3 고정유닛은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사이간격을 미세 조정하는 과정에서, 타측 고정부에 스타퍼를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 사이의 거리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third fix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may be adjusted by further positioning the stopper in the other fixing part in the process of fine adjustment of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display devices So that it can be adjusted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제 3 고정유닛은 피봇브라켓을 더욱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배면으로 고정부(310)의 수평부(311e)가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도, 제 3 고정유닛(40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a, 110b)를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벽면(도 9g의 W)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ivot bracket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311e of the fixing portion 310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The display devices 110a and 110b can be mounted on the wall surface (W in FIG. 9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third fixing unit 400. In addi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디스플레이장치(113 : 하우징)
310 : 고정부(311a, 311b : 제 1 및 제 2 수직부, 311e : 수평부)
330 : 제 1 고정유닛
331a, 331b, 331c :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
333 : 제 1 가이드홀더(333a : 제 1 가이드홈)
334 : 제 3 관통홀
335 : 제 2 간격조절스크류
337 : 제 3 간격조절스크류(337a : 헤드, 337b : 샤프트 337c : 제 2 너트)
110: display device 113 (housing)
310: fixing portions 311a and 311b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311e: horizontal portion)
330: first fixed unit
331a, 331b, 331c: first to third plates
333: first guide holder (333a: first guide groove)
334: Third through hole
335: second gap adjusting screw
337: third interval adjusting screw (337a: head, 337b: shaft 337c: second nut)

Claims (23)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직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수직 및 수평이동 하는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A fixing unit position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a horizontal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And a first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fixing part, wherein the first guide holder defines a first internal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irst guide holder mov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적어도 2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수직부에는 사이드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웃하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의 제 1 수직부를 잡아 고정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fixing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 side bracket is mounted on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xing pa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ide bracket is connected to a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xing part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 multi-panel display device for holding and fix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 수직부에 조립 및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제 1 간격조절스크류를 통해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그립플레이트와 상기 그립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는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은 제 1 그립단이 상기 그립플레이트와 밀착되는 펼침상태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상면과 밀착되며, 제 2 그립단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접힘상태로 이루어지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de bracket includes a bracket portion to be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a grip portion having a gap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first gap adjusting screw, the grip portion including a grip plate, A grip which is engaged,
The grip has a spread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p plate
And a second grip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a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has a second grip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Lt;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월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주보는 제 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unit includes a wall bracket. The wall bracket includes a first plate fixed to the structure, a second plate facing the first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plate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nd a third plate defining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2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3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thir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원형의 파이프형상이며,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수평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지지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is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the first guide holder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 및 고정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 2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가이드홀더와 상기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4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unit supports and fixes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fixing unit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fixing unit includes a second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fourth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second guide holder and th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향해 회동되어 접히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unit is rotated toward the back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fo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월브라켓모듈과, 월브라켓모듈이 정의한 제 2 내부수납공간으로 위치하는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위치하는 홀더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ed unit includes a wall bracket module, a support bracket positioned in a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defined by the wall bracket module, and a holder guide bracket in which the first guide holder is loca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월브라켓모듈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월플레이트로부터 각각 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는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 그리고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5 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ll bracket module includes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fixed to the structur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vertically bent fo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wall plates, respectively, And a fifth wall plate vertically bent from the first wall plate and connecting the third wall plate and the fourth wall plate,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are provided with grooves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guide holder for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브라켓은 상기 제 3 및 제 4 월플레이트의 내면과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서포트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서포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3 서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서포트플레이트에 구비된 제 1및 제 2 기어홀 중, 상기 제 1 기어홀에는 수용공이 구비된 제 1 스퍼기어가 위치하며, 제 2 기어홀에는 상기 제 1 스퍼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톱니와 맞물리는 제 2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퍼기어가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bracket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 plates, and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plates that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 support plate,
A first spur gear having a receiving hole is disposed in the first gear ho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gear holes provided in the third support plate and a second spur gear disposed in the second gear hole, And a second spur gear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pur gear is engaged with the first spur gea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으로 렌치가 결합되어, 상기 렌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스퍼기어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스퍼기어에 장착된 볼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spur gears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wrench and the height of the bolt mounted on the second spur gear is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ur gear Multi-panel displ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끝단에는 상기 홀더가이드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홀더가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3 서포트플레이트와 평행한 제 1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홀더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는 제 2 및 제 3 홀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홀더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더와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5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lder guide bracket is mounted on an end of the bolt. The holder guide bracket includes a first holder plate parallel to the third support plate, and second and third holders, which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edge of the first holder plate, Plate,
Wherein the first to third holder plates define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Wherein the second holder plate is provided with a fifth gap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guide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홀더플레이트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가이드가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rear guide surrounding the first holder plate and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plate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holder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홀더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상기 렌치를 상기 제 1 스퍼기어의 상기 수용공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프론트가이드가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front guide including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wrench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first spur gear is located outside the third hold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적어도 2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수직부에는 사이드액세서리가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액세서리는 상기 제 1및 제 2 수직부의 상면의 합한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1사이드플레이트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는 제 2 사이드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둔각을 이루도록 일정각 기울어져 하향 절곡되는 제 3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면이 상기 제 1 수직부의 내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수직부의 상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는 내면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웃하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부의 제 1 수직부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를 향해 잡아 당겨 고정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fixing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ide accessory is mounted on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ide accessory is attach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by the first vertical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width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A second side plate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that is inclined at an obtuse angle to the first side plate and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Plat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the first side plate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The inner side of the third sid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so as to pull the second display device toward the first display device Multi-panel displa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면에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3 사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ide plate, the third side plate has an elastic forc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and an end of the third side plate is increased by an elastic force of the third side pla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제 1 수직부는 스크류 체결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screwed togeth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제 1 고정유닛과 상기 제 1 수직부 또는 상기 제 1 고정유닛과 상기 제 2 수직부 사이로 스타퍼가 끼움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has a multi-panel display in which a stapl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or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퍼는 상기 수평부의 형상에 대응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으로 돌출된 2개의 날개를 서로를 향해 누르게 되면, 상기 개구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the size of the opening is enlarged when the two wing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평부에는 지지부가 상기 수평부와 수직하게 피봇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구조물에 거치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loca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pivot bracket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ortion,
The first fixing unit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브라켓은 상기 수평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에 연장방향으로 상기 제 1 수직부 또는 상기 제 2 수직부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단이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pivot bracket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for enclos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supporting ends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r the second vertical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길이방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평부에 제 8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 8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 4 간격조절스크류가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ighth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ourth gap adjust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eighth through hole and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structure.
KR1020180026178A 2017-07-18 2018-03-06 Multi-paneldisplay device KR1024811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0967 2017-07-18
KR1020170090967 2017-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35A true KR20190009235A (en) 2019-01-28
KR102481173B1 KR102481173B1 (en) 2022-12-26

Family

ID=6526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78A KR102481173B1 (en) 2017-07-18 2018-03-06 Multi-panel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17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5867A (en) * 2020-04-22 2020-08-07 安徽连营电子科技有限公司 Super large screen liquid crystal business display module based on Mini L ED backlight
US20210010631A1 (en) * 2019-07-12 2021-01-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djustment device, adjustment assembly and adjustment method for splicing display screen
WO2024048950A1 (en) * 2022-09-02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916A (en)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l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35541A (en)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creen angle of an attachable television
KR200465713Y1 (en) * 2012-03-20 2013-03-12 (주) 에이치케이씨앤씨 Fix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KR101621892B1 (en) * 2014-12-05 2016-05-17 주식회사 제노시스 The monitor fixing braket to show a 3D graph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916A (en)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l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35541A (en)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creen angle of an attachable television
KR200465713Y1 (en) * 2012-03-20 2013-03-12 (주) 에이치케이씨앤씨 Fix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KR101621892B1 (en) * 2014-12-05 2016-05-17 주식회사 제노시스 The monitor fixing braket to show a 3D graphic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10631A1 (en) * 2019-07-12 2021-01-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djustment device, adjustment assembly and adjustment method for splicing display screen
US11746948B2 (en) * 2019-07-12 2023-09-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djustment device, adjustment assembly and adjustment method for splicing display screen
CN111505867A (en) * 2020-04-22 2020-08-07 安徽连营电子科技有限公司 Super large screen liquid crystal business display module based on Mini L ED backlight
CN111505867B (en) * 2020-04-22 2022-11-22 安徽连营电子科技有限公司 Super large screen liquid crystal business display module based on MiniLED backlight source
WO2024048950A1 (en) * 2022-09-02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173B1 (en)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4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EP3343047B1 (en) Display device
KR20190009235A (en) Multi-paneldisplay device
US20110096486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76132B1 (en)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US7830468B2 (en) Mounting frame combination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09135B1 (en) plasma display device
TWI528084B (en) Cover botto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881010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EP2682839A2 (en) Display apparatus
KR102216100B1 (en) Display device
KR100869415B1 (en) Plasma display device
US20070139872A1 (en) Display device assembly
KR20190078995A (en) Multi Display Device
KR10195083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US20040228111A1 (en)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90069186A (en) Back Co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62773B1 (en) Variable display device
US11714305B2 (en) Display apparatus
JP2010015098A (en) Video display device
WO2021020595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20180092660A (en) Display device
KR102217995B1 (en) Variable display device
KR100444522B1 (en) Frame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130064248A (en) Stand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