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186A -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186A
KR20190009186A KR1020170091113A KR20170091113A KR20190009186A KR 20190009186 A KR20190009186 A KR 20190009186A KR 1020170091113 A KR1020170091113 A KR 1020170091113A KR 20170091113 A KR20170091113 A KR 20170091113A KR 20190009186 A KR20190009186 A KR 2019000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user space
user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영
Original Assignee
권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도영 filed Critical 권도영
Priority to KR102017009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186A/ko
Publication of KR2019000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은,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입력된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조명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추천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접수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조명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전문가나 판매자의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제품 선택을 이룰 수 있고, 조명 제품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제품 선택을 도울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CUSTOMIZED SELLING METHOD AND SYSTEM OF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한 조명 제품 추천을 통하여 조명 제품 선택에 도움을 주고 조명 제품 전자상거래를 촉진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모바일 단말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사고 파는 전자상거래의 성장속도가 매우 가파르다. 과거 국내 시장에서만 이루어지던 전자상거래가 최근에는 해외 시장까지 확장되면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에 의해 거래되는 상품은 일용품, 의료용품, 산업용품에서 미술품, 골동품 등에 이르기까지 한계가 없다.
현재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는 상품의 종류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거래 방식을 이용한다. 즉, 구매자가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된 제품 리스트를 확인한 뒤 제품 선택과 결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제품의 판매자로부터 제품이 배달되는 방식으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진다.
다만, 특정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상품의 디자인이나 첨부된 제품 설명만으로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조명 제품이다. 조명 제품을 거래할 때에도 일반적인 방식대로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조명 제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과 결제를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조명 제품 거래 방식은 구매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고, 거래가 완료된 후에도 교환이나 반품 요청이 빈번했기에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불편함이 있었다.
조명 제품의 특성상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된 제품의 디자인만으로는 해당 제품이 구매자의 실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의 주변 공간과의 어울림이나 분위기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또한, 구매자는 조명 제품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방의 용도에 따른 적절한 조도 범위나 색 온도를 알 수 없고,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기재된 제품 설명을 확인해도 해당 조도 범위가 실제로 어느 정도의 밝기를 갖는지, 해당 색 온도가 어떤 색감을 나타내는지, 해당 소비전력이 얼마만큼의 전기 절약을 이루는지, 혹은 해당 제품이 구매자 사용 환경에 호환될 수 있는지의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명 제품의 전자상거래는 구매자에게 조명 제품의 디자인이나 제품 설명만을 제시하기보다는 구매자의 실제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의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9591호 (2001.09.28 공개)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1817호 (2001.10.23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요구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제품을 거래함에 있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의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전문가나 판매자의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제품 선택을 이룰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제품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제품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은,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입력된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조명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추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접수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면적이나 형상, 천정의 높이, 가구의 배치, 가구의 크기나 형상, 조명의 위치나 모양, 조명의 조도나 색 온도, 창문의 위치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을 3차원 모델로 렌더링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상기 조명 추천 정보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추천 정보가 반영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공간 내 복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외부 촬영 장치 또는 광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단계는, 조명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 각 판매자의 판매 정보 및 견적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상기 조명 추천 정보에 기초한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고 있는 사용자 공간 이미지에 상기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오버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달받아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달받아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추천 정보 및 제2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조명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 요청이 이루어지면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획득하는 광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 정보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광 센싱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 및 상기 광 센싱 모듈은 상기 사용자 공간 내 복수의 지점에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을 3차원 모델로 렌더링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을 3차원 모델로 렌더링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명 추천 정보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반영하고, 상기 조명 추천 정보가 반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은, 사용자 공간별 조명 제품과 관련한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외부 촬영 장치; 및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획득하는 외부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광 정보는 상기 서버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은 조명 제품을 거래함에 있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의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조명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전문가, 판매자 또는 설치자의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제품 선택을 이룰 수 있고, 조명 제품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제품 선택을 도울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도시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한 가지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주체로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정의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배송 이력, 배송 횟수를 비롯하여 판매자 정보, 판매 정보 등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데스크탑(desktop),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비롯하여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면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스마트TV, 스마트 냉장고 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유선 통신뿐만 아니라 인터넷,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UWB, RFID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말(3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주로 조명 전문가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300)은 빅데이터DB를 구비함으로써, 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단말(4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또 하나의 주체로서, 주로 조명 판매자나 설치자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제품 가격, 제품 상세, 설치 환경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은 빅데이터DB를 구비함으로써, 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은 먼저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여기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용도, 면적, 형상, 천정의 높이, 가구의 배치, 가구의 크기, 형상, 조명의 위치, 모양, 조명의 조도, 색 온도, 창문의 위치, 크기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조명 제품 구매 사이트나 조명 제품 구매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도 3과 같은 GUI를 통해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사용자 공간 정보로서 방의 용도, 방의 크기, 천정 높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가구의 배치, 가구의 크기, 형상, 조명의 위치, 모양, 조명의 조도, 색 온도, 창문의 위치, 크기 등을 더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사용자가 사용자 공간의 평면도를 업로드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사용자 공간을 3D 촬영하거나, 파노라마 촬영하거나, 동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이미지라는 용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와 무빙 이미지(moving image)를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사용자 공간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S120). 조명 전문가에 의한 조명 추천이 불필요하다면, 제2 단말(400)에만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고, 판매 전문가에 의한 조명 추천이 불필요하다면, 제1 단말(300)에만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양자에 의한 조명 추천이 필요하다면 제1 단말(300)과 제2 단말(400) 모두에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공간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제1 단말(300)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공간 정보가 침실, 5평, 1m×1m의 창문(서향)의 정보를 포함한다면,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나 플로어 스탠드나 2700K 부근의 전구색 조명을, 주방이나 공부방이라면 눈의 피로를 덜 수 있는 5000K의 주백색 조명을 추천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에서는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 디자인, 설치 정보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나 디자인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한다(S130).
서버(100)는 수집한 조명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S140), 구매자의 조명 선택을 돕는다. 이때, 서버(100)는 조명 추천 정보 외에도 조명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판매자 리스트 등), 설치자 정보(설치자 리스트 등), 각 판매자의 판매 정보(할인 여부 등), 각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서 제시하는 견적서와 같은 조명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100)에 의하여 전송된 제1 단말(300)의 조명 추천 정보와 제2 단말(400)의 조명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는 어떤 조명 제품이 구매자의 실제 공간에 적합할지를 판단할 수 있고, 조명 제품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조명 제품의 구매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면,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판매자 또는 설치자(예를 들어, 제2 단말(400))에 전달하며(S150), 결제가 이루어지면 판매자에 의한 조명 제품 배달 또는 설치자에 의한 제품 설치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은 먼저 서버(200)가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다(S210).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계측된 조도, 색 온도, 광량, 플리커링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용도, 면적, 형상, 천정의 높이, 가구의 배치, 가구의 크기, 형상, 조명의 위치, 모양, 창문의 위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공간 이미지는 스틸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고, 무빙 이미지나 입체 영상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이나 광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외부 광 센서(500) 및 외부 촬영 장치(6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미지 센싱 모듈 및 광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외부 광 센서(500)나 외부 촬영 장치(600)로부터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서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 내 한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두 지점 이상의 복수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고,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한다(S220). 이때,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라디오서티(radiosity) 등의 다양한 렌더링(ren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서버(100)의 3D 모델링은 렌더링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3D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2차원 스틸 이미지에 대하여 광원, 위치, 색상 등의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실제 사용자 공간과 흡사한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이 생성되면, 서버(100)는 생성된 3D 모델을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S230).
사용자 공간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제1 단말(300)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공간 정보가 침실, 5평, 1m×1m의 창문(서향)의 정보를 포함한다면,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나 플로어 스탠드나 2700K 부근의 전구색 조명을, 주방이나 공부방이라면 눈의 피로를 덜 수 있는 5000K의 주백색 조명을 추천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에서는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 디자인, 설치 정보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나 디자인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한다(S240).
서버(100)는 수집한 조명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공간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서버(10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조명 추천 정보를, 앞서 생성한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반영한다(S250).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를 앞서 생성한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배치시키고, 170룩스의 조명 효과를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후, 추천 정보가 반영된 3D 모델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어(S260), 구매자의 조명 선택을 돕는다. 구매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공간의 시뮬레이션 이미지, 다시 말해, 추천 정보가 반영된 3D 모델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한 조명 제품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조명 추천 정보 외에도 조명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판매자 리스트 등), 설치자 정보(설치자 리스트 등), 각 판매자의 판매 정보(할인 여부 등), 각 판매자에서 제시하는 견적서와 같은 조명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위의 방식으로 구매자는 실제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조명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면,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판매자 또는 설치자(예를 들어, 제2 단말(400))에 전달하며(S270), 결제가 이루어지면 판매자에 의한 조명 제품 배달 또는 설치자에 의한 제품 설치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 내 한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두 지점 이상의 복수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지점에서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 획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이나 광 센싱 모듈은 하나의 지점에서만이 아니라 복수의 지점(P1,P2,P3)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점(P1)은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지점(P2 또는 P3)도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은 다시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가 조합되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세화한다. 상세화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서버(100)에서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고,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의 추천 정보를 반영하여 3D 모델을 리모델링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모두 3D 모델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지점(P1 내지 P3) 중 하나의 지점을 선택하여, 해당 지점의 시점에서 사용자 공간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추천된 조도 또는 디자인의 조명이 설치된 사용자 공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공간 내에서는 가구의 크기, 배치, 창문이나 조명의 배치 등에 따라 위치에 따른 조도 차이가 심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이미지뿐만 아니라 조도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각 지점에서의 조도를 확인하여 더욱 면밀한 검토(혹은 빅데이터 분석)를 수행할 수 있고, 구매자의 실제 환경에 가장 적합한 조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의 조도 측정은 구매자의 구매 선택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제3 실시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은 먼저 서버(200)가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다(S310).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계측된 조도, 색 온도, 광량, 플리커링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공간의 용도, 면적, 형상, 천정의 높이, 가구의 배치, 가구의 크기, 형상, 조명의 위치, 모양, 창문의 위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공간 이미지는 스틸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고, 무빙 이미지나 입체 영상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이나 광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외부 광 센서(500) 및 외부 촬영 장치(6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미지 센싱 모듈 및 광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외부 광 센서(500)나 외부 촬영 장치(600)로부터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서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 내 한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두 지점 이상의 복수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한다(S320). 이때,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라디오서티(radiosity) 등의 다양한 렌더링(ren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서버(100)의 3D 모델링은 렌더링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3D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2차원 스틸 이미지에 대하여 광원, 위치, 색상 등의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실제 사용자 공간과 흡사한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이 생성되면, 서버(100)는 생성된 3D 모델을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S330).
사용자 공간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제1 단말(300)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조도, 색 온도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공간 정보가 침실, 5평, 1m×1m의 창문(서향)의 정보를 포함한다면,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나 플로어 스탠드나 2700K 부근의 전구색 조명을, 주방이나 공부방이라면 눈의 피로를 덜 수 있는 5000K의 주백색 조명을 추천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에서는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사용자 공간 분석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 디자인, 설치 정보 등을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직접적인 조명 추천과 달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천 정보 제공은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조명의 크기나 디자인 등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해내고, 검출된 데이터를 조명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한다(S340).
서버(100)는 수집된 조명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을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아이콘 등)와 배치 포인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오브젝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350). 아울러, 서버(100)는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해당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하도록 한다(S36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사용자 공간에 대한 이미지가 센싱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오브젝트를 적절한 위치에 오버랩시켜 표시하게끔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 공간을 촬영하면서 실시간으로 조명 제품의 설치 후 모습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조명 선택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조명 추천 정보 외에도 조명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판매자 리스트 등), 각 판매자의 판매 정보(할인 여부 등), 설치자 정보(설치자 리스트 등), 각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서 제시하는 견적서와 같은 조명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위의 방식으로 구매자는 실제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조명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면,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판매자(예를 들어, 제2 단말(400))에 전달하며(S370),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에 의한 조명 제품 배달 또는 설치자에 의한 제품 설치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 내 한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두 지점 이상의 복수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지점에서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 획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이나 광 센싱 모듈은 하나의 지점에서만이 아니라 복수의 지점(P1,P2,P3)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점(P1)은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지점(P2 또는 P3)도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은 다시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가 조합되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세화한다. 상세화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서버(100)에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의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모두 3D 모델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지점(P1 내지 P3) 중 하나의 지점에 서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한 오브젝트 이미지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결국, 추천된 조도 또는 디자인의 조명이 설치된 사용자 공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공간 내에서는 가구의 크기, 배치, 창문이나 조명의 배치 등에 따라 위치에 따른 조도 차이가 심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이미지뿐만 아니라 조도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각 지점에서의 조도를 확인하여 더욱 면밀한 검토(혹은 빅데이터 분석)를 수행할 수 있고, 구매자의 실제 환경에 가장 적합한 조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의 조도 측정은 구매자의 구매 선택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100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을 구성으로 한다.
서버(100)는 CPU(110), 3D 렌더링 모듈(120), 저장 모듈(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 모듈(210), 광 센싱 모듈(220), 이미지 센싱 모듈(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의 통신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모듈(24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서버(100)의 통신 모듈(140)과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모듈(240) 사이의 통신은 인터넷,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UWB, RFID 등의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의 저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배송 이력, 배송 횟수를 비롯하여 판매자 정보, 설치자 정보, 판매 정보 등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저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 정보,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렌더링된 3D 모델, 조명 추천 정보를 반영한 새로운 3D 모델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0)의 3D 렌더링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3D 렌더링 모듈(120)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라디오서티(radiosity) 등의 다양한 렌더링(ren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구성을 3D 렌더링 모듈(120)로 칭했지만, 렌더링 기술의 이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3D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100)의 CPU(110)는 3D 렌더링 모듈(120), 저장 모듈(130), 통신 모듈(140) 등 서버(100) 내에 구비된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 단말(200)의 광 센싱 모듈(220)은 조도, 색 온도, 광량, 플리커링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듈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 단말(200)로 흔히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에 내장된 광 센서(조도 센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미지 센싱 모듈(230)은 사용자 공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광학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200)로 흔히 이용되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제1 단말(3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주로 조명 전문가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300)은 빅데이터DB(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제품에 대한 추천 요청이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조명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단말(4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또 하나의 주체로서, 주로 조명 판매자나 설치자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제품 가격, 제품 상세, 설치 환경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은 빅데이터DB(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제품에 대한 추천 요청이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는 사용자 공간 내 한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두 지점 이상의 복수 지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지점에서의 이미지 정보 및 광 정보 획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230) 및 광 센싱 모듈(220)은 하나의 지점에서만이 아니라 복수의 지점(P1,P2,P3)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점(P1)은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지점(P2 또는 P3)도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은 다시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가 조합되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세화한다. 상세화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서버(100)에서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거나, 증강현실을 위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고,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의 추천 정보를 반영하여 3D 모델을 리모델링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모두 3D 모델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지점(P1 내지 P3) 중 하나의 지점을 선택하여, 해당 지점의 시점에서 사용자 공간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추천된 조도 또는 디자인의 조명이 설치된 사용자 공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공간 내에서는 가구의 크기, 배치, 창문이나 조명의 배치 등에 따라 위치에 따른 조도 차이가 심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이미지뿐만 아니라 조도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각 지점에서의 조도를 확인하여 더욱 면밀한 검토(혹은 빅데이터 분석)를 수행할 수 있고, 구매자의 실제 환경에 가장 적합한 조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의 조도 측정은 구매자의 구매 선택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과 행위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광 센싱 모듈(220) 및 이미지 센싱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제1 단말(300)에서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제2 단말(400)에서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별도의 처리 없이 제1 단말(300)과 제2 단말(400)에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지만,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한 3D 모델을 생성하여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 단말(300)은 서버(100)에 의하여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조명 관련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2 단말(400)은 서버(100)에 의하여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조명 관련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사용자 공간별 조명 제품과 관련한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모듈(미도시)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를 검색 또는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300)과 제2 단말(400)은 은 빅데이터 분석 모듈(미도시)에 의한 빅데이터 검색 및 분석을 통하여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품 추천 요청 신호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면 빅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조명 제품 관련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 생성된 제1 추천 정보 및 제2 추천 정보는 서버(100)로 전달되고,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와 제2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와 제2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생성된 3D 모델을 리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를 앞서 생성한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배치시키고, 170룩스의 조명 효과를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반영시킬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 및/또는 제2 추천 정보를 반영한 3D 모델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3D 모델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서버(100)는 서버(100)는 수집된 제1 추천 정보 및/또는 제2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을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아이콘 등)와 배치 포인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오브젝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를 설정된 위치에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매자는 실제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조명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구매 요청 정보를 판매자 또는 설치자(예를 들어, 제2 단말(400))에 전달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에 의한 조명 제품 배달 또는 설치자에 의한 제품 설치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20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200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제1 단말(300), 제2 단말(400), 외부 광 센서(500) 및 외부 촬영 장치(600)를 구성으로 한다.
서버(100)는 CPU(110), 3D 렌더링 모듈(120), 저장 모듈(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 모듈(21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의 통신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모듈(24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서버(100)의 통신 모듈(140)과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모듈(240) 사이의 통신은 인터넷,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UWB, RFID 등의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의 저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배송 이력, 배송 횟수를 비롯하여 판매자 정보, 설치자 정보, 판매 정보 등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저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 정보,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렌더링된 3D 모델, 조명 추천 정보를 반영한 새로운 3D 모델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0)의 3D 렌더링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3D 렌더링 모듈(120)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라디오서티(radiosity) 등의 다양한 렌더링(ren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을 3D 모델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구성을 3D 렌더링 모듈(120)로 칭했지만, 렌더링 기술의 이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3D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100)의 CPU(110)는 3D 렌더링 모듈(120), 저장 모듈(130), 통신 모듈(140) 등 서버(100) 내에 구비된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부 광 센서(500)는 조도, 색 온도, 광량, 플리커링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가지며, 획득된 광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지만,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100)에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외부 촬영 장치(600)는 사용자 공간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부 촬영 장치(600)는 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바퀴 등의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이동하면서 사용자 공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외부 촬영 장치(600)는 스틸 이미지, 무빙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촬영 장치(600)는 360°이미지를 촬영하거나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한 가지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광 센서(500) 및 외부 촬영 장치(600)는 한 지점에서만 아니라 복수의 지점(P1,P2,P3)에서 사용자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지점에서 획득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도 11과 같이 하나의 지점(P1)은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지점(P2 또는 P3)도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A1 내지 A8)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는 더욱 상세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은 다시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광 정보가 조합되어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세화한다. 상세화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서버(100)에서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거나, 증강현실을 위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공간을 렌더링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고,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의 추천 정보를 반영하여 3D 모델을 리모델링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모두 3D 모델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지점(P1 내지 P3) 중 하나의 지점을 선택하여, 해당 지점의 시점에서 사용자 공간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추천된 조도 또는 디자인의 조명이 설치된 사용자 공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공간 내에서는 가구의 크기, 배치, 창문이나 조명의 배치 등에 따라 위치에 따른 조도 차이가 심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 이미지뿐만 아니라 조도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후술할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각 지점에서의 조도를 확인하여 더욱 면밀한 검토(혹은 빅데이터 분석)를 수행할 수 있고, 구매자의 실제 환경에 가장 적합한 조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점(P1 내지 P3)에서의 조도 측정은 구매자의 구매 선택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제1 단말(3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주로 조명 전문가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300)은 빅데이터DB(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제품에 대한 추천 요청이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조명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단말(400)은 조명 관련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또 하나의 주체로서, 주로 조명 판매자나 설치자에 의한 추천 정보(예를 들어, 제품 가격, 제품 상세, 설치 환경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조명 관련 판매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은 빅데이터DB(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제품에 대한 추천 요청이 수신되면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과 행위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외부 광 센서(500) 및 외부 촬영 장치(6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공간 정보는 제1 단말(300)에서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제2 단말(400)에서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별도의 처리 없이 제1 단말(300)과 제2 단말(400)에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지만,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한 3D 모델을 생성하여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 단말(300)은 서버(100)에 의하여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조명 관련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2 단말(400)은 서버(100)에 의하여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조명 관련 판매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공간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사용자 공간별 조명 제품과 관련한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모듈(미도시)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를 검색 또는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300)과 제2 단말(400)은 은 빅데이터 분석 모듈(미도시)에 의한 빅데이터 검색 및 분석을 통하여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품 추천 요청 신호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면 빅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조명 제품 관련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DB검색, 처리,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적절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로부터 생성된 제1 추천 정보 및 제2 추천 정보는 서버(100)로 전달되고,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와 제2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와 제2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생성된 3D 모델을 리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를 앞서 생성한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배치시키고, 170룩스의 조명 효과를 사용자 공간의 3D 모델에 반영시킬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추천 정보 및/또는 제2 추천 정보를 반영한 3D 모델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3D 모델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서버(100)는 서버(100)는 수집된 제1 추천 정보 및/또는 제2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을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하여 추천된 150∼30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와 제2 단말(400)에 의하여 추천된 필립스(philips) 제품을 조합하여, 필립스에서 제조된 170룩스의 테이블 스탠드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아이콘 등)와 배치 포인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오브젝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를 설정된 위치에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매자는 실제 공간에 적합한 조명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조명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구매 요청 정보를 판매자(예를 들어, 제2 단말(400))에 전달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에 의한 조명 제품 배달 또는 설치자에 의한 제품 설치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전문가, 판매자 또는 설치자의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제품 선택을 이룰 수 있고, 조명 제품이 실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제품 선택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서버
200‥‥‥‥‥‥‥‥‥‥사용자 단말
300‥‥‥‥‥‥‥‥‥‥제1 단말
400‥‥‥‥‥‥‥‥‥‥제2 단말
500‥‥‥‥‥‥‥‥‥‥외부 광 센서
600‥‥‥‥‥‥‥‥‥‥외부 촬영 장치

Claims (5)

  1.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입력된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조명 추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조명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추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명 제품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접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을 3차원 모델로 렌더링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조명 제품 판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상기 조명 추천 정보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추천 정보가 반영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제품 판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상기 조명 추천 정보에 기초한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고 있는 사용자 공간 이미지에 상기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오버랩시키는 조명 제품 판매 방법.
  4.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달받아 제1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전달받아 제2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공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추천 정보 및 제2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조명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 요청이 이루어지면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획득하는 광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공간 정보 정보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광 센싱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을 3차원 모델로 렌더링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외부 촬영 장치; 및
    상기 사용자 공간의 광 정보를 획득하는 외부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광 정보는 상기 서버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되는 조명 제품 판매 시스템.
KR1020170091113A 2017-07-18 2017-07-18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9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13A KR20190009186A (ko) 2017-07-18 2017-07-18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13A KR20190009186A (ko) 2017-07-18 2017-07-18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86A true KR20190009186A (ko) 2019-01-28

Family

ID=6526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13A KR20190009186A (ko) 2017-07-18 2017-07-18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1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965A (ko) * 2020-04-02 2021-10-13 김경만 조명장치 판매 시스템
KR20220086308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게릴라즈 숙박시설 리모델링 사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422B1 (ko) * 2022-09-07 2023-06-01 에이엠에이스페이스 주식회사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조명 추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965A (ko) * 2020-04-02 2021-10-13 김경만 조명장치 판매 시스템
KR20220086308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게릴라즈 숙박시설 리모델링 사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422B1 (ko) * 2022-09-07 2023-06-01 에이엠에이스페이스 주식회사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조명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145B2 (en) In-store product detection system
US11544341B2 (en) Social shopping experience utilizing interactive mirror and polling of target audience members identified by a relationship with product information about an item being worn by a user
US20210256463A1 (en) Automatic location based discovery of extended inventory
KR101852581B1 (ko) 이미지 평가 기법
US1107464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ing an augmented environment with a companion
US20190066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fittings
US20150058142A1 (en) Store-integrated tablet
KR20190009186A (ko) 사용자 맞춤형 조명 제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2613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잡지 형태의 제품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28762A (ko) 소비자의 평가 및 니즈를 제품 개발에 반영하도록 하는 온디맨드 플랫폼 서비스 방법
TWM571537U (zh) Interactive virtual shopping sim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