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160A -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160A
KR20190009160A KR1020170091048A KR20170091048A KR20190009160A KR 20190009160 A KR20190009160 A KR 20190009160A KR 1020170091048 A KR1020170091048 A KR 1020170091048A KR 20170091048 A KR20170091048 A KR 20170091048A KR 20190009160 A KR20190009160 A KR 2019000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scara
pearlite
eye makeup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160A/ko
Publication of KR2019000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면,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공함으로써, 느린 건조속도, 유화 안정도 및 눈 밑 번짐을 개선함으로서 컬링감 등 화장 효과를 높이고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되어 눈썹 형태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눈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마스카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볼륨력, 컬링력, 롱래쉬력, 워터프루프 등의 기능을 부여 하는 것과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루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시 부담감이 없으며,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적고,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이와 같은 마스카라는 제형에 따라 유중수형, 수중유형이 있는 유화형과 분산제형으로 구분되고, 분산제형은 오일에 안료 및 필름형성제를 분산시킨 유분산 타입이 있다. 이중에서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수중유형 마스카라가 주를 이루어 개발되고 있다.
수중유형 마스카라는 수분, 땀, 눈물 등에 지워지기 쉽고, 또 눈 주위의 피지 성분이나 다른 화장료의 유분에 도포된 마스카라의 내용물이 번지게 되고, 시간이 지속되면 눈의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결점이 있다.
유중수형 마스카라는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건조가 느려 오래 발라도 균일하게 발리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가 느리기 때문에 화장 효과를 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피지에 의한 눈 밑 번짐 현상이 심한 단점이 있다.
수중유형, 유중수형 모두 오일상과 수분상의 유화를 통해 제형이 완성 되기에 제형의 유화제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유화제가 부족할 시에는 제형이 깨지며 안정도에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볼륨력 및 농도 조절을 위하여 체질안료들을 사용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많아진 안료량 때문에 가루날림이 심해질 수 있고, 또한 땀, 눈물, 및 유분에 의한 번짐이 더욱 심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유화 시 안정하며 경시 변화가 적고, 번짐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64777호.
일 양상은 건조속도가 향상되고, 유화 시 안정도가 높아 경시 변화가 적으면서, 컬 유지력이 우수하며, 유분에 의한 눈 밑 번짐이 적은,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펄라이트를 포함하여 유화 시 안정도가 높아 경시 변화가 적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펄라이트를 포함하여 컬 유지력이 우수하며, 유분에 의한 눈 밑 번짐이 적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용어, "체질안료(extender pigment)"란 안료의 제조에 있어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배합하는 무채색 안료를 의미할 수 있다.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인 진주광택안료(펄) 및 색소와는 구별될 수 있다.
용어, "파우더 체질안료"란 파우더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희석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색감, 감촉 또는 질감 등을 부여하기 위해 화장료에 첨가하는 체질안료를 의미할 수 있다. 파우더 체질안료는 파우더 형태의 필러일 수 있다. 기존 화장료에는 파우더 체질안료로서 탈크(Talc), 마이카(Mica), 다공성 실리카(Silica)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기존에 사용 되었던 파우더들의 경우 기본적인 흡유율이 낮고 크기가 대체로 큰 파우더인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눈썹 또는 속눈썹에 바르고 나서 피부의 피지 성분이나 땀 등에 쉽게 번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기본적인 비중이 높아 속눈썹 컬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들이 나타났다.
그러나,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체질안료로서 펄라이트, 구체적으로 펄라이트 파우더를 포함한다. 흡유율이 높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펄라이트 파우더를 수중유형 제형에 적용함으로써 유화 시 안정도가 높고, 컬 유지력이 향상되고, 눈 밑 번짐 현상을 감소시킨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펄라이트 이외의 다른 체질안료의 포함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펄라이트의 유효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체질안료, 예를 들어 탈크, 마이카, 다공성 실리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펄라이트(Perlite)"는 화산 작용으로 생긴 진주암을 가열, 팽창시켜 제조한 다공질체를 의미할 수 있다. 펄라이트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는 펄라이트를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거나 제조사로부터 구매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 파우더는, 화장료 조성물이 건조되었을 때 안정적이면서 컬 유지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펄라이트 0.01중량% 내지 20.0중량%, 0.01중량% 내지 15.0중량%, 0.01중량% 내지 10.0중량%, 0.1중량% 내지 10.0중량%, 0.5중량% 내지 10.0중량%, 1.0중량% 내지 10.0중량%, 0.01중량% 내지 7.0중량%, 0.1중량% 내지 7.0중량%, 0.5중량% 내지 7.0중량%, 1.0중량% 내지 7.0중량%, 0.01중량% 내지 5.0중량%, 0.1중량% 내지 5.0중량%, 0.5중량% 내지 5.0중량%, 1.0중량% 내지 5.0중량%, 0.01중량% 내지 4.5중량%, 0.1중량% 내지 4.5중량%, 0.5중량% 내지 4.5중량%, 1.0중량% 내지 4.5중량%, 0.01중량% 내지 4.0중량%, 0.1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0.5중량%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펄라이트의 양이 적어 펄라이트 첨가에 따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가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 에멀젼에 펄라이트 파우더가 포화되어 조성물이 거칠고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라이트가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 펄라이트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건조속도는 빠른 대신 발림성, 매끄러움, 컬링력, 눈 밑 번짐, 내수성 등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는 평균입경이 15 내지 30 ㎛, 15 내지 25 ㎛, 15 내지 20 ㎛, 20 내지 30 ㎛, 20 내지 25 ㎛, 또는 25 내지 30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펄라이트의 평균입경이 15㎛ 미만인 경우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빛의 굴절이 약해지면서 오히려 투명한 느낌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도의 변화도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펄라이트의 평균입경이 30㎛ 초과일 경우 입자가 너무 커서 화장 시 지저분해 보일 수 있고, 가루처럼 떨어 질 수 있다.
용어, "평균입경(D50)"은 입도 분포에서 누적 체적이 50 부피%에 해당하는 입자의 지름(직경)을 말하며, 레이저식 입도 분포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부피 기준의 평균 입경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인 것일 수 있다.
용어, "수중유형(oil-in-water: O/W) 에멀젼"은 수성상에 액적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연속적인 수성상 및 지방상을 함유하는 임의의 육안상 균질인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연속상인 수상에 유상이 분산된 수중유형 에멀젼인 것일 수 있다. 기존의 수중유형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속도가 느리고 눈 밑 번짐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일 구체에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펄라이트를 포함하여 건조속도가 빠르고 유분에 의한 눈 밑 번짐이 적어 수중유형 제형의 단점을 보완, 개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상 성분 20중량% 내지 50중량%, 20중량% 내지 40중량%, 25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3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유상 성분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수중유형의 제형에서 유중수형의 제형으로 넘어가게 되어 제형 자체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50중량% 이하에서 유상 성분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으로서 왁스, 유화제, 비수용성 점증제, 안료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의 유상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왁스, 유화제, 비수용성 점증제, 안료 등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공지된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비즈 왁스(bees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라놀린 왁스(lanolin wax),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설탕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왁스 5중량% 내지 20중량%, 5중량% 내지 15중량%, 5중량% 내지 13중량%, 7중량% 내지 13중량%, 또는 7중량% 내지 1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가 8 내지 18인 것일 수 있다. HLB 값은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HLB 1.5 내지 3의 유화제는 소포제로, HLB 4 내지 6의 유화제는 유중수형(W/O) 유화제로, HLB 7 내지 9의 유화제는 습윤제로, HLB 8 내지 18은 수중유형(O/W) 유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유화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리세릴 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비수용성 점증제는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비수용성 점증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진주광택안료, 고분자안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상 성분 50중량% 내지 80중량%, 60중량% 내지 80중량%, 60중량% 내지 75중량%, 65중량% 내지 80중량%, 또는 65중량% 내지 7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상 성분이 50중량% 미만일 경우, 수중유형의 제형이 유중수형의 제형으로 변경되어 제형 자체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으로서 피막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에멀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피막형성제 15중량% 내지 30중량%, 15중량% 내지 25중량%, 20중량% 내지 30중량%, 또는 20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의 제형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및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른 활성제, 또는 착색제 등과 함께 사용되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에서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생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에멀젼의 제형으로서, 유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호모믹서, 교반기 등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공함으로써, 수중유형 제형의 단점인 느린 건조속도를 개선하고, 기존 체질안료의 문제점인 유화 안정도 및 눈 밑 번짐을 개선함으로서 컬링감 등 화장 효과를 높이고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마스카라의 제조
펄라이트, 탈크, 마이카, 실리카 등과 같은 체질안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이때 펄라이트는 평균입경이 15 내지 30 ㎛인 펄라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내었다.
No.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 카르나우바 왁스 2.0 2.0 2.0 2.0 2.0
2 비즈 왁스 7.0 7.0 7.0 7.0 7.0
3 스테아린산 3.2 3.2 3.2 3.2 3.2
4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3.0 3.0 3.0 3.0 3.0
5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3.0 3.0 3.0 3.0 3.0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0 2.0 2.0 2.0 2.0
7 흑색산화철 (CI 77499) 7.0 7.0 7.0 7.0 7.0
8 펄라이트(Perlite) 2.0 - - - -
9 탈크(Talc) - 2.0 - - -
10 마이카(Mica) - - 2.0 - -
11 실리카(Silica, 다공성) - - - 2.0 -
12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2 0.2 0.2 0.2 0.2
13 아라비아고무 2.0 2.0 2.0 2.0 2.0
14 트리에틸아민 1.4 1.4 1.4 1.4 1.4
15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에멀젼 22 22 22 22 22
16 페녹시에탄올 0.75 0.75 0.75 0.75 0.75
17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제조방법>
1) 성분 1~6을 9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7~11을 상기 1)에 넣고 교반하였다.
3) 성분 12~14를 상기 2)에 넣고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4) 성분 15~17을 상기 3)에 넣고 교반한 후, 35℃로 냉각하였다.
실험예 1. 마스카라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샘플을 200ml 벌크 통에 담아 25℃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Rheo-Meter(모델명: CR-500DX-L, 제조사: SUN SIENTIFIC)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즉시경도 75 84 105 90 71
익일경도 100 139 139 123 85
7일 경과 후 경도 121 166 174 162 115
2달 경과 후 경도 168 200 185 181 157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질안료로서 탈크, 마이카 또는 실리카를 사용한 비교예 1~3에 비해 펄라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1의 마스카라의 경도 변화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마스카라는 체질안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경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체질안료로서 펄라이트를 사용하면, 유화 안정도가 우수하여 마스카라의 경시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사용하도록 한 후, 발림성, 볼륨력, 도포 표면, 컬링력, 건조속도, 눈밑 번짐 및 내수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피시험자들은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 1~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 점수를 평균 내어 8점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6~8점인 경우 양호, 3~6점인 경우 보통, 3점 미만인 경우 나쁨으로 표기하였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발림성
도포량 (볼륨력) X
도포 표면 (매끄러움)
컬링력 X X X
건조속도 X X
눈밑 번짐 X X
내수성 X
-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스카라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마스카라는 볼륨력 및 컬링력이 다소 떨어졌고, 비교예 3의 마스카라는 볼륨력 및 컬링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발림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건조속도가 느리고 눈밑 번짐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비교예 4의 마스카라는 체질안료를 포함하지 않아 발림성이 좋고 도포 표면이 매끄러웠으나, 다른 모든 평가 항목에서는 효과가 매우 나빠서 마스카라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마스카라는 수중유형 마스카라의 장점인 매끄러운 표면 및 발림성은 유지하면서도, 단점인 눈밑 번짐이나 컬링력 및 볼륨력에서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 마스카라의 제조
펄라이트의 함량을 각각 달리하여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이때 펄라이트는 평균입경이 15 내지 30 ㎛인 펄라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내었다.
No. 성분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5 비교예6
1 카르나우바 왁스 2.0 2.0 2.0 2.0 2.0 2.0
2 비즈 왁스 7.0 7.0 7.0 7.0 7.0 7.0
3 스테아린산 3.2 3.2 3.2 3.2 3.2 3.2
4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3.0 3.0 3.0 3.0 3.0 3.0
5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3.0 3.0 3.0 3.0 3.0 3.0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0 2.0 2.0 2.0 2.0 2.0
7 흑색산화철 (CI 77499) 7.0 7.0 7.0 7.0 7.0 7.0
8 펄라이트(Perlite) 2.0 5.0 7.0 10.0 12.0 14.0
9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2 0.2 0.2 0.2 0.2 0.2
10 아라비아고무 2.0 2.0 2.0 2.0 2.0 2.0
11 트리에틸아민 1.4 1.4 1.4 1.4 1.4 1.4
12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에멀젼 22 22 22 22 22 22
13 페녹시에탄올 0.75 0.75 0.75 0.75 0.75 0.75
1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제조방법>
1) 성분 1~6을 9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7~8을 상기 1)에 넣고 교반하였다.
3) 성분 9~11을 상기 2)에 넣고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4) 성분 12~14를 상기 3)에 넣고 교반한 후, 35℃로 냉각하였다.
실험예 3. 마스카라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샘플을 200ml 벌크 통에 담아 25℃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Rheo-Meter(모델명: CR-500DX-L, 제조사: SUN SIENTIFIC)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5 비교예6
즉시경도 75 77 96 98 183 230
익일경도 100 111 137 105 260 320
7일 경과 후 경도 110 120 142 159 300 400
2달 경과 후 경도 124 135 153 163 360 530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라이트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인 실시예 2~5의 마스카라는 경도 변화가 크지 않았다. 반면, 펄라이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5 및 6의 경우 즉시경도가 높고 경시변화가 매우 컸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일 때 마스카라 조성물의 유화가 더욱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상기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사용하도록 한 후, 발림성, 볼륨력, 도포 표면, 컬링력, 건조속도, 눈밑 번짐 및 내수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피시험자들은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 1~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 점수를 평균 내어 8점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6~8점인 경우 양호, 3~6점인 경우 보통, 3점 미만인 경우 나쁨으로 표기하였다. 하기 표 6에 실시예 2~5 및 비교예 5~6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5 비교예6
발림성 X
도포량 (볼륨력)
도포 표면 (매끄러움) X X
컬링력 X X
건조속도
눈밑 번짐 X X
내수성 X X
-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라이트를 2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2의 마스카라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펄라이트를 5중량%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3~5 및 비교예 5~6의 마스카라는 펄라이트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건조속도와 볼륨력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 항목들의 효과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비교예 5 및 6의 경우 건조속도 및 도포량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매우 나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일 때 건조속도가 빠르고, 컬링력이 우수하며, 눈밑 번짐 현상이 적고, 내수성이 뛰어난 마스카라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7~8. 마스카라의 제조
펄라이트의 함량을 각각 달리하여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이때 펄라이트는 평균입경이 15 내지 30 ㎛인 펄라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7에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내었다.
No. 성분 비교예7 비교예8 실시예6
1 카르나우바 왁스 2.0 2.0 2.0
2 비즈 왁스 7.0 7.0 7.0
3 스테아린산 3.2 3.2 3.2
4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3.0 3.0 3.0
5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3.0 3.0 3.0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0 2.0 2.0
7 흑색산화철 (CI 77499) 7.0 7.0 7.0
8 펄라이트(Perlite) 0.2 0.5 1.0
9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2 0.2 0.2
10 아라비아고무 2.0 2.0 2.0
11 트리에틸아민 1.4 1.4 1.4
12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에멀젼 22 22 22
13 페녹시에탄올 0.75 0.75 0.75
1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제조방법>
1) 성분 1~6을 9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7~8을 상기 1)에 넣고 교반하였다.
3) 성분 9~11을 상기 2)에 넣고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4) 성분 12~14를 상기 3)에 넣고 교반한 후, 35℃로 냉각하였다.
실험예 5. 마스카라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샘플을 200ml 벌크 통에 담아 25℃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Rheo-Meter(모델명: CR-500DX-L, 제조사: SUN SIENTIFIC)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8에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7 비교예8 실시예6
즉시경도 72 73 71
익일경도 88 91 87
7일 경과 후 경도 110 112 116
2달 경과 후 경도 123 125 128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라이트의 함량이 1중량% 이하인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의 마스카라는 즉시경도 및 경시에 따른 경도변화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실험예 6.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상기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사용하도록 한 후, 발림성, 볼륨력, 도포 표면, 컬링력, 건조속도, 눈밑 번짐 및 내수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피시험자들은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 1~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 점수를 평균 내어 8점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6~8점인 경우 양호, 3~6점인 경우 보통, 3점 미만인 경우 나쁨으로 표기하였다. 하기 표 9에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의 기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7 비교예8 실시예6
발림성
도포량 (볼륨력) X X X
도포 표면 (매끄러움)
컬링력 X X X
건조속도 X X
눈밑 번짐 X X
내수성 X X X
-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비교예 7~8의 마스카라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차이가 크게 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 6의 경우 비교적 더 나은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 7 및 8의 경우 펄라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와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펄라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1중량% 이상을 포함할 경우에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펄라이트 1.0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펄라이트는 평균입경이 15 내지 30 ㎛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중유형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상 성분으로서 왁스, 유화제, 비수용성 점증제, 안료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 왁스, 비즈 왁스, 칸데릴라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라놀린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설탕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 성분으로서 피막형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에멀젼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의 제형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1048A 2017-07-18 2017-07-18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9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48A KR20190009160A (ko) 2017-07-18 2017-07-18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48A KR20190009160A (ko) 2017-07-18 2017-07-18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60A true KR20190009160A (ko) 2019-01-28

Family

ID=6526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48A KR20190009160A (ko) 2017-07-18 2017-07-18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1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628B1 (en) Oily cosmetic preparation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7585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228579B (zh) 化妆品组合物
JPH09263518A (ja) 睫用化粧料
KR20010072740A (ko) 친수성 겔화제 및 전분을 함유하는 고형 수성겔,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47730A (ja) 油性睫毛用化粧料
JP2021507874A (ja) 唇のメイクアップ及びケアのための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JP3854522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WO2017170217A1 (ja) 化粧料セット
JP2016516806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界面活性剤からなるコンパウンド、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粉末ならびにポリ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油性相に含む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
JP4907071B2 (ja) 睫用化粧料
JP3543523B2 (ja) ボディ用化粧料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7239648B2 (ja) ワックス調製物の製造方法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20190009160A (ko)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CN115135297A (zh) 油包油型乳化化妆品
JP2002121119A (ja) ビニルラクタムポリマーを含むマスカラ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01213730A (ja) 油性固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