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480A -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480A
KR20190008480A KR1020170089663A KR20170089663A KR20190008480A KR 20190008480 A KR20190008480 A KR 20190008480A KR 1020170089663 A KR1020170089663 A KR 1020170089663A KR 20170089663 A KR20170089663 A KR 20170089663A KR 20190008480 A KR20190008480 A KR 2019000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oling
control signal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437B1 (ko
Inventor
윤동희
김재언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아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씨오 filed Critical (주)아씨오
Priority to KR102017008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은,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발전과 함께 가전기기 스스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실내 공기 조화 장치의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 명령을 내릴지에 대해서 미리 예측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 그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편리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실내외의 환경 요소를 비롯하여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동시에 지능적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은,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UI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학습 모듈과 추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듈은 상기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피드백을 비교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학습 모듈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GUI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피드백을 비교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하는 단계에서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실내외의 환경 요소를 비롯하여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동시에 지능적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 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은, 에어컨, 히터 등의 냉난방 장치 또는 공기조화장치를 제어 대상으로 하며, 데이터 수신부(110), 식별부(120), 제어부(130), 판단부(140) 및 UI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날씨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스케줄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씨 정보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날씨 정보 및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한다. 식별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냉난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ID(IDentification)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또는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출력되거나,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날씨 정보 및 스케줄 정보, 그리고 식별부(12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제어부(130)에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장치에 구비된 수신장치에 상응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수신장치와 송신장치는 서로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장치와 제어부(130)의 통신 방법이 반드시 상기 적외선 통신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RFID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서로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습도, 풍량 등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습도, 풍량과 다른 값을 갖는 온도, 습도, 풍량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기의 온도, 습도 및 내기의 온도, 습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온도, 습도가 조성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의 귀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냉난방 장치를 미리 가동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거나, 사용자의 외출 시간에 맞추어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별부(12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넓은 공간에서 이동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전체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공간에 대해 집중적으로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120)는 사용자 식별 결과를 시간대별로 분석하고, 시간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므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사용자의 이동을 예상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위치에 대한 냉난방을 미리 수행하고, 사용자가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대한 냉난방을 미리 중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냉난방 제어가 가능하다.
판단부(140)는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난방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음을 출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동작음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중 특정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마이크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음과, 정상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음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제어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동작음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판단부(140)는 실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음 분석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음 이외의 정보를 더 고려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음 분석을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제어 신호가 출력된 이후 온도가 하강하고 있다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고 있으며, 상기 동작음 분석에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UI 제공부(150)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 상기 냉난방 장치가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 현재 설정된 온도, 습도, 풍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버튼, 온도/습도 설정 버튼, 풍량 설정 버튼, 예약 버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식별부(12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상기 날씨 정보와 상기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UI를 통해 제공된 정보에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은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할 수 있으며, 판단부(140)는 상기 피드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에 오류가 존재함을 판단하고 이후의 동작음 판단에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난방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사 또는 가정과 같이 벽, 문, 창문 등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냉난방 장치를 통해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40)는 학습 모듈(141)과 판단 모듈(142)을 포함한다. 학습 모듈(141)은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용자 피드백을 비교하여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한다.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 분석은 판단 모듈(142)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습 모듈(141)은 판단 모듈(142)의 분석/판단 결과와 사용자 피드백을 고려하여 판단 모듈(142)의 분석/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학습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 모듈(142)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상기 사용자 피드백이 판단 모듈(142)의 판단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학습 모듈(141)은 판단 모듈(142)의 동작음 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동작음에 대한 판단 결과를 갱신(또는, 수정)할 수 있다.
또는, 학습 모듈(141)은 판단 모듈(142)이 판단한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와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고려하여, 판단 모듈(142)의 동작음 분석 및 냉난방 장치의 상태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모듈(142)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의하여 냉방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는데, 실내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학습 모듈(141)은 판단 모듈(142)의 동작음 분석이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학습 모듈(141)은 판단 모듈(142)이 분석하는 복수의 동작음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동작음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정 내지는 갱신하고 이를 통해 동작음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판단 모듈(142)은 학습 모듈(141)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판단 모듈(142)은 1차로 동작음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2차로는 상기 동작음에 상응하는 동작음 특징에 대한 학습 모듈(142)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1차 판단 결과를 유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 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판단부(140)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는 냉난방 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의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도 3(b)는 상기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한 파형을 도시한다. 상기 제1 주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기에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a)의 소리 데이터는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서브 데이터(A) 내지 제4 서브 데이터(D)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서브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제1 주기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판단부(14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데이터(A, B, C, D)로부터 각각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징 데이터는 상승시간, 주기, 진폭, 폭, 최고 피크 값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소리 분류 모델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서브 데이터를 구분한 뒤 각각의 서브 데이터에서 추출된 특징 데이터와 상기 소리 분류 모델을 비교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부(140)의 상기한 동작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판단 모듈(14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판단부(140)는 상기 동작음의 소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 소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특징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면, 하나의 전체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체 소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리 분류 모델을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부(140)는 상기 소리 데이터로부터 그래프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소리 분류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소리 분류 모델을 비교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들 각각에 대응하는 소리 분류 모델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학습 모듈(14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학습 모듈(141)은 상기 동작음에서 추출되는 소리 데이터, 서브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소리 분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를 분석하거나,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함으로써 각각의 소리 분류 모델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식별부(120)는 냉난방 장치에 의해 공조되는 공간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를 식별 또는 특정할 수 있다.
가정과 회사 등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분리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식별부(120)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면 사용자의 존재를 파악하거나 사용자를 식별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120)는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난방 장치가 도 4에 도시되는 공간과 달리 하나의 통일된 공간에 설치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식별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댁내에 복수의 송풍팬이 설치되어 동작하는 냉난방 장치를 예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4의 주방에 위치하는 경우, 주방에 설치된 식별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높은 강도의 통신 신호(예컨대,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거실에 설치된 식별부(120)는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식별부(120)가 수신하는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UI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이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식별부(120)를 통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거실인 경우, UI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거실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방-2로 판단된 경우, UI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방-2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120)를 통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UI 제공부(15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UI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UI 제공부(150)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치와 식별부(120)의 통신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GUI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내지는 표시 패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태바(Status Bar)를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공간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커스텀 아이코(Custom Icon) 또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스텀 아이콘 또는 토글 스위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에 가까운 송풍팬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스위치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송풍팬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의 점유도가 높은 공간을 파악하고, 해당 공간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다.
방-1에 제1 사용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고 방-2는 제2 사용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또는 방-1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가 제1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고 방-2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가 제2 거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은 경우, 냉난방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각각 방-1과 방-2에 설치된 송풍팬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우선권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동시에 존재할 때, 방-1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제1 사용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다. 다만, 거실,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이 가구 구성원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데이터 수신 단계(S110), 사용자 식별 단계(S120),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 및 GUI 제공 단계(S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는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날씨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스케줄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씨 정보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는 상기 날씨 정보 및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단계(S120)에서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 단계(S12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냉난방 장치의 냉난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ID(IDentification)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또는 특정)할 수 있다.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 예컨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출력되거나,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 수신하는 날씨 정보 및 스케줄 정보, 그리고 사용자 식별 단계(S12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장치에 구비된 수신장치에 상응하는 송신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수신장치와 송신장치는 서로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장치와의 통신 방법이 반드시 상기 적외선 통신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RFID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서로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습도, 풍량 등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습도, 풍량과 다른 값을 갖는 온도, 습도, 풍량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 수신되는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기의 온도, 습도 및 내기의 온도, 습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온도, 습도가 조성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의 귀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냉난방 장치를 미리 가동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거나, 사용자의 외출 시간에 맞추어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난방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음을 출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상기 동작음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중 특정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냉 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음과, 정상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음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제어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동작음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실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음 분석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음 이외의 정보를 더 고려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난방 제어 방법은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음 분석을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제어 신호가 출력된 이후 온도가 하강하고 있다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고 있으며, 상기 동작음 분석에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 데이터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른 주기(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체 소리 데이터에서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GUI 제공 단계(S150)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한다.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 상기 냉난방 장치가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 현재 설정된 온도, 습도, 풍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버튼, 온도/습도 설정 버튼, 풍량 설정 버튼, 예약 버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식별 단계(S120)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 수신되는 상기 날씨 정보와 상기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UI를 통해 제공된 정보에는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피드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에 오류가 존재함을 판단하고 이후의 동작음 판단에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난방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회사 또는 가정과 같이 벽, 문, 창문 등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냉난방 장치를 통해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데이터 수신 단계(S210), 사용자 식별 단계(S220), 제어신호 출력 단계(S230),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 동작음 분석 단계(S250) 및 GUI 제공 단계(S260)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 및 동작음 분석 단계(S250)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140)에 포함될 수 있다.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사용자 피드백을 비교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한다. 예컨대,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상기 사용자 피드백이 판단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에 대한 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동작음에 대한 판단 결과를 갱신(또는, 수정)할 수 있다.
또는,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고려하여, 동작음 분석 및 냉난방 장치의 상태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의하여 냉방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실내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동작음 분석이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을 통해 분석되는 복수의 동작음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동작음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정 내지는 갱신하고 이를 통해 동작음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는 상기 동작음에서 추출되는 소리 데이터, 서브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소리 분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를 분석하거나,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함으로써 각각의 소리 분류 모델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음 분석 단계(S250)에서는 상기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작음 분석 단계(S250)에서는 1차로 동작음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가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2차로는 상기 동작음에 상응하는 동작음 특징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 학습 단계(S240)에서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1차 판단 결과를 유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제어 방법은, 데이터 수신 단계(S310), 사용자 식별 단계(S321), 이동 패턴 정보 생성 단계(S322), 제어신호 출력 단계(S330),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단계(S340) 및 GUI 제공 단계(S350)를 포함한다.
이동 패턴 정보 생성 단계(S322)에서는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S321)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신호 출력 단계(S330)에서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넓은 공간에서 이동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전체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공간에 대해 집중적으로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패턴 정보 생성 단계(S322)에서는 사용자 식별 결과를 시간대별로 분석하고, 시간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므로, 제어신호 출력 단계(S330)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사용자의 이동을 예상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위치에 대한 냉난방을 미리 수행하고, 사용자가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대한 냉난방을 미리 중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냉난방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냉난방 제어 시스템 110: 데이터 수신부
120: 식별부 130: 제어부
140: 판단부 150: UI 제어부

Claims (17)

  1.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
    를 포함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UI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더 수신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학습 모듈과 추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듈은 상기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피드백을 비교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학습 모듈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냉난방 제어 시스템.
  9. 날씨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냉난방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음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피드백을 비교하여 상기 동작음 분석 결과를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하는 단계에서의 학습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음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동작음에 대응하는 소리 데이터를 제1 주기 간격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리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온도와 습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대별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냉난방 제어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89663A 2017-07-14 2017-07-14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6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63A KR101961437B1 (ko) 2017-07-14 2017-07-14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63A KR101961437B1 (ko) 2017-07-14 2017-07-14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80A true KR20190008480A (ko) 2019-01-24
KR101961437B1 KR101961437B1 (ko) 2019-07-18

Family

ID=6527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663A KR101961437B1 (ko) 2017-07-14 2017-07-14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21A1 (ko) * 2019-04-02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78A1 (ko) * 2019-09-06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472A (ja) * 2002-04-23 2003-11-07 Nippon Seiki Co Ltd 遠隔操作装置及びその送信確認方法
JP5383525B2 (ja) * 2010-01-15 2014-01-0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KR20140014611A (ko) * 2012-07-25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관리 시스템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671760B1 (ko) * 2015-03-16 2016-11-02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멀티모달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 인지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하는 셋톱박스, 촬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472A (ja) * 2002-04-23 2003-11-07 Nippon Seiki Co Ltd 遠隔操作装置及びその送信確認方法
JP5383525B2 (ja) * 2010-01-15 2014-01-0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KR20140014611A (ko) * 2012-07-25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관리 시스템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671760B1 (ko) * 2015-03-16 2016-11-02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멀티모달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 인지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하는 셋톱박스, 촬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21A1 (ko) * 2019-04-02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11448412B2 (en) 2019-04-02 2022-09-2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437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577B2 (en) Automatically learn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10157613B2 (en)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 relationship graph
JP734855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US11243502B2 (en) Interactive environmental controller
US10985936B2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CN105659179B (zh) 用于与hvac控制器相交互的设备和方法
US20180351758A1 (en) Home Automation System
CN113114779B (zh) 物联网设备联动的配置方法、终端、系统
US10605470B1 (en)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timization function
KR101977330B1 (ko)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법
US11168914B2 (en)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infrared output device
CN111868449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101961437B1 (ko)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91821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109894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11183478B (zh) 家电系统
CN107642864B (zh) 一种多空调语音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系统
KR101590343B1 (ko) 대기환경과 댁내환경 기반의 홈케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30162318A (ko) 실내 환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077835A1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ark et al. Development of simulation system for validating contextual rule in smart home
JP2022012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