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254A -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 Google Patents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254A
KR20190008254A KR1020187034027A KR20187034027A KR20190008254A KR 20190008254 A KR20190008254 A KR 20190008254A KR 1020187034027 A KR1020187034027 A KR 1020187034027A KR 20187034027 A KR20187034027 A KR 20187034027A KR 20190008254 A KR20190008254 A KR 2019000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ibial
femoral component
opening
fem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반니 파치올리
렌조 소피아티
Original Assignee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0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0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threaded locking member, e.g. a locking screw or a set screw
    • A61F2002/3051
    • A61F2002/30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11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2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joint reconstruction

Abstract

무릎 관절에 근접한 경골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경골 구성요소(2) 및 무릎 관절에 근접한 대퇴부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대퇴부 구성요소(3)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용 인공삽입물(1)로서, 경골 구성요소(2)는 대퇴부 구성요소(3)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와 관절화되도록 구성되고, 경골 구성요소(2)는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존재하는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돌출부(25)를 포함하며; 인공삽입물(1)의 조립 방법.

Description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본 발명은 무릎 관절에 이식되도록 구성된 구속형 관절 인공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 인공삽입물은 최종 사용을 위해서 이식되기 위한 것이고, 그에 따라 - 특별한 단점이 발생되거나 감염이 시작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즉 매우 특별하고 특정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 그 지속시간은 영구적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관절 인공삽입물은 손상되거나 약화된 뼈 또는 뼈 관절에서 인체 내에 이식된다.
인공삽입물이 제거되는 매우 특별하고 특정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관절 인공삽입물은 최종적인 방식으로 이식되고 그에 따라 그 지속시간은 영구적이다.
그러나, 이식 장소가 특히 약하거나 손상되었을 때, 또는 예를 들어 감염된 첫 번째 인공삽입물의 대체로 인해서, 인공삽입물의 이식이 2번째로 발생될 때, 대퇴부 구성요소 및 경골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구속되는, 구속형 인공삽입물, 예를 들어 재-이식 인공삽입물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구성요소들 사이의 전술한 구속을 제공할 수 있는, 미리 형성된 구속형 인공삽입물을 배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구속형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가능하게는, 미리 형성되고 동시에, 임플란트 주위의 조직의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위한 양호한 이동성을 허용하는, 이차적인 또는 재-이식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무릎 관절을 위한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는 구속형 인공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무릎을 위한 구속형 인공삽입물이 본원에 포함된 제1항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포함된 제19항에 따른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속항은 바람직하고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본원에 포함된 도면 내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된, 무릎을 위한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바람직하지만 비배타적인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경골 구성요소에 대한 대퇴부 구성요소의 2개의 상호 위치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경골 구성요소의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대퇴부 구성요소의 측방향 사시도, 상면도, 저면 전방도 및 저면 후방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추가적인 폐쇄 또는 록킹 요소를 구비한 또는 구비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경골 구성요소에 대한 대퇴부 구성요소의 2개의 상호적인 위치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0의 추적 평면 XIV-XIV을 따라 취한, 도 12 및 도 1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단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분해 측면 사시도이다.
포함된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구속형 인공삽입물을 전반적으로 표시한다.
구속형 인공삽입물에 의해서, 경골 및 대퇴부 구성요소가 함께 결합되고, 즉 그러한 구성요소가 경첩화되거나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가 수정될 수 없다.
실질적으로, 대퇴부 구성요소는 경골 구성요소에 대해서 (그리고 그 반대로) 회전 및 병진 운동될 수 있으나, 2개의 구성요소는 서로 분리될 수 없다. 이는, 2개의 구성요소가 이식 중에 환자의 뼈에 고정된 후에, 무릎 관절이 변위될 수 없게 하는, 또는 경골 및 대퇴골이 불규칙적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1)의 대퇴부 구성요소 및 경골 구성요소는, 이제 규정되는 것에 따라 그리고 본 설명의 과정에서 더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관절형 방식(articulated manner)으로 서로에 대해서 구속되고, 이들 모두는 환자의 각각의 뼈에 안정적으로 및/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구속형 인공삽입물은 미리 형성되며, 그리고 무릎 관절에 이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1)은 경골 구성요소(2) 및 대퇴부 구성요소(3)를 포함한다.
경골 구성요소(2)는 무릎 관절에서 경골 뼈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대퇴부 구성요소(3)는 무릎 관절에 근접한 대퇴부 뼈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대퇴부 구성요소(3) 및 경골 구성요소(2) 만이 존재하고, 서로에 대해서 구속되는 한편, 슬개 구성요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경골 구성요소(2)는 경골 판(20)을 포함하고, 대퇴부 구성요소(3)는 경골 판 상에서 접경, 롤링 및 활주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관절화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경골 판(20)은, 사용 중에 환자의 경골 뼈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경골 기부(20a)에 대해서 접경 및/또는 고정된다.
경골 판(20) 및 경골 기부(20a)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버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1)의 경골 구성요소(2)를 구성한다. 경골 판(20)은 2개의 과상 관절 기부(condylar 관절 base)(21, 22)를 포함한다.
과상 관절 기부(21, 22)는 (도 1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오목하고 곡률 반경(R2)을 갖는다.
경골 구성요소(2)는, 과상 관절 기부(21, 22) 사이에서, 리브(23)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리브(23)는 경골 판(20) 및/또는 과상 관절 기부(21, 22)의 표면에 대해서 돌출된다(relief).
그 전방 부분에서, 경골 구성요소(2) 및/또는 리브(23)는 돌출부(25)를 갖는다.
그러한 돌출부(25)는 실질적으로 곡선형 및/또는 C-형상 또는 백조-목형 돌출부를 가지며, 사용 시에, 위쪽으로 또는 대퇴부 구성요소(3)를 향해서 돌출된다.
돌출부(25)는, 실질적으로 T-형상인 헤드 또는 단부(26)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5)는, 설명된 바와 같이, 리브(23)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제1 섹션, 실질적으로 수직인 섹션을 가지는 제2 섹션, 및 리브(23)에 대해서 상승되나 리브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섹션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곡선 형상 및/또는 C 형상을 포함한다.
그러한 제3 섹션은 제2 섹션으로부터 시작되고, T로 성형된, 헤드 또는 단부(26)로 종료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리브(23)는 존재하지 않고 그에 따라 돌출부(25)만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되는 섹션을 가지며, 그로부터, 경골 판(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추가적인 섹션이 시작되고 이는 헤드 또는 단부(26)로 종료된다.
돌출부(25)의 제3 섹션 또는 추가적인 섹션은 경골 구성요소(2)의 후방 부분을 향해서 연장된다.
그에 따라, 돌출부(25)의 헤드 또는 단부(26)는, 대향 측면들 상에서 제3 섹션(예를 들어, 돌출부(25))에 대해서 연장되는 2개의 섹션(26', 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2개의 섹션(26', 26")은 돌출부(25)의 또는 그 제3 섹션의 측방향 융기부이다.
섹션(26', 26")은, 인체의 횡방향 축에 평행하게 또는 내외측(lateromedial)으로 진행된다.
인체의 횡방향 축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되는 인체의 축이다.
돌출부(25)의 형상으로 인해서, 그 헤드 또는 단부(26)는, 경골 판(20) 및/또는 리브(23)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상승된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도 15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 또는 단부(26)는 리브(23)로부터 거리(D)에 또는 경골 판(20) 및/또는 경골 구성요소(2)의 가장 전방 부분으로부터 거리(B)에 위치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 또는 단부(26)는, 섹션(26', 26")을 포함하여, 일체의 횡방향 축에 따라 계산된, F와 동일한, 크기 또는 폭을 갖는다.
특히, F는 리브(23)(및/또는 돌출부(25))의 폭(F1)보다 크다.
제1 및/또는 제2 및/또는 제3 섹션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되는 섹션 및/또는 돌출부(25)의 추가적인 섹션의 폭은 또한 F1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경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기부(20a)는, 환자의 경골 뼈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또는 임의 경우에 과상 관절 기부(21, 22)에 대향되는 표면을 따라, 홀(24)을 갖는다.
홀(24)은, 예를 들어 나사-너트 나사 커플링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핀(28)을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하게 나사산형인, 적어도 하나의 핀(28)은, 환자의 경골 뼈의 뼈 단부에 대한 경골 구성요소(2)의 연결, 고정 및/또는 센터링 또는 배향을 위해서 구성된 핀이다.
적어도 하나의 핀(28)은, 2개의 과상 관절 기부(21, 22)를 갖는 면에 대향되는 경골 구성요소(2)의 면으로부터 또는 사용 중에 경골 기부(20a)의 하부 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핀(28)이, 환자의 경골 뼈의 뼈 단부에 대해서 경골 구성요소(2)를 연결, 고정 및/또는 센터링 또는 배향하도록 구성된, 스템(stem)(28a)의 적합한 나사산형 홀 내로 나사체결되도록(또는 적합한 방식으로 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25)는, 사용 중에, 대퇴부 구성요소(3)와 경골 구성요소(2) 사이에서 안내된 관절 또는 구속 관절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대퇴부 구성요소(3)는, 전반적으로 대퇴골의 과상 관절 표면을 재현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대퇴부 구성요소(3)는,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 인체의 정중면(정중면)에 평행한 평면을 다른 횡단면에서 - 실질적으로 U-형상 형태를 갖는다.
대퇴부 구성요소(3)는, 뼈 안착부와 접촉 배치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오목한, 내부 표면(31), 및 경골 구성요소(2) 및/또는 경골 판(20)과 접촉되도록 그리고 관절화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볼록한, 외부 표면(32)을 포함한다.
대퇴부 구성요소(3)는, 인체의 정중면에 평행한 대칭 평면에 대해서, 대칭적이다.
더 구체적으로, 대퇴부 구성요소(3)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제1 과상 부분(33) 및 인체의 정중면에 대해서 내측에 배치된 제2 과상 부분(34)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무릎의 과상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다시, 과상 부분(33, 34)은 - 인체의 정중면에 평행한 평면에 따른 횡단면에서 - 실질적으로 U-형상 형태를 갖는다.
과상 부분(33, 34)은, 사용 중에 본 발명의 일 버전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1)의 전방 부분에서, 서로를 향해서 수렴하고, 함께 결합되어, 무릎뼈와 접촉되도록 또는 해부학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구역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결합 부분 또는 표면을 형성한다.
과상 부분(33, 34)은 사용 중에 경골 구성요소(2)의 과상 관절 기부(21, 22)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 위에서 관절화되도록 구성된다.
과상 부분(33, 34)은 과상간 공간(50)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 과상간 공간(50)은, 사용 중에, 적어도, 대퇴부 구성요소(3) 및/또는 과상 부분(33, 34)의 후방 및 중앙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과상간 공간(50)은 또한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전방 부분의 일부, 예를 들어, 사용 중에, 아래쪽으로 그리고 그 중앙 부분을 향해서 배치되는 부분을 위해서 연장된다.
대퇴부 구성요소(3)는, 내부 표면(31) 상에 배치된, 상자 요소(35)를 포함한다.
상자 요소(35)는 내부 표면(31)에 연결되고,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내부 표면(31)과 및/또는 대퇴부 구성요소(3)와 일체로 제조된다.
상자 요소(35)는 2개의 측방향 벽, 및 측방향 벽을 연결하고 결합시키는 하나의 연결부 벽을 갖는다. 연결부 벽은 상자 요소의 측방향 벽 위에 배치된다. 측방향 벽은 신체의 정중면에 평행하게 진행된다. 사용 중에, 측방향 벽은 그에 따라 경골 구성요소(2)의 내부 표면(3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까지 연장된다.
상자 요소(35)는 - 인체의 전방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따른 횡단면에서 - 실질적으로 뒤집힌 U-형상을 갖는다.
상자 요소(35)의 측방향 벽과 연결부 벽 사이에서, 전술한 과상간 공간(50)에 상응하게, 안착부 또는 공동이 구성되거나 포위된다. 상자 요소(35)의 연결부 벽에서, 대퇴부 뼈의 뼈 단부에 대한 대퇴부 구성요소(3)의 연결, 고정 및/또는 센터링 또는 배향을 위해서, 홀(36) 및/또는 원통형 돌출부 또는 스템(38)(가능하게 나사산형)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핀(38)이, 환자의 경골 뼈의 뼈 단부에 대해서 경골 구성요소(2)를 연결, 고정 및/또는 센터링 또는 배향하도록 구성된, 스템(stem)(38a)의 적합한 나사산형 홀 내로 나사체결되도록(또는 적합한 방식으로 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과상 부분(33, 34)은, 그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에서, 곡률 반경(R1)을 갖는다.
반경(R1)은 적어도 과상 부분(33, 34)의 후방 부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버전에서, 예를 들어 도 13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과상 부분(33, 34)은, 그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에서, 곡률 반경(R3)을 갖는다. 반경(R3)은 적어도 과상 부분(33, 34)의 중앙 부분 내에 존재한다. 곡률 반경(R1)은,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곡률 반경(R2)보다 작다.
추가적인 버전에서, 곡률 반경(R3)은 곡률 반경(R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자 요소(35)는 외부 표면(42) 및 내부 표면(43)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43)은 과상간 공간(50)을 향해서 대면된다.
내부 표면(43)은 다시 2개의 내부 측방향 벽 및 하나의 내부 연결부 벽을 포함하고, 이들은 과상간 공간(50)을 경계 짓는다.
내부 표면(43)의 각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방향 벽이 단차부(44)를 갖는다. 그러한 단차부(44)는 내부 표면(43)의 내부 측방향 표면에 대해서 돌출된다. 그에 따라, 단차부(44)는 과상간 공간(50)을 향해서 연장된다.
그러한 단차부(44)는 경골 구성요소(2)의 헤드 또는 단부(26)를 위한 일종의 안내부를 구성한다. 사실상, 그러한 헤드 또는 단부(26)는,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관절화 중에, 단차부(44)를 따라 활주 및/또는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속형 인공삽입물(1)은 이식된 환자의 무릎의 관절화를 허용한다.
동시에, 단차부(44)는 경골 구성요소(2)에 대한 대퇴부 구성요소(3)의 구속을 결정하는데, 이는 경골 구성요소의 헤드 또는 단부(26)가 (특히 섹션(26', 26")으로 인해서) 상자 요소(35)에 의해서 결정된 안착부 및/또는 그에 따라 과상간 공간(50)에 대해서 접경되고 그리고 -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그 이동과 관련하여 - 그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그러한 단차부(44)는 실질적으로 반전된 S 형상을 갖는다. 그러한 반전된 S와 관련하여, 사용 중에: 상부 수평 섹션은 내부 연결부 벽과 일치되고, 오목부가 경골 구성요소(2)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고, 볼록부는 경골 구성요소(2)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며, 하부 수평 제2 섹션은 대퇴부 구성요소(3)의 (중앙) 외부 표면(42)과 일치된다.
단차부(44)의 반전된 S 형상 및/또는 단차부(44)의 존재는,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그리고 특히, 2개의 부분 및/또는 2개의 폭을 포함하는, 그 2개의 과상 부분(33, 34) 사이에, 개구부가 생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폭에 의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을 따른 개구부의 크기는, 그에 따라, 신체의 전방 표면을 따르는 또는 그에 평행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한 방향은 수평이고, 즉 신체의 접경 표면에 또한 평행하다. 상자 요소(35)에 의해서 그리고 단차부(44)에 의해서 결정된 개구부는 과상간 공간(50)과 일치된다.
특히, 예를 들어 도 8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전방 구역에 근접하여, 폭(L)을 가지는 제1 개구부(48)가 제공된다.
그 대신 대퇴부 구성요소(3)의 중앙 및 하부 구역에 근접하여, 폭(N)을 갖는 제2 개구부(49)가 제공되고, N은 L보다 작다.
특히, 이하에서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폭(L)은 대퇴부 구성요소(3)의 헤드 또는 단부(26)의 폭(F)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크다. 그러한 방식으로, 그러한 헤드 또는 단부(26)를, 그러한 제1 개구부(48)를 통해서, 과상간 공간(50)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돌출부(25)가 그 헤드 또는 단부(26)에 의해서 대퇴부 구성요소(3) 내로 일단 삽입되면, 대퇴부 구성요소는 단차부(44)와 결합되거나 적어도 그에 대해서 접경되며 폭(N)을 갖는 제2 개구부(49)로부터 빠져 나갈 수 없다.
사실상, 폭(N)은 폭(F)보다 작고 폭(F1)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폭(F1)보다 약간 더 크다.
그에 따라, 신체의 전방 표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취한 단면에 따라,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T 형상을 가지고, 돌출부(25) 및/또는 돌출부(25)의 헤드 또는 단부(26)의 T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이어서, 구속형 인공삽입물(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버전에 따라,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포함한다.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제1 개구부(48)의 또는 적어도 그 초기 부분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특히, 그러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제1 개구부(48)를 폐쇄할 수 있고, 헤드 또는 단부(26)가 대퇴부 구성요소(3)의 상자 구성요소(35)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 과상간 공간(50)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적절하게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홀(36b) 내에 삽입되도록, 예를 들어 스냅-삽입되도록 구성된, 핀(47)을 구비한다.
홀(36b)은,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대퇴부 구성요소의 전방부 또는 전방 부분 내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전방 부분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버전에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가 관통 홀을 포함한다. 그러한 관통 홀의 길이방향 진행부는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존재하는 홀(36b)의 길이방향 진행부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이식 위치에서의 또는 사용 중의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고려할 때, 그러한 홀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방향 진행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버전에서, 핀(47)은 존재하지 않고, 나사, 예를 들어 금속 나사에 의해서 대체된다. 그러한 나사는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의 길이방향 홀을 통과하고, 그리고 또한 가능하게는 홀(36b)을 통과하며, 가능하게는 나사체결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그러한 요소를 (외측으로부터, 나사 자체에 의해서) 대퇴부 구성요소(3)에 록킹하는 것이 발생된다. 동시에, 돌출부(25)가 그 삽입 공간 또는 개구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정지부"가 생성된다.
핀(47)은, 존재하는 경우에,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의 본체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거나, 알려진 모드에 따라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에 조립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 및/또는 핀(47)이 금속 재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핀(47) 및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 모두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때, 이들은, 예를 들어 뼈 시멘트에 의해서, 대퇴부 구성요소(3)에 적합한 방식으로 접착되거나 록킹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핀(47) 및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때, 이들은, 예를 들어 뼈 시멘트에 의해서, 대퇴부 구성요소(3)에 적합한 방식으로 접착되거나 록킹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사용 중에 상자 요소(35)의 하단 벽(35d)을 향해서 지향되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내부 면(46d)을 갖는다. 그러한 방식으로, 섹션(26', 26")은 또한, 내부 면(46d)과 접촉되는 위치 내로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퇴부 구성요소(3)는 또한 이러한 위치에서 경골 구성요소(2)에 대해서 관절화될 수 있다.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도 2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삼각형 기부를 갖는, 각기둥 형상을 실질적으로 갖는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에서 볼 때, 즉 신체의 정중면에 평행한 단면에서 볼 때, 제1 개구부(48)는 실질적으로 쐐기-유사 형상을 가지는 한편, 제2 개구부(49)는, 실질적으로 쐐기-형상 또는 L-형상인 진행부를 갖는다. 후자의 버전에서, 예를 들어, L 섹션은, 그 외부 표면(32)에서, 하단부를 향한 중앙 부분(더 긴 것) 및 대퇴부 구성요소(3)의 후방 부분(더 짧은 것)과 관련된다.
특히, 제2 개구부(49)는,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관통 개구부이다.
그 대신, 제1 개구부(48)는 그 전방 부분에서만 개방된다. 그러나, 후방 부분에서, 제1 개구부는 상자 요소(35)의 하단 벽(35d)에 의해서 폐쇄된다.
그에 따라, 하단 벽(35d)은 단차부(44) 상의 헤드 또는 단부(26)의 활주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경골 구성요소(2)에 대한 대퇴부 구성요소(3)의 최대 관절화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하단 벽(35d)은, 또한 그러한 위치에서도 그 회전을 - 그리고 그에 따라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회전을 - 허용하는 방식으로, 돌출부(25)의 섹션(26', 26")의 곡률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제1 및 제2 개구부(48, 49)는 상자 요소(35)의 내부 측방향 벽들 내의 상응 부분들을 식별한다.
그러한 부분은, 단차부(44)에 의해서, 각각의 측면 상에서 경계 지어진다.
특히, 내부 측방향 벽은 제1 부분 또는 표면(51) 및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을 갖는다.
그러한 2개의 부분 모두는 신체의 정중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은 상자 요소(35)의 내부 연결부 벽에 더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 또는 표면은 내부 연결부 벽에 대해서 더 내부적으로 위치된다.
그러한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은, 매끄러운 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진행부를 갖는다. 그러한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의 높이는 섹션(26', 26")의 각각의 벌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섹션(26', 26")은,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돌출부(25)로부터 측방향으로 출발하는 작은 원통체이다. 추가적인 버전에서, 섹션(26', 26")은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형상, 예를 들어 작은 공, 등을 갖는다.
섹션(26', 26")은, 사실상, 경골 구성요소(2)와 대퇴부 구성요소(3)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경첩 또는 축으로서 작용한다.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은 그 대신 상자 요소(35)의 내부 연결부 벽에 대해서 더 외부에 위치된다. 특히,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은, 제1 부분 또는 표면(51)에 비해서, 경골 구성요소(2)에 더 근접한다.
이러한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은 실질적으로 L-형상의 진행부를 가지며, 그 더 큰 섹션은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의 진행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면, 사용 중의 구속형 인공삽입물(1)을 고려하면, 짧은 섹션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위쪽으로 계속된다.
제1 부분 또는 표면들(51) 사이의 거리는 L과 같은 반면, 제2 부분 또는 표면들(52) 사이의 거리는 N과 같다.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본 발명의 일 버전에서, 상자 요소(35)의 전방 벽을 결정한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구축된 대상(pre-established object)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손상 크기 또는 반복된 수술로 인해서 손상된 뼈 조직 또는 약해진 뼈 조직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경골 구성요소 상의 대퇴부 구성요소의 회전-병진 및 안정적 운동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동은 측방향으로 병진 운동될 수 없고, 전-후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데, 이는 대퇴부 구성요소가 경골 구성요소에 대해서 관절 방식으로 구속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그러한 이유로, 인공삽입물(1)은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그리고 그 반대의 회전-병진 운동 또는 활주 및 회전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회전-병진 또는 회전 및 활주 또는 병진 운동은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상대적인 운동이다.
그러한 수단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버전에서, 돌출부(25)에 의해서, 돌출부의 헤드 또는 단부(26)로, 그리고 대퇴부 구성요소(3)의 과상간 개구부 또는 공간(50)에 의해서 구성되고, 가능하게는 단차부(44)의 존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은, 무릎 관절의 생리적 운동을 따른다.
필요하다면, 인공삽입물이 인체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드문 경우(remote case)에, 다양한 구성요소의 추출 단계 중에 주위 조직을 가능한 한 많이 보존하면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인공삽입물(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구속형 인공삽입물(1)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버전에 따라, 이하의 방법에 따라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골 구성요소(2) 및 대퇴부 구성요소(3)를 배열하는 단계 및 경골 구성요소의 돌출부(25)를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존재하는 개구부 내측에 삽입 또는 수용하는 단계.
특히, 경골 구성요소(2)의 헤드 또는 단부(26)는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제1 개구부(48) 내에 삽입된다. 이어서, 섹션(26', 26")이, 대퇴부 구성요소(3)의 개구부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 단차부(44)에 대해서 접경되고, 그러한 섹션은 단차부 상에서 자체적으로 활주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25)는 대퇴부 구성요소(3)의 제2 개구부(49)에서 활주 및 횡단할 수 있다. 동시에, 대퇴부 구성요소는 경골 구성요소 상의 회전 및/또는 병진운동에 의해서 경골 구성요소(2)와 관절화된다.
마지막으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는, 돌출부(25)가 대퇴부 구성요소(3)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예를 들어 그 홀(36b) 내에 삽입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대퇴부 구성요소(3) 및 경골 구성요소(2)는 관절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구속된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핀(28, 28a) 및/또는 원통형 돌출부 또는 스템(38, 38a)이, (사용 중에) 경골 뼈 상의 경골 구성요소(2) 및/또는 대퇴부 뼈 상의 대퇴부 구성요소(3)의 각각의 적용을 안정화하는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나사체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뼈 시멘트에 의해서 또는 나사에 의해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록킹할 수 있다.
인공삽입물(1)을 다시 추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돌출부(25)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리고 돌출부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작은 외과용 메스에 의해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제 위치에서 막고 고정하는 뼈 시멘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또는,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대퇴부 구성요소(3)에 록킹하기 위한 나사가 있는 경우에: 인공삽입물(1)을 다시 한번 추출할 필요가 있다면, 돌출부(25)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리고 돌출부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제 위치에서 록킹하고 고정하는 나사를 푸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돌출부가 제1 개구부(48)를 빠져 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경골 및 대퇴부 구성요소를 해제할 수 있을 것이고, 이어서, 환자의 관절의 잔류 조직을 과도하게 손상시킬 필요가 없이, 그 둘 모두(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이식 장소로부터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삽입물(1)은, 심각한 뼈 손상 및 인대 늘어짐의 상황뿐만 아니라 덜 손상된 상황에서도, 구속되며, 그에 따라 무릎 관절을 위한 양호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1)은, 사용 중에, 2개의 영향을 받은 뼈 단부들 내에 이식될 수 있고 대퇴부 및 경골 구성요소의 이식 후에 구속될 수 있다. 사실상, 대퇴부 구성요소 및 경골 구성요소가 이식되면, 대퇴부 구성요소의 적절한 공간 또는 개구부 내로 돌출부(25)를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대퇴부 요소 내의 돌출부의 접근 지점은 폐쇄 또는 록킹 요소의 존재에 의해서 폐쇄된다.
그에 따라 편리한 방법이 획득되고, 그러한 방법은, 환자 및 의사 모두를 위한, 시간 및 통증 감소와 관련하여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로 인해서,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의 전체 이용 기간 동안 자체적으로 충분한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1)은 생체적합 방식으로 제조된다.
그러한 생체적합 방식은 금속, 금속 합금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속형 인공삽입물은, 사실상, 매우 내구적인 재료로 제조되어야 하는데, 이는 그러한 인공삽입물이 영구적인 인공삽입물이기 때문이고, 그리고 - 구속된 상태에서 - 인공삽입물은 상당한 세기의 응력 및 힘을 견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인공삽입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시간에 걸쳐 제한된 마모를 보장하여 한다. 이는, 경골 판(20)이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과 같은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촉진된다.
따라서, 대퇴부 구성요소(3) 및/또는 경골 기부(20a)가, 강, 크롬-코발트 강과 같은, 앞서 나열된 것들 중의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경골 판(20)은 폴리에틸렌 재료 또는 UHMWPE와 같은 저마찰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UHMWPE 재료는 자가-윤활된다.
경골 판(20)의 두께는,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10 내지 15 mm이다.
대퇴부 구성요소(3) 또는 경골 기부(20a)의 두께는,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1 내지 5 mm, 예를 들어 2 mm일 수 있다.
경골 판(20)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 돌출부(25) 및/또는 헤드(26)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돌출부(25) 및/또는 헤드(26) 및/또는 리브(23)가 경골 기부(20a)와 일체로 제조되고,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경골 판(20)이 삽입체로서 경골 기부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경골 판(2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 삽입체는 2개의 과상 관절 기부(21, 22)에 대한 구역들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더 큰 안정성, 더 큰 하중 강도 등을 플랜트(plant)에 부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해 수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모두는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모두 포함된다.
또한, 모든 상세 부분이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요소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조건에 따른 형상 및 크기가,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요건에 따른 임의 유형일 될 수 있다.

Claims (22)

  1. 무릎 관절에 근접한 경골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경골 구성요소(2), 및 무릎 관절에 근접한 대퇴부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대퇴부 구성요소(3)를 포함하고, 경골 구성요소(2)는 대퇴부 구성요소(3)와 접촉되고 그와 함께 관절화되도록 구성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인공삽입물(1)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활주 및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2)는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 내에 존재하는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돌출부(2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5)는 실질적으로 C-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삽입물(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상대적인 회전-병진 운동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병진 운동을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25)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돌출부(25) 및/또는 헤드 또는 단부(26)에 대향되는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섹션(26', 26")을 구비하는 헤드 또는 단부(26)를 포함하는, 인공삽입물(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2)는 2개의 과상 관절 기부(21, 22) 및 상기 과상 관절 기부들(21, 22) 사이에 배치된 리브(23)를 구비한 경골 판(20)을 포함하고, 상기 과상 관절 기부(21, 22)는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와 함께 관절화되도록 구성되는, 인공삽입물(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는 신체의 정중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른 횡단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리고 대퇴부 뼈 안착부와 접촉되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내부 표면(31),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2)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볼록한 외부 표면(32)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는 제1 및 제2 과상 부분(33, 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과상 부분(33)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과상 부분(34)은 신체의 정중면에 대해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과상 부분(33, 34)은 신체의 정중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른 횡단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 과상 부분(33) 및 상기 제2 과상 부분(34)은 과상간 공간(50)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인공삽입물(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는,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내부 표면(31)에 배치된, 상자 요소(35)를 포함하고, 상기 상자 요소(35)는 2개의 측방향 벽, 상기 측방향 벽에 연결되는 연결부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들은,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과상간 공간(50)을 경계 짓는 2개의 내부 측방향 벽 및 내부 연결부 벽을 식별하는, 인공삽입물(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폭(L)을 갖는 제1 개구부(48) 및 폭(N)을 갖는 제2 개구부(49)를 포함하고, (L)은 (N)보다 큰, 인공삽입물(1).
  8. 제2항을 인용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섹션(26', 26")을 구비하는 상기 하나의 헤드 또는 단부(26)가 폭(F)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25)는 폭(F1)을 가지며, 상기 폭(F)은 상기 폭(L)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고, 상기 폭(F1)은 상기 폭(N)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은, 인공삽입물(1).
  9. 제6항을 인용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병진 운동을 위한 수단은 상기 상자 요소(35)의 각각의 내부 측방향 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44)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상자 요소(35)의 각각의 내부 측방향 벽이 단차부(44)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44)는 상기 내부 측방향 벽의 제1 부분 또는 표면(51) 및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을 경계 짓고, 상기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은 상기 상자 요소의 내부 연결부 벽에 근접 배치되는 반면, 상기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은 상기 경골 구성요소(2)에 근접 배치되는, 인공삽입물(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또는 표면들(51)이 거리(L)만큼 분리되는 반면, 상기 제2 부분 또는 표면들(52)이 상기 과상간 공간(50)의 또는 상기 각각의 제1 개구부(48) 및 상기 제2 개구부(49)의 거리(N)만큼 분리되는, 인공삽입물(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44)가 반전된 S 구성을 가지고, 및/또는 상기 제1 개구부(48)가 상기 상자 요소(35)의 하단 벽(35d)에 의해서 후방에서 경계 지어지는, 인공삽입물(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48)를 폐쇄하도록 그리고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가 핀(47) 또는 예를 들어 록킹 나사를 위한 관통 홀을 포함하는, 인공삽입물(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은 매끄러운 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진행부를 가지고, 및/또는 상기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은 상기 섹션(26', 26")의 벌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인공삽입물(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또는 표면(52)은 실질적으로 L-형상의 진행부를 가지며, 그 더 큰 단편은 상기 제1 부분 또는 표면(51)의 진행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면, 그 가장 짧은 단편은, 사용 중의 인공삽입물(1)의 배열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위쪽으로 계속되는, 인공삽입물(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26', 26")은, 상기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구성을 가지고, 및/또는 원통형, 공 구성, 또는 기타를 가지는, 인공삽입물(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삽입물(1)은,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생체적합 재료로 제조되는, 인공삽입물(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2)가 경골 기부(20a)를 포함하고, 상기 경골 기부 상에는 상기 경골 판(20)이 접경되거나 고정되는, 인공삽입물(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기부(20a)는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생체적합 재료로 제조되고, 및/또는 상기 경골 판(20) 및/또는 상기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 및/또는 상기 핀(47)이,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UHMWPE와 같은,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인공삽입물(1).
  19. 무릎 관절에 근접한 경골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경골 구성요소(2) 및 무릎 관절에 근접한 대퇴부 뼈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대퇴부 구성요소(3)를 포함하고,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가 상기 경골 구성요소(2)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와 관절화되도록 구성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인공삽입물(1)의 조립 방법으로서:
    경골 판(20) 및 돌출부(25)를 구비한 경골 구성요소(2) 및 개구부를 구비한 대퇴부 구성요소(3)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돌출부(25)가 실질적으로 C-형상의 구성을 가지는, 단계,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를 상기 경골 구성요소(2)에 대해서 회전 방식으로 구속하고 상기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활주 및 회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돌출부(25)를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개구부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가, 상기 돌출부(25)의 2개의 섹션(26', 26")을 구비한 헤드 또는 단부(26)를, 폭(L)을 가지는 제1 개구부(48)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가, 2개의 내부 측방향 벽 및 하나의 내부 연결부 벽을 갖는 상자 요소(35)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내부 측방향 벽은, 실질적으로 반전된 S-형상의 구성을 갖는, 단차부(44)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경골 구성요소(2) 상에서의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활주 및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방식으로, 상기 단차부(44) 상에서 상기 섹션(26', 26")을 활주 및/또는 롤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3)의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를 제공하고 상기 폐쇄 또는 록킹 요소(46)에 의해서 상기 제1 개구부(48)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34027A 2016-05-16 2017-05-10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KR20190008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50133 2016-05-16
ITUA2016A003485A ITUA20163485A1 (it) 2016-05-16 2016-05-16 Protesi vincolata da ginocchio
PCT/IB2017/052734 WO2017199134A1 (en) 2016-05-16 2017-05-10 Constrained prosthesis for the kn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254A true KR20190008254A (ko) 2019-01-23

Family

ID=5689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027A KR20190008254A (ko) 2016-05-16 2017-05-10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82369A1 (ko)
EP (1) EP3457993A1 (ko)
KR (1) KR20190008254A (ko)
CN (1) CN109195553A (ko)
IT (1) ITUA20163485A1 (ko)
WO (1) WO20171991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6549A (en) * 1977-06-02 1980-08-12 Purdue Research Foundation Semi-stable total knee prosthesis
US4224697A (en) * 1978-09-08 1980-09-30 Hexcel Corporation Constrained prosthetic knee
DE3922294C1 (ko) * 1989-07-07 1991-01-03 Eska Medical Luebeck Medizintechnik Gmbh & Co, 2400 Luebeck, De
US5282867A (en) * 1992-05-29 1994-02-01 Mikhail Michael W E Prosthetic knee joint
CN102006840B (zh) * 2008-02-18 2015-06-17 麦克斯外科整形公司 具有高阶nurbs曲面的全膝关节置换假体
DE102014204326A1 (de) * 2014-03-10 2015-09-10 Waldemar Link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Prothesenteile und Satz mit einer derartigen Verbindungseinrichtung und zwei Prothesen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UA20163485A1 (it) 2017-11-16
WO2017199134A1 (en) 2017-11-23
US20190282369A1 (en) 2019-09-19
EP3457993A1 (en) 2019-03-27
CN109195553A (zh)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4987B1 (en) Knee prosthesis
US970708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knee joint replacement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substitution
US8911501B2 (en) Cruciate-retaining tibial prosthesis
AU771796B2 (en) Modular joint prosthesis system
US8470047B2 (en) Fixed-bearing knee prosthesis
US4714474A (en) Tibial knee joint prosthesis with removable articulating surface insert
EP3466375A1 (en) Knee prosthesis
JPH05184612A (ja) 自然の関節の置換のための人工関節とくにひざ人工関節
KR20190008866A (ko) 무릎용 구속형 이격부 장치
US9005300B2 (en) Tibial insert locking mechanism
KR101891902B1 (ko) 역행성 무릎 보철물
US9668871B2 (en) Cruciate-retaining tibial prosthesis
KR20190008254A (ko) 무릎용 구속형 인공삽입물
EP3634319B1 (en) Modular knee prosthesis
KR20100110157A (ko)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EP2962667A1 (en) Cruciate-retaining tibial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