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77A -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77A
KR20190008077A KR1020180054207A KR20180054207A KR20190008077A KR 20190008077 A KR20190008077 A KR 20190008077A KR 1020180054207 A KR1020180054207 A KR 1020180054207A KR 20180054207 A KR20180054207 A KR 20180054207A KR 20190008077 A KR20190008077 A KR 2019000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resource se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964B1 (ko
Inventor
김기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6/027,93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15290B2/en
Priority to CN201810756991.4A priority patent/CN109257821B/zh
Publication of KR2019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에서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CSI-RS 설정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는 단말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Method for beam management by using CSI-RS in new radio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본 발명에서는 NR[New Radio]라 지칭하도록 함.)에서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CSI-RS 설정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NR은 LTE/LTE-Advanced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고,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재 NR MIMO에서 빔 관리(beam management)와 관련한 CSI-RS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빔 관리(beam management)와 관련하여, NR 내에서 기본적으로 정의된 CSI-RS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 빔(multiple Tx beam)을 전송하기 위한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단말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기지국이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빔 관리(beam management)와 관련하여, NR 내에서 기본적으로 정의된 CSI-RS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 빔(multiple Tx beam)을 전송하기 위한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OFDM 심볼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TE-A의 CSI-RS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1 port CSI-RS 설정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2 port CSI-RS 설정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IFDMA 기법을 이용한 단일 심볼 내 서브 타임 유닛(sub-time unit)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이 단일 심볼 내 다중 반복 신호 구간을 만들어, 단말이 수신빔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단말에 공백 PDSCH(empty PDSCH)를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CSI-RS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단말에 공백 미니-슬롯(empty mini-slot)을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CSI-RS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CSI-RS 자원을 활용한 멀티 심볼 CSI-RS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CSI-RS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CSI-RS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5G NR ]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스킴(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별 요구(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 레이턴시(latenc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 요구(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에 대해 하나의 NR 캐리어(carrier)를 통해 TDM, FDM 또는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레퍼런스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지속기간(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레퍼런스 지속기간(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time unit)으로서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뉴머롤러지에 관계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슬롯의 전송 지시(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 링크 전송(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모든 심볼이 상향 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하향 링크 부분(DL portion) + (gap) + 상향 링크 부분(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또는 SCS)에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또는 슬롯 병합(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러지 기반의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된 0.5ms(7 symbols) 또는 1ms(14 symbol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슬롯(mini-slot)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러지를 TDM 방식 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러지 별로 정의된 슬롯(또는 미니-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7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0.5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약 0.1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또는 서로 다른 TTI 길이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 NR DMRS ]
CSI는 기존 CRS를 통한 채널 추정을 대신하기 위한 Channel State Indicator로 망에 대한 채널 상태를 제공한다. 셀 특정이지만 UE의 RRC 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CSI-RS(CSI Reference signal)은 LTE Release 10에서 도입이 되었다. CSI-RS는 복조 RS를 추정하여 UE가 채널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 LTE Rel-8/9에서는 셀에서 최대 4개의 셀-특정(cell-specific) RS(CRS)를 지원했었다. 하지만 LTE-A(Rel-10)으로 진화하면서 최대 8개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는 셀 참조 신호를 위하여 CSI를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서 안테나 포트는 15-22로 도 2와 같이 할당되며, 자원 할당은 RRC 설정을 통해서 전송 주기 및 매핑이 결정된다. 표 1은 normal CP에서 CSI-RS configuration을 통한 매핑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현재 NR MIMO에서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관련 CSI-RS 합의 사항 일부를 도출하였으며, NR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agreements를 도출하였다.
Agreements:
- CSI 획득을 위한 CSI-RS 자원 요소의 패턴과 관련하여, OCC 기반 CDM을 위한 CSI 획득을 위해 적어도 이하의 CSI-RS 자원 요소 패턴을 지원한다.(Regaring CSI-RS RE Patterns for CSI Acquisition, support at least the following CSI-RS RE patterns for CSI acquisition for OCC based CDM)
Figure pat00002
- 주의: X-포트 CSI-RS 자원을 위한 자원 요소 패턴은 동일 슬롯의 N ≥ 1의 OFDM 심볼에 걸쳐 존재하며, 하나 또는 복수의 CSI-RS 자원 요소 패턴으로 구성되며, 이 때 구성 요소인 CSI-RS 자원 요소 패턴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Y개의 인접한 자원 요소 및 시간 도메인에서 Z개의 인접한 자원 요소로 구성된 단일 PRB 내에서 정의된다.(Note: The RE pattern for an X-port CSI-RS resource spans N ≥ 1 OFDM symbols in the same slot and is comprised of one or multiple component CSI-RS RE patterns, where a component CSI-RS RE pattern is defined within a single PRB as Y adjacent RE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Z adjacent REs in the time domain)
- 주의: 밀도 1/2는 모든 포트에 대해 동일한 콤 오프셋을 가지는 PRB-레벨의 콤에 기초한다.(Note: Density 1/2 is based on a PRB-level comb with the same comb offset value for all ports.)
- 주의: CDM2와 CDM4(FD2,TD2)를 위한 자원 요소들은 인접한 자원 요소들로 구성된다.(Note: REs for CDM2 and CDM4(FD2,TD2) comprise adjacent REs)
- 주의: RAN1에서 전술한 테이블에 엔트리를 추가하는 것에 대해 논의를 계속할 것이다.(Note: RAN1 will continue discussing adding more entries to the above table)
Agreements:
빔 관리를 위해 하나의 OFDM 심볼에서 1-포트 및 2-포트의 CSI-RS가 사용될 수 있다.(CSI-RS resource with 1-port and 2-port for one OFDM symbol can be used for beam management)
- D(D>=1)의 값은 OFDM 심볼 내의 RE/RB/포트를 나타낸다.(Value of D>=1 represents RE/RB/port within a OFDM symbol.)
- 1-포트의 경우(For the case of 1-port)
CDM 없음(No CDM)
D>1인 PRB 내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within a PRB for D>1)
짝수 스페이싱(Even spacing)
PRB에 대해 상수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Constant subcarrier spacing across PRB(s))
BWP 내에서 상수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Constant subcarrier spacing within a BWP)
D의 값은 FFS(FFS the values of D)
- 2-포트의 경우(For the case of 2-port)
적어도 D=1에 대해서는 (만약 지원시) CSI 획득의 경우와 동일한 패턴을 재사용함 (Reuse the same pattern as that of for CSI acquisition at least for D=1 (if supported))
FFS: 빔 관리를 위한 CSI-RS OFDM 심볼의 가능한 개수(FFS: the potential number of CSI-RS OFDM symbols for beam management)
FFS: 빔 관리를 위한 X 및 D의 다른 값(FFS: other values of X and D for beam management)
LS에서 RAN4에서, RAN1에서 1-포트 및 2-포트의 CSI-RS 자원에 대한 D값을 {1,2,3,4,6}의 제한된 셋에서 정하는 내용을 논의 중이다. RAN4는 1-포트 및 2-포트의 CSI-RS 자원에 대한 D값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값을 제공할 것이다.(In the LS to RAN4, add "RAN1 are discussing the respective possible limited set values of D for 1-port and 2-port CSI-RS resource, e.g., taking from {1, 2, 3, 4, 6}. RAN4 is also welcome to provide inputs to select the values of D for 1-port and 2-port CSI-RS resources, respectively")
현재 NR MIMO에서는 직접적으로 단일 심볼 내에 여러 개의 빔을 전송하는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을 제공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NR 내에 기본적으로 정의된 CSI-RS 설정 방법을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단일 심볼 내에 여러 개의 빔을 전송하는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까지 NR MIMO의 빔 관리(beam management) 에서는 CSI-RS 관련 사항에서 크게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 1 port CSI-RS 전송
o CDM 사용하지 않음
o 1 심볼에 RB 당 밀도(density) D={1, 2, 3, 4, 6}개를 전송할 수 있음
o CSI-RS RE는 모두 균등한 간격으로 위치함
● 2 port CSI-RS 전송
o CSI-RS 중 CSI-acquisition을 위해 결정된 구조 재사용
o (Y,Z)=(2,1)
o FD-CDM 적용함.
1. 1 port CSI- RS를 이용한 빔 관리(beam management)
해당 모드에서는 CSI-RS 한 개 포트만을 이용하여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수행한다. 이때 빔 관리(beam management)란 기본적으로 TRP(gNB)의 전송 Tx 빔과 단말의 Rx 빔을 정렬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해당 Tx-Rx 빔의 쌍(beam pair)가 정확하게 일치할수록 송수신 정확도가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는 CSI-RS를 빔 관리(beam management) 용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NR MIMO에서는 CSI-RS 1개 포트 또는 2개 포트만을 이용하여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1 포트 CSI-RS 전송 모드에서는 아래 도 3과 같은 배치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1 RE/PRB/port 당 density는 D=3이 된다.
이러한 1 port CSI-RS 전송 모드는 아래 표 2의 CSI 획득(CSI acquisition)을 위한 CSI-RS 패턴을 재사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X는 전체 포트 수, N은 전체 심볼 수, (Y,Z)은 기본 RE패턴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Y는 주파수 축 연속적인 RE 개수, Z은 시간 축 연속적인 심볼 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해당 모드에서는 CSI-RS 두 개 포트만을 이용하여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수행한다. 현재 NR MIMO에서는 CSI-RS를 1개 포트 또는 2개 포트만을 이용하여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2 포트 CSI-RS 전송 모드에서는 기존 2 포트 CSI-RS 패턴을 재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 표 3의 구조가 그대로 재활용된다.
예를 들어 2 포트 CSI-RS 전송 모드에서는 아래 도 4과 같은 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가 이루어지면 CSI-RS 1개 포트 당 (RE/PRB/port당) density 는 D=1이 된다. 여기에서는 주파수 축으로 연속적인 2 개 RE들에 CSI-RS 포트들이 주파수 영역으로 코드 분할 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CSI-RS AP(antenna port) #0 가 CDM=[+1, +1], AP#1이 CDM=[+1, -1]로 스프레딩(spreading)되어 다중화될 수 있다.
이러한 2 port CSI-RS 전송 모드는 아래의 표 3의 CSI 획득(CSI acquisition)을 위한 CSI-RS 패턴을 재사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위에서 설명한 2 가지 CSI-RS 구조에서는 기본적으로 단일 OFDM 심볼에서 여러 개의 빔을 전송하는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을 제공할 수 없다.
단일 심볼 내에서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을 도입하는 이유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단계에서 Tx-Rx 빔의 쌍(beam pair)을 보다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찾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IFDMA(Interleav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단일 심볼 내에 반복적으로 여러 개의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이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에서는 단일 심볼 내에 동일한 데이터, 즉 빔 추정을 위한 신호를 4번 반복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단일 포트 CSI-RS 를 이용한 빔 관리(beam management)에서는 IFDMA를 이용하여 단일 심볼 내에 반복적인 멀티 빔 구간 생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현재 표준화 단계에서는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이를 생성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IFDMA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CSI-RS 심볼 영역에 데이터가 다중화(multiplexing)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포트 CSI-RS 전송에 있어서, IFDMA 또는 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large subcarrier spacing) 등을 이용하여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을 생성하기 위한 CSI-RS 포트 설정 및 데이터 다중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추후 다중 CSI-RS 포트를 이용한 서브-타임 유닛(sub-time unit)의 빔 생성 시에 동일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단말과 기지국이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해 구성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단말에게 공백 PDSCH(empty PDSCH)를 할당하고, 해당 데이터 영역에 CSI- RS 를 전송하여 CSI- RS 심볼에 데이터가 다중화(multiplexing)되지 않는 형태를 구현한다.
기본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gNB가 설정하여 단말에게 전송하는 CSI-RS 심볼들은 일반 데이터 심볼과 다중화 된다. 즉 하나의 심볼 영역에서 CSI-RS RE(resource element)와 데이터 RE들이 함께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CSI-RS의 밀도(density)를 최소로 하여 전송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매핑 방법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 심볼 내에 동일한 신호가 반복되는 형태로 전송 빔(Tx beam)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CSI-RS 심볼은 데이터와 다중화되지 않고, 단독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CSI-RS RE와 데이터 RE과 동일 심볼 내에서 다중화 되지 않고 전송되어야만, 도 6의 오른쪽과 같이 시간영역에서 반복적인 신호 생성이 이루어져 단말이 수신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CSI-RS를 기존 데이터와 다중화하지 않고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는 방법과 관련하여 공백 PDSCH(empty PDSCH)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은 UE에게 공백 PDSCH(empty PDSCH)를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CSI-RS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NR MIMO에서 CSI-RS 는 단말-특정(UE-specific)하게 설정되어 단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gNB는 단말의 PDSCH 할당 대역과 CSI-RS 전송 대역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공백 PDSCH(empty PDSCH)를 설정하고 해당 정보를 단말에게 시그널링한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공백 PDSCH(empty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임을 알고, 실제 데이터 복호 동작을 수행하는 대신에, 해당 영역에서 전송된 CSI-RS만을 이용하여 빔 관리(beam management) 동작만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gNB가 단말에게 공백 PDSCH(empty PDSCH)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즉, 공백 PDSCH(empty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기존과 동일하게 PDCCH를 통해 DL 그랜트(grant)의 DCI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달하거나 RRC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에게 해당 자원 영역이 공백 PDSCH(empty PDSCH) 영역인지 여부를 지시해주는 방법은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1. PDCCH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 내에 추가 필드를 정의한다.
해당 스케줄링 방법에서는 단말-특정(UE-specific)한 자원 설정 영역과 CSI-RS 전송 주기, 전송 대역폭이 적어도 겹쳐지는 서브프레임/슬롯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CI 필드 내에 공백(empty)에 대한 정보를 1비트 정도로 직접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2. 공백 PDSCH(Empty PDSCH)의 전송 설정 정보를 RRC로 설정한다.
해당 방법에서는 직접적인 동적(dynamic) 시그널링(DL 그랜트(grant) 내 DCI를 통한 지시)이 없는 대신에, RRC 시그널링으로 공백 PDSCH(empty PDSCH)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는 PDSCH 스케줄링 정보가 단말에게 전달되더라도, 단말은 이를 공백 PDSCH(empty PDSCH)로 가정하고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수행한다.
3. 공백 PDSCH(Empty PDSCH)의 전송 설정 정보를 RRC로 설정하고 실제 트리거(trigger)는 DCI 내 필드를 이용한다.
해당 방법에서 공백 PDSCH(empty PDSCH) 전송에 대한 주기, 위치 등을 RRC로 설정하고, 실제 해당 서브프레임/슬롯에서 공백 PDSCH(empty PDSCH) 전송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DCI 내부의 필드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지시한다. 이 때, DCI 필드 내에서 공백 PDSCH(empty PDSCH) 전송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는 직접적인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 있는 reserved 필드 등을 우회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단말에게 공백 미니 슬롯(empty mini-slot)을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CSI- RS 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 1'의 공백 PDSCH(empty PDSCH)와 동일한 프로시저를 가지지만, 미니-슬롯(mini-slot)을 이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도 8은 UE에게 공백 미니-슬롯(empty mini-slot)을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CSI-RS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NR에서는 슬롯 외에 미니-슬롯(mini-slot) 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플렉시블(flexible)한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것은 URLLC 등과 같이 짧은 시간에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미니-슬롯(mini-slot)의 특성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내에 일부 영역을 공백 영역(empty space)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이 빔 관리(beam management)용 CSI-RS가 전송되는 구간을 미니-슬롯(mini-slot)을 이용하여 공백 영역(empty space)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서브프레임 내 데이터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PDSCH 전송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백 미니-슬롯(empty mini-slot)을 설정하는 방법 역시 앞서 언급한 '실시예 1'의 3 가지 방법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1. PDCCH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내에 추가 필드를 정의한다.
2. 공백 미니-슬롯(empty mini-slot)의 전송 설정 정보를 RRC 설정한다.
3. 공백 미니-슬롯(empty mini-slot)의 전송 설정 정보를 RRC로 설정하고 실제 트리거(trigger)는 DCI 내 필드를 이용한다.
실시예 3. Multiple Tx beam(다중 전송 빔)을 전송하기 위해서 슬롯 내 또는 서브프레임 내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주파수에 서로 다른 CSI- RS 자원(resource)를 할당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단일 심볼 내에서 연속적인 반복 구간을 생성하는 빔 관리(beam management)에 대한 내용을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포함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gNB또는 TRP단의 전송 빔이 고정적으로 반복되어 전송되므로, NTX개의 빔을 모두 스위핑(sweeping)하기 위해서는 NTX개의 서브프레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 다수의 Tx 빔을 단일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9는 복수의 CSI-RS 자원(Multiple CSI-RS resource)을 활용한 멀티 심볼 CSI-RS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CSI-RS 패턴은 기존의 CSI 획득(CSI acquisition)을 위해 정의된 패턴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기본 패턴, 밀도(density) 등이 그대로 지켜진다. 따라서, 추가로 CSI-RS를 할당하기 위해서 빔 관리(beam management) CSI-RS를 특정 구간에 복수의 CSI-RS 자원(multiple CSI-RS resource)을 다수 개 할당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CSI-RS 자원 별로 기존의 CSI-RS 패턴, 밀도(density) 등이 지켜지기 때문에 기존의 CSI-RS 패턴의 재사용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다중 심볼 구간 또는 단일 심볼 내에 여러 개의 CSI-RS resource를 할당하여, gNB에서 복수의 Tx 빔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CSI-RS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CSI-RS에 대한 시구간 자원에 있어서,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이 서로 겹치지 않고, 서로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CSI-RS 자원이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은 각각 하나일 수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은 다양한 심볼 길이의 시구간 자원에 할당되는 대신에, 모두 단일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심볼은 서로 인접한 심볼일 수도 있으나 서로 이격된 심볼일 수도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이 모두 인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고정된 심볼 간격 또는 변경 가능한 심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의 전송 빔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e.g.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 모두에 대해서 고정된 전송 빔(Tx Beam) - 일 예로, 동일한 전송 주기 및 안테나 포트 넘버를 가지는 전송 빔 - 을 통해 전송된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CSI-RS 자원은 모두 고정된 전송 빔으로 설정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며,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모두 고정된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전송 빔의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러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단말은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010).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CSI-RS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먼저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할 수 있다(S1100).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CSI-RS에 대한 시구간 자원에 있어서,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이 서로 겹치지 않고, 서로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CSI-RS 자원이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은 각각 하나일 수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은 다양한 심볼 길이의 시구간 자원에 할당되는 대신에, 모두 단일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심볼은 서로 인접한 심볼일 수도 있으나 서로 이격된 심볼일 수도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이 모두 인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고정된 심볼 간격 또는 변경 가능한 심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10).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의 전송 빔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e.g.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 모두에 대해서, 고정된 전송 빔(Tx Beam) - 일 예로, 동일한 전송 주기 및 안테나 포트 넘버를 가지는 전송 빔 - 을 통해 전송된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CSI-RS 자원은 모두 고정된 전송 빔으로 설정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며,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모두 고정된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전송 빔의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러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은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20).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기지국(1200)은 제어부(1210)와 송신부(1220), 수신부(1230)를 포함한다.
제어부(1210)는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CSI-RS에 대한 시구간 자원에 있어서,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이 서로 겹치지 않고, 서로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CSI-RS 자원이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은 각각 하나일 수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은 다양한 심볼 길이의 시구간 자원에 할당되는 대신에, 모두 단일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심볼은 서로 인접한 심볼일 수도 있으나 서로 이격된 심볼일 수도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이 모두 인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고정된 심볼 간격 또는 변경 가능한 심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송신부(1220)와 수신부(12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1220)는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단말로 전송하고,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의 전송 빔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e.g.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 모두에 대해서, 고정된 전송 빔(Tx Beam) - 일 예로, 동일한 전송 주기 및 안테나 포트 넘버를 가지는 전송 빔 - 을 통해 전송된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CSI-RS 자원은 모두 고정된 전송 빔으로 설정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며,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모두 고정된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전송 빔의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러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1300)은 수신부(1310), 제어부(1320) 및 송신부(1330)를 포함한다.
수신부(1310)는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CSI-RS에 대한 시구간 자원에 있어서,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이 서로 겹치지 않고, 서로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CSI-RS 자원이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CSI-RS 자원에 할당된 심볼은 각각 하나일 수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은 다양한 심볼 길이의 시구간 자원에 할당되는 대신에, 모두 단일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CSI-RS 자원을 구성하는 심볼은 서로 인접한 심볼일 수도 있으나 서로 이격된 심볼일 수도 있다. 즉, 각 CSI-RS 자원이 모두 인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고정된 심볼 간격 또는 변경 가능한 심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의 전송 빔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e.g.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 모두에 대해서 고정된 전송 빔(Tx Beam) - 일 예로, 동일한 전송 주기 및 안테나 포트 넘버를 가지는 전송 빔 - 을 통해 전송된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CSI-RS 자원은 모두 고정된 전송 빔으로 설정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며,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모두 고정된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로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 정보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전송 빔의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러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각 CSI-RS 자원에 대한 전송 빔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이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하나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모두 고정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기지국이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하나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모두 고정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CSI-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통해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하나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모두 고정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CSI-RS를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된 CSI-RS 자원 셋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CSI-RS 자원 셋에 대한 구성 정보는,
    상기 CSI-RS 자원 셋에 포함된 각 CSI-RS 자원에 대한 빔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서로 다른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하나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모두 고정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CSI-RS 자원은 상기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전송 빔(Tx Bea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80054207A 2017-07-14 2018-05-11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 KR10212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27,937 US10715290B2 (en) 2017-07-14 2018-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based on channel state indicator-reference signal
CN201810756991.4A CN109257821B (zh) 2017-07-14 2018-07-11 用于基于信道状态指示符-基准信号的波束管理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54 2017-07-14
KR20170089654 2017-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77A true KR20190008077A (ko) 2019-01-23
KR102128964B1 KR102128964B1 (ko) 2020-07-02

Family

ID=6532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07A KR102128964B1 (ko) 2017-07-14 2018-05-11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456A (ko) * 2015-10-30 2017-05-12 주식회사 케이티 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456A (ko) * 2015-10-30 2017-05-12 주식회사 케이티 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779* *
3GPP R1-1709204 *
3GPP R1-171025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964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6181B (zh) 为新无线电配置关于分量载波的频率资源的方法及其装置
CN109328481B (zh) 在下一代无线接入网络中发送或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CN109586883B (zh) 用于新无线电的上行链路控制信道资源分配的装置和方法
US11765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CN109257821B (zh) 用于基于信道状态指示符-基准信号的波束管理的装置和方法
CN109391458B (zh) 用于在新无线电中多路复用dmrs和数据的方法及其装置
US20220095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2020007493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05472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dmrs와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0114997B (zh) 针对下一代无线接入网络分配数据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KR20190013636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부가 dmrs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1345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호핑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11307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KR102198015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dmrs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14949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114919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0019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EP34626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stem information for terminal in new wireless access network
KR102128964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csi-rs를 이용한 빔 관리 방법
KR20180131427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dmrs 포트를 할당 및 다중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144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45099A (ko)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심볼 레벨 alignment를 위한 CP설정 방법 및 장치
EP35443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