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43A - Vacuum sealing case - Google Patents

Vacuum sealing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43A
KR20190008043A KR1020170089909A KR20170089909A KR20190008043A KR 20190008043 A KR20190008043 A KR 20190008043A KR 1020170089909 A KR1020170089909 A KR 1020170089909A KR 20170089909 A KR20170089909 A KR 20170089909A KR 20190008043 A KR20190008043 A KR 2019000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side wall
electromagne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5317B1 (en
Inventor
손부경
Original Assignee
손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부경 filed Critical 손부경
Priority to KR102017008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317B1/en
Priority to PCT/KR2017/013655 priority patent/WO2019013405A1/en
Publication of KR2019000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ealing case capable of electronically controlling evacu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sealing case comprises: a case body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a component receiv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ase body, and including an air suction device evacuating the storage space and a power supply unit to supply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The air suction device comprises: an electromagnet received in at least one space part disposed in the component reception part and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space part; a moving wall par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art,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and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on an one wall side and a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wall side; and an elastic body coupling both ends to the one wall and the moving wall part to provide the moving wall part with a restoration force toward the first position, wherein a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art and the other wall is a sealed spac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moving wall part approaches the electromagnet by magnetism to be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air of the reception space flows into the sealed space through a suction hole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wall to allow the sealed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reception space.

Description

진공 밀폐 케이스{VACUUM SEALING CASE}VACUUM SEALING CASE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내부의 수용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용공간에 진공을 형성하거나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전자식으로 진공을 형성하는 제어가 가능한, 진공 밀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ealing case for discharging air in a receiving space inside a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to form a vacuum in a receiving space or to release a vacuum state, As far as possible.

진공 밀폐 케이스는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밀폐시켜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밀폐 보관하는 제품이다.The vacuum sealed case is a product which enclose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a vacuum state to enclose the contents such as food and the like.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진공 밀폐 케이스는 내용물을 용기에 수납한 후 뚜껑(2)을 닫고 뚜껑(2)의 만곡돌부를 적당한 힘으로 손으로 수동 가압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용기 내부에 있는 공기가 통공(6)과 관통홈(12)으로 배출되므로 작동밸브(7)가 상부로 들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밸브(7)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 버튼(3)의 걸림돌기(14)도 삽입요구(10)의 내공간에 적당하게 유동되도록 안내되어 상부로 승강되므로, 용기 내부에 잔재된 공기가 통공(6)과 관통홈(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용기 내부가 진공화되는 원리이다.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vacuum sealed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a conventional vacuum enclosure, the contents are stored in a container, then the lid 2 is closed, and the curved protrusion of the lid 2 is manually pressed by hand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a vacuum state. The air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through hole 6 and the through groove 12 so that the operating valve 7 is lifted upwards and the stopper of the pressing button 3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valve 7 14 are also guided so as to appropriately flow in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request 10 and are lifted up and down so that the ai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6 and the through grooves 12, It is a principle to be trans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는 진공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필요 이상으로 강한 가압력을 인가할 경우에 용기가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등, 수동 작동 방식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However, such a vacuum sealed cas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manually operated in order to realize vacuum, and when the strong pressing force is applied more than necessary, the container easily breaks down or breaks, Has been rais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인가에 의하여 전자식으로 진공 형성 제어가 가능한 진공 밀폐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capable of electronically controlling vacuum formation by power appl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영구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일측벽 쪽의 제1 위치와 공간부의 타측벽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 벽부와, 상기 일측벽과 상기 이동 벽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 벽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벽부와 상기 타측벽 사이의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자석에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 벽부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타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enclosure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ccommodates an air suction device for forming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wer supply portion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magnet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housing portion and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permanent magnet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side wall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that is coupled at one end to the one wall and the moving wall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wall portion Wherein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ther side wall is a sealed space, and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closed space through the intake port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closed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

또한,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밀폐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석에 상기 전압이 인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 벽부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movable wall portion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nd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nd the air in the closed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전자석에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 벽부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벽부의 반복 이동에 의해 상기 밀폐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상기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As the application and release of the voltage to the electromagnet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movable wall portion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movable wall portion is repeatedly moved to the closed space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repeatedly, so that a vacuum can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전자석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일측 쪽의 제1 위치와 상기 타측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자성체와, 일면이 상기 자성체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제2 전자석에 부착되는 신축성 에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는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중 하나의 전자석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제1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 튜브가 신장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 공간이 늘어나면서 상기 타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 내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에어 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enclosure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ccommodates an air suction device for forming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wer supply portion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magnet and a second electromagnet which are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 flexible air tube whose one side is coupled to the magnetic body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wherein the inside of the air tube is a closed space, and the power supply part A voltage is selectively applied only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The magnetic body is magnetically mov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to move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air tube is elongated and the inner space of the air tube is elongated to be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And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air tube through a communication inlet.

또한,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에어 튜브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 해제되고, 상기 제2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제2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 튜브가 수축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urther, on the other side wall,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ir tube and the outside is further form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The air tube is contracted while approaching the electromagnet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air inside the air tub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tube is reduced.

또한, 상기 제1 전자석과 상기 제2 전자석에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자성체의 반복 이동에 의해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로의 공기 흡입 및 상기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As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and the release of th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magnetic body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ir suction into the inside of the air tube and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are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a vacuum can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일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전자석과 타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이동 벽부와, 상기 전자석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이동 벽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이동 벽부에 고정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와 일측벽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와 타측벽 사이의 제2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자석에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석의 자성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전자석 상방 평면에서 병진 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일체로 운동하며, 상기 영구 자석이 일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영구 자석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enclosure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ccommodates an air suction device for forming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wer supply portion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magnet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housing portion and fixed between one side wall and an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electromagnet and the other side wall, and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disposed on the electromagnet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movable wall portion, And a permanent magnet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wherein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ne side wall and a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Wherein when the puls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permanent magnet is translationally moved in the electromagnet upper plane by the magnetism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wall Wherein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permanent magnet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when the air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또한, 상기 일측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one side wall may have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side wall may have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2 may be formed with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영구 자석이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영구 자석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one side wall,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

또한, 상기 제1 이동 벽부, 상기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의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translating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repeatedly, and a vacuum can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일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샤프트에 고정된 제1 이동 벽부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타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된 제2 이동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와 일측벽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와 타측벽 사이의 제2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샤프트가 병진 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운동하며, 상기 제1 이동 벽부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 이동 벽부가 타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enclosure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 air intake devi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to form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wer supply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intake device is accommodated;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 push-pull solenoid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 between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first moving wal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push-pull solenoid and the other side wall and fixed to the shaft of the push-pull solenoid, and a second moving wal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push- And a second moving wall portion fixed to the plunger of the solenoid, wherein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ne side wall and the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ther side wall are sealed spaces, The shaft moves transversely,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When the first moving wall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moving wall part moves to the other side wall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또한, 상기 일측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one side wall may have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side wall may have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2 may be formed with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샤프트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샤프트가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ft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shaf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in the first space, have.

또한, 상기 제1 이동 벽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의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translating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the shaft,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ir is suck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paces repeatedly, so that a vacuum can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

또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흡입될 때에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일방향 흡입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suction valve that opens the suction port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and closes the suction port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개방홀에는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개방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흡입될 때에는 상기 개방홀을 폐쇄시키는 일방향 배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opening hole is opened in the opening hole, And a unidirectional discharge valve closing the opening hole may be provided when sucked into the space.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주름식으로 신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ntainer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또한, 상기 부품 수용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로의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를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portion so as to repeatedly apply and release the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에 따르면, 내용물을 보관시에는 공기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내용물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밀폐 마개의 개방에 의해 내부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hermetic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the inside of the case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using an air suction device. When the contents are to be access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tent can be stored and used hygienically by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germs inside the case.

또한, 공기 흡입 장치는 전압의 반복적인 인가로 자동으로 구동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진공을 형성이 용이한바,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suction device is automatically driven by repeated application of voltage, it is easy to form a vacuum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has an advantage of convenience in use.

또한, 공기 흡입 장치는 매번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용기의 파손 우려가 현저히 낮아 사용 수명이 길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air suction device operates to suck air at the same pressure each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iner is likely to be damaged and the service life is lo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분 개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에서 이동 벽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b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에서 이동 벽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품 수용부 및 상부 커버가 결합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개념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밀폐 마개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밀폐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수용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vacuum sealed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open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enclosure of FIG.
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vacuum hermetic casing of Fig.
FIG. 5A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wall portion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air suction device of the vacuum hermetic case of FIG. 2A.
FIG. 5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wall portion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air suction device of the vacuum enclosure of FIG. 2A.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mponent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cover of the vacuum hermetic case of Fig. 2 are combined.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and 10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ir suction apparatus of the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ir suction device of the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cap of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aling cap of Fig. 13A. Fig.
14A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14A. Fig.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necessary.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role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custom.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분 개방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에서 이동 벽부가 제1 및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b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에서 이동 벽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부품 수용부 및 상부 커버가 결합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hermetic ca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open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hermetic casing of FIG. 2, FIG. 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vacuum hermetic casing of FIG.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ction device of the vacuum closing case of FIG. 2A, in which the moving wall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FIG.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cover of the vacuum enclosure of FIG. 2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100)는 용기 본체(110), 부품 수용부(130) 및 상부 커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vacuu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10,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130, and an upper cover 190.

용기 본체(1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S)이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부 커버(190)를 탈거하여 수용 공간(S)에 내용물을 수납한다. 용기 본체(110)는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아코디언식(주름식, 자바라식) 접이수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is a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inside, and the upper cover 190 is detached to contain the contents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not limited. However,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configured to be stretched or contracted by an accordion type (crease-type or Java-style) folding means, and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adjusted.

다음, 부품 수용부(130)는 용기 본체(110)와 상부 커버(190)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S)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150)와, 공기 흡입 장치(15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170)가 수용된다. 부품 수용부(130)는 용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상부 커버(19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부품 수용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131)를 구비하며, 해당 공간부(131)에는 공기 흡입 장치(150)가 수용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부품 수용부(130)는 한 쌍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공간부(131)에는 공기 흡입 장치(150)가 수용되고, 다른 하나의 공간부에는 전원 공급부(170)가 수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70)가 수용된 공간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부품 수용부(130)는 또 다른 하나의 공간부를 구비하여 제어부(160)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품 수용부(130)는 용기 본체(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배치 위치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흡입 장치(150)가 수용된 공간부(131)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includes an air suction device 150 disposed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cover 190 and forming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S of the container main body 110, A power supply unit 170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apparatus 150 is accommodated. The component receiving portion 130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10 or may be fixed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a top cover 190 described later.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includes at least one space portion 131 and the air sucking device 15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131. 7,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130 includes a pair of space parts, one air space sucking device 150 is accommodated in one space part 131, and a power supply part 170 may be accommodated. The control unit 1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mounted in a space where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hous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may include another space portion to accommodate the controller 160. The component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110,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thereof.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131 in which the air suction device 150 is accommodated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다음, 상부 커버(190)는 용기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커버(190)는 용기 본체(110)에 결합시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에서 외부와 밀봉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에 패킹 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커버(190)가 용기 본체(110)와 결합하여 용기 본체(110) 내부의 수용 공간(S)을 밀폐시킴으로써, 부품 수용부(130)의 밀폐된 공간부(131)에서는 수용 공간(S)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에 배출하는 작동을 통해 수용 공간(S)을 진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커버(19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190)의 하측 내부에 전술한 부품 수용부(130)가 장착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190)는 그 중앙부에 중앙 공간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공간부(192)의 상부면으로는 밀폐 마개(191)가 설치 구비되되, 밀폐 마개(191)는 일측이 탄성 힌지식으로 회전되는 힌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타측을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힌지수단이 회전되면서 상부 커버(190) 내측의 중앙 공간부(192)가 개방된다. 또, 중앙 공간부(192)의 바닥면에는 하방의 수용 공간(S)과 연통하는 인출구(193)가 구비되어 있다. 인출구(193)는 예컨대 용기 본체(110)에 물티슈 케이스를 보관할 경우, 물티슈 케이스에 수납된 물티슈를 상방으로 인출할 때 사용하는 구성이다. 수용 공간(110)에 내용물을 수납하여 보관할 때에는 후술하는 공기 흡입 장치(150)을 작동시켜 수용 공간(S)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밀폐 마개(191)를 열어 내용물에 접근할 때, 예컨대 물티슈를 뽑아 사용할 때는 인출구(193)를 통해 수용 공간(S)의 진공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upper cover 19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upper cover 190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not shown) at its rim so as to be sealed from the rim of the container body 110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container body 110. The upper cover 190 is engaged with the container body 110 to seal the container space S in the container body 110 so that the container space 110 can be opened in the closed space 131 of the component container 130, It is possible to evacuate the accommodating space S through an operation of sucking in air of the sucke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shape of the upper cover 190 is not limi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mounted i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190. The upper cover 190 may have a central space 192 at its center. A hermetic seal 19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pace 192. The hermetic seal 191 is provided with a hinge means for rotating one side of the hermetic seal 191 in an elastically hinged manner, The central space 192 inside the upper cover 190 is opened.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192 is provided with a draw-out opening 193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outlet 193 is used when the wet tissue case i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110, for example, when the wet tissue contained in the wet tissue case is drawn upward.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an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kept in a vacuum state by operating the air suction device 150 described later. When the airtight seal 191 is opened to approach the contents, The vacuum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can be released through the outlet 193. [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밀폐 마개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13b는 밀폐 마개의 단면도이다. 밀폐 마개(191)에는 외부의 공기를 중앙 공간부(192)의 내부로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밀폐 마개(191)에는 하측면에 슬롯장홈(191a)이 형성되고, 슬롯장홈(191a)에는 중앙 공간부(192)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연통공(191b)이 형성되며, 슬롯장홈(191a)의 하부측은 그 바닥면을 막아주는 플레이트가 구비된다.FIG. 1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cap of a vacuum sealing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B is a sectional view of a sealing cap. The sealing cap 191 is provided with a vacuum release structure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192 to release the vacuum. Specifically, a slot 191a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cap 191, a communication hole 191b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central space 192 is formed in the slot elongated groove 191a, The lower side of the slot groove 191a is provided with a plate for blocking the bottom surface thereof.

진공해제구조는 밀폐 마개(191)에 형성되는 슬롯장홈(191a)에 삽설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작동돌기(d)가 형성되는 버튼부(194a)와, 슬롯장홈(191a)에 삽설되어 신축되는 탄성스프링(194b), 및 탄성스프링(194b)의 단부에 설치되고 작동돌기(d)가 끼워 고정면서 탄성스프링(194b)의 탄성력으로 연통공(191b)을 막아주거나 개방하는 고무부재(194c)로 구성된다.The vacuum release structure includes a button portion 194a having an operation protrusion d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ot slot 191a formed in the sealing plug 191, A rubber member 194b which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elastic spring 194b and which is fitted and fixed by the operating projection d while closing or opening the communication hole 191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94b ).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해제구조에 따르면, 공기 흡입 장치에 의해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S) 및 중앙 공간부(192)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빠져나간 진공 상태에서 밀폐 마개(191)를 개방시키기 위해 중앙 공간부(192)에 외부 공기를 주입해 줄 수 있다. 버튼부(194a)를 화살표을 따라 밀어주면 슬롯장홈(191a)에 구비된 탄성스프링(194b)은 탄성적으로 후퇴하면서 고무부재(194c)가 연통공(191b)을 개방시켜 외부공기가 슬롯장홈(191a)과 연통공(191b)을 통해 중앙 공간부(192)로 공급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밀폐 마개(191)를 개방하고 인출구(193)를 통해 내용물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release structur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n the sealing plug 191 in a vacuum state in which both the accommodation space S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the air in the central space portion 192 escape to the outside by the air suction device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central space 192. When the button portion 194a is pushed along the arrow, the resilient spring 194b provided in the slot groove 191a is elastically retracted so that the rubber member 194c opens the communication hole 191b so that external air flows through the slot 191a And the communication hole 191b to the central space 192 to release the vacuum state. In such a state, the closing plug 191 is opened and the contents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the outlet 193.

중앙 공간부(192)의 밀폐 마개(191)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는 전술한 전원 공급부(17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개방문(195)이 힌지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부품 수용부(130)가 상부 커버(190)의 하측 내부에 수용될 때, 개방문(195)의 하측에 부품 수용부(130)의 전원 공급부(170)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위치한다.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ling cap 191 of the central space 192 may be hinged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170 described above.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upply portion 170 of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located below the opening portion 195 whe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190.

부품 수용부(1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 장치(150)와 전원 공급부(170), 제어부(160)가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공기 흡입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0 accommodates the air suction device 150, the power supply portion 170, and the control portion 160,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air su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공기 흡입 장치(150)는, 공간부(131) 내에 수용되고, 공간부(131)의 일측벽에 설치된 전자석(151)과, 일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영구 자석(153a)이 구비되며 일측벽 쪽의 제1 위치와 공간부(131)의 타측벽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 벽부(153)와, 일측벽과 이동 벽부(153)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동 벽부(153)에 대하여 제1 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55)를 포함한다. The air suction device 150 includes an electromagnet 151 housed in the space 131 and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space 131, a permanent magnet 153a disposed parallel to the one side wall, And a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131. The movable wall 153 is coupled to one side wall and the moving wall 153 so that the moving wall 153 can be moved And an elastic body 155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position.

도 5a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100)의 공기 흡입 장치(150)에서 이동 벽부(153)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방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2a의 진공 밀폐 케이스(100)의 공기 흡입 장치(150)에서 이동 벽부(153)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방 사시도이다. 이동 벽부(153)는 전압의 공급이 없는 평상시에는 탄성체(155)의 탄성력을 받아 전자석(1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도 5b 참조). 전자석(151)에는 전술한 전원 공급부(170)에서 전압이 공급되며, 전압이 공급된 전자석(151)은 일시적으로 자성을 갖게 된다. 이동 벽부(153)에는 영구 자석(153a)이 설치되어 있는바, 전자석(151)에 전압이 인가되면 이동 벽부(153)의 영구 자석(153a)과 전자석(151) 사이에는 인력이 형성되어 이동 벽부(153)가 자성에 의해 전자석(151)에 접근하여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벽부(153)는 공간부(131)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그 테두리에 고무 패킹과 같은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동 벽부(153)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밀폐 공간(131s))을 밀폐시킨다. 다시 돌아가, 이동 벽부(153)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공간부(131)에서 밀폐 공간(131s)의 점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난다.5A is an ope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ving wall 153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air suction device 150 of the vacuum closing case 100 of FIG. 2A, FIG. 5B is an open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osing case 100 of FIG. In which the moving wall portion 153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air suction device 150 of FIG. The moving wall portion 153 is placed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magnet 151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5 in the normal state without the supply of the voltage. The electromagnet 151 is supplied with the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0, and the electromagnet 151 to which the voltage is supplied is temporarily magnetiz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151,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53a of the moving wall 153 and the electromagnet 151, (153) approaches the electromagnet (151) by magnetism and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t this time, the moving wall portion 153 is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131, and a sealing member such as a rubber packing is formed on the rim of the moving wall portion 153.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153 and the other side wall The sealed space 131s). When the moving wall portion 153 moves back to the first position, the space occupied by the closed space 131s in the space portion 131 is relatively increased.

이때, 공기 흡입 장치(150)가 수용되는 공간부(131)의 타측벽에는 흡입구(161)와 배출구(163)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61)는 전술한 밀폐 공간(131s)과 수용 공간(S)을 연통하고, 배출구(163)는 전술한 밀폐 공간(131s)과 외부를 연통한다. 이동 벽부(153)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여 공간부(131)에서 밀폐 공간(131s)의 점유 공간이 늘어나면 수용 공간(S)의 공기가 흡입구(161)를 통해 늘어난 밀폐 공간(131s)으로 유입된다(도 5a 참조). 한편, 전자석(151)에 전압이 인가 해제되면 제1 위치로 이동한 이동 벽부(153)는 탄성체(155)의 탄성력에 의해 전자석(15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되고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한다(도 5b 참조). 이동 벽부(153)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공간부(131)에서 밀폐 공간(131s)의 점유 공간이 다시 줄어들게 되고, 배출구(163)를 통해 밀폐 공간(131s)을 점유하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능으로 공기 흡입 장치는 수용 공간(S) 내부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펌핑 기능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a suction port 161 and a discharge port 163 are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131 in which the air suction device 150 is accommodated. The suction port 161 communicates with the above described enclosed space 131s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discharge port 163 communicates with the above described enclosed space 131s with the outside. When the movable wall portion 153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occupied space of the closed space 131s is increased in the space portion 131, the air in the containing space S is separated from the closed space 131s, (See Fig. 5A).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151, the moving wall 153 moved to the first position is driven to move away from the electromagnet 15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5, and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5b). The occupied space of the closed space 131s is reduced again in the space 131 when the moving wall 153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air occupying the closed space 131s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3 to the outside . With this function, the air suction device functions as a pumping device for expanding or compress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제어부(160)는 공기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를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전원 공급부(170)를 제어한다. 전술한 전자석(151)으로의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 벽부(153)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이동 벽부(153)의 반복 이동에 의해 밀폐 공간(131s)으로의 공기 흡입 및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수용 공간(S)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70 to repeatedly apply and release the voltage to the air suction apparatus 150. [ As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and release of the voltage to the electromagnet 151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moving wall portion 153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moving wall portion 153 is repeatedly moved Air suction into the closed space 131s and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are repeatedly performed. As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 vacuum is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한편,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수용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부품 수용부는 전원 공급부(170)를 수용하는 공간부(이하, 추가 공간부라고 칭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4a의 좌측에는 공기 흡입 장치(150)를 수용하는 공간부(131)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전원 공급부(170)를 수용하는 추가 공간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추가 공간부에는 해당 공간부의 저면에서부터 압력 측정용 센서(197), 가압 부재(198) 및 전원 공급부(1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14A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nent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14A. Referring to FIG. 14A,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upply portion 170. FIG. That is, a space 131 for accommodating the air suction device 1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FIG. 14A, and an additio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s shown in the figure, a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a pressing member 198, and a power supply unit 170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additional space portion where the power supply unit is receiv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pace portion.

공간부의 저면에는 압력 측정용 센서(197)를 안착하기 위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해당 리세스부에 상기 센서(197)가 장착된다. 이때, 해당 저면에는 리세스부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통공(h)이 형성되어 공간부와 수용 공간(S)를 연통시킨다. 압력 측정용 센서(197)는 수용 공간(S)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터치압력센서나 표면압력센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압력 측정용 센서(197)의 상방에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가압 부재(198)가 배치된다. 이때, 가압 부재(198)는 압력 측정용 센서(197)의 상방을 모두 커버 가능함과 동시에, 전술한 리세스부 주변의 통공(h)들이 형성된 영역까지 커버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A recess portion for seating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nd the sensor 197 is mounted on the recess portio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recess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the space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touch pressure sensor or a surface pressure sensor. Specifically, a pressing member 198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s disposed above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198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and to cover the area where the through holes h around the recess portion are formed.

전술한 공기 흡입 장치(150)의 작동으로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S)의 공기가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수용 공간(S)에는 점진적으로 진공 상태가 된다. 이때, 추가 공간부도 통공(h)들을 통해 수용 공간(S)과 연통되어 있는바, 수용 공간(S)이 진공 상태가 되는 과정에서는 추가 공간부의 공기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 공간부의 공기가 통공들을 통해 수용 공간(S)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추가 공간부의 가압 부재(198)는 점차적으로 압력 측정용 센서(197)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하게 되고, 이어서 통공(h)들을 모두 폐쇄하게 된다. 압력 측정용 센서(197)에서는 가압 부재(198)로부터 하방 가압력을 받고, 해당 가압력의 값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값이 저장되어 있고, 전달된 압력값을 임계 압력값과 비교하여, 압력값이 임계 압력값을 초과하면 수용 공간(S)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 전원 공급부(170)에 대하여 공기 흡입 장치(150)에 대한 전압 인가를 중단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진공 상태임을 확인하였을 때, 자동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다. 한편, 원치 않는 상황에 의해 수용 공간(S)에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 통공(h)들을 통해 추가 공간부의 내부에도 공기가 유입, 가압 부재(198)의 하방 가압력이 점차 낮아지면서 통공이 열리게 된다. 이때, 압력 측정용 센서에서는 가압 부재로부터 하방 가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압력 측정용 센서(197)는 측정된 가압력의 값을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값을 전달된 압력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압력값이 임계 압력값에 미달하면 수용 공간(S)의 내부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 전원 공급부(170)에 대하여 공기 흡입 장치(150)에 대한 전압을 재인가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컨트롤 방식에 따르면, 수용 공간(S)이 바람직하지 않은 원인으로 진공이 해제되더라도, 공기 흡입 장치(150)를 자동으로 재가동시켜 수용 공간(S)의 진공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of the container main body is suck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ir suction device 150,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gradually becomes a vacuum state. At this time, the additional space portion is also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 through the through holes h, so that the air in the additional space portion can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being in a vacuum state. In the process of the air in the additional spac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accommodation space S through the through holes, the pressing member 198 of the additional space portion gradually applies a downward pressure to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All the holes (h) are closed.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receives the downward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ing member 198, measures the value of the pressing forc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tores a preset pressure value preset by the user and compares the delivered pressure value with the critical pressure value. If the pressure value exceeds the critical pressur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in a vacuum state,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controlled to stop applying the voltage to the air suction apparatus 150. [ Accordingly, when the vacuum state is confirmed, the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On the other hand, when air enter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due to an unwanted situation and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additional space through the through holes h, and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198 gradually decreases A through hole is opened. At this time, in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the downward pressing force is reduced from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197 transmits the measured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reset pressure value preset by the user with the delivered pressure value. If the pressure value falls below the critical pressur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vacuum stat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released, and control is performed to apply the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150 to the power supply part 170 again. According to this control method, even if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released due to an undesirable reas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start the air suction device 150 to realize a vacuum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흡입구(161)에는 일방향 흡입 밸브(165)가 설치된다. 일방향 흡입 밸브(165)는 수용 공간(S)의 공기가 밀폐 공간(131s)으로 흡입될 때에는 흡입구(161)를 개방시키고, 밀폐 공간(131s)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흡입구(161)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방향 흡입 밸브(165)는 타측벽의 내측에서 흡입구(161)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밀폐 공간(131s) 내부로 일단 공기가 흡입되면 역으로 다시 수용 공간(S)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배출구(163)는 상부 커버(190)에 형성된 개방홀(196)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데, 개방홀(196)과 배출구(163) 사이에 공기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홀(196)에는 일방향 배출 밸브(166)가 설치되는데, 일방향 배출 밸브(166)는 밀폐 공간(131s)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개방홀(196)을 개방시키고, 수용 공간(S)의 공기가 밀폐 공간(131s)으로 흡입될 때에는 개방홀(196)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방향 배출 밸브(166)는 개방홀(196)의 외측에서 개방홀(196)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밀폐 공간(131s)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도 6에는 일방향 배출 밸브(166)가 개방홀(196)에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방향 배출 밸브(166)는 배출구(163)에 형성될 수도 있다.6, the suction port 161 is provided with a one-way suction valve 165. The one-way suction valve 165 opens the suction port 161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131s and the suction port 161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131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one-way suction valve 165 may be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161 from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wall. Thus, once the air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131s, it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S again. 6, the discharge port 16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hole 196 formed in the upper cover 190. An air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hole 196 and the discharge port 163 . A one-way discharge valve 166 is provided in the opening hole 196. The one-way discharge valve 166 opens the opening hole 196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131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 is closed to the open hole 196 when the air in the open space 191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131s. For example, the one-way discharge valve 166 may be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96 outside the opening hole 196. Thus, wh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131s, the air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one-way discharge valve 166 is formed in the opening hole 196, however, the one-way discharge valve 166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opening 163. FIG.

한편,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부품 수용부(13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한 쌍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각각 공기 흡입 장치(150)와 전원 공급부(170)가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부품 수용부(130)의 상방에는 부품 수용부(130)의 전술한 공간부(131)를 밀봉시키는 밀폐 시트(18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 장치(150)의 이동 벽부(153)와 밀폐 시트(180)에 의해 공간부(131)의 이동 벽부(153)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은 밀폐된다. 또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190)와 밀폐 시트 사이에는 상부 커버(190)와 용기 본체(110) 사이에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미들 커버(185)가 더 배치될 수 있다.4 and 7, the component receiving portion 130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pair of space por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to receive the air suction device 150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170, respectively, A sealing sheet 180 for sealing the space 131 of the component receiving part 130 may be formed above the component receiving part 130.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153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131 is sealed by the moving wall portion 153 of the air suction device 150 and the sealing sheet 180. A middle cover 185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190 and the sealing sheet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upper cover 190 and the container body 110.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100)에 따르면, 전압의 인가에 의해 공기 흡입 장치(150)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용기 본체(110)의 진공을 형성할 수 있는바,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 흡입 장치(150)는 매번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용기의 파손 우려가 현저히 낮아 사용 수명이 길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vacuu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ction device 150 is automatically driven by the application of a voltage to form a vacuum in the container body 1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Further, since the air suction device 150 is operated to suck air at the same pressure each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iner is likely to be damaged, and the service life is long.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200)는 용기 본체, 부품 수용부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밀폐 시트와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을 원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A vacuum enclosur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ody,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cover.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aling sheet and the middle cover. Since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vacuu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and repeated explana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200)는 부품 수용부(2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Meanwhile, the vacuum enclosur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air intake device constituting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230. [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흡입 장치는 공기 흡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부(23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전자석(251) 및 제2 전자석(252)과, 일측벽 쪽의 제1 위치와 타측벽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자성체(253)와, 일면이 상기 자성체(253)에 결합되고 타면이 타측벽 쪽의 제2 전자석(252)에 부착되는 신축성 에어 튜브(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 튜브(255)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식 벨로우즈 형태의 부재로서, 에어 튜브(255)의 내부는 자성체(253)와 타측벽쪽의 제2 전자석(252)에 의해 밀봉 상태가 유지된다. 다만, 에어 튜브(255)의 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측벽 쪽에 형성된 흡입구(261)를 통해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S)에 연통되고, 배출구(263)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8A to 8C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magnet 251 and a second electromagnet 252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a space portion 231 in which the air suction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electromagnet 252 on the other side of which the oth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magnetic body 253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on the other side wall side, the magnetic body 253 mov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side wall, (255). The air tube 255 is a bellows-shaped bellows-like memb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tube 255 is kept sealed by the magnetic substance 253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on the other side wall. The inside of the air tube 255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S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261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side and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3 as described later.

한 쌍의 전자석은 미리 설정된 면적을 갖는 판상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27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때 일시적으로 자성을 갖는다. 이때, 전원 공급부(270)에서는 어느 한 쪽의 전자석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한다. 에어 튜브(255)의 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253)가 구비되므로, 타측벽 쪽의 제2 전자석(252)에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제2 전자석(252)과 자성체(253)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자성체(253)가 자성에 의해 제2 전자석(252)에 접근하여 타측벽 쪽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에는 에어 튜브(255)가 수축하게 되고, 에어 튜브(255) 내의 공기는 배출구(2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제2 전자석(252)에 전압이 인가 해제되고 일측벽 쪽의 제1 전자석(251)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자석(251)과 자성체(253)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고 자성체(253)가 자성에 의해 제1 전자석(251)에 접근하여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자성체(253)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에어 튜브(255)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자성체(253)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여 에어 튜브(255)가 신장되면 흡입구(261)를 통해 수용 공간(S)의 공기가 늘어난 에어 튜브(255)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시, 제1 전자석(251)에 전압이 인가 해제되고 제2 전자석(252)에 전압이 인가되면 자성체(253)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고, 자성체(253)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에어 튜브(255)가 수축하게 되고, 에어 공간의 공기가 배출구(1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능으로 공기 흡입 장치는 수용 공간(S) 내부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펌핑 기능을 하게 된다.The pair of electromagnets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emporarily magnetized when a voltage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0. [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270 selectively applies a voltage to only one of the electromagnet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on the other wall side,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and the magnetic body 253 is applied to the air tube 255, And the magnetic substance 253 approaches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by magnetism and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side wall side. At this time, the air tube 255 contracts, and air in the air tube 25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3.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251 on one side wall side, a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magnet 251 and the magnetic body 253, Moves to the first position by approaching the first electromagnet 251 by magnetism. At this time, when the magnetic substance 253 moves to the first position, the inner space of the air tube 255 is relatively increased. When the magnetic substance 253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air tube 255 is extende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flows into the air tube 255 through the suction hole 261.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251 and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the magnetic substance 253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magnetic substance 253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air tube 255 is contracted, and the air in the ai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3. With this function, the air suction device functions as a pumping device for expanding or compress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제어부는 공기 흡입 장치의 제1 전자석(251)과 제2 전자석(252)으로의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를 선택적으로 또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전원 공급부(27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 환경하에서 제1 전자석(251)과 제2 전자석(252)에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253)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자성체(253)의 반복 이동에 의해 에어 튜브(255)가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에어 튜브(255)로의 공기 흡입 및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수용 공간(S)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270 to selectively and repeatedly apply and release th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magnet 25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of the air suction apparatus. As the voltage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25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252 under such a control environment, the magnetic body 253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air tube 255 repeatedly elongates and contracts to repeatedly move the air into the air tube 255 and exhaust air to the outside. As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 vacuum is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한편, 흡입구(261)에 일방향 흡입 밸브(265)가 설치되고, 배출구(263)에 개방홀(296)에 일방향 배출 밸브(266)가 설치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since the unidirectional suction valve 265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261 and the unidirectional discharge valve 266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263 in the opening hole 296, the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제3 Thir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300)는 용기 본체, 부품 수용부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밀폐 시트와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을 원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A vacuum enclosur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ody,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cover.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aling sheet and the middle cover. Since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vacuu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and repeated explana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300)는 부품 수용부(3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Meanwhile, the vacuum enclosur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air suction device constituting the component housing part 330. [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흡입 장치는 하나의 전자석(351)과 영구자석(352) 및 한 쌍의 이동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one electromagnet 351, a permanent magnet 352, and a pair of moving wall portions.

전자석(351)은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전자석(351)은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압이 공급된다. 전압이 공급된 전자석(351)은 일시적으로 자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의 인가 하에서 전자석(351)의 극성은 N극과 S극으로 상호 변환되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에서는 전류의 흐름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대가 되도록 설정 제어 함으로써, 전자석(351)의 극성이 전환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 351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The electromagnet 3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electromagnet 351 to which the voltage is supplied is temporarily magnetiz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application of a voltage,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351 is controlled to be converted into an N pole and an S pole. For example, in the power supply unit,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351 can be switched by performing the setting control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is periodically opposite.

한 쌍의 이동 벽부는, 전자석(351)과 일측벽 사이에서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이동 벽부(353) 및 전자석(351)과 타측벽 사이에서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이동 벽부(354)를 포함한다. 이들 한 쌍의 이동 벽부에 의해 공간부의 내부 공간은 2개의 밀폐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제1 이동 벽부(353)와 일측벽 사이는 제1 공간으로 지칭하고, 제2 이동 벽부(3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은 제2 공간으로 지칭한다. 이동 벽부는 공간부의 그 테두리에 고무 패킹과 같은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동 벽부와 벽 사이의 공간은 밀폐된다.The pair of moving wall por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magnet 351 and the one side wall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electromagnet 351 and the other side wall And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354 formed on the second movable wall portion 352. The inner space of the space portion is divided into two closed spaces by the pair of moving wall portion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nd one side wall is referred to as a first space,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Is referred to as a second space. A sealing member such as a rubber packing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pace portion of the moving wall portio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and the wall is sealed.

제1 이동 벽부(353)와 제2 이동 벽부(354)는 영구 자석(355)에 의해 서로 일체로 위치 이동한다. 영구 자석(355)은 일단이 N극성을 띠고, 타단이 S극성을 띠는데, 전자석(351)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1 이동 벽부(35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이동 벽부(354)에 고정된다. 일단이 제2 이동 벽부(354)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이동 벽부(353)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355)은 전자석(351)의 직상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자석(351)에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351)의 자성에 의해 영구 자석(355)이 전자석(351) 상방 평면에서 병진 운동한다. 이때, 제1 이동 벽부(353) 및 제2 이동 벽부(354)는 영구 자석(355)과 일체로 운동한다. 영구 자석(355)의 병진 운동 기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are moved together by the permanent magnets 355. One end of the permanent magnet 355 has an N polarity and the other end has an S polarity. The permanent magnet 355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omagnet 351. The permanent magnet 355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moving wall 353, 354, respectively. One end may be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s shown in Fig. 9B, the permanent magnet 355 is disposed in an upper right room of the electromagnet 351. Fig. When the puls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351, the permanent magnet 355 translates in the upper plane of the electromagnet 351 due to the magnetism of the electromagnet 351. 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move together with the permanent magnet 355. The mechanism of translational motion of the permanent magnet 35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자석(351)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석(351)의 극성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변환되는데, 먼저 전자석(351)이 S극으로 전환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의 N극이 전자석(35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영구자석이 위치 이동한다. 이때, 영구 자석(355)에 고정된 제1 및 제2 이동 벽부(354)도 함께 위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벽부(354)는 일측벽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간부에서 제1 공간(제1 이동 벽부(353)와 일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제2 공간(제2 이동 벽부(3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이때, 공간부의 일측벽에는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와 제1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타측벽에는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와 제2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a와 같이 영구 자석(355)이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제1 공간의 공기는 일측벽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늘어나는 제2 공간에는 타측벽의 흡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의 공기가 제2 공간으로 유입된다.10A and 10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ir suction apparatus of the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351, the polarities of the electromagnet 351 are mutually converted at regular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magnet 351 is first switched to the S pole, as shown in FIG. 10A, The permanent magnet is moved so that the N pole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room of the electromagnet 351.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wall portions 354 fixed to the permanent magnets 355 move together.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wall portions 354 move toward one side wall, so that the occupation space of the first spac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nd one side wall) in the space portion is relatively reduced, The space occupied by the second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movable wall portion 354 and the other side wall) is relatively increased. At this time,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nd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outside. The other side wal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10A, when the permanent magnet 355 moves toward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one side wall. In addition,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other side wall in the second space where the volume increases relatively.

이어서, 전자석(351)이 N극을 띠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의 S극이 전자석(35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영구자석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벽부(354)는 타측벽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간부에서 제2 공간(제2 이동 벽부(3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제1(제1 이동 벽부(353)와 일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영구 자석(355)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1 공간에는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된다. 도 10b와 같이, 영구 자석(355)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제2 공간의 공기는 타측벽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늘어느는 제1 공간에는 일측벽의 흡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의 공기가 제1 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시, 전자석(351)이 N극을 띠면 영구자석의 S극이 전자석(35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영구자석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1 공간에는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기능으로 공기 흡입 장치는 수용 공간(S) 내부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펌핑 기능을 하게 된다.Then, when the electromagnet 351 has the N pole, the permanent magnet moves so that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room of the electromagnet 351, as shown in Fig. 10B.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wall portions 354 move toward the other side wall,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second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and the other side wall) in the space portion is relatively reduced, The space occupied by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and one side wall) is relatively increased. When the permanent magnet 355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10B, when the permanent magnet 355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the other side wall.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inlet of the one side wall in the first space, which is relatively bulky. Again, when the electromagnet 351 has the N pole,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so that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room of the electromagnet 351. Thus,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With this function, the air suction device functions as a pumping device for expanding or compress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이와 같이 전자석(351)의 극성이 N극과 S극으로 변환됨에 따라 제1 이동 벽부(353), 영구 자석(355) 및 제2 이동 벽부(354)가 병진 운동을 반복하고, 이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다.As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351 is converted into the N pole and the S pole,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353, the permanent magnet 355,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4 repeat the translational motion, The air is suck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paces repeatedly to form a vacuum in the receiving space.

제어부는 공기 흡입 장치의 전자석(351)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자석(351)이 일정한 간격마다 극성 변경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applies a pulse voltage to the electromagnet 351 of the air suction apparatus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such that the electromagnet 351 changes its polarity at regular intervals.

한편, 흡입구에 일방향 흡입 밸브가 설치되고, 배출구와 연결된 개방홀에 일방향 배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nidirectional suction valve is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and the unidirectional discharge valv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the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4 Fourth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400)는 용기 본체(410), 부품 수용부(430) 및 상부 커버(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밀폐 시트와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을 원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A vacuum enclosure case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410,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430, and an upper cover 490. [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aling sheet and the middle cover. Since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vacuu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and repeated explana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400)는 부품 수용부(4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Meanwhile, the vacuum enclosur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air intake apparatus that constitutes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430.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흡입 장치는 한 쌍의 이동 벽부와 푸시풀 솔레노이드(4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1A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a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suction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movable wall portions and a push-pull solenoid 451.

푸시풀 솔레노이드(451)는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푸시풀 솔레노이드(451)는 공지 공용의 구성요소로서, 플런저(451b)(Plunger)에 연결된 샤프트(451a)(Shaft)를 솔레노이드 반대측을 통하여 밀어내는 동작을 할 수 있고, 플런저(451b)의 복귀는 스프링(451c)의 힘으로 이루어 진다. The push-pull solenoid 451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The push-pull solenoid 451 is a known component and can act to push a shaft 451a (Shaft) connected to the plunger 451b through the opposite side of the solenoid, and the return of the plunger 451b And the force of the spring 451c.

한 쌍의 이동 벽부는,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와 일측벽 사이에서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의 샤프트(451a)에 고정된 제1 이동 벽부(453)와,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와 타측벽 사이에서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의 플런저(451b)에 고정된 제2 이동 벽부(454)를 포함한다. 이들 한 쌍의 이동 벽부에 의해 공간부의 내부 공간은 2개의 밀폐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제1 이동 벽부(453)와 일측벽 사이는 제1 공간으로 지칭하고, 제2 이동 벽부(4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은 제2 공간으로 지칭한다. 이동 벽부는 공간부의 그 테두리에 고무 패킹과 같은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동 벽부와 벽 사이의 공간은 밀폐된다. 제1 이동 벽부(453)와 제2 이동 벽부(454)는 연결봉으로 상호 연결, 위치 고정되어 있어, 제1 이동 벽부(453)와 제2 이동 벽부(454)는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대하여 일체로 이동한다.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의한 이동 벽부의 병진 운동 기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pair of movable wall portions includes a first movable wall portion 453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push-pull solenoid 451 and one side wall and fixed to the shaft 451a of the push-pull solenoid 451, And a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between the push-pull solenoid 451 and the other side wall and fixed to the plunger 451b of the push-pull solenoid 451. The inner space of the space portion is divided into two closed spaces by the pair of moving wall portion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one side wall is referred to as a first space,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Is referred to as a second space. A sealing member such as a rubber packing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pace portion of the moving wall portio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and the wall is seale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are mutually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so that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are fixed to the push- And moves integrally. The translational motion mechanism of the moving wall portion by the push-pull solenoid 4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 케이스의 공기 흡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전압이 인가되면, 샤프트(451a)와 플런저(451b)가 일체로서 병진 운동하고, 제1 이동 벽부(453) 및 제2 이동 벽부(454)는 일체로 운동한다. 즉,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51a)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1 이동 벽부(453)를 푸시(스트로크)하면 제1 이동 벽부(453)와 제2 벽부는 일측벽 쪽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되고, 공간부에서 제1 공간(제1 이동 벽부(453)와 일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제2 공간(제2 이동 벽부(4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이때, 일측벽에는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와, 제1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벽에는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와, 제2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벽부(453)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제1 공간의 공기는 일측벽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 공간에는 타측벽의 흡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의 공기가 제2 공간으로 유입된다. 12A and 12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ir suction device of the vacuum enclos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ush-pull solenoid 451, the shaft 451a and the plunger 451b integrally translationally move,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move integrally. 12A, when the shaft 451a is moved toward the one side wall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is pushed (stroke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the second wall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space occupied by the first space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and one side wall) in the space portion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second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and the other side wall) Space) occupies a relatively large space. At this time, on one side wall,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And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is formed. As shown in FIG. 12A, wh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moves toward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intake port of the other side wall.

이어서,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전압 인가가 해제되면 스프링(451c)의 탄성에 의해 플런저(451b)가 타측벽을 향해 탄발되면서 제2 이동 벽부(454)를 푸시하면, 제2 이동 벽부(454)는 제1 이동 벽부(453)와 함께 타측벽 쪽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공간부에서 제2 공간(제2 이동 벽부(454)와 타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제1 공간(제1 이동 벽부(453)와 일측벽 사이의 공간)의 점유 공간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 벽부(454)가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제2 공간의 공기는 타측벽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 공간에는 일측벽의 흡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의 공기가 제1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기능으로 공기 흡입 장치는 수용 공간(S) 내부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펌핑 기능을 하게 된다.When the voltage is released from the push-pull solenoid 451, when the plunger 451b is urged toward the other wall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51c and pushes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toward the other side wall. The space occupied by the second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movable wall portion 454 and the other side wall) in the space portion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first spac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vable wall portion 453 and one side wall) Occupies a relatively large space. 12B, wh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the other side wall. In the first spac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intake port on one side wall. With this function, the air suction device functions as a pumping device for expanding or compress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이와 같이,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됨에 따라, 제1 이동 벽부(453), 샤프트(451a) 및 제2 이동 벽부(454)다 병진 운동을 반복하고, 이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다.As a result of repeating the application and release of the voltage to the push-pull solenoid 451,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453, the shaft 451a,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454 are repeatedly moved.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re repeatedly performed by the translational motion, so that a vacuum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제어부는 공기 흡입 장치의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에 전압을 인가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451)의 샤프트(451a)가 일정 간격마다 이동 벽부를 푸시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applies a voltage to the push-pull solenoid 451 of the air suction apparatus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shaft 451a of the push-pull solenoid 451 can push the movable wall unit at regular intervals.

한편, 흡입구에 일방향 흡입 밸브가 설치되고, 배출구와 연결된 개방홀에 일방향 배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nidirectional suction valve is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and the unidirectional discharge valv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the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300, 400: 진공 밀폐 케이스
110: 용기 본체
130: 부품 수용부
150: 공기 흡입 장치
151: 전자석 153: 이동 벽부
153a: 영구 자석 155: 탄성체
170: 전원 공급부 190: 상부 커버
251: 제1 전자석 252: 제2 전자석
253: 자성체 255: 에어 튜브
351: 전자석 353: 제1 이동 벽부
354: 제2 이동 벽부 355: 영구 자석
451: 푸시풀 솔레노이드 451a: 샤프트
451b: 플런저 451c: 스프링
453: 제1 이동 벽부 454: 제2 이동 벽부
100, 200, 300, 400: Vacuum enclosure case
110:
130:
150: Air suction device
151: electromagnet 153: moving wall portion
153a: permanent magnet 155: elastic body
170: power supply unit 190: upper cover
251: first electromagnet 252: second electromagnet
253: magnetic substance 255: air tube
351: electromagnet 353: first moving wall portion
354: second moving wall portion 355: permanent magnet
451: Push-pull solenoid 451a: shaft
451b: plunger 451c: spring
453: first moving wall portion 454: second moving wall portion

Claims (18)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영구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일측벽 쪽의 제1 위치와 공간부의 타측벽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 벽부와, 상기 일측벽과 상기 이동 벽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 벽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벽부와 상기 타측벽 사이의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자석에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 벽부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타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to form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wer supply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is accommodated;
Lt; / RTI >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magnet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housing portion and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permanent magnet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on the other side wall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that is coupled at one end to the one wall and the moving wall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wall portion Comprising an elastic body,
Wherein the space between the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ther side wall is a sealed space,
Wherein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moving wall portion is magnetically moved to the electromagnet to move to the first position, and is formed on the other wall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intake port, Wherei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밀폐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석에 상기 전압이 인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 벽부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ther side wa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losed space,
Wherein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movable wall portion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 벽부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벽부의 반복 이동에 의해 상기 밀폐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상기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s the voltage is applied and released repeatedly to the electromagnets, the moving wall portion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moving wall portion repeatedly moves the air to the closed space Wherein the suction and the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are repeated so that a vacuum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전자석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일측 쪽의 제1 위치와 상기 타측 쪽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자성체와, 일면이 상기 자성체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제2 전자석에 부착되는 신축성 에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는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중 하나의 전자석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제1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 튜브가 신장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 공간이 늘어나면서 상기 타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 내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에어 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to form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wer supply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is accommodated;
Lt; / RTI >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magnet and a second electromagnet which are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 stretchable air tube whose one surface is bonded to the magnetic body and the oth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The inside of the air tube is a sealed space,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selectively applies a voltage only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the magnetic body approaches the first electromagnet by magnetism, The air tube is elongated while the inner space of the air tube is elongated so that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through the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air tub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vacuum enclosure case is made of a met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에어 튜브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 해제되고, 상기 제2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는 자성에 의해 상기 제2 전자석에 접근하여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 튜브가 수축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out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air tub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the magnetic body approaches the second electromagnet by magnetism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air inside the air tub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tube is reduc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석과 상기 제2 전자석에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자성체의 반복 이동에 의해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로의 공기 흡입 및 상기 외부로의 공기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gnetic body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s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and the release of th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are repetitively performed, The air suction into the inside of the air tube and the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are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a vacuum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일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전자석과 타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이동 벽부와, 상기 전자석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이동 벽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이동 벽부에 고정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와 일측벽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와 타측벽 사이의 제2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전자석에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석의 자성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전자석 상방 평면에서 병진 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일체로 운동하며,
상기 영구 자석이 일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영구 자석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to form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wer supply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is accommodated;
Lt; / RTI >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magnet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housing portion and fixed between one side wall and an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electromagnet and the other side wall, and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disposed on the electromagnet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movable wall portion, And a permanent magnet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Wherein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ne side wall and the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ther side wall are sealed spaces,
Wherein when the puls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permanent magnet is translationally moved in the electromagnet upper plane by the magnetism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move integrally with the permanent magnet,
Wherein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and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Wherei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ne side wal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side wal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containing sp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이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영구 자석이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Features a vacuum sealed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벽부, 상기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의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re repeatedly performed by repeatedly translating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whereby a vacuum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Vacuum enclosure case.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 흡입 장치와, 상기 공기 흡입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가 수용되는 부품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장치는 상기 부품 수용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고정 설치된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일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샤프트에 고정된 제1 이동 벽부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와 상기 타측벽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된 제2 이동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와 일측벽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와 타측벽 사이의 제2 공간은 밀폐 공간이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샤프트가 병진 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벽부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운동하며,
상기 제1 이동 벽부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 이동 벽부가 타측벽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main body to form a vacuum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wer supply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is accommodated;
Lt; / RTI >
Wherein the air suction device includes a push-pull solenoid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 between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A first movable wal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pull solenoid and fixed to the shaft of the push-pull solenoid; and a second movable wall portion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push- And a fixed second movable wall portion,
Wherein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ne side wall and the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and the other side wall are sealed spaces,
Wherein when the push-pull solenoid is energized, the shaft is translated, and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move in unison with the shaft,
When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and when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Wherein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벽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ne side wal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side wal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containing sp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일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샤프트가 타측벽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when the shaft moves toward the one side wall,
When the shaf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wall,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t the same tim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The vacuum sealed ca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벽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제2 이동 벽부의 반복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re repeatedly performed by repeatedly translating the first moving wall portion, the shaft, and the second moving wall portion, whereby a vacuum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Enclosed case.
제1항, 제4항, 제12항 또는 제1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흡입될 때에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일방향 흡입 밸브가 설치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4, 12, or 16,
Wherein the su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one-way suction valve for opening the suction port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ase.
제1항, 제4항, 제12항 또는 제1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개방홀에는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개방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가 상기 밀폐 공간으로 흡입될 때에는 상기 개방홀을 폐쇄시키는 일방향 배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4, 12, or 16,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a unidirectional discharge valve is provided in the opening hole to open the opening hole when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o close the opening hole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into the closed space. , Vacuum sealed case.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주름식으로 신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15. The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the container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a creasing manner to be adjustable in height.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로의 전압의 인가와 인가 해제를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진공 밀폐 케이스.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is further adapted to receive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portion so as to repeatedly apply and release the voltage to the air suction device , Vacuum sealed case.
KR1020170089909A 2017-07-14 2017-07-14 Vacuum sealing case KR101965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09A KR101965317B1 (en) 2017-07-14 2017-07-14 Vacuum sealing case
PCT/KR2017/013655 WO2019013405A1 (en) 2017-07-14 2017-11-28 Vacuum-sealed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09A KR101965317B1 (en) 2017-07-14 2017-07-14 Vacuum sealing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43A true KR20190008043A (en) 2019-01-23
KR101965317B1 KR101965317B1 (en) 2019-08-07

Family

ID=6500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909A KR101965317B1 (en) 2017-07-14 2017-07-14 Vacuum sealing ca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5317B1 (en)
WO (1) WO201901340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6A (en) 2020-02-11 2021-08-19 홍춘강 A Sealing C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030A (en) * 2019-07-29 2019-11-22 武汉理工大学 The product buffering protecting equipment of energy automatic pressure regu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42Y1 (en) * 2000-02-28 2000-07-15 서울메디칼주식회사 A vacuum circulating pump by using a electro-magnet
KR20050072051A (en) * 2004-01-05 2005-07-08 주식회사 롤팩 Vacuum storage apparatus integrally comprising vacuum vessel and vacuum-generat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9994B1 (en) * 1999-10-25 2002-06-07 Sidel Sa DEVICE FOR TREATING A CONTAINER USING A LOW PRESSURE PLASMA COMPRISING AN IMPROVED VACUUM CIRCUIT
JP2012224379A (en) * 2011-04-21 2012-11-15 Seiko Epson Corp Storage container and storage container holding method
KR101278884B1 (en) * 2011-05-12 2013-06-26 주식회사 인팩 Air dry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42Y1 (en) * 2000-02-28 2000-07-15 서울메디칼주식회사 A vacuum circulating pump by using a electro-magnet
KR20050072051A (en) * 2004-01-05 2005-07-08 주식회사 롤팩 Vacuum storage apparatus integrally comprising vacuum vessel and vacuum-generat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6A (en) 2020-02-11 2021-08-19 홍춘강 A Sealing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405A1 (en) 2019-01-17
KR101965317B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0328B2 (en) Vacuum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ump mechanism
RU2624342C2 (en) Suction pump
US4984611A (en) Vacuum storage device
KR20190008043A (en) Vacuum sealing case
US7127875B2 (en) Portable vacuum device
AU2011301698A1 (en) Membrane vacuum pump
WO2008113990A1 (en) Waste container
JP6979975B2 (en) Vacuum vessels, systems, and methods
US20020025254A1 (en) Depression container
KR101670218B1 (en) Air pumping device for food container
US20080230144A1 (en) Pumps for vacuum containers
GB2365947A (en) Vacuum valve assembly
US6662831B2 (en) Depression container
KR200485788Y1 (en) Negative pressure storage container
BR112019021643A2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 CLOSING A CONTAINER WITH VALVE, ASSEMBLY UNDERSTANDING A CONTAINER WITH VALVE AND SUCH CONTROL DEVICE
KR100751387B1 (en) Bag
JP3245901U (en) Flavor injection systems and related vacuum equipment
KR200402438Y1 (en) A sealed container for vacuum
CN212165191U (en) Cosmetic product package
KR101974540B1 (en) Portable evacuator
KR20100004874U (en) vacuum carrier bag
KR102125639B1 (en) vacuum receptacle
KR20130024415A (en) Vacuum container
JPS62280570A (en) Electric refrigerator
KR101911533B1 (en) Electromagnetic ai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