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807A -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807A
KR20190007807A KR1020170089271A KR20170089271A KR20190007807A KR 20190007807 A KR20190007807 A KR 20190007807A KR 1020170089271 A KR1020170089271 A KR 1020170089271A KR 20170089271 A KR20170089271 A KR 20170089271A KR 20190007807 A KR20190007807 A KR 2019000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lor
bezel
light sour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457B1 (ko
Inventor
남두우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7008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의 일 측면이나 전체에 디자인 조명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베젤, 및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자인 조명의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베젤 조명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조명은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이며, 상기 점광원은 광섬유 다발의 각 가닥을 이용해 구현한 광원이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LIGHTING BEZEL OF DISPLAY DEVICE AND THE LIGHT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의 베젤에 인테리어 기능이 있는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고, 표시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베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표시장치(예 :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전자 액자 등)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초기에는 평면형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동일한 시청거리에서 시청 시, 일반 평면형 표시장치에 비하여 시청각도가 넓어서 더 많은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곡면형 표시장치에 대한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형 표시장치는 기존 평면형 표시장치가 아닌 좌우의 양 끝 부분이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곡면형 표시장치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상기와 같은 기능적인 이유도 있지만, 현대가 점차 개인의 개성과 취향에 대한 주관성이 강한 개인주의적 개성 시대로 되어 가면서, 심미성이 더욱 중시되어 지고 있다는 것이 더 큰 이유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미성은 제품을 디자인하고 만들기 위한 설계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서, 색상이나 디자인, 외관의 미적 기능을 의미한다.
더구나 상기 표시장치는 이제 단순히 전자 제품으로서의 역할을 떠나 가정의 거실이나 침실에서 인테리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표시장치가 인테리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색상이나 디자인 등 외관의 형상에만 치중된 표시장치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데커레이션에 있어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조명이다.
상기 조명은 외관으로 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아도 평범한 공간을 아주 특별한 느낌으로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가령 침실은 낮보다는 주로 밤에 이용하는 공간으로서 그만큼 조명이 없는 침실은 상상할 수 없으며, 더욱이 화려하게 꾸며진 침실이라도 조명이 더해지지 않으면 생명력을 가질 수 없다. 또한 유명한 건물이나 호텔, 레스토랑을 보면 다양한 디자인과 역할을 하고 있는 조명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인테리어를 완성하는데 있어서 조명이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최근 출시가 증가하고 있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인테리어 기능 향상을 위하여 베젤(Bezel)에 조명을 부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2238호(2014.11.17. 공개,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에 인테리어 기능이 있는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고, 표시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베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은, 전면의 일 측면이나 전체에 디자인 조명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베젤; 및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자인 조명의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베젤 조명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조명은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이며, 상기 점광원은 광섬유 다발의 각 가닥을 이용해 구현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외측으로 보이는 광섬유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반대측인 내측 끝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넓게 확산하여 투사시키는 확산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광섬유의 내측 끝단을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함과 아울러 이를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순서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들의 외측 끝단에서 투사되는 광이 출력되는 순서, 또는 상기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광섬유들 외측 끝단에서 보이는 디자인 조명의 각 점광원이 스크롤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폭죽이 터져 확산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지정된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부, 또는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자인 조명의 광원부나 필터부의 제어를 통하여,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및 접근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광원이 멀티 컬러 광원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광원부가 단일 컬러 광원인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의 제어를 통하여,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쳇바퀴에서 바퀴살대의 사이마다 색상 필터를 부착하고, 상기 색상 필터의 반대측에 있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색상 필터를 투과하여 그 반대측에 있는 광섬유의 내측 끝단에 입사되게 하는 것으로서,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되거나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가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될 경우에 상기 엘시디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된다면 상기 롤 필름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 필름에 배치된 필름의 색상 위치, 색상별 배치 모양, 및 색상별 배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은, 전면의 일 측면이나 전체에 디자인 조명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베젤; 및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베젤 조명 컨트롤러가 상기 디자인 조명을 제어하는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의 제어부가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부나 상기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의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자인 조명의 광원부나 필터부의 제어를 통해,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정된 조명 패턴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조명은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이며, 상기 점광원은 광섬유 다발의 각 가닥을 이용해 구현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및 접근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 패턴은, 광섬유 내측 끝단에 입사되는 조명 패턴이거나, 혹은 상기 광섬유 외측 끝단에서 출력되는 조명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베젤에 인테리어 기능이 있는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고, 표시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베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심미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의 외부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의 내부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결합부재를 이용해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한 광섬유를 베젤 조명 컨트롤러에 결합하는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 조명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의 외부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표시장치는 패널(또는 글라스 기판)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Bending)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패널의 둘레를 감싸는 베젤(Bezel)도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되어 있다.
이러한 베젤은 내부에 상기 패널(또는 글라스 기판)과 연결되는 피씨비(PCB)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두께(전면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베젤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즉, 베젤이 두꺼울수록 인테리어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점차 얇아지는 추세인 것이다. 그러나 베젤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물리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베젤의 일 측면은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베젤의 전면에 디자인 조명(예 :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도 4 참조)을 부가하여 인테리어 기능과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평면형 표시장치의 베젤과 달리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은 소정의 곡률로 벤딩되어 있기 때문에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을 베젤에 부가하는 것은 오히려 인테리어 기능과 심미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엘이디(LED)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엘이디 구동용 피씨비(PCB)를 설계하고, 상기 엘이디 구동용 피씨비(PCB)를 베젤의 형상을 따라 구부려 부착해야 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될수록 부품이나 회로 패턴에 무리가 되어 결국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엘이디(LED)를 이용해 디자인 조명(예 :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부착되는 엘이디(LED)의 개수에 비례하여 엘이디 구동용 피씨비(PCB) 회로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조명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예 : 엘이디 구동용 PCB 회로가 복잡해짐, PCB 패턴에 부착된 부품의 고장, 비용 증가, 소비 전력 증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인테리어 기능과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을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를 일종의 점광원으로 이용해 베젤에 디자인 조명(예 :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을 구현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베젤에 표시된 점들은 일종의 점광원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의 끝단(또는 광섬유의 끝단에서 투과되는 광이 보이는 홀)(또는 광섬유의 외측 끝단)으로 구현된 디자인 조명(예 :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을 도시한 것으로서, 디자인에 따라 베젤의 일 측면에만 디자인 조명을 구현할 수도 있고, 베젤 전체에 디자인되는 조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의 내부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의 외측에 보이는 광섬유의 끝단(또는 광섬유의 끝단에서 투과되는 광이 보이는 홀)(또는 광섬유의 외측 끝단)은 광섬유의 반대측 끝단(즉, 광원부에서 발광된 광이 입사되는 끝단)(또는 광섬유의 내측 끝단)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광섬유의 외측 끝단은 확산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확산부재(230)는 상기 광섬유의 내측 끝단에서 입사된 광을 더 넓게 확산시킨다.
상기 확산부재(230)는 단면 지름이 작은 광섬유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즉, 광섬유의 끝단에서 직접 투사되는 광은 너무 날카롭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 자극을 주고 표시장치의 화면에 대한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확산부재를 통해 광이 넓게 투사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대한 자극을 방지하고 표시장치의 화면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확산부재(23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베젤에 홀(hole)(즉, 광섬유 삽입을 위한 홀)을 형성할 때 홀의 형상을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확산부재(23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확산부재(230)의 형상은 이해를 위해 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외관 형상은 베젤의 외형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광섬유(220)는 가늘거나 두꺼운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을 지정된 순서(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모아서 고정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정된 순서란, 상기 광섬유(220)들의 외측 끝단에서 투사되는 광이 출력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즉, 상기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광섬유들 외측 끝단에서 보이는 디자인 조명의 각 점광원이 스크롤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폭죽이 터져 확산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지정된 순서이다.
상기와 같이 광섬유(220)들의 내측 끝단을 지정된 순서(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모아서 고정함과 아울러 이를 베젤 조명 컨트롤러(100)에 쉽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10)를 통해 고정되는 광섬유(220) 가닥들의 개수(또는 단위 개수)는 광이 입사되는 폭(또는 면적)에 대응하여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220) 가닥들의 개수(또는 단위 개수)가 많을 경우(예 : 광섬유가 많이 필요한 디자인 조명인 경우) 상기 결합부재(210)의 개수도 증가된다(도 3의 (a) 참조).
상기 결합부재(210)는 일종의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같이 탈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100)로부터 광섬유 외측 끝단의 위치에 따라 각 광섬유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30), 광원부(140), 필터부(150), 및 집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제어부(미도시), 또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예 :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접근 신호 등)를 수신한다.
또는 상기 통신부(110) 대신에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예 :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접근 신호 등)를 직접적으로 검출(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예 :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접근 신호 등)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광원부(140)를 제어하여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상기 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필터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집광부(160)에 입사되는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광원부(140)의 광원이 멀티 컬러 엘이디(LED)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필터부(150)를 포함하지 않고도 상기 제어부(120)는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원부(140)가 단일 컬러 광원(백색 광원)이라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필터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집광부(160)에 입사되는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50)는 원형의 쳇바퀴(미도시)에서 바퀴살대의 사이마다 색상 필터(미도시)를 부착하고, 상기 색상 필터(미도시)의 반대측에 있는 광원부(140)에서 조사된 빛(광)이 상기 색상 필터(미도시)를 투과하여 그 반대측에 있는 상기 집광부(160)에 입사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50)는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되거나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필터부(150)가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된다면 상기 구동부(130)는 엘시디 구동 수단이 되며, 만약 상기 필터부(150)가 일종의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된다면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롤 필름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롤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색상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색상이 배치된 모양이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롤 필름에 대한 위치 정보(즉, 위치에 따른 필름의 색상, 색상별 배치 모양, 색상별 배치 크기 등)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필터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40)의 광원은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엘이디(LED)를 유일한 광원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곡면형 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베젤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예 : 슬림 베젤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광량이 큰 광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너무 밝은 광원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눈을 자극하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량이 너무 큰 광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엘이디(LED) 광원은 점광원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면광원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엘이디(LED) 광원을 면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더라도 광섬유를 통해 베젤에 형성된 디자인 조명에 빛(광)을 분산하여 투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명의 소비전력, 부피, 및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집광부(160)는 상기 광원부(140)에서 투사되는 빛(광)을 모아 상기 광섬유(220)들의 내측 끝단에 입사시키는 광학 수단이다.
상기 집광부(160)는 상기 광원부(140)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빛(광)의 밝기가 상기 집광부(160)를 통과하면서 일정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표시장치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지정된 광원 색을 지정된 순서로 순차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베젤에 형성된 디자인 조명이 지정된 방향이나 패턴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조명이 변화되는 방향이나 패턴 또는 조명 변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예 : 음악, 음성 등)에 대응하여 조명이 변화되는 방향이나 패턴 또는 조명 변화 속도는 물론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결합부재를 이용해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한 광섬유를 베젤 조명 컨트롤러에 결합하는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의 외측 끝단을 이용하여 베젤에 형성된 디자인 조명을 사용자(또는 제조사)가 원하는 패턴(광섬유 점광원이 조명되는 순서)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섬유의 내측 끝단을 상기 패턴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광섬유 가닥(또는 단위 개수)을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상기 광섬유의 외측 끝단은 베젤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으로서 각 광섬유 가닥이 미리 설정된 디자인으로 배열되고, 상기 광섬유의 내측 끝단은 베젤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서 광을 표출하고자 하는 순서에 따라 각 광섬유 가닥을 모아서 조명(광)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열하거나 수직으로 배열한다(도 3의 (a) 참조).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10)를 이용해 상기 패턴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광섬유 가닥(또는 단위 개수)을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조명 컨트롤러(100)의 광이 투사되는 부위에 상기 모아서 고정된 광섬유들을 부착(결합)함으로써(도 3의 (a)), 상기와 같이 모아진 광섬유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방향(예 : 좌측에서 우측으로)(도 3의 (b)), 광이 입사되는 속도(도 3의 (c)), 광이 변화되는 넓이(도 3의 (d)) 등의 조명 패턴에 따라 상기 베젤 외측에 보이는 디자인 조명이 지정된 특정 패턴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 조명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4의 (a)는 꽃 무늬 디자인 조명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의 (b)는 가지에 달린 꽃 봉우리 디자인 조명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의 (c)는 기하학적인 나선형 디자인 조명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베젤은 다양한 조명 디자인이 가능하며, 피씨비(PCB)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곡면형 베젤에 사용하더라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조명 디자인이 바뀌더라도 매번 피씨비(PCB) 회로를 새로 설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조명 컨트롤러(100)의 제어부(120)는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출한다(S101).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제어부(미도시), 또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및 접근 신호(예 : 사용자 접근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 패턴(예 : 광섬유 내측 끝단에 입사하는 조명 패턴, 광섬유 외측 끝단에서 출력되는 디자인 조명 패턴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출될 경우(S101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 패턴(예 : 광섬유 내측 끝단에 입사하는 조명 패턴, 광섬유 외측 끝단에서 출력되는 디자인 조명 패턴 등)을 다이나믹 제어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광원부(140)를 제어하여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구동부(130)를 통해 필터부(150)를 제어하여 집광부(160)에 입사되는 광원 색, 광원 밝기, 광원 색 변화 속도, 광원 색 변화 방향, 및 광원 색 넓이(또는 색 변화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경우(S101의 아니오)(예 : 곡면형 표시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디폴트로 설정된 조명 패턴(예 : 광섬유 내측 끝단에 입사하는 조명 패턴, 광섬유 외측 끝단에서 출력되는 디자인 조명 패턴 등)으로 조명을 제어한다(S103).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에 인테리어 기능이 있는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고, 표시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베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면형 표시장치의 심미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체로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에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평면형 표시장치의 베젤에도 디자인 조명을 부가하여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베젤 조명 컨트롤러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구동부
140 : 광원부 150 : 필터부
160 : 집광부 210 : 결합부재
220 : 광섬유 230 : 확산부재

Claims (10)

  1. 전면의 일 측면이나 전체에 디자인 조명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베젤; 및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자인 조명의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베젤 조명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조명은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이며, 상기 점광원은 광섬유 다발의 각 가닥을 이용해 구현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외측으로 보이는 광섬유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반대측인 내측 끝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넓게 확산하여 투사시키는 확산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광섬유의 내측 끝단을 지정된 순서로 모아서 고정함과 아울러 이를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순서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들의 외측 끝단에서 투사되는 광이 출력되는 순서, 또는 상기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광섬유들의 내측 끝단에 광이 입사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광섬유들 외측 끝단에서 보이는 디자인 조명의 각 점광원이 스크롤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폭죽이 터져 확산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지정된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부, 또는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자인 조명의 광원부나 필터부의 제어를 통하여,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및 접근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광원이 멀티 컬러 광원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광원부가 단일 컬러 광원인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의 제어를 통하여,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쳇바퀴에서 바퀴살대의 사이마다 색상 필터를 부착하고, 상기 색상 필터의 반대측에 있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색상 필터를 투과하여 그 반대측에 있는 광섬유의 내측 끝단에 입사되게 하는 것으로서,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되거나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가 엘시디(LCD) 소자로 구현될 경우에 상기 엘시디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롤 필름 형태로 구현된다면 상기 롤 필름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 필름에 배치된 필름의 색상 위치, 색상별 배치 모양, 및 색상별 배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8. 전면의 일 측면이나 전체에 디자인 조명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베젤; 및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베젤 조명 컨트롤러가 상기 디자인 조명을 제어하는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의 제어부가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부나 상기 표시장치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베젤 조명 컨트롤러의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자인 조명의 광원부나 필터부의 제어를 통해, 색 제어, 밝기 제어, 색 변화 속도 제어, 색 변화 방향 제어, 색 넓이 및 색 변화 넓이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정된 조명 패턴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조명은 점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특정 무늬를 형상화하는 조명이며, 상기 점광원은 광섬유 다발의 각 가닥을 이용해 구현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리모콘 신호, 조도 신호, 사운드 신호, 및 접근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패턴은,
    광섬유 내측 끝단에 입사되는 조명 패턴이거나, 혹은 상기 광섬유 외측 끝단에서 출력되는 조명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베젤 조명 제어 방법.
KR1020170089271A 2017-07-13 2017-07-13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KR10197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71A KR101974457B1 (ko) 2017-07-13 2017-07-13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71A KR101974457B1 (ko) 2017-07-13 2017-07-13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807A true KR20190007807A (ko) 2019-01-23
KR101974457B1 KR101974457B1 (ko) 2019-05-02

Family

ID=6532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271A KR101974457B1 (ko) 2017-07-13 2017-07-13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4798A1 (en) * 2019-01-29 2020-08-06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with illuminated bezel
US11513393B2 (en) 2019-06-10 2022-11-29 Dell Products L.P. Display backlight illumination of a housing perime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82U (ja) * 1991-12-10 1993-07-02 大弘電子有限会社 光学表示装置
KR20100131634A (ko) * 2009-06-08 201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82U (ja) * 1991-12-10 1993-07-02 大弘電子有限会社 光学表示装置
KR20100131634A (ko) * 2009-06-08 201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4798A1 (en) * 2019-01-29 2020-08-06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with illuminated bezel
US11829560B2 (en) 2019-01-29 2023-11-28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with illuminated bezel
US11513393B2 (en) 2019-06-10 2022-11-29 Dell Products L.P. Display backlight illumination of a housing peri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457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4151C2 (ru) Отображающая компоновка ambilight
EP2381278A3 (en) Diffuser for light from light source array and displays incorporating same
KR101974457B1 (ko) 표시장치의 조명용 베젤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KR10131243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05330U (ko) Led감성조명장치
CN103791319B (zh) 具有晕光效果的发光装置
JP2014186931A (ja) タッチ入力受付機能付き可視表示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照明装置
CN101154328B (zh) 带有声控灯的屏幕显示器
CN208817159U (zh) 一种变色音乐灯
CN108626606A (zh) 一种变色音乐灯
CN105667195B (zh) 亚克力投光装饰画
US96119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indirect lighting
KR20070088240A (ko) 동적 효과를 연출하는 측 단면 조명 방식의 화면 장치.
JP7217736B2 (ja) 照明器具
KR101453257B1 (ko) Led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각 효과의 구현 방법
KR200228058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십자가
KR200196042Y1 (ko) 광고장치가 내장된 디자인형 옥외조명제어반
CN101739917A (zh) 一种正光广告牌装置
CN201638507U (zh) 正光广告牌装置
KR200380078Y1 (ko) 음성신호에 따라 빛이 변하는 광섬유 조명장식
CN212624697U (zh) 一种灯箱
CN212299369U (zh) 装饰组件、空调面板和空调器
CN208654497U (zh) 一种显示装置
CN111613154A (zh) 一种灯箱
JP3096594U (ja) シャンデリ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