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598A -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598A
KR20190007598A KR1020170088774A KR20170088774A KR20190007598A KR 20190007598 A KR20190007598 A KR 20190007598A KR 1020170088774 A KR1020170088774 A KR 1020170088774A KR 20170088774 A KR20170088774 A KR 20170088774A KR 20190007598 A KR20190007598 A KR 2019000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user
tremor
hand tremo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8803B1 (en
Inventor
김시습
승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플즈
Priority to KR102017008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80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Abstract

Disclosed are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 tremor sensing unit which senses hand tremor of a user; a hand tremor analyzing unit which analyzes frequency and extent of hand tremor sensed through the hand tremor sensing unit, and determines intensity of the electrostimulation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s of hand tremor; and an electro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ostimulation determined by the hand tremor analyzing unit to the user.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appropriate trembling of muscles while enabling the user to repeatedly perform a specific action by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ion to the arm or hand of the user. Further, the wearable device can effectively reduce inappropriate trembling of the muscles by transmitting an appropriate intensity of the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extent of hand tremor. 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can verify if the electrostimulation is to be transmitted by attaching an electrical stimulator transmitting the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ion to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user.

Description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improving hand tremor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nd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손 떨림 개선훈령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hand tremor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nd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떨림은 가장 흔한 이상운동질환 중 하나로 몸의 일부분 혹은 여러 부분에서 개별적인 근육이 교대로 또는 동시에 수축하여 규칙적으로 일정한 빈도를 가지는 진동성 운동이다. 떨림은 대개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증상이 심해졌다가 완화되는 변동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흔히 환자의 감정 상태나 불안, 육체적인 피로에 의해 떨림 증상이 심해진다. Quiver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abnormal dyskinesias, which are vibratory movements in which individual muscles contract or alternate at regular or regular intervals in some or all parts of the body. The tremor usually manifests itself continuously over time, and sometimes manifests itself as fluctuating patterns of symptoms that are more severe, often accompanied by increased emotional state, anxiety, and physical fatigue.

이러한 떨림은 진동 운동이기 때문에 특징적인 진동수가 존재한다. 대개 소뇌의 질환 등에서 나타나는 의도 떨림(intention tremor)은 낮은 진동수를 가지고, 본태(원인을 모르는) 떨림(수전증)이나 기립(서 있을 때) 떨림은 높은 진동수를 가진다. 손이나 팔 등의 긴장이 제거된 안정 상태에서 떨림 운동이 심해지는 안정 떨림의 경우에는 파킨슨 증후군에 속하는 질병들을 의심할 수 있다. Since this tremor is a vibrational mo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frequency. The intention tremor usually appears in cerebellar diseases and has a low frequency, and the tremor (hoarding) or standing (tremor) tremor has a high frequency. In the case of stable tremor where tremor becomes severe in the stable state where the tension of the hand or arm is removed, the diseases belonging to the Parkinsonian syndrome can be suspected.

또한, 이러한 떨림은 병 자체로는 죽음에 이르는 병은 아니지만 생활을 곤혹스럽게 만들기 때문에 우울증을 동반하기도 하여, 사춘기와 같이 예민한 시기에 발생하면 성격 형성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으나, 종래에는 떨림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치료법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약물치료에 의존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거나, 개인에 따라 치료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In addition, such tremor is not a disease that leads to death but it is accompanied with depression because it makes life difficult, and if it occurs at a sensitive time such as puberty, it may hinder personality formation. In the past,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effect of dependence on drug therapy is not sufficient, and side effects of therapeutic drugs may occur depending on individuals.

한편, 최근에는 마비와 같은 이상 증상이 발생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약물치료 또는 외과적 수술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Meanwhile, recently, a treatment method of applying an appropriate electrical stimulus to muscles with abnormal symptoms such as paralysis has been developed, and a method for replacing drug therapy or surgical operation based on this has been studied.

이에, 이러한 전기 자극 방법을 적용하여, 떨림 증상을 약물치료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treat or ameliorate the symptoms of tremor without resorting to drug therapy by applying such an electric stimulation method.

일본공개특허 제2005-112516(발명의 명칭: 전기 자극 장치 및 가상현실 체감 장치)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12516 (entitled " electric stimulation device and virtual reality bodily sensation device " 일본공개특허 제2015-187553(발명의 명칭: 전정 전기 자극 장치 및 가상현실 체감 장치)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87553 (entitl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에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low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s arm or hand, And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using the wearabl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 떨림의 빈도와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적절한 세기의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that can effectively reduce inadequate tremors of muscles by transmitting low frequency electric stimulation of appropriate intens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and tremor and degree of hand tremor, And to provide an improved hand tremor training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 자극기가 적합한 위치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려고 하는지 검증 가능한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an electric stimulus that can be verified whether an electric stimulator for delivering a low frequency electric stimulus is attached at a suitable position and to transmit an electric stimulu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는 손 떨림 감지부; 상기 손 떨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하하고, 상기 손 떨림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자극의 세기를 결정하는 손 떨림 분석부; 및 상기 손 떨림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세기의 전기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전기 자극 전달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device for training for improving hand tremor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hand trembling sensing unit for sensing hand tremor of a user; A hand tremor analyzer for analyzing hand tremor frequency and hand tremor sensed through the hand tremor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stimul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hand tremor; And an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timulus of the intensity determined by the hand tremble analyzing unit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손 떨림 분석부는, 상기 손 떨림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 자극의 세기가 달리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hand tremor analyzing unit may cause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be transmitted each time the hand tremor is detected, and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hand tremor.

또한, 상기 손 떨림 분석부는,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 및 손 떨림 세기 정보와 상기 손 떨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솔 떨림 빈도가 상기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의 손 떨림 빈도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손 떨림 정도가 상기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의 손 떨림 정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the hand trembling analyzer may compare the pre-stored hand trembl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the hand trembling intensity information with the hand trembling frequency and the hand trembling degree detected through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The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transmitted only when the hand tremor frequency of the shaking frequency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and tremor frequency of the pre-stored hand tremor intensity information.

더불어,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 자극기; 및 상기 전기 자극기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 자극기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And a position sensor coupled to the electric stimulator and configured to sense a real time current posi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또한, 상기 전기 자극기는,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가 글러브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등 부분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timulat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glove type so that an electric stimulus is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when the user's hand is worn.

그리고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는, 상기 사용자의 팔에 부착되도록, 암 밴드(arm ban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ansmission unit may be provided in an arm band typ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ser's arm.

한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은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거나 팔에 부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출력된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이면, 움직임을 감지하되, 움직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면, 감지된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 shake improvement training system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head mount display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a virtual target;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when the user moves his or her hand toward the output virtual target and detecting the hand shake of the us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또한, 이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실시간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하거나 또는 움직임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a real-time position measured in a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virtual target reaches a predetermined area or a motion patter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attern,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pattern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pattern, the electric stimulu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arm or hand.

이에 의해,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에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손 떨림의 빈도와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적절한 세기의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 자극기가 적합한 위치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려고 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low-frequency electric stimulus to the user's arm or hand to reduce inappropriate tremor of the muscles during repeated operation of the specific operation, and furthermore, By delivering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inadequate tremors of the muscles. And an electrical stimulator that carries a low frequency electrical stimulus may be attached at a suitable location to verify that it is about to deliver an electrical stimul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글러브(glove) 타입으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암 밴드(arm band) 타입으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감지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파형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 떨림 개선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through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glove type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waveform chart showing the frequency of hand tremor and the degree of hand tremor sensed by the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using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손에 착용 가능한 글러브(glove) 타입으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팔에 착용 가능한 암 밴드(arm band) 타입으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가 감지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파형으로 표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through an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FIG. 3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the frequency of hand trembling and the degree of hand trembling detected by a wearable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hand tremor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이하에서는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으로 총칭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through the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본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은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에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감소시키도록 하며, 더불어, 손 떨림의 빈도와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적절한 세기의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hand tremor training system transmits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arm or hand to reduce inadvertent tremor of the muscles while allowing the user to repeatedly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and also to reduce the frequency of hand tremor and the degree of hand tremor Thereby delivering a low-frequency electric stimulus of appropriate intensity to effectively reduce undesirable muscle tremors.

이를 위해,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은,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100)(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로 총칭함)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may be composed of a wearable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and a head mount display 200.

웨어러블 장치(100)는 전기 자극을 통하여 손 떨림 개선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wearable apparatus 100 is provided for performing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 또는 팔에 착용되도록 마련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고,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하여, 손 떨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earable apparatus 100 is provided to be worn on a user's hand or arm as shown in FIGS. 2 to 3, and when performing a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 display 200, The hand shaking can be detected, the hand shaking frequency and hand tremor can be analyzed,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for reducing the hand tremor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이를 위해, 웨어러블 장치(100)는 손 떨림 감지부(110), 손 떨림 분석부(120), 전기 자극 전달부(130), 제1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hand shake detection unit 110, a hand tremor analysis unit 120, an electric stimulation transmission unit 13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

손 떨림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손 떨림 감지부(110)는 내부에 모션 센서(11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떨림 증상이 발생되면,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보를 감지하여, 손 떨림 분석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110 is provided for detecting the hand tremor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110 includes a motion sensor 111 therein. When a hand trembling symptom occurs,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110 detects hand trembling frequency and hand trembl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hand trembling information to the hand trembling analyzer 120 .

손 떨림 분석부(120)는 손 떨림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 떨림 분석부(120)는, 손 떨림이 감지될 때마다,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되,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전기 자극의 세기가 달리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hand trembling analyzer 120 can analyze the hand trembling frequency and hand trembling degree detected through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110. [ Specifically,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may cause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be transmitted every time the hand tremor is detected, bu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hand tremor.

그리고 손 떨림 분석부(120)는,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 및 손 떨림 세기 정보와 상기 손 떨림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Then,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may compare hand trembl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hand trembling intensity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with the hand trembling frequency and hand trembling degree detected through the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110 have.

이때, 손 떨림 분석부(120)는 감지된 솔 떨림 빈도가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의 손 떨림 빈도 이상이고, 감지된 손 떨림 정도가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의 손 떨림 정도 이상인 경우에만,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hand trembling frequency is greater than the hand trembling frequency of the previously stored hand trembl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only when the detected hand trembling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and trembling degree of the pre- Stimulation can be transmitted.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손 떨림 분석부(120)는 손 떨림의 발생 빈도와 상관없이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 이상의 세기로 손 떨림(α, β, γ)이 발생될 때마다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T1) 이내에 특정 세기 이상의 손 떨림의 발생 빈도가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 이상으로 빈번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만,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 이상의 세기로 손 떨림(α, β, γ)이 발생될 때마다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when the hand tremor (?,?,?) Is generated with an intensity of more than the previously stored hand tremor intensity information irrespective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hand tremor, The hand tremor intensity (α, β (t)) is more than the pre-stored hand tremor intensity information only whe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hand tremor over a certain intensity appear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1) , < RTI ID = 0.0 > y) < / RTI >

예를 들면, 손 떨림 분석부(120)는 T1이라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3회 이상의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 이상의 손 떨림 발생 시에만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may be set such that electrical stimulation is delivered only when hand tremor occurs over three or more pre-stored hand tremor intensity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f Tl.

이를 통해, 손 떨림 분석부(120)는 일정 발생 빈도 이상으로 손 떨림이 발생된 경우에만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손에 착용되거나 팔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100)가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떨림이 손 떨림으로 잘못 판단되는 오류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can transmit the electric stimulus only when the hand tremor occurs at a certain occurrence frequency or more, so that the vibration or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wearable apparatus 100 worn on the hand or worn on the arm mov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errors in which the tremor is erroneously determined as a hand tremble.

전기 자극 전달부(130)는 손 떨림 분석부(120)에서 결정된 세기의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130 may transmit the electric stimulation of the intensity determined by the hand tremle analyzing unit 120 to the user.

이때, 전기 자극은 정격 전류가 40mA~50mA이고, 주파수 범위가 20Hz~80Hz에 해당하는 저주파 펄스를 이용한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low-frequency pulses having a rated current of 40 mA to 50 mA and a frequency range of 20 Hz to 80 Hz.

이를 위해, 전기 자극 전달부(130)는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 자극기(131) 및 전기 자극기(131)가 적합한 위치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전기 자극기(131)와 결합되어, 전기 자극기(131)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위치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er 130 is connected to an electric stimulator 131 (not shown) to verify whether the electric stimulator 131 and the electric stimulator 131, which transmit the electric stimulus to the user, And a position sensor 133 arranged to detect a real time current posi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131. [

또한, 전기 자극 전달부(130)를 비롯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 타입으로 마련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밴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00)가 글러브 타입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면, 사용자의 손등 부분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손 떨림 분석부(120)는 위치 센서(133)를 이용하여, 전기 자극기(131)가 적합한 위치에 부착된 상태로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것인지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provided in a glove typ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provided in an arm band type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provided in a glove type and is worn on the user's hand, an electric stimulu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At this time, Can be used to verify whether the electric stimulator 131 is to transmit an electric stimulus in a state where it is attached at a suitable position.

예를 들면, 손 떨림 분석부(120)는 글러브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100)가 적합한 위치에 제대로 착용 되지 않아, 전기 자극기(131)가 유효한 위치에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극기(131)의 동작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알람 등의 경고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장치(100)가 적합한 위치에 제대로 착용된 상태에서 전기 자극기(131)가 동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 shake analysis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glove type wearable device 100 is not properly worn and that the electric stimulator 131 is not attached to a valid posi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operate the electric stimulator 131 in a state where the wearable device 100 is properly worn at a suitable position.

더불어, 상기와 같이 손 떨림 분석부(120)가 위치 센서(133)를 통하여 전기 자극기(131)의 위치를 검증하고, 전기 자극기(131)의 동작을 차단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술적 특징들은 웨어러블 장치(100)가 글러브 타입이 아닌 암 밴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features that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verifies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131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3, block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131, or generates a warning sou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implemented as an arm band type rather than a glove type.

이때, 전기 자극 전달부(130)는 위치 센서(133)뿐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등이 추가로 마련되어, 실시간 위치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방향, 속도 등도 함께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130 is provided not only with the position sensor 133, but also with a gyro sensor (not shown),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and the like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speed, can do.

제1 통신부(140)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또는 와이 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is provided for the wearable device 100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head mount display 200. Specifical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beacon or WiFi.

예를 들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웨어러블 장치(100)를 움직이면, 제1 통신부(140)는 움직이는 동안에 웨어러블 장치(100)의 실시간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에 전달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에서 출력되는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For example, when the wearer moves the wearable apparatus 100 toward a virtual target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virtual target output through the head mount display 2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move the wearable apparatus 100 100 to the head mount display 200 to update the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target output from the head mount display 200,

더불어, 손 떨림 분석부(120)는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실시간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하거나 또는 움직임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 trembling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whether a real-time position measured in a process of moving toward a virtual target reaches a predetermined region or a motion pattern corresponds to a preset pattern, Or if it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pattern, electric stimul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user's arm or hand.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에 손 떨림과 같은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손 떨림 개선훈련을 즐겁게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reduce the inevitable tremor of the muscles such as the hand tremble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specific operation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o that the tremor improvement exercise can be performed pleasantly.

저장부(150)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torage unit 150 is provided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wearable device 100. [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손 떨림 빈도 정보 및 손 떨림 세기 정보를 저장하여, 손 떨림 분석부(120)가,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 및 손 떨림 세기 정보와 상기 손 떨림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50 stores hand shake frequency information and hand shake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hand shake analysis unit 120 calculates hand shake frequency information and hand shake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hand shake frequency detection unit 110 ) To compare the detected hand trembling frequency and the hand trembling degree.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마련되어,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부(210), 출력부(220), 제2 통신부(230) 및 위치 감지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d mount display 200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user's head so as to visually output information about a virtual target. To this end, the head mount display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n output unit 2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position sensing unit 240.

제어부(21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반사항들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is provided to control various items for driving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virtu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virtual target to be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220.

또한, 제어부(210)는 위치 감지부(240)를 통해 측정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정보를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determines virtu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virtual target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20 based on the real-time position of the head-mounted display 200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sensing unit 240 Can be updated and output.

더불어 제어부(21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정보를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updates the virtual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target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2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Can be output.

출력부(220)는 사용자에게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되며, 우측과 좌측 출력부(220)로 나뉘어 사용자의 양쪽 눈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20 is provided for outputting virtu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virtual target to the user and can be divided into the right and left output units 220 so as to be located near both eyes of the user.

제2 통신부(23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가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230)는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또는 와이 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웨어러블 장치의 제1 통신부(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is provided for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to communicate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Specific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beacon or WiFi.

위치 감지부(24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의 실시간 위치를 측정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가 움직이는 경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를 재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24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osition sensing unit 240 measures the real-time position of the head-mounted display 200. When the head-mounted display 200 is moved, if th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ad-mounted display 200, .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sensors such as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이를 통하여, 본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은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에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손 떨림의 빈도와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적절한 세기의 저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근육의 부적절한 떨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Thus,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can transmit a low-frequency electric stimulus to the user's arm or hand, thereby reducing the inappropriate tremor of the muscles during the repetitive execution of a specific operation, and furth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inevitable tremor of the muscles by transmitting a low-frequency electric stimulus of appropriate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emo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 떨림 개선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using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 떨림 개선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dure of performing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using the hand tremor improvement training system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은 손 떨림 개선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와 웨어러블 장치(100)가 페어링 과정을 거쳐 서로 무선 연결된 이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510). In order to perform the hand-shake improvement training, the hand-shake improvement training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mounted display 200 and the wearable apparatus 10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airing process, So that virtu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is output (S510).

가상 정보가 출력되면, 웨어러블 장치(100)가 가상 정보에 대응하여 움직이게 되고, 웨어러블 장치(100)가 움직이면, 전기 자극 전달부(130)에 마련된 위치 센서(133),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S520).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moved, the position sensor 133, the gyro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130 are mov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S520).

이때, 가상 정보가 특정 타겟을 향해 움직이며, 특정 영역에 도달하거나, 특정 타겟을 향해 움직이는 움직임을 점수로 산출하는 게임과 같은 콘텐츠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상 정보에 대응하여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virtual information moves toward a specific target, reaches a specific area, or is a content such as a game that calculates a movement that moves toward a specific target, the wearable device 100 displays a virtual target Lt; / RTI >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상 정보에 대응하여 움직이면, 움직임을 감지하되, 사용자의 손 떨림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S530), 사용자의 손 떨림이 감지되면(S530-Yes),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S540). If the user's hand tremor is detected (S530-Yes), the wearable apparatus 100 senses the motion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hand tremor has occurred (S530) The degree of tremor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S540).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기 자극의 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세기로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550).Then,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haking frequency and the degree of hand tremor, and transmits the electric stimulus to the user at the determined intensity at step S550.

다만, 전기 자극의 세기가 결정된 이후, 전기 자극을 전달하기 전에,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치 센서(133)를 이용하여 전기 자극기(131)가 적합한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However, after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is determined, before the electric stimulation is transmitted, the wearable device 100 uses the position sensor 133 to perform a verification procedure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stimulator 131 is in a proper position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웨어러블(wearable) 장치
110 : 손 떨림 감지부 111 : 모션(motion) 센서
120 : 손 떨림 분석부 130 : 전기 자극 전달부
131 : 전기 자극기 133 : 위치 센서
140 : 제1 통신부 150 : 저장부
200 : 헤드 마운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210 : 제어부 220 : 출력부
230 : 제2 통신부 240 : 위치 감지부
100: wearable device
110: hand trembling detection unit 111: motion sensor
120: hand tremor analysis unit 130: electric stimulus transmission unit
131: electric stimulator 133: position sensor
140: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200: Head-mounted display
210: control unit 220: output unit
230: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position sensing unit

Claims (8)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는 손 떨림 감지부;
상기 손 떨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하하고, 상기 손 떨림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자극의 세기를 결정하는 손 떨림 분석부; 및
상기 손 떨림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세기의 전기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전기 자극 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 hand tremblin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hand tremor of the user;
A hand tremor analyzer for analyzing hand tremor frequency and hand tremor sensed through the hand tremor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stimul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hand tremor; And
And an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timulus of an intensity determined by the hand tremle analyzing unit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 분석부는,
상기 손 떨림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손 떨림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 자극의 세기가 달리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is transmitted each time the hand tremor is detect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stimulus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nd trem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 분석부는,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 및 손 떨림 세기 정보와 상기 손 떨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손 떨림 빈도 및 손 떨림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솔 떨림 빈도가 상기 기저장된 손 떨림 빈도 정보의 손 떨림 빈도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손 떨림 정도가 상기 기저장된 손 떨림 세기 정보의 손 떨림 정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nd-
Comparing the pre-stored hand-shake frequency information and hand-shake intensity information with the hand-shake frequency detected by the hand-shake detecting unit and the degree of hand trembling, and if the sensed brush-shake frequency is greater than the hand-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sensed degree of hand trem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gree of hand tremor of the pre-stored hand tremor intensit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 자극기; 및
상기 전기 자극기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 자극기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deliver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And
And a position sensor coupled to the electric stimulator and configured to sense a real-time current posi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기는,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가 글러브(glove)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등 부분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ic stimulator includes: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glove type so that an electric stimulus is transmitted to a part of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wears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전달부는,
상기 사용자의 팔에 부착되도록, 암 밴드(arm band)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ic stimulation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wearer is provided with an arm band typ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arm of the user.
가상의 타겟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거나 팔에 부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출력된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이면, 움직임을 감지하되, 움직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떨림을 감지하면, 감지된 손 떨림 빈도와 손 떨림 정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
A head mount display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a virtual target; And
When the user moves his or her hands toward the virtual target, the motion is sensed. If the user senses hand tremo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detected hand tremor frequency and hand tremor are analyzed And a wearable device for deliver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가상의 타겟을 향해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실시간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하거나 또는 움직임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real-time position measured in a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virtual target reaches a preset area or whether a motion patter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atter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area is reached,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s arm or hand when the electric stimulation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hand or hand.
KR1020170088774A 2017-07-13 2017-07-13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978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74A KR101978803B1 (en) 2017-07-13 2017-07-13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74A KR101978803B1 (en) 2017-07-13 2017-07-13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98A true KR20190007598A (en) 2019-01-23
KR101978803B1 KR101978803B1 (en) 2019-05-15

Family

ID=6528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774A KR101978803B1 (en) 2017-07-13 2017-07-13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80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01A (en)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옴니버스 Wearable system for tremo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337972B1 (en) * 2020-10-30 2021-12-0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hand tremor for rehabilitation of hand tremor in parkinson patient
KR20220036648A (en) * 2020-09-16 2022-03-23 이동건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in the untact era, Patient wearable devices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36B1 (en) 2022-11-02 2023-08-07 조은정 Smart device for Measurement and Mitigation of Vib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16A (en) 2003-10-06 2005-04-28 Toyota Industries Corp Hydraulic device for loading on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JP2015187553A (en) 2014-03-26 2015-10-29 株式会社東芝 Hydrogen treatment device
KR20160037468A (en) * 2014-09-29 2016-04-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and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for action tremor and the method
JP2016511651A (en) * 2013-01-21 2016-04-21 カラ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la Healt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tremor
KR20160063126A (en)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16A (en) 2003-10-06 2005-04-28 Toyota Industries Corp Hydraulic device for loading on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JP2016511651A (en) * 2013-01-21 2016-04-21 カラ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la Healt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tremor
JP2015187553A (en) 2014-03-26 2015-10-29 株式会社東芝 Hydrogen treatment device
KR20160037468A (en) * 2014-09-29 2016-04-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and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for action tremor and the method
KR20160063126A (en)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01A (en)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옴니버스 Wearable system for tremor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KR20220036648A (en) * 2020-09-16 2022-03-23 이동건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in the untact era, Patient wearable devices for the same
KR102337972B1 (en) * 2020-10-30 2021-12-0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hand tremor for rehabilitation of hand tremor in parkinson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803B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803B1 (en) Wearable device for Hand tremble improvement training through electrostimul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1273344B2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US10258259B1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CN108882875B (en) Device for neurovascular stimulation
US8162857B2 (en) Limb movement monitoring system
US9149222B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US9526946B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vibrotactile guided therapy
US8092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brotactile guided motional training
KR101553854B1 (en) Game-based excercise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rain wave concentration feedback
US2018002881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timulation impulses
EP3629912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electrophysiological sensors
KR20180109750A (en) Wearable device and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US20180206773A1 (en) Dynamic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for vertigo patients and the application method thereof
EP3151745A1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93188A (en) Exercise guide system using smart mirror and vibration device
JP2017516571A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23429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touch sensitivity threshold
JP202316654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74853B1 (en) Feedback system for controlling brain-computer interface
JP2020146344A (en) State detection device, stat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20170209335A1 (en) Physiological State Feedba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60023A (en) Real-time feedback system for controlling brain-computer interface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6150179A (en) Motion measuring device
KR20150056123A (en) Pos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smartphone
GB2562218A (en) Method to measure and improve smooth quality of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