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583A -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583A
KR20190007583A KR1020170088740A KR20170088740A KR20190007583A KR 20190007583 A KR20190007583 A KR 20190007583A KR 1020170088740 A KR1020170088740 A KR 1020170088740A KR 20170088740 A KR20170088740 A KR 20170088740A KR 20190007583 A KR20190007583 A KR 2019000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wm
light source
light
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드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드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드링크
Priority to KR102017008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583A/ko
Publication of KR2019000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인조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조도센서, CCD 카메라) 를 이용하여 감지된 데이터에서 외란을 효과를 줄여서 식물의 성장 단계를 정확하게 판단한다.

Description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A method of distinguishing plant growth phase using light sensor and LED controlled by PWM }
본 발명은 인공 광원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식물 농장에 있어서 인조광원의 PWM 제어와 센서의 광원 감지 및 외란 축소 방법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장 단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지구의 기후 변화가 심해지면서 해외 많은 국가와 기업에서 식량안보와 생산성 확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수의 농가에서는 IOT와 농업 기술의 결합으로 지속적인 경제 가치를 창출하려 하고 있다. 많은 노력의 결과로 여러 기업은 빛, 수분, 영양분등의 공급이 외부 환경에 영향 받지 않는 식물 공장, VERTICAL FARM, 스마트 팜 등의 구조를 제안 하였으며 도심지 내에 많은 건설이 이루어 있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팜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더 향상된식물 재배 속도와 식물 생산 자동화가 필요하다. 식물 재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선 각 식물 최적의 성장 조건에 맞는 인공 광원을 구성해야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식물의 각 엽록소가 흡수하는 빛의 파장대가 다르며, 또한 이러한 엽록소의 분포도가 식물의 성장 단계마다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이러한 일련의 연구가 실제 산업에서 생산량 증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식물의 발아기에는 파랑빛, 개화기와 수확기 에는 붉은 빛을 자동으로 조사해주는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식물의 성장 단계를 자동으로 판단할수 있는 감지후 해당 단계에 알맞은 광원을 조사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식물의 성장 단계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판단하여 식물 생산의 자동화가 이뤄질수 있도록 한다.
외부 빛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위해 해당 발명에서는 LED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감지부를 설치한다. LED의 제어를 통해서 식물에게 최적의 빛을 조성하는 동시에외란의 효과를 줄이고 초록색과 나머지 색과의 비율을 산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눈으로 직접 식물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자동으로 식물의 성장 단계의 감지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서 식물의 각 성장 단계에 필요한 최적의 빛을 방출 하여 식물 성장 속도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식물공장이나 재배기가 식물의 상태를 토대로 최적의 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할수록 식물 성장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채산성이 증대되며, 누구나 쉽게 재배를 할 수 있다. 서울시를 비롯한 여러 도심지에서 지속적으로 장려하고 있는 도시 농부에 대한 지원에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며 도시 농부의 고용 창출이 증대되게 될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 지속가능하게 재배 가능하다는 점에서 먼 지역에서부터 여러 식물들을 운송하는데 소비되는 화석연료양이 비약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동시에, 도시 내의 식물 공급이 자급자족이 가능하다. 또한 해외에서만 재배가능한 식물들이 국내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게 되고 특이 식물에 대해 더 이상 수입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식물 공장의 자동화에 있어 각 식물의 상태를 계속해서 감지하고 식물에게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은, 식물공장이 토지 효율성을 위해 다단, 다층으로 이뤄져 있다는 점을 고려 해볼 때 사람의 직접적인 제어가 굉장히 많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 부분이 감지부를 통해 기계적인 구별이 가능해져서 바로 서버와 통신하여 최적의 조명 환경을 구성할수 있다면 식물공장의 자동화에 큰 기여를 할수 있을것이며 도심지내의 건강한 식물을 값싸게 재배하는데 있어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 줄 것이다.
도면1은 식물 인공광원이 배치된 식물 재배기에 일정 간격을 이격 하여 성장감지센서( 조도센서, CCD 카메라) 를 배치한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감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추가 광원을 배치한다. 이렇게 되면 감지부에 들어오게 되는 빛은 일정한 주파수로 ON-OFF 되는 LED~식물표면에서 반사된 빛, 외부 빛~식물 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된다. 외부 빛~식물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제거하기위해, LED를 일정 시간마다 미세한 시간 단위로 점등한다.식물재배기 감지부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빛은 일반적으로 태양빛, 실내의 조명등 등이며 빛의 고저에 따른 변화는 주로 저주파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LED의 점등을 외부 빛의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하게 되면 외부 빛으로부터 추가 광원의 빛을 주파수 대역에 서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주파 대역인 추가광원으로부터 들어오게되는빛만 걸러내기 위해 High Pass Filter를 통과 시키게 되면 외란의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Claims (1)

  1. 인조 광원이 설치된 식물 재배기에서 인조광원을 PWM으로 제어를 하고, 빛 감지 센서(조도센서, CCD 카메라)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high pass filter를 통과 시켜 식물에서 반사되는 빛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방법
KR1020170088740A 2017-07-13 2017-07-13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KR20190007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40A KR20190007583A (ko) 2017-07-13 2017-07-13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40A KR20190007583A (ko) 2017-07-13 2017-07-13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83A true KR20190007583A (ko) 2019-01-23

Family

ID=6528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740A KR20190007583A (ko) 2017-07-13 2017-07-13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0209A1 (de) 2019-01-21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uronale Netzwerkvorrichtung, neuronales Netzwerksystem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eines neuronalen Netzwerkmodells durch Verwenden eines neuronalen Netzwerksystems
KR20220025641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리퓨터 생육정보 수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0209A1 (de) 2019-01-21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uronale Netzwerkvorrichtung, neuronales Netzwerksystem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eines neuronalen Netzwerkmodells durch Verwenden eines neuronalen Netzwerksystems
KR20220025641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리퓨터 생육정보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6517A (zh) 一种智能农业综合管理系统
KR102330939B1 (ko) 도시농업용 스마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장치
CN104236624B (zh) 温室环境信息智能采集系统
CN109716953A (zh) 一种植物工厂
US2012026057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wth of organisms
CN207924547U (zh) 农业一体化种植智能控制装置
CN113711798B (zh) 植物生长的控制方法、控制设备、植物生长灯及控制系统
CN105684864A (zh) 一种智能阳台种植系统及使用方法
KR20190007583A (ko) 식물 성장에 사용되는 인조 광원의 pwm 제어와 빛 감지센서를 이용한 식물 성장 단계 구별 방법
Marcelis et al. Achieving sustainable greenhouse production: Present status, recent advances and future developments
CN111639904A (zh) 基于物联网的果蔬种植管理系统
CN103960085B (zh) 一种基于植物生长特性的彩色漫射玻璃温室
CN102696470A (zh) 输送式的植物自动生产设备及其方法
CN104186186A (zh) 一种农作物的大棚种植系统
KR20190007585A (ko) 식물의 성장 단계를 감지하여 알맞은 양액을 혼합하여 분사하는 방법
KR20130009294A (ko) 날씨정보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Sakai et al. Accurate position detecting during asparagus spear harvesting using a laser sensor
CN205320780U (zh) 一种园林监控与管理系统
CN206978206U (zh) 一种基于模块化设计思想的高适用性智能温室大棚
Mahaboob et al. Movable mini-Hydroponic Home Garden with Automated Monitoring System
CN105993707A (zh) 一种基于物联网和app软件的远程控制智能温室大棚
Lee et al. Development of rotational 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lant factory
KR20190007584A (ko) 식물의 씨앗단계, 발아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CN104731139A (zh) 一种家庭菜园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04466497U (zh) 一种智能土壤灌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