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318A - 수막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수막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318A
KR20190007318A KR1020170088623A KR20170088623A KR20190007318A KR 20190007318 A KR20190007318 A KR 20190007318A KR 1020170088623 A KR1020170088623 A KR 1020170088623A KR 20170088623 A KR20170088623 A KR 20170088623A KR 20190007318 A KR20190007318 A KR 2019000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ower roller
water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308B1 (ko
Inventor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씨케이클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클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케이클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3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방전으로 대전시키고,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복수 겹을 가지도록 배치된 필터가 순환하면서 액체에 침지와 노출로 수막형성을 반복하며, 수막으로 방전된 먼지를 흡착하고, 필터에 액체를 분사하여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다수개 위치시켜 수막필터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번갈아 접하며 액체와 공기의 노출이 번갈아가며 연결되어 필터에 흡착된 먼지의 제거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 없이 오랜 기간 필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막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막형 공기청정기 {Water Layer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방전으로 대전시키고,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복수 겹을 가지도록 배치된 필터가 순환하면서 액체에 침지와 노출로 수막형성을 반복하며, 수막으로 방전된 먼지를 흡착하고, 필터에 액체를 분사하여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다수개 위치시켜 수막필터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번갈아 접하며 액체와 공기의 노출이 번갈아가며 연결되어 필터에 흡착된 먼지의 제거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 없이 오랜 기간 필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막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공기청정기는 집진방법에 따라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식 공기청정기와, 먼지를 고압방전에 의해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집진식 공기청정기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 먼지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초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식 필터와 함께 먼지를 고압방전으로 대전시켜 집진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장기간 사용시 항균 코팅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며, 주기적인 필터 세척 또는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KR 20-0470792 Y1 KR 10-2014-0043643 A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방전으로 대전시키고,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복수 겹을 가지도록 배치된 필터가 순환하면서 액체에 침지와 노출로 수막형성을 반복하여 수막으로 방전된 먼지를 흡착하고, 순환하는 필터에 액체를 넓고 고르게 분사하여 흡착되는 먼지를 제거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필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수막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먼지가 포함된 물은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액체를 내부로 유입시켜 수조에 위치하는 액체의 총량을 같게 유지하여 필터에 의한 먼지의 흡착 효율을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수막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2개의 노즐이 필터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필터의 양면을 동시에 고압의 액체로 분사하여 필터에 흡착된 먼지를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는 수막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된 먼지를 필터로 밀어주는 전극판의 상부를 물이 낙하를 막아주도록 가려주어, 물과 전극판의 접촉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으로 인한 전극판과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공기(10)가 통과하면서 여과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여과 처리된 외부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액체(20)가 내장되는 수조(14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게 배치되되 상기 상부롤러(2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액체(20)와 접촉되는 하부롤러(220)를 포함하는 롤러부(200); 상기 상부롤러(210)와 상기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접하고, 상기 액체(20)에 침지와 상기 공기통로(120) 상에 노출을 반복하면서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필터(300); 상기 수막필터(300)와 일측이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롤러(400); 및 상기 구동롤러(400)와 결합되어 상기 수막필터(300)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에서 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에서 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에서 전방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에서 후방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롤러(2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막필터(300)는 상기 공기통로(120)의 전후 길이와 대응되는 넓이로 시작단이 제2하단롤러(240)를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기 상부롤러(210)와 상기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접하고, 상기 이격롤러(250)를 접한 이후 끝단이 상기 제1하단롤러(230)를 접한 이후 다시 상기 제2하단롤러(240)의 시작단과 하나로 이어지며, 상기 제2하단롤러(240), 상기 상부롤러(210), 상기 하부롤러(220), 상기 이격롤러(250) 및 상기 제1하단롤러(230)를 순환하도록 회전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이격롤러(25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이격롤러(25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하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양단이 서로 맞물려 같이 회전하여 상기 수막필터(3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과 접촉되며, 양단에 제1구동축(414)이 형성된 제1구동롤러(410)와,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과 접촉되며, 양단에 제2구동축(424)이 형성되는 제2구동롤러(4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롤러(410)와 상기 제2구동롤러(420)는 상기 제1구동축(414)과 상기 제2구동축(424)이 서로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수막필터(300)가 회전하도록 밀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상기 제1하단롤러(23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서 상기 수조(140)로 연장되어 상기 액체(20)를 흡입하는 흡입관(620)과, 상기 펌프(610)에서 상기 수막필터(300)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흡입관(620)에서 흡입된 상기 액체(20)를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에 흡착된 먼지(30)를 제거하는 배출관(630)이 구비된 필터청소부(60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통로(120)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외부 공기(10)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 상기 수막필터(300)로 밀어주어 상기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수막필터(300)로 흡착되도록 하는 전극부(7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극부(7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홀더(72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롤러(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730)과, 상기 상부홀더(720)와 상기 하부브라켓(730)의 사이에서 상기 대전공간부(310)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대전공간부(310)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공기(10)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 상기 수막필터(300)로 밀어주어 상기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수막필터(300)로 흡착되도록 하는 전극판(710)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수막필터(300)는, 상기 제1하단롤러(230) 또는 제2하단롤러(240)에서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기 상부롤러(210)를 지나 상기 하부롤러(220)를 접하여 내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롤러(220) 2개와 상기 상부롤러(210) 1개가 서로 이어져 내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롤러(210) 2개와 상기 하부롤러(220) 1개가 서로 이어져 내측에 형성되는 대전공간부(310)와,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하부롤러(220)의 사이 위치한 상기 이격롤러(250)을 접하면서 측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청소공간부(32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필터청소부(600)는, 상기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청소공간부(320)의 내측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1노즐관(640)과, 상기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이격롤러(250)의 외측에서 상기 수막필터(300)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2노즐관(650)과, 상기 제1노즐관(640)에서 전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되어 상기 액체(20)를 상기 청소공간부(320)에 위치한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을 향해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1노즐(642)과, 상기 제2노즐관(650)에서 전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되어 상기 액체(20)를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을 향해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2노즐(652)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전극부(700)는, 상기 전극판(7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판(710)을 이격되게 덮어주어 상기 수막필터(300)에서 생성된 물방울이 상기 전극판(710)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는 뒤집힌 'V' 형상의 물차단막(7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30)를 전극판(710)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먼지(30)를 수막필터(300)를 향해서 밀어주며, 수막필터(300)는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액체(20)에 침지와 공기통로(120)로의 노출을 반복하면서 구동롤러(400)에 의해 제1하단롤러(230), 제2하단롤러(24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및 이격롤러(250)를 순환하여 수막을 반복 형성하여 먼지(30)를 흡착하고, 수막필터(300)의 양면에 흡착된 먼지(30)는 이격롤러(250)를 지나갈 때 배출관(630)으로부터 2방향으로 분기된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에 의한 액체(20)의 고압 분사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수막필터(300)에 흡착된 먼지의 제거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 없이 오랜 기간 필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먼지(30)에 의해 오염된 액체(20)를 제1드레인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이를 정화하여 다시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수조(14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되, 수조(140) 내부에 수위센서(142)에 의해 액체(20)의 총량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수조(140)에 내장된 액체(20)를 항상 청결하게 함으로써, 수막필터(300)의 먼지(30) 흡착 효율을 최상의 정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노즐관(640)에 형성된 제1노즐(642)과 제2노즐관(650)에 형성된 제2노즐(652)이 수막필터(30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수막필터(300)의 양면을 향해 동시에 고압의 액체(20)를 분사하도록 하여, 수막필터(300)의 양면에 흡착된 먼지를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에 의해 액체(20)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수위센서(142)가 수위를 체크하여, 컨트롤러(190)에 신호를 보내주면 컨트롤러(190)는 제1드레인관(160)을 통해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에 의해 분사되는 액체(20)의 양만큼 외부로 배출해주고,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제1드레인관(160)으로 배출된 양만큼 수조(140)의 내부로 유입시켜주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조(140) 내부 액체(20)의 높이를 그 총량이 같도록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액체(20)가 배출과 유입이 순환이 계속되면서 수조(140) 내부의 액체(20)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막필터(300)에 형성되는 대전공간부(310)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판(7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뒤집힌 'V' 모양의 물차단막(740)을 두어, 수막필터(300)에서 낙하하는 물이 전극판(7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스파크의 발생을 막아주고, 스파크의 발생으로 인한 수막필터(300)와 대전극판(710)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배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배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배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이다.
본체(100)는 전방측 상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방측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100)의 하부측에는 액상의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액체가 보관되는 수조(140)가 형성된다. 이때 항균성 물질은 피톤치드, 편백나무 수액, 자몽종자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액체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항균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0)의 공기유입구(110)와 공기배출구(130) 사이에는 공기통로(120)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통로(120)는 공기유입구(110)와 공기배출구(130) 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외부 공기는 공기유입구(110)과 공기통로(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에 공기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공기유입구(110)에는 먼지센서(112)가 설치된다. 먼지센서(112)는 외부 공기(10)의 오염도를 측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먼지센서(112)는 컨트롤러(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오염도 측정값을 보내주고, 컨트롤러(190)는 오염도 측정값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공기배출구(130)에는 복수개의 배출팬(150)이 설치된다. 배출팬(150)은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배출팬(150)은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배출팬(150)을 통해 공기유입구(110)에서 공기통로(120)와 공기배출구(13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준다.
수조(140)의 외측 하부에는 제1드레인관(160)과 제2드레인관(170)이 설치된다. 제1드레인관(160)은 수조(140) 내부의 액체를 교체하고자 할 때,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2드레인관(170)은 수조(140) 내부에 새로운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1드레인관(160)과 제2드레인관(170)은 전자식 밸브가 사용된다.
본체(100)의 좌측에는 컨트롤러 하우징(180)이 설치된다. 컨트롤러 하우징(180)의 외부에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작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184)와 공기 청정기를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버튼(182)이 구비된다.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는 덮개(10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101)를 통해 후술할 롤러부(200)와 수막필터(300)에 대한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수조(140)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면덮개(102)와 후면덮개(105)가 형성된다. 전면덮개(104)에는 후술할 제1구동롤러(410)가 관통할 수 있는 구동롤러공(103)이 천공되며, 후술할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전면롤러홈(104)이 형성된다.
후면덮개(105)에도 후술할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후면롤러홈(106)이 형성된다.
그래서 하부롤러(220)와,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의 양단이 수조(140)의 내부에서 전면롤러홈(104)과 후면롤러홈(106)에 걸쳐져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때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의 상부에는 일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후술할 롤러부(200)의 상부롤러(210)가 삽입되는 상부롤러공(107)이 천공된다.
나아가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부롤러공(107)의 하부에는 일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후술할 물차단막(740)이 삽입되는 물차단막홈(108)이 천공된다.
롤러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서 일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본체(100)의 하부 수조(140)가 형성된 위치에 일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롤러(220)와,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과 전방 상부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격롤러(250)와,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에서 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하단롤러(230)와,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에서 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하단롤러(240)가 구비된다. 이때 제1하단롤러(230)는 이격롤러(250)보다 앞서게 설치된다.
상부롤러(21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에서 공기유입구(110)의 상부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롤러(210)는 양단이 본체(100)의 전후면에 걸쳐지고,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하부롤러(22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에서 수조(140)의 하부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수조(140)의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롤러(220)도 양단이 수조(140)의 내측에서 전후면에 걸쳐지고,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한편, 하부롤러(220)는 각각이 상부롤러(210)와 동일선상에서 상부롤러(2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220)는 일직선이 아니라 어긋난 상태가 된다. 즉 하부롤러(220)는 상부 위치한 2개의 상부롤러(210)를 사이에 두고 중앙에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2개의 상부롤러(210)와 1개의 하부롤러(220)는 삼각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격롤러(25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의 전방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조(14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이격롤러(250)의 양단이 수조(140)의 전후면에 걸쳐지고,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한편, 이격롤러(250)는 수조(140) 내부 액체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설치된다.
이때 이격롤러(250)는 후술할 수막필터(300)을 액체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의 후방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도 배치가 가능하다.
제1하단롤러(23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의 전방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조(14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하단롤러(230)의 양단도 수조(140)의 전후면에 걸쳐지고,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1하단롤러(230)는 이격롤러(250)보다 앞선 위치에 설치된다.
제2하단롤러(24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의 후방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조(14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제1하단롤러(230)의 양단도 수조(140)의 전후면에 걸쳐지고, 걸쳐지는 부위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롤러부(200)에는 후술할 수막필터(300)가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를 각각 접하면서 하나로 이어지게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할 구동롤러(400)와 모터부(500)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막필터(300)가 수조(140)의 액체에 침지와 공기통로(120)에 노출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해준다.
한편, 상부롤러(210)의 양단에는 수막필터(300)가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고, 회전 시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링형상의 상부가이드링(212)이 설치된다.
제1하단롤러(230)의 양단에도 회전하는 수막필터(300)가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고, 수막필터(300)의 회전 시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링형상의 제1하단가이드링(232)이 설치된다. 또한 제2하단롤러(240)에도 양단에 회전하는 수막필터(300)가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고, 수막필터(300)의 회전 시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링형상의 제2하단가이드링(242)이 설치된다.
나아가 이격롤러(250)의 양단에도 회전하는 수막필터(300)가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고, 수막필터(300)의 회전 시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링형상의 이격가이드링(252)이 설치된다.
또한, 하부롤러(220)에도 이격롤러(250), 상부롤러(210), 제1하단롤러(230) 및 제1하단롤러(230)와 같이 양단에 하부가이드링(222)이 설치된다.
한편,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의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다.
수막필터(300)는 후술할 모터부(500)와 구동롤러(400)에 의해 제1하단롤러(23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및 제2하단롤러(240)를 순환하도록 회전하는 것으로 넓고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공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수막필터(300)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를 직조하여 만들어지거나, 또는 얇은 금속재의 철조망을 직조하여 만들어진다.
수막필터(300)의 넓이는 공기통로(120)의 전후 길이와 대응되되, 상부롤러(210)의 상부가이드링(212)을 제외한 넓이 만큼의 길이를 가진다. 수막필터(300)는 시작단과 끝단이 하나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수막필터(300)는 시작단이 제2하단롤러(240)를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접하게 된다. 아울러 수막필터(300)는 끝단이 제1하단롤러(230)를 접한 이후 다시 제2하단롤러(240)의 시작단과 하나로 이어진다.
수막필터(300)는 모터부(500)와 구동롤러(400)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부롤러(220)와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를 지날 때는 수조(140) 내부의 액체에 침지되며, 상부롤러(210)와 이격롤러(250)를 지날 때는 공기통로(120) 상에 노출된다.
수막필터(300)는 제1하단롤러(23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이격롤러(250) 및 제2하단롤러(240)를 순환하면서 침지와 노출을 반복하게 된다.
아울러 수막필터(300)는 제1하단롤러(230) 또는 제2하단롤러(240)에서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부롤러(210)를 지나 하부롤러(220)를 접하여 삼각모양을 이루어 내측에 대전공간부(310)를 형성하거나, 하부롤러(220) 2개와 상부롤러(210) 1개가 서로 이어져 삼각모양을 이루어 내측에 대전공간부(310)를 형성하거나, 상부롤러(210) 2개와 하부롤러(220) 1개가 서로 이어져 삼각모양을 이루어 내측에 대전공간부(310)형성된다. 대전공간부(310)는 전술한 여러 경우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대전공간부(310)에는 후술할 전극부(700)의 전극판(71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수막필터(300)는 제1하단롤러(230)와 하부롤러(220) 사이에 위치한 이격롤러(250)에 의해 수조(140)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삼각모양을 이루는 청소공간부(320)가 형성된다. 즉 청소공간부(230)는 제1하단롤러(230)와 최선단 하부롤러(220)의 사이에 위치한 이격롤러(250)를 접하면서 측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청소공간부(320)는 이격롤러(250)가 제2하단롤러(240)와 하부롤러(22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삼각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청소공간부(320)에는 후술할 필터청소부(600)의 배출관(630)이 위치하게 된다.
구동롤러(400)는 후술할 모터부(500)와 연결되어, 모터부(500)에 의해 구동력을 공급받는다. 구동롤러(400)는 본체(100)의 하부 수조(140)를 가로지르는 제1구동롤러(410)와 제2구동롤러(420)가 구비된다. 제1구동롤러(410)와 제2구동롤러(420)는 제1하단롤러(230)와 이격롤러(25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구동롤러(410)는 수막필터(30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2구동롤러(420)는 수막필터(30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구동롤러(410)는 선단이 돌출되며, 선단에 구동롤러축(412)이 형성된다. 구동롤러축(412)에는 모터부(500)의 제1기어(510)가 치합된다. 아울러 제1구동롤러(410)의 선단 후방에는 외주연 전체에 제1구동축(414)이 형성된다. 이때 제1구동축(414)는 제1구동롤러(410)의 후단에도 형성된다.
제2구동롤러(420)는 선단 외주연 전체에 제2구동축(4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2구동축(424)도 제2구동롤러(420)의 후단에도 형성된다.
제1구동축(414)과 제2구동축(424)은 서로 치합된 상태로 제1구동롤러(410)와 제2구동롤러(420)가 수막필터(300)의 상하면을 동시에 눌러주게 된다.
후술할 모터부(500)의 제2기어(5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기어(510)가 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510)와 치합된 제1구동롤러(4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1구동롤러(410)가 회전하면, 제1구동축(414)이 제2구동축(424)과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구동롤러(42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수막필터(300)가 한 방향으로 밀리면서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부(500)는 제1구동롤러(410)와 축결합되어 제1구동롤러(410)와 제2구동롤러(420)에게 구동력을 제공해준다. 모터부(500)는 제1구동롤러(410)의 구동롤러축(412)와 치합되는 제1기어(510)와, 본체(100)의 측면에서 제1기어(5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20)와, 구동모터(520)의 축에 축결합되는 제2기어(530)가 구비된다.
제1기어(510)와 제2기어(530)는 서로 치합된다. 제2기어(530)가 구동모터(52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1기어(510)가 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510)에 의해 제1구동롤러(410)가 회전하며, 제1구동롤러(410)가 회전함에 따라 제2구동롤러(42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필터청소부(600)는 수조(140)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수막필터(300)를 향해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수막필터(300)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청소부(600)는 본체(100)의 측면 중 이격롤러(250)와 청소공간부(320)가 형성된 위치에 설치된다.
필터청소부(600)는 수조(140)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펌프(610)와, 펌프(610)의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관(620)과, 펌프(610)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관(630)이 구비된다. 흡입관(620)은 중공형의 관 형태로 펌프(610)의 흡입구에서 시작되어 수조(140)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흡입관(620)을 통해 펌프는 수조(140) 내부의 액체를 흡입해준다.
배출관(630)은 중공형의 관 형태로 펌프(610)의 배출구에서 시작되어 청소공간부(320)까지 연장된다. 흡입관(620)을 통해 흡입된 액체는 배출관(630)을 통해 고압으로 배출된다. 배출관(630)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수막필터(300)의 상면과 하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해준다. 제거된 먼지는 수조(140)의 내부로 가라앉게 된다.
배출관(630)은 2방향으로 분기되어 청소공간부(320)를 내측으로 가로지르도록 제1노즐관(640)이 형성되고, 청소공간부(320)를 외측으로 가로지르도록 제2노즐관(650)이 형성된다. 제1노즐관(650)에는 전 길이에 걸쳐서 제1노즐(642)이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된다.
제1노즐(642)은 청소공간부(320)를 형성하는 수막필터(300)의 내측 하면을 향해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제1노즐(642)은 수막필터(300)의 전체 넓이에 중첩하여 액체를 넓고 고르게 퍼지도록 분사해준다. 그래서 이격롤러(250)를 지나는 수막필터(300)의 하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해준다.
제2노즐관(650)에는 전 길이에 걸쳐서 제2노즐(652)이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된다. 제2노즐(652)은 청소공간부(320)를 형성하는 수막필터(300)의 외측 상면을 향해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해준다. 이때 제2노즐(652)은 수막필터(300)의 전체 넓이에 중첩하여 액체를 넓고 고르게 퍼지도록 분사해준다. 그래서 이격롤러(250)를 지나는 수막필터(300)의 상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해준다.
한편, 제1노즐(642)과 제2노즐(652)은 서로 마주보도록 천공된다. 즉 제1노즐(642)과 제2노즐(652)은 수막필터(3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천공된다. 그래서 제1노즐(642)과 제2노즐(652)에서 분사된 액체에 의해 이격롤러(250)를 지나는 수막필터(300)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해준다. 제1노즐(642)과 제2노즐(652)이 마주본 상태에서 고압으로 수막필터(300)의 양면에 액체가 분사되기 때문에 수막필터(300)에 흡착된 먼지를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노즐(642)은 수막필터(300)의 아랫면을 청소해주고, 제2노즐(652)은 수막필터(300)의 윗면을 동시에 청소해줌으로써 수막필터(300)를 양면으로 동시에 청소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청정 효과를 배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즉 수막필터(300)의 양면이 청결하게 된 상태에서 대전공간부(310)를 지나게 됨으로써, 양면으로 동시에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착하게 된다.
전극부(7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통로(12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극부(7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공기통로(120)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전극판(710)과, 본체(100)의 내부 상부에서 전극판(7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홀더(720)와, 본체(100)의 내부 하부에서 전극판(7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730)이 구비된다. 하부브라켓(730)에는 전극판(710)의 개수와 대응되게 브라켓홀(732)이 형성되고, 전극판(710)의 하부는 브라켓홀(73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극판(710)은 판 형상으로 양(+) 전극 또는 음(-) 전극으로 하여 펄스성의 고전압을 가하면, 공기 중에 직접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공기가 양(+) 또는 음(-)으로 이온화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전극판(710)을 음(-) 전극이라면, 외부 공기가 음(-)으로 이온화되게 되고,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물은 0V로 양(+)의 속성을 가지므로, 먼지가 수막필터(300)로 흡착되게 된다.
한편, 전극판(710)의 상부에는 전극판(710)을 이격되게 덮어주는 물차단막(740)이 설치된다. 이때, 물차단막(740)은 전극판(710)의 전후 길이를 다 커버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물차닥막홈(103)을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물차단막(740)은 뒤집힌 'V' 형상으로 수막필터(300)의 대전공간부(310)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판(710)에 수막필터(300)의 물이 낙하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전극판(710)에는 고압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면 스파크가 발생하여 전극판(710)과 수막필터(300)가 손상되게 되는데, 물차단막(740)으로 이를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물차단막(740)은 부도체인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서는 본체(100)의 덮개(101, 도 3 참조)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아울러 도 8에서는 제1기어(51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면 본체(100)의 공기배출구(130)에 설치된 배출팬(150)이 작동하면서, 외부 공기(10)가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외부 공기(10)는 공기유입구(110)를 통과하여 공기통로(120)를 지나게 된다. 외부 공기(10)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과정에서 전극판(710)에 의해 수막필터(300)로 흡착되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수조(140) 내부에는 수위센서(142)가 설치된다. 수위센서(142)는 컨트롤러(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드레인관(160)을 통해 액체(20)가 수조(140) 외부로 배출되어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새로운 액체(20)가 수조(140)에 채워질 때, 액체(20)가 일정 수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해준다. 컨트롤러(190)는 수위센서(1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제2드레인관(170)의 개폐를 제어해준다. 제1드레인관(160)은 외부 정화장치로 연결되고,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된 액체(20)는 다시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수조(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수위센서(142)와 제1드레인관(160) 및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수조(140) 내부에 위치한 액체(20)의 총량을 항상 같게 유지해주게 된다. 그에 따라 수조(140)에 내장된 액체(2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수막필터(300)의 먼지(30) 흡착 효율을 최상의 정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정하게 유지해준다.
즉 수위센서(142)는 수막필터(300)를 청소하기 위해서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에서 액체(20)가 분사될 때, 제1드레인관(160)을 통해서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에 의해 분사되는 양만큼 액체(20)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제2드레인관(170)을 통해 제1드레인관(1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만큼을 수조(140)의 내부로 유입시켜준다. 그래서 수조(140) 내부 액체(20)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준다. 그래서 액체(20)가 정화되면서 순환을 계속하게 되고, 수조(140) 내부의 액체(20)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막필터(300)의 먼지 흡착 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위센서(142)는 수조(140) 내에서 이격롤러(250) 및 제1노즐관(640)과 제2노즐관(650) 보다는 낮게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에서는 본체(100)의 도시를 생략하여, 본체(100)의 내부에서 구동롤러(400), 모터부(500) 및 수막필터(300)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8에서는 제1기어(5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통로(120, 도 6 참조)로 유입된 외부공기(10, 도 6 참조)는 수막필터(300)에 의해 형성된 대전공간부(310)를 지나가게 된다. 대전공간부(310)에는 각각의 전극판(710)이 위치하게 된다. 전극판(710)에는 음(-) 전극으로 하여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져서, 외부 공기(10)에 직접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공기(10)가 음(-)으로 이온화되게 된다. 아울러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30)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물은 0V로 양(+)의 속성을 가지므로, 먼지가 수막필터(300)로 흡착되게 된다.
하부롤러(220)는 수조(140) 내부의 액체(20)에 침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막필터(300)가 하부롤러(220)로 지나갈 때는 액체(20)에 침지되고, 상부롤러(210)로 지나갈때는 수막이 형성된 상태로 공기통로(120) 내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520)는 컨트롤러(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회전이 제어된다. 구동모터(520)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제2기어(530)가 회전하게 되고, 제2기어(530)와 치합된 제1기어(510)가 회전하게 된다.
제1기어(510)는 제1구동롤러(410)와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구동롤러(410)에 치합된 제2구동롤러(42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수막필터(30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제1하단롤러(230), 제2하단롤러(24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및 이격롤러(250)를 절반 이상 접하도록 하나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제1하단롤러(230), 제2하단롤러(24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및 이격롤러(250)를 순환하면서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수막필터(300)는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교차하면서, 이격롤러(250), 제1하단롤러(230) 및 제2하단롤러(24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외부 공기(10)에 포함된 먼지(30)를 계속적으로 흡착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공기청정기에서 본체(100)를 제외하여 나타낸 배면 기준 이등각 투시도이다. 도 8에서는 제1기어(5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수막필터(300)는 순환을 계속하는 과정에서 흡착된 먼지(30)에 의해, 먼지(30) 흡착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롤러(250) 하부에 형성된 청소공간부(320)에서 수막필터(300)의 상하면을 동시에 청소해주게 된다.
청소공간부(320)의 내부에는 수막필터(300)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필터청소부(600)의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연장된 제1노즐관(640)이 위치하고, 청소공간부(320)의 외측과 인접하게는 수막필터(300)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연장된 제2노즐관(650)이 위치한다.
펌프(610)에서 흡입관(620)에 의해 흡입된 수조(140)의 액체(20)를 배출관(630)을 통해 고압으로 수막필터(300)의 표면에 직접 분사하여, 수막필터(300)의 표면에 흡착된 먼지(30)를 수조(140)로 낙하하도록 해준다.
이때 제1노즐관(64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노즐(642)은 이격롤러(250)를 지나가는 수막필터(300)의 하면을 향해 전체 넓이에 중첩되도록 고압의 액체(20)를 여러 갈래로 분사해준다. 그래서 수막필터(300)의 하면을 청소해주게 된다.
제2노즐관(65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노즐(652)은 이격롤러(250)를 지나가는 수막필터(300)의 상면을 향해 전체 넓이에 중첩되도록 고압의 액체(20)를 여러 갈래로 분사해준다. 이를 통해 수막필터(300)의 상면을 청소해주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막필터(300)는 제1하단롤러(230), 제2하단롤러(240), 상부롤러(210), 하부롤러(220) 및 이격롤러(25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는데, 순환과정에서 계속해서 수막필터(300)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해주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수막필터(300)의 성능이 처음과 그대로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10)에 포함된 먼지(30)를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
10 : 외부 공기 20 : 액체 30 : 먼지
100 : 본체
101 : 덮개
102 : 전면덮개 103 : 구동롤러공 104 : 전면롤러홈
105 : 후면덮개 106 : 후면롤러홈
107 : 상부롤러공 108 : 물차단막홈
110 : 공기유입구 112 : 먼지센서
120 : 공기통로 130 : 공기배출구
140 : 수조 142 : 수위센서
150 : 배출팬 160 : 제1드레인관 170 : 제2드레인관
180 : 컨트롤러 하우징 182 : 버튼 184 : 디스플레이
190 : 컨트롤러
200 : 롤러부
210 : 상부롤러 212 : 상부가이드링
220 : 하부롤러 222 : 하부가이드링
230 : 제1하단롤러 232 : 제1하단가이드링
240 : 제2하단롤러 242 : 제2하단가이드링
250 : 이격롤러 252 : 이격가이드링
300 : 수막필터
310 : 대전공간부 320 : 청소공간부
400 : 구동롤러
410 : 제1구동롤러 412 : 구동롤러축 414 : 제1구동축
420 : 제2구동롤러 424 : 제2구동축
500 : 모터부
510 : 제1기어 520 : 구동모터 530 : 제2기어
600 : 필터청소부
610 : 펌프 620 : 흡입관 630 : 배출관
640 : 제1노즐관 642 : 제1노즐
650 : 제2노즐관 652 : 제1노즐
700 : 전극부
710 : 전극판 720 : 상부홀더
730 : 하부브라켓 732 : 브라켓홀
740 : 물차단막

Claims (11)

  1. 외부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공기(10)가 통과하면서 여과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여과 처리된 외부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액체(20)가 내장되는 수조(14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게 배치되되 상기 상부롤러(2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액체(20)와 접촉되는 하부롤러(220)를 포함하는 롤러부(200);
    상기 상부롤러(210)와 상기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접하고, 상기 액체(20)에 침지와 상기 공기통로(120) 상에 노출을 반복하면서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필터(300);
    상기 수막필터(300)와 일측이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롤러(400); 및
    상기 구동롤러(400)와 결합되어 상기 수막필터(300)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에서 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에서 후방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선단에서 전방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부롤러(220) 중 최후단에서 후방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롤러(250)를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필터(300)는
    상기 공기통로(120)의 전후 길이와 대응되는 넓이로 시작단이 제2하단롤러(240)를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기 상부롤러(210)와 상기 하부롤러(220)를 번갈아가면서 접하고,
    상기 이격롤러(250)를 접한 이후 끝단이 상기 제1하단롤러(230)를 접한 이후 다시 상기 제2하단롤러(240)의 시작단과 하나로 이어지며, 상기 제2하단롤러(240), 상기 상부롤러(210), 상기 하부롤러(220), 상기 이격롤러(250) 및 상기 제1하단롤러(230)를 순환하도록 회전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전후를 가로지르도록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이격롤러(25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이격롤러(25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하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양단이 서로 맞물려 같이 회전하여 상기 수막필터(300)를 회전시키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과 접촉되며, 양단에 제1구동축(414)이 형성된 제1구동롤러(410)와,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과 접촉되며, 양단에 제2구동축(424)이 형성되는 제2구동롤러(4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롤러(410)와 상기 제2구동롤러(420)는 상기 제1구동축(414)과 상기 제2구동축(424)이 서로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수막필터(300)가 회전하도록 밀어주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상기 제1하단롤러(23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서 상기 수조(140)로 연장되어 상기 액체(20)를 흡입하는 흡입관(620)과, 상기 펌프(610)에서 상기 수막필터(300)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흡입관(620)에서 흡입된 상기 액체(20)를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에 흡착된 먼지(30)를 제거하는 배출관(630)이 구비된 필터청소부(600);를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통로(120)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외부 공기(10)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 상기 수막필터(300)로 밀어주어 상기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수막필터(300)로 흡착되도록 하는 전극부(700);를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7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홀더(72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롤러(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730)과, 상기 상부홀더(720)와 상기 하부브라켓(730)의 사이에서 상기 대전공간부(310)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대전공간부(310)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공기(10)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 상기 수막필터(300)로 밀어주어 상기 외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수막필터(300)로 흡착되도록 하는 전극판(710)을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필터(300)는,
    상기 제1하단롤러(230) 또는 제2하단롤러(240)에서 접하도록 시작되어 상기 상부롤러(210)를 지나 상기 하부롤러(220)를 접하여 내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롤러(220) 2개와 상기 상부롤러(210) 1개가 서로 이어져 내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롤러(210) 2개와 상기 하부롤러(220) 1개가 서로 이어져 내측에 형성되는 대전공간부(310)와, 상기 제1하단롤러(230)와 상기 하부롤러(220) 또는 상기 제2하단롤러(240)와 상기 하부롤러(220)의 사이 위치한 상기 이격롤러(250)을 접하면서 측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청소공간부(320)를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600)는,
    상기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청소공간부(320)의 내측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1노즐관(640)과, 상기 배출관(6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이격롤러(250)의 외측에서 상기 수막필터(300)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2노즐관(650)과, 상기 제1노즐관(640)에서 전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되어 상기 액체(20)를 상기 청소공간부(320)에 위치한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을 향해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하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1노즐(642)과, 상기 제2노즐관(650)에서 전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되어 상기 액체(20)를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을 향해 분사하여 상기 수막필터(300)의 상면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2노즐(652)을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700)는,
    상기 전극판(7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판(710)을 이격되게 덮어주어 상기 수막필터(300)에서 생성된 물방울이 상기 전극판(710)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는 뒤집힌 'V' 형상의 물차단막(740)을 더 포함하는 수막형 공기청정기.
KR1020170088623A 2017-07-12 2017-07-12 수막형 공기청정기 KR10195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23A KR101958308B1 (ko) 2017-07-12 2017-07-12 수막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23A KR101958308B1 (ko) 2017-07-12 2017-07-12 수막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18A true KR20190007318A (ko) 2019-01-22
KR101958308B1 KR101958308B1 (ko) 2019-03-15

Family

ID=6532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23A KR101958308B1 (ko) 2017-07-12 2017-07-12 수막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3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56B1 (ko) * 2019-07-23 2019-10-25 (주)유성엔비텍 폐기물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KR102095716B1 (ko) * 2019-03-27 2020-04-02 최재원 다기능 공기조화시스템
DE102020200377A1 (de) 2019-01-21 2020-07-23 Hanon Systems Scrollk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229B1 (ko) * 2020-01-21 2020-07-07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전기집진필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07B1 (ko) * 2005-12-02 2006-09-25 주식회사 두원정밀 습식 공기청정기
JP3928218B2 (ja) * 1997-07-10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10007266U (ko) * 2010-01-13 2011-07-20 김병종 웰빙 에어 워셔 크리링
KR20130080499A (ko) * 2012-01-05 2013-07-15 김행숙 습식 공기청정기
KR200470792Y1 (ko) 2013-08-07 2014-01-08 이길순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40043643A (ko) 2012-10-02 2014-04-10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720695B1 (ko) * 2016-02-23 2017-04-03 한국기계연구원 혼합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8218B2 (ja) * 1997-07-10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0627207B1 (ko) * 2005-12-02 2006-09-25 주식회사 두원정밀 습식 공기청정기
KR20110007266U (ko) * 2010-01-13 2011-07-20 김병종 웰빙 에어 워셔 크리링
KR20130080499A (ko) * 2012-01-05 2013-07-15 김행숙 습식 공기청정기
KR20140043643A (ko) 2012-10-02 2014-04-10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0470792Y1 (ko) 2013-08-07 2014-01-08 이길순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720695B1 (ko) * 2016-02-23 2017-04-03 한국기계연구원 혼합식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377A1 (de) 2019-01-21 2020-07-23 Hanon Systems Scrollkompressor
KR102095716B1 (ko) * 2019-03-27 2020-04-02 최재원 다기능 공기조화시스템
KR102036156B1 (ko) * 2019-07-23 2019-10-25 (주)유성엔비텍 폐기물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308B1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308B1 (ko) 수막형 공기청정기
JP5422049B2 (ja) 湿式空気浄化装置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793695B1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KR101740497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1720695B1 (ko) 혼합식 공기청정기
KR101580458B1 (ko) 공기순환장치
KR20100055159A (ko) 수막을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KR101958253B1 (ko) 집진모듈 교체형 수막형 공기정화기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JP5040612B2 (ja) 空気浄化装置
JP7112078B2 (ja) 液切板及びそれを備える湿式集塵機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1846432B1 (ko) 수막형 공기청정기
CN103394257A (zh) 静电空气净化装置及方法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KR20100125796A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944803B1 (ko) 수막형 공기청정기
KR101759568B1 (ko) 컨베이어식 수막형 공기청정기
KR101944801B1 (ko) 세정액 정화 시스템이 구비된 수막형 공기청정기
KR20230031482A (ko) 고전압 인가 전기집진모듈의 씰링구조체
KR20140125464A (ko) 수족관용 물관리장치
KR20200109051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488601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