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784A -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784A
KR20190006784A KR1020170087925A KR20170087925A KR20190006784A KR 20190006784 A KR20190006784 A KR 20190006784A KR 1020170087925 A KR1020170087925 A KR 1020170087925A KR 20170087925 A KR20170087925 A KR 20170087925A KR 20190006784 A KR20190006784 A KR 2019000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posed
lens
guide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901B1 (ko
Inventor
강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9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에 관한 것이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되다가, 최근에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라이다는, 광을 물체에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출력 모듈에서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화각이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출력 모듈에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또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화각의 변위량은 소량에 그쳐 문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충격에도 약하여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렌즈 크기는 축소하면서 넓은 화각(FOV, field of view)의 구현이 가능한 라이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광원의 스캐닝(Scanning)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며,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홀더부의 분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4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는 도 4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마그넷, 제1코일, 제2마그넷, 제2코일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또 다른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4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넷이 제2하우징에 위치하며, 제1코일이 제1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이 제4하우징에 위치하며, 제2코일이 제3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다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과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기판, 수광 센서, 방열부재,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에서 광원을 수광 센서로 대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수신 모듈에서, 방열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의 기판, 방열부재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광출력 모듈의 기판, 방열부재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출력 모듈은,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이 포함된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100)는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라이다(100)의 구동을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케이스 본체(10a)와, 상기 케이스 본체(10a)의 상,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커버(70)와 하부 커버(1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9, 7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a)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와 상기 커버(19, 70)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30)이 배치된다.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은 상기 상부 커버(70)에 형성되는 글래스(21, 31)를 통해 광을 상기 케이스(10)의 내, 외부로 조사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 사이에는 별도의 구획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은 상기 상부 커버(70)의 글래스(21, 3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21, 31)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광이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글래스(21, 31)는 상기 광출력 모듈(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통과하기 위한 광출력 글래스(31)와,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이 내부로 통과하기 위한 광수신 글래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글래스(21)로부터 입사된 광은 후술할 광수신 렌즈(32, 33)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21, 31)의 재질은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투명 플라스틱(Plastic)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70)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라이다(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상부 커버(70)는 중앙부가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70)에 결합되는 상기 글래스(21, 31)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커버(70)의 타 영역과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라이다(10)는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광수신 모듈(30)은 광수신 렌즈(32, 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32, 35)는 제1 광수신 렌즈(32)와, 상기 제1 광수신 렌즈(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광수신 렌즈(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32, 33)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광수신 글래스(3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a)의 상면에는 상기 광수신 렌즈(32, 33)가 수용되기 위한 렌즈 수용홈(30a)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 수용홈(30a)은 상기 케이스 본체(10a)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광수신 렌즈(32, 33)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수용홈(30a)의 단면적은 상기 광수신 렌즈(32, 33)의 단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32, 33)는 광수신 기판(3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32, 33)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광수신 렌즈(33)는 상기 광수신 기판(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수신 렌즈(32, 33)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한 신호가 상기 광수신 기판(35)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32, 33)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광수신 렌즈(52)는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수신 렌즈(32)로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수신 렌즈(33)는 집광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 렌즈(32, 33)의 상면은 후술할 제3렌즈부(130)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광수신 렌즈(32, 33) 영역은 상하 방향길이가 상기 제3렌즈부(130) 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광출력 모듈(20)이 아닌 상기 광수신 모듈(30)로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기판(35) 및 상기 광출력 모듈(20)의 하측에는 별도의 기판(16, 18)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기판(35)과 상기 별도의 기판(16, 18)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수신 기판(35)과 상기 별도의 기판(16, 18)은 상기 고정나사와 이격된 양측에 별도의 연결기판(17)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기판(16, 18)은,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기판(18)과, 상기 제어기판(18)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 모듈(20)과 상기 광수신 모듈(30)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기판(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별도의 기판(16, 18)들은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각 모듈(20, 3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광출력 모듈(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홀더부의 분해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4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는 도 4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20)은, 기판(50), 광원(52)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에서는, 기판(50), 광원(52) 및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은, 상기 광원(5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은, 상기 광원(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50)은, 상기 광원(52)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의 상면에는 상기 광원(52) 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의 상, 하면에는 방열핀(미도시)이 결합수 있다. 상기 기판(50)은,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판(50)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기판(16) 또는 제어기판(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렌즈 유닛(10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상기 기판(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상기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52)은, 상기 기판(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상기 광원(52)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닛(101) 및 액츄에이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 유닛(101) 및 상기 액츄에이터(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상기 기판(50)에 실장된 상기 광원(5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광원(52)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렌즈 유닛(101)을 통과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상기 광원(5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고정하는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모두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의 화각(FOV, field of view)은, 135도내지 145도 일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유닛(101)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200)가 상기 렌즈 유닛(101)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제1렌즈부(110), 제2렌즈부(120) 및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유닛(101)에서,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1)은, 상기 제3렌즈부(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1)은,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는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순서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5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5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제5렌즈(131), 제6렌즈(132) 및 제3렌즈배럴(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에서, 상기 제5렌즈(131), 상기 제6렌즈(132) 및 상기 제3렌즈배럴(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6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6렌즈(1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5렌즈(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5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광출력 글래스(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5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1 내지 제5렌즈(111, 112, 121, 122, 131)와 비교하여 가장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6렌즈(13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4렌즈(1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직경은, 상기 제6렌즈(132)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4렌즈(122)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6렌즈(132)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과 수직한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과 수직하고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1축 방향으로 2.8mm 내지 3.2mm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2축 방향으로 88㎛ 내지 92㎛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유닛(101)의 화각은 135도 내지 145도로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절홀(11, 도 1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홀(11)은, 상기 케이스(10)의 측면 중 상기 제2렌즈부(120)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절홀(11)에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3렌즈(121),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렌즈부(120)에서, 상기 제3렌즈(121), 상기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5렌즈(131)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4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4렌즈(1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렌즈(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렌즈(121) 및 상기 제4렌즈(122)는, '구동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5렌즈(13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3렌즈(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3렌즈(121)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의 직경은,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200)의 제1홀더부(11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렌즈부(110)에서,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3렌즈(121)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렌즈(112) 하측에 위치하는 제1렌즈(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하는 상기 제1렌즈 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3렌즈(12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6렌즈(132)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포커싱(focus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렌즈(112)는, '포커싱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2렌즈(11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광원(5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21)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2렌즈(112)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컬리메이팅(collimat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112)는, 상기 광원(52)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해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렌즈(111)는, '컬리메이팅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제2렌즈부(120) 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고정하고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200)에 결합된 상기 렌즈 유닛(1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200)가 상기 제1렌즈부(110) 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제1 내지 3렌즈부(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은 '상하 방향', '수직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은, '전후좌우 방향', '수평 방향' 및 'X축/Y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경사를 이루도록 만날 수 있다. 또한,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으로 호칭되고, 제2축은 'Y축'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서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부(110)는 X축 방향, 상기 제2렌즈부(120)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베이스(20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베이스(201)에 결합되는 제1 구동 유닛(1001) 및 제2 구동 유닛(1002) 및 구동기판(62, 6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츄에이터(200)에서,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 및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 상기 구동기판(62, 6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1)의 상, 하측에는 커버(201a, 201b)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201a, 201b)는 상기 베이스(20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커버(201a)와 상기 베이스(201)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커버(201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201a)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20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1홀더부(300), 제1 마그넷(350), 제1코일(220), 제1가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에서, 상기 제1홀더부(300), 상기 제1 마그넷(350), 상기 제1코일(220), 상기 제1가이드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을 기준으로,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베이스 기판(208)에 의해 상, 하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208) 중 광축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110)를 상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2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08)은 상기 액츄에이터(200)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208)은 상기 베이스(201)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208)은 상기 베이스(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08)은 제1코일(220), 제2코일(230), 제1홀더부(300), 제2홀더부(4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 하면에는 전술한 제1코일(220), 제2코일(230), 제1홀더부(300), 제2홀더부(400)가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제1코일(220), 제2코일(230), 제1홀더부(300), 제2홀더부(400)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는 상기 제1코일(2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코일 안착부(207)가 상기 제1코일(220)의 위치 및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코일(220)을 2개를 배치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1개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코일(220)이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220)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측에 상기 제1홀더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기판(208)에는 상기 제1코일(220)이 배치되기 위한 제1 코일 결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22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40)은 제2렌즈부(12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220)은, 제1구동기판(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부(300)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결합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홀(312)은 대략 상기 제1홀더부(30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의 제2렌즈배럴(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와 제1홀더부(300)는 나사결합 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후 에폭시나 열경화성 접착제로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부(300)는 중심에 상기 제2렌즈부(12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1 마그넷(3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홀더부(300)는 제2렌즈부(120)가 끼워지는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350)이 결합되는 제1마그넷 결합부(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 결합부(320, 33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제1마그넷 결합부(320, 33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일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1몸체(310)의 타측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2연장부(33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호 대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2연장부(330) 중 어느 하나의 연장부의 단부는 타 연장부의 단부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장부(330)의 단부측 영역은 상기 제1연장부(320)의 단부측 영역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마그넷(350)은 상기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2연장부(330)의 단부측 영역 중심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홀더부(300)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코일(220)과 상기 제1마그넷(35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가이드부(5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세히,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 결합되는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과, 상기 제1홀더부(300)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과,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볼(530)을 지지하는 가이드판(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과 상기 제1홀더부(300)의 하면 사이에서 상기 제1홀더부(300)의 제1몸체(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복수로 배치된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몸체(310)와의 거리가 상호 다를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3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몸체(3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몸체(310)와의 거리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홀더부(300)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측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의 상면에는 하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53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은 상기 제1홀더부(3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의 하면에는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530)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가이드홈(5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의 결합 시, 상기 제1가이드홈(541)과 상기 제2가이드홈(511)이 상호 마주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볼(530)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홈(541)과 상기 제2가이드홈(511)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볼(530)의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이동홀(50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볼(530)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520)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볼(530)이 수용되는 수용홀(525)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홀(525)은 상기 가이드볼(5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판(520)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볼(530)이 복수로 배치될 경우,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가이드볼(530)은 상호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판(520)이 상기 가이드볼(530)을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볼(530)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2)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1홀더부(300)의 하면에서, 상기 제1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은 상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부(3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은, 우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 레일(5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판(520)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가이드판(520) 또한, 우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판이 좌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판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제1홀더부(3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 레일(512)을 상기 제1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홀더부(300)는 이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1가이드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부(500)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이동홀(501)의 내주면 중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2)과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볼(502)이 이동하는 제1이동홀(501)이 형성된다 할 때, 상기 제1이동홀(501)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홀더부(300)의 하측에서 상기 제1몸체부(310)에 배치된 상기 제1렌즈부(110)의 광축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할 때, 2개의 상기 제1가이드부(500) 중 어느 일 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이동홀(501)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부(3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500)의 이동홀(502)의 내주면 중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이는,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541)의 내주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볼(530)의 외주면은 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상기 이동홀(502)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1홀더부(300)의 이동 경로가 설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2홀더부(400), 제2마그넷(450), 제2코일(230), 제2가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잇다. 다만,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에서, 상기 제2홀더부(400), 상기 제2마그넷(450), 상기 제2코일(230), 상기 제2가이드부(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에 2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코일(230)이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230)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측에 상기 제2홀더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기판(208) 에는 상기 제2코일(230)이 배치되기 위한 제2 코일 결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23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2코일(230)의 배치 방향은, 복수의 상기 제1코일(220)의 배치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2구동기판(6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부(400)에는, 상기 제1렌즈부(110)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홀(미도시)은 대략 상기 제2홀더부(40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렌즈부(110)의 제3렌즈배럴(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홀더부(400)는 중심에 상기 제1렌즈부(11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2마그넷(4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홀더부(400)는 제1렌즈부(110)가 끼워지는 제2몸체(410)와, 상기 제2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450)이 배치되는 제2마그넷 결합부(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과 상기 제2홀더부(400)의 하면 사이에서 상기 제2홀더부(400)에 배치된 상기 제2렌즈부(120)의 광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복수로 배치된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상기 제2몸체(410)와의 거리가 상호 다를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제2몸체(4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2몸체(4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몸체(410)와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홀더부(400)는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측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40)의 하면에는 하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가이드볼(63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3가이드홈(6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은 상기 제2홀더부(4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의 상면에는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630)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4가이드홈(6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의 결합 시, 상기 제3가이드홈(641)과 상기 제4가이드홈(611)이 상호 마주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볼(630)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3가이드홈(641)과 상기 제4가이드홈(611)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6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볼(630)의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이동홀(60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볼(630)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620)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볼(630)이 수용되는 수용홀(625)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홀(625)은 상기 가이드볼(6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홀더부(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판(620)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볼(630)이 복수로 배치될 경우, 상기 제2홀더부(300)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가이드볼(630)은 상호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판(620)이 상기 가이드볼(630)을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볼(630)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볼(530, 630)은 배치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나, 양 구성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어느 일 가이드볼이 다른 가이드볼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볼(530)을 "제1가이드볼",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볼(630)을 "제2가이드볼"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홀더부(400)의 상면에서, 상기 제2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은 상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중심으로 상기 제2몸체부(4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은, 우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 레일(6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판(620)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가이드판(520) 또한, 우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판(622)이 좌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판(620)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이는, 제2홀더부(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홀더측 가이드 레일(612)을 상기 제2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홀더부(4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홀더부(400)는 이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2가이드부(600) 중 적어도 하나의 제2가이드부(600)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6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이동홀(601)의 내주면 중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0)과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볼(630)이 이동하는 제2이동홀(601)이 형성된다 할 때, 상기 제2이동홀(601)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상기 제2홀더부(400)의 상측에서 상기 제2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할 때, 2개의 상기 제2가이드부(600) 중 어느 일 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이동홀(601)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제2몸체부(3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600)의 이동홀(602)의 내주면 중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이는,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6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홈(611)의 내주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홈(641)과 상기 제4가이드홈(611)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가이드홈(641)은 바닥면이 평편한 형상으로 가이드볼(630)이 상기 제3가이드홈(641)의 바닥면 및 측벽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제4가이드홈(611)은 V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630)이 상기 제4가이드홈(611) 내부에 유동성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홈(641)과 상기 제4가이드홈(611)의 형상 및 구조 관계는, 상기 제1가이드홈(541)과 상기 제2가이드홈(511)에서도 원용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3가이드홈(641)의 양 측벽 사이가 상기 가이드볼(630)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630)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볼(630)의 외주면은 곡면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상기 이동홀(602)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2홀더부(400)의 이동 경로가 설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 6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 610)은 각각 제1홀더부(300), 제2홀더부(400) 및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상, 하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결합된다. 상기 안착홈은 타 영역에 비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540,. 640)과 상기 홀더측 가이드 레일(510, 610)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홀더부(400)의 상면에는 상기 기판측 가이드 레일(610)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46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부(300)와 상기 제2홀더부(40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더 자세하게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양단에 상기 제1마그넷(350)이 배치되는 상기 제1홀더부(300)와, 양단에 상기 제2마그넷(450)이 배치되는 상기 제2홀더부(400)는, 마그넷의 배치 형태가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코일(220)과 상기 제2코일(230)의 배치 형태 또한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홀더부(300)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홀더부(400)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1홀더부(300)는 제2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2홀더부(400)는 제1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홀더부(300)가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고, 제1가이드부(1015)가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홀더부(300)와 제1가이드부(1015)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더부(400)가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제2가이드부(600)가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홀더부(400)와 제2가이드부(600)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홀더부(300)와 제2홀더부(40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6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60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부(300)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사이에는 제1구동기판(62)이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기판(62)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코일(220)은 상기 제1구동기판(62)의 상면에서, 상기 제1코일(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기판(64)의 상면에는 상기 제2코일(230)이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기판(6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구동기판(62)은 상기 베이스(2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구동기판(62)에는 홀(62a)이 형성된다. 상기 홀(62a)은 상기 제1구동기판(62)의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62a)과 상기 제1코일(220)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62a)과 상기 제2코일(230) 사이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홀더부(400)와 상기 베이스 기판(208)의 사이에는 제2구동기판(64)이 배치된다. 상기 제2구동기판(64)은 상기 제2코일(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1마그넷(350)과 상기 제1코일(22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마그넷(450)과 상기 제2코일(23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고,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으로 동작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X축/Y축 구동이 가능하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3렌즈부(130) 및 광원(52)은 기판(50)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만, 제1렌즈부(110) 및 제2렌즈부(120)는, 기판(410)에 대하여 각각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을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제2렌즈부(120)가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렌즈부(110, 120)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도 10의 start로 표시된 지점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X축과 평행한 제1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도 10의 A 참조). 보다 상세히, 제1코일(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홀더부(300)의 제2마그넷(350)이 제1코일(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300)가 제1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홀더부(400)는 고정된다.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B). 보다 상세히, 제2코일(23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홀더부(400)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450)이 제2코일(23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1렌즈부(110)가 배치된 상기 제2홀더부(40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C). 이 경우에도, 제1코일(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300)가 일체로 이동한다.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D). 이 경우에도, 제2코일(23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렌즈부(120)가 포함된 제2홀더부(40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이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유닛(1001)과 제2 구동 유닛(1002)이 교대로 작동하여 제2렌즈부(120) 또는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킨다(도 7의 E, F, G 참조).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이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제1거리(L1)의 3배만큼 이동시킨다(H). 이로써, 제1렌즈부(110)는, End/Start로 표시된 지점에 도착하게 되고 1회 사이클(cycle)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제1렌즈부(110)의 구동 사이클은 20Hz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는 제1거리(L1)는, 0.6mm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Y축 변위량은 0.6mm일 수 있다. 또한, 제2거리(L2)는, 4mm 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X축 이동 변위량은 4mm일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 중 어느 일 렌즈부의 이동은 타 렌즈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각 렌즈부가 개별적,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기판측 가이드 레일;
    상기 제1홀더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홀더측 가이드 레일;
    상기 제1기판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홀더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볼; 및
    상기 제1가이드볼을 수용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기판측 가이드 레일;
    상기 제2홀더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홀더측 가이드 레일;
    상기 제2기판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홀더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볼; 및
    상기 제2가이드볼을 수용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상기 제1렌즈부의 광출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상기 제2렌즈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상기 제1렌즈부의 광축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상기 제2렌즈부의 광축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홀더측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홀더측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기판측 가이드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볼이 이동하는 제1이동홀에는,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홀더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기판측 가이드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볼이 이동하는 제2이동홀에는,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평면이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홀더부는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되는 광출력 모듈.
  10.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홀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되는 라이다.

KR1020170087925A 2017-07-11 2017-07-11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25A KR102463901B1 (ko) 2017-07-11 2017-07-11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25A KR102463901B1 (ko) 2017-07-11 2017-07-11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84A true KR20190006784A (ko) 2019-01-21
KR102463901B1 KR102463901B1 (ko) 2022-11-04

Family

ID=6527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925A KR102463901B1 (ko) 2017-07-11 2017-07-11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9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333A (ko) * 2008-10-20 2010-04-29 (주)캠톤 광학식 상보정 장치
US7983545B2 (en) * 2008-07-23 2011-07-19 Sony Corporation Image blur correction unit, lens barrel device, and camera apparatus
US20160018626A1 (en) * 2012-11-08 2016-01-21 Hou Chang LUN Lens Assemblies and Actuators for Optical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20160134321A (ko) * 2015-05-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72811B1 (ko) * 2017-06-16 2020-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3545B2 (en) * 2008-07-23 2011-07-19 Sony Corporation Image blur correction unit, lens barrel device, and camera apparatus
KR20100043333A (ko) * 2008-10-20 2010-04-29 (주)캠톤 광학식 상보정 장치
US20160018626A1 (en) * 2012-11-08 2016-01-21 Hou Chang LUN Lens Assemblies and Actuators for Optical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20160134321A (ko) * 2015-05-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72811B1 (ko) * 2017-06-16 2020-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901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0887B (zh) 光输出模块和lidar
KR1025125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KR102095895B1 (ko) 공유 송광/수광 경로를 갖는 회전하는 lidar 플랫폼에 대한 디바이스 및 방법
EP2728378B1 (en) Optical sensor
KR20180029585A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624097B1 (ko) 라이다
KR102481506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625299B1 (ko) 라이다
KR102553963B1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90006784A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654247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638695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545310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80026143A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361051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87277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58341B1 (ko) 수광렌즈 모듈 및 라이다
US20240255643A1 (en) Distance measurement camera module
CN215769015U (zh) 单镜片测距装置、激光雷达和移动机器人
KR20200081325A (ko) 거리 측정 센서 모듈
EP3065034B1 (en) Light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230006611A (ko) 렌즈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