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230A - Supporter - Google Patents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230A
KR20190006230A KR1020170086935A KR20170086935A KR20190006230A KR 20190006230 A KR20190006230 A KR 20190006230A KR 1020170086935 A KR1020170086935 A KR 1020170086935A KR 20170086935 A KR20170086935 A KR 20170086935A KR 20190006230 A KR20190006230 A KR 2019000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holes
respec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4048B1 (en
Inventor
송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48B1/en
Publication of KR2019000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upporter which safely supports items of various designs.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first plate arranged on the body, and having multiple first holes arranged thereon; a second plate arranged on the body, and having multiple second holes arranged thereon; and multiple support columns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n the second plate is at a first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late, the support columns can penetrate the first holes and the second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reas when the second plate is at a second position, not the first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late, the support columns cannot penetrate the first holes and the second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Description

받침대{Supporter}Pedestal {Supporter}

본 발명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아이템(item)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and relates to a pedestal capable of safely supporting various shapes of items.

종래에는, 예를 들어, 원통형 아이템을 안전하게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려면, 원통형 아이템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갖는 받침대를 이용해야 했다. 이러한 지지부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시에 원통형 아이템이 받침대를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통형 아이템의 받침대를, 다른 형상의 아이템의 받침대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Conventionally, for example, in order to securely support or move a cylindrical item, a pedestal having a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item has to be used. This is because, when the support is not used, the cylindrical item can be detached from the pedestal upon movement.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use the pedestal of the cylindrical item as a pedestal for items of different shap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954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954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상의 아이템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al capable of safely supporting items of various shap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받침대의 일 면(aspect)은, 바디; 바디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1 홀이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2 홀이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용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제1 홀과 제2 홀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제1 홀과 제2 홀을 관통할 수 없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destal comprising: a body; A first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disposed therein;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dispos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rein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And when the second plate is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support column supports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Can not penetrate.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을 고정하는 다수의 제3 홀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A fixing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ird hole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columns, and at least one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비오버랩된다.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overlap each other, and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hol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hole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상기 지지용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인다.The supporting column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용 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The elastic body may be a spring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ing column.

상기 다수의 제1 홀, 다수의 제2 홀 및 다수의 제3 홀은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the plurality of third holes are each arranged in a matrix form.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도록 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 상에 아이템(item)를 올리고 상기 아이템의 무게로 인해서 상기 아이템의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 상에 아이템을 올린 후,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지지용 기둥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The second plate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And a supporting column located under the item due to the weight of the item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nd after the item is placed on the supporting column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is adjusted to prevent the supporting column from moving.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III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지지용 기둥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 FIG.
FIGS.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FIG. 1, an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column shown in FIG. 1.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All included. On the other hand, a device being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 indicates that no other device or layer is interposed in 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May be used to readily describe a device or a relationship of components to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III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지지용 기둥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 FIG. FIGS.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FIG. 1, an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column shown in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바디(10),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고정 플레이트(40), 지지용 기둥(50) 등을 포함한다. 1 and 2,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first plate 20, a second plate 30, a fixing plate 40, a support column 50 ) And the like.

바디(10)는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고정 플레이트(40), 지지용 기둥(5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바디(10)는 바닥에 고정 또는 지지될 수도 있고, 바디(10)의 하부에 바퀴와 같은 이송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받침대는 위에 놓여지는 아이템을 지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body 10 is a space in which the first plate 20, the second plate 30, the fixing plate 40, the supporting column 50, and the like are installed. The body 10 may be fixed or supported on the floor, or a conveying means such as a wheel may be installed under the body 10. The pedestal is to support or move the item placed on it.

제1 플레이트(20)는 바디(10)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1 홀(21)이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30)는 바디(10)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2 홀(31)이 배치된다. 다수의 제1 홀(21)과 다수의 제2 홀(31)은 각각 매트릭스(matrix)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A first plate (20) is disposed on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first holes (21) are disposed. A second plate (30) is disposed on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31) are disposed.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3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또한,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의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가 서로 접해있는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또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의 S1 참조). 이러한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대응되는 제1 홀(21)과 제2 홀(31)이 서로 오버랩되거나 비오버랩될 수 있다. Further,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can be chang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plate 30 is moved horizontally (or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See S1 in Fig. 2).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lative position,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21 and second hole 31 may overlap with each other or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다시 설명하면,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 대응되는 제1 홀(21)과 제2 홀(31)은 서로 오버랩된다(도 4 참조). 또는,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홀(2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홀(31)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비오버랩된다(도 3 참조). To be more specific, when the second plate 30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21 and second hole 31 overlap each other (see FIG. 4) ).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le 2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le 31 ar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plate 20 when the second plate 30 is in a second position, (See Fig. 3).

한편, 다수의 지지용 기둥(50)은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지지용 기둥(50)은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를 관통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columns 50 are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50 may pass through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plate 20 and the second plate 30, It may not.

다시 설명하면,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즉, 제1 홀(21)과 제2 홀(31)이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지지용 기둥(50)은 대응되는 제1 홀(21)과 제2 홀(31)을 관통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는,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즉, 제1 홀(21)과 제2 홀(31)이 서로 비오버랩되는 경우), 지지용 기둥(50)은 대응되는 제1 홀(21)과 제2 홀(3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없다(도 3 참조). When the second plate 3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that is, when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overlap with each other) The column 50 can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21 and second hole 31 (see FIG. 4).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plate 30 is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i.e., when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 The support column 50 can not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21 and second hole 31 at the same time (see FIG. 3).

고정 플레이트(40)는 바디(10)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지지용 기둥(50)을 고정하는 다수의 제3 홀(41)이 배치된다. 다수의 제3 홀(41)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40 is disposed on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third holes 41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50 are disposed. The plurality of third holes 4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지지용 기둥(50)은 대응되는 제3 홀(41)을 관통하고, 지지용 기둥(50)에는 걸림판(52)이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용 기둥(50)이 제3 홀(41)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된다.3 and 4, a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50 pass through corresponding third holes 41 and a support plate 52 is provided on the support columns 50, The column 50 is fixed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third hole 41. [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6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체(60)는 지지용 기둥(50)을 감싸도록(또는, 지지용 기둥(50)이 탄성체(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least one elastic body 60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late 40 and the second plate 30. The elastic body 60 may be a spring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column 50 (or the support column 50 penetrates the elastic body 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0)의 제2 홀(31)과 제1 플레이트(20)의 제1 홀(21)이 서로 비오버랩된 상태이다. 따라서, 지지용 기둥(50)은 제1 홀(21)과 제2 홀(3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없다. Fig. 3 shows the case where the second plate 30 is in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Fig. Therefore, the second holes 31 of the second plate 30 and the first holes 21 of the first plate 20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upporting column 50 can not pass through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at the same time.

결과적으로,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지지용 기둥(50) 위에 아이템이 올라가 있어도, 지지용 기둥(50)은 제1 홀(21)과 제2 홀(31)을 관통하도록 아래로 내려갈 수 없다. As a result, when the second plate 30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even if the item is raised on the support column 50, the support column 50 is supported by the first hole 21 ) And the second hole (31).

도 4는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0)의 제2 홀(31)과 제1 플레이트(20)의 제1 홀(21)이 서로 오버랩된 상태이다. 따라서, 지지용 기둥(50)은 제1 홀(21)과 제2 홀(3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Fig. 4 shows the case where the second plate 30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Therefore, the second hole 31 of the second plate 30 and the first hole 21 of the first plate 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upporting column 50 can pass through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at the same time.

결과적으로, 제2 플레이트(30)가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지지용 기둥(50) 위에 아이템이 올라가 있으면, 아이템의 무게로 인해서 지지용 기둥(50)은 제1 홀(21)과 제2 홀(31)을 관통하도록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즉, 지지용 기둥(50)은 수직 방향(도 4의 A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second plate 30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if the item is raised on the support column 50, due to the weight of the item, And down through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That is, the supporting column 5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A in Fig. 4).

이 때, 탄성체(60)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용 기둥(50) 위에서 아이템이 내려가면, 지지용 기둥(50)은 원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즉, 지지용 기둥(50)의 걸림판(52)이 고정 플레이트(40)에 접하도록 다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body 60 has a restoring force, when the item is lowered on the supporting column 50, the supporting column 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retaining plate 52 of the supporting column 50 is moved again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4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예시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emplary method of using the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제2 플레이트(30)를 제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도록 한다(도 4 참조).The second plate 3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20 (see FIG. 4).

이어서, 다수의 지지용 기둥(50) 상에 아이템(item)를 올리면, 아이템의 무게로 인해서 아이템의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용 기둥(50)은 대응되는 제1 홀(21)과 제2 홀(31)을 관통하도록 내려가게 된다.Then, when the item is lift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illars 50, the support pillars 50 located under the item due to the weight of the item are pushed into the corresponding first holes 21 and the second holes 31).

이어서, 제2 플레이트(30)와 제1 플레이트(2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용 기둥(5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용 기둥(50)이 제1 홀(21)과 제2 홀(31)에 걸리도록 하여, 제1 홀(21) 및 제2 홀(31)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The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30 and the first plate 20 may be adjusted to prevent the supporting column 50 from moving. That is, the supporting column 50 is engaged with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so as not to be pulled out from the first hole 21 and the second hole 31.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아이템을 받침대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원통형 아이템(99), H형 아이템(98)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상에 올라가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이템(99, 98)의 무게가 걸리는 지지용 기둥(50a)만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아이템(99, 98)의 무게가 걸리지 않는 지지용 기둥(50b)는 아래로 이동하지 않는다. 특히, 지지용 기둥(50a)는 아이템(99, 98)의 무게가 걸리는 만큼만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용 기둥(50a)와 아이템(99, 98) 사이의 접촉력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안정적으로 아이템(99, 98)을 지지하거나, 아이템(99, 98)을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shapes of items can be stably fixed / supported on the pedestal.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illustrate the cylindrical item 99, H-type item 98, respectively, on a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upport pillars 50a to which the weight of the items 99 and 98 are caught move downward. The supporting pillars 50b, to which the items 99 and 98 are not weighted, do not move downward. In particular, the support pillars 50a are moved downward only as the weight of the items 99, 98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support column 50a and the items 99 and 98 becomes high. Thus, the pedest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items 99, 98, or move items 99, 98.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바디
20: 제1 플레이트 21: 제1 홀
30: 제2 플레이트 31: 제2 홀
40: 고정 플레이트 41: 제3 홀
50: 지지용 기둥 52: 걸림판
98, 99: 아이템
10: Body
20: first plate 21: first hole
30: second plate 31: second hole
40: Fixing plate 41: Third hole
50: supporting column 52:
98, 99: Items

Claims (7)

바디;
바디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1 홀이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2 홀이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용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제1 홀과 제2 홀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제1 홀과 제2 홀을 관통할 수 없는 받침대.
body;
A first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disposed therein;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disposed therein;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illars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supporting column can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Wherein when the second plate is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support column can not penetrate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을 고정하는 다수의 제3 홀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plate disposed on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ird hole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And at least one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비오버랩되는 받침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overlap each oth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l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le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받침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ing column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용 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된 스프링인 받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elastic body is a spring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colum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홀, 다수의 제2 홀 및 다수의 제3 홀은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받침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the plurality of third hol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있도록 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 상에 아이템(item)를 올리고 상기 아이템의 무게로 인해서 상기 아이템의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용 기둥은 대응되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용 기둥 상에 아이템을 올린 후,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지지용 기둥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plate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Placing the second plate in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raising an item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and moving the support pillars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Wherein the supporting posts are made to move by adjusting an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after the item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KR1020170086935A 2017-07-10 2017-07-10 Supporter KR102404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35A KR102404048B1 (en) 2017-07-10 2017-07-10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35A KR102404048B1 (en) 2017-07-10 2017-07-10 Supp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230A true KR20190006230A (en) 2019-01-18
KR102404048B1 KR102404048B1 (en) 2022-05-30

Family

ID=6532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935A KR102404048B1 (en) 2017-07-10 2017-07-10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4830A (en) * 2019-11-20 2020-02-21 重庆红江机械有限责任公司 Stepless adjustable positioning device for cylindrical workpie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560A (en) * 1987-04-14 1990-06-26 Barozzi Gian P Workpiece-support assembly for automatic machining lines
KR100819546B1 (en) 2006-07-18 2008-04-08 이상철 A dragger for transferring a sh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560A (en) * 1987-04-14 1990-06-26 Barozzi Gian P Workpiece-support assembly for automatic machining lines
KR100819546B1 (en) 2006-07-18 2008-04-08 이상철 A dragger for transferring a sh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4830A (en) * 2019-11-20 2020-02-21 重庆红江机械有限责任公司 Stepless adjustable positioning device for cylindrical work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048B1 (en)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230B2 (en) Support pin
KR101528555B1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JP2006336815A (en) Base isolation device
KR20190006230A (en) Supporter
JP2010002047A (en) Support device for base isolation
KR20060059835A (en) Positioning apparatus
US10495667B2 (en) Method of positioning a carrier on a flat surface, and assembly of a carrier and a positioning member
JP2007177947A5 (en)
CN108087490A (en) A kind of expansion type precision instrument carrying machinery
KR102212045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and method for adjusting height thereof
CN202702072U (en) Part positioning device
CN106236455A (en) A kind of plant patient's timing rotation that is used for fixes rest device
CN204523928U (en) For making the device of elevator cover plate
JP5279798B2 (en) Base-isolated floor structure
KR101434491B1 (en) Carrier
JP2003097086A (en) Base isolatio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N104741428B (en) For making the device of elevator cover plate
KR20150004626U (en) Cable lifting device
KR101843839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cb
KR101511897B1 (en) Lower variable diaphragm stand device
KR20150145965A (en) The guide appratus for lifting of ship
KR20010006575A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substrate transfer
KR20200144281A (en) Pipe supporting device for electric construction
KR101566928B1 (en) Push structure and auto probe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0291737A (en) Base isolation supporter device for structural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