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33A -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33A
KR20190005733A KR1020180073174A KR20180073174A KR20190005733A KR 20190005733 A KR20190005733 A KR 20190005733A KR 1020180073174 A KR1020180073174 A KR 1020180073174A KR 20180073174 A KR20180073174 A KR 20180073174A KR 20190005733 A KR20190005733 A KR 2019000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supply
exhau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0358B1 (en
Inventor
권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CN201810736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210666A/en
Publication of KR2019000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apparatus interlocked with the same, wherein when the exhaust apparatus is operated as air in a kitchen or a restroom is contaminated, necessity of air supply is determined to automatically supply air for diffusion of a pollution source to another indoor space to be prevented and for exhaust efficiency to be improved to quickly discharge the pollution source to the outside. To achieve th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exhaust apparatu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b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xhaust apparatus; b) determining whether air is supplied indoors; and c) generating air supply information to supply air indoors in the air supply apparatus when determining that the air is supplied.

Description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an 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할 수 있는 실내 배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xhaust apparatus, an air suppl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capable of exhausting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into a room.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The kitchen hood, which is one of the kitchen appliances, is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is used to prevent the air pollution in the kitchen b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food odor and water vapor generated when the food is cooked in the kitchen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Such a kitchen hood is installed in an upper portion of a kitchen appliance including a gas range, an electric range, and the like. The gas generated in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gas generated in cooking the foo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using an exhaust fan.

한편, 화장실에는 화장실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및 수증기(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n exhaust fan is provided in the toilet to exhaust the odor and moisture (moisture) generated when using the toilet more quickly to the outside.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고, 화장실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와 수증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팬을 가동시키더라도 냄새 및 수증기(습기)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ven when the kitchen hood is operated, a part of the combustion gas and foo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diffused to the room such as a living room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fan, and the odor and water vapor (moisture) Even if the exhaust fan is operated, some of the odor and water vapor (moisture) is diffused into the room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exhaust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to discharg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room, so that exhaust is not smoothly performed. If the exhaust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in this state, noise and vibration are increased .

한편, 주방과 화장실에서 발생한 냄새 및 수증기(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exhaust fan to expel the odor and water vapor (moisture) generated in the kitchen and the toilet more quickly can be considered. However, if the capacity of the exhaust fan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exhaust fan becomes large, which results in a problem that installation space and cost are increased.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exhaust fan is increased, power consumption during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electric charges, and vibration and noise are increased during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thereby failing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As a prior art in which a conventional kitchen hood is show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265992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방이나 화장실의 공기가 오염되어 배기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 급기의 필요성 판단을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 pollutant source to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enhancing the exhaust efficiency.

또한, 적절한 급기를 통해 배기효율을 향상시키면 용량이 작은 배기장치로도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장치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배기장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f the exhaust efficiency is improved through the proper supply of air, the same performance as the conventional one can be exhibited even with a small-capacity exhaust device, thereby reducing the spac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exhaust dev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또한,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배기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quickly and smoothly exhausting contaminated air by measuring the degree of pollution in a room and automatically operating the exhaust device.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배기함과 아울러 급기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경우 배기장치로부터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실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is exhausted using the exhaust device and the air is supplied to the room by using the air supply devic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device by an appropriate distan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the indoor air from diffusing into another room.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배기장치 가동정보에 의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단계; b) 실내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급기장치에서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door exhaust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a)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by operating the exhaust apparatus; b) determining whether air supply to the room is required; and c) if the supply of air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generating the supply information so that supply of air from the supply device to the room is performed.

이 경우 d) 상기 급기정보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가 일정 시간 이루어진 후, 급기량 변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급기량 조절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 determining whether a supply amount change is necessary after the supply of the supply unit has been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supply information; e) generating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so that the supply amount is adjus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amount variation is necessary.

상기 a)단계의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of step a) may be a signal input from a user; And a signal inclu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room where the exhaust is performed.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는 실내환경감지부에서 감지한 실내 오염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air temperature sensing unit. If the detecte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degree of pollution, the exhaustion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상기 실내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The operating intensity of the exhaust device can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상기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세기를 기 설정값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When 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the operation intensity of the exhaust system can be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급기정보는, 사용자에게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ly information may consist of an alarm indicating that the user needs supply of the air supply or may be an air supply signal transmitted to the air supply apparatus.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by sensing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상기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by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으면 상기 급기의 필요성 또는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 is higher than the preset number of revolution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supply of air or a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 이하이면, 상기 급기량을 유지하거나 상기 급기량의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으면 상기 급기량의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d) that the amount of supplied air is maintained or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decreased, if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rotation number of the exhaust devic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otatio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the supplied air needs to be increased.

상기 급기량 조절정보는, 사용자에게 급기량 조절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량 조절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may be an alarm informing the user that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s necessary or may be a supply amount adjustment signal transmitted to the supply unit so that the supply amount is adjusted.

상기 배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 내부와 상기 실내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easure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device and the room to determine the need for the air supply in the step b) and the necessity of the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in the step d).

이 경우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실내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측정이 이루어지는 제1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1압력차를 구하고, 상기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2압력차를 구하여, 상기 제1압력차와 제2압력차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커지면 상기 급기의 필요성 또는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and the pressure in the room are respectively measured, a first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and the pressure in the room at the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measurement is made is obtained, And a second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at a second time point of the intake pipe and a pressure in the inside of the room is determined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difference and the second pressure difference is larger than a set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급기장치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air supply information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mount of exhausted air discharged by the air exhaust unit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step c).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 상기 c)단계의 급기가 이루어지는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c)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a) that the control unit is operating in a control mode other than the mode in which the air supply in step c) is performed in another indoor space other than the indoor space requiring the air supply, ) Step may be performed.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So that the supply of air can be controlled directly to the room.

상기 c)단계의 급기정보 발생에 의해 상기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가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air supply by the air supply uni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generation of the air supply information in the step c), if the room is a toilet, the air supply of the air supply unit is maintained after the user finishes using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stop of the supply of the indoor air.

상기 c)단계의 급기가 이루질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ir supply in the step c) is performed, if the air is already supplied to the second indoor space other than the first indoor space requiring the air supply, the first indoor space So that the air supply to the space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실내에 설치된 배기장치의 가동정보와 함께 실내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급기정보에 따라 실내로 급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n exhaust apparatus installed in a room together with suppl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ir needs to be supplied to the room; and b) performing air supply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air supply information.

이 경우 c) 상기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는 급기량조절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d) 상기 수신된 급기량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c) receiving a supply amount adjustment signal that a supply amount variation of the supplied air is necessary; and d) adjusting a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received supply amount adjustment signal.

상기 급기정보는, 급기장치에 구비된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The air supply information may be a signal inputted from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air supply apparatus or a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exhaust apparatus.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실내에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 중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ep b), air may be supplied through one or mor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outlets for supplying air to the room, excluding the outlets nearest to the air exhaust unit.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먼 곳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And ai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at is the farthest from the exhaust device.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Air is supplied through a discharge port which is furthest from the exhaust device, and at the same time, air can be supplied through a discharge port closest to the exhaust device.

상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에서의 급기량이 상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에서의 급기량보다 많을 수 있다.The supply amount at the farthest outlets may be greater than the supply amount at the nearest outlets.

상기 배기장치가 위치한 실내공간과 서로 연통하는 실내공간에 있는 복수의 토출구 중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것의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Air can be supplied through one or more outlets of the outlets other than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outle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exhaust apparatus is located.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구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급기량이 증가하도록 급기량이 설정될 수 있다.The supply amount can be set so that the supply amount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xhaust device and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upply is made becomes larger.

상기 배기장치가 가동되는 배기장치 가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xhaust device in which the exhaust device is operated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복수의 토출구와 배기장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고,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구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Posi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the discharge device is input to the control section,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upply of the supply is performed can be sele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서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는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in a control mode other than the mode in which the air supply is performed in another indoor space other than the indoor space where the air supply is required before the air supply is performed, can do.

본 발명의 배기장치는,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급기 필요성 판단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를 포함한다.An exhau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an exhaust apparatus; An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ir supply information for supplying air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일 수 있다.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 signal input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unit; And may be a signal sensed by an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that senses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room where the exhaust is performed.

상기 급기 필요성 판단부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배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 내부와 실내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umber-of-revolutions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apparatus, or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apparatus and the roo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supply of ai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는, 사용자에게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신하는 급기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may be configured as an alarm notifying the user that air supply is required, or may be a transmission air supply signal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의 급기장치는, 실내에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를 포함한다.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ir supply information that an air supply is required in a room; An air supply blower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air supply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ir supply blower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room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는, 상기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는 급기량 조절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급기구동부는 상기 변동된 급기량에 따라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할 수 있다.Wherein the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upply amount variation of the air to be supplied is necessary; And the air supply driving unit may drive the air supply blower according to the changed supply amount.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의 동작과 함께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xhaust polluted air generated in a room such as a kitchen or a bathroom to the outsid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ir supply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ir exhaust device, And the pollution source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creasing the exhaust efficiency.

또한, 상기 실내로 급기를 하는 경우 최적의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급기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너무 적은 급기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pplied into the room, the air is supplied at an optimum amount of air supply so that the air supply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more than necessary, thereby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source from diffusing, And quick exhaust can be achieved.

또한, 적절한 급기를 통해 실내공간에 과도한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용량이 작은 배기장치로도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장치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배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xcessive negative pressure is prevented from being formed in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proper air supply, the exhaust efficiency is improved, so that the same performance as the conventional one can be exhibited even with the small capacity exhausting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lectricity cost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and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exhaust device.

또한,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배기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ollution degree of the room is measured and the exhaust device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polluted air can be exhausted quickly and smoothly.

또한, 배기장치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공간에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을 제외한 다른 실내 공간에서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모드 가동을 종료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에 급기를 하는 급기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which the air is exhausted by the exhaust device, if the indoor space other than the indoor space to which the air is to be supplied is already operating in the ventilation mode, the ventilation mode operation is terminated, If the mode is switched to the air supply mode for supplying air, a sufficient amount of air supply can be ensured and the exhaust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외부공기를 화장실 내부에 직접 급기하게 되면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outside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user can smoothly exhaust the odor and steam even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또한, 실외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시킨 후 급기함으로써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화장실로 급기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ld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toilet during the winter by heating after the heating,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when using the toilet and preventing the water in the toilet from freezing, Can be prevented.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배기함과 아울러 급기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경우 배기장치로부터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실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is exhausted using the exhaust device and the air is supplied to the room by using the air supply devic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device by an appropriate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from diffusing into another space in the room,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exhaust device and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exhaust device and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exhaust device and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exhaust device and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1 and 2,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exhaust device and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배기장치(110,120)는 실내에 설치된 배기장치(110,120)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을 포함한다.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s 112 and 122 for receiving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installed in a room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4, 124) for generating air supply information for supplying air to the room when it is determined that outdoor air needs to be supplied to the room.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와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 및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배기장치(110,120)의 제어부(111,121)를 구성한다.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s 112 and 122, 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ing units 113 and 123 and 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ing units 114 and 124 constitute the control units 111 and 121 of the exhaust units 110 and 120.

상기 배기장치(110,120)는, 주방에 구비되어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제1배기장치(110; 주방후드), 화장실에 설치되어 화장실 사용시 가동되는 제2배기장치(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may include a first exhaust device 110 (a kitchen hood) provided in the kitchen and operated when cooking food, and a second exhaust device 120 installed in the toilet and operated when the toilet is used.

이 경우 배기장치(110,120)가 설치되는 실내는 주방, 화장실을 포함하여 가스 또는 냄새 등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모든 장소를 포함할 수 있고, 배기장치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om where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installed may include all places where contaminated air such as gas or odor is generated including a kitchen and a toilet, and the number of the exhaust apparatuses may be additionally set as needed .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nd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may be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s choice or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based on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for example.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수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7,127)를 통해 입력된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When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manually operated,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s 117 and 127, and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user, When the signals are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s 112 and 122,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activated.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로부터 감지된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로부터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When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automatically operated,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 signal sensed by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that sens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room where the exhaust is performed,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activated when the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units 310 and 320 receive the exhaust system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haust system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s 112 and 122, respectively.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는, 상기 제1배기장치(110)의 가동을 위해 실내환경을 감지하는 제1 실내환경 감지부(310)와, 상기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을 위해 실내환경을 감지하는 제2 실내환경 감지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include a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for sensing an indoor environment for operating the first exhaust unit 110 and a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for operating the second exhaust unit 120. [ And a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for sensing an indoor environment.

상기 배기장치(110,120)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방법의 일례로서, 제1 실내환경 감지부(310) 또는 제2 실내환경 감지부(320)에서 냄새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10,12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or the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senses the smell or humidity, and when the sensed signal is received by the exhaust device 110 or 120, (110, 120) are automatically operated.

상기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는, 상기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부(311,32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배기장치(110,120)에 연결된 배기관 내부와 실내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 측정부(312,32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sections 113 and 123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tation number measurement sections 311 and 321 for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supply of ai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s 312 and 322 that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and the room.

상기 회전수 측정부(311,321)는,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으로 인해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에 설정값 이상의 음압이 형성되어 급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1배기장치(1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 회전수 측정부(311)와, 상기 제2배기장치(12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2 회전수 측정부(3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s 311 and 321 are arranged such that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nd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so that a sound pressure higher than a set value is formed in the indoor space, A first rotational speed measurement unit 311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exhaust unit 110 and a second rotational speed measurement unit 313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exhaust unit 120, (321).

상기 제1회전수 측정부(311)와 제2회전수 측정부(321)는 각각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의 팬(fan)이 회전하는 회전수(rpm)를 측정한다. 만약 실내 공기의 배기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실내공간의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면,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팬(fan)의 회전수가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실내공간에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으므로, 급기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 311 an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 321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 311 an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 321 at a rotational speed rpm at which the fans of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apparatuses 110, . If the indoor air is exhausted to some extent and the sound pressure of the indoor space is severely forme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increases. I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higher, the negative pressure is severely formed in the indoor space, and the exhaust does not smoothly proceed,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ir supply is necessary.

상기 차압 측정부(312,322)는, 제1차압측정부(312)와 제2차압측정부(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차압측정부(312)는 제1배기장치(110)의 팬(fan)이 회전하는 경우 제1배기장치(110)에 연결된 배기관(118) 내부와 실내공간의 차압(pressure difference)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2차압측정부(322)는 제2배기장치(120)의 팬(fan)이 회전하는 경우 제2배기장치(120)에 연결된 배기관(128) 내부와 실내공간의 차압(pressure difference)을 측정한다. 만약 차압이 설정된 값보다 커져 실내공간의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면 배기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으므로, 급기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s 312 and 322 may include a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312 and a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322. The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312 measur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118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unit 110 and the inside space when the fan of the first exhaust unit 110 rotates . When the fan of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rotates, the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part 322 measur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128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and the pressure difference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indoor space is severely formed, the exhaust does not proceed smoothly,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ir supply is necessary.

또한, 일정시간 동안의 압력의 변화로부터 음압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일정시간 동안 상기 배기관(118,128) 내부의 압력과 실내의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상기 측정이 이루어지는 초기인 제1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118,128)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1압력차를 구한다. 그 후 상기 제1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118,128)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2압력차를 구한다. 만약, 상기 제1압력차와 제2압력차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커지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음압이 점점 심하게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으므로 급기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압력차와 제2압력차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으면 배기가 원활히 진행되어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급기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sound pressure from a change in pressure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is,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118, 128) and the pressure inside the room are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first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118, 128) and a pressure in the room at a first point in time at which the measurement is made is obtained. Then, a second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118, 128) and the pressure in the room at a second time point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first time point, is obtain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difference and the second pressure difference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negative pressure is gradually formed as the time elapses, so that the exhaust does not proceed smoothly,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ir supply is necessary.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difference and the second pressur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the exhaust gas smoothly progresses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not formed so badly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ir supply is not necessary.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가 급기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급기장치(200)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기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기정보는 알람 또는 급기신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ing units 114 and 124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notifying the user that air supply is required or to supply the air supply to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when 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s 113 and 123 determine that there is a need for air supply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upply information may be one of an alarm or an air supply signal.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발생시키는 알람은,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 소리로 이루어지거나, 디스플레이부(116,126)에 급기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larm generated by the supply information generators 114 and 124 may be an alarm sound indicating that the supply of the air is necessary or may include characte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upply of air to the display units 116 and 126 is required.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알람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급기장치(200)를 가동시킴으로써 급기가 필요한 실내에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an alarm is generated in 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s 114 and 124, the user can operate the air supply device 200 to supply air to the room where air supply is required.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급기신호를 급기장치(200)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에는 상기 급기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5,1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의 통신부(115,125)와 상기 급기장치(200)의 통신부(230)의 통신이 이루어져 상기 급기정보를 급기장치(200)에 송신하게 된다.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nd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communicate with the air supply device 200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s 114 and 124 transmit the air supply signal to the air supply device 200 And communication units 115 and 125, respectively. The communication units 115 and 125 of the exhaust units 110 and 120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air supply unit 200 to transmit the air supply information to the air supply unit 200.

상기 급기장치(200)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급기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급기정보에 따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240),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210)를 포함한다.The air supply device 200 may include an air supply module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may control the air supply mode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indoor according to the air supply information, And an air supply blower 210 for blowing air.

상기 제어부(240)는, 실내에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241),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241)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210)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242)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40 includes an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41 for receiving air suppl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ir supply is required to the room, and a control unit 240 for receiving the air supply information from the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41, And an air supply driving section 242 for driving the blower 210.

상기 급기장치(200)가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된 경우 급기모드를 포함하여,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송풍기(220)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is configured as 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cooling / heating apparatus, and a ventilation apparatus, a function of ventilation, air cleaning, dehumidifying, humidifying, cooling and heating modes may be provided including an air supply mode. And an exhaust blower 220 for exhausting the air outdoors.

또한, 상기 급기장치(200)는 배기장치(110,1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방후드의 일측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팬이 구비되고, 주방후드의 타측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one side of the kitchen hood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kitchen hood may be provided with an air supply fan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상기 급기장치(200)의 급기송풍기(210)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201)를 통해 분배기(202)로 유동하고, 상기 분배기(202)에서는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202)에서 분배된 공기는 토출구(203,204,205,206,207,208)를 통해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The outdoor air sucked by the air supply fan 210 of the air supply device 200 flows to the distributor 202 through the duct 201 and the indoor space of the living room, And the air distributed by the distributor 202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indoor spaces through the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상기 분배기(202) 내부에는 덕트(201)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복수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댐퍼를 개방시키면 이에 연결된 토출구(203,204,205,206,207,208)를 통해 공기가 급기된다. In the distributor 202, a plurality of dampers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distribut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uct 201 to the respective indoor spaces. Therefore, when the damper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to be supplied is opened,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s 203, 204, 205, 206, 207, 208 connected thereto.

상기 토출구(203,204,205,206,207,208)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바닥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제1배기장치(110)에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장에 토출구가 구비된 경우에도 화장실 또는 주방의 바닥을 향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과 바닥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The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and 208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or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kitchen, a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so that air is discharged upward. Further, even when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in the ceiling, air is supplied toward the floor of the toilet or the kitchen,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contaminated air from diffusing into another indoor space.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but can be installed at other positions as long as outdo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room.

또한, 상기에서는 급기장치(200)와 덕트(201)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덕트(201)가 연결되지 않고 급기장치(200)가 실내에 구비되어 급기장치(200)에 일체로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the duct 201 is no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200 and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200, The air supply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air supply line.

또한, 도 1에서는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에 의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1,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indoor spaces by the distributor 202. However,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200 may flow through the distributor 202 (Not shown) so as to be supplied to a place where only air supply is required, such as a toilet or a dress room.

또한, 급기되는 공기는 화장실과 이에 인접하는 실내공간(거실, 방)과의 사이 공간에 급기가 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화장실 천장에 급기덕트를 연결하여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하는 경우에는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문이 닫혀 있는 상황에서도 화장실 내부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to be supplied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toilet and the adjacent indoor space (living room, room), or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directly to the inside space of the toilet by connecting an air supply duct to the ceiling of the toilet It is possible. In the case of direct supply to the inside space of the toilet, the inside of the toilet can be smoothly discharged even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when using the toilet.

상기 제1실내환경감지부(310)는 주방 공기의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제1오염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내환경감지부(320)는 화장실 공기의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제2오염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환경감지부(310)와 제2실내환경감지부(320)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감지된 실내환경정보인 오염물질의 정보를 배기장치(110,12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에서는 상기 수신된 오염물질의 정보로부터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배기장치(110,120)의 가동 여부 및 가동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may be a first pollution sensing unit that senses whether the kitchen air is polluted. The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may include a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And a contamination detection unit. The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contaminants such as gas contained in air. In this cas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In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llutants, and the oper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exhausts 110 and 12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상기 제2실내환경감지부(320)의 일례로, 사용자가 배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냄새센서(미도시)와 샤워 후 화장실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화장실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장실습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In an example of the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an odor sensor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a smell generated when a user defecates and a humidity sensor (not shown) And a toilet humidity sensor (not shown) that can detect the humidity can be provided.

이 경우 냄새센서와 화장실습도센서는 제2배기장치(120) 및 급기장치(200)와는 별도로 이루어진 부품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화장실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odor sensor and the toilet humidity sensor ar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and the air supply device 200, and can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toilet by the user.

상기 냄새센서를 화장실에 별도로 설치하면, 감지된 냄새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마다 제2배기장치(120)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배기시킬 수 있다.If the odor sensor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toilet,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and exhausted every time the sensed odo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the exhau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nd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can be operated by the same method.

단계 S10에서 배기장치(110,120)의 가동을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에 수신된다. In step S10, the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is received by the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

이 경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배기장치(110,120)를 가동시키기 위해 입력부(117,127)의 스위치를 누르면 그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constituted by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a switch of the input units 117 and 127 to operate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can be operated by the switch signal.

또한,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실내환경 감지부(310,320)에서 감지한 실내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 배기장치(110,120)를 가동하도록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to operate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when the indoor pollution degree sensed by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pollution degree.

즉, 사용자의 배변시 냄새센서에서 감지된 냄새에 의해 사용자가 배변 중임을 감지하면, 그 감지한 신호에 의해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 여부 및 가동 세기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user is defecated by the smell detected by the smell sensor at the time of user's defecatio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intensity of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ar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detected signal can do.

또한, 사용자가 샤워를 하고 난 이후에는 화장실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화장실습도센서에서 설정된 습도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 여부 및 가동세기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umidity inside the toilet is high after the user has showered,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moisture outdoors. Accordingly, if the humidity sensor detects humidity above the humidity set by the toilet humidity sensor, the control unit can send a control signal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is in operation or no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단계 S20에서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에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면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 In step S20, when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exhaust apparatu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s 112 and 122,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activated.

이 경우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에 대응하여 배기장치(110,120)의 가동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실내환경 감지부(310,3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심한 경우(즉, 냄새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이 높거나 화장실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팬(fan)을 높은 회전수(rpm)로 가동하고, 실내 오염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즉, 냄새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이 낮거나 화장실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팬(fan)을 보다 낮은 회전수(rpm)로 가동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ng intensity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detecting units 310 and 320. That is, when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is severe (that is, when the value sensed by the odor sensor is high or the humidity sensed by the toilet humidity sensor is high) (rpm), and when the indoor pollution degree is not severe (i.e., the value sensed by the odor sensor is low or the humidity sensed by the toilet humidity sensor is low), the fan is operated at a lower rotational speed (rpm) Lt; / RTI >

또한, 실내 오염도와 상관없이 실내환경 감지부(310,3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회전수로 팬(fan)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s 310 and 320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regardless of the indoor pollution degree, the fan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상기와 같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배기장치(110,12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room is measured and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polluted air can be quickly and smoothly discharged.

또한, 사용자 선택에 의해 팬(fan)의 회전수가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처음부터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처음부터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Further,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may be manually set by user selection. It may be set to rotate at a high rotation speed from the beginning or may be set to rotate at a low rotation speed from the beginning.

단계 S30에서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가 실내공간으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30, 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s 113 and 123 determine whether air supply to the indoor space is necessary.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은 음압 상태가 된다. 만약 배기가 계속 이루어지면 실내공간은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음압이 심하게 형성된 것을 감지하면 실내공간으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are operated,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indoor space becomes a negative pressure state. If the exhaust is continued, the indoor space is formed with a heavy sound pressure, so that the exhaust is not smoothly performed. If it is detected that the sound pressure is severely form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ir supply to the indoor space is necessary.

상기 실내공간에 음압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rpm)를 회전수 측정부(311,321)에서 감지하거나, 배기관(118,128) 내부와 실내공간의 차압(pressure difference)을 차압측정부(312,322)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된 회전수 또는 차압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Whether or not sound pressure is formed in the indoor space is detected by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s 311 and 321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s 118 and 128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312, 322), and can judge from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or the differential pressure.

판단결과 급기가 필요하면 단계 S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내공간으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배기장치(110,120)의 가동 상태를 유지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ir supply is necessar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 and otherwise,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maintained in an operating state until it is determined that supply of air to the indoor space is necessary.

한편, 배기장치(110,120)이 가동되기 시작할 때 급기장치(200; 공기조화기)가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환기모드의 가동을 중단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인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를 하기 위한 급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를 수행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air supply unit 200 (air conditioner) is already operating in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start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mode is stopped and the air supply to the kitchen or toilet, And switching to an air supply mod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is way, a sufficient supply amount can be secured, and the exhaust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제1배기장치(110)이 가동되어 제1실내공간인 주방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2배기장치(120)이 가동되면 주방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실내공간인 화장실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화장실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1배기장치(110)이 가동되면 화장실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방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is operated while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to supply air to the kitchen, which is the first indoor space, the air is supplied to the toilet, which is the second indoor spac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while supplying air to the toilet, air may be supplied to the kitchen while maintaining air supply to the toilet.

단계 S40에서 실내공간으로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배기장치(110,120)의 급기정보 발생부(113)는 급기정보를 발생시킨다. In step S40, it is determined that supply of air to the indoor space is necessary, and the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113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generates supply information.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급기가 필요하다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급기신호를 통신부(115,125)를 통해 급기장치(200)에 송신한다.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s 114 and 124 generate an alarm that the air supply is required or transmit the air supply signal to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115 and 125.

단계 S50에서 급기장치(200)가 가동된다.In step S50,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operated.

상기 급기정보의 발생에 따라, 사용자가 급기장치(20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한 신호에 의해 급기장치(200)가 가동되거나,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로부터 송신된 급기정보가 급기정보 수신부(241)에 수신되면 급기장치(200)가 가동된다. The supply device 200 is activated by a signal input by a user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supply information,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41,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is operated.

상기 급기장치(200)의 급기구동부(242)는 급기송풍기(210)를 구동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킨다.The air supply driving part 242 of the air supply device 200 drives the air supply blower 210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경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중인 실내공간은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약한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it is preferable that a weak sound pressure is formed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running,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rom diffusing.

예를 들어 주방에서 요리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배기장치(110)의 가동과 함께 급기장치(200)에서 공급된 실외 공기가 주방에 구비된 토출구(204)를 통해 주방으로 급기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많게 되면 주방 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제1배기장치(110)를 통해 실외로 모두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거실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장치(20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이 제1배기장치(11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량 이하가 되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cooking is performed in the kitc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and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supplied to the kitchen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204 provided in the kitchen.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xhaus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kitchen space may not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xhaust unit 110, but a part of the air may be diffused into the living room. Accordingly, by supplying the air supply information such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2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mount of exhaust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the contaminated 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ffused.

실내에 급기를 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면 오염된 공기가 확산될 수 있고, 너무 적은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효율이 저하되어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In the case of supplying air to the room, contaminated air can be diffused if the air is supplied at a supply amount higher than necessary, and if air is supplied at a too low supply amount, the exhaust efficiency is lowered and rapid exhaustion is not achieved.

따라서 적절한 음압이 형성되도록 최적의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면 필요 이상으로 급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너무 적은 급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if the air supply is performed at an optimum supply amount so as to form an appropriate sound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from spreading due to no more than necessary supply, and at the same time, A smooth exhaust can be achieved.

또한, 적절한 급기를 통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장치(110,12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배기장치(110,120)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 배기장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다. Also, since the exhaust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proper supply of ai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so that the spac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duced.

만약 토출구(207)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인 거실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 화장실 사용시에는 거실에 급기를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공간에는 급기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장실 천장에 연결된 토출구(207)를 통해 화장실 내부 공간에 직접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에도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시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화장실 문이 닫히거나 열린 경우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의 급기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에의 급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f the discharge port 207 is located in the living room, which is an indoor space outside the toilet, air is not supplied to the inside space of the toilet even if the user supplies air to the living room when the toilet is used while the toilet door is clos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7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toilet, so that the exhaust of the second exhaust system 120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Of course, the toilet door may be closed or open, and the ai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supply of air to the indoor space outside the toilet may be selected or simultaneously performed.

또한,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가 구비된 경우에는 실내의 다른공간에서는 환기모드 또는 다른 가동모드의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급기가 필요한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에 독립적으로 급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where the air supply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duct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200 can be directly supplied to a place requiring only supply of air such as a toilet or a dress room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or 202,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e and independently supply air to the bathroom or dressroom where the air supply is required.

또한, 겨울철에는 급기모드시 가열부(미도시)를 동작시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차가운 공기의 실내 급기로 인한 실내 온도 하락을 방지하여 따뜻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외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급기모드시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그대로 화장실로 급기되면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거나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급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공기의 가열은 급기장치(200) 내부에 구비된 가열부를 이용할 수도 있고, 급기장치(200) 외부에 구비된 급기덕트에 히터를 구비하여 급기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winter, when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s heated by operating the heating unit (not shown) in the air supply mode in the air supply mode, the room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indoor air supply of the cold air, thereby maintaining a warm indoor environment. To this end,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heating unit may be operated in the air supply mode. In particular, when cold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toilet in winter, the toilet may feel uncomfortable when using the toilet, or water in the toilet may freez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ly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to prevent this. The heating of the air supply air may be performed using a he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air supply unit 200 or a heater provided in an air supply duct provided outside the air supply unit 200 to heat the air supply air.

단계 S60에서 급기장치(200)에 의해 급기가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 실내공간으로 급기량 변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6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pply amount variation is necessary for the indoor space after the air supply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air supply device 200. [

이 경우 급기량 변동 필요성 판단은 배기장치(110,120)에서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by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상기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rpm)를 회전수 측정부(311,321)에서 감지하거나, 배기관(111,121) 내부와 실내공간의 차압(pressure difference)을 차압측정부(312,322)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된 회전수 또는 차압으로부터 급기량 변동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s 311 and 321 detect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or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s 111 and 121 and the inside space is sens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s 312 and 322, It is possible to judge the necessity of fluctuation of the supply amount from the detected number of revolutions or differential pressure.

상기 회전수 측정부(311,312)를 이용하여 급기량 변동 필요성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제1회전수 이하이면, 현재 급기량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감지된 회전수가 제1회전수보다 많이 낮은 경우에는 급기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것이므로, 상기 급기량의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제2회전수보다 높으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단계 S50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급기량보다 더 많은 급기량이 필요하므로 급기량의 증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necessity of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is determined using the number-of-revolutions measuring units 311 and 312, the current supply amount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if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first number of revolutions. If the detected number of revolutions is much lower than the first number of revolutions in some cases, the amount of supplied air is larger than necessary,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supplied air needs to be reduced. If the detected number of revolutions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number of revolutions, the exhaust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upply is required because a greater amount of supply is required than the amount of supply performed in step S50.

상기한 급기량 변동 필요성 판단은 회전수 측정부(311,321)와 차압측정부(312,322)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급기장치(200)의 제어부(24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The supply amount change necessity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240 of the air supply device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volution number measurement units 311 and 321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units 312 and 322. [

단계 S70에서 상기 판단된 급기량 변동 필요성에 따라 급기량 조절정보를 발생시킨다.In step S70,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necessity of the supply amount variation.

상기 급기량 조절정보는 급기량 조절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급기장치(200)에 급기량을 조절하도록 급기량 조절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may be an alarm to inform the user that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s necessary 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upply amount adjustment signal to adjust the supply amount to the supply device 200. [

상기 급기장치(200)는, 사용자가 상기 알람으로부터 급기량 조절이 필요하다고 인지하여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해 급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배기장치(110,120)로부터 급기정보 수신부(241)에 수신된 급기량 조절정보에 기초하여 급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may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by recognizing that the user needs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from the alarm and may receive the air supply information from the air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The supply amount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supplied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상기 급기량 조절정보에 따라 급기량이 변동되도록 급기구동부(242)는 급기송풍기(210)의 구동을 조절하게 된다.The air supply driving unit 242 adjusts the driving of the air supply blower 210 so that the air supply amou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단계 S80에서 급기종료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급기종료조건이 충족되면 급기모드가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급기모드가 계속된다.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pply end condition is satisfied in step S80. If the supply e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pply mode ends, otherwise the supply mode continues.

이 경우 급기종료조건은 실내환경감지부(310,3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값 이하가 되어 오염원이 제거되거나 공기 오염도가 적정수준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배기장치(110,1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In this case, the air supply termination condition stops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when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units 310 and 320 becomes less than the set value and the pollution source is removed or the air pollution degree becomes lower than an appropriate level.

상기와 같이 제2배기장치(1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배기와 급기가 지속된 후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냄새센서에서 감지된 냄새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거나 화장실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었을 때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하였는지 여부는 화장실출입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갔는지 여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출입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인체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is configured to operate automat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and supply of air may be terminated after the exhaust and supply of air are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user finishes using the toilet.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dor sensed by the odor sensor is below a certain level or when the humidity sensed by the bathroom humidity sensor is below a certain level, have.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finished using the toilet can be detect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leaves the toilet from the toilet entrance sensor (not shown). The toilet entrance / exit sensor may b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heat.

상기에서는 제1실내환경감지부(310), 제2실내환경감지부(320), 제1회전수 측정부(311), 제2회전수 측정부(321), 제1차압측정부(312), 제2차압측정부(322)가 배기장치(110,120)에 연결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구성들은 급기장치(200)에 연결되어 측정된 실내환경정보와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 및 배기관과 실내의 압력정보가 급기장치(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제어부(240)에 수신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급기장치(200)에서 급기의 필요성 여부 및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0, the first rotation speed measurement unit 311, the second rotation speed measurement unit 321, the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unit 312, And the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322 are connected to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However, the configurations ar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to measure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230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2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air supply device 20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supply device 200 needs supply of air and the necessity of fluctuation of the supply amount. For the remaining control methods,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can be similarly applied.

한편, 상기 급기의 필요성 또는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급기 또는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는 신호 또는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상기 신호 또는 알람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상기 신호 또는 알람은 배기장치(110,120)에서 발생시킬 수도 있고, 급기장치(200)에서 발생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the supply or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a signal or an alarm is generated to the user that the supply or supply amount fluctuation is necessary. In this case, the signal or alarm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generated by the user, thereby causing the user's attention. The signal or alarm may be generated in the exhaust apparatus 110, 120 or may be generated in the air supply apparatus 200.

사용자가 상기 급기 또는 급기량 변동 필요 신호 또는 알람을 보거나 듣게 되면 급기장치(200)를 직접 조작하여 급기를 하거나 급기량을 변동시킬 수도 있고, 창문을 개방하여 급기를 하거나 급기량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user sees or hears the supply or supply amount fluctuation necessity signal or alarm, he or she may directly operate the supply device 200 to change the supply amount, change the supply amount, or open the window to supply or change the supply amount .

사용자에 의해 급기가 이루어지거나 급기량이 변동되면 회전수 측정부(311,312)에 의해 배기장치(110,120)의 회전수를 감지하거나, 차압측정부(312,3220에 의해 배기관과 실내의 차압을 측정한다. When the supply of air is performed by the user or the amount of supplied air is change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is sensed by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units 311 and 312 or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exhaust pipe and the room i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s 312 and 3220 .

상기 감지된 회전수 또는 차압으로부터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다시 판단하고, 추가로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다시 급기량 변동 필요 신호 또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necessity of fluctuation of the supply amount is determined again from the detected number of revolutions or the pressure differe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fluctuation of the supply amount, the user may again generate the supply amount fluctuation necessary signal or alarm.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110,120)의 동작과 함께 실내에 급기를 하는 경우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in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in order to exhaust the polluted air generated in the room such as a kitchen or a toilet, The exhaust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pollutant source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방법 중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4, a control method of the exhaust device and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4, only the difference among the control methods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mon parts will be omitted.

단계 S110에서 사용자가 요리를 하거나 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 In step S110, when the user is cooking or using the toilet,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activated.

단계 S120에서 실내공간으로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배기장치(110,120)의 급기정보 발생부(113)는 급기정보를 발생시킨다. In step S120, it is determined that supply of air to the indoor space is required, and the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113 of the exhaust apparatuses 110 and 120 generates supply information.

단계 S130에서 복수의 토출구(203,204,205,206,207,208) 중 어느 토출구를 통해 급기할지 선택하고, 그 선택된 토출구를 통해 급기하기 위해 대응하는 댐퍼를 개방한다.In step S130, whi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208) is selected to be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corresponding damper is opened to supply the selected discharge port.

제1배기장치(110)가 가동되는 경우, 복수의 토출구(203,204,205,206,207,208) 중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토출구(205)를 제외한 나머지 토출구(203,204,206,207,208) 중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the supply air is supplied through one or more outlets of the discharge outlets 203, 204, 206, 207, 208 excluding the discharge outlets 205 closest to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out of the plurality of outlets 203, 204, 205, 206, 207, .

만약 제1배기장치(110)에서 가장 가까운 토출구(205)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면 오염된 공기의 일부가 배기관(118)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주방에서 가까운 실내공간인 거실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배기장치(110)에서 가장 가까운 토출구(205)를 통해 급기를 하지 않고, 상기 토출구(205)보다 먼 곳에 위치한 토출구를 통해 급기를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인접한 실내공간인 거실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5 closest to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 part of the contaminated air can be diffused to the living room, which is an indoor space near the kitchen, without being discharged outdoors through the exhaust pipe 118 . Therefore,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located farther than the discharge port 205 without supplying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5 closest to the first discharge device 11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diffused into the living room as the adjacent indoor space .

이 경우 가장 가까운 토출구(205)를 제외한 나머지 토출구(203,204,206,207,208) 중 제1배기장치(110)가 위치한 실내공간인 주방과 연통하는 공간인 거실에 구비된 복수의 토출구(203,204) 중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rough one or mor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outlets 203 and 204 provided in the living room, which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kitchen, which is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first exhaust unit 110 is located, of the remaining outlets 203, 204, 206, 207 and 208 excluding the nearest outlets 205, So that supply of air can be performed.

상기 제어부(240)에는 배기장치(110,120)의 위치정보, 토출구(203,204,205,206,207,208)의 위치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로부터 배기장치(110,120)와 각 토출구(203,204,205,206,207,208)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10,120)와 각 토출구(203,204,205,206,207,208)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에 대한 정보가 거리 순서대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연통하는 공간에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된 경우에는 각각의 실내공간과 토출구 사이의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40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and 208. From this positional information, the relative distances between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nd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and 208 can b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relative distances between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nd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203, 204, 205, 206, 207 and 208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order of distances. Further, when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in the spac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formation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indoor spaces and the discharge ports may be inputted in advance.

이러한 위치정보로부터 주방과 연통하는 거실에 구비된 토출구(203,204) 중에서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토출구(204)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토출구(204)를 통해 급기를 하게 되면, 토출구(204)에서 배출된 공기의 기류가 주방과 거실이 연결되는 공간 주위를 둘러싸게 되어 주방 공간에 있는 오염된 공기가 거실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rom this position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which is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mong the discharge ports 203 and 204 provided in the living room communicating with the kitchen.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which is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the air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04 surrounds the space around which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ing room from diffusing into the living room.

또한, 제1배기장치(110)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은 음압 상태가 되고, 배기가 계속 이루어져 실내공간에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면 오염된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배기장치(110)가 계속 가동되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배기장치(110)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204)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면 주방 공간에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indoor space becomes a negative pressure state. If the exhaust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sound pressure is severely formed in the indoor spac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continuously operated, noise and vibration are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if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the negative pressure is prevented from being formed in the kitchen space, so that the exhaust gas is smoothly discharged. Can be prevented.

또한,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204)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205)를 통해 급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토출구(204,205)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면, 제1배기장치(110)에 가까운 곳의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로 인해 주방 공간에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배기장치(110)에서 먼 곳에 위치한 토출구(204)를 통해 급기를 함으로써 주방 공간으로부터 거실로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farthest from the first discharge device 110 and simultaneously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5 closest to the first discharge device 110 It is possible. When the air is supplied from the two outlets 204 and 205, the negative pressure is prevented from being formed in the kitchen space due to the air supply from the air outlet 205 near the first exhaust unit 110, . Also, by supplying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located far away from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contaminated air can be prevented from diffusing from the kitchen space into the living room.

한편, 화장실 천장에 연결된 토출구(208)를 통해 화장실 내부 공간에 직접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에도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시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화장실 문이 닫히거나 열린 경우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의 급기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에의 급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toilet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8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toilet, so that the exhaust of the second exhaust device 120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In this case, the toilet door may be closed or open, and the ai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supply of air to the indoor space outside the toilet may be selected or simultaneously performed.

단계 S140에서 토출구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결정한다. In step S140, the supply amount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etermined.

상기 급기량은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구(203,204)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오염된 공기의 확산 방지를 위해 급기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토출구(204)에서의 급기량이 가장 많고, 중간에 위치한 토출구(203)에서의 급기량이 그 다음으로 많으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량이 가장 적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and the discharge ports 203 and 204 through which the air is supplied from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greater,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preferably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rom being diffused. Accordingly, the amount of supply from the discharge port 204 located farthest from the first exhaust device 110 is the largest, the amount of supply from the discharge port 203 located next to the discharge port 203 is the next largest,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engine can be minimized.

만약, 제1배기장치(11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204)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205)를 통해 동시에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204)에서의 급기량이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량이 많으면 주방의 오염된 공기가 거실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량은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204)를 통한 급기량은 오염된 공기의 확산 방지를 위해 상기 토출구(205)에서의 급기량보다 많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토출구(204,205)에서의 급기량은 각각의 토출구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If the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5 closest to the discharge port 204 farthest from the first discharge device 110, the supply amount at the discharge port 204 farthest from the discharge port 204 is the closest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supply from the discharge port 205 is larger than the supply amount. If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nearest discharge port 205 is larg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kitchen is more likely to diffuse into the living roo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discharge port 205 is determined so as to allow the air to be exhausted smoothly Do. In addition, the supply amount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at the farthest position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supply amount at the discharge port 205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ed air from being diffused. In this case, the supply amounts at the two discharge ports 204 and 205 are adjustable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for supplying air to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단계 S150에서 상기에서 결정된 급기량에 따라 급기송풍기(210)를 가동한다. 상기 급기송풍기(210)의 가동이 일정시간 이루어지면 단계 S160으로 진행한다.In step S150, the air supply blower 21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amount determined in the step S150. If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blower 210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60.

단계 S160에서 급기종료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급기종료조건은 배기장치(110,120)의 가동이 정지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로 구성할 수 있다. 판단결과 급기를 종료하는 급기종료조건이 충족되었으면 급기모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급기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In step S16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pply end condition is satisfied. Here, the air supply termination condition may be a case wher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re stopped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upply end condition for terminating the supply is satisfied, the supply mode is terminated. Otherwise, the supply state is maintain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방이나 화장실의 공기가 오염되어 배기장치(110,120)에 의한 배기와 급기장치(200)에 의한 급기를 하는 경우 배기장치(110,120)로부터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실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air in the kitchen or the toilet is contaminated and the air is exhausted by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and the air is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200,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evices 110 and 120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be prevented from diffusing into other spaces in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exhaust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제1배기장치 120 : 제2배기장치
111, 121 : 제어부 112,122 :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113, 123 : 급기 필요성 판단부 114, 124 : 급기정보 발생부
115 : 통신부 116 : 디스플레이부
117 : 입력부 200 : 급기장치
201 : 덕트 202 : 분배기
203,204,205,206,207,208 : 토출구 210 : 급기송풍기
220 : 배기송풍기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241 : 급기정보 수신부
242 : 급기구동부 310 : 제1실내환경감지부
311 : 제1회전수 측정부 312 : 제1차압측정부
320 : 제2실내환경감지부 321 : 제2회전수 측정부
322 : 제2차압측정부
110: first exhaust device 120: second exhaust device
111, 121: control unit 112, 122: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3, 123: air supply necessity judgment unit 114, 124: supply ai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5: communication unit 116: display unit
117: Input unit 200: Supply unit
201: duct 202: distributor
203, 204, 205, 206, 207, 208: a discharge port 210:
220: exhaust blower 230:
240: control unit 241: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42: air supply driving unit 310: first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11: first rotating speed measuring unit 312: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320: second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321: second rotation speed measuring unit
322: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section

Claims (30)

a) 배기장치 가동정보에 의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단계;
b) 실내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급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급기장치에서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a) exhausting indoor air outdoors by the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b) determining whether air supply to the room is required;
c) generating supply information so as to supply air to the room from the air suppl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air is necessary;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exhaus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급기정보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가 일정 시간 이루어진 후, 급기량 변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급기량 조절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 determining whether the supply amount change is necessary after the supply of the supply uni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supply information;
e) generating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so that the supply amount is adjus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amount change is necessary;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exhaus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of step a)
A signal input from a user;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a signal relat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room where the exhaust is per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는 실내환경감지부에서 감지한 실내 오염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indoor indoor air pollution detected by the indoor indoor air cleaner and the indoor air clean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door air cleaner when the detected indoor air cleanliness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Control method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intensity of the exhaust system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indoo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세기를 기 설정값으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when 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the operation intensity of the exhaust device is operated at a pre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는, 사용자에게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신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information comprises an alarm notifying the user that air supply is necessary or an air supply signal transmitted to the air supply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necessity of the supply of air by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rpm) of the exhaust system in the step 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상기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method for an indoor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d), the necessity of the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is determined by sensing the rotation speed (rpm)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으면 상기 급기의 필요성 또는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n the sensed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devi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supply of air or a variation of the supply amou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 이하이면, 상기 급기량을 유지하거나 상기 급기량의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감지된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으면 상기 급기량의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d)
If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amount is maintained or the supply amount is decreased;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supply of the air is required to be increased if the sense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devi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량 조절정보는, 사용자에게 급기량 조절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량 조절신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alarm notifying a user that a supply amount adjustment is necessary or a supply amount adjustment signal transmitted to the supply unit so that the supply amount is adjus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 내부와 상기 실내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in the step b) and the necessity of the variation of the air supply amount in the step d), by measur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device and the room, Control method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실내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측정이 이루어지는 제1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1압력차를 구하고, 상기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의 상기 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실내의 압력의 차이인 제2압력차를 구하여, 상기 제1압력차와 제2압력차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커지면 상기 급기의 필요성 또는 급기량 변동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pressure in the exhaust pipe and a pressure i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at a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measurement is made is obtained, A second pressure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at the time point 2 and the pressure in the room is obtain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difference and the second pressure difference is larger than a set value, A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exhaus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급기장치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n amount of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air exhaust device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step c)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be directly performed in the indoo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급기정보 발생에 의해 상기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가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air supply by the air supply uni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generation of the air supply information in the step c), if the room is a toilet, the air supply of the air supply unit is maintained after the user finishes using the toilet, And controlling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supply of the indoor air to the indoor unit
a) 실내에 설치된 배기장치의 가동정보와 함께 실내로 공기의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급기정보에 따라 실내로 급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a)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n exhaust device installed in a room together with suppl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upply of air to the room is required;
b) performing supply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supply information;
A control method of an air supply apparatus including
제18항에 있어서,
c) 상기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는 급기량 조절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d) 상기 수신된 급기량 조절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c) receiving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upply amount variation of the air to be supplied is necessary;
d)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received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A control method of an air supply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는, 급기장치에 구비된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a signal input from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air supply unit or a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supply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먼 곳의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is performed through a discharge port farthest from the exhaust devic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air supply is performed through a discharge port which is furthest from the exhaust device, and at the same time, air is supplied through a discharge port closest to the exhaust dev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먼 곳에 있는 토출구에서의 급기량이 상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토출구에서의 급기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upply amount at the discharge port located farthest from the discharge port is larger than the supply amount at the discharge port closest to the discharge por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서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는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in a control mode other than the mode in which the air supply is performed in another indoor space other than the indoor space where the air supply is required before the air supply is performed, A control method of an air supply device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급기 필요성 판단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
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An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exhaus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An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ir supply information for supplying air to the roo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exhaust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exhaust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 signal input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unit;
And an indoor environment sensing unit for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room where the exhaust is performed.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필요성 판단부는, 상기 배기장치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배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 내부와 실내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ai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umber-of-revolutions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xhaust apparatus, or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apparatus and the room And the necessity of the air supply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uni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는, 사용자에게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송신하는 급기신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air supply information generator comprise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air supply is necessary to the user or an air supply signal for transmitting air supply to the air supply apparatus,
실내에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
An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ir suppl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ir supply is required indoors;
An air supply blower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An air supply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ir supply blower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room when the air supply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ir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an air supply devic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는, 상기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 변동이 필요하다는 급기량 조절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급기구동부는 상기 변동된 급기량에 따라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supply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supply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upply amount variation of the air to be supplied is necessary;
And the air supply driving unit drives the air supply blow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upply amount.
KR1020180073174A 2017-07-06 2018-06-26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KR102320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36492.9A CN109210666A (en) 2017-07-06 2018-07-06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feeder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63 2017-07-06
KR20170086163 2017-07-06
KR1020170134461A KR20190005694A (en) 2017-07-06 2017-10-17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nd apparatus for air supply
KR1020170134461 201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33A true KR20190005733A (en) 2019-01-16
KR102320358B1 KR102320358B1 (en) 2021-11-02

Family

ID=652808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61A KR20190005694A (en) 2017-07-06 2017-10-17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nd apparatus for air supply
KR1020180073174A KR102320358B1 (en) 2017-07-06 2018-06-26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61A KR20190005694A (en) 2017-07-06 2017-10-17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nd apparatus for ai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0569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9910A1 (en) * 2020-09-16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door pressure using same
KR20230094401A (en) * 2021-12-21 2023-06-28 신진이앤씨(주) Kitchen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268A (en) * 1992-01-16 1993-08-06 Matsushita Seiko Co Ltd Simultaneously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type range hood
JPH0777345A (en)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Seiko Co Ltd Control device for ventilation device
JPH10141729A (en) * 1996-11-13 1998-05-29 Daikin Ind Ltd Heat-exchange ventilation system
KR20140105120A (en) * 2013-02-22 2014-09-01 주식회사 한라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kitchen using air to air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268A (en) * 1992-01-16 1993-08-06 Matsushita Seiko Co Ltd Simultaneously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type range hood
JPH0777345A (en)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Seiko Co Ltd Control device for ventilation device
JPH10141729A (en) * 1996-11-13 1998-05-29 Daikin Ind Ltd Heat-exchange ventilation system
KR20140105120A (en) * 2013-02-22 2014-09-01 주식회사 한라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kitchen using air to air heat exchan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9910A1 (en) * 2020-09-16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door pressure using same
KR20230094401A (en) * 2021-12-21 2023-06-28 신진이앤씨(주) Kitchen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94A (en) 2019-01-16
KR102320358B1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8569B2 (en) Building air conditioning system
WO2019137377A1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self-clean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2093015A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90005733A (en) 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3382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JP636166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09763398U (en) Gas supply system
CN109140714B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102301358B1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200432444Y1 (en) Bathroom drying system
JPH03286941A (en) Ventilation device
KR102335409B1 (en)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air supply
KR102350717B1 (en) Air conditioner
JP3670771B2 (en) Air conditioner
KR102216720B1 (en) System for air supply and the method thereof
KR20180123745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2260499B1 (en)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indoors exhaust apparatus
CA2488293A1 (en) Air delivery system
KR102311159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57473A (en) Bathroom heater-dryer
JP3473127B2 (e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fan
CN109210666A (en)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feeder and its control method
CN109210728A (en) Indoor exhaust apparatus and feeder and its control method
JP2008164222A (en) Ventilation system
KR20180123744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