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07A -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 Google Patents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07A
KR20190005007A KR1020170085496A KR20170085496A KR20190005007A KR 20190005007 A KR20190005007 A KR 20190005007A KR 1020170085496 A KR1020170085496 A KR 1020170085496A KR 20170085496 A KR20170085496 A KR 20170085496A KR 20190005007 A KR20190005007 A KR 2019000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late member
reflection value
impedance
bla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273B1 (ko
Inventor
윤정섭
김명선
전세훈
Original Assignee
대양의료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의료기(주) filed Critical 대양의료기(주)
Priority to KR102017008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73B1/ko
Priority to PCT/KR2017/014065 priority patent/WO20190094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고,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제1정전용량값으로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여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것으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하여 사용 전력을 최소화하며, 초단파 치료 시 초단파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IMPEDANCE MATCHING METHOD FOR TREATMENT APPARATUS OF VERY HIGH FREQUENCY}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초단파를 이용한 치료 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단파 치료 장치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내 피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초단파 치료 장치는 고주파(RF)와 초음파 등의 초단파를 이용한 전자기 에너지로 피하 지방을 가열하여 피하 지방을 비가역적으로 변성시키면서 세포자멸(apoptosis)에 의해 지방 감소를 발생시키는 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식습관의 변화로 비만환자가 증가되고 있고, 비만은 고혈압, 당뇨 등의 성임병을 포함한 다수의 질병과 연관되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비만 치료를 위해 침 바늘로 일컬어지는 카데타를 삽입하여 물리적으로 지방세포를 흡입하는 지방 흡입 치료 장치가 있으나, 카데타를 이용한 지방 흡입 치료 장치는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수반하기 때문에 대개 전신 마취를 선행해야 한다.
그러나 전신 마취는 피시술자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으며, 카데타가 삽입되는 경우 내부 출혈 및 그에 따른 조직의 회복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초단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피하 지방을 감소시키는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국내특허공개 제2013-0112808호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2013.10.14.공개)가 제안된 바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13-0112808호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은 임피던스 측정 및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피부조직 내부의 지방만을 측정 감지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특허공개 제2013-0112808호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은 단순히 피부 조직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표시하여 피부조직 내부의 지방만을 측정 감지하는 것으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없다.
국내특허공개 제2013-0112808호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를 포함한 종래 초단파 치료 장치는 초단파를 출력하여 피부 치료 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의 차이로 인해 에너지 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초단파의 출력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초단파 치료 장치는 초단파를 이용한 치료 시 에너지 효율이 낮아 많은 전력이 소모되고, 초단파의 출력이 불안정하여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선행문헌 : 국내특허공개 제2013-0112808호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2013.10.1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고, 초단파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 실시예는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1가변 콘덴서부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각각 기설정된 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하는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임피던스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과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제1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상기 제1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과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제2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매칭 기준 반사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상기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작은 경우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에서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상기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큰 경우 매칭 에러인 것으로 확인하고 다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로 되돌리는 메칭 에러 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와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미터로 반사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는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칭 에러 확인단계는 메칭 에러를 카운트하는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 상기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에서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지 확인하고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인 경우 다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로 되돌리는 카운트 횟수 확인과정; 및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매칭 불가 알림을 발생하는 알림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는 상기 제1가변콘덴서의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 및 상기 제2가변 콘덴서의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가 상기 제1가변콘덴서의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제2가변 콘덴서의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각각 겹쳐지는 각도를 0°로 하고,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 및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가 상기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각각 겹쳐지지 않는 각도를 180°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와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부재와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설정된 회전 각도로 기설정 시간동안 대기하는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제1회전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로 되돌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는 상기 제1회전 각도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초기각도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제2회전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상기 제1회전각도로 고정하고,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상기 제2회전각도로 세팅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 이전에 초단파 발생부의 고주파 전극 사이에 피시술자의 치료 대상 부위를 위치시킨 후 실제 치료에 사용되는 전력보다 작은 전력인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가능한 최소의 전력으로 초단파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하여 사용 전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초단파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지방 분해 치료 시 피하 지방의 온도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지방 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온도 변화에 따른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치료 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구비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에서 가변 콘덴서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구비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피시술자의 치료대상 부위에 초단파를 방출하는 초단파 발생부(1) 및 초단파 발생부(1)와 연결되어 초단파 발생부(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부(2)를 포함한다.
본체부(2)는 초단파 발생부(1)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패널부(2a) 및 제어 스위치부(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단파 발생부(1)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RF) 전극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고주파(RF)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구비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는 초단파 발생부(1)의 고주파 전극 사이에 피시술자의 치료 대상부위가 위치되고, 치료 대상부위와 고주파 전극이 이격되게 위치하는 비접촉식 초단파 발생부(1)를 구비하여 피시술자의 피하 지방을 분해하여 감소시키는 지방 분해 장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초단파 발생부(1)는 베이스 패널체(1a)의 양 단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쪽면에 고주파(RF) 전극이 구비되는 회전 측면패널체(1b)를 포함하여 회전 측면패널체(1b)를 치료 대상 신체부위의 양 측에 회전 측면패널체(1b)를 위치시킨 후 치료 대상 신체부위에 고주파를 조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초단파 발생부(1)는 본체부(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 링크부로 본체부(2)와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신체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초단파 발생부(1)는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케이블체로 본체부(2)와 연결되고, 시술자인 의사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핸드피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초단파 발생부(1)와 초단파 발생부(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는 고주파(RF) 전극 또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고주파(RF) 또는 초음파를 방출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피하 지방을 감소시키는 등 피시술자의 피부를 치료하는 공지의 피부 치료 장치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초단파를 피부에 조사하는 초단파 발생부(1)를 포함한 초단파 치료 장치의 본체 내에 구비되며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정전용량값을 변경할 수 있고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값을 변경할 수 있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는 정전용량값을 변경할 수 있고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가변 콘덴서부(200)를 통해 측정된다.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 변화로 정전용량 제어부(300)에서는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제2가변 콘덴서부(200) 중 어느 하나의 정전용량값 변화 시 반사값을 측정하는 반사값 측정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전원부와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제2가변 콘덴서부(200)를 연결하는 변압부(400)를 더 포함한다.
변압부(400)는 전원부의 전력을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변압하여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제2가변 콘덴서로 각각 공급한다.
반사값 측정부(310)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미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VSWR의 측정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측정되는 경우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기설정된 최소전력으로 초단파 발생부(1)를 작동시키고,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과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이에 따른 반사값을 반사값 측정부(310) 즉,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미터로 측정하여 최종 측정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한다.
즉, 초단파 발생부(1)의 고주파 전극 사이에 피시술자의 치료 대상 부위를 위치시킨 후 실제 치료에 사용되는 전력보다 작은 전력인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가능한 최소의 전력으로 초단파 발생부(1)를 작동시킴으로써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제어하는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제어하는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과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 변화에 따른 반사값을 측정하는 반사값 측정부(310)를 포함한다.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측정되는 제1최소 반사값과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제1정전용량값을 확인하고, 제1정전용량값으로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측정되는 제2최소 반사값과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제2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310)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반사값 중 최소인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고,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제1정전용량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1정전용량값으로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310)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반사값 중 최소인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고,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제2정전용량값을 확인한다.
정정용량 제어부는 최종 반사값이 기설정된 범위 즉, 최종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고, 최종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에러로 판단하여 임피던스 매칭 작업을 다시 반복하도록 한다.
즉,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임피던스 매칭 작업에서 최종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에러횟수를 카운트하며, 에러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경우 시술자에게 알림하는 에러 발생 알림부(320)를 포함한다.
에러 발생 알림부(320)는 임피던스 매칭 작업에서 에러횟수가 일정 카운트가 넘어가는 경우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임으로 판단하고, 이를 시술자에게 알림한다.
시술자는 에러 발생 알림부(320)에서 알림을 확인하면 피시술자의 자세 또는 초단파 발생부(1)의 위치를 수정하여 다시 임피던스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에서 가변 콘덴서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가변 콘덴서부(100)는 위치가 고정되는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는 면적에 따라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제2가변 콘덴서부(200)는 위치가 고정되는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2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겹쳐지는 면적에 따라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230)를 포함한다.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콘덴서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고정되고 고정되게 배치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는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쌍을 이루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제1콘덴서 하우징 내에서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콘덴서 하우징 내에 이격되어 고정되고 고정되게 배치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는 제1고전전극 날개판부재와 쌍을 이루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제1콘덴서 하우징 내에서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의 사이에 위치된다.
제1회전모터(130)와 제2회전모터(23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하여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회전모터(130)와 제2회전모터(230)는 각각 서보모터로 구성되어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의 겹쳐지는 면적,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와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의 겹쳐지는 면적이 일정한 단계별로 증가하거나, 일정한 단계별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 중 어느 하나는 반원형의 원판이고, 다른 하나는 반원형의 원판이 겹쳐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 중 어느 하나는 반원형의 원판이고, 다른 하나는 반원형의 원판이 겹쳐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과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은 일정한 단계별로 증가하거나, 일정한 단계별로 감소한다.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제어하는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제어하는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는 제1회전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고,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는 제2회전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완전히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0°로 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지 않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180°으로 설정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180°의 위치에서 0°까지 일정 각도로 구분하여 일정단계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가 완전히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를 0°로 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가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겹쳐지지 않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를 180°으로 설정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180°의 위치에서 0°까지 일정 각도로 구분하여 일정단계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와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는 서보모터인 제1회전모터(130)와 제2회전모터(230)를 제어하여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가 각각 -3°씩 구분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1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단계별로 회전시키면서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되,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180°에서 0°까지 단계별로 회전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310)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반사값 중 최소인 제1최소 반사값과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제1회전각도를 확인한다.
또한,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제1회전각도가 확인되면, 제1회전각도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정전용량값 제어부로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단계별로 회전시키면서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되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180°에서 0°까지 단계별로 회전시키면서 반사값 측정부(310)로 반사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반사값 중 최소인 제2최소 반사값과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제2회전각도를 확인한다.
정정용량 제어부는 VSWR미터에서 측정된 최종 반사값 즉, 제2최소 반사값이 기설정된 범위 즉,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여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를 제1회전각도와 제2회전각도로 고정하고, 본체에 임피던스 매칭 신호를 인가하고, 피부 치료를 위한 초단파 발생부(1)의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초단파 치료 작업을 시작한다.
정정용량 제어부는 VSWR미터에서 측정된 최종 반사값이 기설정된 범위 즉, 최종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에러로 판단하여 임피던스 매칭 작업을 다시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정전용량 제어부(300)는 임피던스 매칭 작업에서 최종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에러횟수를 카운트하며, 에러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경우 에러 발생 알림부(320)를 통해 시술자에게 알림한다.
시술자는 에러 발생 알림부(320)에서 알림을 확인하면 피시술자의 자세 또는 초단파 발생부(1)의 위치를 수정하여 다시 임피던스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1가변 콘덴서부(100)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각각 기설정된 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하는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임피던스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과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제1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300), 제1가변 콘덴서부(100)의 정전용량값을 제1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S400),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S400)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과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가변 콘덴서부(200)의 제2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 이전에 초단파 발생부(1)의 고주파 전극 사이에 피시술자의 치료 대상 부위를 위치시킨 후 실제 치료에 사용되는 전력보다 작은 전력인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가능한 최소의 전력으로 초단파 발생부(1)를 작동시키는 준비 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500)에서 확인된 제2최소 반사값을 매칭 기준 반사값과 비교하여 제2최소 반사값이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작은 경우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에서 제2최소 반사값이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큰 경우 매칭 에러인 것으로 확인하고 다시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로 되돌리는 메칭 에러 확인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300)와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500)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미터로 반사값을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는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메칭 에러 확인단계(S700)는 메칭 에러를 카운트 하는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S710),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S710)에서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지 확인하고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인 경우 다시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로 되돌리는 카운트 횟수 확인과정(S720),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매칭 불가 알림을 발생하는 알림과정(S73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과정(S730)은 임피던스 매칭 작업에서 에러횟수가 일정 카운트가 넘어가는 경우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임으로 판단하고, 이를 시술자에게 알림한다.
시술자는 에러 발생 알림부(320)에서 알림을 확인하면 피시술자의 자세 또는 초단파 발생부(1)의 위치를 수정한 후 다시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300),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S400),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500),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 메칭 에러 확인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는 제1가변콘덴서(100)의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전체 및 제2가변 콘덴서(200)의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전체가 제1가변콘덴서(100)의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제2가변 콘덴서(200)의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각각 겹쳐지는 각도를 0°로 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전체 및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전체가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각각 겹쳐지지 않는 각도를 180°으로 기준으로 하여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한다.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170°로 설정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를 90°로 설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S100)와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의 사이에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설정된 회전 각도로 위치시키고 대기하는 대기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 단계(S110)는 원활한 제2최소 반사값 작업을 위해 기설정된 시간만큼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설정된 회전 각도로 위치시키고 대기하는 것으로 5초간 대기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의 겹쳐지는 면적을 일정한 단계별로 증가시킴으로써 정전용량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210)을 포함한다.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300)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S310), 제1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제1회전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S320),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S400)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S200)로 되돌리는 과정(S330)을 포함한다.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30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210)을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완전히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는 0°까지 반복하면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고,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제1회전각도를 확인하여 저장한다.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S400)는 제1회전 각도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설정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초기각도로 설정하는 과정(S410)과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420)을 포함한다.
또한,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S500)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S510), 제2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제2회전각도를 저장하는 과정(S520),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420)으로 되돌리는 과정(S530)을 포함한다.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는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에 완전히 겹쳐지지 않는 180°의 초기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정전용량 제2가변단계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420)을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가 완전히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210)와 겹쳐지는 0°까지 반복하면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고,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의 제2회전각도를 확인하여 저장한다.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210)과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S420)은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와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각각 -3°씩 구분되어 회전되도록 하여 반사값을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완전히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0°로 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가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110)와 겹쳐지지 않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의 각도를 180°으로 기준으로 하여 하고,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180°의 위치에서 0°까지 일정 각도로 구분하여 일정단계로 회전시키게 된다..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S600)는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120)를 제1회전각도로 고정하고,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220)를 제2회전각도로 세팅하는 과정과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으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킨 후 초단파 발생부(1)의 출력을 실제 치료 시 사용되는 출력으로 상향하여 초단파 치료를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하여 사용 전력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초단파 치료 시 초단파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지방 분해 치료 시 피하 지방의 온도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지방 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온도 변화에 따른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치료 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초단파 방출부 1a : 베이스 패널체
1b : 회전 측면패널체 1c : 연결 링크부
2 : 본체부 2a : 제어 패널부
2b : 제어 스위치부
100 : 제1가변 콘덴서부 110 :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
120 :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 130 : 제1회전모터
200 : 제2가변 콘덴서부 210 :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
220 :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 230 : 제2회전모터
300 : 정전용량 제어부 310 : 반사값 측정부
320 : 에러 발생 알림부 400 : 변압부
S100 :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
S200 :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
S300 :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
S400 :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
S500 :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
S600 :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
S700 : 메칭 에러 확인단계

Claims (14)

  1.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1가변 콘덴서부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각각 기설정된 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하는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임피던스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과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제1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
    상기 제1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상기 제1정전용량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정전용량값을 가변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에서 측정되는 반사값을 확인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과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2가변 콘덴서부의 제2정전용량값을 확인하는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매칭 기준 반사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상기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작은 경우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에서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상기 매칭 기준 반사값보다 큰 경우 매칭 에러인 것으로 확인하고 다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로 되돌리는 메칭 에러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와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미터로 반사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는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칭 에러 확인단계는,
    메칭 에러를 카운트하는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
    상기 메칭 에러 카운트 과정에서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지 확인하고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인 경우 다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로 되돌리는 카운트 횟수 확인과정; 및
    카운트된 매칭 에러 횟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매칭 불가 알림을 발생하는 알림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는,
    상기 제1가변콘덴서의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 및 상기 제2가변 콘덴서의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가 상기 제1가변콘덴서의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제2가변 콘덴서의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각각 겹쳐지는 각도를 0°로 하고,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 및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전체가 상기 제1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제2고정전극 날개판부재와 각각 겹쳐지지 않는 각도를 180°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와 상기 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와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부재와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설정된 회전 각도로 기설정 시간동안 대기하는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1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상기 제1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제1회전 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상기 정전용량값 제1가변단계로 되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값 제2가변단계는 상기 제1회전 각도로 제1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초기각도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최소 반사값 확인단계는,
    측정된 반사값들을 비교하여 최소 반사값인 제2최소 반사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확인되면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을 형성하는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제2회전각도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의 각도가 0°인지 확인하고, 0°인 경우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를 수행하고, 0°가 아닌 경우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판부재를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확인단계는,
    상기 제1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상기 제1회전각도로 고정하고, 상기 제2회전전극 날개부재를 상기 제2회전각도로 세팅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최소 반사값이 1 : 1 초과 1.5이하인 범위 내에서 초단파 치료 장치 내 임피던스와 피시술자의 신체 내 임피던스가 매칭된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피던스 설정단계 이전에 초단파 발생부의 고주파 전극 사이에 피시술자의 치료 대상 부위를 위치시킨 후 실제 치료에 사용되는 전력보다 작은 전력인 임피던스 매칭 작업이 가능한 최소의 전력으로 초단파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1020170085496A 2017-07-05 2017-07-05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10203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496A KR102034273B1 (ko) 2017-07-05 2017-07-05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PCT/KR2017/014065 WO2019009477A1 (ko) 2017-07-05 2017-12-04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496A KR102034273B1 (ko) 2017-07-05 2017-07-05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07A true KR20190005007A (ko) 2019-01-15
KR102034273B1 KR102034273B1 (ko) 2019-10-18

Family

ID=6503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496A KR102034273B1 (ko) 2017-07-05 2017-07-05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09A (ko) * 2020-05-22 2021-11-30 (주)메디코슨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62B1 (ko) * 2021-07-09 2022-06-29 텐텍 주식회사 고주파 치료 장치용 실시간 임피던스 매칭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717A (ja) * 1991-12-11 1993-06-29 Yoshiaki Saito 空胴共振器を用いた癌温熱治療装置
JP2012223339A (ja) * 2011-04-19 2012-11-15 Yamamoto Vinita Co Ltd 高周波がん温熱治療装置
KR20130112808A (ko) 2012-04-04 2013-10-1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717A (ja) * 1991-12-11 1993-06-29 Yoshiaki Saito 空胴共振器を用いた癌温熱治療装置
JP2012223339A (ja) * 2011-04-19 2012-11-15 Yamamoto Vinita Co Ltd 高周波がん温熱治療装置
KR20130112808A (ko) 2012-04-04 2013-10-1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비만개선을 위한 지방융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09A (ko) * 2020-05-22 2021-11-30 (주)메디코슨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73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5663B1 (en) Frequency tuning in a microwave electrosurgical system
US78376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a therapeutic device
EP2489398B1 (en) Ablation device including an ultrasound transducer array for imaging and phased antenna array
JP4450622B2 (ja) インピーダンス制御組織剥離装置および方法
EP2555699B1 (en) Power generating and control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EP2316369A1 (en) System for monitoring ablation size
EP2489321B1 (en) Energy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ultrasound transducer array and a phased antenna array
EP2735277A1 (en) System for monitoring ablation using bipolar electrodes
WO2010117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treatment region for a medical treatment device and for interactively planning a treatment of a patient
EP0825890A1 (en) Microwave antenna catheter
JP2011161224A (ja) 生体組織に短絡させるチョークを備えた電気外科手術装置
KR20190005007A (ko)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방법
JP6973826B2 (ja) マイクロウェーブエネルギを搬送するためのインピーダンス変成器を備えた電気外科器具
JP2021533925A (ja) 高周波インピーダンス検知を伴うマイクロ波アブレーションプローブ
KR20190005004A (ko)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초단파 치료 장치
US20190274755A1 (en) Therapeutic ablation of tissue using impedance modulated radio frequency
KR101872369B1 (ko) 초단파 치료 장치용 임피던스 매칭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46510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종양수술용 기기
AU2014200879B2 (en) Microwave antenna assembly having a dielectric body portion with radial partitions of dielectr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