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26A - Excretion Cleaner for Cat - Google Patents

Excretion Cleaner for C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26A
KR20190004426A KR1020170084639A KR20170084639A KR20190004426A KR 20190004426 A KR20190004426 A KR 20190004426A KR 1020170084639 A KR1020170084639 A KR 1020170084639A KR 20170084639 A KR20170084639 A KR 20170084639A KR 20190004426 A KR20190004426 A KR 2019000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el
plate
auxiliary
defecation
ex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태하
Original Assignee
윤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하 filed Critical 윤태하
Priority to KR102017008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426A/en
Publication of KR2019000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n excretion cleaner for cats includes an excretion sheet set in which excretion sheets are stacked and pins for mutually fixing the excretion sheets. A plurality of discharging holes for discharging sand is formed on the excretion sheet. The pins are mutually fixed with the excretion sheets being laminated so that the individual excretion sheet can be detached from the excretion sheet set and removed. The excretion sheet set covers an auxiliary excretion plate and is seated on an excretion plate. Excretion of cats can be easily removed to maintain cleanliness.

Description

반려묘 배변용구 및 이를 구비한 배변용품 {Excretion Cleaner for Cat}[0001] Excretion Cleaner for Cat [0002]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용구 및 배변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반려묘의 배변을 유도하고 치우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배변용구 및 이를 구비한 배변용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breasts and a cat's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s catheter and catheter having the cat's catheter.

반려묘를 기르는 경우 반려묘의 배변을 위한 용품이 필요하다. 반려묘는 반려견과 달리 모래가 있는 장소를 자신의 배변 장소로 인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반려묘 배변용품은 모래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공간 내에 모래를 담아 놓으면 반려묘는 그 위에 배변을 하게 되고, 기르는 사람은 모래 위의 변을 치우게 된다.If you bring up a snake, you need a snack for the snake. Unlike dogs, dogs have a habit of recognizing a place with sand as their own stool, so that the dogs are generally made into a plate shape with a sand storage space. When the sand is put in this space, the snake is defecated on it, and the person who is raised removes the side of the sand.

모래 위에 배설된 변을 치우기 위해서는 분변을 모종삽과 같은 외형에 구명이 뚫린 플라스틱 삽으로 퍼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분변을 모래와 함께 떠내어 살살 흔들어서, 모래는 걸러내고 분변은 비닐에 담아야 하며, 이러한 작업을 모래를 뒤적이면서 여러 차례 반복함으로써 용변을 처리한다. 그런데 이는 변을 치우는 과정을 번거롭게 하여 반려묘를 기르는 부담을 증가시킨다.In order to remove the feces from the sand, the feces are poured into a plastic shovel with the same shape as the frying pan. At this time, the feces should be shaken with the sand and gently shaken. The sand should be filtered and the feces should be put in the vinyl. However, this increases the burden of bringing up the symphony.

이에 따라, 반려묘의 변을 쉽게 치울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asily remove sides of the symphon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묘의 변을 쉽게 치울 수 있도록 구성된 반려묘 배변용구와 배변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ler and a breathed goods which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antl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배변용구는, 중앙 부위 영역에 모래 배출용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 배변포가 복수 개 적층 배치되어 구성되는 배변포 세트; 및 상기 배변포가 적층된 상태로 상호 고정시켜 개개의 상기 배변포를 상기 배변포 세트로부터 뜯어내어 분리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wel movemen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 openings are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fixing means for mutually fixing the bellows in a stacked state to detach the respective bellows from the bellows set to be detachable.

상기 배변포는 그 측방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 부위 영역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r more wings extending laterally are formed in the bodyshell. The w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region.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 세트를 관통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핀이 상기 중앙 부위 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pin passing through the set of the defecation ca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ns are disposed around the central reg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변용구는 상기 배변포 세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조배변판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들과 상기 보조배변판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e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ary defecator plate disposed under the defecator set. At this time, the fix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efecate canals and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togeth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변용구; 및 바닥면과 측벽면을 구비하여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변용구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변용구 위에 모래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배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fecation too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baffle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wall surface to form a receiving portion, and s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bifurcated impl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bifurcated implemen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Relaxation supplies are provided.

이러한 배변용품은, 상기 배변판과 상기 배변용구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배변판을 구비하여, 상기 배변용구가 상기 보조배변판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보조배변판의 측방을 감싸도록 구성된다.The bodyside article includes an auxiliary body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bodysubstrate and the bodyside so that the wing portion surrounds the side of the auxiliary bodysubstrat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side is placed on the auxiliary bodysheet .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들과 상기 보조배변판을 함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efecator cloths and the auxiliary purifier plate togeth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변용품은 상기 배변판을 덮으며 상기 배변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변판의 하부에 포개어질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side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aving a shape that covers the bodysubstrate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substrate, .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묘의 변을 쉽게 치울 수 있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묘 배변용구와 배변용품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sides of the parasites, and to maintain cleanliness.

도 1 및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용구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핀 부분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용품을 구성하는 배변판의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배변판 내에 수용되는 보조배변판과 배변용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4 의 배변판의 상부에 씌워지는 커버의 사시도.
도 7 은 도 4 내지 6 에 도시된 각 구성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의 배변용품에 모래와 고양이 변이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8 의 상태에서 배변포를 한 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도 9 에서 뜯어낸 배변포를 묶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도 3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and 2 show a defe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n portion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ily replacement plate constituting a bodysid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a supplementary bodily replacement plate accommodated in the bodily replacement plate of Fig. 4 and a bodyshaf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bowel plate of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each of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4 to 6.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and and cat sides are placed on the bodysuit article of Fig. 7;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defecate bag is separated from the state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nnulated cannula is tied in FIG. 9;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3;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배변용구의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1 to 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stitution of a repellent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용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변용구(30)는 다수의 배변포(10)가 적층된 배변포 세트,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show a defe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defecation tool 30 comprises a defecation set having a plurality of defecation bins 10 stacked thereon, and a pin 20 for fixing the defecation set.

각각의 배변포(10)는 중앙 부위 영역에 모래 배출용 배출공(12)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변포(10)가 다수 개 적층 배치됨으로써 배변포 세트가 구성된다. 이때, 각 배변포(10)의 배출공(12)은 일치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변포 세트 전체가 동일한 배출공(12)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변포 세트 전체가 동일한 위치에 배출공(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예컨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변포(10)를 분리할 때에 필요에 따라, 예컨대 분변의 양이 너무 많은 상황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한꺼번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배변포(10)를 함께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모래의 배출이 배출공(12)을 통해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세트배변포(10)는 종이 재질, 비닐, 연성의 얇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bowel movements 1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 for discharging sand in the central region thereof. A plurality of such bowel movements 10 are stacked to constitute a bowel movement set.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12 of each bodily cannula 10 is arranged at the matched position, so that the entire bodyshell can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discharge hole 12. In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hole 12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entire defecation capsule set, for example, when the defecate bag 10 is separated as described later,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and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 even when two or more bins 10 are to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The set toilet paper 10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vinyl, soft plastic, and the like.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변포(10)에는 모래가 놓여지며 모래 위에 반려묘가 배변을 하게 된다. 배출공(12)은 모래는 빠져나갈 수 있으나 고양이 변은 빠져나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예컨대 지름이 1~3c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배출공(12)이 클 경우에는 후술되는 처리 과정에서 모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편리하나,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반려묘의 변까지 배출공(12)을 통해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반려묘의 변은 모래 위에 배설됨에 따라 모래가 묻어 그 크기가 커지므로, 배설물의 실제 크기보다 배출공(12)의 크기가 다소 크더라도 배설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잘 걸러진다. 따라서 모래가 쉽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배출공(12)은 예컨대 1cm 또는 그보다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모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면서도 분변의 잘 걸러낼 수 있는 적합한 배출공(12)의 크기는 1.2cm 이다.As described later, sand is placed in the bowel movement 10, and bowel movements are defecated on the sand. The discharge hole 12 has a size such that the sand can escape but the cat's side can not escape, and is formed as a circular hol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 to 3 cm, for example. If the discharge hole 12 is large, it is convenient that the sand can easily escape in the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if the discharge hole 12 is too large, the discharge hole 12 may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 It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in consideration of this. As the side of the snail is excreted on the sand, the size of the sand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exhaust hole 12 is somewhat larger than the actual size of the excrement, the excrement does not escape and is filtered well.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sand is easily discharged, the discharge hole 1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for example, 1 cm or a somewhat larger siz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size of the suitable discharge hole 12, which can smoothly remove the feces even when the sand is smoothly discharged, is 1.2 cm.

도 1 등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배출공(12)은 일 방향으로 다소 길게 연장된 타원 내지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공(12)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1 등과 같이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모래는 쉽게 배출되면서도 분변은 배출공(12)을 통과하지 못하고 잘 걸러지도록 직사각형, 별 등의 형상이나 지그재그형 천공의 형상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12)의 배치 상태도 도 1 등과 같이 격자상 배치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디자인이나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을 이루도록 변형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the like, the discharge hole 12 is formed in a shape of an ellipse or a long hole elongated somewhat in one directi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12 may be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a shape of a long hole as shown in FIG. 1 or the like, or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For example, the sand may be easily discharged and the feces may be de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hape of a rectangle, a star, or a zigzag-like perforation so that the feces may not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 and be well filtered. Also, the disposition state of the discharge hole 12 may be a lattic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 or the like, and may be modified to have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function.

배변포(10)의 측방에는 날개부(1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14)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양측으로 두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출공(12)이 형성된 중앙 부위 영역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네 개가 형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날개부(14)는 보조배변판(50)을 감싸도록 하여 배변용구(30)를 보조배변판(50)에 고정시키는 기능, 및 배설물 처리 시 배설물을 배변포(10)로 감싼 후 배변포(10)를 묶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A wing portion (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wel movement body (10). Four wing portions 14 are formed in four directions about one or more, preferably two on opposite sides, more preferably about the central region where the discharge holes 12 are formed. As described later, the wing portion 14 has a function of fixing the defecation utensil 30 to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50 so as to surround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50, and a function of disposing the defecate during the disposal process And performs a function of binding the bowel movements 10 after wrapping.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0)은 배변포 세트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핀(20)은 배변포(10)를 배변포 세트를 이루도록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호 고정시켜 개개의 배변포(10)를 배변포 세트로부터 뜯어내어 분리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핀(20)은 복수 개, 도 1 에서는 8개가 마련되어 배출공(12)이 형성된 배변포(10) 중앙 부위 영역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적층된 배변포(10)들의 배출공(12)의 위치가 각 배변포(10)들간에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상호 일치된 위치에 정렬된 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Fig. 3, the pin 20 functions to pass through the set of deflation cannula and fix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fins 20 function to mutually fix the bellows 10 in a state of being laminated so as to form a bellows set, so that the individual bellows 10 can be detached from the bellows set and removed. A plurality of fins 20 are provided, and eight fins 2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enter region of the bowel movement 10 in which the discharge holes 12 are form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12 of the stacked bodily discharges 10 is maintained in a mutually aligned position without any disturbance between the bodily discharges 10.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배변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용품에 대해 기술한다.Hereinafter, a bodyside article including a bodysec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용품을 구성하는 배변판, 보조배변판, 커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은 이들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4 to 6 are views showing a stool, an auxiliary stool, and a cover, respectively, of the s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판(40)은 바닥면(42)와 측벽(44)을 구비하여 이들에 의해 수용부가 형성된다. 수용부 내에는 도 5 와 같은 구조의 보조배변판(50)이 안착된다. 배변판(40)의 측벽(44) 중 어느 하나에는 반려묘가 배변판(40) 내로 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구(46)가 형성되어 있다. 배변판(40)은 배변용구(30)가 보조배변판(50)과 함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변용구(30) 위에 모래가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baffle plate 40 has a bottom surface 42 and side walls 44, by which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e auxiliary baffle plate 50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An entrance 46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ide walls 44 of the bowel plate 40 so as to enable the bowel movement to enter and exit the bowel plate 40. The baffle plate 40 is configured so that the s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n the defecation utensil 30 in a state in which the defecation utensil 30 is seated on the floor surface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50. [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변판(50)은 배변판(40)내에 수용되는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배변판(40)의 바닥면에 안착됨으로써 배변판(40)과 배변용구(30)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보조배변판(50)은 배변용구(30)에 의해 싸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배변포(10)의 배출공(12)이 형성된 중앙 부위 영역이 보조배변판(50)의 상부에 놓이고, 배변포(10)의 날개부(14)가 보조배변판(50)의 측방을 넘어 하부로 접혀져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배변포(10)의 날개부(14)에 의해 배변포(10)가 보조배변판(5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5, the auxiliary baffle plate 50 is formed of a plate accommodated in the baffle plate 40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ffle plate 40, 30). The auxiliary bodyside plate (50) is wrapped by the defecation tool (30).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region area where the discharge hole 12 of the bowel movement body 10 is formed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and the wing portion 14 of the bowel movement body 10 is positioned on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So as to be folded down. The wing portion 14 of the breech protector 10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breech protector 10 is engaged with the auxiliary bobbin 50. [

본 발명에서, 보조배변판(50) 없이 배변포 세트 자체가 배변판(40)의 바닥면에 직접 놓이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보조배변판(5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 시 보조배변판(50)만을 자주 교체함으로써 청결도를 높일 수 있고 단기간 내에 배변판(40)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 교체 주기가 길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efecate set itself is placed direct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wel plate 40 without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50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cleanliness by frequently replacing the supplementary defecation plate 50 only for a long period of use, and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defecation plate 40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도 6 은 배변판(40)을 덮는 커버(60)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60)는 기본적으로 배변판(40)과 동일한 구조를 엎어놓은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커버(60) 또한 측벽 중 어느 하나에 출입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60)는 배변판(40)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배변판(40)의 상측 연부와 커버(60)의 하측 연부는 상호 쉽게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60)는 평상시에 배변판(40)을 덮어 반려묘의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실내로 잘 퍼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버(60)가 배변판(4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커버(6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뒤집은 상태로 배변판(40)의 하부에 포개어 둠으로써 커버(60)를 별도로 보관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6 shows the cover 60 covering the bowel plate 40. As shown in Fig. The cover 60 basicall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owel plate 40 with the same structure. An opening (66) is formed in either the cover (60) or the side wall. The cover 6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wel plate 40. The upper edge of the bowel plate 40 and the lower edge of the cover 60 ar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facilitate detachment. The cover 60 normally covers the baffle plate 40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smell caused by the excretion of the antiperspirant from spreading well into the room. Since the cover 60 is construct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bowel plate 40, when the cover 60 is not used, the cover 60 is separately stored by being placed under the bowel plate 40 in an inverted state Space becomes unnecessary.

도 8 은 도 7 의 배변용품에 모래와 고양이 변이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배변포(10) 위에 모래(72)를 붓는다. 이와 같이 모래가 부어지면, 반려묘는 그 위에 배변을 하게 되어 배설물(74)이 모래(82) 위에 놓여지게 된다.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sand and cat sides are placed on the bodysuit article of Fig. 7; 7, the sand 72 is poured onto the bowel movement 10. When the sand is poured in this manner, the parasitism is defecated thereon, and the excrement 74 is placed on the sand 82.

이러한 상태에서 도 9 와 같이 배변포 세트 중에서 맨 위의 배변포(10)를 핀(20)으로부터 분리하고 조금씩 흔들면, 뜯어낸 배변포(10)의 배출공(12)을 통해 모래(72)가 모두 배출되어 그 바로 밑의 배변포(10) 위에 모이게 되고, 배출공(12)을 통과하지 못한 배설물은 뜯어낸 배변포(10) 위에 남게 된다.9, when the upper defecate bag 10 is separated from the pin 20 and slightly shaken, the sand 72 is pulled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 of the removed bodily cannula 10 All of them are collected on the bodily cannula 10 immediately below the bodily cannula 10, and the excremen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 remains on the bodily cannula 10 that has been remov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뜯어낸 배변포(10)의 날개부(14)를 상호 마주보는 한 쌍씩 두 쌍을 묶으면 도 10 과 같이 배설물(72)만이 배변포(10)에 감싸진 상태가 되고, 이를 별도로 쓰레기로 처리하면 배설물의 처리가 완료된다.When two pairs of the wing portions 14 of the defecated bodily waste 10 that are pulled out in this state are opposed to each other, only the excrement 72 is wrapped around the bodily cannula 10 as shown in FIG. 10, The treatment of the excrement is completed when it is treated separately as garbag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묘의 배설물(72) 처리 시 맨 위의 배변포(10)만을 뜯어내고 흔들어 배설물(72)만을 따로 묶어 처리하고, 그 바로 밑의 배변포(10)는 다시 모래만 있는 깨끗한 상태가 된다. 그 후, 반려묘가 다시 배변을 하게 되면, 다시 맨 위의 배변포(10)만을 뜯어내어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면 되고, 이와 같은 방식이 모든 배변포(10)가 소진될 때까지 반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top defecator 10 is torn off and shaken to treat only the excrement 72 separately when the excrement 72 is being treated, and the defecator 10 immediately below it is sandwiched There is a clean state. Thereafter, when the snake is again defecated, only the upper defecate 10 is removed and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This method is repeated until all the defecate 10 is exhausted.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배설물 처리 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배변용구가 매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배변용구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청결하지 않은 상태가 된 경우에는 보조배변판(50)만을 교체함으로써 손쉽게 청결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커버(60)를 덮어두는 경우에는 배변에 의한 냄새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으며, 커버(6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뒤집어서 배변판(40) 하부에 배변판(40)과 포개어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커버(60) 보관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disposal process is very simple and the toilet is kept very clean. In addition, in a case where a state of being unclean due to long-term use of the toilet can be achieved, the clean state can be easily improved by replacing only the auxiliary toilet seat 50. [ When the cover 60 is not covered with the cover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ell from spreading in the room. In case the cover 60 is not used,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the cover 60 becomes unnecessary.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 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modification of Fig. 3. Fig.

도 3 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배변포(10)들이 핀(20)에 의해 고정되어 배변포 세트로서 고정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때 보조배변판(50)은 배변포 세트와 고정되어 있지는 않은 구성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핀(20)에 의해 배변포(10)들은 물론이고 보조배변판(50)도 함께 고정되는 예를 제시한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s 10 are fixed by a pin 20 and fixed as a set of bowel movements wherein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is in a non-fixed configuration to be. However,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fins 20 and the auxiliary bodyshell 50 are fixed together.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변포들(10)과 보조배변판(5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제작되어 판매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트 전체를 배변판(40)에 수용시키고 그 위에 모래(72)를 놓음으로써 배변용품이 구성된다. 사용자가분변을 처리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최하부의 배변포(10)까지 소진되고 나면 배변포들(10)과 보조배변판(50)이 함께 고정된 세트 전체를 새 것으로 교체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배변판(50)을 자주 교체하여 더욱 청결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bowel movements 10 and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are manufactured and sold as one set. Thus, the bodyside article is constructed by accommodating the entirety of such a set in the bowel plate 40 and placing the sand 72 thereon. The process of the feces processing by the us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is embodiment, once exhausted to the lowermost bodily cannula 10, the bodily preparations 10 and the auxiliary bodily replacement plate 50 are fixed together Replace with a new 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xiliary clean plate 50 is frequently replaced to maintain a more clean state.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배변포(10)들을 상호 고정하거나 배변포(10)와 보조배변판(50)을 함께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핀(20)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고정수단은 핀(20)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이플러나 클립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in 20 is illustrated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owel movements 10 together or fixing the bowel movement bag 10 and the auxiliary bowel plate 50 together. However, the fixing means may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besides the pin 20. Such as a stapler or clip, or may be constructed of an adhesive,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Claims (11)

중앙 부위 영역에 모래 배출용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 배변포가 복수 개 적층 배치되어 구성되는 배변포 세트; 및
상기 배변포가 적층된 상태로 상호 고정시켜 개개의 상기 배변포를 상기 배변포 세트로부터 뜯어내어 분리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구.
A set of bowel mov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s ar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s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the sand removal in the central region; And
Fixing means for releasably separating the individual bodily discharging bodys from the set of bodily discharging bodys by mutually fixing the bodily discharging bodys in a stacked state;
Wherein the pellet is a pel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포는 그 측방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wing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bowel movement body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 부위 영역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ng portion extends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 세트를 관통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pin passing through the set of defecation canals.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핀이 상기 중앙 부위 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said fins are disposed around said central reg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포 세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조배변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들과 상기 보조배변판을 함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구.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supplementary bowel plate disposed under the set of bowel movement bowls;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xing means fixes the defecator canals and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together.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구비한 배변용구; 및
바닥면과 측벽면을 구비하여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변용구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변용구 위에 모래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배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품.
A defecation tool hav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A baffle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wall surface to form a receiving portion, and s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bifurcated impl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bifurcated implemen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eech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eech bloc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과 상기 배변용구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배변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변용구가 상기 보조배변판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보조배변판의 측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품.
8. The method of claim 7,
A supplementary toilet seat disposed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wing portion surrounds the side of the auxiliary bodysubstrate while the bodyside is placed on the auxiliary bodysi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변포들과 상기 보조배변판을 함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xing means fixes the defecate canals and the auxiliary defecation plate togeth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반려묘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exit port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ide walls to allow the entry / exit of the door mirr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을 덮으며, 상기 배변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변판의 하부에 포개어질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배변용품.
8. The method of claim 7,
A cover which covers the bowel plate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wel plate and has a shape that can be superim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wel plate in an inverted st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KR1020170084639A 2017-07-04 2017-07-04 Excretion Cleaner for Cat KR201900044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39A KR20190004426A (en) 2017-07-04 2017-07-04 Excretion Cleaner for C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39A KR20190004426A (en) 2017-07-04 2017-07-04 Excretion Cleaner for C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26A true KR20190004426A (en) 2019-01-14

Family

ID=6502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39A KR20190004426A (en) 2017-07-04 2017-07-04 Excretion Cleaner for C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42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87B1 (en) 2019-04-18 2020-07-23 이병학 pet toi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87B1 (en) 2019-04-18 2020-07-23 이병학 pet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603B2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JP5314044B2 (en) Toilet bowl with a handle
US4615300A (en) Litter box liner
US8256380B2 (en) Disposable folding type sanitary toilet for pets
CN110494071B (en) Disposable bedpan with cover
KR101584610B1 (en)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with pee container
US6640355B1 (en) In-bowl stool sample collection device
US6745719B1 (en) Litter sifting device for a litter box
EP0517763A4 (en) Transportation container for laboratory animals
KR20190004426A (en) Excretion Cleaner for Cat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IT201800002582A1 (en) CARRIER FOR SMALL PETS
KR102137187B1 (en) pet toilet
KR20180077550A (en) Defecation Pad for Pet
CN208724624U (en) A kind of functionality litter box
US20180042199A1 (en) Litter cleaning and disposal system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KR20090046624A (en) Excretion treating bag for pet
CN215839182U (en) Disposable sterile mouse urine and excrement and urine separator
KR102483041B1 (en) Disposable fecal case for pet
ITMI20020590U1 (en) RAPID CLEANING DEVICE FOR LITTERS OF SMALL PETS
JP5563727B1 (en) Pet toilet
JP7090371B1 (en) Diapers for pets
JP3138748B2 (en) Patient toilet and excrement disposal bag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oilet
JP3078534U (en) Portable toilet b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