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75U -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 Google Patents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75U
KR20190003275U KR2020180002856U KR20180002856U KR20190003275U KR 20190003275 U KR20190003275 U KR 20190003275U KR 2020180002856 U KR2020180002856 U KR 2020180002856U KR 20180002856 U KR20180002856 U KR 20180002856U KR 20190003275 U KR20190003275 U KR 20190003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touch pad
microprocessor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석
Original Assignee
신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석 filed Critical 신광석
Priority to KR2020180002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275U/ko
Publication of KR20190003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이어폰이 귀에 착용 상태와 탈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패드(Touch Pad)에 유입되는 인체전류를 검출하는 회로를 적용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가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무선이어폰을 동작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하므로 무선이어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귀에 착용 감지에 의한 무선이어폰의 오토페어링 제어방법{Auto pairing control method for wireless earphone via wearing detect on the ear}
본 고안은 블루투스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어폰을 귀에 착용시 인체의 닿는 부분인 이어폰 케이스 외부에 터치패드(Touch Pad)를 부착하여 터치패드에 유입되는 인체전류에 의해 이어폰이 귀에 착용이 감지되면, 이어폰의 전원이 자동으로 켜지고 이어폰끼리의 페어링(Pairing)과 블루투스 기기 간의 페어링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 이어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이어폰을 귀에서 벗으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어폰을 귀에 착용할 때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감지 판을 이어폰의 케이스 외부에 부착하여 이어폰을 귀에 꽂으면 접촉감지 판이 인체에 닿아서 접촉감지 판에 유입되는 인체전류를 내부회로에 공급하여 이어폰이 귀에 꽂혔는지 빠졌는지를 판단하게 하여, 이어폰이 귀에 꽂히면 전원이 켜져 자동으로 작동하게 하고 이어폰을 귀에서 빼면 자동으로 꺼지게 되도록 구성한다.
종래의 무선이어폰은 이어폰을 사용할 경우 작동버튼을 길게 눌러서 전원을 켜고 두 개의 이어폰이 페어링되기를 기다린 후 이어폰을 착용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작동버튼을 다시 길게 눌러 이어폰의 전원을 꺼야하는 불편이 있고, 작동 버튼을 누를 때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가 손톱 부분에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이어폰이 귀에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어폰 케이스가 귀에 닿는 부분에 도전성 터치패드(Touch Pad)를 부착하여 터치패드에 유입된 인체전류를 내부회로에 전달하여 이어폰이 귀에 착용하였는지 빠졌는지를 구분하여 내부 전체회로를 동작하게 하거나 동작을 멈추게 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가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은 귀에 착용하기 전에 작동 버튼을 길게 눌러 켜야 하고 사용 후에는 작동 버튼을 다시 길게 눌러 전원을 꺼야 불편함이 있는 반면,
본 고안은 인체전류를 검출하는 터치패드와 회로를 구성하여 이어폰이 귀에 착용했는지 탈피되었는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가 제어하도록 하여 이어폰이 귀에 착용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이어폰을 귀에서 빼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게 하므로 사용에 매우 편리함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터치패드가 부착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귀에 착용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회로도.
제4도는 종전 무선이어폰의 동작 플로우차트.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 개시에 대한 플로우차트.
제6도는 본 고안의 동작 정지에 대한 플로우차트.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무선이어폰의 케이스(10)와 연결된 이어팁(20)을 귀(40)에 꽂을 때 이어폰 케이스(10)의 외부에 부착된 도전성 터치패드(11)가 인체에 닿도록 배치한 것으로, 이를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TOUCH(110)에 유입되는 인체전류인 전기신호를 콘덴서(C1)를 거처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인체전류에 의해 턴온(Turn On), 턴오프(Turn Off)를 반복하는 것을 저항(R2)과 콘덴서(C2)에 의해 평활이 되어 로우레벨(Low Level)이 유지되면 BT Chip(100)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입력단자(IRQ)에 공급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동작을 시작하는데 마이크로프로세서(100)가 슬립모드(Sleep Mode)로 진입할 때 인터럽트 로우레벨 인에이블(Enable)을 설정하고 슬립모드가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0)의 인터럽트 입력단자(IRQ)가 로우레벨이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웨이크업(Wake-Up) 되고 일정시간(약 2초) 동안 터치패드(11)에 인가되는 인체전류에 의해 로우레벨이 유지될 경우 이어폰이 계속 착용상태라고 판단하여, 도 5의 플로우차트(Flowchart)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또한, 동작상태에서 인터럽트 입력단자(IRQ)의 레벨이 하이레벨(High Level)이 되면 도 6의 플로우차트와 같이 동작을 중지하고 인터럽트 인에이블을 설정하고 슬립모드가 된다.
도 4는 종전의 무선이어폰의 동작 시작에 대한 플로우차트(Flowchart)로서, 무선이어폰의 대기상태 단계(400)일 때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작동버튼부(30) 내부에 있는 SW(301) 버튼이 눌러지는 단계(401)에서 눌림이 2초 이상 눌러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402)에서 2초를 초과하면 작동버튼부(30) 내부의 LED(302)를 켜고 SW(301) 버튼이 계속 눌러져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404)에서 2초를 초과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기기간 페어링(Pairing)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408)로 진입하고, 단계(405)에서 2초를 초과하면 두 개의 무선이어폰간의 스테레오 페어링 단계(406)를 먼저 시도하고 무선이어폰 간의 스테레오 페어링 단계(407)가 이루어지면 블루투스 기기간의 페어링 단계(408)로 진입한다. 블루투스 기기간 페어링은 사용하는 블루투스 무선이어폰과 스마트폰 혹은 블루투스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뜻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무선이어폰을 착용시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단계의 플로우차트로서, 무선이어폰이 슬립모드(Sleep Mode) 단계(500)에서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501)에서 터치패드에 신호가 감지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WAKE-UP하고 단계(502)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작하여 2초 정도 대기하는 단계(503)에서 착용상태가 계속 유지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504)에서 터치패드에 신호가 감지되면 작동버튼부(30) 내부의 LED(302)를 켜는 단계(505) 후 스테레오 페어링 단계(506)를 시도하고 두 개의 무선이어폰 간의 스테레오 페어링 단계(507)가 이루어지면 블루투스 기기간의 페어링 단계(509)로 진입한다. 만약 스테레오 페어링 단계(507)에서 10초 동안의 단계(508)에서 10초 내에 스테레오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IRQ Enable 단계(510)에서 BT Chip(100)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로우레벨 인터럽트 인에이블을 설정하고 슬립모드 단계(500)가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무선이어폰이 동작중에 이어폰이 귀에서 탈피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슬립모드가 되는 경우의 플로우차트로서, 터치패드(11)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601)에서 착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10초 후에도 계속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단계(602)에서 기기간의 페어링을 해제(603)하고 IRQ Enable 단계(60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로우레벨 인터럽트 인에이블을 설정하고 슬립모드 단계(605)가 된다.
10 : 이어폰 케이스 11 : 터치패드 12 : 충전단자
20 : 이어팁 30 : 작동버튼부 40 : 귀

Claims (3)

  1. 무선이어폰의 오토페어링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어폰이 귀에 착용 혹은 탈피를 감지하기 위해 귀에 닿는 부분에 터치패드(11)를 부착하여 터치패드(11)에 유입되는 인체전류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인에이블 단자에 공급되게 구성한 회로와 웨이크업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착용 감지에 의한 무선이어폰의 오토페어링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회로 구성은 터치패드(11)에 유입되는 인체전류를 콘덴서(C1)를 거쳐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가 턴온(Turn On)될 때 평활된 레벨을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럽트 입력단자 공급하기 위한 저항(R2)와 콘덴서(C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착용 감지에 의한 무선이어폰의 오토페어링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제어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인에이블 상태에서 슬립모드로 있을 때 터치패드(11)에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인터럽트 단자가 로우레벨이 되면 웨이크업하여 자동으로 동작하여 이어폰과 블루투스 기기간에 페어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작상태에서 터치패드(11)에 감지되는 신호가 없으면 이어폰이 귀에서 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중지하고 인터럽트 인에이블을 설정하고 슬립모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착용 감지에 의한 무선이어폰의 오토페어링 제어방법.
KR2020180002856U 2018-06-21 2018-06-21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KR201900032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6U KR20190003275U (ko) 2018-06-21 2018-06-21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6U KR20190003275U (ko) 2018-06-21 2018-06-21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75U true KR20190003275U (ko) 2019-12-31

Family

ID=6902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56U KR20190003275U (ko) 2018-06-21 2018-06-21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27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064B1 (ko) 2021-08-27 2023-01-18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KR20230028674A (ko) 2021-08-20 2023-03-02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KR20230028675A (ko) 2021-08-20 2023-03-02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674A (ko) 2021-08-20 2023-03-02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KR20230028675A (ko) 2021-08-20 2023-03-02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KR102489064B1 (ko) 2021-08-27 2023-01-18 (주)파트론 음향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275U (ko) 오토페어링을 위한 무선이어폰의 구조
WO2017147966A1 (zh) 一种耳机控制方法、耳机和终端
CN105634052B (zh) 电子设备的机会式充电
EP3432120B1 (en) Operating mode switching method, wireless sensor and system
US8862916B2 (en) Wireless control of power sockets based on host and signal quality
WO2020108059A1 (zh) 一种耳机及其佩戴检测装置
WO2004084016A3 (en) Wireless device allowing for configuration of settings and method therefor
TW200919897A (en)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circuit and charging method
CN103576836A (zh) 一种触摸式移动终端及其省电控制方法
CN107567081B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休眠时间的调整方法
JP2008289033A (ja) イヤホン装着検出装置と携帯用音響機器と携帯用音響機器制御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携帯用音響機器制御方法
KR102138642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집적 회로 및 상기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KR101569386B1 (ko) 충전식 무선인두장치
CN110572731A (zh) 一种自动关机的无线耳机以及无线耳机自动关机的方法
CN208940195U (zh) 一种耳机及其佩戴检测装置
EP3309923B1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mobile power supply
KR20130065518A (ko) 온도인식에 따른 전원제어가 가능한 이어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911052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9090613A1 (zh) 一种智能终端的闹钟的响铃方法及响铃系统
WO2018090490A1 (zh) 一种穿戴设备的温度调节方法和穿戴设备
TWI570621B (zh) 電子系統、穿戴式電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KR20140079214A (ko) 내이(귀 안)온도를 이용한 열감지 이어폰의 착용여부에 따른 on/off 기능 및 그 방법
WO2018045691A1 (zh) 一种手环触摸复位的方法
CN113423035A (zh) 一种基于收纳盒的蓝牙耳机的控制方法及收纳盒
KR20160141437A (ko) 블루투스 헤드셋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