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45U -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45U
KR20190003245U KR2020180002807U KR20180002807U KR20190003245U KR 20190003245 U KR20190003245 U KR 20190003245U KR 2020180002807 U KR2020180002807 U KR 2020180002807U KR 20180002807 U KR20180002807 U KR 20180002807U KR 20190003245 U KR20190003245 U KR 201900032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diaphragm
uni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화학
Priority to KR2020180002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245U/ko
Publication of KR20190003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물이 공급될 경우에 물의 흐름을 센싱함과 동시에 물의 유동속도를 줄여서 배출할 수 있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출수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다이어프램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이어프램축에 관통되면서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감압시키는 것과 동시에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부싱을 포함하는 부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VALVE ASSEMBLY FOR SENSING LIQUID FLOW}
본 고안은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물이 공급될 경우에 물의 흐름을 센싱함과 동시에 물의 유동속도를 줄여서 배출할 수 있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에는 정수용 필터장치와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정수한 뒤 정수한 물을 취출콕크로 배출된다.
저장통에 저장된 물은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의해 선택된 특정 저장통의 물이 취출콕크로 배출되도록 저장통과 취출콕크 사이에 급수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급수라인에는 관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가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수선택에 따라 저장통에 저장된 물이 펌프로 펌핑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전기적으로 개방되면서 펌핑된 물이 취출콕크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의 온수 선택에 따라 물이 가열장치로 공급되어 가열된 물을 사용자가 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통에 물이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온수를 선택하게 되면 가열장치 및 솔레노이드밸브는 불필요한 작동을 수행하게 되어, 가열장치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수명이 단축시키고 정수기의 고장원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0-0009163호(2010.09.20 공개공보, 고안의 명칭 : 유압감응형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물이 공급될 경우에 물의 흐름을 센싱함과 동시에 물의 유동속도를 줄여서 배출할 수 있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출수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다이어프램유닛; 상기 다이어프램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이어프램축에 관통되면서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감압시키는 것과 동시에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부싱을 포함하는 부싱유닛;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구감지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은, 상기 출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케이스;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결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제1 디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은, 상기 스위치가 배치되는 스위치케이스; 및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는 밀폐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부싱유닛은, 일측은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부싱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싱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급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케이스; 상기 급수공간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는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서 상기 부싱이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포트와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는 상기 출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포트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서 상기 부싱의 설치된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스위치의 오프된 신호에 의해 물이 흐르지 않은 경우에 가열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가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출수케이스의 출수공간에 부싱에 구비된 것에 의해 출수케이스에서 배출되어 가열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가열장치에서 물을 가열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와 다이어프램유닛 및 스위치유닛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부싱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가 사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와 다이어프램유닛 및 스위치유닛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부싱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부싱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부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의 (a)는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본체유닛(100)과, 다이어프램유닛(200)과, 스위치유닛(300)과, 부싱유닛(400)과, 안내유닛(500) 및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100)은 정수기 등과 같은 장치의 급수라인(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은 급수케이스(120) 및 출수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케이스(120)는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110)와 연통된 급수공간(12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공간(121) 상에는 상기 본체유닛(100) 상에서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도 4의 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케이스(150)는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140)와 연통된 출수공간(1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100)은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은 후술하는 다이어프램유닛(200)에 의해 밀폐되고 그 타측은 상기 커버(160)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출수공간(151)은 밀폐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00)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공간(15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어프램(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10)의 중심에는 후술하는 부싱(410)과 결합되는 다이어프램축(2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210) 및 상기 다이어프램축(211)의 재질은 연질 또는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00)은 다이어프램케이스(220) 및 제1 디스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는 상기 출수케이스(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210)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일측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밀폐플레이트(330)의 일측면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크(230)는 상기 다이어프램(210)과 결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210)의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스위치(31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크(2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210)에 형성된 제1 결합홈(212)에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231)가 구비될 수 있고, 그 타측면에는 상기 스위치(310)를 온/오프시키는 제1 누름돌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유닛(300)은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00)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유닛(300)에 적용된 스위치(310)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적용된 것이 제시된다.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부터 출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거나 물의 유입이 갑자기 차단될 경우, 상기 스위치(310)가 오프되고, 제어부에서 오프된 스위치(310) 신호를 상기 가열장치로 송신하여 가열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유닛(300)은 스위치케이스(320) 및 밀폐플레이트(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케이스(320)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3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케이스(320)는 일측면이 오픈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플레이트(330)가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케이스(320)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플레이트(330)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밀폐플레이트(330)의 일측면은 상기 스위치케이스(320)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그 타측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일측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위치케이스(320)의 내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320)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상기 밀폐플레이트(3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위치(310)가 안착되는 스위치 안착부(33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220)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상기 밀폐플레이트(330)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누름돌기(232)가 상기 스위치(3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3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32) 주변 영역에는 상기 제1 디스크(2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디스크 수용홈(333)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유닛(400)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감압시키는 것과 동시에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0)을 작동시키는 부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싱(410)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축(211)에 관통되면서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갭(G)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유로관(130)과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는 상기 구획유로관(130)으로 이동된 물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52)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서 상기 부싱(410)이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포트(140)와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는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포트(140)로 배출되는 배출구(1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53)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서 상기 부싱(410)의 설치된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15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상기 부싱(410)을 상기 다이어프램(2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부싱(410)과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갭(G)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때, 상기 갭(G)으로 스며든 물이 상기 배출구(153)를 통해 상기 출수포트(140)로 배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입구(152)의 높이와 상기 배출구(153)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갭(G)으로 스며든 물이 상기 배출구(153)를 통해 상기 출수포트(140)로 출수됨에 따라,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은 감압된 상태로 출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공간으로부터 출수되어 가열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일정이하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가열장치에서 물을 가열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부싱(410)은 상기 부싱(410)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2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부싱(410)이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누름돌기(232)를 누를 수 있도록 하는 제2 누름돌기(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게 되면, 유입되는 물은 상기 부싱(410)을 가압하게 되고, 물에 의해 가압된 상기 부싱(410)이 다이어프램(2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누름돌기(411)가 상기 제1 누름돌기(232)를 누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름돌기(411)에 의해 상기 제1 누름돌기(232)가 눌러지게 되면, 상기 제1 누름돌기(232)는 상기 스위치(310)를 누르게 되어 상기 스위치(310)를 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싱유닛(400)은 상기 제1 탄성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420)는 일측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부(154)1에 배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부싱(4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부(412)에 배치되어 상기 부싱(4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이동된 부싱유닛(400)은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스위치(310)를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유닛(500)은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유닛(500)은 안내케이스(510)와, 안내플레이트 (520) 및 제1 실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케이스(510)는 상기 급수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안내플레이트(5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20)에는 상기 급수공간(121)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521)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130)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5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130)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플레이트(520)는 상기 제2 연통구(5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연통구(522)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격벽(523a)으로 이루어진 피스톤 가이드부(5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는 후술하는 피스톤(610)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폐하기 위해 이동될 경우, 상기 피스톤(610)의 이동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523a)과 격벽(523a) 사이사이에는 상기 제1 연통구(521)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를 지나 상기 제2 연통구(5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피스톤(610)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폐쇄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로부터 상기 피스톤(610)이 이탈되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실링부재(530)는 상기 안내플레이트(520)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530)는 상기 급수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아닌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내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은 상기 안내유닛(5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은 피스톤(610)과, 제2 탄성부재(620)와, 피스톤케이스(630) 및 솔레노이드밸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610)은 후술하는 솔레노이드밸브(64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피스톤(6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케이스(630)는 상기 안내케이스(5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10)과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상기 피스톤케이스(63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610)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피스톤(610)은 자력이 발생 되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방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에 전원이 차단되면 자력이 상실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6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폐쇄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급수포트(11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공간(121)에 채워지면서 상기 안내플레이트 (520)의 제1 연통구(521)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자력을 발생시켜 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6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방시킨 상태이다.
상기 제1 연통구(521)를 통해 상기 안내플레이트 (52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 연통구(522)를 통해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이동된 물은 상기 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다.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부싱(410)을 가압하면서 상기 갭(G)에 스며들게 된다.
유입된 물에 의해 가압된 상기 부싱(410)은 상기 다이어프램(2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부싱(410)의 제2 누름돌기(411)가 상기 제1 디스크(230)의 제1 누름돌기(232)를 눌러 상기 다이어프램(210)을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210)이 작동되면서 상기 제1 누름돌기(232)가 상기 스위치(310)를 누르게 되어 상기 스위치(310)는 온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치(310)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310)의 온된 신호를 상기 가열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갭(G)에 스며든 물은 상기 배출구(153)를 통해 상기 출수포트(140)로 배출되어 상기 가열장치로 이동되고, 상기 가열장치로 이동된 물은 상기 가열장치에서 가열된 다음, 취출콕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포트(110)를 통해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싱(410)은 상기 제1 탄성부재(420)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0)의 반대방향 즉, 초기 위치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스위치(310)가 오프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치(310)가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310)의 오프된 신호를 상기 가열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부싱(410)이 상기 다이어프램(210)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310)가 오프되고, 상기 스위치(310)의 오프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의 작동이 중단됨에 따라, 필요치 않은 상황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상기 가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가 사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서는 스위치가 택트 스위치가 사용된 것이 제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가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가 사용된 것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크유닛(200)은 제2 디스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크(240)는 상기 스위치유닛(300)과 상기 제1 디스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디스크(240)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미도시)가 배치된 스위치케이스(320)의 구조를 고려하여 상기 디스크유닛(200)에 더 포함된 구성인 것으로서, 상기 제2 디스크(240)는 상기 제1 디스크(230)의 누름력을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크(240)는 그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누름돌기(232)에 형성된 제2 결합홈(232a)에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241)와 그 타측면에 둘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310)와 접촉되는 제3 누름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디스크(230)는 상기 제2 디스크(240)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디스크(230)가 작동되면 함께 작동되어 상기 제3 누름돌기(242)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10)를 온/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를 실시예에서는 액체유동감지밸브가 정수기에 사용된 것을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비데 등과 온수를 제공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본체유닛 110: 급수포트
120: 급수케이스 121: 급수공간
130: 구획유로관 140: 출수포트
150: 출수케이스 151: 출수공간
152: 유입구 153: 배출구
154: 제1 안착홈 160: 커버
200: 다이어프램유닛 210: 다이어프램
211: 다이어프램축 212: 제1 결합홈
220: 다이어프램케이스 230: 제1 디스크
231: 제1 결합돌기 232: 제1 누름돌기
232a: 제2 결합홈 240: 제2 디스크
241: 제2 결합돌기 242: 제3 누름돌기
300: 스위치유닛 310: 스위치
320: 스위치케이스 330: 밀폐플레이트
331: 스위치 안착부 332: 관통홀
333: 제1 디스크 수용홈 400: 부싱유닛
410: 부싱 411: 제2 누름돌기
412: 제2 안착홈부 420: 제1 탄성부재
500: 안내유닛 510: 안내케이스
520: 안내플레이트 521: 제1 연통구
522: 제2 연통구 523: 피스톤 가이드부
523a: 격벽 530: 제1 실링부재
600: 솔레노이드밸브유닛 610: 피스톤
620: 제2 탄성부재 630: 피스톤케이스
640: 솔레노이드밸브 G: 갭

Claims (6)

  1.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출수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다이어프램유닛;
    상기 다이어프램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이어프램축에 관통되면서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감압시키는 것과 동시에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부싱을 포함하는 부싱유닛;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은,
    상기 출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케이스;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결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제1 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은,
    상기 스위치가 배치되는 스위치케이스; 및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다이어프램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는 밀폐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유닛은,
    일측은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부싱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싱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급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케이스;
    상기 급수공간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는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서 상기 부싱이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포트와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는 상기 출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포트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출수케이스 상에서 상기 부싱의 설치된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KR2020180002807U 2018-06-20 2018-06-20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KR201900032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07U KR20190003245U (ko) 2018-06-20 2018-06-20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07U KR20190003245U (ko) 2018-06-20 2018-06-20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45U true KR20190003245U (ko) 2019-12-30

Family

ID=6902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07U KR20190003245U (ko) 2018-06-20 2018-06-20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24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163U (ko) 2009-03-10 2010-09-20 김종호 유압감응형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163U (ko) 2009-03-10 2010-09-20 김종호 유압감응형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0443B (en) Ink cartridge and method of regulating fluid flow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20080089449A (ko) 샤워 노즐의 출수 제어 기관
US20150059893A1 (en) Five-port switching valve with residual pressure exhaust valve
KR101787517B1 (ko) 준비 작동식 밸브
WO2017024792A1 (zh) 一种双流量切换装置
CN210135269U (zh) 阀及净水设备
JP2000266196A (ja) 圧力室式弁
KR20190003245U (ko)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
US20120168655A1 (en) Solenoid controlled valve for fluid media
KR102128375B1 (ko) 3방향 전자밸브
CN210252740U (zh) 一种花洒的水路切换结构
US5947690A (en) Actuator valve for pressure switch for a fluidic system
CN108458135B (zh) 拉出式龙头水路切换控制机构
JP5252996B2 (ja) 電磁式給水弁
JP3725044B2 (ja) 減圧弁
JPH0134721Y2 (ko)
CN213271020U (zh) 一种液压式进水开关装置
CN215445203U (zh) 组合阀和净水机
CN220378966U (zh) 安全阀和热水器
US2899900A (en) Controller for water systems
CN215806425U (zh) 新型调流开关阀芯
KR20190020918A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CN214946624U (zh) 弹性元件
CN214864474U (zh) 一种出水装置及花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