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58A -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58A
KR20190003058A KR1020170083510A KR20170083510A KR20190003058A KR 20190003058 A KR20190003058 A KR 20190003058A KR 1020170083510 A KR1020170083510 A KR 1020170083510A KR 20170083510 A KR20170083510 A KR 20170083510A KR 20190003058 A KR20190003058 A KR 2019000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hamber
pockets
upper plat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7008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058A/ko
Priority to PCT/KR2018/007354 priority patent/WO2019004751A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포켓이 사이클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가 포집모드를 구현하게 되고, 다른 하나가 고형물배출모드를 구현하게 되고, 또 다른 하나가 필터청소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milti- turning cyclone cleaner}
본 발명은,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을 구비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집진실에 고형물을 포집하고 포집된 고형물을 집진실을 구획형성하고 있는 본체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송풍기를 내장한 흡인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실이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집진실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집진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집진실에 쌓인 고형물을 수동으로 본체 밖으로 빼어내게 된다.
이러한 고형물 빼어내는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3725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청소기에서는 음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의 먼지를 청소기 본체 내로 수용하였다가 양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체의 집진실에 축적된 혐오물인 먼지 등을 사용자가 접촉함 없이 버릴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상기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 밑에 고형물출입부가 배치되어 있어서, 본체의 높이방향에서 비대해져 결국 청소기 본체가 비대해 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기가 특허공개 제10-2014-00970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집진실을 회전하는 복수개의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가 흡입구와 흡인실에 동시에 유통하게 하고, 상기 흡인실과 상기 집진실을 유통시키는 유통구의 상류단에 필터나 다공판을 마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을 구획형성하는 복수개의 문이 회전하면서 상기 그 일측부가 필터나 다공판을 문질러, 상기 필터나 다공판에 붙어 있는 또는 박혀 있는 고형물을 떼어 내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가 흡입구와 흡인실에 유통하지 않는 포켓에 고형물을 밖으로 방출하는 고형물토출관을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집진실이 종래보다 소형화되면서도,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청소기가 상기 고형물토출관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고형물출입부가 없어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킨 상태에서 필터도 청소하면서 집진실에 쌓인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상기 복수개의 문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필터나 다공판을 문지르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기가 특허출원 제10-2014-9614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청소기에서는,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통형상의 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제1유통구에 포집포대를 접속시키고, 상기 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고형물출입부를 상기 집진실에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제2유통구에 의해 유통시키고, 상기 고형물출입부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 각각 내에 집진실의 흡입구에서 흡인실로의 공기유로 내에 병목부를 마련하고 그 병목부에 필터를 개재하고 고형물 토출측에서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병목부에 브러시와 같은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고형물 토출측에 마련된 긁개와 같은 필터청소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공개된 특허공개 제10-2016-4340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통형상의 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제1유통구에 포집포대를 접속시키고, 상기 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고형물출입부를 상기 집진실에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제2유통구에 의해 유통시키고, 상기 고형물출입부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에 집진실의 흡입구에서 상기 필터를 관통하여 흡인실로 내로 유동하는 공기유로 내에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공기유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필터를 관통하는 역공기유로를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청소기에서는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는 고형물 포집 모드에 위치되고, 다른 어느 하나는 고형물 배출 모드에 위치되고, 또 다른 어느 하나는 필터 청소 모드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필터 청소 모드에 위치된 포켓에 장착된 필터를 상기 역공기유로에 의해 청소하여 필터에서 떨어져 나간 고형물을 음압상태에 있는 고형물 포집 모드에 위치된 포켓에 전달하는 것으로 되어, 필터 청소 모드의 포켓에 마련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떨어져 나가 고형물 포집 모드의 포켓에 마련된 필터에 다시 붙게 되어, 한번 필터 청소 모드의 포켓에 마련된 필터에 붙게 된 고형물은 고형물 배출 모드에서 본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연이어서 고형물 포집 모드의 포켓에 마련된 필터에 축적되어 붙게 되어 고형물 포집 모드의 포켓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게 하여 포집 효율을 낮추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고형물의 흡입구가 집진실의 천장에 마련되어 있어서, 기다란 고형물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집진실 내부로 유입되다가 회전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획형성하는 복수개의 문과 집진실 천장벽에 끼이게 되어 상기 고형물출입부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형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 흡입관과 집진실의 둘레벽부 상단 사이에 이들과 유통하는 완충 공간부를 개재시키되, 상기 집진실에 마련되어 회전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획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문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공간부가 뻗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을 사이클론 형상으로 만들고, 상기 완충 공간부의 벽부들 중 어느 하나의 포켓과 마주하는 벽부 부위가 상기 문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집진실의 내벽에 근접하는 테이퍼면을 갖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켓에 유통하는 유통구를 본체의 상단부에 마련하고, 상기 유통구와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는 복수개의 포켓 각각의 상단에 상기 유통구와 유통하게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완충 공간부와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서로 유통시키는 개구부의 회전축선 둘레방향 길이가 상기 복수개의 포켓 각각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게 하고, 복수개의 포켓 중 필터 청소 모드에 위치된 포켓에 마련된 필터의 윗면을 본체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필터 청소 모드에 위치된 포켓에 마련된 필터의 밑면을 상기 완충 공간부에 유통하게 일단이 접속된 연결관의 타단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완충 공간부에 의해 기다란 고형물이 상기 흡입관을 경유하여 회전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켓 내로 유입되어도 문과 집진실의 둘레벽에 끼이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되게 하여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고형물을 이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필터 청소 모드에 위치된 포켓에 마련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필터의 윗면에서 밑면으로의 기류에 의해 떼어내어 연결관을 경유하여 완충 공간부의 하류단으로 이송시켜서 포집 모드에 위치된 포켓을 구획형성하는 문을 타고 소용돌이 운동시켜 고형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포집 모드에 위치된 포켓의 바닥에 모이게 하여, 고형물 배출 모드에서 용이하게 본체 밖으로 배출되게 하여서 필터 청소 모드에서 분리해낸 고형물이 포집 모드에 위치된 필터에 축적되어 붙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본체에 대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집진실에 마련된 고형물출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A-A)에서 고형물출입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복수개의 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도 1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서 가이드 유로가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선(B-B)에서 고형물출입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및
도 9는 도 8의 복수개의 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본체가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이 접속된 완충 공간부(40)가 상기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흡입구(1a)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12) 및 흡인실(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완충 공간부(40)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 상단이 상기 완충 공간부(40)에 형성된 개구면(43)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과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집진실(12)의 바닥(12a)의 타측이 본체(10)의 외부에 하류단이 노출된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완충 공간부(4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 상단 부위에 상류단에 접속된 유통구(16)의 하류단이 상기 흡인실(13)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진실(12)에는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고형물출입부(9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고형물출입부(9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실(12)의 중앙에서 중력방향으로 뻗어서 회전 가능하게 칸막이 벽부(11)에 양단이 장착되어 구동원(60;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제1상판(92); 상기 제1상판(92)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대하여 아래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과 유통하는 공간(S)을 상기 제1상판(92)과 함께 구획형성하는 제2상판(98); 상기 제1상판(92)에 대하여 아래로 이격되게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하판(96); 상기 회전축(9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판(96)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상단이 상기 하판(9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에서 아래로 뻗어 있는 예를 들면 사이클론의 원뿔부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통부(95); 및 상기 회전축(91), 상기 제1상판(92), 상기 제2상판(98) 및 상기 하판(96)에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서 사이클론의 원통부로서 작용하고 상기 집진실(12)의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와 협력하여 사이클론 형상의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문(95a)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은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집신실(12)의 둘레벽, 상기 복수개의 문(95a), 상기 하판(96), 상기 제2상판(98) 및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개의 문(95a)는, 상기 제1상판(9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상판(98) 및 상기 하판(96)에 상단과 하단이 기밀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별개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상부부분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제2상판(98)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부분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하판(96)에 기밀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상하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상기 상부부분의 복수개의 문(95a)들의 형상 또는 형태와 하부부분의 복수개의 문(95a)들의 형상 또는 형태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 공간부(40)는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통부(95)가 사이클론의 원뿔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과 마주하면서 상기 유통구(16)와 선택적으로 인접하게 되는 제1상판(92) 부위들에는 필터(21)가 각각 개재된 복수개의 출구관(93)이 상기 유통구(16)와 유통하게 마련되어 있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21)가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과 유통하는 공간(S)을 상하로 나누어지게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 보다 낮은 위치의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복수개의 문(95a)에 기밀적으로 고정 또는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과 마주하면서 상기 유통구(16)와 선택적으로 인접하게 되는 제1상판(92) 부위들에는 복수개의 출구관(93)이 상기 필터(21)를 경유하여 상기 유통구(16)와 유통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의 하단은 상기 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제1유통구(15)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거나, 상기 제1유통구(15)에 마주할 때만 개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유통구(15)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출구관(93)의 상단은 상기 유통구(16) 및 하기에 설명되는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거나, 상기 유통구(16) 및 상기 제2흡입구(82)에 마주할 때만 개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유통구(16) 및 상기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각각의 둘레의 적어도 절반을 에워싸고 있고, 그리고 회전축(91)의 방사 바깥방향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 각각은 상기 회전축(91)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만곡되게 뻗어 상기 집진실(12)의 상단 둘레벽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상기 완충공간부(40)를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켓(94)에 유통시키는 개구면(43)의 회전축선 둘레방향의 길이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각각의 직경보다 길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축선 둘레방향에서의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들 간의 간격도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각각의 직경보다 길게 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 각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이 에워싸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중 해당 관통구멍(97)에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이 에워싸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중 상기 회전축(9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해당 관통구멍(97)을 시계방향으로 넘어서 상기 해당 관통구멍(9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관통구멍(97)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 두께는 선택적으로 상기 포켓(94)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개구면(43)의 회전축선 둘레방향 폭과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의 회전축선둘레방향 폭 그리고 상기 제2흡입구(82)의 회전축선 둘레방향 폭과 하기에 설명될 개구(84)의 회전축선 둘레방향 폭 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91)이 회전하여도 상기 완충 공간부(40)와 상기 유통구(16)가 상기 집진실(12) 내의 상기 출구관(93)과 상기 필터(21)를 통하여 항상 서로 유통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완충공간부(40) 및 상기 유통구(16)가 하기될 흡입관(81) 및 상기 개구(84)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 내의 출구관(93)과 상기 필터(21)를 거쳐서 또는 상기 필터(21)만을 거쳐서 상기 제2흡입구(82)에 항상 유통상태에 있다.
상기 필터(21)를 청소하기 위해 필터청소수단(80)이 상기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완충 공간부(40)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고,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에 위치된 상기 집진실(12)의 타측벽 부위에 마련된 개구(84: 도 1참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완충 공간부(40)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고,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에 위치된 상기 집진실(12)의 타측벽 부위에 마련된 개구(84; 도 6참조), 또는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제2상판(98)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필터(21)와 상기 제1상판(92) 사이에 위치된 상기 집진실(12)의 타측벽 부위에 마련된 개구(84: 도 6에 도시안됨)를 포함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완충 공간부(4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개구(84)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고,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제2상판(98) 사이에 위치된 상기 집진실(12)의 타벽 부위에 마련되어 출구관(93)에 일단이 유통하게 접속되어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한 제2흡입구(82: 도 1참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고,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제2상판(98)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필터(21)와 상기 제2상판(98)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타측벽 부위에 마련되어 출구관(93)에 일단이 유통하게 접속되어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한 제2흡입구(82: 도 6참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구(84)와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이 본체(10)의 측벽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신뢰성이 있게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공간부(40)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근접하는 5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유통하는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개구면(43)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궤적의 일부를 따라 만곡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개구면(43)과 마주하는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외측면(44)은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접근할수록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의 곡률에 근접하도록 곡면으로 테이퍼져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에서 볼 때의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상류단에는 상기 흡입관(1)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에서 볼 때의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에는 상기 흡입관(81)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길게 뻗은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길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서의 상기 제1유통구 및 유통구(15, 16)의 길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서의 개구(84)의 길이는 상기 문(95a)의 선단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고 구동원(60)에 의해 고형물출입부(90)를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흡입관(1)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먼지, 낙엽, 기다란 실, 기다란 끈 등)이, 흡입관(1) 및 완충 공간부(40)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중에서 상기 완충 공간부(40)와 유통하고 있는 제1포켓(94) 내로 유입되고, 상기 제1포켓(94)에 유입된 고형물이 1차적으로 상기 필터(21) 및 제1포켓(94)의 사이클론형상부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제1포켓(94)의 바닥에 쌓이게 되어 포집모드가 구현되고, 상기 제1포켓(94)에서 필터(2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을 경유하여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관(1)을 경유하여 완충 공간부(40)에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흡입관(81)의 하류단에 속도 수두가 높아져 상기 흡입관(81)의 하류단의 압력이 낮아져 상기 흡입관(81)과 유통하고 있는 제2포켓(94)에도 음압이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제2흡입구(82) 및 상기 제2포켓(94)을 경유하여 상기 완충 공간부(40) 내로 유입되게 되어서 상기 제2포켓(94)에 위치한 상기 필터(21)의 밑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분리되어 상기 완충 공간부(40)를 경유하여 상기 제1포켓(94)에 다시 쌓이게 되어 필터 청소 모드가 구현되는 한편, 상기 제1포켓(94)에 쌓인 고형물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유통구(15)와 마주하게 되어 상기 제1유통구(15) 내로 자연낙하하여 고형물 배출 모드가 구현되어서 본체(10) 밖으로 배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포집포대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 공간부(40)는 다음과 같이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집진실(12)에서 구동원(60)을 가동하여 복수개의 문(95a)과 복수개의 통부(95)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여 음압에 의해 상기 흡입관(1)에 유입된 고형물이 상기 완충 공간부(40)에 이송되었다가, 회전하고 있는 복수개의 문(95a)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회전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켓(94) 중 유통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포켓(94)에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상기 고형물이 실이나 머리카락과 같이 기다란 고형물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상기 집진실(12)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개방된 개구면(43)에 유입된 상기 기다란 고형물이,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 중 두 개의 문(95a)에 의해 구획형성된 하나의 포켓(94)에 바로 유입되는 제1상태와, 그리고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 중 3개의 문(95a)에 의해 구획형성된 2개의 포켓(94)에 바로 유입되는 제2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제1상태에서는 어떠한 장애도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하나의 포켓(94) 내로 기다란 고형물이 수용될 수 있고,
제2상태에서는 상기 2개의 포켓(94) 사이에 배치된 중간 문(95a)에 고형물이 가로질러 뻗어서, 상기 집진실(12)의 내벽들 중 상기 완충 공간부(10)가 배치된 둘레벽과 상기 중간 문(95a) 사이에 끼일 염려가 있지만,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외측면(44)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면(43)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테이퍼진 곡면을 가져서,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공간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져,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측의 개구면적이 상류측의 개구면적보다 작아져 풍량이 적어져서서 파스칼 원리에 의해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측의 당기는 힘이 상류측보다 약하기 때문에, 상기 2개의 포켓(94) 중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에 볼 때 하류측에 배치된 포켓(94)에 위치하여 있던 기다란 고형물 일부분이 상기 완충 공간부(40)를 경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2개의 포켓(94) 중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상류측에 배치된 포켓(94) 내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집진실(12)의 상기 둘레벽과 상기 문(95a) 사이에 기다란 고형물이 끼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아울러 중량이 나가거나 큰 표면적을 가진 고형물은, 완충공간부의 외측면(44)의 하류단이 경사진 벽의 형태로 개구면(43) 쪽으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하류단으로 흘러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고형물이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81)의 일단이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측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필터 청소 모드가 구현되고 있는 상기 제2포켓(94)의 필터(21)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흡입관(81)을 경유하여,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포집 모드를 구현하고 있는 상기 제1포켓(94)과 유통하는 상기 완충공간부(40) 및 집진실(12) 내벽의 둘레벽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문(95a)에 대하여 회전운동에서 앞선 하나의 문(95a)부터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원심운동하게 되어, 사이클론 집진원리에 의해 상기 제1포켓(94)의 바닥 부위에 포집되게 되어, 포집 모드를 구현하고 있는 포켓(94)에 마련된 필터(21)에 필터 청소 모드에서 발생한 고형물이 다시 달라붙지 않게 하여, 필터를 경유한 흡입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서, 포집 모드의 포켓(94)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게 하여 포집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는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여서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개구면(43)과 복수개의 포켓(94) 중 어느 하나의 포켓(94) 간의 유통면적이 점점 커졌다가 점점 작아지게 되어서, 유통면적이 점점 커지는 초기와 점점 작아지는 후기 분위기에서 해당 포켓(94)에 유입되는 고형물이 큰 원심력을 가지고서 상기 해당 포켓(94)의 내벽을 따라 회전운동하게 되고, 그리고 유통면적이 점점 커지는 중기 및 후기와 점점 작아지는 초기 및 중기 분위기에서 해당 포켓(94)에 유입되는 중기 고형물이 작은 원심력을 가지고서 상기 해당 포켓(94)의 내벽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지만, 상기 초기 또는 후기 분위기 속에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작은 원심력보다 큰 원심력을 가지고서 중기 고형물이 상기 해당 포켓(94)의 내벽을 따라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입구가 가변되지 않으면서 사이클론 형상의 챔버가 회전하지 않는 종래의 사이클론 보다 더 집진 효율 즉 포집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 구비된 구동원은 원동기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원동기에 송풍기, 고형물출입부 등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에서는 제1 실시예의 상기 제2상판(98)과 상기 공간(S)이 배제된 상태에서, 상기 유통구(16)의 하류단이 상기 집진실(12)이 천장(12b)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출구관(93)들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바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구(84)가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과 마주하면서 상기 출구관(93)에 이격되어 있는 제1상판(92) 부위들에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흡입관(81)의 일단이 상기 완충 공간부(40)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완충 공간부(40)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는 개구(84)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흡입구(82)의 일단이 상기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출구관(93)에 유통하게 접속되고 그 타단이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게 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출구관(93)의 상단은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유통구(16) 및 상기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거나, 상기 유통구(16) 및 상기 제2흡입구(82)에 마주할 때만 개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유통구(16) 및 상기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개구(84)의 상단은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흡입관(81)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거나, 상기 흡입관(81)에 마주할 때만 개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관(81)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은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집신실(12)의 둘레벽, 상기 복수개의 문(95a), 상기 하판(96), 상기 제1상판(92) 및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흡입관(81)이 완충 공간부(40)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벤츄리와 같이 흡입관(81)이 흡입관(1)에 바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3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는, 제1상판(92)과 하판(96)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부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97)의 일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태에서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가 적어도 출구관(93)에 외접 고정되거나 적어도 복수개의 포켓(94)을 구획형성하는 내벽(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문(95a))에 고정되어, 제1상판(92)과 하판(96) 사이의 집진실 내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포켓(94)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의 부위에는 일 방향으로만 기류가 형성되도록 정류판(99a)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정류판(99a)의 상단이 제1상판(92)에 고정되어 기류가 나선형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막고 있고, 그 하류단이 나선형 유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은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집신실(12)의 둘레벽, 상기 복수개의 문(95a), 상기 하판(96), 상기 제2상판(98) 및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3실시예의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의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될 수 있지만, 반대의 회전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 포켓(94)으로 유입되는 기류에 접근 방향으로 상기 포켓(94)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실시에의 기류속도보다 큰 기류속도를 유발하여 기류를 타고 유입되는 고형물의 원심력을 증대시켜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 흡입관, 10; 본체, 12; 집진실, 21; 필터, 40; 완충 공간부, 80; 필터청소수단, 90; 고형물출입부

Claims (12)

  1. 서로 유통하게 본체(10)에 마련된 집진실(12)과 흡인실(13),
    상기 집진실(12)의 내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되어 수직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집진실(12) 내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94),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켓(94)과 유통하게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 상단 일부에 마련된 흡입구(1a),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와 유통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하게 하는 유통구(16), 및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와 유통하지 않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일단이 유통하게 상기 집진실(12)의 바닥에 접속된 제1유통구(15)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로서,
    상기 집진실(12)에는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고형물출입부(9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출입부(90)는
    상기 집진실(12)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원(6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상판;
    상기 상판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하판(96);
    상기 회전축(91)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판(96)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상단이 상기 하판(9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을 가지고서 아래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통부(95); 및
    상기 회전축(91),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96)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집진실(12)의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이 상기 복수개의 통부(95)와 협력하여 복수개의 사이클론 형상을 하게 하는 복수개의 문(95a)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출구관(93)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내부에 마련된 필터(21)를 통하여 상기 유통구(16)와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그리고 상기 필터(21)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유통구(15)와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92)은 집진실(12)의 천장(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필터(21)는 복수개의 출구관(93) 각각에 개재되고,
    상기 흡입구(1a)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이 상기 집진실(12)이 천장(12b)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출구관(93)들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92)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대하여 아래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과 유통하는 공간(S)을 상기 상판(92)과 함께 구획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상판(9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21)는 복수개의 출구관(93) 각각에 개재되고,
    상기 흡입구(1a)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6)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92)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대하여 아래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과 유통하는 공간(S)을 상기 상판(92)과 함께 구획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상판(9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95a)은 상기 상판(92)을 관통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 및 상기 하판(96)에 상단과 하단이 기밀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별개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상부부분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과 상기 상판(92)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부분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흡입구(1a)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6)는 상기 필터(21)과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 사이의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필터(21)는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과 유통하는 공간(S)을 상하로 나누게 상기 유통구(16)의 상류단 보다 낮은 위치의 집진실(12)의 둘레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회전축(9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복수개의 문(95a)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출구관(93) 및 상기 유통구(16)와 유통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각각의 둘레의 적어도 절반을 에워싸고 있고, 그리고
    회전축(91)의 방사 바깥방향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 각각은, 상기 흡입구(1a)와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부의 회전축선둘레방향 길이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각각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회전축(9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만곡되게 뻗어 상기 집진실(12)의 상단 둘레벽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선단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이 에워싸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중 해당 관통구멍(97)에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 각각이 에워싸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7) 중 상기 회전축(9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해당 관통구멍(97)을 시계방향으로 넘어서 상기 해당 관통구멍(9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관통구멍(97)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7. 제 2항에 있어서,
    필터청소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과 마주하면서 상기 출구관(93)에 이격되어 있는 상판(92) 부위들에 마련된 복수개의 개구(84),
    일단이 상기 흡입구(1a)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는 하나의 포켓(94)에 마주하는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개구(84)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에 마주하게 상기 집진실(12)의 천장(12b)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출구관(93)에 일단이 유통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8. 제 3항에 있어서,
    필터청소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게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집진실(12)의 측벽에 마련된 하나의 개구(84),
    일단이 상기 흡입구(1a)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개구(84)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 사이의 집진실(12)의 측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출구관(93)에 일단이 유통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9. 제 4항에 있어서,
    필터청소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집진실(12)의 측벽에 마련된 하나의 개구(84), 또는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a)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21)와 상기 상판(92) 사이의 집진실(12)의 측벽에 마련된 하나의 개구(84),
    일단이 상기 흡입구(1a)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유통하게 위치된 상기 개구(84)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상기 필터(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상판(98) 사이의 집진실(12)의 측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켓(94)에 위치된 필터(21)에 일단이 유통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a)에는, 상기 흡입구(1a)와 마주하는 부위에 개구면(43)이 형성된 상태에서, 흡입관(1)이 접속된 완충 공간부(40)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완충 공간부(40)는,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 쪽으로 근접하게 뻗어 있고,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개구면(43)이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궤적의 일부를 따라 만곡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개구면(43)과 마주하는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외측면(44)은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에 접근할수록 상기 집진실(12)의 둘레벽의 곡률에 근접하도록 테이퍼진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에서 볼 때의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상류단에는 상기 흡입관(1)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문(95a)이 회전하는 방향에서 볼 때의 상기 완충 공간부(40)의 하류단에는 상기 흡입관(81)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12.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판(92)과 하판(96)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부위가 관통구멍(97)의 일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태에서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가
    적어도 출구관(93)에 외접 고정되거나 적어도 복수개의 포켓(94)을 구획형성하는 내벽에 고정되고 상판(92)의 하판(96) 사이의 집진실 내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판(92)과 상기 하판(96) 사이의 포켓(94)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나선형 유로 가이드부(99)의 부위에는 일 방향으로만 기류가 형성되도록 정류판(99a)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정류판(99a)의 상단이 상판(92)에 고정되어 기류가 나선형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막고 있고,
    상기 정류판(99a)의 하단이 나선형 유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문(95a)의 회전방향은 상기 포켓(94)에 유입되는 기류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KR1020170083510A 2017-06-30 2017-06-30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KR20190003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10A KR20190003058A (ko) 2017-06-30 2017-06-30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PCT/KR2018/007354 WO2019004751A1 (ko) 2017-06-30 2018-06-28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구비한 포집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10A KR20190003058A (ko) 2017-06-30 2017-06-30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58A true KR20190003058A (ko) 2019-01-09

Family

ID=6501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10A KR20190003058A (ko) 2017-06-30 2017-06-30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0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09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1909501B (zh) 一种真空吸尘器的旋风式分离器
KR100630949B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AU2005201426B2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622724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1781997B1 (ko) 집진기
US11832781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594579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2246450B1 (ko) 청소기
KR20190003058A (ko)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JP4621008B2 (ja) 真空掃除機のゴミ分離装置
KR20190034966A (ko)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청소기
KR20010105547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90034986A (ko)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집진기
KR10043715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90007193A (ko) 복수개의 터닝 사이클론 집진기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KR20160043401A (ko) 진공청소기
KR20200081866A (ko)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포함하는 포집부에 구비된 고형물토출수단
KR101583029B1 (ko) 진공청소기
TW201815340A (zh) 具有過濾元件之吸塵器
KR20190046503A (ko)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포함하는 포집부에 구비된 필터청소수단
KR101468509B1 (ko) 진공 청소기
KR101684470B1 (ko) 진공청소기
KR200177027Y1 (ko) 칠판 지우개 털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