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91U - The frame connector - Google Patents

The fram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91U
KR20190002991U KR2020180002296U KR20180002296U KR20190002991U KR 20190002991 U KR20190002991 U KR 20190002991U KR 2020180002296 U KR2020180002296 U KR 2020180002296U KR 20180002296 U KR20180002296 U KR 20180002296U KR 20190002991 U KR20190002991 U KR 20190002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ame
connection part
bas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승 빅 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승 빅 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승 빅 아이디
Priority to KR2020180002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991U/en
Publication of KR20190002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9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hooking protrusions on the connecting piece in openings of the frame member, e.g. by snap-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프레임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레버식 구조에 의하여 서로 밀착된다.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an inside of the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fastened to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par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lever type structure.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 {THE FRAME CONNECTOR}Frame Connector {THE FRAME CONNECTOR}

아래의 실시예들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frame connectors.

일반적으로, 연동도어나 폴딩도어의 경우에는 압출된 금속재 프레임을 교차시켜 도어를 구성한다. 이러한, 도어 프레임은 목재나 MDF 계열의 재질과 달리 연결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interlocking doors or folding doors to form a door by crossing the extruded metal frame. Such a door frame requires a connector unlike the wood or MDF material.

또한, 욕실, 주방, 다용도실 등에 설치되는 수납장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본체 및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된 도어를 포함한다. 목재로 형성된 도어는 강도가 약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물의 침투로 휨이 발생되고 썩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의 프레임을 만들고 프레임 안쪽에 원하는 재료로 패널을 형성한 도어가 개발되고 있다. 즉, 패널의 외곽을 따라 프레임이 배치되고 이웃한 프레임을 연결구가 연결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installed in the bathroom, kitchen, utility room, etc.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open at one side and can store items therein and a door disposed at an open portion of the main body. Doors formed of wood are weak in strength and can be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s, and there is a problem of bending and rotting due to water penetration. Recently, doors are being developed in which a frame made of a light aluminum material is formed and a panel is formed of a desired material inside the frame. In other words, the frame is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nel and the connector connects the adjacent frame.

뿐만 아니라, 침대, 책상, 의자 등의 가구들은 용이한 배송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용도를 변경하고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개별적인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이웃되게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기 위한 형틀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가 사용된다. 이때, 각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과 프레임을 서로 이웃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직각 배치시킨 상태로 프레임 연결구를 통해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외형 틀을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furniture such as beds, desks, chairs, etc. are manufactured as prefabricated furniture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use and change the shape by using the delivery and the user's choice. Such a prefabricated furniture forms a frame for forming individual shapes by connecting each individual fram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case, a separate frame connector (or bracket) is used to connect each frame to each other. At this time, each frame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of a hollow tube (round or square pipe), and the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ram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each frame and the frame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By connecting, it forms the outer frame of the structure.

한편, 종래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의 측단이 서로 접하도록 직각 배치시킨 상태로 'ㄱ'자 형태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일측면이 브라켓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팅결합하여 프레임끼리 연결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to the frame and the side ends of the fram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state arranged in a state using a 'b' shaped bracket bolting coupling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each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racket Frames are connected.

하지만, 상기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는 각각의 프레임과 밀착되는 밀착면적이 작고 체결력이 약해 외부로부터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면 프레임들은 비틀림이 발생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프레임 연결구로부터 프레임이 분리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최초 프레임들이 최초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가구 등 구조물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frame connector (or bracket) has a small contact area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frame, and a fastening force is weak, and when external forces such as impact ar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frames are twisted to deform the shape of the frame or the frame from the frame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is separated and broken. In other words, the first frames can not maintain the first installation stat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such as furniture occurs.

또한,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 열변형 등으로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프레임을 연결하기 어렵고 분리할 수 없으므로 보수가 어려우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용접을 이용해 프레임 연결구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열변형 등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임 연결구를 제작하기 어려워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해 프레임들을 결합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lding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frame,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frame at the desired position and angle precisely due to thermal deformation, and can not be separated, so the repair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assemble and use the desired shape. Similarly, even when manufacturing the frame connector using welding,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frame connector in the desired shape precisely due to thermal de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defect occurs when combining the frames using the frame connector.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100호에는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100 discloses a door frame coupl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프레임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frame connector that can connect a plurality of frames simply and robustl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부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frame connector that can be part of the inside of the frame to minimize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to provide aesthetics to the user.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지님으로써 프레임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frame connector that can improve the assembly efficiency of the frame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disassembl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프레임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레버식 구조에 의하여 서로 밀착된다.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an inside of the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fastened to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par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lever type structure.

상기 제1 연결부는, 일단에 돌출요소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배치되는 레버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돌출요소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오목요소에 맞물린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base having a protruding element at one end, a leve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a link connecting the base and the lev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oncave element. The protruding el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engages the concave el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레버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haft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shaft may be inserted into hol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ame.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레버는 상기 축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단과 상기 축 사이의 수평축에 대한 거리는, 상기 레버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 보다 상기 레버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 더 짧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클로즈 상태에 놓여 상기 레버의 일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면이 접하는 경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 측으로 이동되어 서로가 밀착된다.The lever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supported in a state arranged inside the frame by the shaft, and the distance to the horizontal axis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the shaf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is disposed vertically. Shorter in a closed state horizontally rotated in a radial direction, and when the lever is in a closed state whil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engaged, one surface of the lever contacts one surface of the base,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moved toward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 때, 상기 레버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와 연결된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상기 링크의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인다.At this time, 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is disposed vertically, one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lever is plac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base.

또한, 상기 레버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의 상기 타단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의 일단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놓이고, 상기 타단의 수평축에 대한 변위는 상기 레버 측을 향한다.Further,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lever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disposed horizontally,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link is lowered while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placed at the same height.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other end is toward the lever side.

상기 레버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홈에 상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일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면이 접하는 경우 상기 홈과 상기 돌기가 맞물려 상기 레버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A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ever,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When one surface of the lever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ase, the groove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so that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base. Can be fixed.

상기 제2 연결부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 및 좌우 측면에 상기 오목요소가 구비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and the concave element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따라서, 제2 연결부에는 세 개의 제1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고,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세 개의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three first connection parts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ree frame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복수의 프레임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Fram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frames simply and firml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일부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고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rame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to minimize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and provide aesthetics to the user.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지님으로써 프레임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upled and disassembled can improve the assembly efficiency of the frame.

도1 내지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1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2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1 to 3 show a first connection of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llustrates a second connector of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by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mmon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best regard their own design.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to explain the metho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substitute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1 내지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1 연결부를 나타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2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1 to 3 show a first connector of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shows a second connector of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of the frame connector are fastened, and FIG.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by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프레임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100) 및 제1 연결부(100)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200)를 포함하고, 제2 연결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10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는 레버식 구조에 의하여 서로 밀착된다.1 to 4,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00 inserted into a part of the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00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may be fastened to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part 10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lever type structure.

구체적으로, 도1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100)는, 일단에 돌출요소(111)를 구비하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레버(120) 및 베이스(110)와 레버(120)를 연결하는 링크(13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연결부(100)의 돌출요소(111)는 후술할 제2 연결부의 오목요소와 맞물릴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includes a base 110 having a protruding element 111 at one end, a lever 120 and a base 110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110. And a link 130 connecting the lever 12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lement 111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00 may be engaged with the concave element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1 연결부(100)는, 레버(120)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축(121)을 더 포함하며, 축(121)은 제1 연결부가 삽입될 프레임(3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310)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00 further includes a shaft 121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lever 120, the shaft 121 is a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30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inserted into (310).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는 도2 및 도 3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도2와 같이 레버(120)는 베이스(110)를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3과 같이, 레버(120)의 일면과 베이스(110)의 일면이 접하게 되며, 이 때, 레버(120)의 일면에는 홈(122)과 베이스(110)의 일면에는 형성된 돌기(11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돌기(112)의 형상은 홈(122)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자가 맞물린 경우 레버(120)가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unit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operat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ever 120 may be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toward the base 11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one surface of the lever 120 and one surface of the base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lever 120 includes a groove 122 and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110. 112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12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oove 122, and when the two are engaged, the lever 120 may be fixed to the base 110.

이 때, 베이스(110)의 타단과 축(121) 사이의 수평축에 대한 거리는, 레버(120)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 보다 레버(120)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 더 짧으며, 그에 따라, 클로즈 상태에서 베이스(110)는 레버(120) 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to the horizontal axis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ase 110 and the shaft 121 is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lever 120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rranged horizontally, rather tha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120 is vertically arranged. It is shorter, and thus the base 110 can be moved toward the lever 120 side in the closed state.

도4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20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때, 제2 연결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요소(2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랍직하게는, 제2 연결부(200)의 상면 및 좌우 측면에 각각 오목요소(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부에는 세 개의 제1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 개의 제1 연결부들에 각각 연결된 세 개의 프레임들이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cave element 211. Preferably, the concave element 21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respectively. Can be. In this case, three first connectors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and thus, three fram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ree first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second connector.

제1 연결부(100)의 돌출요소(111)와 제2 연결부(200)의 오목요소(211)는 서로 맞물림으로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element 111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0 and the concave element 211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engaged by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5의 (a)와 같이, 제1 연결부(100)는 프레임(3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측면에는 제1 연결부(100)의 축(121)은 프레임(3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3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100)의 레버(120)는 축(121)에 의하여 프레임(300)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100)의 돌출요소(111)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요소(11)는 제2 연결부(200)의 오목요소(211)에 맞물릴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frame 300, and the shaft 12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may have an amount of the frame 300 on the side of the frame. It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310 formed on the side. Accordingly, the lever 120 of the first connector 100 may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120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300 by the shaft 121.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lement 111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0 protrudes out of the frame, and the protruding element 11 may be engaged with the concave element 211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0.

이와 같은 레버(120)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에서는, 레버(120)와 연결된 링크의 일단이 베이스(110)와 연결된 링크의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120 is vertically disposed, one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lever 12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base 110.

그 후, 도5의 (b)와 같이,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레버(120)를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120)의 일면과 베이스(110)의 일면이 접하는 경우, 제2 연결부(200)는 제1 연결부(100) 측의 방향(A)으로 이동되어 서로가 밀착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B, the lever 120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one surface of the lever 120 and the base 110 are rotated. When one surface of th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0 is moved in the direction (A)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즉, 레버(120)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링크(120)의 타단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링크의 일단의 높이가 낮아지고, 그에 따라, 링크(120)의 일단과 타단이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때, 링크(120)의 타단의 수평축에 대한 변위는 레버 측을 향하게 됨으로써, 베이스(110)가 레버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베이스(110)의 돌출요소(111)에 연결된 제2 연결부(200) 또한 제1 연결부(100)의 레버 측으로 이동된다.That is,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lever 120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disposed horizontally,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link is lowered while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120 is kept constant, and thus, the link 120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placed at the same height. 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12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is toward the lever side, so that the base 110 is moved to the lever sid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protruding element 111 of the base 110 It is also moved to the lev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0.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버(120)의 축(121)의 높이가 링크(130)의 타단의 높이 보다 높은 경우에도 레버(120)가 방사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링크(130)의 타단의 수평축에 대한 변위는 레버 측을 향하게 되고, 이는 레버(120)의 축(121)의 높이가 링크(130)의 타단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ven when the height of the shaft 121 of the lever 12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130, the horizontal axi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130 is rotated radially.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lever is directed toward the lever side, even if the height of the shaft 121 of the lever 120 is the same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130.

또한, 이 때, 베이스(110)의 일면에 형성된 돌기(112)와 레버(120)의 일면에 형성된 홈(122)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레버(120)는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ver 120 may be fixed to the base 110 by engaging the protrusion 11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110 and the groove 12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ever 120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작동 상태를 통하여 제2 연결부의 타면에 형성된 오목요소에 또 다른 제1 연결부 및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연결부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제1 연결부 및 이를 내포하는 프레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rough this operating state, another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frame may be connected to the concave elemen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and the frame containing the sam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Can be.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프레임들의 양단에 제1 연결부가 삽입되고, 프레임들 사이에는 제2 연결부가 배치되어 제1 연결부들이 제2 연결부와 서로 체결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이들 상호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first connection part is inserted at both ends of each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s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s ar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so that a plurality of fram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복수의 프레임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일부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고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 연결구는,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지님으로써 프레임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securely connect a plurality of frames,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can minimize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and provide aesthetics to the user . In addition, the frame connector can improve the assembly efficiency of the frame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engage and disassemble.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help genera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 연결구
110 : 베이스
120 : 레버
130 : 링크
200 : 제2 연결구
300 : 프레임
100: first connector
110: base
120: lever
130: link
200: second connector
300: frame

Claims (7)

프레임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레버식 구조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는, 프레임 연결구.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with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lever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일단에 돌출요소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배치되는 레버;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돌출요소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오목요소에 맞물리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base having a protruding element at one end thereof;
A leve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A link connecting the base and the lever;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has at least one concave element,
The protruding element of the first connector engages the concave element of the second conn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레버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shaft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lever;
More,
And the shaft can be inserted into hole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레버는 상기 축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단과 상기 축 사이의 수평축에 대한 거리는, 상기 레버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 보다 상기 레버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 더 짧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클로즈 상태에 놓여 상기 레버의 일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면이 접하는 경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 측으로 이동되어 서로가 밀착되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lever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supported in a state arranged inside the frame by the shaft,
The distance to the horizontal axis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the axis is shorter in the closed state where the lever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disposed horizontally than the open state where the lever is disposed vertically,
When the lever is in a closed state whil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fastened, and one surface of the lever contacts one surface of the base,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moved toward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Frame conn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레버는 축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상기 레버가 수직으로 배치된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와 연결된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상기 링크의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고,
상기 레버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의 상기 타단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의 일단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놓이고, 상기 타단의 수평축에 대한 변위는 상기 레버 측을 향하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lever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supported in a state arranged inside the frame by a shaft
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is disposed vertically, one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lever is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other end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base,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lever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disposed horizontally,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link is lowered while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kept constant, thereby plac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t the same heigh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other end relative to the horizontal axis is toward the lever 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홈에 상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일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면이 접하는 경우 상기 홈과 상기 돌기가 맞물려 상기 레버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ever,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When one surface of the lever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ase, the groove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so that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connector, which can be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 및 좌우 측면에 상기 오목요소가 구비되고, 제2 연결부에는 세 개의 제1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세 개의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be, the concave element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re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based 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rame connector, to which three frames can be connected.

KR2020180002296U 2018-05-28 2018-05-28 The frame connector KR2019000299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96U KR20190002991U (en) 2018-05-28 2018-05-28 The fram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96U KR20190002991U (en) 2018-05-28 2018-05-28 The fram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91U true KR20190002991U (en) 2019-12-06

Family

ID=688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96U KR20190002991U (en) 2018-05-28 2018-05-28 The fram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99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238B (en) Compact coupling and levelling system for furniture and household parts
US9854906B1 (en) Shelving structure
KR101961599B1 (en) Furniture door frame
KR200476249Y1 (en) Connection unit for assembling display stand
KR20170004027U (en) A Fabricated rack without bolt and nut
US20150238009A1 (en) Outdoor modular frame system
KR20190002991U (en) The frame connector
KR101423244B1 (en) Assembly type closet
KR20070099160A (en) Combination apparatus of knock-down partition
US10704259B2 (en) Gongpo assembly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nd temple
US20100024342A1 (en) Retainer Frame for a Swimming Pool
KR102657308B1 (en) Assembly furniture
KR20190001512U (en) cross binding device for furniture support pipes
KR20190122597A (en) Assembly rack
CN216156869U (en) Cross building structure convenient to assembly
KR101258539B1 (en) Window structure for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KR100970507B1 (en) A connector structure
KR101894269B1 (en) Frame connector
KR200363225Y1 (en) A Built-up Type Bed
KR102359953B1 (en) Assembly structure of charnel house
CN209644385U (en) A kind of concealed layer supporting plate
KR100440394B1 (en) prefabricated tea house
KR200340568Y1 (en) a pillar member used for furmiture
CN210287981U (en) Indoor wood beam molding structure
RU61309U1 (en)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