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38U -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38U
KR20190002938U KR2020180002183U KR20180002183U KR20190002938U KR 20190002938 U KR20190002938 U KR 20190002938U KR 2020180002183 U KR2020180002183 U KR 2020180002183U KR 20180002183 U KR20180002183 U KR 20180002183U KR 20190002938 U KR20190002938 U KR 201900029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verflow pipe
height
toi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권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티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티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티엔피
Priority to KR2020180002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938U/ko
Publication of KR20190002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2Means to prevent freezing of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하여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변기 물탱크의 겨울철 동파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버플로우관(38)의 측벽에는 그 세로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공(50)을 형성하고 이 통공은 마개(60)에 의해 가변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겨울철 통공(50)을 열어두면 부구(37)의 최대 상승높이를 낮출 수 있음으로써 급수전(36)을 상기 열어 둘 수 있게 됨으로써 양변기 물탱크 내의 세척수 및 상수도관 내의 물을 유동수로 만들어 그만큼 그 동파(凍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WINTER ANTI-FROST STRUCTURE OF WATERWORK PIPE BY USING A OVERFLOW PIPE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WATER IN TOILET WATER TANK}
본 고안은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하여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변기 물탱크의 겨울철 동파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은 겨울철 혹한기를 대비하여 그 동파(凍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상수도관의 동파방지수단은 상수도관 둘레에 전열선을 감거나 대기에 직접 노출되는 상수도관 둘레 또는 수도계량기의 둘레에 두꺼운 스티로폼이나 섬유 방한벽으로 둘러싸 차가운 외기가 상수도관에 닿지 않도록 하는 가열 또는 단열구성이 대표적이며, 겨울철 상수도관은 이러한 전열선 또는 스티로폼 또는 섬유재 방한벽에 의해 상당한 동파방지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전열선의 경우 외기에 노출되는 수도관 외주면 전체에 빠짐없이 전열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들고 일시적으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한 이후 그대로 전원스위치를 ON으로 유지한 채 동파방지용 가열에 필요한 시간을 넘겨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전력낭비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그 과열, 누전 등에 따른 겨울철 화재사고의 주된 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한편 스티로폼 또는 섬유재 방한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형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비교적 방한과 난방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건물에서는 어느 정도 그 동파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낙후된 건물, 일반 소형 단독주택, 소형빌딩, 간이 공장과 같이 방한과 난방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는 겨울철 극심한 추위가 며칠만 지속되더라도 그 충분한 동파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특히 일상적으로 소정량의 물을 반복적으로 담아두었다가 그 물을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경우 그 양변기 물통이 직접 외기에 노출되거나 외기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경우 양변기 탱크에 수용된 세척수 자체가 얼어버리는 문제도 있다.
한편, 종래 겨울철 혹한기 상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손쉽고 경험적인 방법은 건물 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도관 밸브를 사람이 수조작으로 소량 개방해 두어 소정량의 수돗물이 계속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흐르는 물로 하여금 온도와 비중이 서로 다른 상하부 물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정지된 물에 비해 그 얼음분자의 성장이 방해되도록 하는 이치를 이용한 임시조치이다. 그렇지만 겨울철 혹한기에 수도관 밸브를 개방하여 소정량의 수돗물이 계속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은 상수도관 등에 특별한 동파방지용 물리적 구성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인위적인 수조작 임시조치일 뿐이어서, 이러한 인위적 수돗물 방출조작을 항상 소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여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양변기 물탱크에는 적용하기 쉽지 않으므로 양변기 물탱크에 대하여 적극적인 기구적 동파방지구조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비교적 물의 저장과 방출 조작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상시 물을 저장하여 겨울철 동파가 쉽게 일어나는 필수적인 생활도구인 양변기 물탱크로 하여금 그 물탱크 자체를 동파방지구조로 구성함은 물론 나아가 그 양변기 물탱크의 동파방지구조로 인해 그 물탱크 이외의 겨울철 상수도관의 동파방지구조로까지 발전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히 일반 단독주택이나 소형빌딩, 간이빌딩, 이동식 화장실과 같이 방한과 난방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 설치된 겨울철 양변기 물탱크 자체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겨울철 상수도관의 동파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변기 물탱크의 오버플로우관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개량함으로써 물탱크 저장수면의 저장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변기 물탱크 내에 저장되는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그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처럼 양변기 물탱크 내의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상수도관 내의 물도 상시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수도관의 동파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물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일 특징에 따라,
내부에 세척수를 담아 저장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안쪽 바닥에 결합되어 용기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양변기 본체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어댑터와;
상기 세척수 배출어댑터 상면 개구를 선회하여 여닫는 플러싱밸브와;
일단은 상기 용기 외부로 돌출 형성된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싱밸브를 선회하여 여닫는 밸브개폐용 당김줄과;
용기 내부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전에 연결되어 용기 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력을 받아 세워짐으로써 급수전의 급수구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부구와;
상단은 상기 급수전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배출어댑터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결합된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그 측벽에 통공이 형성되어 용기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그 통공을 통해 오버플로우관으로 흘러나가게 하되 그 통공이 형성되는 위치(높이)는 상기 부구가 최대 상승하더라도 급수전의 급수구를 계속하여 여는 상태로 되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또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 측벽 통공을 가변적으로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그 마개는 연결끈에 의해 오버플로우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또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측벽에 형상되는 통공은 그 오버플로우관의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또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통공(50)의 크기를 오버플로우관의 세로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도록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 물탱크 구성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관 측벽의 소정 높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과 이 통공(들)을 가변적으로 막는 마개를 구비하는 극히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 겨울철에만 오버플로우관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열어둠으로써 물탱크 용기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그 통공을 통해 오버플로우관으로 흘러들어가게 됨에 따라 부구의 최대 상승높이가 여전히 급수전의 급수구를 계속하여 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겨울철 양변기 물탱크의 동파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라 양변기 물탱크 내의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수도관 내의 물도 상시 흐르도록 유지됨으로써 상수도관의 동파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과 효과는 이하 도면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상술하는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잘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가), (나)는 각각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의 외관 사시도와 그 내부구성을 알 수 있게 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의 전체 구성을 알 수 있도록 한 종단면도로서 도 1(나)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주요부인 오버플로우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겨울철 물탱크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오버플로우관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흘러나감에 따라 그 세척수 저장높이가 통공이 형성된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의 측벽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가), (나)는 각각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의 외관 사시도와 그 내부구성을 알 수 있게 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10)의 물탱크(30)는 내부에 세척수를 담아 저장하는 용기(31)와, 이 용기의 안쪽 바닥에 결합되어 용기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양변기 본체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어댑터(32)와, 이 세척수 배출어댑터(32)의 상면 개구를 선회하여 작동적으로 여닫는 플러싱밸브(33)와, 일단은 상기 용기 외부로 돌출 형성된 레버(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러싱밸브(33)에 연결되어 레버(34)의 선회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싱밸브(33)를 선회하여 여닫는 플러싱밸브 개폐용 당김줄(35)과,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전(36)에 연결되어 용기 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력을 받아 세워짐으로써 급수전(36)의 내부 급수구(미도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부구(37) 및 상단은 상기 급수전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배출어댑터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결합된 오버플로우관(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평상시 탱크(30) 내의 세척수는 소정높이로 만수된 상태, 즉 부구(37)의 높이가 급수전(36)의 급수구를 막는 높이까지 높아져 더 이상 세척수가 탱크의 용기(31) 내로 공급되지 않음으로 탱크 내의 세척수가 흐르지 않고 고여 있는 정지수(停止水)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양변기에 용변을 보고 난 이후 세척수 배출 레버(34)를 선회조작하면, 플러싱밸브 당김줄(35))이 당겨져 세척수 배출어댑터(32)의 상단 개구부를 막고 있던 플러싱밸브(33)가 상향 선회되어 세척수 배출어댑터(32)의 상단 개구부가 열려지게 되고, 용기 내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수는 그 저장 높이에 따른 수압을 받아 세척수 배출어댑터(32)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신속하게 양변기 내로 배출된다(플러싱 배출). 용변 후 이러한 세척수가 모두 배출되면 선회하여 열려졌던 플러싱밸브(33)가 자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선회되어 세척수 배출어댑터(32)의 상단 개구부를 닫게 되며, 이와 동시에 부구(37)의 낮아진 높이로 인해 부구의 하단 로드(39)가 급수전(36)을 열게 되어 급수전을 통해 세척수가 다시 탱크 내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세척수는 부구(37)의 하단로드(39)가 급수전 급수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지속하여 공급되며 부구(37)가 최대 상승 높이에 이르러 물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게 됨으로써 탱크내의 세척수는 다시 다음번 용변시까지 고여 있는 정지수 상태로 된다.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41은 급수전(36) 하단과 오버플로우관(38) 상단을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바이패스관으로서, 탱크 내 세척수의 플러싱 배출 이후 급수전(36)을 통해 탱크 내로 재공급되는 세척수 일부가 오버플로우관(38)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변이 담기는 양변기(10) 내에 소정양의 세척수가 잔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의 전체 구성을 알 수 있도록 한 종단면도로서, 도 1(나)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오버플로우관(38)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 3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의 물탱크 구성에 있어서, 그 오버플로우관(38)의 세로길이 방향으로 그 측벽에 통공(50)을 형성하여 용기(31)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그 통공(50)을 통해 오버플로우관(38)으로 흘러나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공(50)이 형성되는 위치(높이)는 상기 부구(37)의 상승 높이를 급수전(36)의 급수구를 계속하여 여는 상태로 만드는, 낮추어진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겨울철 이 통공(50)을 열어둘 경우 부구(37)의 최대 상승높이를 낮출 수 있음으로써 탱크 내의 세척수를 고여 있는 정지수가 아니라 항상 흐르는 유동수(流動水)로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겨울철 양변기 물탱크 내의 세척수의 저장높이(W)를 낮추어 용변 또는 세척수 플러싱 배출의 전후와 상관없이 상시 흐르는 유동수로 만듦으로써 정지수에 비해 동일 온도에서의 그 얼음분자의 성장이 방해받도록 하여 그 동결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겨울철 소정량의 수돗물이 양변기 물탱크를 경유하여 계속적으로 흐르게 되는 극히 간단한 물리적 구조변경에 의해 종래 상수도관에 동파방지용 전열선을 두르는 것과 같은 전기적 설비를 하지 않고도 또한 전열동파방지기구의 부주의한 사용에 따른 겨울철 화재와 같은 부작용의 염려가 없이도 효과적으로 상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 특히 상당량의 세척수를 항상 담고 있는 양변기 물탱크 자체의 동파도 훌륭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관(38)의 세로길이 방향으로 그 측벽에 형성되는 통공(50)은 한 개이어도 좋지만 세로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되어도 되며, 오버플로우관의 공장생산시에는 전술한 통공이 형성되되 일단 막혀 있는 형태의 잠정공통(통공좌)이지만 현장시공시 양변기의 사양과 설치 지역의 겨울철 기후 등에 따라 그 통공이 형성되는 필요 위치나 크기, 개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손쉽게 뚫을 수 있는 예비적 구성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오버플로우관(38)은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동일 크기로 복수개 잠정통공이 형성되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부터 현장 시공시에 비로소 두 번째 잠정통공을 뚫어 그 두 번째 통공(50)을 마개(38)로 막는 것을 도시한 예이다.
한편 통공의 크기를 오버플로우관의 세로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도록 복수개 형성하고 유난히 겨울철 추위가 심한 해에는 좀 더 아래쪽에 형성된 통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세척수가 좀 더 원활하고 많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에 담기는 세척수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는 반면 세척수의 유동량은 좀 더 늘릴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겨울철 물탱크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오버플로우관(38)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50)을 통해 흘러나감에 따라 그 세척수 저장높이가 통공(50)이 형성된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상태의 유동수인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38)의 측벽의 종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 동파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 측벽 통공(50)을 가변적으로 막는 마개(60)는 연결끈(61)에 의해 오버플로우관(38) 상단 일측에 연결되어 그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마개(60)는 통공(50)에 꼭 들어맞는 형상과 크기, 재료의 것을 오버플로우관(38)의 공장생산시에 함께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공(50)과 마개(60)의 상응구조(개수, 형상, 크기 등)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양변기 물탱크 구성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관 측벽의 소정 높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0)과 이 통공(들)을 가변적으로 막는 마개(들)(60)을 구비하는 극히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 겨울철에만 오버플로우관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들)(50)을 열어둠으로써 물탱크 용기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그 통공을 통해 오버플로우관으로 상시 흘러나가는 유동수, 즉 부구(37)를 그 최대 상승높이가 여전히 급수전(36)의 급수구를 계속하여 여는, 낮은 상태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겨울철 양변기 물탱크의 동파가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이러한 양변기 물탱크 내의 물이 겨울철 상시 흐르는 유동수 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에 연결된 상수도관 내의 물도 상시 흐르도록 유지됨으로써 관련 상수도관의 동파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은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38)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로 인해 겨울철 어떤 온도라도 항상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닐지라도 본 고안과 같은 극히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 평상시 빙점보다 적어도 3-5℃ 정도의 빙점강하효과(氷點降下效果)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기에 그만큼 한겨울 전체로서 양변기 물탱크 및 상수도관의 동파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겨울철 양변기 물탱크 세척수의 상시 흐름을 유도하더다도 그에 추가로 소요되는 상수도료는 상수도관이나 양변기 물탱크의 동파에 따른 설비교체나 복구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적어 부담스럽지 않은 금액이다.
10 : 양변기 30 : 양변기 물탱크
31 : 물탱크 용기 32 : 세척수 배출어댑터
33 : 밸브 34 : 레버
35 : 플러싱밸브 당김줄 36 : 급수전
37 : 부구 38 : 오버플로우관
39 : 부구 로드
41 : 바이패스관 50 : 통공
60 : 마개 61 : 연결끈

Claims (4)

  1. 내부에 세척수를 담아 저장하는 용기(31)와;
    상기 용기의 안쪽 바닥에 결합되어 용기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양변기 본체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어댑터(32)와;
    상기 세척수 배출어댑터 상면 개구를 작동적으로 선회하여 여닫는 플러싱밸브(33)와;
    일단은 상기 용기 외부로 돌출 형성된 레버(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러싱밸브(33)에 연결되어 레버(34)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싱밸브(33)를 선회하여 여닫는 플러싱밸브 개폐용 당김줄(35)과;
    용기 내부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전(36)에 연결되어 용기(31) 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력을 받아 세워짐으로써 급수전(36)의 급수구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부구(37)와;
    상단은 상기 급수전(36)의 하단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배출어댑터(32)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결합된 오버플로우관(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그 측벽에 통공(50)이 형성되어 용기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그 통공(50)을 통해 오버플로우관(38)으로 흘러나가게 하되 그 통공(50)이 형성되는 위치(높이)는 상기 부구(37)가 최대 상승하더라도 급수전(36)의 급수구를 계속하여 여는 상태로 되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관 측벽에 형성된 통공(50)을 가변적으로 막는 마개(60)를 더 포함하고 그 마개는 연결끈(61)에 의해 오버플로우관(3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38)의 측벽에 형상되는 통공(50)은 그 오버플로우관의 공장생산시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잠정통공 중에서 양변기 사양과 양변기 설치지역의 기후에 따라 필요한 위치를 가변적으로 정하여 뚫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통공(50)의 크기를 오버플로우관의 세로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도록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KR2020180002183U 2018-05-19 2018-05-19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KR201900029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83U KR20190002938U (ko) 2018-05-19 2018-05-19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83U KR20190002938U (ko) 2018-05-19 2018-05-19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38U true KR20190002938U (ko) 2019-11-28

Family

ID=6869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83U KR20190002938U (ko) 2018-05-19 2018-05-19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93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52B1 (ko) * 2021-03-16 2021-11-03 지동익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KR20230060212A (ko) * 2021-10-27 2023-05-04 지동익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52B1 (ko) * 2021-03-16 2021-11-03 지동익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WO2022196985A1 (ko) * 2021-03-16 2022-09-22 지동익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KR20230060212A (ko) * 2021-10-27 2023-05-04 지동익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938U (ko) 양변기 물탱크의 저장수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겨울철 상수도관 동파방지구조
KR100798661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2321152B1 (ko)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CA2832531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CN100529283C (zh) 抽水马桶节水冲便给水装置
KR102647741B1 (ko) 양변기 동파방지장치
CN210421258U (zh) 一种防冻给水装置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CN204804002U (zh) 一种冲水量可调马桶水箱
WO2020039172A1 (en) Rainwater attenuation apparatus and method
CN220704651U (zh) 一种高寒地区进水管路防冻装置
CN218060670U (zh) 调蓄水池的水位自动调节结构
CN211946523U (zh) 一种寒冷地区使用的净化槽
CN201334719Y (zh) 节水防冻冲厕系统
CN203878687U (zh) 一种智能节水冲水器
CN102011886A (zh) 一种太阳能热水器上水自动开闭控制阀
CN213095573U (zh) 一种园林绿化的水池管理装置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CN2348015Y (zh) 一种阀门及管路装置
CN209723153U (zh) 一种户厕防冻冲水系统
CN209837219U (zh) 防冻冲水厕所
KR200237184Y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CN204728428U (zh) 可调水量水箱
CN1982807A (zh) 节水防冻型太阳能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