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81U - Wirless charger with holder - Google Patents
Wirless charger with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881U KR20190002881U KR2020190001768U KR20190001768U KR20190002881U KR 20190002881 U KR20190002881 U KR 20190002881U KR 2020190001768 U KR2020190001768 U KR 2020190001768U KR 20190001768 U KR20190001768 U KR 20190001768U KR 20190002881 U KR20190002881 U KR 2019000288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fixed
- mobile phone
- infrared sensor
- r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을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여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자동으로 벌어지고 좁혀져 핸드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충전기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프론트커버 및 리어커버로 분리 구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신코일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 및 프론트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렌즈와;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 구비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와;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지된 동작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를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다시 좁혀지도록 구동시키는 홀더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he holder holding the mobile phon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narrowed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while the mobile phone is fixed and the mobil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llows the mobile phone to be separated from the charger ag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main body separated into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 reception coil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n external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o charge a battery; An infrared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lens provided in each of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and the front cover to recognize a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o the device body; A pair of fixed holders A and fixed holders 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ain body, and fixed and released automatically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cover while being wid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 And a holder driver for driving the fixed holder A and the fixed holder B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signal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or to be narrowed again.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여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자동으로 벌어지고 좁혀져 핸드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충전기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wireless charging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a holder for fixing a mobile phon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narrowed by recognizing the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motion detection, which allows the mobile phone to be disconnected from the charger again.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 전원과 연결되어 휴대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또는 충전모체, 충전장치)이 필요하다. 상기 충전 유닛과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두 접촉단자를 서로 접속시켜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harge a battery, a charging unit (or a charging matrix, a 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 battery of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a general power source is required.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are provided with separate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contact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lectively charge the battery.
그러나, 상기 충전 유닛과 배터리에 접촉단자를 구비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분만 아니라 습기에 노출되어 충전에너지가 소실되거나 접촉불량에 의해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전유닛과 배터리(또는 충전지)에 각각 접촉단자를 구성하지 않고 비접점(또는 비접촉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일부 응용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무선충전기는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벌려야만 핸드폰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have contact terminals, they may not only look aesthetically, but may also be exposed to moisture, causing loss of charging energy or poor charging operation due to poor contac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charging a non-contact (or non-contact) method without a contact terminal for each of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en used in some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has a hassle and inconvenience of use because the holder for fixing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ly when the user directly opens the phon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핸드폰을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여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자동으로 벌어지고 좁혀져 핸드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충전기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is to recognize the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he holder for fixing the mobile phon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narrowed, the wireless charging in the state of fixing the mobile phone This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with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to be able to separate the phone from the charger again.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의 한 형태는, 프론트커버 및 리어커버로 분리 구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신코일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 및 프론트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렌즈와;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 구비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와;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지된 동작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를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다시 좁혀지도록 구동시키는 홀더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cover separately configured; A reception coil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n external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o charge a battery; An infrared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lens provided in each of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and the front cover to recognize a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o the device body; A pair of fixed holders A and fixed holders 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ain body, and fixed and released automatically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cover while being wid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 And a holder driver for driving the fixed holder A and the fixed holder B to be widened or narrow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command signal recognized by the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홀더구동부는, 리어커버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구동모터, 및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 상에 설치되고, 감속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된 속도로 정.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전.후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의 정.역회전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래크기어A 및 래크기어B와; 상기 래크기어A에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홀더A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지스프링A가 내장된 홀더아암A와; 상기 래크기어B에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홀더B(6)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지스프링B가 내장된 홀더아암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der driving unit, a drive motor and a reduction gear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rear cover; A pinion gear installed on the speed reducer to receive power from the speed reducer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t a reduced speed; A pair of rack gears A and rack gears B engaged with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pinion gear and performing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 holder arm A having one end abutted against the rack gear A, the other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A, and having a tangy spring A embedded therein; One end of the rack gear B is abutte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B (6), the holder arm B with a built-in spring spring B;
또한, 상기 홀더구동부는, 래크기어A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부A와, 상기 래크기어A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부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ack guide part A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linear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rack gear A, and a rack guide part B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linear reciprocation motions of the rack gear A. It is characterized b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론트커버 및 리어커버로 분리 구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신코일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 및 프론트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렌즈와;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 구비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와;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지된 동작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를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다시 좁혀지도록 구동시키는 홀더구동부;로 구성됨으로써 핸드폰을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여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자동으로 벌어지고 좁혀져 핸드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충전기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간편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separated into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 reception coil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n external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o charge a battery; An infrared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lens provided in each of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and the front cover to recognize a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o the device body; A pair of fixed holders A and fixed holders 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ain body, and fixed and released automatically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cover while being wid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 And a holder driver for driving the fixed holder A and the fixed holder B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otion control command signal recognized by the infrared sensor, or to be narrowed again. The holder that secures the mobile phon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narrowed to recognize and secure the mobile phone while the mobile phone is fixed, and the mobile ph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er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use. Will have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프론트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수신코일을 제거한 상태의 리어커버 내부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래크기어B를 분리한 후 뒤집어 무선충전기판 상에 올려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고정홀더A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간격유지구를 리어커버로부터 분리하여 래크A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홀더구동부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래크B를 안내 및 지지하는 래크 가이드B를 나타낸 종단면도.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in the state of FIG.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side of the rear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coil is removed in the state of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ck gear B is removed and then turned over on the wireless charger plate in the state of FIG. 4.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holder A in the state of Figure 5 removed.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ack A by separating the gap retainer from the rear cover in the state of Figure 6;
Figure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lder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rack guide B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rack B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프론트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수신코일을 제거한 상태의 리어커버 내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래크기어B를 분리한 후 뒤집어 무선충전기판 상에 올려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고정홀더A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간격유지구를 리어커버로부터 분리하여 래크A를 나타낸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in the state of Figure 1, Figure 4 Figure 3 is a picture showing the inside of the rear cover with the receiving coil removed in the state, Figure 5 is a pictur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ck gear B in the state of Figure 4 and then turned upside down on the wireless charger plate, 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holder A is removed in the state of FIG. 5, and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ack A by separating the gap holder from the rear cover in the state of FIG. 6.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는 동일 형상을 갖는 프론트커버(11)와 리어커버(12)의 결합에 의해서 기기본체(1)를 구성하고, 프론트커버(11)의 하부에는 후술되어질 적외선 센서(3)가 투시되는 적외선 센서렌즈(4)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적외선 센서(3)는 적외선 센서기판(3a)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1)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wireless charger having the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그리고, 리어커버(12)의 내부에는 수신코일(2)이 구비되고, 수신코일(2)은 무선충전기판(2a)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기기본체(1)의 양측에는 한 쌍의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가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11)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는 홀더구동부(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구동부(7)는 리어커버(12)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구동모터(71), 및 감속기(72)가 구비되고, 감속기(72) 상에 피니언기어(73)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73)는 감속기(7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된 속도로 정.역회전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pair of fixed holder A (5) and the fixed holder B (6)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holder driver (7), the holder driver ( 7) the
이와 함께 피니언기어(73)의 전.후로 한 쌍의 래크기어A(74) 및 래크기어B(75)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73)의 정.역회전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래크기어A(74)와 래크기어B(75)의 사이는 간격유지구(10)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래크기어A(74)에 홀더아암A(76)의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상기 홀더아암A(76)는 타측단부는 고정홀더A(5)에 일체로 연결되며, 홀더아암A(76)는 탄지스프링A(76a)가 내장된다.At the same time, a pair of rack gear A 74 and
또한, 상기 래크기어B(75)에 홀더아암B(77)의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상기 홀더아암B(77)의 타측단부는 고정홀더B(6)에 일체로 연결되며, 홀더아암B(77)는 탄지스프링B(76b)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기어A(74)는 래크 가이드부A(8)에 의해 좌.우 직선왕복운동이 안내되며, 상기 래크기어B(75)는 래크 가이드부B(9)에 의해 좌.우 직선왕복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상기 래크 가이드부A(8)는 리어커버(12)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직선형태의 안내돌부(8a)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부(8a)에 대향되는 래크기어A(74)의 배면에는 상기 안내돌부(8a)에 대응되는 안내홈(8b)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래크 가이드부B(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9a) 및 하부레일(9b)에 의해 래크기어B(75)의 상.하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rack guide portion A (8) forms a linear guide protrusion (8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er having the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사용자가 휴대폰을 기기본체(1) 측으로 근접시키면, 적외선 센서(3)가 모션을 인지하고, 인지된 신호에 따라 홀더구동부(7)를 구성하는 구동모터(71)에 동작제어명령신호가 보내져 구동모터(71)를 구동시키게 되며, 구동모터(71)의 동력에 의해 피니언기어(73)가 정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phone toward the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73)에 전.후로 치합된 래크기어A(74) 및 래크기어B(75)가 서로 대칭을 반대방향, 즉 래크기어A(74)는 좌측방향, 래크기어B(75)는 우측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래크기어A(74)에 맞대어진 홀더아암A(76), 및 래크기어B(75)에 맞대어진 홀더아암B(77)도 래크기어A(74) 및 래크기어B(75)에 의해 내장된 탄지스프링A(76a) 및 탄지스프링B(76b)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각각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홀더아암A(76) 및 홀더아암B(77)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The
그런 다음, 시간차를 두고 다시 피니언기어(73)가 구동모터(71)에 의해 역회전,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기어(73)에 전.후로 치합된 래크기어A(74) 및 래크기어B(75)가 서로 대칭을 반대방향, 즉 래크기어A(74)는 우측방향, 래크기어B(75)는 좌측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Then, when the
또한, 홀더아암A(76) 및 홀더아암B(77)는 압축되었던 탄지스프링A(76a) 및 탄지스프링B(76b)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홀더아암A(76) 및 홀더아암B(77)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가 다시 내측으로 좁혀져 휴대폰을 잡아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함께, 기기본체(1) 내부의 수신코일(2)은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충전완료후 사용자가 기기본체(1)에 손을 근접시키면 적외선 센서(3)가 모션을 인지하여 홀더구동부(7)의 구동모터(71)를 구동시키고, 피니언기어(7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가 양측으로 벌어져 휴대폰을 기기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long with this, the
이같이 본 고안은 프론트커버 및 리어커버로 분리 구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신코일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 및 프론트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렌즈와;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 구비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와;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지된 동작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A 및 고정홀더B를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다시 좁혀지도록 구동시키는 홀더구동부;로 구성됨으로써 핸드폰을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여 핸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자동으로 벌어지고 좁혀져 핸드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충전기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간편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body separately configured with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 reception coil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n external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o charge a battery; An infrared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lens provided in each of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and the front cover to recognize a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o the device body; A pair of fixed holders A and fixed holders 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ain body, and fixed and released automatically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cover while being wid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 And a holder driver for driving the fixed holder A and the fixed holder B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otion control command signal recognized by the infrared sensor, or to be narrowed again. Recognizing and fixing the mobile phone holde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narrowed, th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while the mobile phone is fixed, and the mobile ph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er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use. .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is is only for describ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termined and limited by the claims. Also,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it is not beyo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기기본체
11: 프론트커버 12: 리어커버
2: 수신코일 2a: 무선충전기판
3: 적외선 센서 3a: 적외선 센서기판
4: 적외선 센서렌즈 5,6: 고정홀더A,B
7: 홀더구동부
71: 구동모터 72: 감속기
73: 피니언기어 74,75: 래크기어A,B
76,77: 홀더아암A,B 76a,77a: 탄지스프링A,B
8,9: 래크 가이드부A,B 8a: 안내돌부
8b: 안내홈 9a: 상부레일
9b: 하부레일 10: 간격유지구1: Device body
11: front cover 12: rear cover
2: receiving
3:
4:
7: Holder Drive
71: drive motor 72: reducer
73:
76, 77: Holder arms A,
8, 9: rack guide parts A,
8b: guide
9b: Lower rail 10: Spacing zone
Claims (3)
상기 기기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발신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수신코일(2)과;
상기 기기본체(1)의 내부, 및 프론트커버(11)에 각각 구비되어 핸드폰을 기기본체(1)에 근접시키는 모션을 인지하는 적외선 센서(3) 및 적외선 센서렌즈(4)와;
상기 기기본체(1)의 양측에 구비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자동으로 프론트커버(11)의 전면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와;
상기 적외선 센서(3)를 통해 인지된 동작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A(5) 및 고정홀더B(6)를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다시 좁혀지도록 구동시키는 홀더구동부(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A main body 1 separated by a front cover 11 and a rear cover 12;
A receiving coil (2)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1)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an external transmitting coil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o charge a battery;
An infrared sensor (3) and an infrared sensor lens (4) provided in each of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1) and the front cover (11) to recognize a motion of approaching the mobile phone to the device body (1);
A pair of fixing hold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ain body 1 and fixed or released automatically on the front part of the front cover 11 while being widened and narr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ch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wer. A (5) and fixed holder B (6);
Hold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xed holder A (5) and the fixed holder B (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r narrowed agai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command signal recognized by the infrared sensor ( 7);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홀더구동부(7)는, 리어커버(12)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구동모터(71), 및 감속기(72)와;
상기 감속기(72) 상에 설치되고, 감속기(7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된 속도로 정.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73)와;
상기 피니언기어(73)의 전.후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73)의 정.역회전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래크기어A(74) 및 래크기어B(75)와;
상기 래크기어A(74)에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홀더A(5)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지스프링A(76a)가 내장된 홀더아암A(76)와;
상기 래크기어B(75)에 일측단부가 맞대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홀더B(6)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지스프링B(76b)가 내장된 홀더아암B(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driving unit 7 includes a drive motor 71 and a speed reducer 7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rear cover 12;
A pinion gear (73) installed on the reducer (72) to receive power from the reducer (72) to forward and reverse rotate at a reduced speed;
A pair of rack gears A 74 and a rack size which are engaged before and after the pinion gear 73 and linearly reciprocat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73. A and 75;
A holder arm A 76 having one end abutted against the rack gear A 74, the other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A 5, and having a stop spring A 76 a built-in;
One end of the rack gear (B) abuts, the oth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B (6), the holder arm B (77) with a built-in stop spring (76b); Wireless charger with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상기 홀더구동부(7)는, 래크기어A(74)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부A(8)와, 상기 래크기어A(74)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부B(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drive unit 7 is a rack guide portion A (8)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linear reciprocation of the rack gear A (74), and the left and right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ack gear (A 74). Wireless charger having an automatic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ack guide portion (B) for gu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02068 | 2018-05-12 | ||
KR2020180002068 | 2018-05-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881U true KR20190002881U (en) | 2019-11-20 |
KR200490856Y1 KR200490856Y1 (en) | 2020-03-02 |
Family
ID=6869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7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90856Y1 (en) | 2018-05-12 | 2019-04-30 | Wirless charger with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856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25144A1 (en) * | 2021-04-22 | 2022-10-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proximity sen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8992A (en) | 2020-03-23 | 2021-10-05 | (주)대한솔루션 | Wireless charger having sterilization effect |
KR20210146583A (en) | 2020-05-27 | 2021-12-06 | (주)대한솔루션 | Sterilizer using wireless charger installed in vehicl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7804A (en) * | 2005-08-08 | 2007-02-13 | (주)제이씨 프로텍 | Compact and lightweight wireless power transceiver |
KR20140001094U (en) * | 2014-01-02 | 2014-02-19 | 권태경 | The magnetic holder for the wireless charge system of mobile devices |
KR20140039819A (en) * | 2012-09-25 | 2014-04-02 | 주식회사 월드테크 | Wireless induction type charger |
KR101458712B1 (en) | 2013-06-28 | 2014-11-06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tatus check apparatus of wireless charg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
KR20150093526A (en) * | 2014-02-07 | 2015-08-18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radle for vehicle |
KR20150112445A (en) * | 2014-03-28 | 2015-10-07 | (주) 한신기전 | Wireless charger capable of auto positioning and charge method thereof |
-
2019
- 2019-04-30 KR KR2020190001768U patent/KR20049085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7804A (en) * | 2005-08-08 | 2007-02-13 | (주)제이씨 프로텍 | Compact and lightweight wireless power transceiver |
KR20140039819A (en) * | 2012-09-25 | 2014-04-02 | 주식회사 월드테크 | Wireless induction type charger |
KR101458712B1 (en) | 2013-06-28 | 2014-11-06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tatus check apparatus of wireless charg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
KR20140001094U (en) * | 2014-01-02 | 2014-02-19 | 권태경 | The magnetic holder for the wireless charge system of mobile devices |
KR20150093526A (en) * | 2014-02-07 | 2015-08-18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radle for vehicle |
KR20150112445A (en) * | 2014-03-28 | 2015-10-07 | (주) 한신기전 | Wireless charger capable of auto positioning and charge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25144A1 (en) * | 2021-04-22 | 2022-10-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proximity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856Y1 (en) | 2020-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0856Y1 (en) | Wirless charger with holder | |
US9343837B2 (en) |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 |
CN113424390B (en) |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kit and communication system | |
TWM583160U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vehicle | |
US9412530B2 (en) | Switch device | |
CN111432593B (en) | Electronic device | |
CN111416896B (en) | Electronic device | |
US12160962B2 (en) | Electronic device | |
CN110134184B (en) | Non-coaxial rotation smart wearable device | |
WO2007011106A1 (en) |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 |
CN107357050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glasses suit | |
CN207408722U (en) | A kind of autozoom pick-up lens module | |
CN110191264A (en) | A kind of mobile terminal | |
US9602643B2 (en) | Composite module for mobile phone | |
CN204180114U (en) | A kind of self-charging finger ring mobile phone of built-in miniature projecting apparatus | |
CN209390141U (en) | Electromagnetic drive type use for electronic products bracket | |
CN211455818U (en) | Separated battery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equipment assembly | |
CN201066966Y (en) | A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cabin cover of electronic device | |
CN210297792U (en) | Electronic device | |
CN208423858U (en) | A kind of onboard wireless charger clamped automatically | |
JP2015113028A (en) | Vehicular sun visor | |
CN111092968B (en) | Electronic device | |
KR10067246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219980452U (en) | Tail plug charging device | |
CN215913574U (en) | Spectacle cas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4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61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1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101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