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54U - Partially flat pen - Google Patents

Partially flat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54U
KR20190002854U KR2020180002007U KR20180002007U KR20190002854U KR 20190002854 U KR20190002854 U KR 20190002854U KR 2020180002007 U KR2020180002007 U KR 2020180002007U KR 20180002007 U KR20180002007 U KR 20180002007U KR 20190002854 U KR20190002854 U KR 20190002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writing
user
writing implemen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472Y1 (en
Inventor
박길서
Original Assignee
(주) 굿필코리아
박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굿필코리아, 박길서 filed Critical (주) 굿필코리아
Priority to KR2020180002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72Y1/en
Publication of KR20190002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5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Abstract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는 사용자가 손에 쥐기 위한 필기도구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 노출된 착색구; 및 상기 착색구의 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는,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이 필기도구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평평한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사용하면서 손에 느끼는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손가락에 굳은 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도구에서 평평한 표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각도는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범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artial flat writing implement is a writing instrument for a user to hold in a hand, the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colored ball extending through the body and expos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a flat surface formed at least partially on the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posure direction of the coloring sphere. The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s the user's finger contact por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or a partially flat surface, so that the user feels fatigue when using the writing implement. It can reduce and prevent calluses on the fingers. In addition, since the area and angle of the flat surface of the writing implement are designed in an optimal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user, the fatigue applied to the user's hand can be minimized in a range where the user does not feel inconvenience in writing.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Description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 { PARTIALLY FLAT PEN }Partial Flat Writing {{PARTIALLY FLAT PEN}

실시예들은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평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도구 사용 시 손에 느끼는 피로감을 줄이고 굳은살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의 필기도구에 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configure the surface of a user's finger touching por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to at least partially flatten to reduce fatigue and callus when the user uses the writing implement. It is about a writing tool of the shape that can prevent.

연필은 원통형 혹은 다각 기둥형의 나무조각에 원통형의 흑연을 중심에 끼워 넣어 만든 필기도구로서, 16세기 영국에서 개발된 이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정보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현대에 이르러서도, 회의 중의 메모나 학습을 위한 필기 등에 여전히 연필이 애용되고 있다.The pencil is a writing tool made by inserting cylindrical graphite into a cylindrical or polygonal piece of wood, and has been in use since the 16th century in England. Even in the modern age where information is digitized rapidly, pencils are still used for memos during meetings and notes for learning.

연필은 그 일단에 지우개를 결합하거나 또는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도 사용을 쉽게 하는 보조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등 응용 형태가 다양하고, 이러한 응용 형태는 연필을 기본 형태로 하여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펜이나 만년필 등에도 쉽게 전파되어 사용되고 있다.Pencils have a variety of application forms, such as using an eraser at one end or an assisting tool that is easy to use even in a short length. Such application forms are similar to other types of pencils having similar shapes. It is easily spread to pens and fountain pens.

연필이나 펜과 같은 필기도구의 몸체는 원통이나 다각 기둥형으로서, 통상 육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엄지, 검지, 중지가 잡는 공간이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필기도구를 손에 쥐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중지가 필기도구를 받치는 상태에서 세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기 때문에 중지 부분에 굳은 살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The body of a writing implement such as a pencil or a pen is cylindrical or polygonal, and usually consists of a hexagon, a triangle or a circle. The user holds the writing instrument in his han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forms a triangle. At this time, the middle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of the middle is that many.

특히, 필기도구가 사용자의 손의 쥐는 형상에 맞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원통형 필기도구의 경우 사용자의 손과 필기도구가 닿는 부분은 아주 얇은 선 형상이 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손가락에 힘을 주어 필기도구를 움직여야 하므로, 필기도구를 오래 사용할 경우 손과 필기도구가 맞닿은 부분을 중심으로 쉽게 피로감이 느껴지고 굳은 살이 생기기도 쉬운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writing implement is not adapted to the shape of the user's ha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writing implement, the portion where the user's hand and the writing implement touches becomes a very thin line. In this state, the user must move the writing implement with a force on the finger, and thus,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user easily feels tiredness and a callus occurs arou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and and the writing instrument.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14381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14381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평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도구 사용 시 손에 느끼는 피로감을 줄이고 굳은살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성이 최적화되도록 필기도구의 평탄면의 크기와 각도가 설계된 필기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ing tool has a shape that can at least partially flatten the surface of the user's finger touches to reduce the fatigue felt by the user when using the writing tool to prevent calluses, In order to optimize the usability, a writing implement having a size and an angle of the flat surface of the writing implement may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사용자가 손에 쥐기 위한 필기도구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 노출된 착색구; 및 상기 착색구의 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평탄면을 포함한다.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writing implement for a user to hold in a hand, the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colored ball extending through the body and expos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a flat surface formed at least partially on the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posure direction of the colored sphe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착색구가 노출되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In one embodiment, the flat surface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ody except for the surface where the coloring sphere is exposed in the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에만 위치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착색구가 노출되는 면으로부터 0.5cm 내지 3.5cm 에 위치한다.In one embodiment, the flat surface is located only in a partial reg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partial region is located 0.5cm to 3.5cm from the surface to which the colored sphere is expos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평탄면을 제외한 영역은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평탄면의 단면은 상기 원 또는 상기 타원의 현에 상응한다.In one embodiment, an area excluding the flat surfac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as a circle or ellipse shape, the cross section of the flat surface corresponds to the string of the circle or the ellipse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평탄면; 및 상기 제1 평탄면과 평행하게 상기 몸체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제2 평탄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lat surface, the first flat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flat surfa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fla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평탄면의 폭은 상기 제1 평탄면의 폭에 비하여 작다.In one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econd flat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fla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제1 평탄면의 양단 사이의 각도는 100 내지 125도이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flat surfac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100 to 125 degre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제2 평탄면의 양단 사이의 각도는 90 내지 100도이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flat surfac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90 to 100 degre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일부 영역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flat surface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ody.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필기도구는,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이 필기도구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평평한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사용하면서 손에 느끼는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손가락에 굳은 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riting instrumen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finger touching portion of the writing tool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or partially, the user feels tiredness while using the writing instruments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calluses on the finger.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필기도구에서 평평한 표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각도는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범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writ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and angle occupied by the flat surface are designed in an optimal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inconvenience in writing.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fatigue.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shown in FIG. 1A.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shown in FIG. 2A.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ooks at in detail with respect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Where a part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above"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above another part or may be accompanied by another part in between. In contrast, when a part is mentioned as "directly above" another part, no other part is involved between them.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par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section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ence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and the presence of other characteristics,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the addition.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s such as "below" and "abov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part to another part shown in the drawings.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operations of the device in use with the meanings intend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turning the device in the figure upside down, some parts described as being "below" of the other part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the other par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encompasses both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can be rotated 90 degrees or at other angles, the terms representing relative space being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monly defined terms used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sense unless defined.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단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shown in FIG. 1A.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0)을 가지며, 몸체(10)의 내부에서 연장되고 일 부분에 노출되어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착색구(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연필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10)는 나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착색구(20)는 흑연심일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가 연필이 아닌 볼펜 등 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착색구(20)는 잉크가 수용된 펜심일 수 있으며, 몸체(10)는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1A and 1B,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ody 1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s colored in the body 10 extending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0 and exposing to a portion to enable writing ( 20). For example, when the body 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 conventional pencil, the body 10 is made of a wood material, and the coloring sphere 20 may be a graphite core. Alternatively, when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en, such as a ballpoint pen, not a pencil, the coloring tool 20 may be a pen nib containing ink, and the body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and metal. Can be.

필기도구를 이용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착색구(20)는 몸체(10)의 한쪽 말단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100)에서 몸체(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착색구(20)가 노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손에 쥐었을 때 손과 접촉하는 방향을 몸체(10)의 측면이라고 정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몸체(10)의 측면 일부 영역에 평탄면(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enable writing using a writing implement, the coloring tool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in a partial region 100 located at one end of the body 10.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holding the writing implement a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oring sphere 20 is exposed,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hand is defined as the side of the body 10. The flat surface 1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

일 실시예에서, 몸체(10)가 나무, 플라스틱 등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평탄면(11)은 일단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몸체(10)를 형성한 후 몸체(10)의 측면 일부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면(11)은 몸체(10)의 재질에 따라 다른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body 1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wood, plastics, easy to process, the flat surface 11 is once formed into a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d body 10 side of the body 10 It can be formed by cutting a part.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flat surface 11 may be form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body 10.

몸체(10)의 측면 중 평탄면(11)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표면(12)은 통상의 필기도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표면(12)은 평탄면(11) 부분을 제외하였을 때 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일부에 해당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면(11)의 단면은 원의 일정 영역에 형성된 현에 상응하고, 평탄면(11)을 제외한 표면(12)의 단면은 현을 제외한 원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The surface 12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except for the flat surface 11 has the same shape as a conventional writing implement. That is, the surface 12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 when the flat surface 11 is excluded. For example, when the body 10 has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B, the cross section of the flat surface 11 corresponds to a str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ircle, and the surface except for the flat surface 11. The cross section of (12) may correspond to the remainder of the circle except the string.

이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필기도구에서, 평탄면(11)은 필기도구를 쥐는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사용자의 손과 주로 맞닿는 부분을 평탄면(11)으로 형성함으로써 손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중지의 측면 위에 필기도구를 받치는 형태로 필기도구를 손에 쥐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이와 같이 쥐었을 때 평탄면(11)이 사용자의 중지 위에 놓임으로써 손과의 접촉면이 넓어 편안한 느낌을 준다.In the writing implement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lat surface 11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writing implement,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lat surface 11 mainly contacting the user's hand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hand and to reduce the fatigue applied to the user's hand. For example, in general, a user holds a writing instrument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writing instrument on the side of the middle finger.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lat surface 11 placed on the middle of the user's middle finger when held in this manner. The contact surface is wide and gives a comfortable feeling.

몸체(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평탄면(11)의 폭 또는 몸체(10)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평탄면(11)의 양단 사이의 각도(θ1)가 커질수록 필기도구와 손의 접촉면이 증가하여 피로도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으나, 평탄면(11)의 폭 또는 상기 각도(θ1)가 너무 클 경우에는 몸체(10)의 두께가 지나치게 작아 필기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몸체(10)가 부러질 듯한 느낌을 주어 안정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Writing tool as the angle (θ 1 ) between the width of the flat surface 11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or the cross-section center of the body 10 from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11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hand and the hand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fatigue, but when the width of the flat surface 11 or the angle θ 1 is too large, the thickness of the body 10 is too small and the writing operation is not easy and the body (10) gives a feeling of being broken, there is a disadvantage inferior in stability.

본 고안자들은 몸체(10)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몸체(10)의 단면 반지름의 일정 비율만큼 절삭하되 절삭 비율을 상이하게 하여 평탄면(11)을 형성한 샘플들을 준비하고, 성별과 연령을 무작위로 하여 선정된 40명의 사용자로 하여금 30분 동안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주어진 교본에 대한 필사를 수행하도록 한 후, 필기가 끝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 사용자가 느끼는 1) 손의 피로도, 2) 필기도구의 안정감 및 3) 필기도구의 조작의 용이성에 대하여 1점에서 5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과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The inventors cut samples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by a certain ratio of the radi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0, but prepare samples having a flat surface 11 with different cutting ratios, and randomly sex and age. After 40 selected users were allowed to transcribe a given textbook using various samples for 30 minutes, each user felt 1) hand fatigue, 2) stability of writing instruments, and 3) A score of 1 to 5 was given to evaluate the ease of oper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Cutting ratio to radius 5%5% 10%10% 15%15% 20%20% 25%25% 30%30% 35%35% 40%40% 45%45% 피로도(높을수록 피로가 적음)Fatigue (the higher the fatigue) 1One 1One 1One 44 55 55 55 44 44 안정감(높을수록 우수함)A sense of stability (the higher the better) 55 55 44 55 44 44 44 22 1One 조작 용이성(높을수록 용이함)Ease of operation (the higher the easier) 55 44 55 55 44 55 33 1One 1One 점수 합계Total score 1111 1010 1010 1414 1313 1414 1212 77 66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이 20% 미만으로 작을 때는 안정감과 조작 용이성은 우수하였으나 평탄면(11)을 형성함에 따른 피로도의 감소 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이 35% 초과로 클 경우에는 손의 피로도는 적지만 안정감과 조작 용이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이 20% 내지 35% 정도가 되도록 평탄면(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몸체(10)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평탄면(11)의 양단 사이의 각도(θ1)로 변환하면 약 100 내지 125도에 해당한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cutting ratio to the radius is less than 20%, the stability and ease of operation were excellent, but the fatigue reduction effect of forming the flat surface 11 was not shown to be much.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cutting to radius is greater than 35%, hand fatigue is small but stability and ease of operation are drastically reduc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lat surface 11 so that the cutting ratio to the radius is about 20% to 35%. When this is converted into an angle θ 1 between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11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0, it corresponds to about 100 to 125 degrees.

도 2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단면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ally flat writing instrument shown in FIG. 2A.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의 몸체(30) 및 착색구(4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몸체(10) 및 착색구(20)에 각각 대응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의 평탄면(31) 및 표면(32)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평탄면(11) 및 표면(12)에 각각 대응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측면의 양 방향에 형성된 2 개의 평탄면(31, 33)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필기도구와 상이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2A and 2B, the body 30 and the coloring sphere 40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body 10 and the coloring sphere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 respectively. The flat surface 31 and the surface 32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flat surface 11 and the surface 12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respectively. However,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writing implement shown in FIG. 1 in that it includes two flat surfaces 31 and 33 formed in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ring to FIG. 1.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평탄면을 각각 제1 평탄면(31) 및 제2 평탄면(32)이라고 지칭하면, 제1 평탄면(31)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평탄면(1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손에 쥐었을 때 필기도구에 가장 많이 접촉하는 손가락인 중지와 닿기 위한 부분이다. 제2 평탄면(33)은 제1 평탄면(31)의 반대편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과 닿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각 평탄면(33)을 제외한 측면의 나머지 표면(33)은 도 1의 표면(12)과 마찬가지로 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일부에 해당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When the two flat surfaces formed on the side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flat surface 31 and the second flat surface 32, respectively, the first flat surface 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imilar to the embodiment and the flat surface 11, when the user grasps the writing utensil in his hand, it is a part for touching the middle finger, which is the finger most touching the writing implement. The second flat surface 33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flat surface 31 and is a part for contacting the thumb of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surface 33 on the side surface except for each flat surface 33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 like the surface 12 of FIG.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평탄면(31)의 폭(W1)은 제2 평탄면(33)의 폭(W3)에 비하여 크다. 일반적인 사용 형태에서 사용자들은 중지 위에 필기도구를 올려둔 채 엄지, 검지, 중지를 사용하여 필기도구를 쥐게 되므로, 엄지와 닿기 위한 제2 평탄면의 폭(W3)은 중지와 닿기 위한 제1 평탄면(31)의 폭(W1)만큼 클 필요가 없다. 이때, 각각의 평탄면(31, 32)의 크기가 적당한 값을 갖도록 몸체(10)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각 평탄면(31, 32) 양단 사이의 각도(θ1, θ2)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평탄면(31)에 관련된 구성은 도 1의 평탄면(1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W 1 of the first flat surface 31 is larger than the width W 3 of the second flat surface 33. In a typical use form, users hold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ir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with the writing instrument on the middle finger, so that the width W 3 of the second flat surface for contact with the thumb is the first flat surface for contact with the middle finger. It does not have to be as large as the width W 1 of the face 31. In this case, the angles θ 1 and θ 2 between the ends of each of the flat surfaces 31 and 32 may be determined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0 so that the size of each of the flat surfaces 31 and 32 has an appropriate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lat surface 31 is the same as the flat surface 11 of FIG.

한편, 본 고안자들은 엄지와 맞닿는 평탄면(32)에 관련된 구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몸체(10)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절삭 비율을 상이하게 하여 평탄면(32)을 형성한 다양한 샘플들을 준비하고, 평탄면(11)에 대한 실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1) 손의 피로도, 2) 필기도구의 안정감 및 3) 필기도구의 조작의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몸체(10)의 반대쪽에는 중지와 닿기 위한 평탄면(31)에 형성된 상태의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lat surface 32 in contact with the thumb, as described above, various samples forming the flat surface 32 by varying the cutting ratio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experiment on the flat surface 11, 1) hand fatigue, 2) writing tool stability, and 3) ease of operation of writing tool were evaluated. At this tim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10 by using a writing tool in a state formed on the flat surface 31 for touching the middle finger.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Cutting ratio to radius 5%5% 10%10% 15%15% 20%20% 25%25% 30%30% 35%35% 40%40% 45%45% 피로도(높을수록 피로가 적음)Fatigue (the higher the fatigue) 44 55 55 44 33 1One 1One 1One 1One 안정감(높을수록 우수함)A sense of stability (the higher the better) 55 55 44 55 22 22 22 1One 1One 조작 용이성(높을수록 용이함)Ease of operation (the higher the easier) 55 55 55 44 22 1One 1One 1One 1One 점수 합계Total score 1414 1515 1414 1313 77 44 44 33 33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이 5 내지 20% 일 때는 피로도 감속 효과와 안정감, 조작 용이성이 우수하였으나, 절삭 비율이 25% 이상으로 클 경우에는 안정감과 조작 용이성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피로도 역시 감소하였다. 이는 몸체(30)에서 중지와 닿는 부분에 이미 평탄면(31)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반대편의 엄지 부분을 지나치게 많이 절삭하면 사용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도 피로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반지름 대비 절삭 비율이 5% 내지 20% 정도가 되도록 평탄면(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몸체(30)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평탄면(32)의 양단 사이의 각도(θ2)로 변환하면 약 90 내지 100도에 해당한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cutting ratio to the radius is 5 to 20%, the fatigue reduction effect, stability, and ease of operation are excellent, but when the cutting ratio is more than 25%, the stability and ease of operation are drastically reduced. Fatigue also decreased. This is because the flat surface 31 is already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stop in the body 30, it is understood that if the cutting of the thumb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is too easy to use as well as the hand fatigu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lat surface 32 so that the cutting ratio to the radius is about 5% to 20%, and the angle θ between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32 from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30. 2 ) corresponds to about 90 to 100 degrees.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평탄형 필기도구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flat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의 몸체(50) 및 착색구(6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몸체(10) 및 착색구(20)에 각각 대응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의 평탄면(51) 및 표면(52)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평탄면(11) 및 표면(12)에 각각 대응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평탄면(51)이 몸체(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에만 형성된 점에서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ody 50 and the coloring tool 60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body 10 and the coloring tool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 respectively. The flat surface 51 and the surface 52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flat surface 11 and the surface 12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respectively. However,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nly in that the flat surface 51 is formed only in a partial reg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0,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1.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본 실시예에서, 필기도구의 몸체(50)는 착색구(60)가 노출된 제1 부분(500)과, 제1 부분(500)을 제외한 부분 중 몸체(50) 측면에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부분(501)과, 제1 부분(500)을 제외한 부분 중 몸체(50) 측면에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3 부분(502)을 포함한다.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을 부분은 착색구(60)가 노출되는 말단 부분과 인접한 일부 영역뿐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에 쥐기 위한 부분에만 평탄면(51)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이는 동시에 필기도구의 안정감을 높인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50 of the writing implement is a flat surface 51 on the side of the body 50 of the first portion 500 and the portion except for the first portion 500 to which the coloring tool 60 is exposed. The formed second part 501 and the third part 502 in which the flat surface 51 is not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50 among the parts except the first part 500 are included. In the writing tool, the user's hand only touches the partial area adjacent to the distal end where the coloring tool 60 is exposed, 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tness 51 is formed only in the user's hand to hold the user's fatigue. At the same time, it improves the stability of writing instruments.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탄면(51)이 형성된 제2 부분(501)은 착색구(60)가 노출되는 말단의 제1 부분(500)과 직접 맞닿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501)과 제1 부분(500)은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제2 부분(501)과 제1 부분(500) 사이에도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501)과 제1 부분(500)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손에 쥐는 일반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제2 부분(501)과 제1 부분(500) 사이의 간격은 0.5 내지 3.5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second portion 501 having the flat surface 5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portion 500 of the distal end where the coloring tool 60 is exposed. The portion 501 and the first portion 500 may be spaced apart. That is, a portion in which the flat surface 51 is not formed may be further locat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501 and the first portion 500.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 501 and the first portion 500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posi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writing implement.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 501 and the first portion 500 may be 0.5 to 3.5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탄면(51)의 형상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도 2a 및 2b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의 일부 영역에만 양 방향의 측면에 평탄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flat surface 51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and 1B, but is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A and 2B. As shown in FIG. 3, only a partial region of the bod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lat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필기도구는, 필기도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이 필기도구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평평한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사용하면서 손에 느끼는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손가락에 굳은 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필기도구에서 평평한 표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각도는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범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writing implem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writing implement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over or partial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so that the user feels the hand while using the writing implement. The fatigue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callus on the finger. In addition, the area and angle occupied by the flat surface in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designed in an optimal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user, so that the user's hand does not feel uncomfortable in writing.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fatigue.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사용자가 손에 쥐기 위한 필기도구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 노출된 착색구; 및
상기 착색구의 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평탄면을 포함하는 필기도구.
As a writing tool for users to hold in their hands,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colored ball extending through the body and expos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And a flat surface formed at least partially on the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posure direction of the colored sphe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착색구가 노출되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t surface is a writing implement extendin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ody except for the surface in which the coloring sphere is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t surface is a writing implement located only in a partial are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착색구가 노출되는 면으로부터 0.5cm 내지 3.5cm 에 위치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tial area is a writing implement is located 0.5cm to 3.5cm from the surface exposed to the colored sphe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평탄면을 제외한 영역은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평탄면의 단면은 상기 원 또는 상기 타원의 현에 상응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rea excluding the flat surface in a cross section of the body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as a circle or ellipse shape, the cross section of the fla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ring of the circle or the ellip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평탄면; 및
상기 제1 평탄면과 평행하게 상기 몸체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제2 평탄면을 포함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t surface is,
A first flat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nd a second flat surfa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flat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평탄면의 폭은 상기 제1 평탄면의 폭에 비하여 작은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width of the second flat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flat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제1 평탄면의 양단 사이의 각도는 100 내지 125도인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6,
Writing implements having an angl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flat surface in a cross section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몸체의 단면에서 상기 제2 평탄면의 양단 사이의 각도는 90 내지 100도인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6,
Writing implements having an angle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flat surface in a cross section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몸체의 일부 영역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는 필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lat surface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ody.
KR2020180002007U 2018-05-08 2018-05-08 Partially flat pen KR2004914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07U KR200491472Y1 (en) 2018-05-08 2018-05-08 Partially flat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07U KR200491472Y1 (en) 2018-05-08 2018-05-08 Partially flat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54U true KR20190002854U (en) 2019-11-18
KR200491472Y1 KR200491472Y1 (en) 2020-04-10

Family

ID=6869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07U KR200491472Y1 (en) 2018-05-08 2018-05-08 Partially flat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72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81A (en) 1996-08-10 1998-05-25 유기범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word verification by grouping commands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9990017535U (en) * 1999-01-21 1999-05-25 구혜민 Pen with Plane Grip
JP2018030287A (en) * 2016-08-24 2018-03-01 コクヨ株式会社 Writing instru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81A (en) 1996-08-10 1998-05-25 유기범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word verification by grouping commands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9990017535U (en) * 1999-01-21 1999-05-25 구혜민 Pen with Plane Grip
JP2018030287A (en) * 2016-08-24 2018-03-01 コクヨ株式会社 Wri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72Y1 (en)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9811A (en) Style handle
US6554515B2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US8926203B1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id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JP5366979B2 (en) pencil
US20090257811A1 (en) Multiple nib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5988909A (en) Writing instrument with ergonomic grip
US5228794A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JP3987711B2 (en) Writing utensils
KR200491472Y1 (en) Partially flat pen
US6059472A (en) Pen structure
US20160129722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n indented grasping area
US5419054A (en) Triangular drafting instrument
JPH074948Y2 (en) Writing instrument
CN205686031U (en) The positive appearance sheath of second self general
JP4155390B2 (en) Writing instrument
US20020094223A1 (en) Write angle instruments
KR200371879Y1 (en) Writing materials
CA1104522A (en) Style handle
JP4848066B2 (en) Writing instrument
KR200312746Y1 (en) taking notes tool for grip easily
JP6657886B2 (en) Writing implement
KR960000963Y1 (en) Material attached to writing implement
KR200331400Y1 (en) A handle of pen and ink for fatigue prevention
JPH0627188U (en) Writing instruments and writing 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