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22U -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22U
KR20190002722U KR2020180001782U KR20180001782U KR20190002722U KR 20190002722 U KR20190002722 U KR 20190002722U KR 2020180001782 U KR2020180001782 U KR 2020180001782U KR 20180001782 U KR20180001782 U KR 20180001782U KR 20190002722 U KR20190002722 U KR 201900027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ston
air
bal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028Y1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2020180001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28Y1/en
Publication of KR20190002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2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판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부, 피스톤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는 감지봉 및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스톤부에 연결되고,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주공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관통시키는 볼밸브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s connected to a hous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plate, a piston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up and down, and one side of the piston part. It relates to a load valve for railroad cars including a sensing rod that moves up and down and a ball valve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iston part to block and penetrate the flow of air introduced from the main air engine in response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part. will be.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봉이 접지판에 접지되는 경우, 피스톤본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피스톤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작동해드를 상승 이동시킴에 따라, 테이퍼바와 연결된 볼밸브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밸브볼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valve for railroad cars,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sensing rod is grounded to the ground plate, the piston body moves upwards, and as the spring is compressed, the operating hea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moves upward. The ball valve lever connected to the taper bar rotates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valve ball rotates to control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to control the flow of air.

현대 철도 차량은 대개 자중에 비해 적재량이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운행되는 것이 요구되고 전반적인 최대 제동효율과 지속적인 제동 수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달되는 부하량에 따라서 편성중의 전 차량에 제동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Modern railway vehicles are generally required to operate at a relatively high speed with a larger load than their own weight, and automatically adjust the braking force to all vehicles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load delivered to ensure the overall maximum braking efficiency and continuous brak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즉, 철도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적절한 제동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공기 작동식 변동하중 밸브가 장착되며, 이러한 공기 작동식 변동하중 밸브는 공기 제동식 철도 차량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대차 취부에 적합하고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재래식 답면 브레이크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railway vehicles are equipped with air operated variable load valves to maintain proper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passengers or cargoes. These air operated variable load valves have been developed for use in air braked railway vehicles, and especially Suitable for mounting and can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disc brakes or conventional foot brak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동하중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변동하중 밸브(100)는 외체를 형성하는 밸브바디(10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바디(100')는 여러 측면에 분배밸브 포트(Distributor Port;101), 제동 실린더 포트(Break Cylinder Port;102), 부하압력 포트(Control Pressure Port;103)이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변동하중 밸브(100)는 공기 압력 저울대의 지점(FULCRUM POINT)인 유동성 선회축(11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서 입력/출력 압력비율의 변화가 이루어진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load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therein, the variable load valve 100 has a valve body 100 'that forms an outer body, and the valve body 100' has a distribution valve port 101 at various sides and a braking cylinder port. (Break Cylinder Port) 102, the control pressure port (Control Pressure Port) 103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variable load valve 100 changes the input / output pressure ratio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lowable pivot shaft 111, which is a FULCRUM POINT.

상기 유동성 선회축(111)은 레버(110)의 포오크 모양 선단에 지탱된 롤러 형태로 구성되어 스프링(121)을 장착한 피스톤(120)에 연결된 그 반대편 선단으로 밸브바디(100') 내에서 선회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선회축(111)의 위치는 피스톤(120)이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변한다.The flowable pivot 11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ller supported on the fork-shaped tip of the lever 110 and pivots in the valve body 100 'with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piston 120 on which the spring 121 is mounted. In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pivot shaft 111 changes as the piston 120 reciprocates.

공기 압력에 의하여 부하를 저울질하기 위해 채택된 다른 장치의 출력은 피스톤(120)의 아래쪽에 가해지고 그리고 스프링(121)에 의해 대립된다.The output of the other device employed to balance the load by air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piston 120 and opposed by the spring 121.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피스톤(120)에 가해진 부하감지 압력은 최대치가 되어 결과적으로 스프링(121)은 압축되고 그리고 피스톤(120)은 선회축(111)이 일측으로 떠밀어지게 되고, 반대로 부하가 제거된 상태 즉, 공차시에는 피스톤(120)에 가해진 부하 압력은 최소치로 되며 스프링(121)은 피스톤(120)과 선회축(111)을 자중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어떤 중간 부하시에는 피스톤(120)에 가해진 부하감지 압력은 그때의 사정에 따라 적당하게 변하고 선회축(111)도 그것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In the state where the load is applied, the load sensing pressure applied to the piston 120 becomes the maximum value, and as a result, the spring 121 is compressed and the piston 120 is pushed to one side by the pivot shaft 111, on the contrary, In the removed state, that is, when the tolerance is applied, the load pressure applied to the piston 120 becomes the minimum value, and the spring 121 moves the piston 120 and the pivot shaft 111 to their own weight positions. In addition, at any intermediate load, the load sensing pressure applied to the piston 120 is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the pivot shaft 111 is also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변동하중 밸브에서 제동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raking action of the variable load val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제동 적용 동안에 제동의 범위(정도)에 좌ㅇ우되는 수치만큼 공기압력은 분배밸브 포트와 연결되는 균형실린더(미도시)에 공급되고 그리고 제1다이어프램(140) 위의 약실(145)에 전달된다. 이 압력은 선회축(111)을 회전하는 빔(130)에 제1가이드(141)를 떠밀어서 그리고 제2가이드(151)를 올린다. 이 운동은 맨 처음 제2가이드(151)의 오목하게 들어간 끝을 흡기밸브(INLET VALVE)의 연좌 (SOFT SEAT)에 밀착시켜 배기 통로를 봉쇄시킨 다음에 공기가 보조공기통(106)에 연결된 제동 실린더(미도시)까지 흐르게 하도록 흡기밸브를 몸체내의 연좌(SOFT SEAT)에서 들어올린다.First, the air pressure is supplied to a balance cylind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pensing valve port and to the chamber 145 above the first diaphragm 140 by a value left and right in the range of the braking during braking application. Delivered. This pressure pushes the first guide 141 on the beam 130 rotating the pivot shaft 111 and raises the second guide 151. This movement first closes the concave end of the second guide 151 to the SOFT SEAT of the INLET VALVE to seal off the exhaust passage, and then a braking cylinder in which air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air cylinder 106. Lift the intake valve out of the SOFT SEAT in the body to allow it to flow (not shown).

제동 실린더(102) 쪽의 출력 압력도 제2다이어프램(143) 위의 약실(155)로 공급되어 제제1다이어프램(140)에 있는 압력에 의해 형성된 것과 반대하여 빔(130)에 힘 을 만들어 낸다. 이때, 상기 빔(130)은 양쪽 끝에서 균형을 이룰 때 수직상태를 회전하고 제2가이드(151)는 흡기밸브(iv)와 배기밸브(ev) 둘 다 제동 실린더(미도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힌다.The output pressure on the braking cylinder 102 side is also supplied to the chamber 155 on the second diaphragm 143 to create a force on the beam 130 as opposed to the pressure formed by the formulation 1 diaphragm 140. In this case, when the beam 130 is balanced at both ends, the beam is rotated vertically, and the second guide 151 maintains the braking cylinder (not shown) pressure of both the intake valve iv and the exhaust valve ev. To close.

만약, 부분(국부) 제동이 증가할 경우에 제1다이어프램(140)에 있는 균형 실린더 압력은 증가되고, 따라서 빔(130)은 균형을 잃어 제동 실린더 압력이 균형 실린더 압력과 다시 균형을 이룰 때까지 제2가이드(151)가 흡기밸브(iv)를 다시 열리게 한다. 이러한 결과로서 생기는 제동 실린더 압력은 부하에 따라서 정해진 선회축(111)의 위치에 따라서 항상 균형이 이루어진다.If the partial (local) braking increases, the balance cylinder pressure in the first diaphragm 140 increases, so the beam 130 loses balance until the brake cylinder pressure rebalances with the balance cylinder pressure. The second guide 151 opens the intake valve iv again. The resulting braking cylinder pressure is always balanc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vot shaft 111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그리고, 제동적용이 완해 될 때 제1다이어프램(140)에 있는 균형 실린더 압력은 감소되며, 따라서 제2다이어프램(150)에 있는 제동 실린더 압력은 제2가이드(151) 내의 배기 통로를 경유하여 완해된다.Then, when the braking application is completed, the balance cylinder pressure in the first diaphragm 140 is reduced, so that the braking cylinder pressure in the second diaphragm 150 is relaxed via the exhaust passage in the second guide 151. .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변동하중 밸브는, 분배밸브 포트(101)와 제동 실린더 포트(102) 그리고 부하압력 포트(103)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이로 인한 변동하중 밸브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보관 또는 이송시 파손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ariable load valv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ribution valve port 101, the braking cylinder port 102, and the load pressure port 103 are formed to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by causing the variable load valve. There is a problem inherent in the risk of damage during storage or transport is not easy to handle.

특히, 상기 변도하중 밸브를 대차에 취부 또는 탈거시킬 때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이 대단히 불량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포트에 배관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In particular, when the variable load valve is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trolley, the work space is so narrow that not only the workability is very poor, but also the piping work must be performed on a plurality of port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which takes a lot of time. It became.

아울러, 접속포트에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시 작업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접속포트가 대차에 부딪혀 변형 및 손상되거나 또는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iculty in securing a work space when connecting or disconnecting pipes to the connection port, the connection port is frequently hit by a trolley and deformed or damaged, or foreign substances flow into the inside to prevent its performance. It wa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변동하중 밸브의 취부 및 탈거 작업시 작업성이 대단히 불량한 이유로 인해 제품 파손률이 높아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is high and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due to the reason why the workability is very poor when the variable load valve is mounted and removed.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6943호(2015.08.18.등록)Document 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46943 (2015.08.18.Registr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봉이 접지판에 접지되는 경우, 피스톤본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내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피스톤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작동해드를 상승 이동시킴에 따라, 테이퍼바와 연결된 볼밸브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밸브볼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새로운 구조의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rod is grounded to the ground plat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s the piston body is moved upward and the spring in the housing is compressed to move the operation hea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upward The ball valve lever connected to the taper ba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having a new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ball rotates to control the flow of ai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접지판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우징,A hous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ground plate,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부,A piston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move up and down,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는 감지봉 및A sens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part and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part;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주공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관통시키는 볼밸브부를 포함하는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piston, and includes a ball valve for blocking and penetrating the flow of air from the main air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를 제공한다.Provide load valves for rolling stock.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페하며,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밀폐판 및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고, 상기 밀폐판의 하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a cylindrical body of the hollow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sealed, the center is penetrated through the plate-shaped sealing plate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rough hol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 tubular extension extending vertically in on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밀폐판의 상측까지 상하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본체, 상기 피스톤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피스톤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보조피스톤, 상기 보조피스톤의 상면 및 상기 밀폐판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본체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작동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th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body Piston bod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the cylindrical auxiliary piston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sto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ston and the bottom of the sealing plate It may include a spring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body and the operating hea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body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부는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여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납되고,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valve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rectangular box-shaped casing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The upper one side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the valve body por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trols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각각 공기홀이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을 관통하는 공기흐름구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한 구 형상의 밸브볼, 상기 회전축이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 일측이 관통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볼밸브레버, 상기 볼밸브레버의 일측에 한 쌍으로 연장된 연장바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베어링 및 하부베어링으로 형성된 베어링 및 일측이 상기 하부베어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해드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해드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연동하는 테이퍼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볼은 상기 공기흐름구의 중앙으로부터 교차되는 수평선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portion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valve body is formed in each of the air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valve body A ball valve having a spherical valve ball having an air flow port and a rota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exposed,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connector, the length A ball valve lever extending in a direction, an upper bearing formed at one end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extending at one side of the ball valve lever, and a bearing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bear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head. is connected to one surface comprises a tapered bar interlocking in response to vertical movement of the head, the operation, the valve ball In that it comprise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sphere from the center it may be characteriz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감지봉이 상기 접지판에 접지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피스톤본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작동해드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퍼바와 연결된 상기 볼밸브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밸브볼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rod is grounded to the ground plate, the spring is compressed so that the piston body moves upward to move the operation head upward. As the ball valve lever connected to the taper ba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valve ball may be rotated to move the air flow.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 타측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밸브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밸브볼의 회전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볼 내부에 잔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port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the exhaust por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valve body through the inlet port When b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valve bal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air remaining in the valve ball.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는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볼밸브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마모 및 파손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복잡한 막판식구조의 일반적인 응하중 밸브에 비해 고장발생이 적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수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railway vehicle loa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air through a ball valve portion that rotates in response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portion, thereby preventing wear and damage caused by vibration or shock, thereby providing a general response to a complicated membrane-type structure. Compared to the load valve, there is less trouble, can extend the life and can be easy to repai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는 밸브바디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배기구를 형성하여, 볼밸브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밸브볼의 회전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밸부볼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공차 제동이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를 통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 valve for railway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haust port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all valve body is b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valve ball, the air remaining inside the ball ball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roug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olerance braking is made.

도 1은 종래의 변동하중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공차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영차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본체부의 공차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밸브본체부의 영차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밸브볼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ariable load val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oad valve for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lerance of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zero car of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tolerance of the valv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zero-valve valv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ntrary descrip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변동하중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공차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의 영차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볼밸브부의 공차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밸브본체부의 영차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밸브볼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ariable load val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ad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lerance when the valv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zero vehicle load valv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when the tolerance of the ball val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the valv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zero, and FIG. 7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10)는 하우징(100), 피스톤부(200), 감지봉(300) 및 볼밸브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load valve 1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ousing 100, the piston 200, the sensing rod 300 and the ball valve 400 It includes.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10)는 접지판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우징(100),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부(200), 피스톤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는 감지봉(300) 및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스톤부에 연결되고,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주공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관통시키는 볼밸브부(4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load valve 1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ousing 100, which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ground plate,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iston unit 200 is disposed and is moved up and dow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portion, the sensing rod 300 is moved up and down to correspond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iston portion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piston portion, the upper and lower piston portion It includes a ball valve 400 for blocking and penetrating the flow of air introduced from the main air engin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하우징(100)은 접지판(11)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볼밸브부(400)와 연결된다.The housing 10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lat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nected to the ball valve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하우징(100)은 바디(110), 밀폐판(120) 및 연장부(1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includes a body 110, a sealing plate 120, and an extension 130.

바디(1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ody 1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밀폐판(120)은 바디(110)의 상부를 밀폐하며,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aling plate 120 seal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enter thereof.

연장부(130)는 관통공에 연통하고, 밀폐판(120)의 하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xtension part 130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and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in on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피스톤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피스톤부(200)는 피스톤본체(210), 보조피스톤(220), 스프링(230) 및 작동해드(240)를 포함한다.3 and 4, the piston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moves up and down. To this end, the piston 200 includes a piston body 210, the auxiliary piston 220, the spring 230 and the operating head 240.

피스톤본체(210)는 연장부(130)의 내부에 일측이 수용되어 밀폐판(120)의 상측까지 상하 이동하고, 타측이 바디(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The piston body 210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ortion 130 to move up and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late 120, the oth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body 110.

보조피스톤(220)은 피스톤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디(11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피스톤본체(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uxiliary piston 2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ston body 210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110).

여기서, 보조피스톤(220)은 외측면에 실링이 구비되어 바디(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그리고 바디(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보조피스톤(220)과 바디(110)의 일측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공기통로를 통해 배출된다.(미도시)Here, the auxiliary piston 220 is provided with a seal on the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move up and down.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passage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uxiliary piston 220 and one side of the body 110.

스프링(230)은 보조피스톤(220)의 상면 및 밀폐판(120)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여 피스톤본체(21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spring 23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ston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serves to control the shangdong of the piston body 210.

작동해드(240)는 피스톤본체(2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밀폐판(120)의 상면에 위치한다.Operation head 24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body 2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다시 설명하면, 작동해드(240)는 밀페판(120)의 상면에 위치하고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본체(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피스톤본체(210)의 상하이동에 따라 밀폐판(120)으로부터 수직하게 상하 이동을 한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head 24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body 210 to move vertically from the closing plate 120 in accordance with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piston body (210).

이때, 작동해드(240)의 일면에 후술하는 테이퍼바(436)가 결합되어 작동해드(24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후술하는 볼밸브레버(434)를 회전운동시킨다.At this time, the taper bar 436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operation head 240 to rotate the ball valve lever 434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head 240.

또한, 작동해드(240)는 피스톤본체(210)의 일측에 피스톤본체(210)와 이동하는 작동해드(240)의 일측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보조체(24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head 240 includes an auxiliary body 241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head 240 and the piston body 210 to move to one side of the piston body 210.

그리고 작동해드(240)는 보조체(2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활동공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head 240 further includes an active hol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body 241.

여기서, 보조체(241)는 밀폐판(120)의 상면에 삽입 설치되며 활동공을 관통하여 피스톤본체(210)의 상하 운동에 대해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auxiliary body 241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and serves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body 210 through the activity hole.

한편, 작동해드(240)는 밀폐판(120)의 상면에 접촉되어 피스톤본체(210)가 하강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head 24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to limit the piston body 210 to move downward.

도 4 및 도 1을 참조하면, 감지봉(300)은 피스톤부(200)의 일측과 연결되며, 피스톤부(20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한다. 다시 설명하면, 감지봉(3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보조피스톤(220)의 하면에 결합된다.4 and 1, the sensing rod 3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part 200 and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part 200. In other words, the sensing rod 3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ston 220.

그리고 감지봉(300)은 타측이 피스톤본체(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보조피스톤(220)의 이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지판(11)에 접촉 또는 이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rod 300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piston 220 as the other side moves up and down of the piston body 210 to be in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late 11.

이로 인해, 감지봉(300)은 스라스트볼베어링으로 구성된 구름볼이 접지판(11)에 접촉 또는 이격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ensing rod 300 is a rolling ball consisting of a thrust ball bearing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late (1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볼밸브부(4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스톤부(200)에 연결되고, 피스톤부(20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주공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관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볼밸브부(400)는 케이싱(410), 수용부(420) 및 밸브본체부(430)를 포함한다.5 and 6, the ball valve unit 40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connected to the piston unit 200, and is introduced from the main air engine in response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unit 200. It serves to block and penetrate the flow of air. To this end, the ball valve unit 400 includes a casing 410, a receiving unit 420 and the valve body 430.

케이싱(410)은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11) 및 유입구(411)와 연통하여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2)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asing 4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inlet 41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an outlet 411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수용부(420)는 케이싱(410)의 상부 일측에 유입구(411) 및 배출구(412)와 연통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420)는 일측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밸브본체부(430)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Receiving portion 420 is a spac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411 and the outlet 412 on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410. The accommodating part 420 is formed as a spac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valve body 430 described later.

밸브본체부(430)는 수용부(420)에 수납되고,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밸브본체부(430)는 밸브바디(431), 밸브볼(432), 연결구(433), 볼밸브레버(434), 베어링(435) 및 테이퍼바(436)를 포함한다.The valve body 4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20, and serves to control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To this end, the valve body 430 includes a valve body 431, a valve ball 432, a connector 433, a ball valve lever 434, a bearing 435 and a taper bar 436.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바디(431)는 수용부(420)에 안착되며 유입구(411) 및 배출구(412)에 대응하여 각각 공기홀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valve body 431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20, and air holes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let 411 and the outlet 412, respectively.

즉, 밸브바디(431)는 내부에 후술하는 밸브볼(432)이 수용되어 회전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유입구(411) 및 배출구(412)에 대응하여 양측이 관통된 공기홀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valve body 431 has a valve ball 432 to be described later therein is formed a rotatable space, the tubular shape in which both sides of the air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411 and the outlet 412 Is done.

도 7을 참조하면, 밸브볼(432)은 밸브바디(4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을 관통하는 공기흐름구(432a)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432b)을 구비한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valve ball 43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having an air flow port 432a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valve body 431 and penetrates through one side and a rotation shaft 432b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여기서, 밸브볼(432)은 밸브바디(431)에 형성된 공기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기흐름구(432a)를 통해 공기홀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공기는 케이싱(410)에 형성된 배출구(412)를 통해 배출 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valve ball 432 mov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 formed in the valve body 431 to the air hole through the air flow port 432a, the moved air discharge port 412 formed in the casing 410 It serves to discharge through.

또한, 밸브볼(432)은 회전축(432b)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공기를 차단시키는 역할도 병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9를 통해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valve ball 432 rotates by the rotation shaft 432b, the valve ball 432 also serves to block ai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또한, 밸브볼(432)은 공기흐름구(432a)의 중앙으로부터 교차되는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흡입구(432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alve ball 432 includes an air inlet 432c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crossing from the center of the air flow port 432a.

연결구(433)는 회전축(432b)이 노출되도록 밸브바디(431)의 외주면 일측이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connector 433 is formed by passing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body 431 so that the rotating shaft 432b is exposed.

볼밸브레버(434)는 연결구(433)를 통해 돌출된 회전축(432b)의 일단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ball valve lever 43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432b protruding through the connector 433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볼밸브레버(434)는 회전축(432b)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회전축(432b)은 밸브볼(432)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Here, the ball valve lever 434 serves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432b, thereby enabling the rotating shaft 432b to rotate the valve ball 432.

베어링(435)은 볼밸브레버(434)의 일측에 한 쌍으로 연장된 연장바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베어링(435a) 및 하부베어링(435b)으로 형성된다.The bearing 435 is formed of an upper bearing 435a and a lower bearing 435b formed at one end of a pair of extension bars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all valve lever 434.

테이퍼바(436)는 일측이 하부베어링(435b)에 연결되고, 타측이 작동해드(24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작동해드(240)의 이동에 대응하여 연동한다. Tapered bar 436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ring (435b),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operation head 240 is interlock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head 240.

또한, 테이퍼바(436)는 비록 여기도면에서 하부베어링(435b)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부베어링(435a)에 연결되는 것은 자명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taper bar 436 is shown as connected to the lower bearing 435b in this figure, it is obvious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ring 435a.

또한, 테이퍼바(436)는 작동해드(240)의 일면에 나사 또는 작동해드(24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이는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taper bar 43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crew or the operating head 240 on one surface of the operating head 240, which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

이와 같은, 밸브본체부(430)는 감지봉(300)이 접지판(11)에 접지되는 경우, 스프링(230)이 압축되어 피스톤본체(2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작동해드(240)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퍼바(436)와 연결된 볼밸브레버(434)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밸브볼(432)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uch, when the sensing rod 300 is grounded to the ground plate 11, the valve body 430 may compress the spring 230 to move the piston body 210 upward to raise the operation head 240. By moving, as the ball valve lever 434 connected to the taper bar 436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valve ball 432 rotates to serve to move the air flow.

한편, 밸브본체부(430)는 밸브바디(431)의 외주면 타측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437)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body portion 430 further includes an exhaust port 437 formed through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431.

배기구(437)는 케이싱(410)에 형성된 유입구(411)를 통해 밸브바디(431)로 유입된 공기가 밸브볼(432)의 회전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밸브볼(432) 내부에 잔류된 공기를 배출시킨다.Exhaust port 437 is the air remaining in the valve ball 432 when the air flowing into the valve body 431 through the inlet 411 formed in the casing 410 is b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valve ball 432 Discharge it.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1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oad valve 1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차인 경우를 설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se of tolerance will be described.

볼밸브레버(434)가 밸브바디(431)를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향하여 위치한다. 이때, 감지봉(300)이 접지판(11)과 이격되면 영차 시 바디(110)내에 압축된 스프링(230)이 해제되면서 감지봉(300)이 하강하여 피스톤본체(210)도 하강한다.The ball valve lever 434 is positioned downward than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valve body 431. At this time, when the sensing rod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late 11, when the spring 230 compressed in the body 110 is released while the sensing rod 300 is lowered, the piston body 210 also descends.

그리고 피스톤본체(210)의 하강에 따라 작동해드(240)의 일면에 연결된 테이퍼바(436)가 연동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바(436)와 연결된 볼밸브레버(434)의 이동에 따라, 볼밸브레버(434)와 연결된 회전축(432b)의 회전으로 밸브볼(432)이 회전한다.Then, as the piston body 210 descends, the taper bar 436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operation head 240 is interlocked, and as shown in FIG. 9, the ball valve lever 434 connected to the taper bar 436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valve ball 43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432b connected to the ball valve lever 434.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볼(432)은 공기흐름구(432a)는 밸브바디(431)의 내부 상하측으로 위치하여 공기흐름구(432a)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막히게 된다. 이때, 밸브바디(431)의 하측방향으로 위치하는 공기흐름구(432a)는 밸브바디(431)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구(437)와 연통하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 7, the valve ball 432 has an air flow port 432a positioned upward and downward inside the valve body 431 to block air remaining in the air flow port 432a. At this time, the air flow port 432a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valve body 431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port 437 form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body 431.

그리고 공기흐름구(432a)가 밸브바디(431)의 내부 상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공기흡입구(432c)가 밸브바디(431)의 공기홀과 연통하게 됨으로써,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차단되고, 배출구(412)에 유입된 잔류공기가 배기구(437)를 통해 배출되어 공차 제동이 이루어진다.As the air flow port 432a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431, the air suction port 432c communicates with the air hole of the valve body 431,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1 is Blocked, the residual air introduced into the outlet 412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437, the tolerance braking is performed.

다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차인 경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case of zero difference will be briefly described.

감지봉(300)이 접지판(11)에 접촉되면서 공차시 해제된 스프링(230)이 압축되어 피스톤본체(210)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해드(240)가 상승한다. 이로 인해, 작동해드(240)의 일면에 연결된 테이퍼바(436)가 상승하면서 볼밸브레버(434)를 밸브바디(431)를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부에 위치시킨다.As the sensing rod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plate 11, the spring 230 released during tolerance is compressed to move the piston body 210 upward,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head 240. As a result, the tapered bar 436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operation head 240 ascends and positions the ball valve lever 434 above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valve body 431.

이때, 볼밸브래버(434)와 일단이 연결된 회전축(432b)이 밸브볼(432)을 회전시킨다.At this time, the rotary shaft 432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ll valve lever 434 rotates the valve ball 432.

여기서, 밸브볼(432)은 공기흡입구(432c)가 밸브바디(431)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하고, 공기흐름구(432a)가 밸브바디(431)의 양측에 관통 형성된 공기홀에 연통한다. Here, the valve ball 432 makes the air inlet 432c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431, and the air flow port 432a communicates with the air holes penetrated through both sides of the valve body 431.

즉, 밸브볼(432)은 회전축(432b)을 중심으로 밸브바디(431)의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흐름구(432a)를 통과하여 배출구(412)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영차 제동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valve ball 432 rotates inside the valve body 431 about the rotation shaft 432b,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1 passes through the air flow port 432a to the outlet 412. It is possible to move so that zero-braking is achieved.

그리고 공기흡입구(432c)가 밸브바디(43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출 없이, 공기의 흐름이 관통된다.In addition, the air inlet 432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valve body 431, whereby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without the air flowing o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In add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subject innova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belong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

10 :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100 : 하우징
110 : 바디
120 : 밀폐판
130 : 연장부
131 : 홀
200 : 피스톤부
210 : 피스톤본체
220 : 보조피스톤
230 : 스프링
240 : 작동해드
241 : 보조체
300 : 감지봉
400 : 볼밸브부
410 : 케이싱
411 : 유입구
412 : 배출구
420 : 수용부
430 : 밸브본체부
431 : 밸브바디
432 : 밸브볼
432a : 공기흐름구
432b : 회전축
433 : 연결구
434 : 볼밸브레버
435 : 베어링
435a : 상부베어링
435b : 하부베어링
436 : 테이퍼바
437 : 배기구
10: load valve for railway vehicles
100: housing
110: body
120: sealing plate
130: extension part
131: hall
200: piston part
210: piston body
220: auxiliary piston
230: spring
240: working head
241: auxiliary
300: detection rod
400: ball valve unit
410: casing
411: inlet
412 outlet
420: receiving part
430: valve body
431: Valve Body
432: Valve Ball
432a: airflow sphere
432b: axis of rotation
433 connector
434: Ball valve lever
435: Bearing
435a: Upper bearing
435b: Lower bearing
436 taper bar
437 exhaust port

Claims (7)

접지판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는 감지봉;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주공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관통시키는 볼밸브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A housing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iston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move up and down;
A sens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part and moves up and down in correspondence with a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part;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piston, and includes a ball valve for blocking and penetrating the flow of air from the main air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페하며,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밀폐판; 및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고, 상기 밀폐판의 하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Hollow cylindrical body;
A plate-shaped sealing plate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tubular extens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and extending vertically in one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밀폐판의 상측까지 상하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본체;
상기 피스톤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피스톤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보조피스톤;
상기 보조피스톤의 상면 및 상기 밀폐판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본체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작동해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piston part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late, the piston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th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body;
A cylindrical auxiliary pist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and formed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pisto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A spring position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st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to control the shank movement of the piston body;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body and includes an operating head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부는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여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납되고,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본체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 valve unit
A rectangular box-shaped ca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at a top portion of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includes a valve body for controll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각각 공기홀이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을 관통하는 공기흐름구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한 구 형상의 밸브볼;
상기 회전축이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 일측이 관통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볼밸브레버;
상기 볼밸브레버의 일측에 한 쌍으로 연장된 연장바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베어링 및 하부베어링으로 형성된 베어링; 및
일측이 상기 하부베어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해드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해드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연동하는 테이퍼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볼은 상기 공기흐름구의 중앙으로부터 교차되는 수평선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4,
The valve body portion
A valve body seated on the receiving part and having air hol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A spherical valve ball having an air flow port which is accommoda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penetrates one side and a rotation shaf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A connector through which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body is pass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exposed;
A ball valve le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 through the connector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bearing formed of an upper bearing and a lower bearing formed at one end of a pair of extension bars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all valve lev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ring,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working head includes a taper bar interlocked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orking head,
The valve b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inlet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from the center of the air flow port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감지봉이 상기 접지판에 접지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피스톤본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작동해드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퍼바와 연결된 상기 볼밸브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밸브볼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of claim 5,
The valve body portion
When the sensing rod is grounded to the ground plate, the spring is compressed so that the piston body moves upward to move the operation head upward, so that the ball valve lever connected to the taper ba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us the valve ball. It rotates to move the air flow, characterized in that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 타측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밸브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밸브볼의 회전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볼 내부에 잔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응하중 밸브.
The method of claim 6,
The valv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port formed through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The exhaust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air remaining in the valve ball when the air flowing into the valve body through the inlet is b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valve ball
Load-bearing valve for railway vehicles.
KR2020180001782U 2018-04-23 2018-04-23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KR2004910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82U KR200491028Y1 (en) 2018-04-23 2018-04-23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82U KR200491028Y1 (en) 2018-04-23 2018-04-23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22U true KR20190002722U (en) 2019-10-31
KR200491028Y1 KR200491028Y1 (en) 2020-02-07

Family

ID=6838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82U KR200491028Y1 (en) 2018-04-23 2018-04-23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28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76Y1 (en) * 2002-04-01 2002-07-13 오세중 Load sensing valve of railway vehicle
KR200295244Y1 (en) * 2002-08-23 2002-11-18 안원기 diaphragm type load detectable valve for damping device of train
KR200389415Y1 (en) * 2005-04-13 2005-07-14 이정우 weighing valve for railway vehicle
KR100796242B1 (en) * 2005-08-01 2008-01-21 김태수 Load sensing valve
KR101546943B1 (en) 2014-03-27 2015-08-2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76Y1 (en) * 2002-04-01 2002-07-13 오세중 Load sensing valve of railway vehicle
KR200295244Y1 (en) * 2002-08-23 2002-11-18 안원기 diaphragm type load detectable valve for damping device of train
KR200389415Y1 (en) * 2005-04-13 2005-07-14 이정우 weighing valve for railway vehicle
KR100796242B1 (en) * 2005-08-01 2008-01-21 김태수 Load sensing valve
KR101546943B1 (en) 2014-03-27 2015-08-2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28Y1 (en)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9543A (en) Vented ball type angle cock
CN106481613B (en) A kind of machine liquid dual fail-safe locked hydraulic cylinder
JPH0332457Y2 (en)
KR200491028Y1 (en)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US6352315B1 (en) Load dependent braking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CN106427954B (en) Automatic braking control device
CN105882679A (en) Railway brak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braking method of railway vehicle with same
CN205956522U (en) Altitude valve
US4648661A (en) Empty and load valve for a railroad car brake system
KR100773173B1 (en) Variable load valve for railway rolling stock
JP2000344099A (en) Height adjusting device of air spring for rolling stock
US1260246A (en) Valve.
CN207569283U (en) A kind of steam-extracting type speed closes non-return valve
KR200229986Y1 (en) Control valve of a diaphragm type for a braking device for goods trains
KR101546943B1 (en) Load compensation valve for railway vehicle
US1449947A (en) Power-reverse gear for steam engines
CN200985023Y (en) Hand-control valve
KR100306431B1 (en) Barking system for freight train
KR200280776Y1 (en) Load sensing valve of railway vehicle
US1905625A (en) Conservation valve
RU2301165C1 (en) Angle cock
KR102335103B1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railway cars
CN203797038U (en) Novel assembled tipping valve
JP7453550B2 (en)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railway vehicle
KR20000011357U (en) Wa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