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91U - Complex fishing float - Google Patents

Complex fishing fl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91U
KR20190002691U KR2020180001733U KR20180001733U KR20190002691U KR 20190002691 U KR20190002691 U KR 20190002691U KR 2020180001733 U KR2020180001733 U KR 2020180001733U KR 20180001733 U KR20180001733 U KR 20180001733U KR 20190002691 U KR20190002691 U KR 201900026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groove
floating body
bobber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848Y1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식 filed Critical 신광식
Priority to KR2020180001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48Y1/en
Publication of KR20190002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9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복합 낚시찌가 개시된다. 복합 낚시찌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와, 부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은 부유체의 삽입홈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Composite fishing bobbin is disclosed. The composite bobber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floats on the outer surface of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 detachable coupling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body, and a main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ating body.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Here, the fishing line may be wound around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loat.

Description

복합 낚시찌{COMPLEX FISHING FLOAT}Compound fishing bobber {COMPLEX FISHING FLOAT}

본 고안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낚시찌를 용이하게 수면 상에 위치시키는 복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shing bobber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easily positioning the fishing bobber on the water surface.

현대사회에 접어들며 일상생활에 지친 직장인들이나 마음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여가활동이나 여행, 레저 활동 등의 다양한 레포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낚시를 취미로 즐기는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number of office workers who are tired of daily life and people who want to relax in the modern society and the various sports industry such as leisure activities, travel, and leisure activities to relieve stress have increased, the population enjoying fishing as a hobby has also increased. The trend is.

일반적으로, 낚시찌란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힘은 물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행동패턴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하며,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지를 판별케 한다.In general, fishing bobber is to keep the buoyancy and bait sinking to the floo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buoyancy, as well as to convey the quality of the meat delivered on the fishing line, depending on the terrain or the behavior pattern of the fish, and also go up into the water. Also, when you take the depth of the water, you can also serve as a ruler to determine whether the bumper touches the floor or if it is caught by a second or an obstacle.

한편, 낚시찌는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적절하게 던져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낚시줄이 연결된 낚시찌를 낚시줄이 엉키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shing bobber needs to be properly thrown by the user to the fishing position of the water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position the fishing bobber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in a state where the fishing line is not tangled.

공개특허공보 10-2018-0015345Published Patent Publication 10-2018-001534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낚시찌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던져 낚시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복합 낚시찌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fishing bobber that can be easily positioned in the fishing position tossing the fishing bobber in the user's hand grip.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와, 부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은 부유체의 삽입홈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ing groove having an insertion groove, detachable coupling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rod on the fishing rod It includes a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to be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Here, the fishing line may be wound around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loat.

삽입홈은, 부유체의 표면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감기는 제1 홈과, 제1 홈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제1 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the first groove in which the fishing line is wound, and the second groove in which the fishing line extends from the first groove and is wound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groove. It may include.

부유체는 찌부가 결합된 표면에 야광 코팅될 수 있다.The float may be luminous coated on the surface to which the tail is bound.

찌부는, 부유체의 상측에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낚시찌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i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shing bobbin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

연결체는 제2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ody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uni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찌의 부유체의 외표면 둘레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것으로, 낚시찌를 용이하게 Ы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rowing a fishing line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of the float to the fishing position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position the bobber in the Ы position, the user satisfaction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의 표면이 야광 코팅되어 야간 낚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s luminous coated, so it is easy to identify even at night fishing,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발신부가 설치되어, 수온, 수심 등을 사용자가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낚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is installed, the user can receive the water temperature, depth, etc.,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ishing convenience.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낚시찌에 낚시줄이 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shing line is loosened in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of FIG. 1.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i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restrictiv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낚시찌에 낚시줄이 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of Figure 1, Figure 3 is a composite fishing bobber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fishing lines are loosened,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osite fishing bobber i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100)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10)와, 부유체(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20)와, 부유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18)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31)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33)를 포함하는 연결체(30)를 포함하고, 낚시줄(14)은 부유체(10)의 삽입홈(12)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with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0 Detachable coupled to the upper side protruding portion 2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and the fishing lin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10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18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It includes a connecting body 30 includ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33 to be connected, the fishing line 14 may be unwindable to the insertion groove 12 of the floating body (10).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낚시찌(100)는 수면에 부유하며 물에 안정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찌부의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야간에도 위치 확인이 용이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omposite fishing bobber 100 to be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fishing bobber that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an be stably obtained in water, the size of the bobber can be adjusted and the location can be easily checked even at nigh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부유체(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위치시키고자 하는 수면 위치에 던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loating body 10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throw it in a sleeping position to be positioned by using a hand.

부유체(10)는 수면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부유체(10)는 PE 또는 PP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면에 부유하는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loating body 1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so as to float on the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that is formed of polyethylene (PE, PE) or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material. However, the floating body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E or PP material,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to a predetermined material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부유체(10)는 외표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각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floating body 10 exemplarily illustrates tha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r all of the outer surface is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to the polygonal shape.

부유체(10)는 수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외표면에 야광 코팅(11)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야간 낚시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 식별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Floating body 10 may be luminous coating 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water surface. Therefore, even at night fishing,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이러한 부유체(10)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0.

삽입홈(12)은, 부유체(10)의 표면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14)이 감기는 제1 홈(12a)과, 제1 홈(12a)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14)이 제1 홈(12a)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는 제2 홈(1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2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0 and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12a on which the fishing line 14 is wound an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groove 12a. The fishing line 14 may include a second groove 12b that extends from the first groove 12a and winds.

제1 홈(12a)은 부유체(10)의 폭 방향의 둘레를 따라 부유체(10)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roove 12a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oove 12a is drawn into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

이러한 제1 홈(12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연결체(30)에 연결된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될 수 있다. The fishing line 1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wound inside the first groove 12a.

이와 같이, 제1 홈(12a)을 따라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는 것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제1 홈(12a)의 내부에 낚시줄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이 제1 홈(12a)으로부터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fishing line 14 is wound around the first groove 12a is positioned in the first state without fishing, the fishing line is wound inside the first groove 12a and the user When the fluid 10 is thrown into the fishing position, the fishing line is to be released from the first groove 12a.

제2 홈(12b)은 제1 홈(12a)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홈(12a)과 직교한 상태로 부유체(10)의 길이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12b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first groove 12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groove 12b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first groove 12a. Can be.

이러한 제2 홈(12b)에는 제1 홈(12a)으로부터 연장되는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shing line 14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12a is wound around the second groove 12b.

이와 같이, 제2 홈(12b)을 따라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는 것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제2 홈(12b)의 내부에 낚시줄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이 제2 홈(12b)으로부터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fishing line 14 is wound around the second groove 12b is positioned in the initial state of not fishing, keeping the fishing line wound inside the second groove 12b and the user When the fluid 10 is thrown into the fishing position, the fishing line is to be released from the second groove 12b.

즉, 낚시줄(14)은 제1 홈(12a)과 제2 홈(12b)에 순차적으로 감긴 상태이고, 사용자가 낚시를 실시하기 위해 부유체(10)를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풀리도록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fishing line 14 is in a state of being sequentially wound in the first groove 12a and the second groove 12b, so that when the user throws the float 10 to the fishing position of the water surface for fishing, Can be connected.

따라서, 낚시줄(14)은 부유체(10)의 둘레에 제1 홈(12a)과 제2 홈(12b)에 수직 및 수평으로 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부유체(10)를 낚시줄(14)과 일체로 낚시 위치로 용이하게 던지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fishing line 14 may be wou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the first groove 12a and the second groove 12b around the floating body 1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throw the float 10 into the fishing position integral with the fishing line 14.

한편, 부유체(10)의 상측에는 찌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20 of the float 10 may be detachably coupled.

찌부(20)는 부유체(10)의 상측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돌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jaw portion 20 may be fixed to protrud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 (10).

즉, 찌부(20)는 일단은 부유체(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부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the tail 2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floating body 10 by screwing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may extend in a state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10.

이와 같이, 찌부(20)가 부유체(10)의 외부에 복수개가 돌출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은, 파도의 높이에 따라 찌부(20)의 돌출된 길이를 달리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way, the teeth 20 are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lengths of the floating body 10 can be adjusted in order to var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teeth 2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ves.

즉, 파도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이면 찌부(20)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고, 파도의 높이가 일정 높이 미만이면 찌부(20)의 길이를 보다 짧게 연결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height of the wav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height, the length of the tailings 20 may be extended, and if the height of the wave is less than a certain height, the length of the tailings 20 may be shorter.

이와 같이 찌부(20)는 파도의 높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용이한 바, 사용자의 낚시 숙련도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length 20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fishing skill of the user.

한편, 부유체(10)의 하부에는 연결체(30)가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body 30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10).

연결체(30)는 부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바디(31)와 연결 바디(31)에 돌출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18)과, 낚시줄(14)이 연결되는 연결 고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16은 추를 말한다.The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10 and the connection body 31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8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31 and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and the fishing line 14 is connected to It may include a link ring (33).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weight.

이러한 낚시줄(14)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체(10)의 제1 홈(12a)과 제2 홈(12b)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shing line 14 may b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shing line 14 is wound around the first groove 12a and the second groove 12b of the floating body 1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낚시줄(14)은 사용자가 부유체(10)를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14)에 연결된 낚시추(16)의 자중에 의해 수면의 하부로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풀릴 수 있다.And, when the fishing line 14 throws the float 10 to the fishing position of the water surface, the fishing line 14 is extended to a long length below the water surface by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 16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14 Can be solved with

한편, 낚시줄(14)이 부유체(10)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낚시줄(14)이 꼬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shing line 14 may be twisted in the process of the fishing line 14 is released from the float (10).

따라서, 연결체(30)는 부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14)이 부유체(10)로부터 풀리는 과정에서 낚시줄(14)이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connecting body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ating body 10 so that the fishing line 14 can be stably released without being twisted in the process of the fishing line 14 being released from the floating body 1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낚시찌(100)는, 부유체(10)의 외표면 둘레에 낚시줄(14)을 감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것으로 용이하게 낚시찌를 낚시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shing bobbin is easily thrown into the fishing position by the user while the fishing line 14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10 to the fish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loc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아울러,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의 표면이 야광 코팅되어 야간 낚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0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luminous coating is easy to identify even at night fish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4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200)의 부유체(110)는 상부 부유체(111)와 하부 부유체(113)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일부 교체 필요시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floating body 110 of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n upper floating body 111 and a lower floating body 113. . Therefore, the floating body 110 can be easily responded when necessary for some replacement.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5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300)의 부유체(10)에는 초음파 발신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ing unit 210 may be installed in the floating body 10 of the composite fishing bobb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초음파 발신부(210)는 수온, 수심 등을 사용자의 RF 수신기 등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가 낚시 정보를 수신하여 낚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ultrasonic transmitter 210 may transmit the water temperature, the water depth, etc. to the RF receiver of the user, and thus the user may further receive the fishing information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fishing.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practic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10...부유체 11...야광 코팅
12...삽입홈 12a..제1 홈
12b..제2 홈 14...낚시줄
20...찌부 16...추
18...메인 라인 30...연결체
31...연결 바디 33...연결 고리
111..상부 부유체 113..하부 부유체
10 ... Fluid 11 ... Luminous coating
12.Insert groove 12a..1st groove
12b..Second groove 14 ... Fishing line
20 ... Chibu 16 ... Chu
18 ... main line 30 ... connector
31 ... Connection body 33 ... Connection
111..Top Float 113 .. Bottom Float

Claims (5)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은 상기 부유체의 상기 삽입홈에 풀림 가능하게 감기는. 복합 낚시찌.
A floating bod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Chibu protrud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body;
A coupl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the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 main line connected to a fishing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 fishing line;
Including,
The fishing line is releasably wound 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loat. Compound Bob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부유체의 표면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감기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상기 제1 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는 제2 홈;
을 포함하는, 복합 낚시찌.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groove,
A first groov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a surface of the float to wind the fishing line;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staggered in the first groove so that the fishing line extends from the first groove and winds;
Including, composite bob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찌부가 결합된 표면에 야광 코팅되는, 복합 낚시찌.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at is coated with luminous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bobbin, composite fishing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찌부는, 상기 부유체의 상측에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낚시찌를 포함하는, 복합 낚시찌.
The method of claim 1,
The bobbin, composite fishing bob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shing bobbin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2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합 낚시찌.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rotatable composite bob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KR2020180001733U 2018-04-19 2018-04-19 Complex fishing float KR2004908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en) 2018-04-19 2018-04-19 Complex fishing 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en) 2018-04-19 2018-04-19 Complex fishing flo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91U true KR20190002691U (en) 2019-10-29
KR200490848Y1 KR200490848Y1 (en) 2020-01-13

Family

ID=6838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en) 2018-04-19 2018-04-19 Complex fishing fl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4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U (en) * 2001-12-26 2002-07-05 寛 池間 Stick uki
KR20060032179A (en) * 2006-03-24 2006-04-14 황영섭 New casting float carrying the rig on its back, the method of using the foresaid casting float, and the fishing method using the foresaid new casting float
KR20180015345A (en) 2016-08-03 2018-02-13 주진미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B2 (en) * 1989-03-20 2000-09-11 コニカ株式会社 A processing method for a silver halide black-and-white light-sensitive material which enhances water saving efficiency and enables excellent antistatic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U (en) * 2001-12-26 2002-07-05 寛 池間 Stick uki
KR20060032179A (en) * 2006-03-24 2006-04-14 황영섭 New casting float carrying the rig on its back, the method of using the foresaid casting float, and the fishing method using the foresaid new casting float
KR20180015345A (en) 2016-08-03 2018-02-13 주진미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48Y1 (en)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en) Sinker for rising float fish-hook
KR200477222Y1 (en) Fishing tackle with a multi-divisional weight
KR102436202B1 (en) Anti-tangling fishing tackle
US8832991B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float
US7730658B1 (en) Fishing lure with improved tail
US4785572A (en) Combined sinker and fishing lure
US5943811A (en) Airetail fishing lure
KR200490848Y1 (en) Complex fishing float
US6581320B1 (en) Tube weight lure apparatus
US20130247445A1 (en) Fishing Lure
KR100982541B1 (en) A fishing weight
US6519894B1 (en) Tangle-free fishing line assembly
US3395480A (en) Fish hooks and lures
US20090100740A1 (en) Triangular shaped cedar plug fishing lure and method
US20060096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fishing bait
CN103975908B (en) A kind of fishing net
KR102175432B1 (en) Fishing tackle
JP3519730B1 (en) Fishing gear
KR100626728B1 (en) Fishing tackle
US10806132B2 (en) Fish lure
CN209121041U (en) A kind of band telescopic pole of reel by magnetic pickup lift pole electric ship
KR200393094Y1 (en) Float for Fishing
KR102160856B1 (en) Semi-independent carbon fishing tackle
CN202232621U (en) Multipurpose hollow handline rod
KR100479178B1 (en) A fishing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