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59U -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 Google Patents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59U
KR20190002559U KR2020180001501U KR20180001501U KR20190002559U KR 20190002559 U KR20190002559 U KR 20190002559U KR 2020180001501 U KR2020180001501 U KR 2020180001501U KR 20180001501 U KR20180001501 U KR 20180001501U KR 20190002559 U KR20190002559 U KR 20190002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ir
wired
blower
s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성원
장경옥
Original Assignee
금성원
장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원, 장경옥 filed Critical 금성원
Priority to KR2020180001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59U/ko
Publication of KR20190002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전력 공급을 위한 SMPS 모듈의 전압공급라인과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SMPS 모듈 및 상기 배터리가 동시에 투광기 및 송풍기로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SMPS 모듈의 출력 전압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이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암수 커넥터의 결합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air signboard using wired AC power supply and wireless battery power supply}
본 고안은 에어 간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 전원 및 배터리 전원 모두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에어 간판에 관한 것이다.
에어 간판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기체로 에어 튜브를 팽창시키고 에어 튜브에 인쇄된 광고문구나 사진 등에 빛을 조사하여 시간이나 장소에 제약없이 광고 효과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에어 간판은 건물 내부에서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데 이를 위한 전선이 인도나 도로를 통하여 에어 간판에 연결되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고 미관 역시 좋지 않다.
그리고 기존의 에어 간판은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출력의 투광기와 송풍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전력 소비도 많은 단점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에어 간판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에어 간판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그 사용시간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에어 간판은 사용자가 교류 전원 공급을 위한 코드 연결을 직접 해야 하거나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시키고 에어 간판에 연결해야 하는 점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양자 모두 낮에는 불필요한 투광기를 사용자가 직접 꺼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전력 소비가 적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그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에어 튜브; 상부 외주면에 상기 에어 튜브가 고정되며, 수축된 상기 에어 튜브가 내부에 수납되며, 팽창된 상기 에어 튜브를 지지하는 상부 개방 틀 형태의 케이스; 상기 에어 튜브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투광기; 상기 에어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송풍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 및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MPS 모듈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SMPS 모듈 및 상기 배터리가 동시에 상기 투광기 및 송풍기로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SMPS 모듈의 출력 전압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은,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암수 커넥터의 결합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정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 혼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암수 커넥터는, 각각이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는 2개의 커넥팅 세트; 및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1개의 커넥팅 세트를 포함하는,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3구 암수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및 미리 정해진 등록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등록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교류 전원에 기초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단말기로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SMPS 모듈의 직류전압 출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SMPS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미리 정해진 등록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SMPS 모듈 및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어, 유선 에어 간판과 무선 에어 간판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에어 간판에 비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사용자는 직접 에어 간판을 조작하지 않고 등록단말기를 통하여 에어 간판의 동작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실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120)의 전압공급라인의 3구 커넥팅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스위칭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알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등록단말기를 통한 동작 상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의 동작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실제 구성도이다.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에어 튜브(101), 케이스(102), SMPS 모듈(110), 배터리(120), 스위칭 모듈(130), 제어부(140), 송풍기(150), 투광기(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에어 튜브(101)는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는 상부 외주면에 상기 에어 튜브(101)가 고정되며, 수축된 상기 에어 튜브가 내부에 수납되며, 그 무게로 팽창된 상기 에어 튜브(101)를 지지하는 상부 개방 틀 형태를 가진다.
상기 투광기(160)는 상기 에어 튜브(101)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상기 송풍기(150)는 상기 에어 튜브(101)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110)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SMPS 모듈(110)은 열 발생이 거의 없고 전력 효율이 높으면서도 부피가 적은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기존의 일반적인 유선 에어 간판에 비하여 전력 효율이 높고 과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가벼운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로 직접적으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SMPS 모듈(110)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배터리(120)의 전압공급라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결 구조로 인하여 상기 SMPS 모듈(110) 및 상기 배터리(120)가 동시에 상기 투광기(160) 및 송풍기(150)로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MPS 모듈(110)의 출력 전압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20)가 충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향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상기 배터리(120)의 전압공급라인은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SMPS 모듈(110)의 전압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암수 커넥터의 결합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20)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SMPS 모듈(110)의 전압공급라인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정합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을 잘못 연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스위칭 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서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및 결정은 상기 스위칭 모듈(13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 모듈(130)은 상기 SMPS 모듈(110)에 교류전원 자체를 결정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자제어 가능 스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 시켜야 하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70)는 미리 정해진 등록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SMPS 모듈(110) 및/또는 상기 배터리(120)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기능의 구체적인 예들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등록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교류 전원에 기초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단말기로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알람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이 부족한 것을 인지한 다음,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교류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을 구동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류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 함은 교류 전원의 인가를 위한 코드가 빠져있는 상태 또는 교류전원은 인가되고 있으나 상기 SMPS 모듈(110)의 동작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들은 상기 스위칭 모듈(130)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송풍기(150)의 전력 공급원을 상기 SMPS 모듈(110)로 할 것인지 상기 배터리(120)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상기 스위칭 모듈(13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실제 구성도이다.
SMPS 모듈(110)은 220V 교류전압을 공급받아 12V 직류전압을 발생하여 투광기(160) 및 송풍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12V 직류전압을 바로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MPS 모듈(110)과 상기 배터리(120)의 전력공급라인은 전선결합수단(11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로의 전력 공급은 상기 SMPS 모듈(110) 및 배터리(120)에 의하여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20)가 상기 SMPS 모듈(110)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는 전압공급라인은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3구 커넥터(18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커넥팅 방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20)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잘못 연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120)의 전압공급라인의 3구 커넥팅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배터리(120)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된 전선 1개는 3구 암커넥터(181)의 제1 홀(181A)에 연결되며, 플러스 단자에 연결된 2개의 전선은 상기 3구 암커넥터(181)의 제2 및 제3 홀(181B 및 18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3구 암커넥터(181)의 제1 홀(181A)은 3구 수커넥터(182)의 제1 돌출부(182A)에 결합되며, 상기 3구 암커넥터(181)의 제2 및 제3 홀(181B 및 181C)은 3구 수커넥터(182)의 제2 및 제3 돌출부(182B 및 183C)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3구 수커넥터(182)의 제1 돌출부(182A)는 상기 SMPS 모듈(110)의 마이너스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3구 커넥터(182)의 제2 및 제3 돌출부(182B 및 182C)는 상기 SMPS 모듈(110)의 플러스 라인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터리(120) 및 상기 SMPS 모듈(110)의 플러스/마이너스의 방향이 정합된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상기 3구 암수 커넥터(180)는 각각이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는 2개의 커넥팅 세트와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1개의 커넥팅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구 암수 커넥터(180)는 결합 세트가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되어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120)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잘못 연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송풍기(150)가 2개 마련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풍기의 개수는 에어 튜브의 부피나 송풍기의 성능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참고로 도 3의 예에서는 앞서 살펴본 제어부나 통신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도 3의 예에서는 스위칭 모듈(130)이 기계적 조작에 의하여 온/오프된느 하나의 스위치(130A)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30A)는 상기 투광기(160)의 마이너스 단자와 상기 배터리(120) 및 상기 SMPS 모듈(110)의 마이너스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30A)를 오프시키면, 상기 SMPS 모듈(110) 및/또는 배터리(120)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여도 상기 투광기(160)의 동작이 차단된다. 이러한 스위치(130A)는 상기 송풍기(150)는 동작시키되 상기 투광기(16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낮에는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의 예와 달리, 이러한 스위치(130A)의 기능은 전자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제어부가 온/오프시킴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스위칭 모듈(13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스위칭 모듈(130)은 SMPS 모듈(110)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SW1), 배터리(120)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 송풍기(150)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치(SW3) 및 투광기(160)와 연결되는 제4 스위치(SW4)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 각각은 제어부(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에 대한 온/오프 조절에 기초하여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상기 송풍기(150) 및 상기 투광기(160)에 대한 전력공급으로 상기 SMPS 모듈(110) 및 상기 배터리(1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투광기(160)와 상기 송풍기(15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스위칭 모듈(130)에는 상기 SMPS 모듈(110)에 대한 교류전원의 공급 자체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위칭 소자들은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힘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들일 수도 있고,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들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간에 사용자는 이러한 스위치들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알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이 미리 정해져 있는 등록단말기(200)와 통신부(170)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 결과, 상기 등록단말기(200)에서 배터리 부족 알람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등록단말기(200)를 통하여 제공되는 알람은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 표시, 진동 알람, 음성 메시지 출력 등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알람을 인지한 다음 상기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을 개시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배터리(120)와 동일한 직류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배터리(120)와 전력공급라인이 서로 연결된 SMPS 모듈(110)의 직류전압 출력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SMPS 모듈(110)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SMPS 모듈(110)의 직류전압 출력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 있는 스위칭 모듈(130)에 대한 제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등록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버튼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발생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MPS 모듈(110)의 직류전압 출력을 활성화시키를 수 있는 스위치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SMPS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등록단말기(200)를 통한 동작 상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등록단말기(200)에는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결과는 상기 등록단말기(200)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GUI를 통한 터치를 통하여, 사용자는 SMPS 모듈(110)를 통한 전력공급 여부(AC 버튼 조작), 배터리(120)를 통한 전력공급 여부(BAT 버튼 조작), 송풍기(150)의 동작 여부(WIND 버튼 조작), 투광기(160)의 동작 여부(LIGHT 버튼 조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버튼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단말기(200)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로 전송하면,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모듈(130)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13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160) 및 상기 송풍기(150)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등록단말기로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양자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초하여 각종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등록단말기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PC,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고, 양자 사이의 통신 방식 역시 근거리 무선 통신 이외에 이동통신망을 통한 근거리 통신, 유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등일 수도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사용자가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을 하지 않고도,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등록단말기를 통한 조작을 통하여 원격으로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에어 간판(100)의 동작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작상태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하여 등록단말기(200)로 제공한다(S100). 상기 통신부(170)의 통신 방법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40)는 배터리(120)의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10). 만약 그렇다고 판단되면(YES),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단말기(200)로 상기 배터리(120)의 부족을 알리는 알람기능을 수행한다(S120). 이러한 알람기능은 배터리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음성 메시지의 출력, 진동 발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70)를 통하여 상기 등록단말기(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30). 만약,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40). 이러한 배터리(120) 충전은 SMPS 모듈(110)의 직류전압 출력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SMPS 모듈(110)의 직류전압 출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프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를 온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 있다.
한편, 기존에도 교류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기와 투광기를 포함하며, 무선 겸용을 위하여 배터리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송풍기와 투광기로 공급하는 방식의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이 있었으나, 이는 전력 소비 효율이 매우 낮다. 이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100)은 SMPS 모듈(110) 및 배터리(120)를 이용하여 송풍기(150)와 투광기(160)로 바로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기존의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에 비하여 전력 소비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101: 에어 튜브
102: 케이스 110: SMPS 모듈
120: 배터리 130: 스위칭 모듈
140: 제어부 150: 송풍기
160: 투광기 170: 통신 모듈
200: 등록단말기

Claims (5)

  1.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에어 튜브;
    상부 외주면에 상기 에어 튜브가 고정되며, 수축된 상기 에어 튜브가 내부에 수납되며, 팽창된 상기 에어 튜브를 지지하는 상부 개방 틀 형태의 케이스;
    상기 에어 튜브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투광기;
    상기 에어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송풍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 및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로 직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SMPS 모듈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SMPS 모듈 및 상기 배터리가 동시에 상기 투광기 및 송풍기로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SMPS 모듈의 출력 전압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은,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암수 커넥터의 결합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SMPS의 전압공급라인의 플러스/마이너스 방향이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커넥터는,
    각각이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는 2개의 커넥팅 세트; 및
    하나의 전선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1개의 커넥팅 세트를 포함하는, 결합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는 3구 암수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및
    미리 정해진 등록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등록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교류 전원에 기초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단말기로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SMPS 모듈의 직류전압 출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시킴으로서 상기 SMPS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은,
    상기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미리 정해진 등록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송풍기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KR2020180001501U 2018-04-04 2018-04-04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KR201900025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01U KR20190002559U (ko) 2018-04-04 2018-04-04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01U KR20190002559U (ko) 2018-04-04 2018-04-04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59U true KR20190002559U (ko) 2019-10-14

Family

ID=6816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01U KR20190002559U (ko) 2018-04-04 2018-04-04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61B1 (ko) * 2021-08-11 2022-02-08 염종희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갖는 에어 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61B1 (ko) * 2021-08-11 2022-02-08 염종희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갖는 에어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8564T3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carga de tipo tramo de cable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l mismo
KR20190002559U (ko) 유무선 겸용 에어 간판
US10070494B1 (en) Dimming switch device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operation events thereof
CN104661412B (zh) 智能调光照明系统及其辅遥控器和灯具的控制方法
CN210868256U (zh) 一种灯具以及灯具控制系统
KR101039580B1 (ko) 스마트 조명 제어 스위치 장치 및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CN209196698U (zh) 应急照明系统
JP4034273B2 (ja) 電気機器から電源供給を受ける通信アダプタ
CN207706486U (zh) 一种调光控制器及调光控制系统
CN203416452U (zh) Led灯具及存储卡
CN101908756A (zh) 一种充电保护器
US9093858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illumination driving method
CN206311694U (zh) 一种裸眼3d集成系统
CN105222353B (zh) 一种热水器、热水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78599B1 (ko) 외부기기 제어를 위한 콘센트
KR101020663B1 (ko) 보행자 작동 신호기 겸용 음향 신호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2390163U (zh) 一种快速拼接灯条
KR20150025094A (ko) 발광 케이스
CN205847683U (zh) Led控制器及led灯具
KR20160136641A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54907B1 (ko) 엘이디 광고대
CN214592089U (zh) 一种基于wifi的出门忘关灯提醒装置
CN112332468B (zh) 投影系统及投影系统的无线充电方法
KR20100007253A (ko) 노트북 컴퓨터 충전 겸용 휴대전화 충전 장치
CN108828964A (zh) 一种基于计算机的实验室场所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