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08U -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08U
KR20190002508U KR2020180001363U KR20180001363U KR20190002508U KR 20190002508 U KR20190002508 U KR 20190002508U KR 2020180001363 U KR2020180001363 U KR 2020180001363U KR 20180001363 U KR20180001363 U KR 20180001363U KR 20190002508 U KR20190002508 U KR 20190002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wet
hous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여한
강현택
이엘림
Original Assignee
이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여한 filed Critical 이여한
Priority to KR2020180001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08U/en
Publication of KR20190002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0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17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습식 필터패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회전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공기를 유통시켜 정화하되,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토출 방향을 가변 작동시킴으로써 고효율 공기 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a plurality of wet filter pad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edge of the cylindrical housing, the inner rotary blades to distribute the air through the cut formed in the upper and side of the hous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that purifies, but achieves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by varying the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area.

Description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습식 필터패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회전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공기를 유통시켜 정화하되,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토출 방향을 가변 작동시킴으로써 고효율 공기 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wet filter pads are instal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cylindrical housing, the internal rotary blades through the incision formed on the upper and side of th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which can purify by distributing the gas in a circulating manner and varying the discharge dire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air purifying region.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폐쇄된 공간 내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공기 정화장치는 일반적으로 필터를 이용한 방식 또는 전기 집진방식으로 구분된다.As is well known, air purifiers for removing impurities in air and for cleaning air in an enclosed space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filter type or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를 빨아들여 이를 여과하는 방식이지만, 먼지가 필터에 퇴적됨에 따라 공기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화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lthough the method of sucking dust in the air by using a filter and filtering the dust, as the dust is deposited on the filter, the air resistance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전기 집진방법은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전리된 공간을 통과시키면서 집진부의 전극에 부착시키는 방식이지만, 전기 집진방식 또한 전극에 여과 물질이 쌓이면,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아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is a method of attaching dust in the air to the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while passing through the ionized space, but also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when the filtering material is accumulated on the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no spark is generated. .

또한, 축척된 여과물질에 의해 흡착력이 감소됨으로 먼지가 다시 공기 중에 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등록특허공보 10-1010559호 습식 공기정화장치의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기술은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에 워터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워터필터로 공기가 통과할 때 공기 중의 함유된 오염물질을 물과 함께 워터필터에 흡착되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장치이다.In addition, since the adsorption force is reduced by the accumulated filtration material, a problem occurs in that dust is dispersed in the air again. Accordingly, Patent Application No. 10-1010559 has proposed a technique of a wet air purify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water filter in a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and removes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when air passes through the water filter. It is adsorbed on water filter together with water to purify pollutants in air.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은 많은 양의 공기 유입시 실내 전체 공기의 지극히 일부만이 겨우 정화되게 되므로, 완벽한 공기 정화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러다보니 실내 공간이 큰 경우에는 공기 정화를 위해 대형의 공기 정화기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only a small part of the entire indoor air is only purified when a large amount of air is introduc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erform a perfect air purification function. Even when using the air purifier of the energy efficiency was very low.

즉,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공기 정화 효율이 높은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having a high air purification efficiency while using relatively little energy.

대부분의 종래의 공기 정화효율이 감소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흡기 옵션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더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겠으나, 종래의 공기 정화장치들은 전혀 그러한 주변 환경 적응형 구조가 아니므로 높은 정화효율을 기대할 수 없었다.Although most of the conventional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reduced, various intake options are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ng environment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area, and higher efficiency can be expected through this, but conventional air purification The devices were not at all such an environment-adaptive structure, so high purification efficiency could not be expect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습식 필터패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회전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공기를 유통시켜 정화하되,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토출 방향을 가변 작동시킴으로써 고효율 공기 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plurality of wet filter pad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the rotary blades inside the air through cutouts formed at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hous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device that can achieve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by varying the discharge dire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are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 1, 2 절개부(6, 8)가 측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상부에 설치되고, 낙하시킬 정화수를 저장하면서 하면 소정부에 다수의 낙하공이 형성된 상부 저수조(10)와; 상기 하우징(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된 정화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하부 저수조(12)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되되, 하부에 설치된 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32)와; 리턴호스(24)를 매개하여, 하부 저수조(12)의 정화수를 상부 저수조(10)로 이동시키는 워터펌프(26)와; 상기 제 1절개부(6)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되는 정화수에 의해 습식상태를 유지하는 습식 필터패드(14)와;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모터(30)의 회전방향을 가변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6 and 8,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 are formed on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4); An upper reservoir 1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 and having a plurality of drop hol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thereof while storing purified water to be dropped; A lower reservoir 12 installed under the housing 4 for temporarily storing purified water dropped from the upper reservoir 10; A blade 3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 and rotated by a motor 30 installed below; A water pump 26 for mov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lower reservoir 12 to the upper reservoir 10 through the return hose 24; A wet filter pad 14 installed in the first cutout 6 and maintaining a wet state by the purified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reservoir 10;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is provided, including a control pad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30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reg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드는 사용빈도가 낮은 경우 또는 바닥에 먼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1 절개부(6)로 유입되어 제 2 절개부(8)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되는 구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pad is selected when a button corresponding to a low frequency of use or dust is present on the floor, air flows into the first cutout 6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utout 8. Optional bidirectional air purifier is provided, which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ing is switched so that the motor 30 is rota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드는 사용빈도가 높고 바닥에 먼지가 상대적으로 없으면서 기온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2 절개부(8)로 유입되어 제 1 절개부(6)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되는 구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and the temperature is high while the dust is relatively low on the fl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utout 8 so that the first cutout 6 An optional bi-directional air purifier is provided, which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ing is switched so that the motor 30 is rotated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절개부(8)의 부근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36)가 더 포함되어 대전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cutout 8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nion generating device 36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is provided a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o filter the dust by the charging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저수조(10)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하면에 다수개의 미세공(18)이 형성된 패드고정부(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wet filter pad 1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servoir tank 10 and the pad fixing portion 16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ne holes 18 on the lower surface.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저수조(10)와 하부 저수조(12)의 내부에는 열선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re is provided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upper reservoir 10 and the lower reservoir (12).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wet filter pad 14 is provided with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전후면에 유출입되는 공기와 충돌하는 돌출부(46)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wet filter pad 14 is provided with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s 46 collide with the air flow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내부 습식 패드필터열과,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외부 습식 패드필터열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간의 이격 공간에 상기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가 배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 접촉면적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wet filter pad 14 is dispos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e internal wet pad filter st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and the external wet pad filter st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xternal wet pad filters 144 are alternately disposed in a spaced space between the internal wet pad filters 142 so that an air contact area is widened.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4)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별도의 회전압에 의해 배출하는 선풍장치(5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4 is provided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n device 5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by a separate rotational pressure is detachable.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4)은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 Preferably, the housing 4 is provided with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ylindrical or square or polygonal cylinder.

본 고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는 장치의 설치 환경이나 기온에 따라서 블레이드 회전방향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고, 그로인해 공기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가변되게 스위칭되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선풍장치와 연동되어 하절기에 오염물질 필터링과 선풍기를 겸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도 동파 사고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필터 패드의 설치방향이 경사지게 하거나 토출 공기의 이동경로가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필터 효율을 더욱 향상시켰다는 장점이 있다.The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the blade rotation dire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the temperature of the device, and thus,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are variably switched so that filtering can be performed very effectively. It can be combined with a fan to filter pollutants and fans in the summer, and can be used safely even in winter, without freezing accidents, and to further improve filter efficiency by inclin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lter pad or ben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ischarged air. It has the advant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의 습식필터패드의 장착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착탈 가능한 선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포함된 다른 설치구조의 습식 필터패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wet filter pad of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fan device is installed in an optional two-way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filter pad of another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ed in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의 습식필터패드의 장착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ounting state of the wet filter pad of the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습식 필터패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회전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공기를 유통시켜 정화하되,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토출 방향을 가변 작동시킴으로써 고효율 공기 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이다.Referring to this, in the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et filter pad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edge of a housing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rotating blade inside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housing. It is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that can purify the air through the incision formed in the filter, but achieve a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by varying the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area.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바닥에 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측부의 절개부를 통해 흡기하여 상부의 절개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하고, 기온이 높으면서 바닥에 먼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대류현상으로 상승된 공기를 상부의 절개부를 통해 흡기되게 하여 측부의 절개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토출 방향을 가변 작동시킴으로써 고효율 공기 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치이다.That is,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akes through the cutout of the side when there is a lot of dust on the bottom to be exhausted through the cutout of the upper part, and the dust is relatively high on the floor while the temperature is high. In this case, the air raised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is aspirated through the incision in the upper part and exhausted through the incision in the side, and the discharge direction is variabl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ed environment and air temperature in the target area for air purification. It is a device that can achieve.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하우징(4)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 1, 2 절개부(6, 8)가 측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상부에 설치되고, 낙하시킬 정화수를 저장하면서 하면 소정부에 다수의 낙하공이 형성된 상부 저수조(10)와; 상기 하우징(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된 정화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하부 저수조(12)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되되, 하부에 설치된 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32)와; 리턴호스(24)를 매개하여, 하부 저수조(12)의 정화수를 상부 저수조(10)로 이동시키는 워터펌프(26)와; 상기 제 1절개부(6)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되는 정화수에 의해 습식상태를 유지하는 습식 필터패드(14)와;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모터(30)의 회전방향을 가변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패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nd second cutouts 6 and 8,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 the side and the top surface. Housings 4 formed at each; An upper reservoir 1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 and having a plurality of drop hol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thereof while storing purified water to be dropped; A lower reservoir 12 installed under the housing 4 for temporarily storing purified water dropped from the upper reservoir 10; A blade 3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 and rotated by a motor 30 installed below; A water pump 26 for mov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lower reservoir 12 to the upper reservoir 10 through the return hose 24; A wet filter pad 14 installed in the first cutout 6 and maintaining a wet state by the purified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reservoir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pad (not shown) that allows the user to var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0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region.

이때, 상기 하우징(4)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원통형상의 구조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사각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다양한 통형상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e cylindrical structure,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cylindrical structures such as a rectangular cylinder or a polygonal cylinder.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저수조(10)의 상면 소정부에는 물 투입구(20)가 형성되는 바, 증발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해 구성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reservoir 10, the water inlet 20 is formed in the bar, is configured to replenish evaporated water.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저수조(10)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하면에 다수개의 미세공(18)이 형성된 패드고정부(16)에 고정되어져 있다.The wet filter pad 14 is fixed to a pad fixing part 16 whos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servoir 10 and a plurality of micropores 18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상기 상부 저수조(10)에 저장된 정화수가 상기 패드 고정부(16)에 형성된 미세공(18)을 타고 낙하되면 그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를 적시게 되고, 습식 필터패드(14)를 적신 물은 하부 저수조(12)로 낙하된다.Therefore,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upper reservoir 10 falls on the micropores 18 formed in the pad fixing portion 16, the low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the wet filter pads 14 soaked are wetted, and the water soaked in the wet filter pads 14 falls into the lower reservoir 12.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된 블레이드(32)는 축(28)에 전달되는 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에 대해 공기가 충돌되면서 유출입되게 된다.In this state, the blade 3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0 transmitted to the shaft 28, so that air collides with the wet filter pad 14. It will flow in and out.

예컨대, 상기 제 2 절개부(8)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하우징(4)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절개부(6)를 통해 빠져나가게 경로가 형성되면 하우징(4)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에 충돌하면서 물분자의 응착력과 표면장력으로 인해 먼지나 이물질이 습식 필터패드(14)의 표면에 부착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ath is formed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4 through the second cutout 8 and exits through the first cutout 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 During the discharge, dust or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wet filter pad 14 due to the adhesion and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molecules while colliding with the wet filter pad 14.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필터링을 수행하여 표면에 오염물질이 응착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로 지속적으로 상기 상부 저수조(10)로부터 정화수가 낙하되게 되므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에 응착된 오염물질이 정화수와 함께 낙하되어 상기 하부 저수조(12)로 유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iltering to continuously purify water from the upper reservoir 10 to the wet filter pad 14 in which contaminants are adhered to the surface. Therefore, the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wet filter pad 14 are dropped together with the purified water to flow into the lower reservoir 12.

이때, 상기 하부 저수조(12)의 소정부에는 공지의 정화필터(22)가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하부 저수조(12)를 통해 상기 리턴호스(24)로 유입되는 어느 한 경로중에 상기 정화필터(22)가 설치되어 정화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하고, 필터링이 완료된 정화수는 재차 상기 리턴호스(24)를 통해 상기 상부 저수조(10)로 유입되게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since a known purification filter 2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reservoir 12, the purification filter 22 is disposed in one path flowing into the return hose 24 through the lower reservoir 12. Installed to filter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purifie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cycled to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ervoir 10 again through the return hose 24.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매우 경제적인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ery economical filtering.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저수조(10)와 하부 저수조(12)의 내부에는 열선장치가 포함되어져서 동절기에 실외에서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동절기 대기질이 매우 좋지 않고 초미세먼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넓은 면적의 장소에서 광범위하게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upper reservoir 10 and the lower reservoir 12 to be driven outdoors even in winter.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air quality is very poor in winter and ultra-fine dust is frequently generated, so that filtering can be extensively performed in a large area.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는 도로변이나 공장, 공사장 펜스 근처, 다중 시설의 펜스 근처, 가축 막사 근처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거주용 주택의 마당 등에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다.Therefore,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near a roadside, a factory, a construction fence, a fence of multiple facilities, a barracks of a livestock, or the like, and is installed in a yard of a residential house. Can be used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의 큰 특징중 하나는 본 장치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가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great features of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ying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the device is installed.

이를 위해, 상기 제어패드(미도시)는 사용빈도가 낮은 경우 또는 바닥에 먼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1 절개부(6)로 유입되어 제 2 절개부(8)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되는 구성이 포함된다.To this end, when the control pad (not shown) select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the frequency of use is low or when there is dust on the floor, air flows into the first cutout 6 and the second cutout 8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the wiring is switched so that the motor 30 is rotated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즉, 사용자는 상기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가 설치되는 환경이 바닥에 먼지가 많이 쌓인 상태인 경우 또는 청소를 많이 하지 않는 환경이라고 가정한다면, 바닥의 먼지를 상기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가 우선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the user assumes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2 is installed is an environment in which a lot of dust is accumulated on the floor or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clean much. Would preferentially filt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패드와 연동되는 조작버튼(미도시)을 조작해서 공기가 상기 제 1 절개부(6)로 유입되어 제 2 절개부(8)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32)가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30)를 스위칭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30)는 투입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회전방향이 달라지는 정역 모터이다.Therefore, the user operates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pad so that air flows into the first cutout 6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utout 8. The motor 30 is switched to rotate. Therefore, the motor 30 is a forward and reverse motor whose direction of rot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power input.

반면, 상기 제어패드는 사용빈도가 높고 바닥에 먼지가 상대적으로 없으면서 기온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2 절개부(8)로 유입되어 제 1 절개부(6)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rol pad is high and the dust is relatively low on the floor, the air flows into the second incision 8 and the first incision 6 The wiring is switched so that the motor 30 is rotated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즉, 사용자는 상기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가 설치되는 환경이 바닥에 먼지가 별로 없으며, 청소가 잘 되어 있는 환경에서, 기온이 높은 경우라면, 대류 현상에 의해 공기가 데워져서 상승하게 된다. 마땅히, 오염물질도 공기와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어패드와 연동되는 조작버튼(미도시)을 조작해서 공기가 상기 제 2 절개부(8)로 유입되어 제 1 절개부(6)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32)가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30)를 스위칭시킨다.That is, the user has little dust on the floor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2 is installed, and in a well-cleaned environment, if the air temperature is high, the air is warmed up by convection. . As the contaminant also rises with the air, the user operates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pad so that air flows into the second cutout 8 and through the first cutout 6. The motor 30 is switched to rotate the blade 32 in the discharge direction.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절개부(8)의 부근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36)가 더 포함되어 대전방식 즉, 전기 집진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하게 하는 보조적 필터링 수단을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cut-out portion 8 further includes an anion generating device 36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together with the auxiliary filtering means for filtering the dust by the charging method, that is,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together. It is possibl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wet filter pad 14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3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블레이드 내부 연결부(42)가 구성되며, 그 블레이드 내부 연결부(42)와 상기 블레이드 축(28)을 연결시키는 지지대(40)가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32)에 의해 유통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부(44)가 구성되는 바, 그 통과부(44)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32)가 만드는 궤적에 수직인 방향으로 토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wet filter pad 14 includes a blade internal connection portion 42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ades 32, and the blade internal connection portion 42 and the blades. A support 40 for connecting the shaft 28 is configured, and a passage 44 through which air circulated by the blade 32 passes is configured, a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44 is discharged.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jectory made by the blade (32).

이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바,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습식 필터패드(14)에 강하게 충돌하면서 배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wet filter pad 14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for this configuration, the discharged air is discharged while colliding strongly with the wet filter pad 14.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전후면에 유출입되는 공기와 충돌하는 돌출부(46)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wet filter pad 14 has protrusions 46 that collide with air flow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respectively, at regular intervals.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의 상부 저수조(10) 부근에는 LED 조명(38)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주택의 마당에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가 설치되면 정원등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며, 실내 거실에 설치되면 취침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LED lighting 38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reservoir 10 of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in the yard of the house ( If 2) is installed, it will perform the function of a garden light, and if it is installed in an indoor living room, it will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bed light.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착탈 가능한 선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fan device is installed in an optional two-way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별도의 회전압에 의해 배출하는 선풍장치(5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the fan unit 5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by a separate rotation pressure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4 may be detachably configured.

상기 선풍장치(50)는 주지 관용의 구성인 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선풍장치(50)는 전방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절개된 선풍장치 하우징(52)이 마련되고, 그 선풍장치 하우징(52)의 내부에는 회전팬(54)이 장착되고 모터가 연결되어져 있아서 회전팬(54)이 회전되면 하부의 공기를 끌어올려서 전방으로 배출시킨다.The fan 50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so that the fan 50 is provided with a fan housing 52 cut in such a way that the air can be discharged forward, the fan housing 52 In the inside of the rotating fan 54 is mounted and the motor is connected, so when the rotating fan 54 is rotated to lift the air at the bottom to discharge the front.

이때, 상기 하우징(4)에 대해 선풍장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180도 또는 360도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2) 주변의 사람들이 시원한 바람을 맞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하우징(4)과 선풍장치 하우징()은 각각 결합돌기(60)를 통해서 결합되어져 있고, 고정된 하우징(4)에 대해서 상기 선풍장치 하우징(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판기어(56)와, 기어모터(58)가 장착되어져 있다.In this case, the fan housing () relative to the housing (4) is preferably rotated 180 degrees or 360 degrees, so that the people around the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2) can receive a cool wind. The housing (4) and the fan housing () are respective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60), and the rotating plate gear (56) so that the fan housing (52)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4). The gear motor 58 is attached.

따라서, 상기 기어모터(58)의 구동에 의해 회전 판기어(56)가 이동되게 되고, 그 회전 판기어(56)가 결합된 상기 선풍장치 하우징(52)이 고정된 상기 하우징(4)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tary plate gear 56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gear motor 58, and the fan unit housing 52 to which the rotary plate gear 56 is coupled is fixed to the housing 4 to which the rotary fan gear 56 is fixed. It can rotate.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에 포함된 다른 설치구조의 습식 필터패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filter pad of another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ed in the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내부 습식 패드필터열과,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외부 습식 패드필터열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간의 이격 공간에 상기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가 배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 접촉면적을 넓힌다.Referring to this, the wet filter pad 14 is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the internal wet pad filter trai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and the external wet pad filter trai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are respectively fix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uter wet pad filters 144 are alternately disposed in spaced spaces between the inner wet pad filters 142 to widen the air contact area.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절개부(6)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배출되게 되지만 이내 그 전방에 배치된 상기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에 의해 측방으로 토출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즉, 이 과정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의 표면에 충돌되게 되며, 그 전방에 배치된 상기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에도 충돌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cutout 6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32 is first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ternal wet pad filter 142, but within the front of the The discharge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side by the external wet pad filter 144. That is, the air discharged in this process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internal wet pad filter 142 and also collides with the external wet pad filter 144 disposed in front of the internal wet pad filter 142. Thus, effective filtering can be achieved.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와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는 그 표면에 다수개의 홈부(148)와 돌부(146)가 구성되어 공기의 표면 충돌시 그 흡착 효과를 더 높이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the inner wet pad filter 142 and the outer wet pad filter 14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148 and protrusions 146 on the surface thereof so as to enhance the adsorption effect upon the surface collision of air. can do.

미설명부호 34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브레드이다.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breadboard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lective two-way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invention.

4:하우징, 6:제 1절개부,
8:제 2절개부, 10:상부 저수조,
12:하부 저수조, 14:습식 필터패드,
22:정화필터, 24:리턴호스,
26:워터펌프, 30:모터,
32:블레이드, 50:선풍장치.
4: housing, 6: first incision,
8: second incision, 10: upper reservoir,
12: bottom reservoir, 14: wet filter pad,
22: Purification filter, 24: Return hose,
26: water pump, 30: motor,
32: blade, 50: fan.

Claims (11)

하우징(4)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 1, 2 절개부(6, 8)가 측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상부에 설치되고, 낙하시킬 정화수를 저장하면서 하면 소정부에 다수의 낙하공이 형성된 상부 저수조(10)와;
상기 하우징(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된 정화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하부 저수조(12)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되되, 하부에 설치된 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32)와;
리턴호스(24)를 매개하여, 하부 저수조(12)의 정화수를 상부 저수조(10)로 이동시키는 워터펌프(26)와;
상기 제 1절개부(6)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저수조(10)에서 낙하되는 정화수에 의해 습식상태를 유지하는 습식 필터패드(14)와;
사용빈도나 공기 정화대상 지역의 오염환경과 기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모터(30)의 회전방향을 가변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A housing (4) having first and second cutouts (6, 8) formed at side and upper surfaces, respectively, through which air can be discharged and discharged into the housing (4);
An upper reservoir 1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 and having a plurality of drop hol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thereof while storing purified water to be dropped;
A lower reservoir 12 installed under the housing 4 for temporarily storing purified water dropped from the upper reservoir 10;
A blade 3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 and rotated by a motor 30 installed below;
A water pump 26 for mov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lower reservoir 12 to the upper reservoir 10 through the return hose 24;
A wet filter pad 14 installed in the first cutout 6 and maintaining a wet state by the purified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reservoir 10;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pad that allows the user to var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30)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pollution environment of the air purification target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드는 사용빈도가 낮은 경우 또는 바닥에 먼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1 절개부(6)로 유입되어 제 2 절개부(8)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되는 구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pad select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frequency of use is low or when there is dust on the floor, so that air enters the first cutout 6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utout 8.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configured to switch the connection so that the 30 is rot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드는 사용빈도가 높고 바닥에 먼지가 상대적으로 없으면서 기온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공기가 상기 제 2 절개부(8)로 유입되어 제 1 절개부(6)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30)가 회전되게 결선이 스위칭되는 구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user select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control pad is frequently used and the temperature is high while the dust is relatively low, air flows into the second cutout 8 and through the first cutout 6.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configured to switch the connection so that the motor 30 is rotated to be dischar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개부(8)의 부근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36)가 더 포함되어 대전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icinity of the second cutout (8) further comprises a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to filter the dust by the charg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저수조(10)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하면에 다수개의 미세공(18)이 형성된 패드고정부(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t filter pad 14 is an optional two-way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pad fixing portion 16,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servoir 10 and a plurality of fine holes 18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수조(10)와 하부 저수조(12)의 내부에는 열선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upper reservoir (10) and the lower reservoir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t filter pad 14 is an optional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그 전후면에 유출입되는 공기와 충돌하는 돌출부(46)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t filter pad 14 is a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46 collide with the air flow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필터패드(14)는 공기토출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내부 습식 패드필터열과,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외부 습식 패드필터열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내부 습식 패드필터(142)간의 이격 공간에 상기 외부 습식 패드필터(144)가 배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 접촉면적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t filter pad 14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the inner wet pad filter row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and the outer wet pad filter row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lective bidirectional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ly arranged so that the outer wet pad filter 144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wet pad filter (142) to widen the air contact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별도의 회전압에 의해 배출하는 선풍장치(5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4) is detachable fan fan 5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by a separate rotation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은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4) is a selective two-wa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ylindrical or square or polygonal.
KR2020180001363U 2018-03-29 2018-03-29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0250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63U KR20190002508U (en) 2018-03-29 2018-03-29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63U KR20190002508U (en) 2018-03-29 2018-03-29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08U true KR20190002508U (en) 2019-10-10

Family

ID=6816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63U KR20190002508U (en) 2018-03-29 2018-03-29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0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130B2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equipment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US20110139005A1 (en) Air Purifier Employing A Water Jet-Type Fan System,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CN203848404U (en) De-dusting and humidifying air-conditioner
US20210402413A1 (en) Tower-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method thereof
KR20180083234A (en) A water filter equipped a cylindrical bar,apply to an air purifier and a chimney dust reduction device
EP2433698A1 (en) Wet air cleaner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871442B1 (en) Apparatus for managing indoor air with heat recovery structure
KR100786782B1 (en) Air cleaning system for subwaystation
KR102178220B1 (en)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KR102251486B1 (en)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90002508U (en) A belching direction changeable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02114B1 (en) Air cleaner
US6503302B2 (en) Air purifier
KR20020048405A (en) Air cleaner
KR200491980Y1 (en) Air cleaning apparatus with a multi-auto cleaning function
KR20050101512A (en) Air purifier
CN212431108U (en) Washing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2161633B1 (en) A dust reduction device
KR102211128B1 (en) Fine dust filter for street lamp distribution box
CN207146596U (en) Air processor,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for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KR101784259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of blade type
KR10221702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210014930A (en) Pillar type lighting apparatus with fine dust purify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