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33A -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 Google Patents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33A
KR20190002233A KR1020170082867A KR20170082867A KR20190002233A KR 20190002233 A KR20190002233 A KR 20190002233A KR 1020170082867 A KR1020170082867 A KR 1020170082867A KR 20170082867 A KR20170082867 A KR 20170082867A KR 20190002233 A KR20190002233 A KR 2019000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put
wavelength
outpu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142B1 (ko
Inventor
최영복
Original Assignee
(주)파이버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버피아 filed Critical (주)파이버피아
Priority to KR102017008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17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reflective element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85Optical modules characterised by a connectorised pigta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광송수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송수신기는 제1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송신기; 상기 광송신기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광송신기의 출력을 평행광으로 변경하는 제1렌즈; 제2파장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수신기; 상기 광수신기에서 입력을 위해서 광수신기로 입력되는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 수광위치로 초점을 맞춰주는 제2렌즈; 상기 제1파장과 제2파장을 분리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출력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제2필터; 상기 제2필터의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1입출력광섬유 및 제2입출력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제1파장 및 제2파장을 포함하는 A파장대역의 광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A파장대역과 다른 B파장대역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OPTICAL MODULE FOR CONVERGENCE OF DIFFERENT SERVICE}
본 발명은 광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함에 따라서 클라이언트용 광트랜시버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data center용의 단거리 트랜시버의 경우 공간에 대한 제약 때문에 용량의 증가와 함께 소형화, 저소비전력 등의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고속 이더넷 트랜시버는 TOSA/ROSA로 구성되고 내부에 광원, PD, Mux, DeMux가 패키지되는데 기존에 사용되는 필터의 경우 다채널 정렬문제, 패키지비용 상승, 소형화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패키지방법이 제안되고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통상적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파장분할 다중화(WDM: Waveguide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 가닥의 광섬유를 통해 다수개의 파장을 갖는 멀티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러한 광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단에서는 여러 개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해 주로 광도파로 격자 소자를 이용한 광파장 분할다중화기(AWG: Arrayed Waveguide Grating)를 이용한다.
특히, 최근에 광 신호의 다중화/역다중화 등의 광신호 처리를 목적으로 평면 도파로형 광회로(PLC)를 이용하여 평면 기판(substrate)상에 광 도파로를 제작하는 소자의 직접화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평면 광도파로 소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광도파로 소자는 주로 실리콘(silicon)이나 쿼츠(quartz)와 같은 기판에 여러 층의 실리카(silica) 또는 폴리머(polymer) 박막을 증착하여 코어(core)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클래딩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빛을 분할하거나,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멀티플렉싱(Multiplexing: MUX)과 디멀티플렉싱(Demulti plexing: DeMUX)을 이용하는 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를 통해 동작되나, 광도파로 배열 격자 소자(AWG)와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섬유는 광학 렌즈에 의해 초점이 서로 정렬되어야 한다.
한편, 5G이동통신이 이슈화되고 있지만, 각각의 기지국의 데이터양이 많아서,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지국마다 광통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해줘야만 한다.
도 1은 5G이동통신에서 사용될 예정인 안테나(10)의 모양이다. 통상 안테나는 360도를 커버하기 위해서, 3개의 안테나를 120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각각의 안테나의 데이터 입력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현재의 가장 관심사이다. 하나의 대안으로 각각의 안테나에 광섬유를 각각 할당하는 방식이 있지만, 시스템 설치비용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부분이 광섬유 매설비용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FTTH에 방송 또는 5G 등의 이종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랜이 존재하지만, 이런 플랜은 부수적인 광소자가 필요하고, 광소자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통신장비들은 대부분 전화국과 기지국에 설치되고, 고속 인터넷 등이 발전함에 따라서 장비의 개수는 늘어나고, 설치되는 공간이 부족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이종서비스를 결합해야하는 현 실정에서, 별도의 광소자가 설치되는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종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플랜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광모듈을 제공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이종서비스 결합을 위한 광소자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종래의 공간에 이종서비스 결합을 위한 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에 본 과제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일 실시예의 광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광송수신모듈의 상기 광송수신기는 제1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송신기; 상기 광송신기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광송신기의 출력을 평행광으로 변경하는 제1렌즈; 제2파장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수신기; 상기 광수신기에서 입력을 위해서 광수신기로 입력되는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 수광위치로 초점을 맞춰주는 제2렌즈; 상기 제1파장과 제2파장을 분리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출력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제2필터; 상기 제2필터의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1입출력광섬유 및 제2입출력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제1파장 및 제2파장을 포함하는 A파장대역의 광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A파장대역과 다른 B파장대역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1입출력광섬유, 제2입출력광섬유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어 들어온 광신호가 B파장대역의 광신호의 경우 제2필터는 상기 B파장대역의 광신호를 반사시켜서, 상기 입력되는 광섬유와 다른 광섬유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모듈은 시스템에 결합되는 플러그앤 커넥터를 포함하고, 플러그앤 커넥터와 광송수신모듈의 광입출력되는 커넥터는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기의 제1입출력광섬유와 제2입출력광섬유는 상기 플러그앤 커넥터 방향으로 피그테일되어 있고, 상기 피그테일된 제1입출력광섬유와 제2입출력광섬유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종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해서, 파장분할다중화(WDM)방식을 적용하여, 서비스간의 충돌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종서비스 결합을 위한 광소자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종래의 광송수신모듈 내에 삽입을 할 수 있어서,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도 1 복수의 안테나의 복수의 파장을 이용한 운용방법
도 2 종래 BiDi광송수신기의 구조
도 3 복수의 안테나를 위한 광신호의 할당 예
도 4 본 발명의 복수의 안테나의 WDM광신호를 이용한 운용방법
도 5 이종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의 개념도
도 6 본 발명의 광송수신기의 개략도
도 7 종래 BiDi광송수신기의 구조
도 8 본 발명의 BiDi광송수신기의 구조
도 9 복수의 이종서비스를 운영하는 일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안테나에 서로 다른 파장을 부여하여, 멀티플렉싱하는 WDM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기지국(30)에서 복수의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안테나국 방향, 즉 상향으로 서로 다른 파장을 송신하면, 각각의 안테나는 서로 다른 파장을 인식하고, 수신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기지국(30)에 서로 다른 파장을 송신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법은 안테나국의 안테나의 개수가 늘어나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광섬유(20)로 복수의 안테나부(10)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매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테나국은 복수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안테나부는 광송수신기,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송수신기는 광송신기, 광수신기, 광송신기와 광수신기의 광신호를 분리하는 제1필터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부(10)를 커버하는 WDM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에는 단순히 서로 다른 파장을 나누기만 하면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나의 광섬유(20)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BiDi모듈을 사용해야 하고, BiDi 모듈(광송수신기)은 광송신기(110), 광수신기(120), 광송신기의 광신호와 광수신기의 광신호를 분리하는 제1필터(130)를 포함시켜야 한다. 상기 제1필터(130)를 45도로 위치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편광 등의 문제 때문에, 상향과 하향의 광신호가 혼합되는 문제가 실험상 발생을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파장을 약60nm 이격을 시켜야 했다. 편광억제기술을 사용하면 약 40nm까지 그 간격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은 파장플랜을 이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세 개의 안테나부(10)중 제1안테나부에 할당되는 파장, 즉 제1안테나부의 광수신기가 수신하는 광신호의 파장과 광송신기의 광신호의 파장은 λ1, λ4이고, λ1, λ4의 파장 간격은 최소한 40nm 이상을 보장해줘야 하고, 별도의 기술없이 사용하려면, 60nm까지는 보장을 해줘야 한다. 제2안테나부에 할당되는 파장은 λ2, λ5, 제3안테나부에 할당되는 파장은 λ3, λ6이다.
기지국에서 안테나국으로 광신호는 하나의 광섬유(20)에 WDM(파장분할다중화)되어서 오기때문에 각각의 안테나부에 대응되는 입출력되는 광신호의 그룹으로 분리를 해줘야 한다. 즉, λ1, λ2, λ3 (상향신호)가 하나의 광섬유(20)을 통해서 전송되어지면, 복수의 안테나부의 인입에서는 각각의 안테나부에 할당된 파장으로 분리를 해줘야 하고, 이 때 통상 역다중화기를 이용해서 분리해주고, 반대로, 각각의 안테나부에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가 기지국으로 가는 경우, λ4, λ5, λ6를 하나의 광섬유(20)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 다중화기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안테나국은 다중화기(40) 및 역다중화기(40)를 포함해야 한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안테나국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최소한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이 운용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한다.
3개의 안테나부가 있는 경우, 제1안테나부에는 λ1, λ4가 할당되고, 제2안테나부에는 λ2, λ5가 할당되고, 제3안테나부에는 λ3, λ6이 할당이 된다.
안테나부는 광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광송수신기(100)는 광송신기, 광수신기, 광송신기와 광수신기의 광신호를 분리하는 제1필터를 포함하며, 나아가, 제1필터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입출력광섬유(181), 제2입출력광섬유(182)가 구성되어 있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부는 제1입출력광섬유에 의해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광신호(복수의 광신호의 경우에는 파장이 모두 서로 다르다.)에 대해서, 안테나부에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외에는 제2입출력광섬유(182)로 반사를 시키고, 반사가 안된 광신호의 경우에는 제1필터로 전송되고, 제1필터에 의해서 광수신기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다.
제2필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부를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성하면,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 없이도 복수의 파장을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부를 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는 주기성을 갖는 에탈론 광필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섬유(20)이 제1안테나부의 제1입출력광섬유에 커플링되고, 제1안테나부의 제2입출력광섬유를 제2안테나부의 제1입출력광섬유에 커플링시키고, 제2안테나부의 제2입출력광섬유의 제3안테나부의 제1입출력광섬유에 커플링시키고, 제3안테나부의 제2입출력광섬유는 종단처리시킨다.
이런식으로 구현하면,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은 파장을 순차적으로 안테나부에 적용할 수 있다.
광송수신기는 BiDi기능을 갖는 SFP, CFP4 등의 규격화 및 소형화된 형태를 이용한다. 이러한 이유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구축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종서비스를 결합하는 구조이다.
제1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부(100)은 A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송수신으로 사용하고, 제2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부(100')는 B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송수신으로 사용한다.
상기 A그룹의 파장과 B그룹이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서, A그룹의 파장대역은 1300nm대역이고, 제2서비스를 위한 파장 대역은 1500nm 으로 사용을 한다.
상기 A그룹의 파장대역과 B그룹의 파장대역을 분리 및 결합을 위해서, 제2필터부(300)가 사용된다. 즉 제1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기(100)에서 A그룹의 파장이 송출되면, 제2필터부(300)에서 제2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기(100')에서 출력되 B그룹의 파장과 결합되어서 전송되고, 반대측에 위치한 제2필터부(300)는 A그룹의 파장과 B그룹의 파장을 분리하여, B그룹의 파장의 광신호는 제2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부(100')로 전송하고, A그룹의 파장의 광신호는 제1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부(!00)으로 전송된다.
이를 위한 광송수신기를 포함한 광송수신모듈은 다음과 같다.
도5에 개시된 광송수신모듈(7000)은 전자회로부(1100), 광송수신기(100), 전기연결부(1200)로 되어 있고, 광송수신기(100)의 제1필터의 출력이 되는 광섬유(105)은 커넥터(106) 처리되어 하우징된다. 광섬유(181)의 타단에는 시스템부위와 플러그앤 타입으로 연결되는 전기커넥터가 구성된다. 광섬유(107)은 제2필터부(300)의 일측과 결합되고, 제2필터부(300)의 타측은 제1입출력광섬유(181)과 제2입출력광섬유(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조의 광송수신모듈(7000)은 제2필터부(300)를 별도로 구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구성 시,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구성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종전에는 광송수신모듈(7000)의 폭이 1cm정도이고, 광송수신기(100)의 광학소자의 크기, 광섬유(181)을 벤딩했을 때, 손실이 크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제2필터부의 기능을 포함하는 광송수신기를 제안하고, 이를 광송수신모듈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7)
광송신기(110)의 출력은 렌즈를 지나서 평행광으로 변하고, 제1필터(130)을 거쳐, 제2필터(150)에 커플링되고, 콜리메이터(160)을 지나서, 제2필터(150)를 제1입출력광섬유(181)에 커플링된다. 또한, 제1입출력광섬유(181)을 통해서 입력된 광신호 중, 본 광수신기에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가 입력되면, 제2필터를 통과하고, 제1필터에 의해 수직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광수신기로 입력된다. 만약 제1입출력광섬유(181)을 통해서 입력되는 광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파장의 광신호의 경우에는 제2필터(150)에 의해서 반사되어, 제2입출력광섬유(182)로 커플링되고, 제2입출력광섬유(182)에 의해서 입력되는 광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파장의 광신호의 경우에는 제2필터(150)에 의해서 반사되어, 제1입출력광섬유(181)로 커플링된다.
제1입출력광섬유(181)에는 제1서비스를 위한 입출력이 되는 것이고, 제2입출력광섬유(182)는 제2서비스를 위한 광송수신기의 제1입출력광섬유와 결합이 왼다.
이러한 구조를 갖으면, 컴팩트한 광송수신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다 제외시켰서, 광송수신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소형화를 하더라도, 제2필터(150), 콜리메이터(160), 광섬유블럭(170)때문에 도5에 개시된 광송수신기(100)보다는 길이가 길어졌다. 이러한 길이변화는 SFP, XFP, CFP4와 같은 소형으로 규격화된 광송수신모듈에는 넣기 힘든구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8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제안한다. 광송수신기(1000)의 출력을 종전에는 커넥터방향으로만 출력을 구성한 반면, 본 발명은 시스템부(미도시)와 결합되는 플러그앤 커넥터(1300) 방향으로 광송수신기(1000)의 출력을 구성하고, 제1,2입출력광섬유(181, 182)을 감어서 광송수신모듈(2000)의 커넥터(106) 부위에 결합을 한다. 광송수신기(1000)의 출력을 플러그앤 커넥터(2000) 방향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자회로부(1100)를 하면에 깔고, 전기신호들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연결부(1200)를 가요성으로 구성하여, 접어서, 광송수신기(1000)를 전자회로부(1100)의 상측으로 위치시킨다. 즉, 전자회로부(1100)의 상측에 광송수신기(1000)을 위치(적층)시킨 형상이 된다. 여기서 제1, 2 입출력광섬유(181, 182)는 저벤딩손실 기능을 갖는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는 저벤딩손실 기능을 갖는 광섬유를 사용해야 한다.
광송수신기(1000)의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로 집광 및 제1필터방향으로 평행광을 시키기 위한 렌즈가 들어가는 부위에는 두께가 두꺼워지며, 이 부위에서는 전자회로부(1100)를 공백부를 형성하여, 위치시켜서, 효과적인 적층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2입출력광섬유(181, 182)를 커넥터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종단을 커넥터화해야하는데, 커넥터화하는 과정에서 일정 길이가 필요하므로, 제1, 2입출력광섬유의 종단은 LC타입의 커넥터의 페룰이 들어가서 커플링될 수 있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광송수신모듈(200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7과 8에 개시된 광송수신모듈을 이용한 오버레이 구조이다. 제1서비스에는 λ1, λ4가 할당되고, 제2서비스에는 λ2, λ5가 할당되고, 제3서비스에는 λ3, λ6이 할당이 된다.
제1서비스에 메인 광섬유(20)가 연결되어 타 기지국으로 전송이 되는 형태이다.
각각의 광송수신모듈은 광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광송수신기(100)는 광송신기, 광수신기, 광송신기와 광수신기의 광신호를 분리하는 제1필터를 포함하며, 나아가, 제1필터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입출력광섬유(181), 제2입출력광섬유(182)가 구성되어 있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부는 제1입출력광섬유에 의해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광신호(복수의 광신호의 경우에는 파장이 모두 서로 다르다.)에 대해서, 각 서비스에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 외에는 제2입출력광섬유(182)로 반사를 시키고, 반사가 안된 광신호의 경우에는 제1필터로 전송되고, 제1필터에 의해서 광수신기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다.
광섬유(20)이 제1서비스의 제1입출력광섬유에 커플링되고, 제1서비스부의 제2입출력광섬유를 제2서비스의 제1서비스에 커플링시키고, 제2서비스의 제2입출력광섬유의 제3서비스의 제1입출력광섬유에 커플링시키고, 제3서비스의 제2입출력광섬유는 종단처리시킨다.
이런식으로 구현하면, 도 9에 개시된 것과 같은 파장을 순차적으로 운용하여, 각 서비스를 충돌없이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안테나부
110 광송신기
120 광수신기
130 제1필터
150 제2필터

Claims (4)

  1. 광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광송수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기는
    제1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송신기;
    상기 광송신기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광송신기의 출력을 평행광으로 변경하는 제1렌즈;
    제2파장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수신기;
    상기 광수신기에서 입력을 위해서 광수신기로 입력되는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 수광위치로 초점을 맞춰주는 제2렌즈;
    상기 제1파장과 제2파장을 분리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출력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제2필터;
    상기 제2필터의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되어 있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1입출력광섬유 및 제2입출력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제1파장 및 제2파장을 포함하는 A파장대역의 광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A파장대역과 다른 B파장대역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광송수신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1입출력광섬유, 제2입출력광섬유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어 들어온 광신호가 B파장대역의 광신호의 경우 제2필터는 상기 B파장대역의 광신호를 반사시켜서, 상기 입력되는 광섬유와 다른 광섬유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모듈은 시스템에 결합되는 플러그앤 커넥터를 포함하고, 플러그앤 커넥터와 광송수신모듈의 광입출력되는 커넥터는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기의 제1입출력광섬유와 제2입출력광섬유는 상기 플러그앤 커넥터 방향으로 피그테일되어 있고, 상기 피그테일된 제1입출력광섬유와 제2입출력광섬유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모듈.
KR1020170082867A 2017-06-29 2017-06-29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KR10199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67A KR101992142B1 (ko) 2017-06-29 2017-06-29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67A KR101992142B1 (ko) 2017-06-29 2017-06-29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33A true KR20190002233A (ko) 2019-01-08
KR101992142B1 KR101992142B1 (ko) 2019-06-24

Family

ID=650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67A KR101992142B1 (ko) 2017-06-29 2017-06-29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83A (ko) * 2003-09-20 2005-03-24 (주) 빛과 전자 더블유디엠 광커플러가 내장된 트라이플렉서 광모듈
KR20060035448A (ko) * 2004-10-22 2006-04-26 미디어스트리밍네트웍스(주) 양방향 광필터 장치, 양방향 광 커넥터 모듈, 및 양방향광모듈
KR101171205B1 (ko) * 2011-12-21 2012-08-06 진재현 양방향 광 송수신기
JP2015219478A (ja) * 2014-05-21 2015-1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KR20170023459A (ko) * 2015-08-24 2017-03-06 (주) 빛과 전자 듀얼 대역통과 wdm 커플러가 내장된 광 송수신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83A (ko) * 2003-09-20 2005-03-24 (주) 빛과 전자 더블유디엠 광커플러가 내장된 트라이플렉서 광모듈
KR20060035448A (ko) * 2004-10-22 2006-04-26 미디어스트리밍네트웍스(주) 양방향 광필터 장치, 양방향 광 커넥터 모듈, 및 양방향광모듈
KR101171205B1 (ko) * 2011-12-21 2012-08-06 진재현 양방향 광 송수신기
JP2015219478A (ja) * 2014-05-21 2015-1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KR20170023459A (ko) * 2015-08-24 2017-03-06 (주) 빛과 전자 듀얼 대역통과 wdm 커플러가 내장된 광 송수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142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3263B1 (en) Optical network comprising a compact wavelength-dividing component
US8285144B2 (en) Optical device for rearranging wavelength channels
US10107977B2 (en) Opto-electronic transceiver having housing with small form factor
WO2017189538A1 (en) Techniques for direct optical coupling of photodetectors to optical demultiplexer outputs and an optical transceiver using the same
US20080031625A1 (en) WDM hybrid splitter module
JP2007264033A (ja) 光モジュール、光伝送システム、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210349264A1 (en) Integrated optical device based on coupling between optical chips
US20100129077A1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dual array waveguide filter for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CN105607191A (zh) 时分波分复用无源光网络终端收发集成芯片的制作方法
CN104115047B (zh) 光板
US7171081B1 (en) Plug-in coupler to convert the transceiver (transmitter/receiver, tx/rx) transmission into a bi-directional fiber
US10725253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module
JP2001215349A (ja) 波長多重光信号の合分波方式
WO2015054825A1 (zh) 一种波分复用wdm接收机装置和无源光网络系统
CN114200588B (zh) 一种光解复用组件结构和封装方法
JP2009283516A (ja) 光機能集積素子
KR101992142B1 (ko) 이종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광모듈
US20030185501A1 (en) Du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demultiplexing device using one planar lightguide circuit
US7457497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1961812B1 (ko) Ftth 오버레이를 위한 광모듈
US20120063719A1 (en) DWDM and CWDM Communication System over Multimode Fiber
KR20190001316A (ko) 오버레이를 위한 광모듈
EP3073652B1 (en) Bandwidth-adjustable optical module and system
KR20210023511A (ko) 배열도파로 격자 형태의 파장역다중화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25418B1 (ko) 저밀도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양방향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