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94U -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 Google Patents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94U
KR20190002194U KR2020180000813U KR20180000813U KR20190002194U KR 20190002194 U KR20190002194 U KR 20190002194U KR 2020180000813 U KR2020180000813 U KR 2020180000813U KR 20180000813 U KR20180000813 U KR 20180000813U KR 20190002194 U KR20190002194 U KR 20190002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ube
patient
fixing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효영
Original Assignee
정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영 filed Critical 정효영
Priority to KR2020180000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94U/en
Publication of KR20190002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9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53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 A61J15/0061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fixing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n the tube, i.e. tube protruding the fix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1Nasoendo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 패드 사이에 튜브를 고정시키고, 패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통해 환자복에 보다 신속, 간편하게 패드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하여 튜브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튜브 고정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벨크로면이 형성된 제1 패드와, 상기 제1 벨크로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 벨크로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벨크로면이 형성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환자의 환자복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일부분은 고정결합되어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타부분은 벨크로 결합으로 탈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중 상기 고정단과 상기 제2 벨크로면 사이에 튜브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ecures the pads to the patient's clothing more quickly and easily through the fixing part which fixes the tube between the fixing pads and the pad can be fixed, but also prevents the tube from falling out of the patient's body due to carelessness. Relates to a tube fixing pa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pad having a first Velcro surface, a second pad having a second Velcro surfac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lcro surface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Velcro surface,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to fix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to the patient's patient clothing, wherein a part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It is fixedly coupled to form a fixed end, the other portion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formed as a free end that is detached by Velcro coupling, the tube between the fixed end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of the second pad Provided is a tube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fixing portion is formed is fixed.

Description

튜브 고정 패드{Pads for fixing medical tubes}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본 고안은 튜브 고정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패드 사이에 튜브를 고정시키고, 패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통해 환자복에 보다 신속, 간편하게 패드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하여 튜브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튜브 고정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fixing pad, and more particularly, the pad is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more quickly and easily through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tube between the fixing pad and allowing the pad to be fixed, It relates to a tube fixing pad that can prevent the tube from falling out of the patient body.

일반적으로 의료분야에서 환자에게 약물이나 음식물을 공급하거나, 산소를 공급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비강에 삽입되는 튜브가 사용된다.In general, in the medical field, a tu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upplying drugs, food, or oxygen to a patient.

이 중에서 산소 튜브(카테터)는 자가호흡이 힘든 환자에게 산소를 주입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이다.Of these, the oxygen tube (catheter) is a tube used for the purpose of injecting oxygen to the patient difficult to breathe.

또한, 레빈 튜브(Levin Tube, 비위관, 엘튜브)는 환자의 코를 통해 식도를 거쳐 위 속으로 삽입되는 유연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관으로, 소화관을 수술하거나 장폐색 등이 있는 환자에 대하여, 위 속의 가스나 소화액(위액)을 배출시키기 위해 삽입되기도 하고,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해 액체로 된 음식물을 주입하는 데에 이용되는 관이다.In addition, the Levin Tube is a flexible rubber or plastic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esophagus through the patient's nose. For patients with surgery on the digestive tract or ileus, gas in the stomach (B) A tube is inserted to drain digestive fluid (gastric juice) and is used to inject liquid food f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eating food by mouth.

이러한 레빈 튜브는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 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체 내로 삽입되는 것이 쉽지 않다.Such levin tubes are not easily inserted into the body depending on the anatomy of the body or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또한, 일반적으로 레빈 튜브의 길이는 100 내지 120cm이며, 환자의 위장 내에 삽입된 후 체외에 남는 레빈 튜브의 길이는 약 60cm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length of the Levin tube is 100 to 120cm, the length of the Levin tube remaining in vitro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tomach of the patient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anage.

또한, 환자의 이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레빈 튜브가 신체로부터 빠지게 되면 레빈 튜브의 재삽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가중시키고, 레빈 튜브의 삽입시 비강, 식도 및 위장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어 치료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evin tube is removed from the body due to the movement or carelessness of the patient, reinsertion of the Levin tube may be performed, which may cause pain to the patient and may damage the nasal cavity, esophagus, and stomach when the Levin tube is inserted. This can be a hindrance to treatmen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외에 위치하는 레빈 튜브를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고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위에서 땀이나 피부에서 나오는 분비물 등에 의해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부착된 이후에도 튜브에 맺히는 습기 등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evin tube located outside the body was fixed to the patient's body using adhesive tape.However, in such a metho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tape is degraded due to sweat or secretion from the skin at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And, even after being atta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may drop due to moisture, etc. formed in the tube.

또한, 환자가 움직이는 경우,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듦에 따라 접착테이프가 떨어져 비강에 삽입되는 튜브가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mov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the adhesive tape is separated as the skin is stretched and contracted, may be separated from the nasal cavity of the patien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빈 튜브를 접착테이프로 감싸고, 접착테이프에 구멍을 형성하여 환자복의 단추에 끼우거나, 또는 접착테이프를 옷핀으로 옷에 고정시킴으로써 레빈 튜브를 고정시켰으나, 이는 촉각을 다투는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기에 복잡한 과정을 가지므로 사용에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Levin tube was wrapped with adhesive tape, a hole was formed in the adhesive tape, and the levin tube was fixed by attaching it to the button of the patient's clothing or by fixing the adhesive tape to the clothes with a clothespin. It has a complicated process, so there is a problem with u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1684453호 (고안의 명칭: 비강 삽입용 튜브 고정패드, 공고일: 2016년 12월 08일)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1684453 (designated name: nasal insertion tube fixing pad, date: December 08, 2016)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 패드 사이에 튜브를 고정시키고, 패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통해 환자복에 보다 신속, 간편하게 패드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하여 튜브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튜브 고정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sten the tube between the fixed pad, the pad is fixed to the patient clothes more quickly and simply through the fixing portion that can be fixed, as well as inadvertently the tube is removed from the patient body It is to provide a tube fixing pad that can be prevent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벨크로면이 형성된 제1 패드와, 상기 제1 벨크로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 벨크로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벨크로면이 형성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환자의 환자복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일부분은 고정결합되어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타부분은 벨크로 결합으로 탈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중 상기 고정단과 상기 제2 벨크로면 사이에 튜브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pad having a first velcro surface, and a second velcro surfa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lcro surface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velcro surface. A second pad,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to fix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to a patient's patient clothing, wherei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provided. A part of the pad is fixedly coupled to form a fixed end, and the other part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formed as a free end detachable by Velcro coupling, and the fixed end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of the second pad. It provides a tube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fix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xed tube.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끈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first string member.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패드의 외측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외측과 결합되는 제1 집게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first tong member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first pad or an outer side of the second pad.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와 결합되는 제2 끈 부재 및 상기 끈 부재의 타단과 결합되며, 환자복에 고정되는 제2 집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the second strap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and the second end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member and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It may include.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제1 패드 및 제2 패드에 각각 제1 벨크로면과 제2 벨크로면이 형성되어 탈착됨으로써 패드 사이에 튜브를 고정하는 것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first Velcro surface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are formed and detached o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respectively, so that fixing the tube between the pads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simply.

둘째, 제1 패드 또는 제2 패드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환자복에 고정됨으로써 튜브의 고정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하여 튜브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to be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so that the fixing of the tube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easily, and the tub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patient due to carelessness.

셋째, 고정부가 끈 부재, 집게 부재 및 이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가 환자복에 여러가지 고정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part can be fixed to the patient clothing by various fixing methods by being made of a strap member, a forceps member and a combination thereof.

넷째, 제2 패드에 튜브 고정부가 형성되어 튜브가 고정되어 튜브가 패드 내에서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자의 이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튜브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ub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pad to fix the tube to prevent the tube from rotating or moving in the pad, thereby preventing the tube from being removed from the patient's body due to the movement or carelessness of the pati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1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2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3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mplified views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the problem to be solved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describes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는 제1 패드(1100), 제2 패드(1200), 고정부(도번부호 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d 1100, a second pad 1200, and a fixing portion (not shown).

상기 제1 패드(1100)는 한 면에 제1 벨크로면(1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벨크로면(1110)에는 암(雌) 또는 수(雄)의 벨크로가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ad 1100 may have a first Velcro surface 1110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emale or male Velcro may be coupled to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상기 제1 패드(1100)의 일부분,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100)의 한쪽 끝단은 상기 제2 패드(1200)에 대하여 고정단(Fi)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Fi)을 제외한 타부분은 제2 패드(1200)에 대하여 자유단(Fr)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 portion of the first pad 1100, that is, as shown in FIG. 1A, one end of the first pad 1100 is formed as a fixed end Fi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d 1200. The other part except for the fixed end Fi is formed as a free end Fr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d 1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패드(1100)에는 상기 제1 패드(1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파지부(110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1102)에는 상기 제1 벨크로면(1110)이 형성되지 않는다.A first gripping portion 1102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d 1100 on the first pad 1100, and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is formed on the first gripping portion 1102. Not formed.

상기 제2 패드(1200)는 상기 제1 벨크로면(1110)과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벨크로면(1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pad 1200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예를 들어, 상기 제1 벨크로면(1110)이 암벨크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벨크로면(1210)은 수벨크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벨크로면(1110)이 수벨크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벨크로면(1210)은 암벨크로로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is formed of female velcro, 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is formed of male velcro, and when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is formed of male velcro, 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is formed of female velcro.

상기 제2 패드(1200)의 자유단(Fr)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벨크로면(1210)은 상기 고정단(Fi)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패드(1100)에 형성된 상기 제1 벨크로면(1110)과 탈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패드(1100)와 상기 제2 패드(1200) 사이에 튜브(T)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Fr of the second pad 1200 is the first Velcro surface 1110 formed in the first pad 1100 about the fixed end Fi. In this case, the tube 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이를 통해 상기 제1 패드(1100)와 상기 제2 패드(1200) 사이에 상기 튜브(T)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드(1100)의 자유단(Fr)과 상기 제2 패드(1200)의 자유단(Fr)이 벨크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튜브(T)가 상기 제1 패드(1100)와 상기 제2 패드(12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ube 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and the free end Fr and the second pad 1200 of the first pad 1100 are disposed. The free end Fr is coupled to the Velcro to prevent the tube 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또한, 상기 제2 패드(1200)에는 상기 고정단(Fi)과 상기 제2 벨크로면(1210) 사이에 튜브 고정부(12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tube fixing part 1220 is formed on the second pad 1200 between the fixing end Fi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상기 튜브 고정부(1220)는 상기 튜브(T)가 탈착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점착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 고정부(1220)에 상기 튜브(T)가 부착되고, 상기 제1 벨크로면(1110)과 상기 제2 벨크로면(1210)이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드(1100)의 자유단(Fr)과 상기 제2 패드(1200)의 자유단(Fr)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튜브(T)가 상기 제1 패드(1100) 및 상기 제2 패드(1200)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상하로 이동하지 않으며 결합될 수 있다. The tube fixing part 1220 is formed of an adhesive layer having a viscosity such that the tube T is detachable, the tube T is attached to the tube fixing part 1220, and the first velcro is attached. The surface 1110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are coupled to the free end Fr of the first pad 1100 and the free end Fr of the second pad 1200, thereby coupling the tube T. ) May be combined without rotating or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이에 따라 상기 튜브(T)가 상기 튜브 고정부(1220)에 점착되어 상기 제1 패드(1100) 및 상기 제2 패드(1200)에 고정됨으로써 환자의 이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튜브(T)가 환자 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tube T is adhered to the tube fixing part 1220 and fixed to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thereby causing the tube T to be inflated by the patient due to movement or carelessness of the patient. This will prevent you from falling out of your body.

물론, 상기 튜브 고정부(1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패드(1200)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튜브(T)와 패드 사이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제1 패드(1100) 및 제2 패드(1200)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tube fixing part 1220 may be formed only on the second pad 12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for more firm fixing between the tube T and the pad. It may be formed on all of the pads 1200.

상기 제2 패드(1200)에는 상기 제2 패드(1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파지부(120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파지부(1202)에는 상기 제2 벨크로면(1210)이 형성되지 않는다.A second gripping portion 1202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d 1200,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1210 is formed on the second pad 1200. Not formed.

상기 제1 파지부(1102)와 상기 제2 파지부(1202)가 각각 상기 제1 패드(1100) 및 상기 제2 패드(120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패드(1100)와 상기 제2 패드(1200)가 벨크로 결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파지부(1102)와 상기 제2 파지부(1202)를 통해 쉽게 상기 제1 패드(1100)와 상기 제2 패드(1200)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gripping portion 1102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202 are formed on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 When 1200 is coupled to the velcro, a user may easily separate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through the first grip part 1102 and the second grip part 1202. do.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패드(1100) 또는 상기 제2 패드(12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패드(1100) 및 상기 제2 패드(1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환자의 한자복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끈 부재(1300)로 형성된다.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pad 1100 or the second pad 1200, and fixes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1100 and the second pad 1200 to the Hanja clothes of the patient. Including the government,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the first string member 1300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끈 부재(1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파지부(1102) 또는 상기 제2 파지부(1202)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단(Fi)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외 영역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이 부합되면 상기 제1 파지부(1102), 상기 제2 파지부(1202) 및 상기 고정단(Fi) 이외 영역에도 결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first string member 1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ip portion 1102 or the second grip portion 1202, or may be coupled to the fixed end Fi. When the condition tha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other region is met, it may be coupled to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holding portion 1102, the second holding portion 1202 and the fixed end (Fi).

상기 제1 끈 부재(1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복에 감겨 하나로 결합된 상기 제1 패드(1100), 상기 제2 패드(1200) 및 상기 튜브(T)를 환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의료상황에서 환자복에 상기 튜브(T)의 고정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trap member 1300 is wound around the patient's clothing to fix the first pad 1100, the second pad 1200, and the tube T to the body of the patien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simply fix the tube (T) to the patient's clothing in a medical situation.

또한, 이를 통해 환자의 이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튜브(T)가 환자 몸에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ube (T) from falling out of the patient body due to the movement or carelessness of the patient through this.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1 패드(2100)와 제2 패드(2200) 사이에 튜브(T)가 고정되고, 고정부가 환자복에 고정됨으로써 튜브(T)를 환자 몸으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ube T is fixed between the first pad 2100 and the second pad 2200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to fix the tube T from the patient's body.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제1 집게 부재로 형성된다.However,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the first tong member.

상기 제1 집게 부재는 상기 제1 패드(2100)의 외측 또는 상기 제2 패드(2200)의 외측과 결합되며, 환자복이 상기 제1 집게 부재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패드(2100), 상기 제2 패드(2200) 및 상기 튜브(T)를 환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의료상황에서 환자복에 상기 튜브(T)의 고정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lamp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pad 2100 or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ad 2200, and the patient clothing is fitted to the first clamp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irst pad 2100 and the first. 2 pads 2200 and the tube (T) can be fixed to the patient's body, through which the fixing of the tube (T) to the patient's clothing in a medical situ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imply.

또한, 이를 통해 환자의 이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튜브(T)가 환자 몸에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ube (T) from falling out of the patient body due to the movement or carelessness of the patient through this.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집게 부재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상의 부재(2310)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핀 형상의 부재(2320)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형상의 부재(2330)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2, the first to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tong-shaped member 2310, or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of the member 2320, it may be formed of a clip-like member 2330 as shown in (c) of FIG.

물론, 상기 제1 집게 부재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 이외의 핀 형상 부재, 똑딱이 단추 부재, 부직포 부재, 옷핀 형상 부재 등을 포함한 환자복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대체 가능하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first tong member can be replaced if it is a shape that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including pin-shaped member, snap button member, nonwoven member, clothespin-shaped member and the lik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shape.

이때, 상기 제1 집게 부재의 형상이 핀 형상 부재, 똑딱이 단추 부재, 부직포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와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hape of the first tong member is made of a pin-shaped member, a tip button member, a nonwoven member, a separate coupling member (not shown) coupled thereto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a third embodiment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 패드의 제1 패드(3100)와 제2 패드(3200) 사이에 튜브(T)가 고정되고, 고정부가 환자복에 고정됨으로써 튜브(T)를 환자 몸으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ube T is fixed between the first pad 3100 and the second pad 3200 of the tube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to fix the tube T from the patient's body.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제2 끈 부재(3310) 및 제2 집게 부재를 포함한다.However,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string member 3310 and a second tong member.

상기 제2 끈 부재(3310)는 일단이 상기 제1 패드(3100) 또는 상기 제2 패드(3200)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second string member 3310 is coupled to the first pad 3100 or the second pad 3200.

상기 제2 집게 부재는 상기 제2 끈 부재(3310)의 타단에 결합되며, 환자복에 고정된다.The second tong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ring member 3310 and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집게 부재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상의 부재(3321)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핀 형상의 부재(3322)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형상의 부재(3323)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3, the second to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tong-shaped member 3321, or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of a member 3322, or may be formed of a clip-like member 3323 as shown in (c) of FIG.

상기 제2 집게 부재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 이외의 핀 형상 부재, 똑딱이 단추 부재, 부직포 부재, 옷핀 형상 부재 등을 포함한 환자복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대체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second tong member can be replaced as long as it is a shape that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including pin-shaped members, tip button members, nonwoven fabric members, clothespin-shaped members and the lik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shapes.

이때, 상기 제2 집게 부재의 형상이 핀 형상 부재, 똑딱이 단추 부재, 부직포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와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hape of the second tong member is made of a pin-shaped member, a snap button member, and a nonwoven member, a separate coupling member (not shown) coupled thereto may be further includ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2 끈 부재(3310) 및 상기 제2 집게 부재(332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끈 부재(3310)는 환자복에 감겨 하나로 결합된 상기 제1 패드(1100), 상기 제2 패드(1200) 및 상기 튜브(T)를 환자의 몸에 1차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 상기 환자복이 상기 제2 집게 부재(3321)에 끼워져 2차로 고정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튜브(T)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의료상황에서 환자복에 상기 튜브(T)의 고정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xing part includes the second string member 3310 and the second tong member 3331, so that the second string member 3310 is wound around the patient's clothing and joined to the first pad. 1100, the second pad 1200 and the tube T may be first fix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and then the patient clothing may be fitted to the second tong member 3331 to be fixed secondarily. The fixing of the tube (T) can be performed, as well as the fixing of the tube (T) to the patient's clothing in a medical situ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imply.

물론, 상기 제2 끈 부재(3310)와 상기 제2 집게 부재는 의료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econd string member 3310 and the second tong member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medical condition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0, 2100, 3100: 제1 패드
1102: 제1 파지부
1110: 제1 벨크로면
1200, 2200, 3200: 제2 패드
1202: 제2 파지부
1210: 제2 벨크로면
1220: 튜브 고정부
1300: 제1 끈 부재
2310, 2320, 2330: 제1 집게 부재
3310: 제2 끈 부재
3321, 3322, 3323: 제2 집게 부재
T: 튜브
1100, 2100, 3100: first pad
1102: first gripper
1110: first Velcro plane
1200, 2200, 3200: second pad
1202: second gripper
1210: second velcro plane
1220: tube holder
1300: first string member
2310, 2320, 2330: first tong member
3310: second string member
3321, 3322, 3323: second tongs absent
T: tube

Claims (4)

제1 벨크로면이 형성된 제1 패드;
상기 제1 벨크로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 벨크로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벨크로면이 형성되는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환자의 환자복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일부분은 고정결합되어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의 타부분은 벨크로 결합으로 탈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중 상기 고정단과 상기 제2 벨크로면 사이에 튜브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
A first pad having a first velcro surface formed thereon;
A second pad having a second velcro surfac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lcro surface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velcro surface; And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to fix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to the patient's patient clothing.
A portion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fixedly coupled to form a fixed end,
The other part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formed as a free end detachable by Velcro coupling,
A tube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tube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end and the second Velcro surface of the second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끈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xing part is formed of a first str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패드의 외측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외측과 결합되는 제1 집게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is a tube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first to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pad or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와 결합되는 제2 끈 부재; 및
상기 끈 부재의 타단과 결합되며, 환자복에 고정되는 제2 집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고정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ortion,
A second string member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And
And a second to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member and fixed to the patient's clothing.
KR2020180000813U 2018-02-22 2018-02-22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KR2019000219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3U KR20190002194U (en) 2018-02-22 2018-02-22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3U KR20190002194U (en) 2018-02-22 2018-02-22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94U true KR20190002194U (en) 2019-08-30

Family

ID=6776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13U KR20190002194U (en) 2018-02-22 2018-02-22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9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105B1 (en) * 2021-06-16 2021-12-14 (주)카이로스 Holder for fixing fluid infusion tub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53B1 (en) 2015-05-06 2016-12-08 최정환 Fixing band for nasal insertion tu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53B1 (en) 2015-05-06 2016-12-08 최정환 Fixing band for nasal insertion tub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105B1 (en) * 2021-06-16 2021-12-14 (주)카이로스 Holder for fixing fluid infusion tu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4117A1 (en) Flexible tube coupler
US20100252049A1 (en) Endotracheal tube securing device
KR101684453B1 (en) Fixing band for nasal insertion tube
JP4705686B2 (en) Medical tube fixation belt
KR200486902Y1 (en)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KR101789125B1 (en) Adhesive mouthpiece for medical purposes
KR20190002194U (en) Pads for fixing medical tubes
KR20170018560A (en) Attachment mechanism of nasogastric tube
ES2967516T3 (en) Medical device
JP6230128B2 (en) Cannula holding band
CN217938851U (en) Multipurpose cannula fixer
CN206896472U (en) A kind of L thyroxine tab neck brace
KR20170034671A (en)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JP3153651U (en) Nasal tube feeding catheter with drop-off prevention cuff
CN206777585U (en) A kind of remaining needle fixes gloves
CN205867220U (en) Needle is kept somewhere to vein that can fix by oneself
KR101815373B1 (en) Endotracheal tube oral anchor
CN219110554U (en) Simple gastric tube anti-drop tube device
CN205145350U (en) Stomach tube fixture device
CN208974928U (en) Stomach tube fixing device
KR20200000391U (en) fixture device of medical tube
CN220256590U (en) PICC fixes prevents tube drawing protective sheath
CN208710767U (en) A kind of stomach tube fixing device
CN213788078U (en) Restraining glove
CN212877762U (en) Puncture-proof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