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65A - Water falling system - Google Patents

Water fal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65A
KR20190002165A KR1020170082688A KR20170082688A KR20190002165A KR 20190002165 A KR20190002165 A KR 20190002165A KR 1020170082688 A KR1020170082688 A KR 1020170082688A KR 20170082688 A KR20170082688 A KR 20170082688A KR 20190002165 A KR20190002165 A KR 2019000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anel
water
control unit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7825B1 (en
Inventor
전금수
손철수
임은희
최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드밸리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드밸리,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드밸리
Priority to KR102017008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82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a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alling system comprises: a lowe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 panels having a pressure sensor are formed; an upper panel separated from the lower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in parallel with the lower panel; a lower LED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panel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on the upper panel, and spraying water on each sub panel area; a valve formed on the upper panel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nozz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ub panel at a position of a sensed pressure sensor as well as turning on the lower LED formed on the sub panel at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sensor when a pressure is sensed in the pressure sensor.

Description

워터 폴링 시스템{WATER FALLING SYSTEM}Water Polling System {WATER FALLING SYSTEM}

본 발명은 워터 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이동경로 상의 LED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이동경로 상의 상부에서 사용자에게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워터 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oll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olling system that not only displays LEDs on a user's travel route, but also allows water to be sprayed to a user at an upper portion on a travel route.

분수대와 음악을 융합한 음악분수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내외에 설치되고 있다. 음악분수장치는 역동감을 주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단위로 프로그램된 제어 패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동시에 구동력을 조절하여 활력적인 분수를 제공한다. Music fountain devices that combine fountains and music have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The music fountain apparatus drives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pattern programm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to give a dynamic feeling,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vigorous frac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상기 종래의 음악분수장치는 분수 노즐의 단순한 제어 및 일상적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분수형태가 정해지므로 관람자의 관심도가 낮아져 재이용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music fountain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ractional for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mple control of the fountain nozzle and the routine control program, which lowers the interest of the spectator and low reusability.

또한,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분수는 물이 자동으로 분출하여 사용자가 분수 위에서 놀이를 즐기는 데 그치고 있다.In addition, the floor fountain installed on the floor is automatically sprayed with water, so that the user enjoys playing on the fountain.

이러한 종래 바닥분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워터큐브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 워터큐브장치(공개번호 10-2014-0119919호)는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움직임 감지부가 사용되고, 움직임 감지부는 광송수신부를 이용하였다.A water cube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loor fountain. In the conventional water cube apparatus (Publication No. 10-2014-0119919), a motion sensing unit is used to detect user movement, and a motion sensing unit uses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이러한 움직임 감지부는 설치비용이 고가이며, 사용자 감지시 불필요한 물체 또는 이용자의 손이나 도구들까지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motion detection unit has a high installation cost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 by sensing unnecessary objects or user's hands or tools when detecting the user.

또한, 움직임 감지부로 CCD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도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고, 관련 프로세스 역시 복잡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에 상응하여 물 분사 제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Also, when a CCD camera is used as a motion sensing unit, expensive equipment is used and related processes are complic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predict a user's motion and control water injection according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바닥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LED를 점등함과 동시에 물을 분사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olling system that illuminates an LED and emits water using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while the user mov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력센서가 구비된 복수의 서브패널이 형성된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패널;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 각각에 형성된 하부LED;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패널 영역 각각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압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압력센서 위치의 서브패널에 형성된 하부LED를 점등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감지된 압력센서 위치의 서브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의 노즐을 개폐하는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low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b-panels provided with pressure sensors; An upper panel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ower LED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on the upper panel for spraying water into each of the sub-panel areas; A valve formed on the upper panel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nozz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b-panel of the sensed pressure sensor position, at the same time, a lower LED formed on a sub-panel at a position of the sensed pressure sensor when the pressure sensor senses the pressure, And a water polling system including the water polling system.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The lower panel may be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in a matrix form.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이 피아노 건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anel may have the plurality of sub panels formed in the form of a piano keyboard.

상기 워터 폴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 별로 저장된 음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Wherein the water polling system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ca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musical scale,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워터 폴링 시스템은 상기 서브패널들 중 상기 압력센서가 동작한 서브패널을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음계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polling system may detect a sub-panel of the sub-panel on which the pressure sensor operates,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sub-panel to output the corresponding scale to the speak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패널 내의 사용자의 경로를 탐색해서 물이 분사되지 않는 서브패널 구간을 미리 설정하되,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를 통해 다음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위치에 상응하는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searches a path of a user in the lower panel to set a sub-panel section in which water is not sprayed in advance, predicts a next position through a previous position and a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서브패널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to be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subpanel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일반 분수 시스템과 다르게 물을 절약하면서 어린이 또는 유아들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children or infants can play indoor or outdoor while saving water, unlike a general frac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물분사 또는 물터널을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be interested by providing contents of a water jet or a water tunnel based on a user's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장치 장치의 상부패널의 상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장치 장치의 사부패널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시스템의 하부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of the water poll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anel of the water polling device apparatus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nel of the water poll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polling system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장치 장치의 상부패널의 상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장치 장치의 사부패널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시스템의 하부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폴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panel of the water poll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nel of the water poll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oll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polling system.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워터 폴링 장치(100) 및 키오스크(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polling apparatus 100 and a kiosk 200.

구체적으로, 워터 폴링 장치(100)는 상부패널(110)에서 하부패널(120)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대략적으로 큐브 형상을 가진다. 워터 폴링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is formed to spray water from the upper panel 110 to the lower panel 120, and has a roughly cubic shape. The description of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키오스크(200)는 워터 폴링 장치(100)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워터 폴링 장치(100)에서 물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사용 모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kiosk 200 is connected adjacent to the water polling device 100 to control water injection from the water polling device 100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usage mode information.

이때, 워터 폴링 장치(100)는 하부패널(120), 상부패널(110), 압력센서(160), 상부LED(116), 하부LED(170), 밸브(112), 노즐(114)을 포함하고, 키오스크(200)는 표시부(210), 스피커(23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includes a lower panel 120, an upper panel 110, a pressure sensor 160, an upper LED 116, a lower LED 170, a valve 112, And the kiosk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a speaker 230, and a control unit 220.

하부패널(120)과 상부패널(110)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부패널(120)과 상부패널(110) 사이는 약2~3m 정도가 이격되어 사용자가 뛰거나 걷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The lower panel 120 and the upper panel 11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nel 120 and the upper panel 110 is about 2 to 3 meters, so that the user can run or walk.

상부패널(110)에는 복수의 밸브(112) 및 노즐(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110)은 노즐(114) 주변에 상부LED(116)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alves 112 and nozzles 114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nel 110. In addition, the upper panel 110 may have an upper LED 116 formed around the nozzle 114.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10)의 상부면에 복수의 밸브(112)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밸브(112)는 각각의 노즐(114)에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112)는 도 5에 도시된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밸브(112)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자제어가 가능한 어떠한 밸브도 사용될 수 있다.2 and 3, a plurality of valves 11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10 in a matrix form. Each valve 112 can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each nozzle 114. Such a valve 112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20 shown in Fig. The valve 112 may be a solenoid valve or the like, but any valve capable of electronic control may be used.

노즐(114)은 상부패널(110)의 하부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노즐(114)는 하부패널(120)의 각 서브패널(13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nozzles 114 may be installed in a matrix for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10. At this time, the nozzles 11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panels 130 of the lower panel 120.

노즐(114)은 샤워기 형태로 형성되어 밸브(112)의 개방시 하부로 가는 복수의 물줄기를 공급한다.The nozzle 1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ower to supply a plurality of streams to the lower portion when the valve 112 is opened.

한편, 각 노즐(114)의 주변에 복수의 상부LED(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LED(116)는 노즐(114)에서 물이 방출될 때, 켜지고 노즐(114)에서 물 방출이 차단되면 이와 동시에 꺼질 수 있다. 상부LED(116)는 도 5에 도시된 제어부(220)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upper LEDs 116 may be formed around the respective nozzles 114. The upper LED 116 may turn off at the same time when water is emitted from the nozzle 114 and is turned on and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nozzle 114 is blocked. The upper LED 116 may be turned on / off by the control unit 220 shown in Fig.

하부패널(120)은 지지패널(180)과, 지지패널(18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서브패널(13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브패널(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40), 지지프레임(150), 압력센서(160) 및 하부LED(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anel 120 may include a support panel 180 and a plurality of sub panels 130 formed on the support panel 180 in a matrix form. The sub-panel 130 may include a foot plate 140, a support frame 150, a pressure sensor 160, and a lower LED 170, as shown in FIG.

발판(140)은 하부LED(170)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되는 고강도 아크릴 등의 소재가 적합하다. 발판(140)은 고강도 아크릴 이외에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판(140)은 빛을 투과하고, 방수가 되며, 적어도 200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판(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14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high-strength acrylic material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LED 170 is transmitted. The foot plate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transparent plastic, etc. in addition to high-strength acrylic. That is, the foot plate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is waterproof, and can withstand a load of at least 200 Kg. The foot plate 14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 4, bu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 as the case may be.

압력센서(160)는 발판(140)의 하부에 형성된다. 압력센서(160)는 각 발판(140)의 하부마다 형성되어 해당 발판(140)의 상부에 무게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20)에 전송할 수 있다. 압력센서(160)는 각각의 서브패널(130)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가 부여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6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plate 140. The pressure sensor 16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each footplate 140 and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0 when a weight is detected on the footplate 140. [ The pressure sensor 160 may be addressed to recognize each of the sub-panels 130.

하부LED(170)는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압력센서(160)에서 인식된 감지신호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패널(13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위치하는 서브패널(130)의 하부LED(170)가 켜지고, 사용자가 이동하면 해당 위치의 서브패널(130)은 꺼진다.The lower LED 17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recognized by the pressure sensor 160. [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130, the lower LED 170 of the sub-panel 130 where the user is located is turned on, and when the user moves, the sub- Is turned off.

상기 하부LED(170)는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LED(170)는 압력센서(160)에서 검출된 신호를 통해 점등될 수도 있으나, 압력센서(160)에서 제어부(220)에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220)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온/오프될 수 있다.The lower LED 170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20. The lower LED 170 may be turned on through the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60.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160 to the controller 220, / RTI > can be turned on /

지지프레임(150)은 압력센서(160)와 하부LED(170)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발판(140)의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50)은 발판(140)의 외각에 수밀구조로 형성되며, 지지패널(180)과 수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140) 하부의 공간에 물이 침투하지 않아 압력센서(160)와 하부LED(170)를 보호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50 is formed under the footplate 140 to protect the pressure sensor 160 and the bottom LED 170 from moisture. The support frame 150 is formed in a watertight struc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plate 140 and may be formed in a watertight structure with the support panel 180. Accordingly, the pressure sensor 160 and the lower LED 170 can be protected from water infiltration into the space under the foot plate 140. [

서브패널(130)들의 사이에는 물배수로(190)가 추가되어 발판(140) 위쪽의 물이 물배수로(190)로 흘러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한 물은 물배수로(190)를 따라 한곳에 집중되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 water drainage path 190 is added between the sub panels 130 to prevent the user from sliding over the water on the upper side of the scaffold 140 to the water drainage path 190. The used water flows along one side of the water drainage path 190 To be concentrated and recycled.

키오스크(200)는 워터 폴링 장치(10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키오스크(200)는 통상적으로 외부에 형성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2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제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터치식 디스플레이와 상기 워터 폴링 장치(100)의 압력센서(160), 상부 및 하부LED(170), 밸브(112)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kiosk 20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The kiosk 200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touch-type display unit 210 formed on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220 may be provided therein. The control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160, the upper and lower LEDs 170 and the valve 112 of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키오스크(200)는 서브패널(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음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2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kiosk 2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panel 130, and may include a speaker 230 for outputting a scale.

제어부(220)는 상기 키오스크(200)의 터치식 디스플레인 표시부(210)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처리한다. 서브패널(130)에 사용자가 위치하면 압력센서(160)에서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22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여 제어부(220)는 해당 서브패널에 상응하는 음계를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스피커(230)를 통해 외부에 음을 울리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processes a command input from the touch-type display unit 210 of the kiosk 200.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sub-panel 130, the pressure sensor 160 recognizes the user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0.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220 extracts a corresponding scale from the sub- So that a sound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230.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may output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230.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may be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매뉴 선택에서 레인모드 또는 터널모드를 선택할 경우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112)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valve 112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lane mode or the tunnel mode at the menu selection.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레인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어부(220)는 압력센서(16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압력센서(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114)을 개방하도록 밸브(1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압력센서(160)들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통해 사용자들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이전 시간에 입력되는 센서신호와 현재시간에 입력된 센서신호를 통해 1인 사용자인지, 2인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이러한 예측을 통해 사용자의 다음 경로에 사용자가 이동시 압력센서(160)에서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에도 해당 위치의 밸브(112)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해당 서브패널(130)을 빠른 속도로 통과할 때, 물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ane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60 and controls the valve (not shown) to open the nozzle 114 located above the pressure sensor 160 112).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can predict the users through the signals input to the pressure sensors 160. That is, the control unit 220 can predict whether a user is a single user or more than two users using a sensor signal input at a previous time and a sensor signal input at a current time. The control unit 220 opens the valve 112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efore the signal is inputted by the pressure sensor 160 when the user moves to the next path of the user through the prediction, , It is possible to spray water.

한편, 제어부(220)는 터널모드로 동작할 때, 압력센서(160)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서브패널을 제외하고 나머지 서브패널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서브패널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물이 분사되도록 밸브(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위치를 이동해야 한다.Meanwhile, when operating in the tunnel mode, the controller 220 may use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160 to supply water to the remaining sub-panels other than the sub-panel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valve 112 so that the water is sprayed when the time set on the subpanel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lapses. Accordingly, the user must move the position in order to avoid the water.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경로를 탐색해서 물이 분사되지 않는 서브패널 구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를 통해 다음 위치를 예측하여 밸브(112)를 조작하여 해당 서브패널 측으로 물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가 워터 폴링 장치(100) 내에서 이동하고 있을 경우, 복수의 사용자를 구분해야 한다.The control unit 220 can search for the path of the user and set the sub-panel section in which the water is not sprayed in advance. That is, the control unit 220 can predict the next position through the previous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control the water injection to the sub-panel side by operating the valve 112.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moving within the water polling apparatus 100, a plurality of users should be distinguished.

제어부(220)는 복수의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압력센서(160)에서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한다. 즉, 제어부(220)는 복수의 압력센서들에서 입력된 신호들 중 설정된 근접거리 계수 내에 있는 압력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일 경우 동일한 사용자로 판단하고, 근접거리 계수 외에 있는 압력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은 서로 다른 사용자로 판단한다. 여기서, 근접거리 계수는 서브패널 간의 거리로서, 이전 위치의 서브패널과 현재위치의 서브패널간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근접거리 계수가 1일 경우 두 서브패널이 서로 밀착된 경우이고, 근접거리 계수가 2일 경우 1개의 서브패널을 사이에 두고 두 서브패널간 거리이다. The control unit 220 uses the signals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60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s within the set proximity coefficient among th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e signals are judged to be different users. Here, the proximity distance coefficien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b-panels, which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sub-panel at the previous position and the sub-panel at the current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proximity coefficient is 1, the two sub-pane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proximity coefficient is 2,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ub-panels is 1 with the sub-panel therebetween.

상기와 같이, 제어부(220)는 사용자를 구분하고, 압력센서들에서 입력된 신호를 통해 사용자들의 이동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20 can classify the users and predict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s through the signals inputted from the pressure sensors.

제어부(220)는 이전 서브패널의 위치와 현재 서브패널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할 다음 서브패널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위치의 서브패널과 대응되는 위치의 밸브(112)를 폐쇄하여 사용자가 해당 서브패널에 도착하기 바로 직전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막는다. The controller 220 predicts the position of the next sub-panel to be moved by the user through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sub-panel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sub-panel, closes the valve 112 corresponding to the sub- Prevent water from being fed just before arriving at the subpanel.

상기와 같이,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로의 밸브(112)를 제어하여 경로상의 서브패널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에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는 터널처럼 느껴지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valve 112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user travels, so that the user can feel like a tunnel by spraying water to the remainder except for the sub-panel position on the rout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도 1과 대비하여 하부패널의 형태가 피아노 건반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부패널에는 상기 피아노 건반 위치에 상응하도록 노즐 및 밸브가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FIG. 5 is a view similar to FIG. 1 except that the lower panel is formed in a piano keyboard type, and the upper panel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except that nozzles and valve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iano keyboard position.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differenc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워터 폴링 장치(300) 및 키오스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워터 폴링 장치(300)는 상부패널(310) 및 하부패널(3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polling device 300 and a kiosk 400. At this time, the water poll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n upper panel 310 and a lower panel 350.

구체적으로, 상부패널(310)은 하부패널(350)과 일정거리(약 2~3m)가 이격 되게 형성된다. 상부패널(3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310)의 상부에 밸브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은 하부패널(350)의 서브패널(3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anel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nel 3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2 to 3 m).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panel 310 may have a val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310, and a nozzle may be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nozzl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bpanel 360 of the lower panel 350.

하부패널(350)은 피아노 건반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패널(350)는 복수의 서브패널(360)로 구성되며, 복수의 서브패널(360)은 피아노 건반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The lower panel 350 is formed in a piano keyboard shape. At this time, the lower panel 3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 panels 360, and the plurality of sub panels 360 can be arranged like a piano keyboard.

하부패널(350)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발판, 지지프레임, 압력센서 및 하부LED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판 및 지지프레임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lower panel 350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e footrest, support frame, pressure sensor and lower LED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ootrest and the support frame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키오스크(4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표시부(210), 제어부(220) 및 스피커(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40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speaker 230 shown in FIG.

표시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4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브패널(360)에 위치하면 해당 서브패널에 설정된 음을 스피커(230)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iosk 400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use the sound set in the sub-panel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230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sub-panel 360. [

이를 위하여, 키오스크(400) 내부에서는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서브패널(360)별로 음계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에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서브패널(360)에 위치할 경우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230)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do this, the kiosk 4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to store scales for each subpanel 360. Also, a speaker 2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and outputting a scal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subpanel 360 may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일반 분수 시스템과 다르게 물을 절약하면서 어린이 또는 유아들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children or infants can play indoor or outdoor while saving water, unlike a general wat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터 폴링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물분사 또는 물터널을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be interested by providing contents of a water jet or a water tunnel based on a user's location.

100, 300: 워터 폴링 장치
110, 310: 상부패널
112: 밸브
114: 노즐
116: 상부LED
120, 350: 하부패널
130, 360: 서브패널
140: 발판
150: 지지프레임
160: 압력센서
170: 하부LED
180: 지지패널
190: 물배수로
200, 400: 키오스크
210: 표시부
220: 제어부
230: 스피커
100, 300: Water polling device
110, 310: upper panel
112: Valve
114: Nozzle
116: upper LED
120, 350: Lower panel
130, 360: Sub-panel
140: Scaffolding
150: Support frame
160: Pressure sensor
170: Lower LED
180: Support panel
190: Water drainage
200, 400: Kiosk
210:
220:
230: Speaker

Claims (6)

압력센서가 구비된 복수의 서브패널이 형성된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패널;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 각각에 형성된 하부LED;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패널 영역 각각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압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압력센서 위치의 서브패널에 형성된 하부LED를 점등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감지된 압력센서 위치의 서브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의 노즐을 개폐하는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A low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b-panel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An upper panel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ower LED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on the upper panel for spraying water into each of the sub-panel areas;
A valve formed on the upper panel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nozz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b-panel of the sensed pressure sensor position while simultaneously lighting a lower LED formed in a sub- Including a water poll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anel
Wherein the plurality of sub-panels are combined in a matrix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이 피아노 건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anel
Wherein the plurality of sub-panel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iano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패널 별로 저장된 음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패널들 중 상기 압력센서가 동작한 서브패널을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음계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scales stor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anels; 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cale,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sub-panel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is operated among the sub-panel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cales to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패널 내의 사용자의 경로를 탐색해서 물이 분사되지 않는 서브패널 구간을 미리 설정하되,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를 통해 다음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위치에 상응하는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sub-panel section in which water is not sprayed is searched by searching a path of a user in the lower panel, and a next position is predicted through a previous position and a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o control a valve corresponding to a predicted position Features a water polling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서브패널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폴링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upply water when the time set on the subpanel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lapses.
KR1020170082688A 2017-06-29 2017-06-29 Water falling system KR102097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8A KR102097825B1 (en) 2017-06-29 2017-06-29 Water fal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8A KR102097825B1 (en) 2017-06-29 2017-06-29 Water fal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65A true KR20190002165A (en) 2019-01-08
KR102097825B1 KR102097825B1 (en) 2020-05-27

Family

ID=6502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88A KR102097825B1 (en) 2017-06-29 2017-06-29 Water fal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8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63A (en) * 2009-07-27 2011-02-08 (주)셈투유 A rippling of water instrument of smart type
KR101429102B1 (en) * 2013-03-29 2014-08-14 주식회사 윈드밸리 Control method for water cube
KR20140119919A (en)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윈드밸리 Water cub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63A (en) * 2009-07-27 2011-02-08 (주)셈투유 A rippling of water instrument of smart type
KR101429102B1 (en) * 2013-03-29 2014-08-14 주식회사 윈드밸리 Control method for water cube
KR20140119919A (en)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윈드밸리 Water cub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25B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810B1 (en) Game system using drones
US6857601B2 (en) Airship system
US8808145B1 (en) Interactive climbing wall system using touch sensitive, illuminating, climbing hold bolts and controller
US20170248302A1 (en) Backlit Floor Construction
WO2006120633A3 (en) Computer controlled pawn
US20160306603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for swimming pools
WO2016046364A1 (en) Backlit floor construction
KR20190002165A (en) Water falling system
KR101997102B1 (en) Control method for water falling device
KR101827266B1 (en) Floor panels for building
KR101429102B1 (en) Control method for water cube
KR20110011203U (en) Switch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KR200476227Y1 (en) Non-toutch type selection switch
WO2004074997A3 (en) Interactive system
KR20140119919A (en) Water cube device
KR20110006466A (en) 3-d virtual-reality aquarium device
US8217900B1 (en) Light beam operated peripheral data input device for use in and out of sunlight
KR101997919B1 (en) Lighting system
WO2008153422A2 (en) Orient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69694B1 (en) Multi-post operation escalator and maving walk head sensor turn round an angle reguiation
CN205485395U (en) Auto -induction system of building and building materials
KR101958066B1 (en)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n Elevator Monitor
KR20110006465A (en) 3-d virtual-reality aquarium device
EP09156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evices
KR102482338B1 (en) Direction guidance system in th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