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62U -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 Google Patents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62U
KR20190002162U KR2020180000726U KR20180000726U KR20190002162U KR 20190002162 U KR20190002162 U KR 20190002162U KR 2020180000726 U KR2020180000726 U KR 2020180000726U KR 20180000726 U KR20180000726 U KR 20180000726U KR 20190002162 U KR20190002162 U KR 20190002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elf
wireless communication
card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사무엘
조남호
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로보틱스
Priority to KR2020180000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62U/ko
Publication of KR20190002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및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칩이 내설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내설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태양전지판들이 경사진 방향으로 내설되는 충전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들 및 상기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부를 감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Radio communication device of card type possible by Self charge}
본 고안은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기적 충전 없이도 태양열 등에 의해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및 어린이 등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지각 능력이 부족하여 뜻하지 않게 인도자 또는 보호자의 통제를 벗어나 미아 발생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게 된다.
또한, 지각 능력이 저하된 치매 노인 등의 경우에도 보호자로부터 이탈하여 실종 신고 등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영유아 및 치매 노인 등에게 보호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등이 새겨진 식별표(명찰, 목걸이 등)를 휴대토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관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타인이 이를 보고 보호자에게 인계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영유아 및 치매 노인 등이 식별표를 분실하는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통신장비를 이용하여 미아 발생 등을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용기기를 이용하여 GPS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송수신에 의해 위치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미아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용기기의 경우,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배터리 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종 사건사고 등에 의해 실종자가 전기 충전이 불가능한 지역에 고립되거나, 또는 지각 능력이 부족하여 휴대용기기의 충전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용기기의 방전 발생 시 원활한 무선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실종자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670411호(2016.10.2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유아나 치매 노인 등이 용이하게 착용하고 다닐 수 있되, 착용자의 각종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주변의 무선통신장치들과 무선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져서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태양열에 의해 자가충전이 이루어져서 상시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실종 시 보호자를 비롯한 통신회사 및 국가기관(관제센터) 등에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종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유아나 치매 노인은 물론 일반 사람들도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태양열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여 방전의 우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전기충전 없이도 항상 무선통신장치 등과 무선 송수신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재난 등에 의한 고립이나 실종 시, 또는 지각 능력 부족에 의한 실종 시, 실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는, 배터리 및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칩이 내설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내설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태양전지판들이 경사진 방향으로 내설되는 충전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들 및 상기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부를 감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충전부재들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부재들은 적어도 일 면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 면을 이루어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은 경사진 방향으로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판의 양 단부에는 접속단자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절곡되어 상기 충전부재들의 선단 및 후단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일측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통전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 측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타측 접속단자와 접지되는 접지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부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충전부의 일 면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에 의하면, 영유아나 치매 노인 등이 용이하게 착용하고 다닐 수 있되, 착용자의 각종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주변의 무선통신장치들과 무선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져서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태양열에 의해 자가충전이 이루어져서 상시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실종 시 보호자를 비롯한 통신회사 및 국가기관(관제센터) 등에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종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에 의하면, 영유아나 치매 노인은 물론 일반 사람들도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태양열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여 방전의 우려가 없게 되므로, 별도의 전기충전 없이도 항상 무선통신장치 등과 무선 송수신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재난 등에 의한 고립이나 실종 시, 또는 지각 능력 부족에 의한 실종 시, 실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의 무선 송수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관제센터가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네트워크 등에 의해 수신한 후,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는, 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판 형태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는 일정 너비만큼 배터리(22)와 무선통신장치 등과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칩(24)(RFID, GPS 모듈, WI-FI 송수신 모듈 등)이 내설되는 저장부(20)와,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패널이 내설되게 설치되는 충전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부(30)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충전부재(3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충전부재(32)들이 복수 개 구비되고, 이들 복수의 충전부재(32)들이 병렬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되어 충전부(3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충전부재(32)들은 적어도 일 측면이 수직 선상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 면을 이루어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최 외곽에 배치되는 양 충전부재(32)들은 그 외 측면이 수직 면을 이루되, 대향되는 내 측면은 경사 면을 이루어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일 수 있고, 중간에 배치되는 충전부재(32)들은 양 측면이 한 쪽 방향으로 경사 면을 이루어 단면 형상이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충전부재(32)들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는 태양전지판(3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판(34)의 양 단에는 절곡된 형태로 접속단자(36)들이 형성되는데, 이 접속단자(36)들은 충전부재(32)의 선단 및 후단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충전부재(32)들을 병렬 방향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충전부(30)를 저장부(20)와 밀착시키게 되면, 마치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의 충전부(3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태양전지판(34)들은 수직 선상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평면 상으로 조사되는 빛은 태양전지판(34)들에 의해 용이하게 집열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판(34)들은 저장부(20)에 내설되는 배터리(22)와 전기적으로 회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34)에 의해 집열된 에너지는 배터리(22)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배터리(22)는 칩(24)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칩(24)이 주변의 무선통신장치 등과 무선으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는 통신기지국이나, 위성 또는 와이파이 송수신기, RFID 장비 등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한 번 참조하면, 저장부(20)에서 충전부(3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일 면에는 태양전지판(34)의 일측 접속단자(36)와 접속됨에 따라 태양전지판(34)에 의해 집열되어 전기에너지로 변환된 전류를 배터리(22)로 통전시키기 위한 제1 통전단자(2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의 양 측면에는 후술되는 테두리부(40)의 제1 접지단자(42)와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는 제2 접지단자(2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는, 저장부(20) 및 충전부(30)의 둘레 면을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테두리부(40)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테두리부(40)의 내측 면에는 태양전지판(34)들의 타측 접속단자(36)와 접속되어 접지되는 제1 접지단자(4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충전부(30)의 양 면 즉,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반사판(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를 외부에 노출시키게 되면, 태양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투명재질의 충전부(30)를 그대로 투과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판(34)으로 조사되고, 조사된 빛은 태양전지판(34)에 의해 수광되며, 수광된 빛은 일측 접속단자(36)와 저장부(20)의 통전단자(26)를 통해 배터리(22)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충전부(30)를 투과한 일부의 빛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50)에 의해 반사된 후, 태양전지판(34)의 배면으로 조사되고, 조사된 빛은 태양전지판(34)에 의해 수광되며, 수광된 빛은 일측 접속단자(36)와 저장부(20)의 통전단자(26)를 통해 배터리(22)를 충전시키게 되는바, 충전부(30)로 조사되는 빛의 유실이 줄어들어 충전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자판들의 타측 접속단자(36)는 테두리부(40)의 내측 면에 배치되는 제1 접지단자(42)와 저장부(2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지단자(28)와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집열됨에 따라 집열 성능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배터리(22) 충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가 무선통신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관제센터가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네트워크 등에 의해 수신한 후,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에서, 칩(24)에는 착용자의 각종 신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이름, 주소, 나이, 전화번호, 보호자 연락처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태양열 등에 의해 자가 충전 및 자가 발전하여 전기 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방전 없이 지속적으로 위치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제센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
관제센터(300)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와 네트워크(200) 등에 의해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310)와,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부(320)와,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위치 신호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10) 및 정보 인식부(320), 위치 확인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60)는 수신되는 신호를 데이터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시키고,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센터(300)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의 착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신호를 보호자의 무선통신단말기(400)(휴대폰 등)에 전송하여 위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10)는, 착용자가 목에 걸고 다니거나 또는 가방 등에 걸고 다니거나 또는 옷 등에 걸고 다닐 수 있으므로, 외부에 노출되어 태양열로부터 자가 충전 및 자가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방전의 우려가 없게 됨으로써, 재난 등에 의해 전기 시설이 없는 곳에 고립되거나 또는 충전에 대한 인지 능력이 떨어져서 미처 충전을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관제센터(300)와 무선 네트워크(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되는바, 실종 등의 우려가 크게 불식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20 : 저장부
22 : 배터리 24 : 칩(Chip)
26 : 통전단자 28 : 제2 접지단자
30 : 충전부 32 : 충전부재
34 : 태양전지판 36 : 접속단자
40 : 테두리부 42 : 제1 접지단자
50 : 반사판 200 : 네트워크
300 : 관제센터 310 : 통신부
320 : 정보 인식부 330 : 위치 확인부
340 : 데이터 출력부 350 : 데이터 DB
360 : 제어부

Claims (5)

  1. 배터리 및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칩이 내설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내설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태양전지판들이 경사진 방향으로 내설되는 충전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들 및 상기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부를 감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충전부재들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부재들은 적어도 일 면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 면을 이루어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은 경사진 방향으로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의 양 단부에는 접속단자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절곡되어 상기 충전부재들의 선단 및 후단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일측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통전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 측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타측 접속단자와 접지되는 접지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충전부의 일 면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KR2020180000726U 2018-02-14 2018-02-14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KR201900021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6U KR20190002162U (ko) 2018-02-14 2018-02-14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6U KR20190002162U (ko) 2018-02-14 2018-02-14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62U true KR20190002162U (ko) 2019-08-23

Family

ID=6776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26U KR20190002162U (ko) 2018-02-14 2018-02-14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6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11B1 (ko) 2015-01-16 2016-11-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11B1 (ko) 2015-01-16 2016-11-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681B2 (en) System for locating remote objects
Sample et al. Photovoltaic enhanced UHF RFID tag antennas for dual purpose energy harvesting
US10560811B2 (en) Tracking device, system for tracking objects,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1259715B1 (ko) Rfid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US20180294845A1 (en) Mobile phone wallet
US11283279B2 (en) Charging control device and charging unit
ES2344978A1 (es) Tarjeta y sistema para transmitir energia electrica.
KR20190136961A (ko) 저전력 지오펜스 서비스 제공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Shweta et al. Multipurpose smart bag
JP6907940B2 (ja) 通信装置
KR20190002162U (ko)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WO2015099565A1 (ru) Способ ближней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оптоэлектронны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чтения
CN104323545A (zh) 一种基于柔性薄膜太阳能电池和nfc模块的夜光智能手环
Kadam et al. Design of mobile solar powered public station using RFID
KR20190098879A (ko) 자가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무선통신장비
CN205029659U (zh) 物流共同配送移动物联网终端
JP2018082511A (ja) 充電装置、電子機器、電動車両及び電力システム
KR20070026902A (ko) 개선된 알에프아이디 태그
CN206348899U (zh) 一种移动物体的定位和交通示警装置及儿童书包装置
Li et al. A microchip-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ensor network
CN202436325U (zh) 光能定位书包
WO2009095682A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N216206404U (zh) 一种定位装置及定位鞋
CN207367243U (zh) 一种具有语音提示功能且可追踪定位的磁卡
CN209897103U (zh) 一种集成有rfid装置的手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